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902B1 - 유중수형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형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902B1
KR100500902B1 KR1019970065121A KR19970065121A KR100500902B1 KR 100500902 B1 KR100500902 B1 KR 100500902B1 KR 1019970065121 A KR1019970065121 A KR 1019970065121A KR 19970065121 A KR19970065121 A KR 19970065121A KR 100500902 B1 KR100500902 B1 KR 100500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ured
octyl
stearate
sil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6945A (ko
Inventor
이성준
강세훈
강태준
조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7006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902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실리콘계 유화제와 HLB값이 1~8인 비실리콘계 유화제가 1:1.1~2.0으로 구성된 유화제 1~12중량부, 가지달린 극성 오일 1~70중량부, 실리콘계 오일 4~60중량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여 피부에 도포 후 원하는 시간동안 피부에 잘 부착되어 있고 비누 또는 그와 유사한 세안용 화장료로 세안시할 때 아주 쉽게 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Water in Oil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부에 도포 후 원하는 시간동안 피부에 잘 부착되어 있고 비누 또는 그와 유사한 세안용 화장료로 세안시에는 아주 쉽게 씻을 수 있게 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중수형 또는 수중유 유화 화장료의 제형을 가지고 있으며, 이 두가지 모두 오일상과 수상의 두가지 장점을 동시에 겸비해 피부의 보습 및 유연효과를 부여하고 있다.
이들은 제형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외상이 물로서 사용감이 가볍고 산뜻하며 용이하게 펴바를 수 있고, 제조의 용이성, 보존 안정성이 탁월한 장점을 가짐으로 인해 일반적인 제형으로 애용되어 왔으나, 내수성이 떨어져 물이 많이 접하는 일소 방지용 화장료나 고보습 화장료에는 적합하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바, 예로서 내수성을 증대시켜 자외선 차단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고, 색조화장에서는 피부에 세팅력과 부착성을 증대시켜 피부색 조정효과를 우수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피부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나, 공기중에서 산화되기 쉬워 보존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상이 오일인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보존 안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내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스테아르산 알루미늄이나 스테아르산 칼슘을 적용시킨 색조 화장료 조성물로 미국 특허 79-4177259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은데, 이것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 내수성과 세팅력, 특정 물질에 대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지만 사용감이 무겁고 끈적이는 단점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까지 상기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실리콘계 오일이나 실리콘계 왁스,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들을 도입하여 사용감면에서 극복하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결과 내수성과 사용감, 세팅력, 지속성, 경시에 따른 보존 안정성 개선에 많은 진보가 있었다. 이 기술들을 살펴보면 보습효과를 증대시키고 보습제에 의한 자극을 억제시키고자 유중수형 마이크로 유화 제형을 도입한 미국 특허 89-4797272, 발수성 및 내수성을 증대시켜 피부색 조정 효과(이하 '메이크업'이라 함)를 지속시키기 위한 연구로 아크릴-실리콘 그라프트 코폴리머(acryl-silicone graft copolymer)를 적용시킨 미국 특허 91-5061481, 메이크업 효과를 지속시키고 보존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분체에 폴리실록산(polysiloxane)을 코팅시키고 유화제로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폴리옥시알킬렌 코폴리메릭 유화제(polydiorganosiloxane-polyoxylalkylene copolymeric surfactant)를 적용시킨 미국 특허 92-5143722, 보존 안정성을 위해 휘발성 실리콘 오일과 실리콘류의 유화제를 적용시킨 미국 특허 94-5292503, 지용성 비타민과 항산화제와 같은 유용성 물질을 안전하고 안정하게 적용하고자 유중수형 조성물로서 오일상으로는 실리콘 오일을, 왁스상으로는 고급지방알콜과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도입하고 유화제로는 실리콘류 유도체를 도입한 미국 특허 96-5523091, 유기폴리실리콘 엘라스토머(organopolysiloxane elastomer)를 도입하여 보존 안정성을 증대시킨 미국 특허 97-5599533, 실리콘계 오일과 실리콘계 유화제를 도입하여 사용성과 내수성 및 분체 분산성을 증대시킨 미국 특허 91-5064644, 94-5362482, 95-5417961, 96-5543135, 96-5543136, 97-5603863 등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지금까지의 유중수형 화장료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보존 안정성과 특정 유용성물질의 안정화, 내수성 및 발림성에 연구의 초점을 맞춰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중수형 화장료는 화장을 지우고자 할 때 잘 지워지지 않는 공통적인 단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단점은 세정성을 고려하지 않고 화장 지속성만을 강조한 메이크업 화장료, 일소방지용 화장료에서 더욱 심하고, 특히 분체들의 유기코팅처리의 경우 보다 더 심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료 도포후 원하는 기간에는 피부에 잘 부착되어 있고 지우고자 할 때, 즉 세안하고자 할 때 잘 지워질 수 있게 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계 유화제와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값이 1~8인 비실리콘계 유화제가 1:1.1~2.0으로 구성된 유화제 1~12중량부, 가지달린 극성 오일 1~70중량부, 실리콘계 오일 4~60중량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실리콘계 유화제는 독일 골드슈미트사의 세틸 디메티콘 폴리올(cetyl dimethicone polyol)과 같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알킬 디메티콘 코폴리올류(alkyl dimethicone copolyols),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디메틸실록산 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코폴리머(dimethylsiloxane methyl(polyoxyethylene)siloxane copolymer), 하기 화학식 3로 표현되는 폴리옥시에틸렌 메틸폴리실록산 코폴리머(polyoxyethylene methylsiloxane copolymer) 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비실리콘계 유화제는 피이지-7 경화카스터오일(PEG-7 hydrogenated castor oil), 글리세릴 모노라우릴레이트(glyceryl monolaurate),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 stearate),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glyceryl mono oleate), 글리세릴 디올레이트(glyceryl dioleate), 솔비탄 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 oleate),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솔비탄 트리올레이트(sorbitan trioleate), 솔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isostearate), 솔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sorbitan tristearate),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sorbitan monopalmitate), 피이지-2 스테아릴 에테르(PEG-2 stearyl ether), 피이지-200 디라우레이트(PEG-200 dilaurat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내수성과 안정성 및 씻김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p=7~17, q=1~100, m=1~40, n=0~200이고, PE=(C2H4O)a(C3H6O)b-H의 구조로 분자량이 250~2000인 화합물로 a,b의 중량부 비율(C2H4O/C3H6O)이 100/0에서 20/80인 것임)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여기서 m=50~70, n=2~5, a=8~1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여기서 m=1~200, n=1~40)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더 나은 씻김성을 갖게 하기 위해, 씻김성에 효과있는 오일을 사용하였는 바, 이들은 물 및 세안료의 계면활성제와 친화성을 갖는 극성 오일이면 되는데, 이 오일의 예로서 아세틸레이티드 글리콜 스테아레이트(acetylated glycol stearate), 아프리콧 커널 오일(apricot kernel oil),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 아보카도 오일 에틸 에스테르(avocado oil ethyl ester), 세틸 옥타노에이트(cetyl octanoate), 세틸 스테아릴 옥타노에이트(cetyl stearyl ocatanoate), 옥틸 옥타노네이트(octyl octanonate), 옥틸 팔미테이트(octyl palmitate), 옥틸 네오펜타노네이트(octyl neopentanonate), 옥틸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옥틸 도데실 올레이트, 옥틸 도데실 네오데카노네이트, 세틸 리시놀레이트, 데실 이소스테아레이트, 데실 올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라우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리놀레익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올레익 트리글리세라이드, 부틸 옥틸 올레이트, 부틸 올레이트, 부틸 미리스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PEG-4 에스테르, 카프릴릭/카프릭 세테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 석시닉 크리글리세라이드, 카스터 오일, 세테아릴 이소노나노에이트, 세토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세틸 아세테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세틸 올레이트, 세틸리시놀레이트, (C10-18, C12-18) 트리글리세라이드,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데실테트라데카놀, 디에틸렌 글리콜 디이소노나노에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2-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트, 글리세롤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리시놀레이트, 헥사데실이소팔미테이트, 헥시 라우레이트, 헥실 데카놀, 헥실데실 스테아레이트, 하이브리드 사플라워 오일(hybrid safflower oil), 하이브리드 선플라워 오일(hybrid sunflower oil), 경화 카스터 오일, 경화 카스터 오일 라우레이트, 경화 코튼시드 오일(hydrogenated cottonseed oil), 경화 C12-18 트리글리세라이드(hydrogenated C12-18 triglyceride), 경화 라놀린, 경화 레시틴, 경화 팜 오일, 경화 소이빈 오일(hydrogenated soybean oil), 경화 탈로우 글리세라이드(hydrogenated tallow glyceride), 경화 코코넛 오일, 경화 베지터블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데실 이소오나노에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데실 옥타노네이트,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테이트, 조조바 오일(jojoba oil), 망고 오일(mango oil), 미도우폼 시드 오일(meadowfoam seed oil),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디카르릴레이트, 코코에이트, 옥틸네오펜타노에이트, 옥틸 올레이트, 옥틸데카놀, 옥틸도데카놀, 옥틸도데실 베헤네이트, 옥틸도데실 올레이트, 옥틸도데실 스테아레이트, 올레익/팔미톨레익/리놀릭 글리세라이드류,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소이빈 오일, 스쿠알렌, 스쿠알란, 선플라워 시드 오일, 트리데실 옥타노에이트, 베지터블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극성 오일중 직쇄형의 오일 등도 에스테르 결합 형태인 경우 약간의 극성을 가지고 있어 씻김성을 가진다.
이들 중에서 분자구조가 직쇄형보다 가지달린 극성 오일인 고급 알콜, 고급지방산 에스테르류,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의 오일 즉, 세테아릴 이소노나노에이트, 세토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세틸 옥타노네이트, 세틸 스테아릴 옥타노네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이소노나노에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헥사데실 이소팔미데이트, 헥실 데카놀,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데실 옥타노에이트,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테이트, 헥실데실 스테아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디카프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이소옥타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옥틸 이소노나노네이트, 옥틸 옥타노네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옥틸 네오펜타노네이트, 옥틸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옥틸 도데실 올레이트, 옥틸 도데실 네오데카노네이트, 옥타코사닐 스테아레이트, 옥틸네오펜타노에이트, 옥틸 올레이트, 옥틸데카놀, 옥틸도데카놀, 옥틸도데실 베헤네이트, 옥틸도데실 올레이트, 옥틸도데실 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스쿠알렌, 스쿠알란, 카스터 오일, 세틸 리시놀레이트, (C10-18, C12-18)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 석시닉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 스테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피이지-5 에스테르,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플릴릭/카프릭/라우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리놀레익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올레익 트리글리세라이드,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아프리콧 커널 오일, 하이브리드 사플라워 오일, 하이브리드 선플라워 오일, 경화 카스터 오일, 경화 카스터 오일 라우레이트, 경화 코튼시드 오일, 경화 C12-18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 라놀린, 경화 레시틴, 경화 팜 오일, 경화 소이빈 오일, 경화 탈로우 글리세라이드, 경화 코코넛 오일, 경화 베지터블 오일, 글리세롤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글리세릴 리시놀레이트, 아보카도 오일, 아보카도 오일 에틸 에스테르, 조조바 오일(jojoba oil), 망고 오일(mango oil), 미도우폼 시드 오일, 옥틸 코코에이트, 올레익/팔미톨레익/리놀릭 글리세라이드류, 소이빈 오일, 선플라워 시드 오일, 트리데실 옥타노에이트, 베지터블 오일 등을 사용하므로써 씻김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휘발성을 갖는 사이클로메티콘류 오일, 휘발성이 없는 디메티콘 오일과 페닐 트리메티콘 오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사용감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교예 1
통상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수상과 유상을 평량한 후 각각 80℃로 가열한 후 유상에 유화제를 넣고 80℃로 유지시키면서 분체를 서서히 가해 통상의 호모믹서를 3000rpm정도의 속도로 되게 하여 분산시킨 다음, 5000rpm으로 유상에 수상을 서서히 가하면서 4분간 유화시키고 50℃까지 냉각한 후 첨가물을 넣고 다시 호모믹서 5000rpm으로 2분간 유화시켜 30℃까지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6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1과 표 2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1]
비교예 1 및 실시예 1~8의 조성(단위:중량%)
Figure pat00004
[표 2]
실시예 9~16의 조성(단위:중량%)
Figure pat00005
상기 표 1과 표 2의 이산화티탄의 평균 입자 크기는 0.01~0.05㎛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경시 안정성
상기 비교예 1과 실시예 1 내지 16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을 보기 위해 각각 400g씩 제조하여 60g 투명 용기에 담아서 실온(25℃)과 고온(45℃), 저온(0℃) 및 싸이클챔버(Freeze & Thaw Chamber, 45℃~-10℃, 12시간 주기)에 보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의 판정값은 매우안정(◎)과 안정(○) 및 불안정(△) 세가지로 구분하였다.
[표 3]
경시안정성 실험결과
Figure pat00006
실험예 2. 사용성
20세에서 40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비교예와 실시예의 화장료 제품을 일반적인 사용법에 따라 얼굴에 도포하게 하여 잘 펴 발리어지고, 뒤에 부담감이 없이 산뜻한 사용감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점수는 매우 만족:2점, 만족:1점, 보통:0점, 나쁨:-1점, 매우 나쁨:-2점으로 하여 종합점수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7
평가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at00008
실험예 3. 내수성 및 씻김성
비교예 1과 실시예 1 내지 16의 조성물 성분중 Parsol MCX와 유분산성 이산화티탄을 적용시킨 경우는 둘다 자외선차단제로 Parsol MCX는 액체 상태인 유기 자외선 차단제이고, 유분산 이산화티탄은 분체로서 피부에 도포시 하얗게 되는 현상이 있다. 따라서 이들 성분이 내수성 정도에 따른 자외선 차단효과를 측정하기 쉽고, 씻을 때 잔여감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적용하였다. 또한 메이크업 세팅력을 알기 위해 피부 도포 상태를 관찰하였다.
상기 2종의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하여 내수성과 씻김성을 알아 보기 위해서는 비교적 간단하면서 정확하고 편리한 방법이 필요한 바, 본 실험예에서 채택한 방법으로는 절차가 복잡하고 까다로운 미국 FDA 방법인 in vivo법보다 간편하고 편리한 in vitro법을 택하였다.
내수성 및 씻김성을 측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인체 피부대신에 3M사의 트랜스포어(Transpore)테이프에 적용하여 다음 절차로 실험하였다.
1)테이프를 5cm×5cm로 자른다.
2)본 발명의 조성물 시료를 2mg/cm2을 상기 테이프 표면에 잘 펴 바른다.
3)솔라 시뮬레이터와 검출기를 이용하여 290~400nm사이에서 스캐닝하여 SPF를 측정한다.
4)스캐닝한 테이프를 25℃의 흐르는 물에 20분간 담궈둔다.
5)테이프를 잘 말린 후 다시 상기 3)의 방법으로 스캐닝하여 SPF를 측정한다.
6)씻김성을 측정하기 위해 물 1L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비누 2g을 용해시킨 후 상기 3)의 절차를 거친 테이프를 넣고 10분간 진탕시킨 후 테이프를 꺼내어 상기 5)의 절차대로 다시 SPF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실험방법에 따른 평가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pat00009
또한 씻김성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는데 일반 20~40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비교예와 실시예의 조성물 제품을 일반적인 사용법에 따라 얼굴에 도포하게 한 후 통상 사용하는 비누를 이용하여 세한하게 한 다음 씻김성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평가점수는 매우 만족:2점, 만족:1점, 보통:0점, 나쁨:-1점, 매우 나쁨:-2점으로 하여 종합점수를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pat00010
상기 실험예에 의하면 경시 안정성의 경우 비교예 1과 실시예 1 내지 13은 매우 안정함을 알 수 있고, 실시예 14 내지 16은 약간 불안정하나 분리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외상과 내상의 비율중에서 내상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고 안정함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이유로 본 실험예에서도 외상이 오일함량이 증가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 생각되며, 유상의 오일중 가지달린 극성오일 1~70중량부, 실리콘계 오일 4~60중량부일 때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가지달린 극성 오일 5~35중량부와 실리콘계 오일 4~45중량부일 때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화제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안정성이 증가하였으나 사용감 측면에서 두텁게 느껴지고 무거운 느낌을 주었고, 씻김성 측면에서는 실리콘계 유화제와 HLB값이 1~8인 비실리콘계 유화제와 혼용시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용감 측면에서도 마찬가지로 실리콘계 단독 유화제를 적용한 것보다는 HLB값이 1~8인 비실리콘계유화제와 혼용 사용할 때 더 우수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씻김성, 사용감은 실온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HLB값이 1~8인 비실리콘계 유화제와 실리콘계 유화제 혼용비가 1.1:1에서 2.0:1로 혼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에서 1.5:1로 혼용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성 측면에서 유상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떨어지고 사용감도 좋아지는 경향은 있으나 안정성 면으로 고려할 때 불안정해지는 경향이 있고, 실리콘계 유화제만을 적용하였을 때보다 상기의 비율로 비실리콘계 유화제와 같이 혼용시 사용감도 좋아짐을 알 수 있었다.
내수성 측면에서는 실리콘계 유화제와 실리콘계 오일을 적요함으로써 강력한 내수성을 얻을 수 있으나 세안시 쉽게 씻겨지지 않는 단점을 갖고 있다. 실온에서 액상인 HLB 값이 1~8인 비실리콘계 유화제와 실리콘계 유화제를 혼용함으로써 매우 안정하고, 강력한 내수성을 유지하며 사용감 및 씻김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었으며 여기에 극성이 있고 가지가 달린 오일을 혼용함으로써 우수한 사용감과 씻김성 및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강력한 내수성은 메이크업이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된 후 흐트러지지 않고 지속성이 좋아 세팅력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실리콘계 유화제와 실온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HLB값이 1~8인 비실리콘계 유화제의 혼용비가 1:1.1~2.0로 하고, 이들 유화제 총함량이 1~12중량부, 가지달린 극성 오일이 1~70중량부, 여기서 실리콘계 오일은 4~60중량부로 함유시킬 때 안정성과 씻김성, 내수성 및 메이크업 세팅력 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고, 상기 실리콘계 유화제와 실온에서 액체상태이며 HLB값이 1~8인 비실리콘계 유화제의 혼용비가 1:1.2~1.15이고, 유화제 총함량은 2~6중량부, 가지달린 극성 오일은 5~35중량부, 실리콘계 오일은 4~45중량부로 되게 하는 것이 안정성과 씻김성, 내수성 및 메이크업 세팅력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1,000~10,000mPas인 로션, 점도가 10,000~25,000mPas인 유동성 크림 또는 25,000~100,000mPas 또는 그 이상인 크림 등의 제형으로 만들 수 있고, 이 조성물은 그 점도와 사용 목적에 따라 적당한 용기에 포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의 예로는 딱딱한 플라스틱 용기에 쇠구슬을 넣어 흔들어 쓰는 형태, 변형시킬 수 없는 병 또는 튜브, 추진제를 쓰는 에어로졸 기구, 손가락으로 눌러 사용하는 펌프 형태, 튜브 또는 연하고 탄성을 갖고 용기와 같은 눌러짜는 용기에 간단히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좋고, 지속성이 우수하며, 씻김성이 우수하게 되어, 이 조성물을 화장료로 사용했을 때 원하는 시간동안에는 피부에 잘 부착되어 있고, 지우고자 할 때 잘 지워지게 된다.

Claims (1)

  1. a)i) 알킬 디메티콘 코폴리올류, 디메틸실록산 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코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 메틸폴리실록산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실리콘계 유화제; 및
    ii) 피이지-7 경화카스터 오일,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릴 디올레이트,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트리올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HLB값이 1~8인 비실리콘계 유화제
    가 1 : 1.1~2.0으로 구성되는 유화제 1 내지 12 중량부;
    b) 세테아릴 이소노나노에이트, 세토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세틸 옥타노네이트, 세틸 스테아릴 옥타노네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이소노나노에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헥사데실 이소팔미데이트, 헥실 데카놀,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데실 옥타노에이트,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테이트, 헥실데실 스테아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디카프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이소옥타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옥틸 이소노나노네이트, 옥틸 옥타노네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옥틸 네오펜타노네이트, 옥틸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옥틸 도데실 올레이트, 옥틸 도데실 네오데카노네이트, 옥타코사닐 스테아레이트, 옥틸네오펜타노에이트, 옥틸 올레이트, 옥틸데카놀, 옥틸도데카놀, 옥틸도데실 베헤네이트, 옥틸도데실 올레이트, 옥틸도데실 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스쿠알렌, 스쿠알란, 카스터 오일, 세틸 리시놀레이트, (C10-18, C12-18)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 석시닉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 스테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피이지-5 에스테르,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플릴릭/카프릭/라우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리놀레익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올레익 트리글리세라이드,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아프리콧 커널 오일, 하이브리드 사플라워 오일, 하이브리드 선플라워 오일, 경화 카스터 오일, 경화 카스터 오일 라우레이트, 경화 코튼시드 오일, 경화 C12-18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 라놀린, 경화 레시틴, 경화 팜 오일, 경화 소이빈 오일, 경화 탈로우 글리세라이드, 경화 코코넛 오일, 경화 베지터블 오일, 글리세롤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글리세릴 리시놀레이트, 아보카도 오일, 아보카도 오일 에틸 에스테르, 조조바 오일(jojoba oil), 망고 오일(mango oil), 미도우폼 시드 오일, 옥틸 코코에이트, 올레익/팔미톨레익/리놀릭 글리세라이드류, 소이빈 오일, 선플라워 시드 오일, 트리데실 옥타노에이트, 또는 베지터블 오일로부터 선택되는 가지달린 극성 오일 1 내지 70 중량부; 및
    c) 휘발성을 갖는 사이클로메티콘류 오일, 휘발성이 없는 디메니콘 오일, 페닐 트리메티콘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실리콘계 오일 4 내지 60중량부
    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970065121A 1997-12-02 1997-12-02 유중수형화장료조성물 KR100500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121A KR100500902B1 (ko) 1997-12-02 1997-12-02 유중수형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121A KR100500902B1 (ko) 1997-12-02 1997-12-02 유중수형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945A KR19990046945A (ko) 1999-07-05
KR100500902B1 true KR100500902B1 (ko) 2005-11-08

Family

ID=3730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121A KR100500902B1 (ko) 1997-12-02 1997-12-02 유중수형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9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677B1 (ko) 2005-12-30 2007-05-2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42535B1 (ko) 2012-12-05 2019-01-28 코웨이 주식회사 3층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04B1 (ko) * 2001-08-28 2004-05-14 주식회사 태평양 볼륨감과 지속성이 우수한 마스카라 조성물
KR20030077087A (ko) * 2002-03-25 2003-10-0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수중 실리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58621B1 (ko) 2018-08-31 2020-09-22 훠리스트 주식회사 다기능성 썬 제형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9533A (en) * 1994-12-15 1997-02-04 Estee Lauder, Inc. Stable water-in-oil emulsion system
JPH0995434A (ja) * 1995-09-29 1997-04-08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化粧料
US5665368A (en) * 1994-11-03 1997-09-09 Estee Lauder, Inc. Sprayable compositions containing dispersed powde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19980057615A (ko) * 1996-12-30 1998-09-25 성재갑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5368A (en) * 1994-11-03 1997-09-09 Estee Lauder, Inc. Sprayable compositions containing dispersed powde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5599533A (en) * 1994-12-15 1997-02-04 Estee Lauder, Inc. Stable water-in-oil emulsion system
JPH0995434A (ja) * 1995-09-29 1997-04-08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9980057615A (ko) * 1996-12-30 1998-09-25 성재갑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677B1 (ko) 2005-12-30 2007-05-2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42535B1 (ko) 2012-12-05 2019-01-28 코웨이 주식회사 3층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945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11381T2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JP6891277B2 (ja) (ポリ)グリセロールの少なくとも2つの脂肪酸エステルを含む組成物、および化粧品におけるその使用
US6342469B1 (en) Make-up removing and/or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water-in-oil emulsion
JP3993505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US20010007653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stabilized ascorbic acid and related methods
EP1762216B1 (en) Cosmetic preparation
JP2010500400A (ja) 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JP2003128519A (ja) シリコーンコポリマーを含む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形態の組成物とその使用、特にその化粧的使用
JP7233896B2 (ja) 2種のポリグリセリル脂肪酸エステルを含む組成物
WO201609193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hesperetin, an oil, at least one fatty acid ester of (poly)glycerol, and a polyol
JP2009234971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6392419B1 (ja) W/o型乳化物
EP2808008A1 (en) Water-in-oil-type emulsion skin cosmetic
JP3727901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0500902B1 (ko) 유중수형화장료조성물
JP2007269756A (ja) 乳化化粧料
JP4405948B2 (ja) O/w型ファインエマルションと化粧品分野でのその使用
JP2017109966A (ja) 皮膚化粧料
JP4081403B2 (ja) O/w/o型乳化化粧料
JP2006273747A (ja) O/w/o型乳化化粧料
JP6985910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01294512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0245796B1 (ko)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JP7278748B2 (ja) エアゾール型の油中水型デオドラントスプレー
JP2020097532A (ja) 油中アルコール型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