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510B1 -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510B1
KR100500510B1 KR10-2003-0012298A KR20030012298A KR100500510B1 KR 100500510 B1 KR100500510 B1 KR 100500510B1 KR 20030012298 A KR20030012298 A KR 20030012298A KR 100500510 B1 KR100500510 B1 KR 100500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exercise
flow path
pist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960A (ko
Inventor
구본수
Original Assignee
구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수 filed Critical 구본수
Priority to PCT/KR2003/00056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3080189A1/en
Priority to AU2003217519A priority patent/AU2003217519A1/en
Publication of KR20030077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오일이 충진된 소정의 실린더가 형성되며 부분적으로 상기 오일이 이동하는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 장치본체와; 중앙영역은 상기 장치본체 내에 배치되고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단은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노출되게 마련되어 소정 각도 정역회전가능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실린더에 마련되어 상기 장치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운동시 상기 실린더에서 직선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일영역을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어느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부재에 걸리는 회전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마다 서로 상이한 신체조건, 근력 및 운동능력에 맞추어 최적의 운동부하를 발생함으로서 운동에 의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운동부하를 맞추는 작업을 비교적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비교적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그 부피나 중량이 적게 나가기 때문에 가정이나 일반 건물에도 충분히 설치하여 운동을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Hydraulic system of multipurpose motion organization}
본 발명은,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마다 서로 상이한 신체조건, 근력 및 운동능력에 맞추어 최적의 운동부하를 발생함으로서 운동에 의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육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주기적인 운동이 필요하게 되지만 생활에 바쁜 많은 현대인들은 운동을 즐길 수 있는 시간적, 정신적 여유를 갖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신체 각 부위를 운동할 수 있는 각종 운동기구가 제안되고 있다.
제안된 운동기구 중 하나로 국내 실용등록 제219913(2001.1.31)호의 "근력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근력운동기구는, 탄성부재의 최대 안장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 보호커버 내측에 탄성부재를 삽입하여 보호커버의 양끝을 탄성부재의 양끝과 함께 양측 연결밴드와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일측 연결밴드에는 고정물에 임의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결합하며, 타측 연결밴드에는 운동형태에 따라 운동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한 보조부재를 결합한 형태로써 유도, 육상 및 수영 등 각종 스포츠 분야에서 효율적인 근력증진이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운동기구는, 탄성부재의 고유한 탄성력만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한 운동능력을 부여하고 있는 바, 어느 한 사람에게는 운동이 되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오히려 신체에 무리가 오게 되는 등의 역효과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결점이 있다.
종래의 다른 운동기구 중에 하나로, 국내 실용등록 제261703(2002.1.11)호의 "슬라이드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슬라이드 운동기구는, I자형 바닥프레임의 상부 후방에 받침판을 설치하고, I자형 바닥 프레임의 상부 전방에 경사조절판을 일정 범위 내에서 경사조절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한편, 경사조절판에 손잡이를 갖는 슬라이드판을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를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팔과 복부 등의 신체 각 부위를 단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운동기구는, 슬라이드판을 왕복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슬라이드판을 왕복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조절할 수 없기에 운동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실용등록 제265366(2002.2.7)호에는 "근력강화용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운동기구는, 지지판과, 지지판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외부 파이프와, 외부 파이프의 상부로부터 삽입되며 슬라이드 가능한 내부 파이프와,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파이프에 대한 내부 파이프의 탄력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케 하는 압축 스프링과, 내부 파이프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외부 파이프의 옆면에 다수개 부착되어 손잡이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줄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운동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제작된 운동구 한 쌍을 지지판상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고정시켜 사용자가 서거나 누운 상태로 운동하여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운동기구 역시,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이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조건, 근력 및 운동능력에 따라 대응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운동기구로는 최적의 운동을 즐길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마다 서로 상이한 신체조건, 근력 및 운동능력에 맞추어 최적의 운동부하를 발생함으로서 운동에 의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적의 운동부하를 맞추는 작업을 비교적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그 부피나 중량이 적게 나가기 때문에 가정이나 일반 건물에도 충분히 설치하여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오일이 충진된 소정의 실린더가 형성되며 부분적으로 상기 오일이 이동하는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 장치본체와; 중앙영역은 상기 장치본체 내에 배치되고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단은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노출되게 마련되어 소정 각도 정역회전가능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실린더에 마련되어 상기 장치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운동시 상기 실린더에서 직선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일영역을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어느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부재에 걸리는 회전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장치본체의 실린더 사이에는, 상기 작동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스톤을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경우, 상기 피스톤이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제1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의 측부에는 랙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부재에서 상기 장치본체 내에 삽입되는 영역에는 상기 랙에 치형맞물림되는 피니언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은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부분적으로 폐쇄되며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오일이 유동하는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의 폐쇄된 부분에는 상기 공간부 내에 충진된 오일이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으로 다른 쪽의 실린더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다른 쪽의 실린더에 있는 오일이 상기 공간부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체크밸브는, 입구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폐쇄된 부분에 상기 공간부 내로 확관되는 형태를 취한 깔때기 형상의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중심에서 상기 실린더와 연통하는 세공과;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수나사부와, 중앙부에 상기 세공과 연통하는 통공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의 입구를 차폐하는 밸브캡과; 상기 밸브캡과 상기 세공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세공을 통한 오일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볼부재와; 상기 제1볼부재와 상기 밸브캡 사이에서 상기 제1볼부재가 상기 세공의 개구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실린더를 차폐하는 캡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장치본체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캡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된 축지지부와; 상기 장치본체를 소정의 설치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을 갖는다.
상기 작동부재의 노출단에는 소정의 운동기구로부터 연장된 와이어가 감긴 휠이 결합되거나 혹은 운동용 레버가 결합되기 위한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는, 상기 장치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측부에 형성된 구멍과 연통하여 오일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실린더를 연통시키는 제2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유로가 상호 만나는 영역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때,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제2유로에 근접한 상기 제1유로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유로를 통한 상기 제2유로로의 오일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볼부재와; 상기 제2볼부재가 상기 제1유로를 차폐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제3탄성부재와; 상기 제2볼부재가 상기 제1유로의 개구를 소정각도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도록 상기 제3탄성부재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재에는 오일의 누출을 저지하기 위한 오링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제2유로에 근접한 상기 제1유로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유로를 통한 상기 제2유로로의 오일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3볼부재와; 상기 제3볼부재가 상기 제1유로를 차폐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제4탄성부재와;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조절본체와; 상기 조절본체의 관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와, 측부에 절취슬롯이 형성된 가동부를 갖는 원기둥 형상의 제1기둥체와; 상기 제1기둥체의 노출부에 결합되는 노브와; 상기 제1기둥체와 결합되며 측부에 나선형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연장돌기가 형성된 제2기둥체와; 상기 제2기둥체 내에 삽입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연장돌기가 상기 나선형공과 상기 절취슬롯에 일체로 끼워져 상기 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4탄성부재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절본체의 판면에는 상기 노브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한편, 상기 피스톤은, 대략 "I"자 형상으로 그 측부가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함몰 절취된 형태를 가지며, 내측으로 철취된 측부에 랙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본체 내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장치본체 내에서 이동시키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장치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나사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는 상호 이격된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사이에 상기 피스톤의 랙이 배치되는 노출형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압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100)는, 장치본체(10)와, 중앙영역은 장치본체(10) 내에 배치되고 양단부는 장치본체(10)로부터 노출되게 마련되어 후술할 휠(50, 도 1 참조) 또는 레버(50', 도 5 참조)에 의해 소정 각도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작동부재(40)와, 작동부재(40)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도록 실린더(12)에 마련되어 장치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작동부재(40)의 회전운동시 실린더(12)에서 직선운동하는 피스톤(20)과, 복수의 유로(19a,19b) 중 제1유로(19a)를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도록 장치본체(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작동부재(40)에 걸리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60)를 포함한다. 이 때, 제1유로(19a)의 개방도는 장치본체(10) 내에 걸리는 압력에 의해 조절되는 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장치본체(10)는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장치본체(10)의 내부에는 오일(11)이 충진된 소정의 실린더(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12)의 주위에는 오일(11)이 이동하는 복수의 유로(19a,19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유로(19a,19b)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피스톤(20)의 측부에 형성된 구멍(22a)과 연통하여 오일(11)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19a)와, 제1유로(19a)와 실린더(12)를 연통시키는 제2유로(19b)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멍(22a)은 공간부(21) 내에 채워져 있는 오일(11)이 선택적으로 제1유로(19a)로 이동할 수 있도록 랙(22)이 끝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치본체(10)의 일측 단부에는 실린더(12)를 차폐하는 캡(13)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13)과 제1체결부(14) 사이에는 오일(11)의 유출을 저지하기 위한 기밀유지용 오링(13a)이 개재되어 있다.
제1체결부(14)와 이격된 위치인 장치본체(10)의 측면에는, 실린더(12)를 관통하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부재(40)가 관통공(15)을 통해 장치본체(1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체결부(17)가 형성된 축지지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체결부(17)로는 실린더(12)에 채워진 오일(11)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작동부재(40)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캡(16)이 결합된다. 이 때, 지지캡(16)에는 별도의 부시 베어링(44)이 삽입되어 작동부재(40)가 회전할 경우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이고 있다.
장치본체(10)의 배면은 평평한 판상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면의 양단에는 장치본체(10)를 소정의 설치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고정공(10a)에 스크루(70) 등을 삽입하여 바닥면이나 벽면 등 설치면(S)에 체결함으로써 본 유압장치(100)는 어는 곳에서나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피스톤(20)과 장치본체(10)의 실린더(12) 사이에는, 작동부재(4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피스톤(20)을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경우, 피스톤(20)이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 타입의 제1탄성부재(3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30)는, 그 탄성력이 항상 피스톤(20)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양단이 실린더(12)의 개구에 나사 결합된 캡(13)과 피스톤(20) 사이에 마련된다.
제1탄성부재(30)는, 운동을 위해 힘을 가하여 작동부재(40)를 회전시킨 후, 힘을 풀 때 탄성적으로 팽창하여 작동부재(40) 및 피스톤(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자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부재(40) 및 피스톤(20)이 원위치로 복귀될 때 오일(11) 역시, 최초의 위치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작동부재(40)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스톤(20)을 직선운동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랙(22)과 피니언(41)을 채용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0)의 측부에는 랙(22)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부재(40)의 중앙영역에는 랙(22)에 치형맞물림되는 피니언(4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운동을 위해 힘을 가하여 작동부재(40)를 회전시키면 피니언(41)과 랙(22)의 상호 작용에 의해 피스톤(20)은 일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게 된다.
작동부재(40)는 긴 봉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 피니언(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본체(10)로부터 노출되는 양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휠(50)이 결합되기 위한 고정구(43)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구(43)의 선단에는 나사공(4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운동기구로부터 연장된 와이어(53)가 감긴 휠(50)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100)의 작동부재(40)에 결합시키고자 한다면, 휠(50)에 형성된 결합공(51)과 고정구(43)에 형성된 나사공(43a)을 연통시킨 상태에서 나사(52)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된다.
이처럼, 작동부재(40)에 휠(50)이 결합되면, 예를 들면 도 6과 같은 별도의 운동기구를 통해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와이어(53)가 정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휠(50)을 소정각도 회전시키게 되고, 휠(50)의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40) 역시 피스톤(20)을 이동시키면서 소정의 압력에 기초하여 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피스톤(20)은,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부분적으로 폐쇄되며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일(11)이 유동하는 공간부(21)를 갖는 부분 적인 관상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피스톤(20)의 단부 중, 공간부(21)의 폐쇄된 부분(도 1의 피스톤(20)에서 아랫부분)에는 공간부(21) 내에 충진된 오일(11)이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으로 인해 오일(11)이 다른 쪽의 실린더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다른 쪽의 실린더에 있는 오일(11)이 공간부(21)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체크밸브(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체크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에 암나사부(23c)가 형성되고 공간부(21)의 폐쇄된 부분에 공간부(21) 내로 확관되는 형태를 취한 깔때기 형상의 가이드(23a)와, 가이드(23a)의 중심에서 실린더(12)와 연통하는 세공(23b)과, 외주면에 암나사부(23c)에 결합되는 수나사부(23d-1)와 중앙부에 세공(23b)과 연통하는 통공(23d-2)을 가지고 가이드(23a)의 입구를 차폐하는 밸브캡(23d)과, 밸브캡(23d)과 세공(23b)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어 세공(23b)을 통한 오일(11)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볼부재(23e)와, 제1볼부재(23e)와 밸브캡(23d) 사이에서 제1볼부재(23e)가 세공(23b)의 개구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제2탄성부재(23f)를 갖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10)의 하부에는 장치본체(10) 내에 부가되는 압력에 기초하여 작동부재(4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력조절부(6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압력조절부(6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유로(19a,19b)가 상호 만나는 영역인 제1유로(19a)의 말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유량식 조절이 아닌 압력식 조절에 의해 작동한다. 압력조절부(60)를 착탈가능하게 마련한 이유는 파손되거나 혹은 좀 더 세밀한 압력조절이 필요할 경우,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압력조절부(60)는, 제2유로(19b)에 근접한 제1유로(19a)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제1유로(19a)를 통한 제2유로(19b)로의 오일(11)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볼부재(61)와, 제2볼부재(61)가 제1유로(19a)를 차폐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제3탄성부재(62)와, 제2볼부재(61)가 제1유로(19a)의 개구를 소정각도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도록 제3탄성부재(62)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조절부재(64)를 갖는다.
조절부재(64)에는 오일(11)의 누출을 저지하기 위한 오링(6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부재(64)의 노출면에는 소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에는 (-)자 형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끼워져 조절부재(64)를 회전시키는 용도로 이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압장치(100)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과 같이 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휠(50)을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여기서, 휠(50)을 회전시킨다 함은, 별도의 운동기구를 작동함으로써 이에 연결된 와이어(53)를 일측으로 당긴다는 것을 의미한다.
휠(50)이 소정 각도 회전하면, 휠(50)에 결합된 작동부재(40)가 동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다. 작동부재(40)가 회전하면, 피니언(41)과 랙(22)을 이동시킴으로써 피스톤(20)은 도 3에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피스톤(20)이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피스톤(20)의 공간부(21)와 제1탄성부재(30) 영역(이를, 제1실린더부(12a)라 함)에 채워져 있던 오일(11)이 피스톤(20)의 랙(22) 말단에 형성된 구멍(22a)을 통해 작동부재(40)의 설치공간을 경유하여 제1유로(19a)로 향한다. 그런 다음, 압력조절부(60)를 거쳐 제2유로(19b)를 통해 피스톤(20)의 후방 영역(이를, 제2실린더부(12b)라 함)으로 향한다(도 4 참조).
이 때, 체크밸브의 제2볼부재(23e)는 제2탄성부재(23f)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23a)의 중앙에 형성된 세공(23b)을 완전히 차단한 상태가 되므로, 제2실린더부(12b)에 있던 오일(11)이 다시 제1실린더부(12a)로 향할 수는 없다.
만일,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압력조절부(60)의 조절부재(64)를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켜 제3탄성부재(62)를 가압해제하면, 제2볼부재(61)가 제1유로(19a)의 개구를 폐쇄하는 개방도가 작아진다.
예를 들어, 100Kgf의 힘으로 작동부재(40)를 움직일 수 있도록 압력조절부(60)를 조절해 놓을 경우, 100Kgf 이상의 힘이 작동부재(40)에 걸리면 압력조절부(60)로 인해 쉽게 작동부재(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100Kgf 보다 적은 힘이 작동부재(40)에 가해지면, 압력조절부(60)로 인해 작동부재(40)가 작동되지 않는다. 이는 결국, 100Kgf 보다 적은 힘이 작동부재(40)에 가해질 경우, 제2볼부재(61)가 제1유로(19a)의 개구를 폐쇄하는 개방도가 작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제1유로(19a)의 개구를 개폐하는 정도는 가해지는 압력에 의존하는 것인 바, 본 발명에서 밸브를 압력조절밸브(60)로 명명하고 있는 것이다.
압력 상태에 따라 제2볼부재(61)가 제1유로(19a)의 개구를 폐쇄하는 개방도가 작아지면, 휠(50)을 회전시키는 데 따른 힘이 많이 소요되는 바, 운동량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만일, 근력이 약한 사람이나 어린 아이가 본 유압장치(100)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조절부재(64)를 통해 제3탄성부재(62)를 가압하여 제2볼부재(61)가 제1유로(19a)의 개구를 폐쇄하는 개방도를 넓힌다. 그러면, 오일(11)이 쉽게 제1유로(19a)를 통해 제2유로(19b)로 이동할 수 있기에 적은 힘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번의 힘을 부여하여 휠(50)을 이동시킴으로써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피스톤(20)을 이동시킨 연후, 가했던 힘을 풀면 압축되었던 제1탄성부재(30)가 탄성적으로 팽창되면서 피스톤(20)을 원상태로 위치이동시킨다.
이 때는, 체크밸브의 제2볼부재(23e)가 가이드(23a)의 중앙에 형성된 세공(23b)을 개방한 상태가 되므로 제2실린더부(12b)에 존재하던 오일(11)이 제1실린더로(12a)로 옮겨진다. 물론, 이 때의 압력조절부(60)의 제2볼부재(61)는 제1유로(19a)의 개구를 폐쇄하여 이 방향으로는 오일(11)이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은 장치본체(10) 내에서 걸리는 오일(11)의 압력에 의해 자연히 조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조절부(60)를 통해 작동부재(40)에 걸리는 회전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 사용자마다 서로 상이한 신체조건, 근력 및 운동능력에 맞추어 최적의 운동부하를 발생함으로서 운동에 의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력조절부(60)의 조절부재(64)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자신에 맞는 최적의 운동부하를 맞추는 작업을 비교적 쉽게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유압장치(100)는,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할 뿐만 아니라 그 부피나 중량이 적게 나가기 때문에 가정이나 일반 건물에도 충분히 설치하여 운동을 즐길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작동부재(40)의 고정구(43)에 휠(50)을 결합시키지 않고, 운동용 레버(5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것처럼 소정의 설치면(S)에 스크루(70)를 이용하여 2개의 유압장치(100)를 상호 이격되게 장착하고, 각 유압장치(100)의 작동부재(40)에 운동용 레버(50')를 마련한다.
이런 상태에서 양손으로 운동용 레버(50')를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여 운동하게 되면, 팔의 이두박근이나 삼두박근의 근력을 키우는데 유리한 운동이 될 것이다. 물론, 다리를 이용하여 운동용 레버(50')를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한다면 다리의 근력을 키우는데 유리할 것이다.
제3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유압장치가 적용된 다용도 운동기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 도면은,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보인 유압장치(100)가 별도의 운동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잇다.
도시된 운동기구는, 소정의 길이와 넓이를 갖는 베이스 부재(80)의 상부로 제1다리운동부(81)가 구비되어 있고, 제1다리운동부(81)의 일측으로 사용자가 베드(82) 위에 누워서 하체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제2다리운동부(83)와, 베드(82)위에 앉아서 어깨와 가슴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상체운동부(84)가 장착되어 있다.
제1다리운동부(81)는 의자(81a)가 슬라이딩 이동과 고정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적당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휠고정구(43)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81b)를 고정하여 발로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다리운동부(83)는 베드(82)의 끝단에 사용자의 발등이나 발목이 걸려지는 발걸이부(83a)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휠고정구(43)에 와이어(53)가 감겨진 휠(50)을 구비하고, 와이어(53)를 발걸이부(83a)에 연결하여 대퇴부의 근육을 강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체운동부(84)는 전술한 다리운동부(81,83)와 유사한 것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와이어를 내려뜨리듯이 설치하여 잡아당길 때 어깨나 상체에 힘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베드에 앉은 상태에서 양팔을 몸 중심으로 오므릴 때나 누워서 상체 쪽으로 잡아당길 때 적당한 힘이 가해지도록 되어있어 상체의 근육을 효율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베드(82)의 일측에는 팔운동부(85)가 구비되어 있는데, 역시, 전술한 유압장치(100)의 휠(50)이 레버(85a)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는 베드(82)에 누워 레버(85a)를 상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팔과 가슴 운동을 즐길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타입의 운동을 벤치프레스라고도 한다. 이러한 팔운동부(85)의 상측으로는 어깨운동부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도 6을 참조할 때, 팔운동부(85) 및 다리운동부(81,83)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53)를 일방향으로 당길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작용이 일어난다. 즉, 와이어(53)를 당김으로써 휠(50)이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작동부재(40) 및 피스톤(20)이 상호 작용하여 운동에 필요한 웨이트를 부여하게 된다.
운동을 위해 도 6에 도시된 운동기구가 필요하다면, 종래에는 이 운동기구에 5Kg, 10Kg 등의 웨이트를 장착해 놓고, 사용자의 근력에 맞추어 웨이트를 조절해야만 했다. 예를 들어, 근력이 강한 사람의 경우, 웨이트가 200Kg 이상으로 맞춰놓고 운동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처럼, 운동기구 차체도 무게가 무거운데 반해, 이에 소요되는 웨이트 역시 수백 Kg 이상 준비해야 한다면, 이러한 상태로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수백 Kg의 웨이트 대신 간단하고 중량이 적게 나가는 유압장치(100)만을 준비하면 되기 때문에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아무런 무리가 없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제4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200)는, 장치본체(10) 내에 피스톤(220)과 제1탄성부재(30)가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유압장치(100)와 동일하나 피스톤(2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개시된 피스톤(220)은, 내부가 비어 있지 않으며 대략 "I"자 형상으로 그 측부가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함몰 절취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내측으로 절취된 측부에 랙(222)을 형성하고 있다. 물론, 랙(222)은 피니언(41)과 기어맞물림된다.
이에, 도시 않은 휠을 회전시켜, 작동부재(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스톤(220)이 도 7의 우측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그러면, 제1탄성부재(30)가 위치한 제1실린더부(12a) 내에 존재하던 오일이 제1유로(19a) 및 제2유로(19b)를 경유하여 제2실린더부(12b)로 옮겨지면서 운동압력을 부여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유로(12a)에는 유량식 조절이 아닌 압력식 조절에 의한 압력조절밸브(60)로 인해 걸리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시된 압력조절밸브(60)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작동부재(40)에 부여한 힘을 해제하면, 압축되었던 제1탄성부재(30)가 원상태로 팽창하면서 피스톤(220)을 도 7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2실린더부(12b) 내에 있던 오일이 체크밸브(23)를 통해 제1실린더부(12a)로 옮겨진다. 물론, 이 때는, 압력조절밸브(60)로 인해 오일이 제1 및 제2유로(19a,19b)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압장치(200)에 의하면, 피스톤(220)의 무게 및 부피가 줄어들 수 있게 되는 바, 전체적으로 유압장치(2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추가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장치본체(10)의 양단에는 각각 체결부(14)에 의해 캡(13)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의 캡(13)에 인접한 장치본체(10) 내에는 슬라이더(13b)가 장착되어 있고, 슬라이더(13b)와 캡(13)은 일체로 나사축(13c)에 결합되어 있다. 나사축(13c)의 노출단에는 노브(13e)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노브(13e)를 잡아 회전시키면 나사축(13c)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연동하여 슬라이더(13b)가 피스톤(220) 측을 향해 이동한다. 그러면, 제1탄성부재(30)는 원래의 상태보다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슬라이더(13b)를 이용하여 제1탄성부재(30)를 어는 정도 압축시킨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휠을 회전시키면서 운동을 하게 되면, 최초의 상태보다 좀 더 힘이 많이 소요됨을 알 수 있다. 결국, 노브(13e), 슬라이더(13b) 및 나사축(13c)의 구성으로 제1탄성부재(30)에 가해지는 압축 상태(탄성력)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노브(13e), 슬라이더(13b) 및 나사축(13c)의 구성으로 제1탄성부재(30)에 가해지는 압축 상태(탄성력)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도 7에만 도시하고 있지만, 이를 전술한 실시예들을 포함하여 후술할 실시예에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5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유압장치(300) 역시, 전술한 실시예들의 유압장치(100,200)와 부분적으로 구조만이 상이할 뿐, 그 원리는 동일하다.
즉, 제5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300)의 장치본체(310a,310b)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유압장치(100,200)와는 달리 상호 이격된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이 두 부분은 중앙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우측의 장치본체(310a) 내에는 전술한 제1탄성부재(30)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본체(310a) 내에는 오일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장치본체(310a)의 일측에는 후술할 랙(320)에 의해 제1탄성부재(30)를 가압하는 가압판(315)이 마련되어 있다.
도 9에 개시된 피스톤(320)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내부가 비어 있지 않는 긴 봉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외측 일영역에 랙(322)이 형성되어 있고 랙(322)의 대향측에는 나사(340)에 지지되어 랙(332)과 함께 움직이는 랙지지부(345)가 형성되어 있다. 랙지지부(345)에는 체크밸브(23)가 마련되어 있다. 랙(332)은 장치본체(310a,310b)들 사이에 배치되는 노출형으로 마련된다. 물론, 랙(332)은 작동부재(40)의 피니언(41)과 기어맞물림되어 있다.
좌측의 장치본체(310b) 내에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실린더부(12a,12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압력조절부(60)를 피스톤(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압력조절부(60)의 조절부재(64) 선단에 테이퍼(64a)를 형성하여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보다 부품의 수를 줄여 그 코스트를 낮추면서도 동일한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도시 않은 휠을 회전시켜, 작동부재(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스톤(320)이 도 9의 우측방향을 향해 이동하면서 가압판(315)을 밀어 제1탄성부재(30)를 압축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1실린더부(12a) 내에 존재하던 오일이 제1유로(19a) 및 제2유로(19b)를 경유하여 제2실린더부(12b)로 옮겨지면서 제1탄성부재(30)와 함께 운동압력을 부여한다.
이 때, 제1유로(12a)에는 유량식 조절이 아닌 압력식 조절에 의한 압력조절밸브(60)로 인해 걸리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그 구조상 전술한 실시예들보다는 조절이 쉽다.
작동부재(40)에 부여한 힘을 해제하면, 압축되었던 제1탄성부재(30)가 원상태로 팽창하면서 피스톤(320)을 도 9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2실린더부(12b) 내에 있던 오일이 체크밸브(23)를 통해 제1실린더부(12a)로 옮겨진다. 물론, 이 때는, 압력조절밸브(60)로 인해 오일이 제1 및 제2유로(19a,19b)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압장치(300)에 의하면, 장치본체(310a,310b) 및 피스톤(320)의 무게 및 부피가 줄어들 수 있게 되는 바, 전체적으로 유압장치(3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추가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6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압력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압력조절부(160)는 전술한 압력조절부(50)와 그 역할은 동일하나 구조가 상이하다.
즉, 전술한 압력조절부(50)는 조절부재(64) 선단에 (-)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압력조절을 위해 조절부재(64)를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가 필요했었다. 그러나, 운동을 하는 도중, 일일이 드라이버를 준비해놓고, 압력을 조절한다는 것은 경우에 따라 번거로울 수도 있는 일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통상의 손잡이 형태로 되어 있는 노브(167)를 채용하여 압력조절부(160)를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모두 해소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160)는, 전술한 도 3, 도 4를 포함하여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할 때, 제2유로(19b)에 근접한 제1유로(19a)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제1유로(19a)를 통한 제2유로(19b)로의 오일(11)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3볼부재(161)와, 제3볼부재(161)가 제1유로(19a)를 차폐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제4탄성부재(162)와, 판면에 관통공(163a)이 형성된 조절본체(163)와, 조절본체(163)의 관통공(163a)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164)와 측부에 절취슬롯(165a)이 형성된 가동부(165)를 갖는 원기둥 형상의 제1기둥체(166)와, 제1기둥체(166)의 노출부(164)에 결합되는 노브(167)와, 제1기둥체(166)와 결합되며 측부에 나선형공(168b)이 형성되고 일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연장돌기(168a)가 형성된 제2기둥체(168)와, 제2기둥체(168) 내에 삽입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연장돌기(169a)가 나선형공(168b)과 절취슬롯(165a)에 일체로 끼워져 노브(167)의 회전에 의해 제4탄성부재(162)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가압부(169)를 포함한다.
제1기둥체(166)의 절취슬롯(165a)의 양단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꺾인 연장슬롯(165b,165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브(167)가 노출부(164)에 끼워진 후, 헛도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노출부(164)는 그 단면이 비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노브(167)의 단부에는 오일(11)이 누출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오링(170)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본체(163)의 판면에는 노브(167)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눈금(163b)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눈금(163b)은 예를 들어, 전술한 웨이트의 5Kg, 10Kg 등에 대응될 수 있으며, 노브(167)를 회전시켜 한 눈금을 이동했을 경우, 웨이트 10Kg에 대응되는 압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비교적 근력이 약한 사람이 본 압력조절부(160)를 이용하여 유압장치에 걸리는 압력을 약하게 조절하고자 한다면, 노브(167)를 잡고 일방향으로 돌려 해당하는 조절눈금(163b)에 맞춘다. 그러면, 노브(167)의 회전에 의해, 제1기둥체(166)가 회전하게 되는데, 가압부(169)에 형성된 제2연장돌기(169a)가 제1기둥체(166)의 회전에 의해 나선형공(168b)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4탄성부재(162)측을 향해 이동한다.
이처럼 가압부(169)의 돌출선단(169b)이 제4탄성부재(162)를 가압하게 되면, 제4탄성부재(162)가 압축되면서 제3볼부재(161)가 제1유로(19a)의 개구를 폐쇄하는 개방도는 넓어진다. 그러면, 오일(11)이 쉽게 제1유로(19a)를 통해 제2유로(19b)로 이동할 수 있기에 적은 힘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비교적 근력이 센 사람이 본 압력조절부(161)를 이용하여 유압장치에 걸리는 압력을 강하게 조절하고자 한다면, 노브(167)를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4탄성부재(162)에 가했던 힘을 푼다. 그러면, 제3볼부재(161)가 제1유로(19a)의 개구를 폐쇄하는 개방도가 좁아지게 됨으로써 센 힘으로 운동을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161)를 채용하여 도 6과 같은 운동기구에 유압장치를 채용한다면, 운동을 하는 도중, 손으로 노브(167)를 돌려가면서 유압장치에 걸리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근력이 약한 사람이나 센 사람이 모두 손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추가의 이점을 갖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작동부재와 피스톤에 랙과 피니언의 방식을 채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베벨기어를 조합하여 작동부재의 회전운동을 피스톤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장치본체를 금속 재질로 설명하고 있지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대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제5실시예에 도시된 압력조절밸브(60)는 제5실시예 외에도 전술한 모든 실시예들에 동일하게 채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마다 서로 상이한 신체조건, 근력 및 운동능력에 맞추어 최적의 운동부하를 발생함으로서 운동에 의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적의 운동부하를 맞추는 작업을 비교적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비교적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그 부피나 중량이 적게 나가기 때문에 가정이나 일반 건물에도 충분히 설치하여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압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압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유압장치가 적용된 다용도 운동기구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압력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오일 12 : 실린더
19a,19b : 유로 20 : 피스톤
30 : 제1탄성부재 40 : 작동부재
50 : 휠 60,160 : 압력조절밸브

Claims (16)

  1. 내부에 오일이 충진된 소정의 실린더가 형성되며 부분적으로 상기 오일이 이동하는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 장치본체와;
    중앙영역은 상기 장치본체 내에 배치되고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단은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노출되게 마련되어 소정 각도 정역회전가능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실린더에 마련되어 상기 장치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운동시 상기 실린더에서 직선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일영역을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어느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부재에 걸리는 회전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와;
    상기 피스톤과 상기 장치본체의 실린더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작동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스톤을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경우, 상기 피스톤이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의 측부에는 랙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부재에서 상기 장치본체 내에 삽입되는 영역에는 상기 랙에 치형맞물림되는 피니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부재의 노출단에는 소정의 운동기구로부터 연장된 와이어가 감긴 휠이 결합되거나 혹은 운동용 레버가 결합되기 위한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은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부분적으로 폐쇄되며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오일이 유동하는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의 폐쇄된 부분에는 상기 공간부 내에 충진된 오일이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으로 다른 쪽의 실린더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다른 쪽의 실린더에 있는 오일이 상기 공간부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입구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폐쇄된 부분에 상기 공간부 내로 확관되는 형태를 취한 깔때기 형상의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중심에서 상기 실린더와 연통하는 세공과;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수나사부와, 중앙부에 상기 세공과 연통하는 통공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의 입구를 차폐하는 밸브캡과;
    상기 밸브캡과 상기 세공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세공을 통한 오일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볼부재와;
    상기 제1볼부재와 상기 밸브캡 사이에서 상기 제1볼부재가 상기 세공의 개구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실린더를 차폐하는 캡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장치본체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캡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된 축지지부와;
    상기 장치본체를 소정의 설치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장치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측부에 형성된 구멍과 연통하여 오일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실린더를 연통시키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유로가 상호 만나는 영역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제2유로에 근접한 상기 제1유로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유로를 통한 상기 제2유로로의 오일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볼부재와;
    상기 제2볼부재가 상기 제1유로를 차폐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제3탄성부재와;
    상기 제2볼부재가 상기 제1유로의 개구를 소정각도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도록 상기 제3탄성부재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에는 오일의 누출을 저지하기 위한 오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제2유로에 근접한 상기 제1유로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유로를 통한 상기 제2유로로의 오일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3볼부재와;
    상기 제3볼부재가 상기 제1유로를 차폐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제4탄성부재와;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조절본체와;
    상기 조절본체의 관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와, 측부에 절취슬롯이 형성된 가동부를 갖는 원기둥 형상의 제1기둥체와;
    상기 제1기둥체의 노출부에 결합되는 노브와;
    상기 제1기둥체와 결합되며 측부에 나선형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연장돌기가 형성된 제2기둥체와;
    상기 제2기둥체 내에 삽입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연장돌기가 상기 나선형공과 상기 절취슬롯에 일체로 끼워져 상기 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4탄성부재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본체의 판면에는 상기 노브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대략 "I"자 형상으로 그 측부가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함몰 절취된 형태를 가지며, 내측으로 철취된 측부에 랙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 내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장치본체 내에서 이동시키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장치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나사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호 이격된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사이에 상기 피스톤의 랙이 배치되는 노출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KR10-2003-0012298A 2002-03-25 2003-02-27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KR100500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3/000567 WO2003080189A1 (en) 2002-03-25 2003-03-24 Hydraulic system of multipurpose motion organization
AU2003217519A AU2003217519A1 (en) 2002-03-25 2003-03-24 Hydraulic system of multipurpose motion organiz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6055 2002-03-25
KR1020020016055 2002-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960A KR20030077960A (ko) 2003-10-04
KR100500510B1 true KR100500510B1 (ko) 2005-07-12

Family

ID=3237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298A KR100500510B1 (ko) 2002-03-25 2003-02-27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849B1 (ko) * 2019-10-21 2021-03-1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환자를 위한 보행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960A (ko) 200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8222A (en) Exercise device
US9707438B2 (en) Adjustable angle weight lifting bench
DE69312771T2 (de) Steuereinrichtung für Oberschenkelprothese
US4801138A (en) Wea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body joints
JPS5822768Y2 (ja) 運動装置
EP2842527A1 (en) Wearable posture assisting device
DE102007012449B4 (de) Fussunterstützende Vorrichtung für einen Stuhl
US6241643B1 (en) Arm exercising device
DE202017007408U1 (de) Vorrichtung zum Unterstützen beider Arme eines Benutzers
CN109702715B (zh) 一种机械式外骨骼座椅
DE20010892U1 (de) Kniegelenk
US7628741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9005309B2 (en) Four-link hydraulic buffer knee joint assembly
DE202019105506U1 (de) Tragbare Sitzhaltungshilfevorrichtung
US7267641B2 (en) Muscle training device
DE102009053128B4 (de) Pufferstruktur für ein Kniegelenk
DE811254C (de) Kunstbein mit gesteuerter Brems- oder Blockiervorrichtung fuer die Kniebewegungen
KR100500510B1 (ko) 다용도 운동기구의 유압장치
DE3447829A1 (de) Uebungsgeraet zum muskeltraining
KR100634817B1 (ko) 하체 단련기
CH529537A (de) Arbeitsstuhl
WO2014183818A1 (de) Trainingsgerät mit einem gestell und wenigstens einer daran angeordneten fortlaufend rotatorisch bewegbaren kurbel
DE102006002548A1 (de) Trainingsgerät
CN114569966A (zh) 一种体育训练用拉伸装置
DE102006024942B4 (de) Oberschenkeltrainingsger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