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554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554B1
KR101181554B1 KR1020050048970A KR20050048970A KR101181554B1 KR 101181554 B1 KR101181554 B1 KR 101181554B1 KR 1020050048970 A KR1020050048970 A KR 1020050048970A KR 20050048970 A KR20050048970 A KR 20050048970A KR 101181554 B1 KR101181554 B1 KR 101181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guide
base
indoor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8096A (ko
Inventor
정신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8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554B1/ko
Publication of KR2006012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의 배면에 장착되며, 하측에 필터 삽입구가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하단에 장착되어 필터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필터 가이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해서 실내기와 벽면사이에 필터의 삽입공간이 확보되어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 커버의 구조가 필터의 삽입공간이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변경되어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공기 조화기, 필터 삽입구, 필터 가이드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내기 베이스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 베이스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에 필터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삽입 고정된 베이스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삽입 고정된 베이스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내기 110 : 전면 패널 120 : 전면 프레임
190 : 배관 커버 192 : 함몰부 200 : 베이스
220 : 필터 삽입구 270 : 제 1 필터 가이드 300 : 필터
400 : 제 2 필터 가이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실내기 배면의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부를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필터삽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압축과정, 응축과정, 팽창과정 및 증발과정이라는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에어컨의 경우, 냉매가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응축기에서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온도와 압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저온 및 저압의 냉매가 증발기를 지나면서 열을 흡수한 다음, 응축기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과정, 응축과정 및 팽창과정은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내에서 수행되고, 상기 증발과정은 실내기의 송풍팬과 열교환기에 의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에어컨은 크게 냉동 사이클 장치가 하나의 몸체내에 장착되어 창문 등에 설치되는 창문형 에어컨,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실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되는 분리형 에어컨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10)의 외관은, 전면 패널(21)과, 상기 전면 패널(21)이 안착되어 전면 커버를 형성하며, 양측에 토출구(23)가 구비되는 전면 프레임(20)과, 상기 전면 프레임(20)과 결합되어 배면 커버를 형성하는 베이스(30)와, 상기 실내기(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10)로 들어오는 각종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커버(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프레임(20)의 일측에는 흡입된 실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30)의 일측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30)의 상측 경사면에 형성되는 상측 흡입구(32)와, 상기 베이스(30)의 중앙면에 형성되는 중앙 흡입구(34)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30)의 저면에는 상기 상측 흡입구(32)와 상기 중앙 흡입구(34)에 형성된 흡입 그릴(미도시)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걸러진 실내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 등을 재차 걸러 내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의 필터의 교체는 상기 실내기가 벽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실내기의 안쪽에 손을 넣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실내기가 벽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의 교체시 상기 실내기와 벽면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교체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실내기의 배면부에 필터 가이드를 형성함으로써,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 조 화기의 실내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관 커버의 구조를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변경하여 필터의 삽입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의 배면에 장착되며, 하측에 필터 삽입구가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하단에 장착되어 필터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필터 가이드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공기 조화기 실내기에 의해서 실내기와 벽면사이에 필터 삽입공간이 확보되어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의 외관은,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패널(110)이 안착되어 전면 커버를 형성하며, 양측에 토출구(121)가 구비되는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전면 패널(110) 사이에 장착되는 토출구 개폐장치(600)와, 상기 토출구 개폐장치 (600)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121)를 개폐하는 토출구 도어(650)와,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결합되어 배면 커버를 형성하는 베이스(200)와, 상기 실내기(10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100)로 들어오는 각종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커버(19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일측에는 흡입된 실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00)의 일측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 경사면에 형성되는 상측 흡입구(210)와, 상기 베이스(200)의 중앙면에 형성되는 중앙 흡입구(21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00)의 양측 경사면에도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제안가능함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210)(211)에는 그물 형태의 흡입 그릴이 형성되어 실내기(100)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이 일차적으로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의 저면에는 상기 상측 흡입구(210)와 상기 중앙 흡입구(211)에 형성된 흡입 그릴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걸러진 실내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 등을 재차 걸러 내기 위한 필터(300)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도 6의 2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삽입구(도 6의 220참조)에는 상기 필터(3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제 1 필터 가이드(27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커버(190)에는 상기 필터(3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가 이드면(19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192)은 내측으로 소정 깊이와 폭을 가지고 함몰 형성되며, 상기 필터(3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300)의 폭보다 적어도 같거나 크게 형성되며, 그 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300)는 상기 가이드면(192)에 안착되어 좌/우 이동이 방지되므로 좁게 형성된 필터 삽입구(도 6의 220참조)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내기(100)로 들어가는 공기의 이동 경로는, 상기 베이스(200)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210)(211) 및 필터 삽입구(도 6의 220참조)를 통하여 흡입된 뒤,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내부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패널(110)이 안착되어 전면부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후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130)과, 상기 송풍팬(13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130)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오리피스(140)와, 상기 오리피스(14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흡입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열교환기(150)와, 상기 실내기(100)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300) 및 상기 열교환기 (15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결합되는 베이스(2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 사이에는 상기 토출구(121)를 개폐하기 위한 토출구 개폐장치(60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00)는 전면 패널(110), 전면 프레임(120), 송풍팬(130), 오리피스(140), 열교환기(150), 및 베이스(200)의 순서로 조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오리피스(140)는 상기 송풍팬(130)으로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공(145)과, 상기 공기 안내공(145)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양측면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측면에 형성되는 상부 공기 안내 가이드(141)와, 상기 공기 안내공(145)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하측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측면에 형성되는 하부 공기 안내 가이드(142)와, 상기 하부 공기 안내 가이드(142)에 의하여 안내된 공기가 실내로 분산 토출되도록 하는 하측 토출구 도어(143)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오리피스(140) 사이의 상측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팬(130)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전장부품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장부(17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도록 하는 드레인 팬(180)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팬(180)의 하측에는 상기 드레인 팬(180) 및 상기 실내기 (100)와 연결되는 각종 배관들이 수용되는 배관 커버(190)가 더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완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각 부분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면 패널(1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내기(100)의 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의 일측에는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 여부 및/또는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표시부(미도시)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창(1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에는, 상기 실내기(100)의 미관을 깔끔하고 아름답게 보이게 하기 위해, 마감재를 부착하거나 도안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120)은 상기 전면 패널(110)이 부착되고, 테두리 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테두리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실내기(100)로 흡입되어 열교환기(150)를 거쳐 냉각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측면 토출구(121) 및 저면 토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고정 부착될 수도 있고,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130)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배면에 부착된 모터(16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 내로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30)은 상기 실내기(100)의 크기 또는 용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140)는 상기 송풍팬(13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안내공(145)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 안내 가이드(141)(142)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의 방향이 결정되어 토출구(121)(123)로 토출된다.
상세히, 상기 공기 안내 가이드(141)는 토출구의 방향 및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140)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냉각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 장치(144)와, 사용자 또는 유아 등의 손이 유입되었을 때 상기 송풍팬(130)에 의하여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146)이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50)는 다수 회 굴곡된 열교환 파이프(151)로 이루어지며, 상기 열교환 파이프(151) 내에는 팽창 밸브(미도시)를 지나온 저온, 저압 상태의 냉매가 흐르고 있다.
따라서, 실내기(100)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50)를 지나면서 열을 빼앗기게 되어 저온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흡입 공기 내에 포함된 수증기는 냉각되어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응축 형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면적은 넓을수록 냉각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그 형태에 있어서 평평한 사각 형태 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모여지도록 하는 드레인 팬(180)이 형성되어, 실내기(100)로부터 응축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베이스(20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내기 베이스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200)는 적어도 일측에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세히,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상측 흡입구(210)와, 상기 베이스(200)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흡입구(21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00)의 양 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명백하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210)(211)에는 흡입 공기 내에 포함된 입자가 큰 오물 기타 불순물이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부가적으로 어린아이들이 실수로 실내기(100) 안으로 손을 집어넣어 사고가 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흡입 그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의 일측에는 흡입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걸러 내기 위한 필터(300)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300)는 상기 베이스(200)와 상기 열교환기(15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불순물이 점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 삽입구(220)는 실내 공기의 흡입구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의 테두리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의 모서리부분에도 자유로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는 전면부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 기 전면 프레임(120)의 테두리에 형성된 후크와 결합하는 전면 프레임 체결 후크(201)와, 바닥면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어, 상기 열교환기(150)가 안착될 수 있는 열교환기 안착 리브(240)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열교환기 안착리브(240)는 소정의 높이로 수직 상승하며, 내측 상단부가 계단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열교환기 안착단(241)과,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제 2 필터 가이드 안착홈(242)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 가이드 안착홈(242)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필터(30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제 2 필터 가이드(400)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 가이드(400)는 상기 열교환기 안착리브(240)와 동일 선상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필터 가이드 체결보스(230)와 체결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 2 필터 가이드(4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수직 단면이 "ㄱ"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형상의 내측면으로 상기 필터(300)의 양측 프레임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 가이드(400)는 외주면에 수평하게 소정의 크기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200)에 형성된 제 2 필터 가이드 체결보스(230)와 결합하는 제 2 필터 가이드 체결단(410)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 가이드 체결단(410)에는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부재 삽입홈(4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 삽입홈(420)과 상기 제 2 필터 가이드 체결 보스(230)에 체결부재(50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 가이드(400)의 대략 하단부에는 강력한 전압을 걸어주어 상기 필터(300)에 의해 걸러지지 않는 먼지들을 음이온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집진장치(350)가 선택적으로 장착가 능하며, 상기 집진장치(350)가 안착되기 위하여 상기 집진장치(350)의 형상과 동일 크기로 절단되는 집진 장치 안착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삽입구(220)의 양 끝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된 경사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150)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지지리브(27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필터 삽입구(220)가 형성되는 면의 하부 끝단에는 상기 드레인 팬(10)과 상기 오리피스(150)가 함께 체결되는 드레인 팬 체결리브(250)와, 상기 드레인 팬 체결리브(250)의 좌측 및/또는 우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팬(180)과 결합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드레인 팬 체결보스(251)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관 커버(190)와 결합하기 위한 배관 커버 결합 후크(252)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필터 삽입구(220) 하단부에는 상기 필터 삽입구(22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하단에 안착되는 드레인 팬(180)이 요동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공기 안내 리브(223)가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 베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200)의 배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필터 삽입구(220)에는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30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제 1 필터 가이드(270)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필터 가이드(270)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필터 가이드(270)의 하면은 상기 필터(30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가이드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필터 가이드(270)의 폭(A)은 상기 필터(300)의 교체시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 가이드(270)에는 상기 실내기(100)에 착탈되도록 하는 체결 고리(272)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된다. 물론 상기 필터 삽입구(220)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 고리(272)가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 고리 삽입홈(225)이 상기 체결 고리(272)가 형성되는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필터 삽입구(22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200)의 표면에서 약간 단차져서 형성되는 필터 프레임 안착면(221)과, 상기 필터 프레임 안착면(221)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300)가 상기 베이스(200)로부터 빠지지 않고 긴밀히 부착되도록 하는 필터 고정리브 삽입구(222)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내기(100) 배면에는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돌기(260)가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지지돌기(260)의 상단부에는 벽면과 상기 실내기(10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부재 삽입홈(26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 삽입홈(261)의 상부에는 벽면 설치부재(미도시)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의 이격돌기(2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260)는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에 체 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필터 가이드(270)의 폭(A)보다 적어도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에 필터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에 필터가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의 베이스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에 필터가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의 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300)는 상기 베이스(200)에 형성되는 흡입구(210)(211)의 전면부에 안착되어 상기 흡입구(210(211)로 들어오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기타 불순물을 걸러준다.
또한, 상기 필터(300)의 전면부에는 강력한 전압을 걸어주어 상기 필터(300)에 의해 걸러지지 않는 먼지들을 음이온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집진장치(350)가 선택적으로 장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300)는 상기 베이스(200)의 바닥면 양측에 구비되는 제 2 필터 가이드(400)에 의하여 삽입이 안내된다.
한편, 상기 필터(300)의 하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착탈할 수있도록 하는 필터 손잡이(320)가 연장 형성되는 필터 프레임(3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프레임(310)의 하단부에는 소정 크기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300)가 상기 베이스(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필터 고정 리브(3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프레임(310)은 상기 필터 삽입구(220)의 하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필터 프레임 안착면(221)에 안착되며, 상기 필터 고정 리브(330)는 상기 필터 프레임 안착면(221) 하단에 형성된 필터 고정 리브 삽입구 (222)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손잡이(320)는 상기 베이스(200)의 외주면에 안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필터(300) 교환시 손으로 쥘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터(30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 1 필터 가이드(270)에 손을 집어 넣는다. 이때, 상기 제 1 필터 가이드(270)의 폭은 사람의 손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 1 필터 가이드(270)에 용이하게 손을 집어 넣을 수 있게 된다. 그 후에 상기 필터 손잡이(320)를 잡고 상기 필터(300)를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상기 필터(300)는 상기 베이스(200)로 부터 분리되게 된다. 즉 상기 필터 고정 리브 삽입구(222)에 삽입된 상기 필터 고정 리브(330)가 상기 필터 고정 리브 삽입구(222)로 부터 빠지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필터(300)를 아래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 필터(300)는 상기 베이스(200)에서 완전하게 탈거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필터(300)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필터 손잡이(320)를 잡고 상기 필터(300)를 상기 제 1 필터 가이드(270)로 집어넣는다. 이때 상기 필터(300)가 가이드면(192)에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300)가 상기 가이드면(19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300)를 상측으로 밀어올린다. 그러면, 상기 필터(300)는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30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필터 고정 리브(330)를 상기 필터 고정 리브 삽입구(222)에 삽입시켜 상기 필터(300)가 고정되도록 하면 상기 필터(300)의 교체는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필터 가이드(270)에 의해 상기 실내기(100)의 배면과 벽면 사이에 사람의 손이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300)의 교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해서 실내기와 벽면사이에 필터의 삽입공간이 확보되어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 커버의 구조가 필터의 삽입공간이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변경되어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양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의 배면에 장착되며, 배면에 흡입구 및 필터 삽입구가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필터 삽입구로 필터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필터 가이드; 및
    상기 베이스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벽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와 벽면 사이의 이격공간을 규정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필터 가이드의 전후방향 폭 이상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가이드는 상기 필터 삽입구를 향하여 상방 경사지게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가이드는 하방 및 전방으로 동시에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가이드의 측방향 폭은 상기 필터의 폭보다 적어도 같거나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배면 하측에 위치되고, 실내기에 연결되는 각종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관 커버의 외면에는, 상기 필터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함몰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필터의 폭보다 적어도 같거나 크며,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필터 가이드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의 배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삽입시,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 가이드 및 가이드면에 의하여 동시에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삽입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필터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필터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가이드에는 체결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체결 고리가 삽입되는 체결 고리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삽입구에 인접하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의 설치시에 상기 필터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필터 고정리브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50048970A 2005-06-08 2005-06-08 공기 조화기 KR101181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970A KR101181554B1 (ko) 2005-06-08 2005-06-08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970A KR101181554B1 (ko) 2005-06-08 2005-06-08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096A KR20060128096A (ko) 2006-12-14
KR101181554B1 true KR101181554B1 (ko) 2012-09-10

Family

ID=3773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970A KR101181554B1 (ko) 2005-06-08 2005-06-08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205B1 (ko) * 2011-10-20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679B1 (ko) 2003-10-09 2006-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679B1 (ko) 2003-10-09 2006-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096A (ko)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197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50103581A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101181554B1 (ko) 공기 조화기
KR10057531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31554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8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7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081217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베이스구조
KR20050089191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구조
KR100584295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면 프레임 장착구조
KR100700756B1 (ko) 공기 조화기
KR101081155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필터 삽입구조
KR20040026076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101086612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0547679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5303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89194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배관 커버 취부구조
KR10122075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84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필터 삽입구조
KR100484935B1 (ko) 공기조화기
KR10054768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91319B1 (ko) 공기조화기
KR10054768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89199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취부구조
KR10047404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