KR100502861B1 -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861B1
KR100502861B1 KR10-2003-0090768A KR20030090768A KR100502861B1 KR 100502861 B1 KR100502861 B1 KR 100502861B1 KR 20030090768 A KR20030090768 A KR 20030090768A KR 100502861 B1 KR100502861 B1 KR 100502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user terminal
displayed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160A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3-009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86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컨텐츠를 등록 및 저장한 후,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디폴트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컨텐츠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후, 사용자가 다른 디스플레이 방식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컨텐츠를 처리하여, 다시 디스플레이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방식에 따라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접속 빈도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컨텐츠의 공유 및 확산을 보다 활발하게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contents providing system through 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상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터넷 보급이 급격하게 증가됨에 따라 인터넷이라는 동질의 매체를 통하여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 기능도 점점 발달하여 매우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이 인터넷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커뮤니케이션의 발달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컨텐츠도 다양화되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 및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방식에는 일반적으로 게시판형, 블로그(blog)형, 웹진(webzin)형 등이 있다.
그러나, 다수의 웹 사이트들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컨텐츠를 제공 및 디스플레이하고 있으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방식은 사이트별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컨텐츠를 볼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텐츠 특성에 따라 디스플레이 방식이 변경되어, 컨텐츠가 최적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로 웹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타베이스; 게시판형, 블로그형, 웹진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식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검출하는 표시 선택부; 및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제목, 컨텐츠 게시자의 ID, 게시일, 컨텐츠 내용 및 컨텐츠 요약 중 일부가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컨텐츠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컨텐츠를 제목, 컨텐츠 게시자의 ID, 게시일이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1 표시 처리부;상기 컨텐츠를 제목, 컨텐츠 내용, 게시일이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2 표시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를 제목, 컨텐츠 요약을 포함하는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3 처리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선택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 처리부 중 하나를 동작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어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컨텐츠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로 웹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타베이스; 게시판형, 블로그형, 웹진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식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검출하는 표시 선택부; 상기 각 디스플레이 방식별로 컨텐츠 항목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항목인 표시 항목이 규정되어 있는 표시 형태 데이타베이스; 및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제목, 컨텐츠 게시자의 ID, 게시일, 컨텐츠 내용 및 컨텐츠 요약 중 일부가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컨텐츠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컨텐츠를 제목, 컨텐츠 게시자의 ID, 게시일이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1 표시 처리부; 상기 컨텐츠를 제목, 컨텐츠 내용, 게시일이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2 표시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를 제목, 컨텐츠 요약을 포함하는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3 처리 표시부를 포함하며,상기 컨텐츠 처리부의 각 표시 처리부는 상기 표시 형태 데이터베이스에 규정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방식별 표시 항목을 참조하여, 규정된 표시 항목에 따라 각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컨텐츠를 처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방식 쿼리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디스플레이 방식 관련 정보가 전송되면,상기 디스플레이 방식이 게시판형인 경우, 상기 시스템에 의해 컨텐츠가 제목, 컨텐츠 게시자의 ID, 게시일이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방식이 블로그형인 경우, 상기 시스템에 의해 컨텐츠가 제목, 컨텐츠의 내용, 게시일이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방식이 웹진형인 경우, 상기 시스템에 의해 컨텐츠가 제목, 컨텐츠 요약을 포함하는 형태로 처리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라고 명명함)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네트워크(200, 전화망, 인터넷, 무선 통신망 등 다양한 형태의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300)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이며, 예를 들어, 유선 전화,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인터넷 접속 가능한 TV 등의 다양한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PC 통신, 인터넷, 무선 인터넷, 전화망 등을 이용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00)에 연결되어 사용자들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 서버(10), 처리 서버(20), 및 인터페이스 서버(3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12), 표시 형태 데이터베이스(13)를 포함한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에는 시스템(100)을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할당된 식별자(사용자 ID)에 대응하여 로그인(login)을 위한 패스워드, 주민 등록 번호, 성명, 우편 주소, 전자 메일 주소, 연락처(이동 전화 번호 또는 유선 전화 번호 등) 등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에는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식별 번호에 대응하여 컨텐츠 제목, 컨텐츠 내용, 컨텐츠 게시자, 컨텐츠 등록일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컨텐츠 내용에는 텍스트, 사진, 동영상, 미디어 등의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가 포함된다.
표시 형태 데이터베이스(13)에는 시스템(100)에서 제공 가능한 디스플레이 방식별로 표시 형태를 규정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컨텐츠를 게시판형, 블로그형, 웹진형의 세가지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게시판형은 컨텐츠의 내용을 표시하지는 않고, 컨텐츠의 제목과, 해당 컨텐츠를 게시한 게시자의 ID, 게시일 등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이다. 블로그형은 컨텐츠의 내용을 모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컨텐츠의 제목, 게시일, 그리고 컨텐츠를 구성하는 내용이 모두 디스플레이 된다. 웹진형은 컨텐츠의 내용 일부만을 표시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제목과 내용 일부를 요약한 글이나 이미지 등이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식은 위에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트워크 상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다른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형태 데이터베이스(13)는 디스플레이 방식별로 표시하여야 하는 항목들이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게시판형에는 제목, 게시자 ID, 게시일 등의 항목이 규정되어 있으며, 블로그형에는 제목, 게시일, 컨텐츠 내용,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야 하는 표시 단위(예를 들어, 설정 개수, 또는 일일 단위 등) 등의 항목이 규정되어 있고, 웹진형에는 제목, 컨텐츠 요약 등의 항목이 규정되어 있다. 특히, 웹진형의 요약 항목에는 요약에서 표현되어야 하는 텍스트 비트수, 또는 이미지 크기 및 수 등의 파라미터가 규정되어 있다.
이외에도, 컨텐츠 특성에 따라 해당 컨텐츠가 최적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컨텐츠별로 디스플레이 방식이 지정되어 있는 지정 데이터베이스(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카테고리별로 웹진형, 블로그형, 게시판형 등의 디스플레이 방식이 지정되어 있거나, 컨텐츠별로 디스플레이 방식이 서로 다르게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들에게 컨텐츠를 제공 및 디스플레이 하는 처리 서버(20)는 사용자 등록부(21), 컨텐츠 등록부(22), 표시 선택부(23), 및 컨텐츠 처리부(24)를 포함한다.
사용자 등록부(21)는 다수 사용자들의 회원 등록을 수행하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접속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컨텐츠 등록부(22)는 사용자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등록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하고, 이를 토대로 게시판 등에 게시한다.
표시 선택부(23)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방식 선택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컨텐츠 특성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식을 자동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컨텐츠 처리부(24)를 구동시킨다.
컨텐츠 처리부(2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게시판 등에 게시되는 컨텐츠의 표시 형태를 변경한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처리부(24)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컨텐츠를 게시판형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제1 표시 처리부(241),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컨텐츠를 블로그형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제2 표시 처리부(242),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컨텐츠를 웹진형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제3 표시 처리부(243)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식이 게시판형, 블로그형, 웹진형 등의 3가지만 예를 들었기에, 표시 처리부가 3개로 구성되나, 더 많은 방식의 디스플레이 방식이 추가되면 표시 처리부도 그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 서버(30)는 네트워크(200) 특히, 인터넷이나 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다수의 단말기(300)들이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처리 서버(20)를 통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통신 규격에 맞도록 변환 처리하여 다수의 단말기(300)로 제공하거나,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 서버(2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웹 서버나 다른 시스템과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연동 장치(CG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처리 서버(20)의 각 구성 요소들이 처리 서버 내에서 동작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독립적인 서버로서 구현되어 해당 기능을 처리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1∼14)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분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자유로이 컨텐츠를 등록 및 게시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에 따라 컨텐츠를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처리하여 웹 페이지 상에서 제공한다.
먼저, 컨텐츠 등록 과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등록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하면 해당 사용자의 정보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되며(S100∼S110), 사용자 등록부(22)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접속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증 과정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인증 처리된 사용자가 소정의 컨텐츠를 게시하기 위하여, 컨텐츠 등록 등의 메뉴를 선택하면 컨텐츠 등록부(22)는 사용자의 단말기(300)로 등록 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컨텐츠를 게재한 후 등록을 요청하면(S120∼S130), 해당 컨텐츠에 별도의 식별 번호 등을 부여한 후 게시일과 함께 이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하고, 등록 완료를 표시한다(S140).
이와 같은 컨텐츠 등록 처리에 따라 등록된 컨텐츠들은 시스템에서 디폴트로 정해 놓은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웹 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게시판형을 디폴트 방식으로 설정하여 사용자들이 올린 컨텐츠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그러나, 다른 방식을 디폴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에 컨텐츠들이 게시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이 등록한 컨텐츠들은 게시물 번호, 컨텐츠 제목, 컨텐츠 게시자 ID, 게시일 등의 항목별로 다수 개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는 사용자들이 등록한 컨텐츠 이외에 시스템 운영자가 등록한 컨텐츠도 포함될 수 있다.
다음에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등록된 컨텐츠들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디스플레이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임의 사용자가 시스템(100)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하여, 커뮤니티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단말기(300) 상에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등)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접속하기 위한 URL을 입력하면, 이 URL 정보는 웹 브라우저에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의해 변환되고 패킷화 된 다음에 인터넷을 통하여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된다(S200).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인터페이스 서버(30)가 URL 정보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며, 전송된 웹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 상에 윈도우 상태로 변환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300)의 화면상에 나타난 웹 페이지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에 대한 인증 과정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S210).
다음, 사용자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예를 들어, 게시판 등의 페이지로 접속하면, 컨텐츠 처리부(24)가 디폴트로 설정된 방식 즉, 게시판형에 따라 등록된 컨텐츠들을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S220∼S230). 이 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방식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키나 메뉴 등을 제공하여, 원하는 방식으로 등록된 컨텐츠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40).
예를 들어, 게시판형에서는 등록된 컨텐츠들의 제목만이 표시됨에 따라 컨텐츠의 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별도로 클릭을 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블로그형을 선택하면, 표시 선택부(23)는 사용자의 블로그형 선택에 따라 제2 표시 처리부(242)를 동작시킨다(S250∼S260). 이에 따라 제2 표시 처리부(242)는 표시 형태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되어 있는 블로그형에 따른 항목들을 참조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S27). 즉,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들 중에서 표시 단위에 따라 가장 최근에 등록된 컨텐츠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의 제목, 내용, 게시일을 모두 표시하는 형태로 컨텐츠를 처리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한다(S280∼S29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가 블로그형으로 디스플레이 된 예를 나타낸 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클릭 동작을 하지 않아도 화면상에서 가장 최근에 등록된 컨텐츠 순서대로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S300). 이후, 사용자의 마우스 스크롤 동작에 따라 제2 표시 처리부(242)는 컨텐츠들을 최근에 등록된 순서대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컨텐츠의 내용을 다 보지 않고 컨텐츠의 요약만을 확인하기 위하여 웹진형을 선택하면, 표시 선택부(23)는 사용자의 웹진형 선택에 따라 제3 표시 처리부(243)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제3 표시 처리부(243)는 표시 형태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되어 있는 웹진형에 따른 항목들을 참조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310). 즉, 제3 표시처리부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의 내용 중 파라미터에 따라 소정 비트수를 가지는 텍스트나 소정 크기를 가지는 이미지만을 선택하여 컨텐츠 요약을 구성하고, 이러한 요약과 함께 컨텐츠 제목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S320∼S33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가 웹진형으로 디스플레이 된 예를 나타낸 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서 컨텐츠의 제목과, 내용 일부를 나타내는 컨텐츠 요약을 확인할 수 있다(S340). 이 경우에도 컨텐츠가 등록된 게시일 순서대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컨텐츠를 블로그형이나 웹진형으로 디스플레이 하여 보다가 원래의 방식 즉, 게시판형으로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하여 게시판형을 선택하면, 표시 선택부(23)는 사용자의 웹진형 선택에 따라 제1 표시 처리부(241)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처리부(241)는 표시 형태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되어 있는 게시판형에 따른 항목들을 참조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 즉,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게시물 번호, 컨텐츠 제목, 게시자 ID, 게시일 등을 디스플레이 하여 한 화면 상에서 등록된 컨텐츠들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컨텐츠들을 디스플레이 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방식이 변경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컨텐츠 특성에 따라 디스플레이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도 7에 이러한 컨텐츠 처리 과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위의 도 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가 등록되면, 표시 선택부(23)가 컨텐츠 특성별로 디스플레이 방식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표시 선택부(23)는 사용자가 등록한 컨텐츠의 카테고리별 특성에 따라 지정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검출한다(S400∼S420). 그리고, 검출된 방식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1 내지 제3 표시 처리부(241∼243) 중 하나를 동작시킨다(S430).
예를 들어, 뉴스나 기사 등의 컨텐츠를 표시할 경우에는 블로그형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들이 소정 주제별로 관련된 내용을 가지는 컨텐츠들을 등록시키는 경우에는, 블로그형이나 웹진형으로 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 동작 없이도 컨텐츠 특성에 따라 컨텐츠들이 최적의 상태로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동일 주제에 대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회원으로 가입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서로 공유하는 공용 커뮤니티 예를 들어, 카페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페 등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등록된 컨텐츠들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 또는 컨텐츠 특성에 따라 디스플레이 방식을 변경하면서 제공함에 따라, 카페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가장 실제적이며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및 등가물들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위에 기술된 각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드웨어적이나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상에서 다수의 컨텐츠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방식에 따라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접속 빈도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컨텐츠의 공유 및 확산을 보다 활발하게 유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이 보다 활성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등록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시판형 디스플레이 방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른 컨텐츠 처리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형 디스플레이 방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진형 디스플레이 방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로 웹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타베이스;
    게시판형, 블로그형, 웹진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식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검출하는 표시 선택부; 및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제목, 컨텐츠 게시자의 ID, 게시일, 컨텐츠 내용 및 컨텐츠 요약 중 일부가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컨텐츠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컨텐츠를 제목, 컨텐츠 게시자의 ID, 게시일이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1 표시 처리부;
    상기 컨텐츠를 제목, 컨텐츠 내용, 게시일이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2 표시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를 제목, 컨텐츠 요약을 포함하는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3 처리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선택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 처리부 중 하나를 동작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어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5.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로 웹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타베이스;
    게시판형, 블로그형, 웹진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식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검출하는 표시 선택부;
    상기 각 디스플레이 방식별로 컨텐츠 항목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항목인 표시 항목이 규정되어 있는 표시 형태 데이타베이스; 및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제목, 컨텐츠 게시자의 ID, 게시일, 컨텐츠 내용 및 컨텐츠 요약 중 일부가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컨텐츠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컨텐츠를 제목, 컨텐츠 게시자의 ID, 게시일이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1 표시 처리부;
    상기 컨텐츠를 제목, 컨텐츠 내용, 게시일이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2 표시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를 제목, 컨텐츠 요약을 포함하는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3 처리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처리부의 각 표시 처리부는 상기 표시 형태 데이터베이스에 규정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방식별 표시 항목을 참조하여, 규정된 표시 항목에 따라 각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컨텐츠를 처리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방식 쿼리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디스플레이 방식 관련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방식이 게시판형인 경우, 상기 시스템에 의해 컨텐츠가 제목, 컨텐츠 게시자의 ID, 게시일이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방식이 블로그형인 경우, 상기 시스템에 의해 컨텐츠가 제목, 컨텐츠의 내용, 게시일이 표시되는 형태로 처리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방식이 웹진형인 경우, 상기 시스템에 의해 컨텐츠가 제목, 컨텐츠 요약을 포함하는 형태로 처리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0. 삭제
KR10-2003-0090768A 2003-12-12 2003-12-12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0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768A KR100502861B1 (ko) 2003-12-12 2003-12-12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768A KR100502861B1 (ko) 2003-12-12 2003-12-12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257A Division KR101074739B1 (ko) 2003-12-29 2003-12-29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160A KR20050072160A (ko) 2005-07-11
KR100502861B1 true KR100502861B1 (ko) 2005-07-21

Family

ID=37261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768A KR100502861B1 (ko) 2003-12-12 2003-12-12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8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160A (ko) 2005-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5870B2 (en) Internet identity graph and social grap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130668B2 (en) Managing differences in user devices when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US20090012940A1 (en) Sharing mobile search results
US8495212B2 (en) Internet identity graph and social grap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303184B1 (ko) 정보제공시스템
US8667136B2 (en) Communication system
US20110252085A1 (en) Communication system, server device, displa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80215547A1 (en) Introduction support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US20130311905A1 (en) Internet identity graph and social grap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502861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74739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040115A (ja) ファームバンキングサービス方法
JP2000134252A (ja) アドレス変換テーブルのデータ書き換え方法
KR20000050178A (ko) 인터넷을 통하여 지역별로 선별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CN107104941A (zh) 网络资源的共享方法及装置
JP2001273188A (ja) 異種端末のアクセスを許容するウェブサイト及びウェブサイトに異種端末のアクセスを許容する方法
KR20050059380A (ko) 네트워크를 통한 커뮤니티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072763A (ja) 電子冊子表示システム、電子冊子表示処理プログラム、及び電子冊子表示方法
CN100524305C (zh) 与信息设备的运行有关的引导装置和引导方法
KR20050059385A (ko) 컨텐츠 스크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9368A (ko) 인터넷을 이용한 입찰시스템에서 기술 컨소시엄 방법 및그 장치
KR20050109019A (ko)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28444B2 (ja) 検索システムでメッセージを伝達するサーバ装置及び方法
KR20020005273A (ko) 인터넷상의 전자명함 검색방법
KR20050025041A (ko) 게시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30

Effective date: 200506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