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167B1 -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167B1
KR100501167B1 KR10-2003-0022188A KR20030022188A KR100501167B1 KR 100501167 B1 KR100501167 B1 KR 100501167B1 KR 20030022188 A KR20030022188 A KR 20030022188A KR 100501167 B1 KR100501167 B1 KR 100501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ultimedia content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783A (ko
Inventor
황인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1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때 특정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하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특정 키가 입력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할 것을 요청하고 해당 키에 대응하는 URL로 접속하도록 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때 특정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하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특정 키가 입력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계속하면서 해당 키 값을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특정 주제나 사건에 대해서 사용자의 의견을 수렴 및 수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Multimedia Content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음성통화 서비스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화, 데이터 전송 속도의 향상 등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텍스트 위주의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동통신망의 진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선망 바탕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한 다양한 멀티미디어화된 서비스의 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선 인터넷에 연결되어 이동성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한성(작은 디스플레이 크기, 저용량 메모리, 입력의 불편함)을 감안하고 최대의 장점인 이동성을 살려서 통합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무선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에는 정보제공 서비스, 대화형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이동 전자상거래 서비스, 위치기반 서비스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대화형 서비스는 음성 대화형 서비스와 화상 대화형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음성 대화형 서비스는 채팅/미팅 서비스 등 음성 통화의 영역을 확대하는 서비스이며, 화상 대화형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간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간의 화상 전화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영상매체를 저장해 두고 필요한 영상매체를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다운로드받거나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주문형 영상(Video On Demand; 이하, 'VOD'라 함) 서비스 또한 대화형 서비스에서 파생된 서비스이다.
VOD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에 풍부한 콘텐츠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MPEG-4로 코딩된 정보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각종 동영상 클립 다운로드 서비스, 실시간 중계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와의 연계 서비스 등을 포함하며, VOD 전송방식은 다운로드 방식과 스트리밍 방식이 있다. 다운로드 방식은 비디오 칩의 재생구간이 짧아 전체 데이터의 크기가 크지 안을 경우 칩 전체를 메인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후 재생하는 방식으로, 서버에 저장된 원본과 동일한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원하는 멀티미디어를 선택한 후 다운로드 완료될 때까지의 대기시간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공간이 필요하다. 한편, 스트리밍 방식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미디어 재생을 위하여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어느 정도 데이터를 버퍼링한 후 다음 화면을 재생하는 방법으로 전송구간의 속도변화가 생길 경우 저장된 미디어를 재생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현재의 VOD 서비스에서는 다운로드 방식이나 스트리밍 방식 중 어떤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든지 일단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는 경우에는 해당 멀티미디어 외의 다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멀티미디어를 단순히 재생만 하기 때문에 타 서비스와의 연동이 불가능하고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없어 멀티미디어 이용에 지루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할 때 타 URL로의 접속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할 때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유도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며,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값을 수집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단순 재생에서 탈피하여 사용자가 더욱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때 특정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도록 요청하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특정 키가 입력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할 것을 요청하고 해당 키에 대응하는 URL로 접속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터 스트리밍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재생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중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정의한 파라미터 값을 갱신하는 역할을 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유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유도 정보에 따른 메시지를 팝-업창 또는 캡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지정된 시간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특정 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특정 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키 값과 상기 유도 정보와의 대응관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키 값과 유도 정보와의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리밍을 계속 진행하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스트리밍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접속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때 특정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할 것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특정 키가 입력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계속하면서 해당 키 값을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터 스트리밍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재생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중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정의한 파라미터 값을 갱신하는 역할을 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1 유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유도 정보에 따른 메시지를 팝-업창 또는 캡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키 값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는 제2 유도 정보를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중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정의한 파라미터 값을 갱신하는 역할을 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지정된 시간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특정 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특정 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2 유도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된 키 값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음성 및 영상으로 출력 가능한 단말기로서 셀룰러 폰, PCS, PDA 등을 포함하는 모든 휴대형 단말기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은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것만을 고려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지국(BTS, 20), 기지국 제어기(BSC, 30), 교환기(MSC, 40)를 통해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50)를 통해 데이터망과 접속되어 다양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은 인터넷(70)을 통해 다수의 콘텐츠 제공자 서버(80)과 접속되어 다양한 콘텐츠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50)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해당 콘텐츠를 제공하는 한편, 개인용 컴퓨터(90)와 접속되어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에 접속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필요한 콘텐츠를 선택하면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개시한다. 이때에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프로토콜 즉,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동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규약인 RTP(Real time Transmission Protocol)와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가 적용되는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RTSP에 의해 스트리밍을 개시한 후 RTSP에 포함되는 특정 파라미터에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와 URL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특정 키를 입력하면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할 것을 요구하고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URL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는 예를 들어 13개(숫자 0~9, *, #, OK)의 URL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13개 키의 조합에 의해 그 이상으로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은 스트리밍 개시 후 RTSP에 포함되는 특정 파라미터에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용자가 특정 키를 입력하면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계속하는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값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값을 수집하는 한편, 이와 관련된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와 접속 정보를 계속해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타 ULR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와 그에 따른 URL 정보 또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유도하는 메시지는 멀티미디어를 스트리밍하는 중 다수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들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시간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에서 결정할 수 있으며 대략 5 내지 10초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특정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중에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으로부터 새로운 메시지가 RTSP에 의해 전송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현재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메시지를 삭제하고 새롭게 전송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며 디스플레이 시간을 다시 카운트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은 콘텐츠를 디지털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인증하며 사용 내역에 따라 과금하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시간 인코딩 서버(610)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화한 후 마스터 서버(630)에 저장한다. 네트워크 스트리밍 서버(620) 및 마스터 서버(630)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기지국(20), 기지국 제어기(30)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50)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에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네트워크 스트리밍 서버(620)는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고, 마스터 서버(630)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 내역에 따른 과금을 위한 과금 서버(640)가 네트워크 스트리밍 서버(620) 및 마스터 서버(630)에 각각 접속되며, 고객 관리를 위한 고객 DB(650)가 마스터 서버(630)에 접속된다. 아울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 인증을 위한 인증 서버(660)가 마스터 서버(630)와 네트워크 스트리밍 서버(620) 및 고객 DB(650)에 접속되어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인지 확인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은 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자료 통계 등을 위하여, 실시간 인코딩 서버(610), 네트워크 스트리밍 서버(620) 및 마스터 서버(630)에 각각 접속되는 네트워크 접속 저장장치와 리포터 P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에서 스트리밍 방식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에 접속한 사용자가 네트워크 스트리밍 서버(620)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서비스받고자 하면, 인증 서버(660)는 네트워크 스트리밍 서버(620)의 요청에 따라 고객 DB(650)를 참조하여 적법한 사용자인지 판단하고, 네트워크 스트리밍 서버(620)는 실시간 인코딩 서버(610)에 의해 코딩 및 압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PDSN(5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스트리밍 서버(620)는 고객별 콘텐츠 이용 내역을 과금 서버(640)로 전송하여 과금 정보가 생성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으로부터 원하는 멀티미디어를 서비스받는 도중,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는 단말기 상태 표시 영역(110),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영역(120) 및 가이드 영역(130)으로 구분된다.
단말기 상태 표시 영역(110)에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송수신 감도, 배터리 잔량 등이 나타나게 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영역(120)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으로부터 스트리밍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된다. 또한, 가이드 영역(130)에는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가 나타나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도중 가이드 영역(130)에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 또는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캡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영역(120)에 팝-업(Pop-up) 창 등을 이용하여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 또는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에 접속하여 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스트리밍이 시작되게 된다(S101). 스트리밍이 개시된 후 지정된 크기만큼 데이터 버퍼링이 이루어지면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게 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기 시작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은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 및 URL 정보를 전송한다(S102).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이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때에는 RTP와 RTSP를 이용하게 되는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RTSP에 포함되는 특정 파라미터에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 및 접속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SET_PARAMETER'를 이용할 수 있다.
SET_PARAMETER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과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정의한 파라미터의 값을 갱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위하여 다음의 [표 1]과 같이 작성하여 사용될 수 있다.
[표 1]의 예에서, 'DisplayDev'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를 의미하며, SET_PARAMETER를 이용하여 문자열 입력이 요청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DisplayDev'에서 지정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여야 한다. 메시지의 디스플레이는 가이드 영역을 이용하여 캡션 형식으로 표시하거나 팝-업창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만약, 'DisplayDev'에서 특정 메시지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NULL인 경우) SET_PARAMETER로 표시된 문자열을 화면에서 모두 삭제한다.
'DisplayDev'에 의한 메시지 표시 시간은 5 내지 10초 정도가 적당하며, 지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해당 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하여야 한다. 메시지가 삭제되기 전 다른 SET_PARAMETER가 전송되는 경우 'DisplayDev'에 의한 메시지는 최근 수신된 'DisplayDev'가 지정하는 메시지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부터 다시 지정된 시간을 카운트하여 지정된 시간이 초과하면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도록 한다.
한편, 'AccessURL_key'는 키값에 대응하는 URL정보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당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값이 NULL이 아닌 경우 각각의 해당 키가 입력되면 스트리밍 재생을 중단하고 AccessURL이 지정하는 URL로 WAP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접속하여야 하고, 해당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값이 NULL인 경우 또는 파라미터가 없는 경우에는 키 입력에 상관없이 스트리밍 재생을 계속 수행한다.
이와 같이, RTSP에 의해 전송되는 SET_PARAMETER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고(S104), 사용자가 키를 입력한 경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AccessURL'이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NULL인지 확인한다(S105). 예를 들어, [표 1]과 같은 SET_PARAMETER가 전송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가이드 영역(130)에 캡션 형식으로 또는 팝-업창으로 '베이비복스는 1번, 조성모는 2번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가 지정된 시간 내에(접속 유도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키 패드에서 1번을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 값에 해당하는 AccessURL이 지정하는 파라미터가 NULL값으로 지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확인 결과 사용자가 입력한 키에 해당하는 'AccessURL'의 파라미터가 NULL이 아닌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접속 정보를 제거한 후(S106)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으로 스트리밍 재생을 종료할 것을 요구하고(S107), 해당 웹 사이트(예를 들어, 베이비복스의 홈페이지나 베이비복스의 최신 뮤직비디오)로 접속한다(S108).
사용자의 키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S104)에서, 지정된 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를 삭제한다. 또한, 지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발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를 삭제한다.
또한, 타 URL로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한 후(S103) 지정된 시간이 초과하기 전,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으로부터 새로운 접속 유도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면, 현재 디스플레이한 메시지를 삭제하고 새로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새로운 메시지에 대하여 입력 제한 시간을 다시 카운트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에 접속하여 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스트리밍이 시작되게 된다(S201). 스트리밍이 개시된 후 지정된 크기만큼 데이터 버퍼링이 이루어지면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게 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기 시작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은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S202).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이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때에는 RTSP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 RTSP에 포함되는 특정 파라미터에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면 이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6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SET_PARAMETER'(키 입력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이용) 및 'GET_PARAMETER'(사용자가 입력한 키 값을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데 이용)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위하여 SET_PARAMETER는 다음의 [표 2]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RTSP에 의해 전송되는 SET_PARAMETER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유도하는 메시지(당신의 선택은 기호 몇 번?)를 디스플레이하도록한 후(S203),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은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입력된 키값을 전송하도록 요구하는 파라미터를 RTSP을 이용하여 전송한다(S204).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GET_PARAMETER'를 이용할 수 있다.
GET_PARAMETER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60)이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특정 키 입력을 요구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과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정의한 파라미터의 값을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표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 3]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이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값을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으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이다. 이와 같은 파라미터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지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고(S205, S206), 지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가 키를 입력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 입력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제거하며(S207), 입력된 키 값을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으로 전송한다(S208). 이때에는 [표 3]에 대한 응답으로서, 예를 들어 [표 4]와 같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표 4]는 사용자가 단계(S203)에서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당신의 선택은 기호 몇 번?")에 대한 응답으로 기호 1번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후,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은 사용자가 입력한 키 값에 대한 처리 결과를 전송한다(S209).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호 1번을 선택한 경우 이를 모의 투표에 반영하고 "투표 완료"와 같은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키 입력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S203)에 디스플레이한 후 지정된 시간이 초과하기 전,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으로부터 새로운 키 입력 유도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면, 현재 디스플레이한 메시지를 삭제하고 새로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새로운 메시지에 대하여 입력 제한 시간을 다시 카운트해야 한다.
이와 같이 키 입력을 유도하는 메시지는 스트리밍 재생 중 다수회 전송될 수 있으며, 키 입력에 따른 처리 결과를 전송한 후(S209),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이어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응용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접속한 후 예를 들어, '서민정의 뮤직 링크'라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서비스받을 것을 요청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해당 멀티미디어의 스트리밍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영역(120)으로는 해당 멀티미디어(예를 들어, 박지윤의 뮤직비디오)가 재생되게 되게 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지 시작한 후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스플레이의 가이드 영역(130)에 캡션 형식으로 표시되거나 콘텐츠 표시 영역(120)에 팝-업창(140)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지윤의 새 앨범 발표, 이번 앨범은 몇집일까요?"와 같은 메시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키 패드의 '4'를 입력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키 값을 확인한 후, 확인 결과에 따라 해당 URL로 접속할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예를 들어, '정답입니다. 4집 타이틀곡 지금 다운받기. 확인').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URL로 이동하고자 하면(즉, 4집 타이틀곡을 다운로드받고자 하면)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박지윤의 뮤직비디오)를 중단하고, 새로운 URL(4집 타이틀곡을 보유하고 있는 사이트)로 접속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입력한 키 값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키를 다시 입력할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예를 들여, '틀렸습니다. 1. 문제 다시보기 2. 정답 확인하기').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응용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접속한 후 예를 들어 대선 후보의 연설을 듣고자 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60)은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해당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개시하고 재생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표시 영역(120)에 대선후보의 연설 방송이 재생되게 되게 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기 시작한 후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스플레이의 가이드 영역(130)에 표시되거나 콘텐츠 표시 영역(120)에 팝-업창(140)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신의 선택은 기호 몇번?"과 같은 메시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키 패드의 '2'를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값을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5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제공 시스템(60)은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저장된 키값을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를 갱신하며, 입력된 키값의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예를 들어, "투표를 완료함. 결과를 보려면 OK키"). 키 값의 처리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는 타 URL로의 접속 메시지와 접속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키를 입력함으로써 타 URL로 용이하게 접속을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시 이동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하여 재생이 시작된 후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와 URL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타 URL로 이동하고자 하면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를 중단하고 해당 URL로 접속을 전환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하여 재생이 시작된 후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특정 키를 입력하면 키값을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주제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을 수집하고 수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유도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재생 중 다수회 반복 또는 갱신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기 20 : 기지국(BTS)
30 : 기지국 제어기(BSC) 40 : 교환기(MSC)
50 :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60 :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70 : 인터넷 80 : 콘텐츠 제공자(CP) 서버
90 : 개인용 컴퓨터 110 : 단말기 상태 표시 영역
120 :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영역 130 : 가이드 영역
610 : 실시간 인코딩 서버 620 : 네트워크 스트리밍 서버
630 : 마스터 서버 640 : 과금 서버
650 : 고객 데이터베이스 660 : 인증 서버

Claims (30)

  1.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터 스트리밍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재생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중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정의한 파라미터 값을 갱신하는 역할을 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유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유도 정보에 따른 메시지를 팝-업창 또는 캡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지정된 시간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특정 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특정 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키 값과 상기 유도 정보와의 대응관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키 값과 유도 정보와의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리밍을 계속 진행하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스트리밍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접속을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정보는 상기 데이터 스트리밍 중 적어도 1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정보는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 및 접속 URL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정보에 의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중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새로운 유도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시지를 삭제하고, 상기 새로운 유도 정보에 의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정보에 따른 메시지는 지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한 후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정보에 따른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키 입력이 발생하면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숫자 0~9, 기호 *, # 및 OK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키 값과 상기 유도 정보와의 대응관계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전환할 URL 주소를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키 값과 유도 정보와의 대응관계를 확인한 후 상기 데이터 스트리밍을 계속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키 값에 대응하는 유도 정보가 NULL값을 지정하는 경우 및 지정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키 값과 유도 정보와의 대응관계를 확인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스트리밍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접속을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키 값에 대응하는 유도 정보가 특정 URL를 지정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특정 URL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14.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터 스트리밍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재생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중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정의한 파라미터 값을 갱신하는 역할을 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1 유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유도 정보에 따른 메시지를 팝-업창 또는 캡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키 값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는 제2 유도 정보를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중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정의한 파라미터 값을 갱신하는 역할을 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지정된 시간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특정 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특정 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2 유도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된 키 값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 정보 및 제2 유도 정보는 상게 데이터 스트리밍 중 적어도 1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 정보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 정보에 의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중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제3의 새로운 유도정보가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중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정의한 파라미터 값을 갱신하는 역할을 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시지를 삭제하고, 상기 새로운 유도 정보에 의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유도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유도 정보 형태 및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와 접속 URL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 정보에 의한 메시지는 지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한 후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 정보에 의한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키 입력이 발생하면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숫자 0~9, 기호 *, # 및 OK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2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도 정보는 상기 제1 유도 정보에 의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되는 키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것을 요구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2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키 값을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전송된 키 값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 상기 처리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2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키 값을 전송하는 단계 이후, 타 URL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 및 접속 URL 정보를 포함하는 유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2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도정보는 상기 제1 유도정보와 동시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3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도 정보는 상기 제1 유도 정보와 쌍을 이루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03-0022188A 2003-04-09 2003-04-09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KR100501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188A KR100501167B1 (ko) 2003-04-09 2003-04-09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188A KR100501167B1 (ko) 2003-04-09 2003-04-09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783A KR20040087783A (ko) 2004-10-15
KR100501167B1 true KR100501167B1 (ko) 2005-07-18

Family

ID=3736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188A KR100501167B1 (ko) 2003-04-09 2003-04-09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455B1 (ko) * 2004-11-08 2006-06-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양방향 데이터 방송 기반의 모바일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730488B1 (ko) * 2005-04-18 2007-06-20 주식회사 이루온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있어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방법 및 시스템
KR100908144B1 (ko) * 2006-07-12 2009-07-16 (주)아이뮤직소프트 멀티미디어 편집/재생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785618B1 (ko) * 2006-08-17 2007-12-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783A (ko) 200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47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EP1689185B1 (en)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relay apparatus
CN101675639A (zh) 用于向用户设备提供辅助信息的方法、系统和用户设备
CN102075500B (zh) 一种多媒体信息发布系统中实现互动的方法、系统及装置
JP2007104656A (ja) コンテンツ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5506772A (ja) 生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方法
US20030033384A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reservation management apparatus, content reservation management method, content reservation management program, and content reservation management program storage medium
US8788588B2 (en) Method of providing service for user search, and apparatus, server, and system for the same
KR100449467B1 (ko) 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신청곡 방송 시스템
US20040174981A1 (en) Interactive system, interaction control method, and interaction control program
CN102572529B (zh) 一种节目资源播放的方法、装置和系统
CN102065340A (zh) 实现多媒体同步交互的系统和方法
US20070165800A1 (en)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100501167B1 (ko)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CN102111877B (zh) 感知用户业务活动的方法、基站、网络侧装置及系统
JP4811392B2 (ja) カラオ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4507981A (ja) 音声応答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電話通信システム
WO2007068197A1 (fr) Procédé et système permettant une transmission directionnelle de contenu et un accès distribué dans un terminal de télécommunication
JP2006108996A (ja) 仮想コミュニケーション空間紹介システム、仮想コミュニケーション空間紹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1313668A (ja) インターネット網を通じた無線通信機器の加入者にメッセージを伝送するメッセージ伝送方法、および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メッセージシステム
JP2005303711A (ja) 映像コンテンツ録画配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携帯電話、及び映像コンテンツ録画配信方法
CN103997660A (zh) 节目录制方法、装置及系统
CN101902624A (zh) 机顶盒、用户终端
JP2011526767A (ja) コンテンツ変換システムおよびその処理方法
JP2005332198A (ja) サーバ装置、コメント処理プログラム、コメント処理システムおよびコメント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