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780B1 - Seat assembly for bus - Google Patents

Seat assembly for b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780B1
KR100499780B1 KR10-2002-0073568A KR20020073568A KR100499780B1 KR 100499780 B1 KR100499780 B1 KR 100499780B1 KR 20020073568 A KR20020073568 A KR 20020073568A KR 100499780 B1 KR100499780 B1 KR 100499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us
movable
mov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5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45719A (en
Inventor
박은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3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780B1/en
Publication of KR20040045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7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78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2Bus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버스의 시트구조가 시트 크기의 제한 및 옆사람과의 좁은 간격으로 인해 체격이 큰 사람은 옆사람과 접촉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seat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bus is limited in the size of the seat and the person with a large physique is in contact with the next person due to the narrow space with the next person, which limits the user's convenience,

차체 중앙의 이동통로를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이열시트가 구비된 버스의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열시트는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시트와,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시트의 측부에 설치된 이동시트와, 상기 이동시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을 가이드 레일에 고정시켜 상기 이동시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로 구성됨으로써,In the seat structure of a bus having a row seat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moving passage in the center of the body, the row seat is a fixed seat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side of the fixed seat to be movable A moving seat installed on the side, a moving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sheet,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rail, and a position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sheet by fixing the moving rail to the guide rail. By being composed of government,

버스가 주행하는 도중에 이동통로를 좌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격이 큰 승객이 불편없이 편안한 여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시트구조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seat structure of a bus that allows the use of a moving passage as a seating space while the bus is running so that a large-sized passenger can travel comfortably without inconvenience.

Description

버스의 시트구조{ Seat assembly for bus } Seat structure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의 승객들이 앉아 갈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시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버스가 주행중일 때 승객들이 보다 편안하게 앉아 갈 수 있도록 한 버스의 시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structure of a bus that allows passengers of a bus to s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structure of a bus that enables a seat to be moved so that passengers can sit more comfortably while the bus is running. .

일반적으로 시내버스나 고속버스와 같이 장거리를 주행하는 버스의 경우에는 대부분 차체 중앙의 이동통로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시트가 배열되어 있다. 대부분 이동통로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이열시트가 배열되고, 맨 뒤쪽에는 5명의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5개의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모든 버스가 그런 구조를 가진 것은 아니고, 최근에 등장한 우등 고속버스와 같이 중앙통로의 양측 중 일측에는 이열시트가 배열되고 다른 일측에는 독립시트가 배열된 구조를 갖는 것도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buses that travel long distances, such as city buses and express buses, seats are arranged on both sides centering on a moving passage in the center of the body. Mostly, two rows of seat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passage, and five seats are installed at the rear so that five passengers can sit. Of course, not all buses have such a structure, and there are also structures in which two rows of sheets ar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passage and independent sheets are arranged on the other side, such as a high-speed bus which has recently appeared.

도 1은 종래의 버스의 시트구조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중앙통로(10)의 양측에 이열시트(20)가 각각 배열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이열시트(20)는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시트이며, 승객이나 운전자가 임의로 그 위치를 변경시킬 수 없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seat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us, in which two rows of sheets 20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a central passage 10. The row seat 20 is a fixed seat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body, the passenger or driver can not arbitrarily change its position.

따라서, 체격이 큰 승객의 경우에는 좌우 공간이 너무 좁아 편하게 앉아갈 수 없게 된다. 즉, 현대인들은 식생활의 개선 등으로 인하여 체격이 매우 커지고 있으나, 시트의 규격은 버스의 폭에 의해 제한되어 키우기가 어려우므로 옆사람과 접촉될 수밖에 없다. 옆사람과의 신체적 접촉은 승객으로 하여금 상당한 불쾌감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승객의 편의성 저하와 관련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large physique, the left and right spaces are too narrow to sit comfortably. That is, modern people are getting very large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ir diet, but the size of the seat is limited by the width of the bus, so it is difficult to raise it, so there is no choice but to contact the next person. Physical contact with the next person can cause a significant discomfort to the passenger, which i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the comfort of the passenger.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최근에는 승객이 보다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버스에 설치된 시트의 숫자를 줄여 시트의 크기를 키우거나 시트간 간격을 넓힌 우등 고속버스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우등 고속버스와 같은 새로운 형식의 버스는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는 성공하였으나, 버스에 설치되는 좌석의 숫자가 기존의 버스에 비해 매우 적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버스회사에서는 이러한 신형 버스의 운임을 대폭 증가시켜 적자가 나지 않도록 하였으며, 이는 승객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되는 결과를 야기하였다.For this reason, in order to make passengers more comfortable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seats installed on the bus has been reduced to increase the size of seats or to increase the space between seats. New types of buses, such as high-speed express buses, have succeeded in improving passenger convenience, but the number of seats installed in the buses is very small compared to conventional buses. Accordingly, the bus company has greatly increased the fare of these new buses so as not to deficit, which ha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economic burden on the passengers.

다시 말해서, 종래의 버스의 시트구조는 시트 크기의 제한 및 옆사람과의 좁은 간격으로 인해 체격이 큰 사람은 옆사람과 접촉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seat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us has a problem in that a person having a large physique is in contact with a next person due to a limitation of a seat size and a narrow distance from a next person, thereby limit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행 도중에 사용되지 않는 공간인 중앙의 이동통로 방향으로 하나의 시트를 이동시켜 시트간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체격이 큰 사람들이 옆사람과의 접촉 없이 편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한 버스의 시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moving one shee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movement path, which is not used during driving, by forming a gap between the seats and people with a large physiqu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eat structure of a bus so that it can travel comfortably without contact.

시외버스나 고속버스와 같이 장거리를 주행하는 버스의 경우에는 승객이 한번 승차한 이후에는 장시간 동안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중앙의 이동통로 공간이 거의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이 공간을 활용하여 시트간 간격을 형성하면 기존과 동일한 크기의 시트를 사용하더라도 옆사람과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buses that travel long distances such as intercity buses and express buses, the passengers do not move for a long time after the passengers have boarded once, and thus the center moving passage space is rarely used. Therefore, if the space between the sheets is formed by utilizing this space, the space with the next person can be widened even if the same size sheet is use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 중앙의 이동통로를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이열시트가 구비된 버스의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열시트는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시트와,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시트의 측부에 설치된 이동시트와, 상기 이동시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시트의 하측에 형성된 브라켓에 힌지 고정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연결 설치되고 끝단이 상기 이동레일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홈에 삽입되어 이동레일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구와, 일단은 상기 이동시트에 결착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에 결착되어 상기 손잡이를 탄발시키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the seat structure of the bus is provided with a row seat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moving passage in the center of the body, the row seat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seat and A moving sheet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xing sheet to move in a lateral direction, a moving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sheet,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rail, and a bracket formed under the moving sheet. A hinge fixed to the handle, a fixture connected to the handle and having an end inserted into a groove of the guide rail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movable rail to restrict movement of the movable rail, and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movable sheet and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turn spring is fastened to the handle and the elasticity of the hand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시트구조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중앙의 이동통로(60)를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이열시트(50)가 설치되고, 상기 이열시트(50)는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시트(51)와,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시트(51)의 측부에 설치된 이동시트(52)와, 상기 이동시트(52)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레일(53)과, 상기 이동레일(53)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54)과, 상기 이동레일(53)을 가이드 레일(54)에 고정시켜 상기 이동시트(52)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로 구성된다.In the seat structure of the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6, a row sheet 50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oving passage 60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and the row sheet 50 is provided. Is a fixed seat 51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body, the movable seat 52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xed seat 51 to be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movement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seat 52 A rail 53, a guide rail 54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rail 53, and the movable rail 53 are fixed to the guide rail 54 to fix the position of the movable sheet 52. It consists of location fixing.

물론, 상기 고정시트(51)는 창 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시트(52)는 차체 중앙의 이동통로(60) 쪽에 설치된다. 또, 상기 이열시트(50)는 일반적인 버스의 경우에는 중앙통로(60)의 양측에 설치되고, 우등 고속버스와 같은 새로운 형식의 버스에서는 중앙통로(60)의 일측에 설치된다.Of course, the fixing seat 51 is installed on the window side, the moving seat 52 is installed on the moving passage 60 side of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In addition, the heat sheet 5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assage 60 in the case of a general bus,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passage 60 in a new type of bus such as a high-speed express bus.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이동시트(52)의 하측에 형성된 브라켓(58)에 힌지 고정된 손잡이(55)와, 상기 손잡이(55)에 연결 설치되고 끝단이 상기 이동레일(53)에 형성된 구멍(53')을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54)의 홈(54')에 삽입되어 이동레일(53)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구(56)와, 일단은 상기 이동시트(52)에 결착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55)에 결착되어 상기 손잡이(55)를 탄발시키는 리턴 스프링(5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54)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홈(54')이 형성되어 이동시트(52)의 위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이드 레일(54)의 홈(54') 및 상기 이동레일(53)의 구멍(53')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상기 고정구(56)의 출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The position fixing part has a handle 55 hinged to the bracket 58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ving sheet 52 and a hole 53 connected to the handle 55 and having an end thereof formed at the moving rail 53. A fastener 56 inserted into the groove 54 'of the guide rail 54 to restrict movement of the movable rail 53, and one end of which is attached to the movable seat 52 and the other end of the handle It is composed of a return spring (57) which is attached to the (55) to force the handle (55). Here, at least two grooves 54 ′ may be formed in the guide rails 54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movable sheet 52. In addition, the groove 54 'of the guide rail 54 and the hole 53' of the movable rail 53 are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laterally, which is to facilitate entry and exit of the fixture 56. will b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버스의 시트구조는 버스 주행 중에 이동시트를 이동시켜 고정시트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게 된다.The seat structure of the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acilitates the user's convenience by moving the movable seat while driving the bus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xed seat.

승객이 버스에 탑승하는 경우에는 이열시트(50)의 이동시트(52)와 고정시트(51)를 붙여 놓음으로써, 이동통로(60)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이동통로(60)를 통해 승객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승객의 탑승이 완료되면, 이열시트(50)의 이동시트(52)를 중앙통로(60) 쪽으로 이동시켜 이동시트(52)와 고정시트(51)가 소정의 간격을 갖게 한다. 이때, 상기 이동시트(52)는 하부에 설치된 이동레일(53)이 가이드 레일(54)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그 위치가 변하게 되며, 상기 이동시트(52)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 후 위치고정부를 이용하여 이동시트(52)가 움직이지 않게 그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When the passenger boards the bus, by attaching the movable seat 52 and the fixed seat 51 of the row seat 50, the passengers are secured through the movable passage 60 by sufficiently securing the space of the movable passage 60. Make it moveable. When the passenger's boarding is completed, the movable seat 52 of the row seat 50 is moved toward the central passage 60 so that the movable seat 52 and the fixed seat 51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is time, the moving sheet 52 is changed in position as the moving rail 53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is moved along the guide rail 54, the position after the moving sheet 52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government seat is fixed so that the moving sheet 52 does not move.

즉, 이동시트(52)를 적당한 거리까지 이동시켜 이동레일(53)의 구멍(53')이 가이드 레일(54)의 홈(54')과 일치되도록 한 후, 손잡이(55)를 움직여 고정구(56)가 상기 이동레일(53)의 구멍(53')을 통해 가이드 레일(54)의 홈(54')에 끼워지게 한다. 따라서, 이동레일(53)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이동시트(52)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That is, the movable seat 52 is moved to a suitable distance so that the hole 53 'of the movable rail 53 is aligned with the groove 54' of the guide rail 54, and then the handle 55 is moved to fix the fastener ( 5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54 'of the guide rail 54 through the hole 53' of the movable rail 53.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moving rail 53 is limited, the moving sheet 52 is not moved.

이와 같이 이동시트(52)와 고정시트(51)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이동시트(52)를 이동시키게 되면, 이동시트(52) 또는 고정시트(51)에 착석한 승객들이 서로간의 신체적 접촉없이 편안한 여행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동행이 없이 홀로 여행하는 승객의 경우에는 옆사람과의 신체적 접촉으로 인한 불쾌감 등이 발생되지 않아 쾌적한 여행을 즐길 수 있다. 물론, 승객의 취향에 따라 이동시트(52)를 이동시키지 않고 고정시트(51)와 붙여 놓고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동시트(52)와 고정시트(51) 사이의 위치 조정을 통해 옆 사람과의 간격 조절 역시 가능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movable sheet 52 and the fixed sheet 51 move the movable sheet 52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assengers seated on the movable sheet 52 or the fixed sheet 51 are not physically contacted with each other. You will be able to travel comfortabl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assengers traveling alone without accompaniment, discomfort due to physical contact with the next person does not occur and thus they can enjoy a pleasant trip. Of course,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passenger can also be used to be attached to the fixed seat 51 without moving the movable seat 52, the distance between the person by the position adjustment between the movable seat 52 and the fixed seat 51 Adjustment is also possible.

버스가 정지한 후 승객들이 하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치고정부의 위치고정을 해제하고, 이동시트(52)를 고정시트(51) 쪽으로 붙여서 이동통로(60)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승객들의 이동이 원활하게 한다. 즉, 손잡이(55)를 움직여 가이드 레일(54)의 홈(54')으로부터 고정구(56)를 빼내게 되면, 리턴 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하여 손잡이(55)는 이동레일(54)의 구멍(54')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54)을 따라 이동레일(53)을 움직일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이동시트(52)를 고정시트(51) 쪽으로 붙일 수 있게 된다. 이동시트(52)가 고정시트(51) 쪽에 붙게 되면, 이동시트(52) 사이의 이동통로(60)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승객의 이동에는 불편함이 없게 된다.If the passengers want to get off after the bus stops, the passengers move smoothly by releasing the position fixing of the position fixing part and attaching the moving seat 52 toward the fixed seat 51 to secure the space of the moving passage 60. Let's do it. That is, when the handle 55 is moved to remove the fastener 56 from the groove 54 'of the guide rail 54, the handle 55 is ope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57. Departure from 54 '. Therefore, the movable rail 53 can be moved along the guide rail 54, and as a result, the movable sheet 52 can be attached to the fixed sheet 51. When the moving sheet 52 is attached to the fixing sheet 51 side, the moving passage 60 between the moving sheet 52 can be sufficiently secured, so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the movement of the passenger.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버스의 시트구조는 차체 중앙의 이동통로(60)를 승객의 승하차시에는 통로 공간으로 이용하고, 버스가 주행하는 도중에는 좌석 공간으로 이용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승객의 편의성과 거주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eat structure of the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movement passage 60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as a passage space when the passengers get on and off, and as a seating space while the bus is running, thereby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The passenger's convenience and habitability will be improv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버스의 시트구조는 버스가 주행하는 도중에 이동통로를 좌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격이 큰 승객이 불편없이 편안한 여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As such, the seat structure of the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passengers with large physique to travel comfortably without inconvenience by utilizing the movement passage as a seating space while the bus is running.

도 1은 일반적인 버스의 시트구조가 도시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structure of a typical bu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시트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structure of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도로서 시트 이동 전의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the sheet movement as a detail view "A" of FIG.

도 4는 도 2의 "A"부 상세도로서 시트 이동 후의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after sheet movement as a detail view "A" in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위치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sition fixing unit that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위치 고정부의 작동 개념이 도시된 참고도이다.6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concept of the position fixing unit.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51 : 고정시트 52 : 이동시트51: fixed sheet 52: moving sheet

53 : 이동레일 53' : 구멍53: moving rail 53 ': hole

54 : 가이드 레일 54' : 홈54: guide rail 54 ': groove

55 : 손잡이 56 : 고정구55: handle 56: fixture

57 : 리턴 스프링 58 : 브라켓57: return spring 58: bracket

Claims (4)

차체 중앙의 이동통로를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이열시트가 구비된 버스의 시트구조에 있어서,In the seat structure of a bus provided with a row seat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oving passage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상기 이열시트는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시트와,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시트의 측부에 설치된 이동시트와, 상기 이동시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시트의 하측에 형성된 브라켓에 힌지 고정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연결 설치되고 끝단이 상기 이동레일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홈에 삽입되어 이동레일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구와, 일단은 상기 이동시트에 결착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에 결착되어 상기 손잡이를 탄발시키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시트구조.The row seat is a fixed seat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body, a movable seat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xed seat so as to be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a movabl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seat, and the movement of the movable rail A guide rail for guiding, a handle hinged to a bracke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vable seat, and a tip connected to the handle and inserted into a groove of the guide rail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movable rail to move the movable rail. Restriction fixture and the seat structure of the bu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is fixed to the movable seat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handle and the return spring to elastic the handl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 레일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시트구조.The guide rail has a seat structure of a b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t least two grooves.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가이드 레일의 홈 및 상기 이동레일의 구멍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시트구조.The groove of the guide rail and the hole of the movable rail are seat structure of the b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clined in the lateral direction.
KR10-2002-0073568A 2002-11-25 2002-11-25 Seat assembly for bus KR1004997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568A KR100499780B1 (en) 2002-11-25 2002-11-25 Seat assembly for b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568A KR100499780B1 (en) 2002-11-25 2002-11-25 Seat assembly for b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719A KR20040045719A (en) 2004-06-02
KR100499780B1 true KR100499780B1 (en) 2005-07-07

Family

ID=3734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568A KR100499780B1 (en) 2002-11-25 2002-11-25 Seat assembly for b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78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2439U (en) * 1980-07-15 1982-02-05
JPS58116231A (en) * 1981-12-29 1983-07-11 Tachikawa Spring Co Ltd Transversely sliding seat apparatus
KR19980044067U (en) * 1996-12-26 1998-09-25 임경춘 Removable seats for leisure vehicles
KR19980052826U (en)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Sheet shifter
KR19980086085A (en) * 1997-05-31 1998-12-05 양재신 Left and right movable seat structure of bus
KR20020083820A (en) * 2001-04-30 2002-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hifter of seat for b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2439U (en) * 1980-07-15 1982-02-05
JPS58116231A (en) * 1981-12-29 1983-07-11 Tachikawa Spring Co Ltd Transversely sliding seat apparatus
KR19980044067U (en) * 1996-12-26 1998-09-25 임경춘 Removable seats for leisure vehicles
KR19980052826U (en)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Sheet shifter
KR19980086085A (en) * 1997-05-31 1998-12-05 양재신 Left and right movable seat structure of bus
KR20020083820A (en) * 2001-04-30 2002-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hifter of seat for b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719A (en)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1117B1 (en) Front Seat Assembly for a Vehicle
KR100499780B1 (en) Seat assembly for bus
KR20040045720A (en) Seat assembly for bus
ITTO940946A1 (en) REAR SEAT OF VEHICLE.
JPH0195948A (en) Automobile with moving seat
KR100499783B1 (en) Seat assembly for bus
KR100499781B1 (en) Seat assembly for bus
US2766815A (en) Seat back
JP6756830B2 (en) Vehicle seat
JP2003118462A (en) Headrest structure of automobile seat
KR20040042946A (en) Structure for mounting center seat of vehicle
JPS63145145A (en) Seat device for automobile
JP2607251Y2 (en) Seating structure for city route buses
KR20040045718A (en) Seat control assembly for bus
KR100502144B1 (en) Seat for bus
KR100316939B1 (en) Headrest adjusting apparatus
KR101837408B1 (en) Rotating apparatus for car seat
KR0166177B1 (en) Fixing device for direction conversion of front seat
JPS58112833A (en) Seat adjuster for automobile
KR100189563B1 (en) Headrest of the rear seat of a car
KR20040045722A (en) Seat assembly for bus
KR100223250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car seat
KR19980063050A (en) Head rest shifter
KR200150784Y1 (en) A rear seat structure of an automobile
KR0117332Y1 (en) Automobilearmrest capable of controlling he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