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481B1 - 화학물질 또는 혼합물을 위한 테스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학물질 또는 혼합물을 위한 테스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481B1
KR100500481B1 KR10-1998-0706831A KR19980706831A KR100500481B1 KR 100500481 B1 KR100500481 B1 KR 100500481B1 KR 19980706831 A KR19980706831 A KR 19980706831A KR 100500481 B1 KR100500481 B1 KR 100500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carrier plate
pesticide
tested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7414A (ko
Inventor
하랄트 다니겔
헬무트 케쓰만
게르하르트 클로코우
요르크 멘젠
페터 오베르그펠
Original Assignee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filed Critical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Publication of KR1999008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583Features relative to the processes being carried out
    • B01J2219/00585Paralle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68Means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of the process
    • B01J2219/00702Processes involving means for analysing and characterising the products
    • B01J2219/00707Processes involving means for analysing and characterising the products separated from the reactor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01N1/31Apparatus therefor
    • G01N2001/317Apparatus therefor spraying liquids onto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1Automated chemical ana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1Automated chemical analysis
    • Y10T436/119163Automated chemical analysis with aspirator of claim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6Phosphorus containing
    • Y10T436/163333Organic [e.g., chemical warfare agents, insecticides,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5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5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 Y10T436/2575Volumetric liquid transfer

Landscapes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Lubricant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Abstract

농약 또는 농약 혼합물, 특히 잠재적 식물 보호제를 시험하기 위한 테스팅 시스템에서, 테스트할 농약 또는 테스트할 농약 혼합물을 시험편, 특히 식물이나 식물의 일부에 도포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시험편에서 농약 또는 농약 혼합물의 효능을 조사한다. 이를 위해 우선은 저장된 시험편들로부터 한 가지 유형의 시험편을 선택하고, 저장된 시험할 농약들로부터 시험할 농약을 선택한다. 기계 판독 가능 코드를 이용해서, 선택한 유형의 시험편과 선택한 물질들을 식별하고(BC1, BC2), 이 코드들을 저장 장치(12)에 전달한다. 시험편들은 캐리어 플레이트(30) 내에 준비되며, 이를 위해 각각의 시험편들 또는 시험편의 단편(BR)을, 캐리어 플레이트(30) 내에 제공해서 배양액(301)으로 부분적으로 채워진 웰(300) 안에 넣는다. 이어서 분무 장치(150, 151)를 캐리어 플레이트(30)의 웰(300) 안에 담그고, 여기에 배치된 시험편에 선택한 농약을 분무한 다음 웰(300)로부터 다시 꺼내거나, 분무 장치가 캐리어 플레이트(30)의 웰(300)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해서, 여기에 배치된 시험편에 선택한 농약을 분무한다.

Description

화학 물질 또는 혼합물을 위한 테스팅 시스템
본 발명은 화학 물질 또는 혼합물, 특히 살충제, 살균제 및 제초제 등과 같은 잠재적 식물 보호제의 효과 테스팅 시스템 및, 그 효능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WO 86/04919로부터 식물 세포를 시험관 내에 배양하기 위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방법의 특징은 액상 영양소의 표면 위에 자유롭게 움질일 수 있는 부양체(floating body)를 두고, 식물 부분을 이 부양체의 표면에서 배양하는 것이다. 또한 액체나 가스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이들을 용기 내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물리적 및 화학적 수치들을 조절하기 위한 추가 장치를 가진 배양 용기도 공지되어 있다.
EP-A-0 323 205는 위에 분무 노즐이 설치된 막대 모양의 장치를 이용해서 제초제를 투약하는 장치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오늘날 화학 물질이나 혼합물(이하에서는 편의상 물질이라고 한다), 특히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살선충제(nematocide) 및 살비제(acaricide) 등과 같은 잠재적 식물 보호제(살충제)의 효능을 일반적으로 식물 또는 잎에서 잘라낸 단편과 같은 식물의 일부를 시험할 물질과 접촉시킴으로써 시험한다. 물질 자체가 잎의 단편에 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는지(가령 제초제의 경우) 여부만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잎의 단편을 해충이나 진균류 등으로 감염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나 그 외의 경우에는 잎의 단편을 해당 해충이나 진균 등으로 감염시켜야 한다(가령 물질이 살균제나 살충제인 경우).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한 다음 잎의 단편에 제공된 물질의 효능을 조사한다.
일반적으로 시험할 물질은 손으로 잎의 단편 위에 피펫팅한다. 식물 전체의 경우에는 대개 분무한다. 효능을 시험하고자 하는 물질의 수가 매우 많고, 또 끊임없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개별 물질들을 손으로 피펫팅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렇게 하려면 비용과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효능을 시험하고자 하는 물질의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현실에서 이 방법은 실용적이지 못하며, 숙련된 인력을 상시 투입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시험편(잎의 단편, 잘게 부순 식물의 일부, 종자, 식물 전체 등)을 시험할 물질로 균일하게 적시기가 어렵기 때문에, 물질의 효능에 대해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기가 어렵다. 또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여러 개의 시험편에 서로 다른 물질들을 분무하는 경우, 인접한 시험편이 오염될 위험이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인접한 시험편에서 시험한 물질의 효과가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거나 이를 완전히 왜곡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을 도면을 이용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의 일부는 개략도 및/또는 단면도이다.
도 1은 테스팅 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원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팅 시스템의 실시예의 블록 회로도.
도 2는 스탬핑 과정 시작 직전에, 본 발명에 따른 테스팅 시스템의 스탬핑 장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절단 과정 중 도 2의 스탬핑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웰 내에 잎을 배치하기 직전에, 스탬핑 아웃된 잎의 단편을 갖는 도 2의 스탬핑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스탬핑 아웃된 잎의 단편을 배치할 때, 도 2의 스탬핑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팅 시스템의 분무 장치의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노즐이 캐리어 플레이트의 웰 안에 삽입되고, 분무 장치는 웰을 밀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노즐 몸체 일부의 상세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팅 시스템의 분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마이크로 피펫)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각 노즐이 일렬로 캐리어 플레이트의 해당 웰 위에 배치된, 노즐 몸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단점들을 포함하지 않는, 특히 시험할 물질과 시험할 시험편의 높은 처리량을 허용하는 동시에 시험편과 시험한 물질들을 확실하게 식별 및 분류할 수 있고, 인접한 시험편이 오염되지 않으며, 최대한 자동화하여 매우 효과적인, 다시 말해 밤새 감독하지 않고도 작동이 가능한, 농약 테스팅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테스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그 테스팅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농약의 효능을 테스트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이 방법에서는 시험할 농약을 시험편, 특히 식물 또는 잎의 단편과 같은 식물의 일부에 도포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시험편에서 농약의 효능을 조사한다. 이 방법의 특징은, 우선 저장된 시험편들로부터 한 가지 유형의 시험편을 선택하고, 저장된 시험할 농약들로부터 시험할 농약들을 선택한 다음, 선택한 유형의 시험편과 선택한 농약들을 기계 판독 가능 코드(machine readable codes)를 이용해서 식별하고(BC1, BC2), 이 코드들을 저장 장치(12)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때 시험편들을 캐리어 플레이트(30) 내에 준비하는데, 특히 상기 시험편들 또는 시험편들의 단편(BR) 각각을 배양액(301) 또는 겔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 캐리어 플레이드(30) 내의 웰(300)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준비하여 캐리어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이어 분무 장치(150, 151, 158)를 캐리어 플레이트(30)에 있는 웰(300)들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해서, 여기에 배치된 시험편에 선택한 농약을 분무하거나, 분무 장치(150, 151, 158)를 캐리어 플레이트(30)에 있는 웰(300)들 안에 삽입하고, 여기에 배치된 시험편에 선택한 농약을 분무한 다음 웰(300)로부터 다시 꺼낸다.
여기서 농약(pesticides)이란 바람직하게는 제초제나 살균제, 살충제(insecticides)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방법은, 우선 저장된 시험편들로부터 한 가지 유형의 시험편을 선택하고, 저장된 시험할 물질들 또는 혼합물들로부터 시험할 물질들 또는 시험할 혼합물들을 선택한 다음, 선택한 유형의 시험편과 선택한 물질 또는 혼합물들을 기계 판독 가능 코드를 이용해서 식별하고(BC1, BC2), 이 코드들을 저장 장치(12)에 전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시험편들을 캐리어 플레이트(30) 안에 준비하는데, 특히 시험편들 또는 시험편들의 단편(BR) 각각을 배양액(301) 또는 겔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 캐리어 플레이트(30) 내의 웰(300)에 넣는 방식으로 준비하여, 캐리어 플레이트를 설치한다. 이어 분무 장치(150, 151, 158)를 캐리어 플레이트(30)에 있는 웰(들)(300) 안에 삽입하여, 여기에 배치된 시험편에 선택한 물질 또는 선택한 혼합물을 분무한 다음 웰(300)으로부터 다시 꺼낸다.
또한 바람직한 방법은, 우선 저장된 시험편들로부터 특정한 식물종과 같은 한 가지 유형의 시험편을 선택하고, 저장된 시험할 물질들 또는 혼합물들로부터 시험할 물질들 또는 시험할 혼합물들을 선택한 다음, 선택한 유형의 시험편과 선택한 물질 또는 선택한 혼합물들을 기계 판독 가능 코드를 이용해서 식별하고 (BC1, BC2), 이 코드들을 저장 장치(12)에 전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시험편들을 캐리어 플레이트(30) 안에 준비하는데, 특히 시험편들 또는 시험편들의 단편(BR) 각각을 배양액(301) 또는 겔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 캐리어 플레이트(30) 안의 웰(300)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준비하여, 캐리어 플레이트를 설치하며, 이어 분무 장치(150, 151, 158)를 캐리어 플레이트(30)에 있는 웰(들)(300)의 바로 위에 위치 하도록 해서 여기에 배치된 시험편에 선택한 물질 또는 선택한 혼합물을 분무하는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매우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시험편을 우선 스탬핑 장치(2)에 전달하는데, 상기 장치는 예컨대 원형의 잎과 같은 단편(BR)을 시험편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스탬핑 아웃한 다음, 스탬핑 아웃한 이 단편을 고정시켜서, 배양액(301)이나 겔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 캐리어 플레이트(30)의 웰(300) 안에 배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각각 플레이트의 웰 내에 배치되어 있던, 다수의 농축 물질들 또는 농축 혼합물들이 제 2 입구 저장 장치(8)에 준비된다. 또한 혼합 장치(13)를 설치해서 각 웰에 있는 농축물과 보조 혼합물(11)로부터 시험편에 도포할 물질 또는 시험편에 도포할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한 물질 또는 이렇게 제조한 혼합물을 분무 장치(150, 151, 158)에 공급한다.
여기서 시험편이란 특히 식물 전체를 가리킨다.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팅 시스템을 제 1 입구 저장 장치(5)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제 1 입구 저장 장치(5)에는 시험편이 배치된 다수의 캐리어 플레이트(30)를 분무 전에 임시로 저장한다.
바람직한 테스팅 시스템에서, 분무 장치는 밀봉 링(152)을 갖는 노즐 몸체(150)를 포함하는데, 상기 밀봉 링(152)은 노즐 몸체(150)의 노즐(들)(151)을 캐리어 플레이트(30)의 각각의 웰(300)에 삽입할 때 캐리어 플레이트(30)의 웰(300)을 밀봉해서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분무 장치는 시험편 위에 도포할 물질 또는 시험편 위에 도포할 혼합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기(156) 및, 시험편 반대쪽 단부에 압축 공기 연결부가 있는 분무 채널(153)를 포함하되, 저장기(156)와 분무 채널(153)은 매우 좁은 공급 채널(157)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이 공급 채널(157)은 분무 채널(153) 안으로 통한다.
특히, 분무 장치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피펫(158)을 포함하는 테스팅 시스템이 매우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피펫(158)은 각각 하나의 저장 탱크(160)를 포함하는데, 물질 또는 혼합물을 우선 저장 탱크(160) 안에 흡입한 다음 압전식 방울 발생기(piezoelectric droplet generator)를 이용해서 하나 이상의 방울들을 잘 규정된(well-defined) 크기와 잘 규정된 속도로 노즐(162)을 통해 배출해서 시험편에 분무한다.
또한 노즐 몸체(150)가, 선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노즐과 이에 속하는 저장기, 분무 채널, 공급 채널 및 밀봉 링을 포함하거나, 선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마이크로 피펫(158)을 포함하는 테스팅 시스템의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노즐들 또는 마이크로 피펫들 간의 거리(D)는 일렬의 캐리어 플레이트(30) 내에 위치한 웰(300)들의 거리(E)와 일치한다.
특히, 노즐 몸체(150)가 하나의 급기 채널(154)과 배기 채널(들)(155)을 포함하는 테스팅 시스템이 바람직하며, 상기 채널들은 캐리어 플레이트(30)의 각 웰 (300) 안에 노즐(151)을 삽입할 때 웰(300)과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팅 시스템은 살충제나, 살균제, 제초제, 살비제, 살선충제를 시험하는데 적합하며, 이 가운데 특히 살충제나 살균제, 제초제를 시험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팅 시스템을 통해 특히 매우 많은 수의 물질들과 시험편을 시험하고, 시험편들과 시험한 물질들을 확실하게 식별 및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시험편들의 오염이 확실하게 방지되므로, 시험 결과가 영향을 받거나 왜곡되지 않는다. 이밖에도 본 발명에 따른 테스팅 시스템을 통해 어느 정도 전자동화된 작동이 가능해서 특히 밤새 감독하지 않고도 가동할 수 있다. 본 테스팅 시스템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서는 종속항을 참조한다.
도 1의 블록 회로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팅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개별 기능 블록들은 반드시 개별적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블록 회로도는 일차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팅 시스템의 동장 방식을 개관해서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테스팅 시스템의 개별 부품들은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원칙적으로 도 1에서 전체가 1로 표시된 테스팅 시스템의 실시예는 두 개의 실질적인 부분으로 구분된다. 즉, 조작자가 아직 수동으로 조작할 가능성이 있는 주변 영역(periphery area)(P)과 작동시 조작가 조작할 가능성이 전혀 없는, 다시 말해 모든 동작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핵심 영역(core area)(K)으로 구분된다. 주변 영역(P)과 핵심 영역(K)으로 나누는 이 같은 구분은 개별 영역들에서 실행되는 개별 동작들에 의해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이같은 구분은 매우 실용적인 구분 방법이지만, 기본적 동작 방식에 대해서 이 같은 구분히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사용 분야에 따라 다른 구분도 적절할 수 있다.
주변 영역(P)에서는, 스탬핑 장치(2)에서 잎을 원형의 잎으로 스탬핑 아웃 (또는 원형의 잎 다수를 동시에 스탬핑 아웃)한 다음,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micro titre plate)와 같은 캐리어 플레이트의 웰 안에 배치한다. 이같은 스탬핑 아웃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관해서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배치된 원형의 잎에 충분한 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들에 배양액을 채운다. 배양액은 예를 들어 한천(AGAR)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해조류 추출물 등을 이용해서 겔의 형태로 응고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채워진 웰 안에 원형의 잎을 배치한다. 배양액 또는 겔은 실온에서 액상이 아니기 때문에, 도 1의 단계 3에 따라 개별 웰들을 채울 때, 그 전에 가열을 해서, 응집 상태가 웰들을 채울 목적으로 단 시간에 액상이 되도록 한다. 이 같이 설치된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를 단계 4에서 제 1 입구 저장 장치(5)에 전달한다. 제 1 입구 저장 장치(5)는 테스팅 시스템(1)의 핵심 영역(K)의 부분이다.
제 1 입구 저장 장치(5)는 특히 잎이 배치된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캐리어 플레이트)를 항상 충분한 수만큼 준비시켜서, 핵심 영역에서 연속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테스팅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한다. 이는 예건대 밤에, 잎이 배치된 많은 수의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를 제 1 입구 저장 장치(5)에 전달해서, 밤새 감독 없이도 테스팅 시스템의 핵심 영역(K)에서 전자동 운전이 가능해짐을 의미한다. 잎이 배치된 개별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에는 기계 판독 가능 코드가 부여된다. 이 바 코드는 개별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의 일련 번호 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일련 번호가 부여된 간단한 바 코드 레이블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에 대해 특수한 레이블을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런 다음 데이터 뱅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가령 오러클 데이터 뱅크)에 어떤 유형의 시험편이 어떤 일련 번호의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에 위치하는지에 관한 해당 정보가 저장된다. 일반적으로(반드시는 아니지만) 동일한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의 웰들 안에 단 한 가지 유형의 시험편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뱅크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판독된 바 코드와 시험편 유형 간의 분류를 명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테스팅 시스템(1)은 핵심 영역(K)에 시험편을 위한 제 1 입구 저장 장치(5) 외에 제 2 입구 저장 장치(8)를 포함한다. 제 2 입구 저장 장치(8)에는 농축 물질이 전달되는데, 상기 농축 물질은 단계 6에서 "딥 웰 플레이트(Deep-Well-Plate(DWP))"와 같이 기계적으로 조작 가능한 용기나 -물질의 양에 따라-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MTP) 내에서 전달된다. 핵심 영역(K)에 전달된 딥 웰 플레이트는 이하에서 "딸 플레이트(daughter plate)"라고 한다. 로지스틱 시스템에 의해 딸 플레이트 내에서 전달된 농축 물질은 디메틸 술폭시화물(이하 간단히 DMSO라 한다), 아세톤, N, 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DMSO 등과 같은 용매에 용해된 활성 물질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고농축된 형태로 캐리어 플레이트의 웰 안에 준비된 원형의 잎에는 분무되어서는 안되고, 계면 활성제와 물과 같은 제형 보조제를 혼합함으로써 농축 물질을 적절한 분무 혼합물-이 분무 혼합물은 원래 원형의 잎 위에 분무할(그럼으로써 시험할) 물질이다-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딸 플레이트는 로지스틱 시스템에서 제조된다. 여기에서 소위 "모 플레이트(mother plate)"로부터 다수의 "딸 플레이트"가 제조되는데, 모 플레이트는 "딥 웰 플레이트(DWP)"와 같이 기계적으로 조작 가능한 용기나 -물질의 양에 따라- 그 웰에 일반적으로 1회 도우즈 이상의 농축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MTP)이다. 딸 플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모 플레이트의 하나의 웰로부터 단 한번의 분무 혼합물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양의 농축물(가령 DMSO와 같이 유기 용매에 용해된 활성 물질)을 꺼내어 딸 플레이트의 해당 웰 안에 채워 넣는다. 따라서 이 딸 플레이트는 원칙적으로 모 플레이트와 일치하는데, 단 딸 플레이트의 웰들 안에 1회의 분무 혼합물(즉 시험할 물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양이 정확하게 포함되어 있는 반면, 모 플레이트의 해당 웰들에는 각각 상기 양의 여러 배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로지스틱 시스템에 의해서 테스팅 시스템으로 운반할 때, 바람직하게는 농축 물질이 들어 있는 딸 플레이트들을 CO2 스노우(CO2-snow) 등으로 냉각해서 농축물이 고체가 되게 함으로써 인접한 웰들의 오염을 방지한다. 또한 농축 물질이 포함된 딸 플레이트의 웰들은 대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폐쇄 방식은 커버막을 이용한 밀봉인데, 이는 바람직한 경우 딸 플레이트에 접착, 가열 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될 수 있다. 또는 (웰을 폐쇄하기 위한) 다수의 개별 스토퍼를 구비한 커버인 소위 "캡 매트(Cap-Mat)"가 사용된다. 단계 7에서는 웰 내에 개별 농축 물질들에 접근할 수 있다. 이 접근은 예를 들어 캡 매트나 커버막을 제거하거나, 커버막은 그대로 둔 채 추후에 핵심 영역(K)에서 피펫 바늘으로 찌름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오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단계 7에서는 농축 물질을 포함하는 딸 플레이트를 개봉할 뿐만 아니라, 제 2 입구 저장 장치(8)에 전달하기도 한다. 제 2 입구 저장 장치(8)는 농축 물질을 포함하는 딸 플레이트를 항상 충분한 수로 준비해 두는 역할을 함으로써 핵심 영역(K)에서 연속 작동을 가능케 하고, 따라서 테스팅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예컨대 밤에, 농축 물질을 포함하는 다수의 딸 플레이트를 제 2 입구 저장 장치(8)에 전달해서, 밤새 감독 없이도 테스팅 시스템의 핵심 영역(K)에서 전자동 운전이 가능하게 됨을 의미한다. 농축 물질을 포함하는 개별 딸 플레이트에는 기계 판독 가능 코드(바 코드)가 부여된다. 이 바 코드는 다시 일련 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런 다음 데이터 뱅크에는 어떤 일련 번호가 부여된 딸 플레이트가 어떤 농축 물질(또는 농축 물질들)을 포함하는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농축 물질(용매에 용해된 활성 물질)은 로지스틱 시스템에 의해 딸 플레이트 안에 준비되는 반면, 여기서 설명하는 테스팅 시스템의 실시예에서는 시험할 물질을 함유한 분무 혼합물이 핵심 영역(K) 내에서 제조된다. 이에 반해, 분무 혼합물에 필요한 개별 제형 보조제는 핵심 영역(K)의 내부가 아니라 단계 9에서 준비된다. 이는 분무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이 제형 보조제를 혼합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되며, 이는 단계 10에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완성된 분무 혼합물은 단계 11에서 준비되므로, 핵심 영역(K) 내에서는 완성된 분무 혼합물에 자동으로 접근할 수 있다.
핵심 영역(K)에서 테스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원형의 잎이나 식물을 포함한 캐리어 플레이트를 제 1 입구 저장 장치(5)에 전달했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first-in first-out), 제 1 입구 저장 장치(5)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는 전체 캐리어 플레이트들로부터 특정 캐리어 플레이트를 선택하는 과정이 생략된다. 그러나 특정한 유형의 시험편들을 가진 캐리어 플레이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제 1 입구 저장 장치(5)에 저장된 캐리어 플레이트들로부터 해당 캐리어 플레이트를 선택한다. 캐리어 플레이트에 부여된 바 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캐리어 플레이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데이터 뱅크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서 해당 캐리어 플레이트를 찾을 수 있다("재고 관리(stock control)"). 그런 다음 사용된 캐리어 플레이트의 바 코드를 단계 BC1에서 판독해서 저장 장치(12)에 전달한다.
딸 플레이트를 제 2 입구 저장 장치(8)에 전달했던(first-in first-out) 것과 동일한 순서로 상기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물질들을 포함하는 분무 혼합물이 들어 있는 딸 플레이트를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한다. 이어 단계 BC2에서, 사용한 딸 플레이트의 바 코드를 판독하고, 저장 장치(12)에 전달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정상적인 경우 농축 물질을 원형의 잎에 직접 분무해서는 안되고, 우선 제형 보조제를 이용해서 분무 혼합물-실제로 시험할 물질-을 제조해야 한다. 단계 13에서 필요한 양의 제형 보조제를 피펫으로 딸 플레이트의 웰 안에 옮겨서, 분무 혼합물-시험할 물질-을 제조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딸 플레이트를 흔들어서 각각의 웰에서 분무 혼합물이 잘 혼합되도록 한다. 예컨대 초음파 장치를 이용한 고주파 쉐이킹 장치(shaking device) 또는 와류 장치("vortexer")등 다양한 방법으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13에서 분무 혼합물의 제조가 완료되면, 이제 분무 혼합물을 분무 장치로 전달해야 한다. 이 과정은 단계 14에서 이루어진다. 이 단계에서는 예컨대 피펫 로봇(pipetting robot)이 개별 웰들로부터 분무 혼합물을 꺼내서 분무 장치에 전달한 다음 분무 혼합물을 분무 장치의 노즐 몸체에 배치한다. 이 과정은 단계 15에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하기로 한다. 이어 단계 16에서 분무 혼합물을 웰에 들어 있는 원형의 잎이나 식물에 분무한다.
분무 혼합물이 분무된 원형의 잎이나 식물이 그 웰에 있는 캐리어 플레이트 (분무 혼합물이 분무된 원형의 잎이 들어 있는 캐리어 플레이트를 "테스팅 플레이트(test plate)"라고 한다)를 단계 17에서 제 1 출구 저장 장치(18)에 전달한다. 여기에서, 분무된 원형의 잎을 건조시키는데, 필요하면 환기를 통해 건조 과정을 보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또는 바람직한 경우, 분무된 원형의 잎이 담긴 테스팅 플레이트를 제 1 출구 저장 장치(18)에 전달하기 전에도 테스팅 플레이트 또는 적어도 개별 웰들을 밀봉할 수 있다. 웰이 비어 있는 딸 플레이트는 제 2 출구 저장 장치(19)에 전달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의 경우 이후의 단계들은 테스팅 시스템의 핵심 영역(K)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들은 한편으로는 딸 플레이트를 폐기 또는 리턴하거나 후속 처리하는 것이며, 단계 100에서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테스팅 플레이트를 계속 처리하는 것이다. 단계 101에서 출구 저장 장치로부터 테스팅 플레이트를 꺼내서 -시험 물질이 살충제나 살균제인 경우- 단계 102에서 가령 해충을 넣거나 진균 포자를 혼입한다(대안으로서 원형의 잎에 분무 혼합물을 분사하기 전에 -즉, 시험할 물질을 분무하기 전에- 잎을 이미 해충 또는 진균 포자로 오염시킬 수도 있다). 이어 감염된 원형의 잎이 담긴 테스팅 플레이트를 배양 단계(103) 하고, 예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평가 단계(104)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계 105에서 농축 물질의 양을 추가함으로써, 이미 얻은 결과를 확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별 단계 또는 개별 장치들을 실시예들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데, 상기 개별 단계 또는 개별 장치들은 일부는 주변 부분(P)에서, 또 일부는 핵심 영역(K)에서 실행되거나 또는 상기 영역들에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5는 스탬핑 장치(2)의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이한 작동 위치에 있는 스탬핑 장치의 개별 부품들이 도시된다. 스탬핑 장치(2)는 원형의 개구(200)를 갖는 지지 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스탬핑 장치는 홀딩 다운 장치(21)도 포함한다. 홀딩 다운 장치(21)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안내 장치(210)가 있다. 안내 장치(210)의 안에는 링형 블레이드(211)가 배치되어 있는데, 블레이드(211)는 원통형 안내 장치(210)의 종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링형 블레이드(211)의 안에는 블레이드(211)의 종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젝터(212)가 배치되어 있다. 이젝터(212) 자체는 상기 이젝터를 관통하는 압력/흡인 채널(213)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의, 지지 플레이트(20) 반대쪽 단부(214)는 초과 압원 또는 저압원(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도 2는 스탬핑 과정을 시작하기 직전의 작동 상태에 있는 스탬핑 장치(2)를 도시한 것이다. 잎(B) 등의 스탬핑할 시험편은 이미 지지 플레이트(20) 위에 얹혀져 있으며, 홀딩 다운 장치(21)에 의해 고정된다. 개구(200) 아래에는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30)(캐리어 플레이트)의 웰(300)이 배치되며, 웰 안에는 단계 3(도 1)에 따라 이미 배양액(301)이 들어 있다.
도 3은 절단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의 스탬핑 장치(2)를 도시한 것이다. 블레이드(211)는 잎(B) 및 이젝터(212)와 접촉한다. 이때 흡인 채널(213)에는 저압이 작용하므로, 절단된 원형의 잎이 개구(200)를 통해 웰(300)로 떨어지지 않고, 추후에 양호하게 규정되어 웰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스탬핑 아웃된 잎의 단편, 즉 원형의 잎(BR)을 갖는 스탬핑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캐리어 플레이트(30)의 웰(300) 안에 들어 있는 배양액(301)(또는 겔) 위에 원형의 잎을 내려 놓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흡기 채널(213) 내의 저압을 통해 원형의 잎(BR)이 이젝터(212)에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도 5는 원형의 잎(BR)을 배양액(301)(또는 겔)에 배치할 때의 스탬핑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흡기 채널(213)은 초과압원에 연결되므로, 흡인 채널(213) 내에 약간의 초과압이 형성되며, 이 초과압에 의해 원형의 잎(BR)은 이젝터(212)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잎을 배치한 다음 스탬핑 장치가 다시 출발 위치로 옴으로써, 다음 잎(B)이 지지 플레이트(20) 위에 놓이거나 지지 플레이트(20) 위에 방금 스탬핑한 잎(B)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다음의 원형의 잎들이 스탬핑 아웃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론 지지 플레이트의 개구(200)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다음 웰과 일치하게 된다. 그런 다음 스탬핑 과정이 다시 실시될 수 있으며, 이 같은 방법으로 전체 캐리어 플레이트(30)가 채워지게 된다.
도 6은 도 1의 단계 15에 따라 분무 장치의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서 노즐 몸체(150)의 노즐(151)은 원형의 잎(BR)이 배양액(301) 위에 놓인 캐리어 플레이트(30)의 웰(300) 안에 이미 담가져 있는 상태이다. 밀봉 링(152)을 이용해서 웰(300)을 밀폐하므로, 시험할 물질을 노즐(151)의 분무 채널(153)을 통해 원형의 잎에 분무할 때 캐리어 플레이트의 인접한 웰들이 오염되지 않는다. 시험할 물질-분무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분무(A)(에어로졸)의 형태로 원형의 잎에 도포된다. 종종 분무 후에도 분무 혼합물이 웰(300) 안에 잔류해서, 후에 인접한 웰에 배치된 원형의 잎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노즐 몸체(150)에 급기 채널(154)과 배기 채널(155)를 둔다. 도포 후, 여전히 남아 있는 분무 혼합물은 특히 노즐 몸체(150)를 캐리어 플레이트(30)로부터 분리하기 전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에어로졸을 웰(300)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세척하여 빼낸다. 이로써 인접한 웰에 배치된 원형의 잎의 오염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노즐 몸체(150)의 일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특히 딸 플레이트의 하나의 웰로부터 꺼낸, 완성된 분무 혼합물-시험할 물질(대개 약 10-100 마이크로 리터의 양)-을 피펫 바늘(PN)로 저장기(156) 안에 넣는 것을 알 수 있다. 저장기(156)는 직경이 매우 작은 공급 채널(157)을 거쳐 분무 채널(153)에 연결된다. 공급 채널(157)의 직경은, 분무 혼합물의 흡인 없이는 분무 혼합물이 분무 채널(153)에 도달할 수 없을 정도로 작다. 이 같은 분무 혼합물의 흡인은 원형의 잎 반대쪽에 있는, 분무 채널(153)의 단부에 압축 공기 연결부가 제공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압축 공기가 분무 채널(153)를 통해 유입되자마자, 공급 채널(157)에는 벤투리 원칙(Venturi principle)에 따라 저압이 형성되고, 이 저압은 분무 혼합물을 저장기(156)로부터 흡인해서 공급 채널(157)을 통해 분무 채널(153) 내의 공기 흐름과 혼합한다. 이로써 시험할 물질과 공기의 혼합물이 생성되고, 이 혼합물이 에어로졸(A)의 형태로 원형의 잎 위에 분무된다. 원형의 잎에 균일하게 분무가 이루어지도록 노즐(151)을 완전 원추형 노즐(full circle conical nozzle)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노즐 몸체는, 공급 채널(157)을 가진 저장기(156)가 노즐(151) 위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압축 공기가 분무 채널(153)를 거쳐 측면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축 공기는 연속적으로 공급하거나 불연속적으로 공급(다시 말해 분무 혼합물을 도포하기 직전에만 공급)할 수 있다. 압축 공기의 연속적인 공급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시험할 물질을 포함하는- 분무 혼합물을 원형의 잎 위에 도포하는 다른 수단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 수단들은 주로 마이크로 피펫(158)으로서, 마이크로 피펫(158)은 압전 트랜스듀서(piezoelectric transducer)를 이용해서 아주 미세한 방울들을 생성하며, 이 방울들의 크기는 매우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고 원형의 잎 위에 매우 정확하게 분무될 수 있다. 이 같은 마이크로 피펫의 작동 원리는 잉크젯 프린터에서 잉크를 분출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도 8에 도시한 마이크로 피펫(158)에 의해, 우선 저압이 압력/흡인 연결부(159)(베이어닛 연결부(bayonet joint)를 구비함)에 작용함으로써, 분무 혼합물이 딸 플레이트의 웰로부터 저장 탱크(160)로 흡인할 수 있다. 이어 마이크로 피펫은 분무할 원형의 잎이 있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웰 안으로 내려진다. 그런 다음 압전식 방울 발생기(161)(전기 제어 전압이 인가될 때 적절한 초음파 펄스를 생성한다)에 의해 잘 규정된 크기의 방울이 잘 규정된 속도로 노즐(162)로부터 분출된다. 이 같은 마이크로 피펫을 사용하면 분무 혼합물 에어로졸을 생성할 필요가 없는데, 이는 마이크로 피펫에 의해 충분히 미세한 크기의 방울을 생성해서 정확히 분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 피펫에 의해 특정 물질(분무 혼합물)을 위한 최적의 방울 크기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즐 몸체(150)는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이같은 마이크로 피펫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같은 마이크로 피펫과 여기에 부속된 시스템 부품(액추에이팅 장치)는 독일 노르더슈테트 소재의 마이크로 드롭 게엠베하사(社)에서 "오토 드롭 시스템(Autodrop-System)"이라는 이름으로 구입할 수 있다.
시험편에 분무 혼합물을 도포하기 위한 또 다른 적절한 수단은 초음파 액체 분무기이다. 초음파 분무기는 금속 원뿔에 접착된 압전 세라믹 디스크와 협동하는데, 이 디스크는 kHz 범위(예를 들어 100 kHz) 내에서 고주파 진동으로까지 여기된다. 이 같은 수단은 시판 중이다.
필요한 경우 시험편에 분무 혼합물을 도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펌프 분무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펌프 분무기는 일례로 화장품 업계에서 향수병에 사용한다. 펌프 분무기는 특히 원형의 잎이나 잘게 부순 식물의 일부를 시험편으로 사용할 때 적합하다.
마지막으로 도 9는 노즐 몸체(150)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개별 노즐(마이크로 피펫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들을 하나 이상의 열을 따라 배치한다. 개별 노즐들 간의 거리(D)는 원형의 잎이 놓인 캐리어 플레이트(30)의 웰들(예를 들어 24 또는 96개의 웰들)(300) 간의 거리(E)와 일치한다. 도 9의 실시예에서 노즐 몸체(150)에는 각 열마다 8 개의 노즐이 있는 2 개의 열을 설치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4 개의 노즐 그룹(노즐 몸체의 우측 에지에 있는 노즐 몸체의 섹션 참조)마다 하나의 저장기(156)(따라서 이 저장기로부터 각 분무 채널로 4 개의 공급 채널이 있다) 및, 하나의 압축 공기 연결부(따라서 이 압축 공기 연결부로부터 분무 채널로 4 개의 연결부가 있다)가 할당된다. 노즐 몸체는 클록식으로 캐리어 플레이트(30) 위로 움직여서 내려가며, 캐리어 플레이트의 2 개의 열의 웰들 안에 있는 원형의 잎 위로 동시에 분무 혼합물을 도포한다(이때 원형의 잎 4 개에 동일한 분무 혼합물이 도포된다.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분무된 4 개의 원형의 잎을 레플리커(replica)라고도 한다). 이어 웰이 세척되고, 노즐 몸체는 다시 올라가며 이 과정이 반복된다.
캐리어 플레이트의 개별 웰들 안에 배치된 원형의 잎 대신에, 잎 전체나 잎의 더 큰 단편을 캐리어 플레이트 위에 놓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며, 이 같은 캐리어 플레이트는 많은 수의 웰 대신, 표면적은 적절하게 넓지만 매우 깊지는 않은 단 하나의 웰을 포함함으로써, 잎이나 잎에서 잘라낸 더 큰 단편이 배양액 또는 겔 위에 준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특히 앞서 언급한 독일 노르더슈테트 소재 마이크로 드롭 게엠베하사의 "오토 드롭 시스템"을 이용해서 -앞서 언급한 것처럼- 시험할 물질을 매우 정확하게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사되는 인접한 지점들이 서로 적절한 최소 거리를 가질 때 실질적으로 오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경우 개별 원형의 잎이 있는 다수의 개별 웰들을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 대신, 간단하게 잎 전체나 잎의 더 큰 단편이 있는 하나의 캐리어 플레이트를 사용한다. 시험할 물질이 도포되는 개별 지점들은, 시험할 물질이 매우 정확하게 분무될 시에 인접한 지점들이 오염될 수 없을 정도로만 서로 떨어져 있으면 되고, 이는 원리적으로 실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팅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무 장치(150, 151, 158)는 캐리어 플레이트(30)의 웰(들)(300)의 바로 위에 위치해서, 여기에 배치된 시험편에 선택된 물질 또는 선택된 혼합물을 분무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인접한 시험편들이 분무에 직접 접촉해서 오염되는 것은, 적절한 부속 장치를 통해 분무젯의 각도를 웰(300)의 자유 직경으로 제한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분무 장치(150, 151, 158)를 위한 상기와 같은 부속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웰(300)과 동일한 자유 횡단면을 가지지만, 더 작은 자유 횡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부속 장치는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분무 장치(150, 151, 158)에 연결될 수 있거나 분무 직전에 적절한 고정 장치를 통해 웰(30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같은 유형의 부속 장치는 튜브 형태를 가지는데, 이 튜브의 길이는 분무 제트의 분무 각도를 튜브의 벽들에 의해 웰(300)의 자유 횡단면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시험편이 원형의 잎인 경우 바람직하게 부속 장치는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분무 장치(150, 151, 158)에 연결된다.
분무를 하기 전에, 부속 장치를 캐리어 플레이트(30)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팅 시스템의 상기의 실시예에서 부속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3 차원 격자의 형태로 주어지는데, 격자의 길이 및 폭은 캐리어 플레이트(30)의 길이 및 폭에 일치하며, 격자의 메시(mesh)의 수는 캐리어 플레이트 상의 웰(300)의 수와 일치한다. 이때 메시의 중심점은 각각 웰(300)의 중심점 위에 위치하므로, 메시의 벽 높이는 웰(300)의 벽 높이를 연장한 것이 된다. 바람직하게 메시는 웰(300)의 자유 개구를 포함한다.
시험편이 식물, 특히 물질 혹은 혼합물을 적용하는 시점에 이미 캐리어 플레이트(30)의 에지를 넘도록 자란 식물인 경우 3 차원 격자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의 경우 식물이 성장하기 전에 캐리어 플레이트(30) 상에 입체 격자를 설치한다. 따라서 캐리어 플레이트(30)의 에지를 넘어 성장한 식물이 인접 식물의 분무로 인해 오염되지 않도록 웰(300)의 벽을 높인다. 2 개 또는 다수 개의 동일한 유형의 격자를 겹쳐 쌓을 수 있도록 3 차원 격자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메시의 전체 벽 높이를 식물종이 자랄 것으로 예상되는 높이에 임의로 맞출 수 있게 된다.
도면들을 참고로 설명한 테스팅 시스템을 이용해서 매우 많은 수의 물질 및 시험편을 시험하고, 시험편과 시험한 물질들을 확실하게 식별 및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시험편(원형의 잎)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시험 결과가 영향을 받거나 왜곡되지 않는다. 이밖에도 본 발명에 따른 테스팅 시스템는 어느 정도 전자동화된 작동이 가능해서 특히 밤새 감독 없이도 가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팅 시스템의 특별한 장점은 아주 적은 양의 분무 혼합물(10-100 마이크로 리터)도 식물이나 식물의 일부에 높은 정확도로 미세하게 분포되어 분무될 수 있다는 점이다.

Claims (13)

  1. 시험할 농약을 시험편, 특히 식물 또는 잎들의 단편 등과 같은 식물의 일부에 도포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시험편에서 상기 농약의 효능을 조사하는, 농약 효능 테스팅 방법에 있어서,
    우선 저장된 시험편들로부터 한 가지 유형의 시험편을 선택하고, 저장된 시험할 농약들로부터 시험할 농약들을 선택하며,
    그런 다음 선택한 유형의 상기 시험편과 선택한 상기 농약들을 기계 판독 가능 코드를 이용해서 식별하고(BC1, BC2), 상기 코드들을 저장 장치(12)에 전달하는데, 배양액(301) 또는 겔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지고 캐리어 플레이트(30)에 제공된 웰(300) 내에 상기 각각의 시험편들 또는 상기 시험편들의 단편(BR)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시험편을 캐리어 플레이트(30) 내에 준비되게 배치하여,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0)를 정착하고,
    그 다음 분무 장치(150, 151, 158)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0) 내의 상기 웰(들)(300)의 바로 위에 배치하고 상기 웰에 배치된 상기 시험편에 선택한 상기 농약을 분무하거나, 상기 분무 장치(150, 151, 158)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0) 내의 상기 웰(들)(300) 내로 삽입하여 상기 웰에 배치된 상기 시험편에 선택한 상기 농약을 분무한 다음, 상기 웰(300)로부터 다시 꺼내는 테스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이 제초제, 살균제 또는 살충제인 테스팅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우선 저장된 상기 시험편들로부터 한 가지 유형의 시험편을 선택하고, 저장된 상기 시험할 농약들 또는 상기 농약 혼합물들로부터 시험할 상기 농약들 또는 시험할 상기 농약 혼합물들을 선택하며,
    그런 다음 선택한 유형의 상기 시험편과 선택한 농약들 또는 선택한 상기 농약 혼합물들을 기계 판독 가능 코드를 이용해서 식별하고(BC1, BC2), 상기 코드들을 저장 장치(12)에 전달하는데, 배양액(301) 또는 겔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지고 캐리어 플레이트(30)에 제공된 웰(300) 내에 상기 각각의 시험편들 또는 상기 시험편들의 단편(BR)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시험편을 캐리어 플레이트(30) 내에 준비되게 배치하여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0)를 장착하고,
    이어 분무 장치(150, 151, 158)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0) 내의 상기 웰(들)(300) 안에 삽입하여 상기 웰에 배치된 상기 시험편에 선택한 상기 농약 또는 선택한 상기 농약 혼합물을 분무한 다음 상기 웰(300)으로부터 다시 꺼내는 테스팅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우선 저장된 시험편으로부터 특정한 식물종과 같은 한 가지 유형의 시험편을 선택하고, 저장된 시험할 농약들 또는 농약 혼합물들로부터 시험할 상기 농약들 또는 시험할 상기 농약 혼합물들을 선택하며,
    그런 다음 선택한 유형의 상기 시험편과 선택한 상기 농약들 또는 선택한 상기 농약 혼합물들을 기계 판독 가능 코드를 이용해서 식별하고(BC1, BC2), 상기 코드들을 저장 장치(12)에 전달하는데, 배양액(301) 또는 겔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지고 캐리어 플레이트(30)에 제공된 웰(300) 내에 상기 각각의 시험편들 또는 상기 시험편들의 단편(BR)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시험편을 캐리어 플레이트(30) 내에 준비되게 배치하여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0)를 장착하고,
    그 다음 상기 분무 장치(150, 151, 158)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0) 내의 상기 웰(들)(300)의 바로 위에 배치해서 상기 웰에 배치된 상기 시험편에 선택한 상기 농약들 또는 선택한 상기 농약 혼합물을 분무하는 테스팅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을 우선 스탬핑 장치(2)에 전달하며, 상기 스탬핑 장치는 상기 시험편으로부터 예컨대 원형의 잎(BR)과 같은 단편을 자동으로 스탬핑 아웃(stamp out)한 다음, 스탬핑 아웃한 이 단편을 유지해서, 배양액(301)이나 겔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0)의 상기 웰(300) 안에 배치하는 테스팅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플레이트의 웰들 안에 각각 배치된 다수의 농축 농약 또는 농축 농약 혼합물을 제 2 입구 저장 장치(8)에 준비하며,
    각 웰에 제공된 농축물과 보조 혼합물(11)로부터, 시험편에 도포할 농약 또는 시험편에 도포할 농약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 장치(13)를 제공하고,
    상기와 같이 제조한 농약 또는 상기와 같이 제조한 농약 혼합물을 그때 상기 분무 장치(150, 151, 158)에 전달하는 테스팅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이 전체 식물인 테스팅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테스팅 시스템에 있어서,
    시험편들이 설치된 다수의 캐리어 플레이트(30)를 분무 전에 임시로 저장하는 제 1 입구 저장 장치(5)를 포함하는 테스팅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장치는 노즐 몸체(150)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몸체는 밀봉 링(152)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링은 상기 노즐 몸체(150)의 노즐(들)(151)을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0)의 각각의 상기 웰(300)에 삽입할 때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0)의 상기 웰(300)을 밀봉해서 밀착시켜 둘러싸며,
    상기 분무 장치는 상기 시험편 위에 도포할 상기 농약 또는 상기 시험편 위에 도포할 상기 농약 혼합물을 위한 저장기(156) 및, 상기 시험편으로부터 원격인 단부에 압축 공기 연결부를 구비한 분무 채널(153)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기(156)와 상기 분무 채널(153)은 매우 좁은 공급 채널(157)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공급 채널(157)은 상기 분무 채널(153) 내로 통하는 테스팅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장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피펫(158)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피펫(158)은 각각 하나의 저장 탱크(160)를 포함하고, 상기 농약 또는 상기 농약 혼합물이 우선 상기 저장 탱크(160) 안에 흡인된 다음 압전식 방울 발생기를 사용함으로써, 잘 규정된 크기의 하나 이상의 여러 방울들이 잘 규정된 속도로 노즐(162)을 통해 분출되어 그에 따라서 상기 시험편에 분무되는 테스팅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몸체(150)는 선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노즐 및 이에 속하는 저장기, 분무 채널, 공급 채널 및 밀봉 링을 포함하거나, 선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마이크로 피펫(158)을 포함하며, 상기 개별 노즐들 또는 상기 마이크로 피펫들 간의 거리(D)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0)에 일렬로 놓인 웰(300) 간의 거리(E)와 일치하는 테스팅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몸체(150)는 급기 채널(154) 또는 급기 채널(154)들과 배기 채널(155) 또는 배기 채널(155)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0)의 각각의 상기 웰(300) 안에 상기 노즐(151)이 삽입될 때 상기 웰(300)과 연통하면서 연결되도록, 각각 배치되는 테스팅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시험할 상기 화학 농약들이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살비제 또는 살선충제인 테스팅 시스템.
KR10-1998-0706831A 1996-03-05 1997-02-28 화학물질 또는 혼합물을 위한 테스팅 시스템 KR100500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810124 1996-03-05
EP96810124.6 1996-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414A KR19990087414A (ko) 1999-12-27
KR100500481B1 true KR100500481B1 (ko) 2005-11-22

Family

ID=822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831A KR100500481B1 (ko) 1996-03-05 1997-02-28 화학물질 또는 혼합물을 위한 테스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6277642B1 (ko)
EP (1) EP0885395B1 (ko)
JP (1) JP4071284B2 (ko)
KR (1) KR100500481B1 (ko)
AT (1) ATE203106T1 (ko)
AU (1) AU714880B2 (ko)
BR (1) BR9707942B1 (ko)
DE (1) DE59704014D1 (ko)
IL (1) IL125861A (ko)
WO (1) WO1997033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1284B2 (ja) * 1996-03-05 2008-04-02 シンジェンタ パーティシペーションズ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化学物質または化学物質混合物の検査システム
US6739518B1 (en) 1999-12-21 2004-05-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pray applicator
DE10046175A1 (de) * 2000-09-19 2002-03-28 Augustinus Bad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üchten und/oder Behandeln von Zellen
EP1252930A1 (de) 2001-04-27 2002-10-30 Tecan Trading AG Sprühkopf
US6626051B2 (en) 2001-08-14 2003-09-30 Investigen Biotechnologies, Inc. Lid for sample holder
EP1444041A2 (en) * 2001-09-21 2004-08-11 Solvias AG Sealing system with flow channels
US7141386B2 (en) * 2002-10-31 2006-11-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ell culture device
EP3029135B1 (en) 2005-07-07 2021-03-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pparatus for cell culture array
US9637715B2 (en) 2005-07-07 2017-05-02 Emd Millipore Corporation Cell culture and invasion assay method and system
US8257964B2 (en) 2006-01-04 2012-09-04 Cell ASIC Microwell cell-culture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US9388374B2 (en) 2005-07-07 2016-07-12 Emd Millipore Corporation Microfluidic cell culture systems
US9354156B2 (en) 2007-02-08 2016-05-31 Emd Millipore Corporation Microfluidic particle analysis method, device and system
US7807446B2 (en) * 2006-02-13 2010-10-05 Monsanto Technology Llc High throughput system and methods for analyzing liquid formulations
KR100886842B1 (ko) 2007-04-23 2009-03-0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체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화합물을 탐색 방법
ES2882661T3 (es) 2008-01-03 2021-12-02 Emd Millipore Corp Sistema de matriz de cultivo celular para ensayos automatizados y métodos de funcionamiento y de fabricación del mismo
NL1036276C2 (nl) * 2008-12-03 2010-06-07 Visser S Gravendeel Holding Inrichting voor het bevatten van plantmateriaal en systeem voor verwerking daarvan.
KR101185847B1 (ko) 2009-05-27 2012-09-27 대한민국 벼의 생엽절편을 이용한 병원균 억제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JP5601445B2 (ja) * 2009-12-14 2014-10-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検液の充填方法
US9353342B2 (en) 2010-01-21 2016-05-31 Emd Millipore Corporation Cell culture and gradient migration assay methods and devices
US10526572B2 (en) 2011-04-01 2020-01-07 EMD Millipore Corporaticn Cell culture and invasion assay method and system
SG11201402558QA (en) 2011-12-03 2014-06-27 Emd Millipore Corp Micro-incubation systems for microfluidic cell culture and methods
US10379016B1 (en) * 2018-09-18 2019-08-13 King Saud University Apparatus for inoculating agar plat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7678A (en) * 1973-02-21 1974-12-31 Us Agriculture Method for determining toxicity of phytotoxins in plants
US4168206A (en) * 1977-05-02 1979-09-18 Philadelphia 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Impregnated disk method for testing antifungal susceptibility
FI63638C (fi) * 1980-04-28 1983-07-11 Suovaniemi Finnpipette Kodsystem i flerkanalanalysanordning och anordning foer systemet
US4506010A (en) * 1981-02-23 1985-03-19 Stauffer Chemical Company Method for testing microbial degradation of cellulose
CH665217A5 (de) * 1985-02-15 1988-04-29 Agrogen Stift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 vitro kultur von pflanzenzellen, pflanzengeweben, pflanzenorganen, pflanzenteilen sowie zur mikropropagation und regeneration von ganzen pflanzen.
US4678894A (en) * 1985-04-18 1987-07-07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Sample identification system
CA1285536C (en) * 1987-03-11 1991-07-02 Akihiro Ohoka Dispensing machine
NZ227406A (en) 1987-12-31 1990-04-26 Nomix Mfg Co Ltd Spraying apparatus with calibration of sprayer pump; reversing pump returns calibrating liquid to source
DE4024545A1 (de) * 1990-08-02 1992-02-06 Boehringer Mannheim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osierten zufuehren einer biochemischen analysefluessigkeit auf ein target
US5976848A (en) * 1990-08-03 1999-11-02 Dow Agrosciences Llc Method of identifying potential fungicides using dihydroorotate dehydrogenase inhibition assay
US5780253A (en) * 1995-05-04 1998-07-14 Sandoz Ltd. Screening method for detection of herbicides
JP4071284B2 (ja) * 1996-03-05 2008-04-02 シンジェンタ パーティシペーションズ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化学物質または化学物質混合物の検査システム
US5738728A (en) * 1996-07-26 1998-04-14 Bio Dot, Inc. Precision metered aerosol dispen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707942B1 (pt) 2009-01-13
EP0885395B1 (de) 2001-07-11
US6277642B1 (en) 2001-08-21
JP2000506268A (ja) 2000-05-23
IL125861A (en) 2001-12-23
AU2023097A (en) 1997-09-22
EP0885395A1 (de) 1998-12-23
US6613542B2 (en) 2003-09-02
DE59704014D1 (de) 2001-08-16
US20020110920A1 (en) 2002-08-15
ATE203106T1 (de) 2001-07-15
IL125861A0 (en) 1999-04-11
BR9707942A (pt) 1999-07-27
WO1997033179A1 (de) 1997-09-12
KR19990087414A (ko) 1999-12-27
AU714880B2 (en) 2000-01-13
JP4071284B2 (ja)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481B1 (ko) 화학물질 또는 혼합물을 위한 테스팅 시스템
JP3821845B2 (ja) 生物学的物質の凍結保存と低温処理方法
US20080286751A1 (en) Dispensing Device For Microfluidic Droplets Especially For Cytometry
US8029744B2 (en) Method of liquid droplet formation and transport apparatus therefor and particle manipulating apparatus
US6399395B1 (en) Device and method of applying microdroplets to a substrate
US6511849B1 (en) Microarrays of biological materials
WO2007112862A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magnetic particles from liquids containing said particles, and an array of vessels suitable for use with such an apparatus
CN113543885A (zh) 吸液管吸头扩展件
GB2043030A (en) Flushing container for sampling probe
EP1212133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bringen einer mehrzahl von mikrotröpfchen auf ein substrat
JP2021500546A (ja) 試薬送達システム
US202101153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amples containing biological cells
US6431015B1 (en) Delivery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pipette tip
KR102404442B1 (ko) 기판을 코팅하기 위한 분무 프로세스
CN101236162A (zh) 用于快速微生物分析试剂的喷洒装置
CA2247261C (en) Testing system for chemical substances or mixtures
US11090938B1 (en) Multi-array ejection head and method of use
EP3862093A1 (en) Maintenance reservoir
US20020187478A1 (en) Rapid pharmaceutical component screening devices and methods
EP1401569B1 (de) Vorrichtung zur gleichzeitigen multiplen und hochparallelen synthese
US71322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argeted delivery of materials to selected single cells
US20050118067A1 (en) Device to print biofluids
US20210247413A1 (en) Removable Maintenance Fluid Holder
WO2022194543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setzen von flüssigkeit auf träger
WO2023147908A1 (de) Vorrichtung und ein zur durchführung bestimmtes verfahren zur untersuchung und/oder behandlung einer insbesondere biologischen oder medizinischen pro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09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