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518B1 - 탈묵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 - Google Patents

탈묵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518B1
KR100502518B1 KR10-2003-0047281A KR20030047281A KR100502518B1 KR 100502518 B1 KR100502518 B1 KR 100502518B1 KR 20030047281 A KR20030047281 A KR 20030047281A KR 100502518 B1 KR100502518 B1 KR 100502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thylene oxide
fatty acid
polym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7708A (ko
Inventor
성낙구
Original Assignee
성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낙구 filed Critical 성낙구
Priority to KR10-2003-0047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518B1/ko
Publication of KR2005000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묵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블록 또는 랜덤형태로 중합시킨 공중합체를 혼합하고 가온 상태에서 알칼리 용액으로 비누화 반응시키는 탈묵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는 다양한 탈묵공정조건에도 탈묵효율이 우수하고, 재생된 펄프의 백색도 및 기포의 안정성이 양호하고, 탈묵 공정의 재순환 사용 백수에 포함되어 있는 무기성 filler 및 미세잉크 제거율이 매우 우수하여 공정의 장치 설비에 scale 및 sticky 생성이 감소함으로 효율적인 탈묵공정의 관리가 가능하고 탈묵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백수처리효율이 우수하여 환경친화적이다.

Description

탈묵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PREPARING METHOD OF DEINKING AGENT AND DEINKING AG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탈묵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블록 또는 랜덤형태로 중합시킨 공중합체를 혼합하고 가온 상태에서 알칼리 용액으로 비누화 반응시키는 탈묵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에 관한 것이다.
신문폐지, office 폐지, 잡지 등은 재생하여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펄프 자원의 부족이나 그 가격이 높아짐에 따라 폐지 재활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편 요즘의 고지는 인쇄기술의 향상, 인쇄잉크의 다양화, 인쇄방식의 변화등으로 탈묵성이 점점 더 어려워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탈묵공정에서는 설비의 배열과 장치의 효율, 폐지의 배합비 및 수율, 부원료 사용량에 대한 원가, 최종제품의 백색도 요구치, 초지기의 초지성 등에 대한 종합적인 품질 및 경제성의 검토가 요구되나, 이러한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 탈묵 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탈묵제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탈묵공정에서 탈묵제는 잉크를 섬유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성, 기포에 포집된 잉크입자를 부유셀에서 제거하기 위해서 거품을 발생시키는 기포성, 분리된 잉크입자를 부유셀에 모아주는 포집성, 부유셀에서 제거된 기포 등이 연속과정에서 재순환시 공정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순간적으로 파괴되는 기포의 파포성 등의 기능을 충분히 가져야 재생된 펄프에서 잉크입자가 완벽하게 분리되어 재생된 펄프가 재생지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백색도를 가질 수 있다.
고지는 미국산(AONP), 유럽산(EONP), 중국산(CONP), 일본산(JONP), 홍콩산(HONP), 한국산(KONP) 등 다양한 고지가 있으며, 고지원지의 백색도와 사용잉크의 종류 및 인쇄방식, 인쇄 후 대기중 경시도에 따른 잉크경화에 따라서 탈묵처리 효율과 탈묵처리 후 백색도가 각각 달라지므로 탈묵처리 후 품질의 균일성을 얻기 위하여 탈묵제의 종류와 사용량을 변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탈묵설비공정의 다양화, 폐지의 종류 및 품질과 배합비, 공정의 조작운용방법, 백수의 재사용율 및 처리방법 등의 각기 다른 조건을 충족시키기에 변화인자가 너무나 많을 뿐만 아니라 백수의 처리효율과 폐수처리의 문제점도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탈묵공정에서는 백색도가 우수한 재생펄프의 처리 뿐만 아니라 공정의 안정과 설비의 오염억제, 백수 및 폐수처리의 효율향상을 종합적으로 해결해야만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탈묵공정조건에 적용할 수 있으면서 탈묵효율이 우수한 탈묵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탈묵제로 지방산, 지방산에스터, 지방산 비누, 지방산알코올부가물, 지방산과 지방산알코올부가 혼합물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각각의 장점이 있는 반면에 단점을 해결치 못하는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탈묵제인 지방산, 지방산 비누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잉크입자의 포집 및 응집과 백수 및 폐수처리의 효율은 양호하나 경화인쇄 폐지의 잉크 박리와 탈리 분산력의 저하 및 재흡착에 의한 백색도가 저하되며, 폐지 종류에 따른 공정오염의 심화와 고온처리로 인한 제품의 황변현상과 sticky 발생량이 많으며, 특히, Bach식 팔파에만 사용이 가능한 한계를 안고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96-077321호, 특허 제99-184609호와 특허 제99-0336298호에는 지방산알코올부가물 및 지방산과 지방산알코올부가물의 혼합물로서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다양한 몰수로 랜덤 또는 블록으로 부가한 화합물에 기타 지방산을 첨가한 탈묵제를 사용하기도 하나 이 경우에는 잉크의 박리분산성과 기포의 발생력 및 재응집 sticky의 감소에는 장점이 있지만, 포집력이 상대적 저하되고, 백수 및 폐수처리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특히 하절기 초지백수의 미세 잉크 증가로 인한 표백제 사용량증가와 기포 발생량 증가로 인한 소포제의 사용량이 증가되고, 공정오염이 가중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폐지의 종류, 탈묵설비의 배열, 공정운용방법, 백수의 폐수처리 등 다양한 탈묵조건에도 탈묵효율이 우수한 탈묵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탈묵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비누(soap)형 탈묵제와 알코올형 탈묵제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탈묵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ⅰ) 지방산; 및, ⅱ) 지방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지방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 및 지방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를 혼합하여 90 내지 95℃로 가온하면서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 (2) a) NaOH, KOH, Na2SiO3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화합물; 및, b) 물; 을 혼합하여 알칼리 용액의 온도를 90 내지 95℃로 유지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3) 상기 (1) 단계의 혼합물에 상기 (2) 단계의 알칼리 용액을 첨가하여 90 내지 97℃로 가온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여 비누화 반응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3) 단계의 혼합물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묵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탈묵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자는 폐지의 종류, 탈묵설비의 배열, 탈묵공정운용방법, 백수의 폐수 처리 등 다양한 탈묵공정조건에 적용할 수 있으면서 탈묵효율이 우수한 탈묵제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블록 또는 랜덤형태로 중합시킨 공중합체를 혼합하고 가온 상태에서 알칼리 용액으로 비누화 반응시켜 탈묵제를 제조한 결과, 비누형 탈묵제와 알코올형 탈묵제의 단점을 개선하여 재생된 펄프의 백색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탈묵공정 중 기포의 안정성이 양호하고 탈묵공정의 재순환 사용되는 백수에 포함되어 있는 무기성 filler 및 미세잉크 제거율이 우수한 탈묵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탈묵제 제조방법은 지방산에 지방알코올 부가물을 투입하고 함께 간접가온용해하여 고온(90~97℃)을 유지한 상태에서 고온 하의 일정 농도로 용해된 알칼리 용액을 투입하여, 고온 하에 교반하면서 투명상태로 변할 때까지 비누화반응시킨 후 대기 중에 배출하여 고체상의 Flake 또는 Bead 또는 Cake 상으로 제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ⅰ) 지방산; 및, ⅱ) 지방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지방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 및 지방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를 혼합하여 90 내지 95℃로 가온하면서 혼합물을 교반한다. 본 발명에서 지방산은 팔미트산(CH3(CH2)14COOH), 스테아르산(C18H36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방산의 함량은 팔미트산 25 내지 85 중량% 및 스테아르산 15 내지 7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팔미트산 55 중량% 및 스테아르산 45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의 함량이 이러한 범위 미만인 경우 박리분산된 잉크입자의 크기에 비하여 기포 크기가 너무 작아져서 잉크 입자의 제거효율과 잉크입자를 함께 뭉쳐주는 포집력이 감소하므로 바람직하지 아니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기포 크기가 비대해지므로 잉크 입자의 제거효율과 잉크입자를 함께 뭉쳐주는 포집력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섬유유실로 수율이 감소되며 파포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지방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지방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 지방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한다. 블록공중합체는 지방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E/O)을 원하는 몰 비만큼 반응시킨 후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P/O)을 다시 원하는 몰 비만큼 반응시켜 이들 성분을 지방알코올에 블록형태로 부가시킨 화합물([ R + (E/O)X + (P/O)Y ])이다. 랜덤공중합체는 지방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원하는 몰 비만큼 동시에 반응시켜 이들 성분을 지방알코올에 랜덤형태로 부가시킨 화합물([R +{(E/O)X / (P/O)Y}])이다.
상기 지방알코올은 탄소수 12 내지 20 사이의 지방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지방알코올에 중합되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몰수는 3 내지 50몰인 것이 사용가능하며, 5 내지 20몰이 바람직하다. 지방알코올에 중합되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몰수가 3 미만인 경우 비누화 단계에서 원활한 투명액상을 얻기 어려우며 비누화 반응 진행 중 유동성이 낮은 덩어리 상태가 되며, 잉크의 박리분산력이 약하고 기포력과 세척력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지방알코올에 중합되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몰수가 50을 초과하는 경우 잉크의 포집력이 떨어지며 과다한 미세기포 발생으로 인해 탈묵효율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지방알코올에 중합되는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몰수는 3 내지 50몰인 것이 사용가능하며, 에틸렌옥사이드의 몰수는 5 내지 35몰이고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몰수는 5 내지 25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알코올에 중합되는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몰수가 이러한 범위 미만인 경우 비누화 단계에서 원활한 투명액상을 얻기 어려우며 비누화 반응 진행 중 유동성이 낮은 덩어리 상태가 되며, 잉크의 박리분산력이 약하고 기포력과 세척력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지방알코올에 중합되는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몰수가 이러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잉크의 포집력, 잉크의 박리분산력 및 파포력이 떨어지며 과다한 미세기포 발생으로 인해 탈묵효율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지방산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반응기에 투입한 후 간접 가열하면 고체(solid)상 및 페이스트(paste)상의 원료가 40℃부터 녹기 시작하여 70℃에 도달하면 액상이 되며, 교반기(agitator)로 교반하면서 계속 가열하여 90~95℃를 유지한다. 반응온도가 90℃ 미만인 경우 대기압 조건하에서 알칼리 용액을 투입하여 비누화 반응 시, 비누화 반응시간이 지연되며 반응조 내의 덩어리 현상이 증가하여 투명액상화가 어려워져 제품의 균일화가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또한 반응온도가 95℃를 초과하는 경우 알칼리 용액 투입 시 발열반응에 의하여 혼합물의 온도가 99℃를 쉽게 초과하게 되며, 혼합물의 온도가 99℃ 이상이 되면 반응기 내부 혼합물이 끓어오름으로 인해 반응을 계속 진행시키기 곤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둘째, a) NaOH, KOH, Na2SiO3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화합물; 및, b) 물; 을 혼합하여 알칼리 용액의 온도를 90 내지 95℃로 유지하면서 교반한다. NaOH와 KOH는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NaOH는 50% NaOH(aq)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Na2SiO3는 38 Be Na2SiO3 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량 첨가제로 유기인산염,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T.P.A(diethylenetriamine pentaacetic acid), CMC(carboxymethyl cellulose)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알칼리 용액을 혼합기(Blender)에 투입하면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며, 알칼리 용액을 교반한 후 온도를 90~95℃ 상태로 유지한다. 반응온도가 90℃ 미만인 경우 대기압 조건하에서 알칼리 용액을 투입하여 비누화 반응 시, 비누화 반응시간이 지연되며 반응조내의 덩어리 현상이 증가하여 투명액상화가 어려워져 제품의 균일화가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또한 반응온도가 95℃를 초과하는 경우 알칼리 용액 투입 시 발열반응에 의하여 혼합물의 온도가 99℃를 쉽게 초과하게 되며, 혼합물의 온도가 99℃ 이상이 되면 반응기 내부 혼합물이 끓어오름으로 인해 반응을 계속 진행시키기 곤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지방산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스테아릴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5 내지 30 중량부; 이고, 상기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OH 3 내지 9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4 내지 14 중량부;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함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탈묵제의 산가(acid value)가 탈묵효율에 적합한 범위를 벗어나며, 비누화 반응이 덩어리가 발생되며 탈묵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성, 잉크의 박리분산성, 포집성, 파포성 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지방산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스테아릴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5 내지 30 중량부; 이고, 상기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OH 2 내지 8 중량부; Na2SiO3 1 내지 3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5 내지 15 중량부;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함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탈묵제의 산가(acid value)가 탈묵효율에 적합한 범위를 벗어나며, 비누화 반응이 덩어리가 발생되며 탈묵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성, 잉크의 박리분산성, 포집성, 파포성 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지방산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스테아릴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5 내지 30 중량부; 이고, 상기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2SiO3 4 내지 12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3 내지 11 중량부;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함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탈묵제의 산가(acid value)가 탈묵효율에 적합한 범위를 벗어나며, 비누화 반응이 덩어리가 발생되며 탈묵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성, 잉크의 박리분산성, 포집성, 파포성 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지방산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스테아릴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 및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3 내지 30 중량부; 및, 올레일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30중량부; 이고, 상기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OH 3 내지 9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4 내지 14 중량부;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함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탈묵제의 산가(acid value)가 탈묵효율에 적합한 범위를 벗어나며, 비누화 반응이 덩어리가 발생되며 탈묵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성, 잉크의 박리분산성, 포집성, 파포성 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지방산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스테아릴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 및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3 내지 30 중량부; 및, 올레일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30중량부; 이고, 상기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OH 2 내지 8 중량부; Na2SiO3 1 내지 3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5 내지 15 중량부;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함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탈묵제의 산가(acid value)가 탈묵효율에 적합한 범위를 벗어나며, 비누화 반응이 덩어리가 발생되며 탈묵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성, 잉크의 박리분산성, 포집성, 파포성 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지방산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ⅱ) 스테아릴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 및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3 내지 30 중량부; 및, 올레일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30중량부; 이고, 상기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2SiO3 4 내지 12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3 내지 11 중량부;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함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탈묵제의 산가(acid value)가 탈묵효율에 적합한 범위를 벗어나며, 비누화 반응이 덩어리가 발생되며 탈묵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성, 잉크의 박리분산성, 포집성, 파포성 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지방산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올레일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5 내지 30중량부; 이고, 상기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OH 3 내지 9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4 내지 14 중량부;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함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탈묵제의 산가(acid value)가 탈묵효율에 적합한 범위를 벗어나며, 비누화 반응이 덩어리가 발생되며 탈묵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성, 잉크의 박리분산성, 포집성, 파포성 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지방산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올레일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5 내지 30중량부; 이고, 상기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OH 2 내지 8 중량부; Na2SiO3 1 내지 3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5 내지 15 중량부;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함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탈묵제의 산가(acid value)가 탈묵효율에 적합한 범위를 벗어나며, 비누화 반응이 덩어리가 발생되며 탈묵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성, 잉크의 박리분산성, 포집성, 파포성 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지방산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올레일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5 내지 30중량부; 이고, 상기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2SiO3 4 내지 12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3 내지 11 중량부;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함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탈묵제의 산가(acid value)가 탈묵효율에 적합한 범위를 벗어나며, 비누화 반응이 덩어리가 발생되며 탈묵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성, 잉크의 박리분산성, 포집성, 파포성 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셋째, 상기 지방산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에 알칼리 용액을 첨가하여 90 내지 97℃로 가온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여 비누화 반응시킨다. 지방산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혼합되어 있는 반응기를 저속으로 교반하면서 준비된 알칼리 용액을 소량씩 서서히 투입한다. 특히, 반응기 내부 반응액의 점도 상승 및 foam 발생량을 고려하여 소량씩 투입하고 온도를 90 내지 97℃로 가온하면서 알칼리 용액을 완전히 투입한 후 10분이상 교반하면 혼합물이 투명액상이 되고, 비누화 반응이 완료된다. 비누화 반응시 온도가 90℃ 미만인 경우 비누화 반응 시 응고된 덩어리가 투명액상화 상태로 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아니하며, 비누화 반응시 온도가 97℃를 초과하는 경우 혼합물이 끓어 넘치게 되므로 반응을 계속하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넷째, 비누화 반응이 완료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냉각시킨다. 비누화 반응이 완료된 90~97℃의 투명액상을 대기중에 배출하면 상온 이하 온도에서 고형화되므로 필요한 Flake, Bead, Cake 등 고형화설비를 이용하여 숙성(2~10시간 동안)한 후 포장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원료물질
(1) 스테아르산(C18H36O2) 45 중량%, 팔미트산 55 중량%가 혼합되고, 산가(acid value)가 207±5(mgKOH/g), 비누화가(saponification value)가 208±5(mgKOH/g)인 지방산
(2) 스테아릴알코올(C18:99%, OTHER C16+C20: 1%)에 에틸렌옥사이드를 14몰 중합시킨 공중합체(C18H36O(CH2CH2O)14H)
(3) 올레일알코올(C18F1:90%, C12+C14+C16+C20:10%)에 에틸렌옥사이드 20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7몰 부가한 블록공중합체(C18H34O(CH2CH2O) 20(CHCH3CH2O)7H)
2. 탈묵제의 제조
(1) 지방산 및 지방알코올의 공중합체 혼합
간접 가열이 가능한 교반형 제1반응기에 C16 / C18 = 55 중량% / 45 중량% 조성비의 지방산 70㎏,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를 14몰 부가시킨 비이온계면활성제 10㎏,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20몰과 프로필렌옥사이드(prophylene oxide) 7몰을 블록형태로 부가시킨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0㎏을 투입한 후 반응기 내부온도를 가온시키면 상기 고체상(Solid) 및 페이스트(Paste)상의 원료가 40 ℃부터 녹기 시작하여 70℃ 되면 액체상(Liquid)이 된다. 이 때부터 이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계속 가열하여 90~95℃를 유지한다.
(2) 알칼리 용액의 배합 및 가온
다른 가온 가능한 교반형 제2반응기에 물 10㎏을 먼저 투입하고 NaOH(50%) 5㎏과 Sodium Sulicate Solution (38Be) 2㎏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교반하면 발열 반응으로 온도가 상승한다. 이 알칼리 용액을 교반하면서 완전 용해시키고 90℃를 유지한다.
(3) 비누화 반응
제1반응기를 저속 교반하면서 제2반응기의 알칼리 용액을 소량씩 서서히 투입한다. 이 때, 제1반응기 내부의 점도 상승 및 foam 발생량을 고려하여 소량씩 수차에 나누어 투입하여야하며 온도는 90~97℃ 유지한다. 알칼리 용액을 완전 투입한 후 10분 동안 교반하면 비누(soap)와 알코올이 균일하게 잘 합성된 투명액상이 된다.
(4) 고체화 및 숙성
이렇게 제조된 탈묵제를 Flake, Bead, Cake 등 고형화 설비를 이용하여 대기중에 배출하고 상온으로 냉각하면 약 알카리성(pH : 8.2 ± 0.5)의 산가(Acid Value 120 ± 30㎎ KOH/g)이며, 수분이 7 ± 3%의 고체상 제품이 된다.
(실시예 2 내지 6)
아래 표 1의 배합비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함량(kg)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지방산(스테아르산 45중량%+ 팔미트산 55중량%) 70 70 70 70 70 70
스테아릴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10 5 10 5 10 10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중합시킨 블록공중합체 10 5 10 5 20 20
NaOH(50%) 5 5 6 6 6 5
Na2SiO3(3호) 2 2 - - - 2
10 10 10 10 10 10
(비교예 1 내지 6)
다음 표 2의 배합비에 따라 통상의 탈묵제 제조방법으로 알코올형 탈묵제인 비교예 1 내지 3 및 비누형 탈묵제인 비교예 4 내지 6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지방산(스테아르산 45중량%+ 팔미트산 55중량%) - 2 3 - - -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중합시킨 블록중합체 90 - 60 - - -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중합시킨 랜덤중합체 - 90 20 - - -
10 5 12 5 5 5
올레산(oleic acid) - 3 5 - - 5
스테아르산 비누(stearic acid soap) - - - 10 40 80
올레산 비누(oleic acid soap) - - - 80 5 -
팔미트산 비누(palmitic acid soap) - - - 5 50 10
(실험예 1)
폐지배합비와 약품 투입량 및 농도, 온도는 각 공정조건마다 다를 수 있으나 본 실험은 KONP(90%)+AOMG(10%)의 폐지에 대한 본 발명의 탈묵제의 탈묵효과를 실험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묵제의 탈묵효율 시험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방법)
1. 폐지 건조 중량 100g(KONP(90%)+AOMG(10%))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탈묵제를 0.35g, 비교예 1 내지 3의 탈묵제 0.25g, 비교예 4 내지 6의 탈묵제 0.6g, 가성소다(50%) 1.0g, 규산소다(3호) 1.40g, 과산화수소(50%) 0.80g, EDTA 0.05g을 투입 후 최종농도 12%에 해당하는 물을 해리시 온도 50℃ 유지가 가능토록 53±2℃로 가온하여 실험실용 pulper에 투입하고 약 7분간 해리한 후 다시 농도 4%로 30분간 저속교반하면서 팽윤시킨다.
2. 팽윤시킨 지료(stock)를 농도 1%, 50℃를 유지하면서 7분 동안 공기 부상으로 기포를 발생시켜서 기포의 발생량과 농도 및 기포 유지시간과 파포속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부상제거된 기포는 농도와 양을 측정하여 수율을 결정하고, 기포의 크기와 지속성은 육안 관찰과 급격한 기포감소 시점의 시간을 체크하여 우수·양호·보통·불량으로 나타내었다.
3. 부상 탈묵된 지료는 25%로 농축한 후 지료의 건조 중량 100g에 가성소다(50%)1.0g, 규산소다(3호)1.2g, 과산화수소(50%)1.0g, EDTA 0.08g을 투입 잘 혼합한 후 온도 60℃를 유지하면서 2시간 동안 표백하며, 다시 농도 4%로 10분간 교반하였다.
4. 4% 농도의 지료를 농도 1%, 온도 53℃ 로 조절한 후 2차 부상 탈묵을 5분간 시키며, 상기 1차 부상 탈묵에 준하는 관찰과 평가를 하였다.
5. 2차 부상탈묵된 지료를 농도 8%로 농축하고 다시 농도 4%로 조정한 후 평향 60g/㎡ 최종 Sheet를 작성하였다. 이 최종 Sheet로 백색도(Brightness ISO%)와 잔류잉크의 상대 측정치인 ERIC Value (ppm)를 측정하여 탈묵 및 표백효과와 잔류잉크로 인한 오염도 등을 평가하였다. 또한 부상 탈묵 후 농축시 발생한 탈수여액을 일정량 씩 filter paper로 거른 후 paper 백색도와 무게를 측정하여 설비오염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백색도(ISO%) 61.3 61.0 61.8 61.2 61.8 62.0 60.0 60.8 61.0 59.4 59.5 61.0
ERIC VALUE(ppm) 392 398 378 396 370 364 469 451 408 470 456 402
잔류잉크량(%) 5.56 5.98 5.78 5.91 5.30 5.45 7.62 8.43 6.12 7.42 6.84 6.04
sticky 개수(0.05mm↑/100cm2평량60g/m2 기준) 1 2 2 2 2 1 2 2 6 5 6 7
기포량(g) 350 291 337 272 338 391 427 499 398 420 384 352
수율(%) 85.5 88.0 87.0 89.2 86.0 85.5 84.6 82.4 85.1 83.2 84.6 85.7
Ash제거율(%) 77 71 79 73 80 79 60 63 67 71 70 70
filter paper 백색도(탈수여액 100g) 50 49 50 50 51 51 46 45 46 47 47 48
기포력 ×
파포속도
백수처리효율(%) 77 80 80 82 77 75 71 64 75 77 78 79
◎: 우수 O: 양호 △: 보통 ×: 불량 상기 측정치는 탈묵실험의 평균치임
(실험예 2)
폐지배합비와 약품 투입량 및 농도, 온도는 각 공정조건마다 다를 수 있으나 본 실험은 AONP(60%)+EONP(20%)+JONP(10%)+AOMG(10%)의 폐지에 대해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탈묵제의 탈묵효과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백색도(ISO%) 59.9 59.2 60.0 59.9 60.4 60.1 58.5 59.1 58.4 57.7 58.2 58.4
ERIC VALUE (ppm) 401 402 385 393 385 392 461 479 494 526 420 505
잔류 잉크량(%) 6.68 6.53 6.07 6.11 6.01 6.44 7.68 7.12 8.41 9.62 8.24 9.02
sticky 개수(0.05mm↑/100cm2평량60g/m2 기준) 3 3 3 4 3 2 7 5 9 8 12 15
기포량(g) 380 374 361 352 386 397 491 580 437 497 386 374
수율(%) 84.8 85.4 85.0 85.7 84.4 84.3 83.9 82.8 83.9 83.0 84.2 84.2
Ash 제거율(%) 68 66 69 69 70 71 56 54 60 63 60 58
filter paper 백색도(탈수여액 100g) 47 46 46 48 48 46 44 42 44 45 44 44
기포력 × × ×
파포속도
백수처리효율(%) 73 73 73 76 71 70 66 60 64 72 73 73
◎: 우수 O: 양호 △: 보통 ×: 불량 상기 측정치는 탈묵실험의 평균치임
상기 표 3 및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은 비교예 1 내지 6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재생된 펄프의 백색도 및 ash 제거율이 우수하며 잔류 잉크량이 작은 ERIC VALUE를 나타내며, 기포의 안정성이 양호하며 탈묵공정의 재순환 시 사용되는 백수에 포함되어 있는 무기성 filler 및 미세잉크 제거율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탈묵공정의 장치설비에 scale 및 sticky의 양이 감소함으로써 효율적인 탈묵공정관리가 가능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백수처리효율, 즉 폐수처리효율이 우수하여 환경친화적이다. 또한 폐지조건을 달리하여 우수한 탈묵효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는 다양한 탈묵공정조건에도 탈묵효율이 우수하고, 재생된 펄프의 백색도가 우수하여 표백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포의 안정성이 양호하고, 탈묵 공정의 재순환 사용 백수에 포함되어 있는 무기성 filler 및 미세잉크 제거율이 매우 우수하여 공정의 장치 설비에 scale 및 sticky 생성이 감소함으로 효율적인 탈묵공정의 관리가 가능하며 탈묵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백수처리효율이 우수하여 환경친화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묵제의 탈묵효율 시험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18)

  1. (1) ⅰ) 지방산; 및, ⅱ) 지방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지방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 및 지방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를 혼합하여 90 내지 95℃로 가온하면서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
    (2) a) NaOH,KOH,Na2SiO3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화합물; 및, b) 물;
    을 혼합하여 알칼리 용액의 온도를 90 내지 95℃로 유지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3) 상기 (1) 단계의 혼합물에 상기 (2) 단계의 알칼리 용액을 첨가하여 90 내지 97℃로 가온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여 비누화 반응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3) 단계의 혼합물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묵제 제조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지방산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지방산의 함량은 팔미트산 25 내지 85 중량% 및 스테아르산 15 내지 7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지방알코올의 탄소수가 12 내지 2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지방알코올은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지방알코올에 중합되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몰비가 3 내지 5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지방알코올에 중합되는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성분의 몰비가 3 내지 5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1) 단계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스테아릴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5 내지 30 중량부; 이고,
    상기 (2) 단계의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OH 3 내지 9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4 내지 14 중량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1) 단계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스테아릴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5 내지 30 중량부; 이고,
    상기 (2) 단계의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OH 2 내지 8 중량부; Na2SiO3 1 내지 3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5 내지 15 중량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10. 제1항에서, 상기 (1) 단계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스테아릴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5 내지 30 중량부; 이고,
    상기 (2) 단계의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2SiO3 4 내지 12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3 내지 11 중량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11. 제1항에서, 상기 (1) 단계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스테아릴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 및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3 내지 30 중량부; 및,
    올레일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30중량부; 이고
    상기 (2) 단계의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OH 3 내지 9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4 내지 14 중량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12. 제1항에서, 상기 (1) 단계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스테아릴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 및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3 내지 30 중량부; 및,
    올레일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30중량부; 이고
    상기 (2) 단계의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OH 2 내지 8 중량부; Na2SiO3 1 내지 3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5 내지 15 중량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13. 제1항에서, 상기 (1) 단계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스테아릴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 및 스테아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3 내지 30 중량부; 및,
    올레일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30중량부; 이고
    상기 (2) 단계의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2SiO3 4 내지 12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3 내지 11 중량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14. 제1항에서, 상기 (1) 단계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올레일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5 내지 30중량부; 이고
    상기 (2) 단계의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OH 3 내지 9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4 내지 14 중량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15. 제1항에서, 상기 (1) 단계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올레일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5 내지 30중량부; 이고
    상기 (2) 단계의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OH 2 내지 8 중량부; Na2SiO3 1 내지 3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5 내지 15 중량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16. 제1항에서, 상기 (1) 단계의 혼합물은,
    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70 중량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ⅱ) 올레일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블록공중합체,및 올레일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중합된 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5 내지 30중량부; 이고
    상기 (2) 단계의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a) Na2SiO3 4 내지 12 중량부; 및,
    상기 지방산 70 중량부에 대하여 b) 물 3 내지 11 중량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제조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탈묵제.
  18. 제17항에서, 상기 탈묵제는 pH가 7.7 내지 8.9이고, 산가(Acid Value)가 90 내지 150㎎ 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묵제.
KR10-2003-0047281A 2003-07-11 2003-07-11 탈묵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 KR100502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281A KR100502518B1 (ko) 2003-07-11 2003-07-11 탈묵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281A KR100502518B1 (ko) 2003-07-11 2003-07-11 탈묵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708A KR20050007708A (ko) 2005-01-21
KR100502518B1 true KR100502518B1 (ko) 2005-07-20

Family

ID=3722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281A KR100502518B1 (ko) 2003-07-11 2003-07-11 탈묵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509B1 (ko) * 2014-08-20 2015-08-27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탈묵 효율을 높인 탈묵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352B1 (ko) * 2020-07-09 2020-11-06 김창원 탈묵제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509B1 (ko) * 2014-08-20 2015-08-27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탈묵 효율을 높인 탈묵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708A (ko) 200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422B1 (ko) 폐지 재생용 탈묵 조성물
EP2292836A1 (en) Use of modified inorganic particles in deinking
JPH02139486A (ja) 脱墨剤
JPH03193987A (ja) 古紙再生用脱墨剤
AU2011215742B2 (en) Method for removing ink from paper
JPH02293484A (ja) 脱墨剤
US5362363A (en) Aqueous dispersions containing alkaline earth soaps and/or alkaline earth resin soaps for deinking printed wastepaper
JPH0197289A (ja) 故紙用の脱インキ剤
US5417807A (en) Deinking formulation for flexographic inks
JPH04352890A (ja) 脱墨剤
KR100502518B1 (ko) 탈묵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묵제
AU728234B2 (en) Deinking process
JPH07305287A (ja) 高温脱墨方法及び脱墨剤
JPS6411756B2 (ko)
US5658427A (en) Ethoxylated soya glycerides with glycols as deinking collector modifiers
JPH0159393B2 (ko)
CN109280417A (zh) 中性脱墨剂及其制备方法
JPH0112876B2 (ko)
JPH0423036B2 (ko)
JP2810538B2 (ja) 古紙再生用脱墨剤
JPH04281085A (ja) 脱墨剤
JPH043475B2 (ko)
JPS60155794A (ja) 古紙の脱インキ剤
JPS5915590A (ja) 古紙再生脱墨剤
JP2000355892A (ja) 脱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