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986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986B1
KR100500986B1 KR10-2003-0016225A KR20030016225A KR100500986B1 KR 100500986 B1 KR100500986 B1 KR 100500986B1 KR 20030016225 A KR20030016225 A KR 20030016225A KR 100500986 B1 KR100500986 B1 KR 100500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ain body
suction port
cover memb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0858A (ko
Inventor
서승욱
최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6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986B1/ko
Publication of KR20040080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02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 B64D17/025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for gliding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02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 B64D17/18Vent arrangement o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본체 일측에 마련되어 실내공기를 본체 내로 안내하는 흡입구와, 흡입구를 배치되어 흡입구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와, 필터의 전방측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본체의 흡입구 일측에 마련되어 필터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구비한 것으로, 개폐부재가 흡입구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필터를 흡입구에 착탈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하는 장치로써,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이루며 일측에 공기의 흡입을 위해 마련된 흡입구를 구비하며, 흡입구에는 흡입구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필터와, 필터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흡입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기조화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이 때, 필터는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를 사용함에 따라 오염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므로,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정기적으로 교체 또는 청소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필터의 분리를 위해서 먼저 필터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개폐부재를 분리하여야 하는데, 개폐부재는 개폐되기 위하여 구동모터 등의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필터를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필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마련되어 실내공기를 상기 본체 내로 안내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전방측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기 흡입구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흡입구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필터를 상기 흡입구에 착탈할 수 있게 하는 관통공과, 상기 본체 일측에는 착탈되며 상기 관통공을 개폐하는 덮개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흡입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필터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흡입그릴이 마련되며, 상기 흡입그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필터의 상단 및 하단이 끼워져 상기 필터를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터의 일측에는 힘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마련되어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덮개부재의 설치를 위하여 오목하게 설치홈이 마련되되 상기 설치홈에는 상기 덮개부재의 설치를 위한 제 1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재에는 상기 설치홈과 대응하는 면에 상기 제 1 후크와 맞물려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본체에 설치되게 하는 제 2 후크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냉동사이클 구성부품이 설치되는 본체(10)를 구비하여 형성되는데, 본체(10)의 전면측 상부에는 내부로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1)가 상하로 길게 마련되며, 본체(10)의 양측 상부에는 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냉각된 후 실내 공간으로 다시 토출되게 하는 토출구(12)가 상하로 길게 마련된다.
본체(10) 내에는 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며 실내공기를 냉각하는 열교환기(10a)와, 실내공기가 본체(10) 내를 통해 강제로 순환되게 하는 송풍팬(10b)과, 송풍팬(10b)을 회전시키는 팬모터(10c) 등의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흡입구(11)에는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를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흡입구(11)를 덮도록 설치되는 개폐부재(20)와, 흡입구(11)를 통과하여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30)와, 필터(30)가 흡입구(11)에 설치될 수 있게 하는 흡입그릴(13)이 마련된다.
개폐부재(2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흡입구(11) 및 필터(30)의 전방을 진퇴이동하며 덮도록 설치되어 구동모터(미도시)와 랙(미도시) 등의 장치 등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진퇴이동하며 흡입구(11)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필터(30)는 그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31)와, 프레임부(31) 내측에 형성되며 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거르는 거름부(32)와, 사용자가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프레임부(3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33)를 구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30)는 한 쌍이 구비되어 흡입구(11)의 상부 및 하부를 분할하여 덮도록 되어 있다.
흡입그릴(13)은 필터(30)는 배면을 지지하여 필터(30)가 흡입구(11)에 설치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필터(30)는 지지하되 공기는 관통할 수 있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흡입그릴(13)은 흡입구(11) 내측으로 오목하게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흡입그릴(13)은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 필터(30)의 설치를 위한 가이드레일(13a)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레일(13a)은 흡입그릴(1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서로 대향되게 마련되어 사이에 필터(30)의 상단 및 하단을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개폐부재(20)가 흡입구(11) 전방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필터(30)를 흡입구(11)에 착탈할 수 있도록 본체(10) 일측에 관통공(14)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14)은 흡입구(11)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흡입구(11)의 전방이 개폐부재(20)에 의해 덮혀있는 상태에서도 관통공(14)을 통해 필터(30)를 이동시켜 필터(30)를 착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통공(14)의 일측에는 필터(30)의 손잡이부(33)가 끼워지는 고정홈(15)이 마련되어, 필터(30)가 가이드레일(13a)에 삽입된 후 손잡이부(33)가 고정홈(15)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필터(30)가 가이드레일(13a) 내에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체(10)에는 이러한 관통공(14)을 덮기 위해 덮개부재(40)가 형성된다. 덮개부재(4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본체(10)의 전방측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흡입구(11) 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흡입구(11) 일측에 흡입구(11)와 나란히 마련되어 있는 관통공(14)을 덮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재(40)는 본체(10)의 전방측 양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데 이는 본체(10)의 양측이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미관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덮개부재(40)의 설치를 위해 본체(10)의 일측에는 덮개부재(40)가 안착되는 안착부(16)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안착부(16)에는 오목하게 설치홈(17)이 마련된다. 설치홈(17)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제 1 후크(18)가 돌출되어 있으며, 덮개부재(40)에는 본체(10)와 접하는 배면측으로부터 제 2 후크(41)가 하방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제 1 후크(18)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제 1 후크(18)와 제 2 후크(41)는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탄성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부재(40)를 안착부(16)에 안착시켜 제 2 후크(41)가 설치홈(17)에 마련된 제 1 후크(18)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 후, 힘을 가해 덮개부재(4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제 1 후크(18)와 제 2 후크(41)는 탄성변형하며 서로 맞물리게 되어 덮개부재(40)가 본체(10)에 마련된 안착부(16)에 안착되고, 그에 따라 관통공(14)이 덮개부재(40)에 의해 폐쇄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덮개부재(40)를 본체(10)에 착탈함으로써 필터(30)가 통과하는 관통공(14)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설치홈(17), 제 1 후크(18), 제 2 후크(41)는 덮개부재(40)가 안정적으로 안착부(16)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 세 개씩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장기간 사용에 따라 필터(30)에 오염물질이 쌓여 필터(30)를 교체 및 청소할 필요가 있을 경우, 먼저 덮개부재(40)에 힘을 가해 덮개부재(40)를 상측으로 밀어올린다. 이에 따라 제 1 후크(18)와 제 2 후크(41)는 탄성변형하고 그에 따라 제 2 후크(41)가 제 1 후크(18)로부터 이탈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부재(40)를 전방측으로 당기면 덮개부재(40)는 본체(10)로부터 이탈하고 관통공(14)은 개방된다. 계속해서 고정홈(15)에 끼워져 있는 손잡이부(33)를 고정홈(15)으로부터 분리한 후, 손잡이부(33)에 힘을 가하면 필터(30)는 가이드레일(13a)을 따라 관통공(14) 외측으로 이탈되며 흡입그릴(13)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으로 필터(30)의 교체 또는 청소가 끝난 후에는 필터(30)를 관통공(14)을 통해 가이드레일(13a)에 끼워넣은 후, 손잡이부(33)를 고정홈(15)에 끼워넣어 필터(30)를 흡입그릴(13)에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부재(40)를 안착부(16)에 설치하여 제 2 후크(41)가 설치홈(17)에 삽입되도록 하되, 제 2 후크(41)가 제 1 후크(18)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설치한 후, 덮개부재(4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 1 후크(18) 및 제 2 후크(41)가 탄성변형하며 서로 맞물리도록 하면, 덮개부재(40)가 본체(10)의 안착부(16)에 고정되어 덮개부재(40)에 의해 관통공(14)이 폐쇄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의 일측에 필터의 착탈을 위한 관통공과 관통공을 덮는 덮개부재를 구비하여, 덮개부재를 분리함으로써 개폐부재에 의해 흡입구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필터를 흡입그릴에 착탈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덮개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흡입구
12: 토출구 13: 흡입그릴
14: 관통공 15: 고정홈
16: 안착부 17: 설치홈
18: 제 1 후크 20: 개폐부재
30: 필터 33: 손잡이부
40: 덮개부재 41: 제 2 후크

Claims (6)

  1.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마련되어 실내공기를 상기 본체 내로 안내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전방측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기 흡입구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흡입구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필터를 상기 흡입구에 착탈할 수 있게 하는 관통공과,
    상기 본체 일측에는 착탈되며 상기 관통공을 개폐하는 덮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흡입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필터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흡입그릴이 마련되며, 상기 흡입그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필터의 상단 및 하단이 끼워져 상기 필터를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일측에는 힘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덮개부재의 설치를 위하여 오목하게 설치홈이 마련되되 상기 설치홈에는 상기 덮개부재의 설치를 위한 제 1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재에는 상기 설치홈과 대응하는 면에 상기 제 1 후크와 맞물려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본체에 설치되게 하는 제 2 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3-0016225A 2003-03-14 2003-03-14 공기조화기 KR100500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225A KR100500986B1 (ko) 2003-03-14 2003-03-14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225A KR100500986B1 (ko) 2003-03-14 2003-03-1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858A KR20040080858A (ko) 2004-09-20
KR100500986B1 true KR100500986B1 (ko) 2005-07-18

Family

ID=3736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225A KR100500986B1 (ko) 2003-03-14 2003-03-1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9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858A (ko) 2004-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14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2111788A1 (ja) 空気調和機
JP5108119B2 (ja) ダストボックス、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KR100500986B1 (ko) 공기조화기
JP3875142B2 (ja) フィルタの取付構造
JP2012087969A (ja) 空気調和機
KR100700756B1 (ko) 공기 조화기
JP2000171147A (ja) フィルタ取付構造
JP2001280687A (ja) 空気調和機
JP2002224520A (ja) フィルタ取付構造
KR19990036355U (ko) 공기조화기의 보조흡입그릴장치
KR20080055012A (ko) 공기조화기
KR200323463Y1 (ko) 공기조화기용에어필터설치구조
KR100554592B1 (ko) 공기 조화기
KR101181554B1 (ko) 공기 조화기
KR20000016837U (ko) 슬림형 공기조화기
KR10050904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034003B1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20030043039A (ko) 천정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공기정화 필터 착탈구조
KR19990019636A (ko) 공기조화기
KR101152937B1 (ko) 공기조화기
KR200390082Y1 (ko) 공조기의 수직날개 조립구조
KR101444359B1 (ko) 공기조화기
KR100977368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면 패널 고정구조
KR10044102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