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634B1 - 튀김성형기 - Google Patents

튀김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634B1
KR100502634B1 KR10-2005-0028923A KR20050028923A KR100502634B1 KR 100502634 B1 KR100502634 B1 KR 100502634B1 KR 20050028923 A KR20050028923 A KR 20050028923A KR 100502634 B1 KR100502634 B1 KR 100502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rying
bet
beet
receiv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2279A (ko
Inventor
김광철
Original Assignee
(주) 새아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새아침 filed Critical (주) 새아침
Priority to KR10-2005-0028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63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2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전후방으로 이격된 1쌍의 풀리를 연결하며, 튀김재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수납컵이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되는 이송수단; 상기 수납컵에 베터액을 도포하도록 상기 이송수단 상부에 설치되는 제1베터액 도포수단; 상기 수납컵으로부터 공급되는 튀김물의 형태를 재결속하도록 상기 이송수단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튀김물 정렬수단; 및 상기 튀김물 정렬수단을 거치며 정렬된 튀김물에 베터액을 추가로 도포하는 제2베터액 도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튀김재료의 이송부터 베터액 도포, 튀김원료의 형태 재정렬 및 추가 베터액 도포 등의 모든 작업공정이 효율적인 자동화로 진행되므로,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인력비 감소를 통한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튀김성형기{Fry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튀김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튀김재료의 이송 및 베터액 도포 등의 작업공정이 자동으로 진행됨은 물론, 도포되고 남은 베터액은 리턴 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재료비와 인력 절감에 따른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임은 물론, 베터액의 사용량을 최적화하여 유지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한 튀김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튀김은 과일, 고기 혹은 야채 등의 재료에 밀가루 반죽이 믹서된 베터를 입힌 후 기름에 튀겨져 만들어지는 대중적인 조리식품이다.
이러한, 튀김은 일반 스낵바 등에서 즉석식품으로 만들어 팔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냉장, 냉동기술의 발달로 인해 식품의 유통기한이 늘어나면서 전자렌지 등을 이용하여 단체급식처 또는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쉽게 데워먹을 수 있도록 한 인스턴트식 제품의 수요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 같은 튀김류 식품을 만듦에 있어서, 대부분 수작업으로 재료를 혼합하고 그 재료 위에 베터를 입혀 기름통에 넣어 튀기는 것으로, 이는 생산성을 현저히 저하시킴은 물론 작업인력 증가에 따른 사업주의 인건비 부담이 가중되어 제품의 단가를 높이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제품의 부가가치가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베터액을 입히는 과정에서 상당량의 베터액이 소실될 우려가 있는 바, 이러한 소실되는 베터의 양 또한 상당한 수준에 이르게 되므로 이는 결론적으로 사업주의 제품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베터액의 도포 및 튀김 등의 전 공정이 자동적으로 연속 진행되게 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재료비 및 인력 절감에 따른 사업주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튀김성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포되고 남은 베터액은 회수하여 재사용 가능토록 함으로써 재료비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 튀김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튀김성형기는, 전후방으로 이격된 1쌍의 풀리를 연결하며, 튀김재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수납컵이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되는 이송수단; 상기 수납컵에 베터액을 도포하도록 상기 이송수단 상부에 설치되는 제1베터액 도포수단; 상기 수납컵으로부터 공급되는 튀김물의 형태를 재결속하도록 상기 이송수단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튀김물 정렬수단; 및 상기 튀김물 정렬수단을 거치며 정렬된 튀김물에 베터액을 추가로 도포하는 제2베터액 도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 하부에는 상기 수납컵에 도포되고 남은 베터액을 수용하도록 베터액 보관부가 설치되고; 상기 보관부 일측에는 수용된 베터액을 배출하는 리턴노즐 및 배출된 베터액을 보관하는 리턴액 수납통이 형성되며; 상기 리턴액 수납통에는 수납된 베터액을 제1베터액 도포수단에 재공급할 수 있도록 리턴파이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1쌍의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튀김성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튀김성형기는, 크게 튀김재료를 수용하는 수납컵(20)과, 상기 수납컵(20)을 이송하는 이송수단(10)과, 상기 수납컵(20)에 베터액을 도포하는 제1베터액 도포수단(30)과, 상기 수납컵(20)으로부터 공급되는 튀김물의 형태를 재결속하는 튀김물 정렬수단(40)과, 상기 정렬된 튀김물에 베터액을 추가로 도포하는 제2베터액 도포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이송수단(10)은 야채, 과일 혹은 고기 등으로 된 튀김재료를 적절히 배분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수납컵(20)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컵(20)은 원료가 투입되는 방향에서 튀김부(도시생략)가 위치한 반대방향으로 순서대로 이동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전후방에 이격하여 설치된 1쌍의 풀리(11a)(11b)에 지지되며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1쌍의 체인으로 구성된 상기 이송수단(10)에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10)의 상부에는 상기 이송수단(10)에 의해 이동되는 수납컵(20)에 믹서기(도시생략)를 통해 밀가루와 기타 여러 재료를 혼합하여 제작된 베터액을 공급하여 상기 수납컵(20)에 투입된 튀김재료의 상면 및 사이사이 공간에 베터액을 도포하도록 제1베터액 도포수단(3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베터액 도포수단(30)은, 상기 수납컵(20)에 베터액이 도포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수납컵(20)에 대응하는 개수로 소정 이격하여 설치되는 횡방향 칸막이(31)를 구비하고, 베터액이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배출부(32)는 베터액이 수납컵(20)에 부딪혀 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납컵(20)에 투입된 튀김재료 사이사이에 골고루 잘 스며들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다단식의 계단형으로 구성된다.
이 같은 수납컵(20)은 이송수단(10)에 의해 좌측 단부에 도달했을 때, 별도로 마련된 캠(도시생략)에 의해 이송수단(10)에 연결된 양측의 회전축이 작동하여 수납컵(20)이 180도 회전하면서 베터액이 도포된 튀김물을 일측에 구비된 이송부에 낙하시켜 공급하게 되며, 튀김물을 공급한 후엔 이송된 반대방향으로 접히면서 이송수단(10)의 하부를 통해 튀김원료를 재투입할 수 있도록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10)의 좌측 하부에는 수납컵(20)이 뒤집히며 튀김물이 이송부(60)에 낙하될 때 튀김물의 흐트러진 형태를 재결속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컵(20)에 대응하는 크기와 개수로 구성된 튀김물 정렬수단(4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튀김물 정렬수단(40)은 튀김물의 투입 및 재결속이 용이하도록 중앙부가 개방된 링 형태로 구성하되, 수납컵(20)의 개수에 부합되는 분리형 구조 또는 하나의 커다란 링을 제작한 후 이를 다수의 칸막이로 구분한 일체형 구조 등으로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고, 낙하하는 튀김물은 이러한 형태의 링 중앙을 통과하며 결속되어 재정렬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튀김물 정렬수단(40)은 수납컵(20)의 상기 회전에 연동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수납컵(20)이 이송수단(10)을 통해 회수될 때 상기 정렬수단(40)에 걸려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60)에는 튀김물의 튀김부로의 이송 전 상기 튀김물 정렬수단(40)을 통과한 튀김물의 배면을 비롯한 튀김물의 베터액 미도포부분에 베터액을 추가로 도포하여 튀김물을 결속토록 제2베터액 도포수단(5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납컵(20)은 바닥면에 튀김재료 위에 도포되고 남은 베터액을 하측으로 흘려보내도록 다수개의 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수단(10) 하부에는 이 같이 수납컵(20) 위에 도포 후 남은 베터액을 수용할 수 있게 베터액 보관부(7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관부(70) 일측에는 상기 통공(21) 등을 통해 아래로 흘러내려 보관부(70)에 수용된 베터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리턴노즐(110) 및 상기 리턴노즐(110)을 통해 배출된 베터액을 보관하는 리턴액 수납통(100)이 구비되며, 상기 리턴액 수납통(100)에는 회수된 베터액을 상기 제1베터액 도포수단(30)에 재공급할 수 있도록 리턴파이프(1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튀김성형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송수단(10)을 작동시켜 수납컵(20)이 우측에서 튀김부가 위치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고, 이동되는 수납컵(20)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혼합된 튀김재료를 적절량 집어 투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10)은 별도로 설치된 캠(도시생략)에 의해 하나의 수납컵(20)을 기준으로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수납컵(20)이 제1베터액 도포수단(10)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계단식으로 된 베터액 배출부(32)를 통해 적정량의 베터액이 수납컵(20) 위에 흘러내리게 되어 튀김재료 위에 베터액이 골고루 입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튀김재료 위에 도포되고 남은 베터액은 수납컵(20) 바닥면의 통공(21)을 통해 하부의 보관부(70)로 낙하하게 되고, 이후 상기 보관부(70) 측면의 리턴노즐(110)을 통해 리턴액 수납통(100)에 회수된 후 리턴파이프(120)를 통해 제1베터액 도포수단(30)으로 재공급되므로 버려지는 베터액의 양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후, 이송수단(10)을 통해 우측으로 연속 이동되는 수납컵(20)은 이송수단(10)의 우측 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별도의 캠에 의해 회전하며 베터액이 도포된 튀김물을 이송부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튀김물은 낙하시 튀김물 정렬수단(40)을 통과하며 그 흐트러진 형태가 재결속되어 이송부로 공급되어지며, 제2베터액 도포수단(50)을 거쳐 제1베터액 도포수단(30)에 의해 미도포된 튀김물의 배면 등에 베터액이 추가 도포된 후 튀김부를 거쳐 튀김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수단(10)을 마주보게 설치되는 1쌍의 체인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와 대응하는 와이어 등의 수단으로 구성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수행함에 곤란함이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튀김성형기는, 튀김재료의 이송부터 베터액 도포, 튀김물의 형태 재정렬 및 추가 베터액 도포 등의 모든 작업공정이 효율적인 자동화로 진행되므로,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인력비 감소를 통해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창출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도포되고 남은 베터액은 리턴수단을 통해 재공급하여 사용하게 하므로, 베터액의 사용량을 최적화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재료비 절감 등의 경제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튀김성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송수단 11a,11b ; 풀리
20 ; 수납컵 30 ; 제1베터액 도포수단
40 ; 튀김물 정렬수단 50 ; 제2베터액 도포수단
100 ; 리턴액 수납통

Claims (3)

  1. 전후방으로 이격된 1쌍의 풀리(11a)(11b)를 연결하며, 튀김재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수납컵(20)이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되는 이송수단(10);
    상기 수납컵(20)에 베터액을 도포하도록 상기 이송수단(10) 상부에 설치되는 제1베터액 도포수단(30);
    상기 수납컵(30)으로부터 공급되는 튀김물의 형태를 재결속하도록 상기 이송수단(10)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튀김물 정렬수단(40); 및
    상기 튀김물 정렬수단(40)을 거치며 정렬된 튀김물에 베터액을 추가로 도포하는 제2베터액 도포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10) 하부에는 상기 수납컵(20)에 도포되고 남은 베터액을 수용하도록 베터액 보관부(70)가 설치되고;
    상기 보관부(70) 일측에는 수용된 베터액을 배출하는 리턴노즐(110) 및 배출된 베터액을 보관하는 리턴액 수납통(100)이 형성되며;
    상기 리턴액 수납통(100)에는 수납된 베터액을 제1베터액 도포수단(30)에 재공급할 수 있도록 리턴파이프(1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성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10)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1쌍의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성형기.
KR10-2005-0028923A 2005-04-07 2005-04-07 튀김성형기 KR10050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923A KR100502634B1 (ko) 2005-04-07 2005-04-07 튀김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923A KR100502634B1 (ko) 2005-04-07 2005-04-07 튀김성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279A KR20050042279A (ko) 2005-05-06
KR100502634B1 true KR100502634B1 (ko) 2005-07-21

Family

ID=3724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923A KR100502634B1 (ko) 2005-04-07 2005-04-07 튀김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350B1 (ko) * 2020-09-09 2022-02-09 주식회사 제이케이글로벌 원료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279A (ko) 200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93176B (zh) 现制面食自动贩卖机及其工作方法
US4694742A (en) Deep fat fryer
CN109475247A (zh) 自动餐食生产系统和设备
CN110250907B (zh) 一种自动化中央厨房及煮饭装置
KR101987765B1 (ko) 김 튀김 제조장치
CN210383594U (zh) 一种自助炒饭售卖机
KR100502634B1 (ko) 튀김성형기
CN110930591A (zh) 一种智能桂林米粉烹饪机器人
KR20080110370A (ko) 주먹밥 제조장치
CN210675035U (zh) 一种用于酱卤食品生产的即时调配、分拣系统
CN111713563A (zh) 一种用于豆制品加工的豆干胚压制设备及压制方法
CN109805760A (zh) 一种机器人现制天然饮品的制作工艺
US4023521A (en) Tumble batter and breader machine
US5073393A (en) Automatic proportioning pasta system
CN210158466U (zh) 一种自动打包装置及自助炒饭售卖机
CN213316527U (zh) 用于藜麦的快速清洗设备
KR101641601B1 (ko) 볶음밥 제조용 연속식 혼합장치
CN210582218U (zh) 一种桶形炒饭装置及自助炒饭售卖机
CN210019073U (zh) 一种自动洗米装置
CN111493641A (zh) 一种智能老友粉烹饪机器人
EP2011407A2 (en) Refining method and refining device for separating unnecessary matters from articles
CN210181710U (zh) 一种智能桂林米粉烹饪机器人
CN210236488U (zh) 一种辅料添加机构及自助炒饭售卖机
CN108294108A (zh) 一种紫薯炒酸奶及其制备方法
CN217564739U (zh) 一种切糕制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