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659B1 - 진공스위치관 - Google Patents

진공스위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659B1
KR100499659B1 KR10-2003-0000765A KR20030000765A KR100499659B1 KR 100499659 B1 KR100499659 B1 KR 100499659B1 KR 20030000765 A KR20030000765 A KR 20030000765A KR 100499659 B1 KR100499659 B1 KR 100499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switch tube
vacuum switch
screw
intermediate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1308A (ko
Inventor
나리타마사오
니시자키마사요시
가나하라나오히로
오오기다케시
고토케이지
요시다사토루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5Cos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주위의 구조물과의 사이의 전계강도가 작은 진공스위치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진공스위치관에서는 절연통과 금속통을 소유하고 기밀하게 봉합된 진공용기를 구비한 진공스위치관에서 절연통과, 금속통과의 진공용기의 길이방향의 중간에 위치하는 접속부의 외표면을 덮고 원활한 곡면을 갖는 외표면을 구비하고, 접속부의 주위의 전계강도를 완화하는 외부중간실드를 구비하고, 진공용기에 외부중간실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외부중간실드의 외주면보다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진공스위치관{VACUUM SWITCH TUBE}
본 발명은 진공스위치관에 관해 특히 통상의 외부중간실드를 진공스위치관의 외주에 설치해서 섬락(閃落)현상을 방지한 진공스위치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스위치관중 진공스위치관의 외경을 소경으로 해서 절연거리를 유리하게 하는 구조로서 금속원통을 진공용기와 아크실드의 양쪽에 설치한 진공스위치관이 있다.
이 구조의 진공스위치관은 고정접촉자와, 이 고정접촉자에 대향하는 가동접촉자와, 이 가동접촉자에 부착된 벨로즈와, 벨로즈에 부착된 단판과, 상기 고정접촉자에 부착된 단판과, 단판 각각에 부착된 절연통과 절연통 각각에 부착된 금속으로부터 된 금속통과, 금속통 각각에 부착된 아크실드와, 아크실드 사이에 부착된 중간원통을 구비하고 있다.
진공스위치관에서는 관의 내부를 진공에 유지하기 위해 세라믹스와, 금속이라는 이종의 재료로 된 단판과, 절연통 및 절연통과 금속통 사이를 막아주지 않으면 안된다.
세라믹스로 된 절연통에 세라믹스의 열팽창계수에 가까운 금속, 예를들면 모넬등으로 된 금속통과, 봉합하기 위해 세라믹스로 된 절연통의 단면에 메탈라이즈층이 설치되고 메탈라이즈층과 금속통의 단면을 납땜재로 납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단판과 절연통 사이도 납땜되어 봉합되어 있다(예를들면 비특허문헌 1참조)
[ 비특허문헌 1]
일본국 중부전기협회편 「발변전소 공학 현장의 입문서 (2-1)」코로나사 소화 55년 5월 30일 P. 187 - 188
종래의 진공스위치관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진공스위치관의주위와의 사이에 전계강도(전위차/거리)가 현저하게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진공스위치관을 6불화 유황가스중에서 사용하는 경우 절연통과 금속으로 된 단판이나 금속통과의 접속부에서는 트리플전션으로서 메탈라이즈층,세라믹스 6불화 유황가스의 유전율이 크게 다르고 전계강도가 현저하게 높아진다.
단, 진공스위치관의 설치상태에서는 단판과 절연통과의 접속부를 금속으로 피복하고, 전계가 완화되므로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즉, 절연통과 금속통 사이의 접속부에서 전계강도가 현저하게 높아진다.
특히, 금속통의 단면에 설치된 메탈라이즈층의 외연이 나이프에지와 같이 뾰족한 전극이 되므로 진공스위치관의 주위에 설치된 어스부등의 구조물과의 사이의 전계강도가 극히 커지고 섬락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위의 구조물과의 사이의 전계강도가 작은 진공스위치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진공스위치관에서는 절연통과 금속통을 소유하고 기밀봉쇄 된 진공용기를 구비한 진공스위치관에서 절연통과 금속통과의 진공용기의 길이방향의 중간에 위치하는 접속부의 외표면을 덮고 매끄러운 곡면을 갖는 외표면을 구비하고 접속부 주위의 전계강도를 완화하는 외부중간실드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외부중간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진공스위치관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되고 중심축을 소유하고, 아크실드의 역활을 하는 중간원통(1)과 중간원통(1)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외측에 로트상으로 좁혀진 통상이고, 중간원통(1)의 양단면(1a),(1b)에 고정부(2a),(2b)가 계류된 아크실드(2),(3)과, 중간원통(1)과 동축상에 아크실드(2),(3)의 고정부(2a),(3a)에 단면이 당접해서 고정된 금속통(4),(5)와, 중간원통(1)의 동축상에 배치되고, 금속통 (4),(5)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접속부(6a),(6b)에서 금속통(4),(5)에 접속된 절연통(7),(8)과, 절연통(7),(8)의 단면을 봉함한 단판(9),(10)와, 한편의 단판(9)를 관통하고, 단판(9)에 고착된 고정자 접촉자(11)와, 다른쪽의 단판(10)에 설치된 개구부(10a)를 폐쇄하고, 단판(9)방향으로 뻗은 벨로즈(12)와, 벨로즈(12)를 관통하고 벨로즈(12)에 고착되고, 고정 접촉자(11)에 접리 가능한 가동접촉자(13)로 된다.
또, 진공스위치관은 금속통(4),(5)와 절연통(7),(8)과의 링상의 접속부(6a) ,(6b)의 외표면을 덮고 접속부(6a),(6b)의 전계강도를 완화하는 금속제의 외부중간실드(14)를 가지고 있다.
이 진공스위치관은 내부를 10 -7 에서 10 -8(Pa)의 진공도로 유지하기 위해 금속통인 중간원통(1)과 아크실드(2),(3), 아크실드(2),(3)과 금속통(4),(5), 금속통(4),(5)과 절연통(7),(8)과 단판(9),(10)의 사이를 각각 납땜으로 봉쇄해서 진공용기(14)를 형성하고 있다.
또, 단판(9)과 고정접촉자(11), 단판(10)과 벨로즈(12)와 가동접촉자(13)의 고정부도 마찬가지로 납땜으로 기밀 봉쇄되어 있다.
이 진공스위치관의 외부중간실드(14)는 진공용기(15)의 외측에 배치되고 금속통(4),(5)와, 절연통(7),(8)의 접속부(6a),(6b)의 외표면을 덮고 금속통(4),(5)와 등전위로 함으로서 접속부(6a),(6b)에 발생하는 전계강도의 현저한 증가를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또, 진공스위치관은 단판(9),(10)와 절연통(7),(8)과의 접속부는 도시하지않은 금속단자로 덮혀있고 이들의 접속부의 전계는 완화되고, 전계강도는 비교적 작게되어 있다.
이와같이 외부중간실드(14)와 도시하지 않은 금속단자에 의해 진공스위치관의 접속부에서의 전계강도는 감소되게 된다.
이와같이 전계강도를 완화하는 외부중간실드(14)는 매끄러운 곡면을 된 외표면을 갖는 원통을 약 반으로 나눈 반원통(14a),(14b)로 분해할 수가 있다.
반원통(14a),(14b)의 내주면에 주방향을 따라 凸상태의 환상부(14c)가 설치되고 이 환상부(14c)의 최내주면(14d)이 중간원통(1)의 외측면(1d)과 밀접하게 당접하도록 되어있다.
반원통(14a)의 분할면(14e)의 한쪽에 암나사(14f)가 되어 있고 분할면(14e)의다른쪽에 반원통(14a)의 외주에서 분할면(14e)으로 관통한 나사구멍(14g)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반원통(14b)에는 반원통(14a)에 새겨진 암나사(14f)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반원통(14b)의 외주에서 분할면(14e)에 관통된 나사구멍(14g)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암나사가 반원통(14b)에 새겨져 있다. 또 환상부(14c)의 양측단면 (14h)는 아크실드(2),(3)의 고정부(2a),(3a)에서 중간원통(1)의 외측면(1b)으로 뻗은 단부(2b),(3b)사이에 약간의 클리어런스로 감합하고 있다.
또, 외부중간실드(14)의 양단부(14j)는 절연통(7),(8)에서 약간 극간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이와같이 외부중간실드(14)는 중간원통(1)에 환상부(13c)를 통해서 기계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접점개폐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넓은 최내주부에서 당접해 있으므로 느슨하게 풀리는 일은 없다.
외부중간실드(14)는 금속부록에서 절삭가공으로 작성하고 반원통(14a) ,(14b)의 판두께는 접점 개폐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중간원통등의 영향을 받아도 변형등의 걱정이 없는 두께이다.
외부중간실드(14)는 중간원통(1)에 전기적으로도 접속되어 있으므로 중간원통(1)과 등전위로 되어있다.
또, 나사구멍(14g)에 감합하는 나사로 된 고정부재(15)의 나사머리(15a)가 반원통(14b)의 외주면에서 돌출하지 않도록 나사머리(15a)를 수용하는 직경을 갖는 구멍(14i)이 나사구멍(14g)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진공스위치관의 주위의 전계강도를 측정하면 외부중간실드를 두지않을 때에도 가장 큰 전계강도를 표시한 절연통(7),(8)과 금속통(4).(5)와의 접속부(6a),(6b)의 주위에서도 큰 전계강도는 볼 수 없었다.
외부중간실드(14)의 전위를 중간원통(1)의 전위와 같게 함으로서 외부중간실드(14)로 덮힌 공간의 전계강도가 거의 0이 되었다.
또, 진공스위치관을 6불화 유황가스중에서 개폐조작을 반복해서 외부중간실드에도 진동이 가해지는 시험을 하였으나 고정부재(15)의 느슨함도 보이지 않고 나사머리(15a)가 기인된다고 생각되는 섬락현상도 보이지 않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진공스위치관은 진공스위치관의 설치상태에서 주위의 구조물과의 사이에 큰 전계강도는 보이지 않는다.
특히, 외주면이 원통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뾰족한 부분이 없고 매끄러운 전계강도를 갖인 진공스위치관이다.
또, 반복하는 개폐조작을 해도 외부중간실드의 체결이 느슨해지는 일도 없고 큰 전계강도가 도중에서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 고정부재(15)의 나사머리(15a)가 외부중간실드(14)의 외표면보다 내측에 있으므로 가령 느슨해져도 나사머리(15a)가 외표면에서 돌출하는 일이 없는 전계강도가 커지는 일이 없다.
또, 외부중간실드(14)는 반원통(14a),(14b)를 합침으로서 조립되므로 현지에서도 쉽게 조립 및 보수등을 할 수 있다.
또, 환상부(14c)의 최내주부(14d)가 중간원통(1)에 넓은면적으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진동에 의한 외부중간실드(14)와 중간원통(1)과의 접속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다.
실시의 형태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이다. 도 1의 진공스위치관과 다른것은 외부 중간실드이다.
외부중간실드(16)는 금속통(4),(5)와 절연통(7),(8)과의 접속부(6a),(6b)의 외측을 덮고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 내경이 작게 조여져 있다.
고정튜브(17a),(17b)는 외부중간실드(16)의 외측면에서 절연관(7),(8)의 외측면에 걸쳐 부착된 절연튜브이고 열수축성을 사용해서 외측면에 고착해 있다.
이와같은 진공스위치관은 외부중간실드(16) 및 절연관(7),(8)의 외측면을 얇은 고정튜브(17a),(17b)로 고정하고 있으므로 돌기물이 보이지 않으므로 주위의 구조물과의 사이에 큰 전계강도가 보이지 않는다.
또 반복하는 개폐조작을 해도 외부중간실드의 체결이 느슨해지는 일도 없고 큰 전계강도가 도중에서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 고정튜브를 절단후 열을 가함으로서 간단하게 가공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이다. 도1의 진공스위치관과 다른 것은 외부중간실드이다.
외부중간실드(18)는 금속통(4),(5)와 절연통(7),(8)과의 접속부(6a),(6b)의 외측을 덮고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 내경이 작게 좁혀져 있다.
또, 외부중간실드(18)는 아크실드(2)의 진공용기의 외부에 외부연장한 외연부(2b)에 내측면(18a)이 당접하고 있다.
외부중간실드(18)는 원통상의 관을 진공용기의 외측에 동축상으로 끼운후 원반상의 좁히는 형으로 원통상의 관의 외측에서 내경이 작게 되도록 조이고 원통상의 관의 내면이 아크실드(2)의 외연부(2b)에 당접할 때까지 조인다.
이와같은 진공스위치관은 외부중간실드(18)가 일부 조여져 있으므로 돌기물이 보이지 않고 주위의 구조물과의 사이에 큰 전계강도가 보이지 않는다.
또, 반복하는 개폐조작을 해도 외부중간실드의 체결이 느슨해지는 일도 없고 큰 전계강도가 도중에서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 원통상의 진공용기 외측에 씌워서 조리개형으로 좁혀주면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가공할 수가 있다.
또, 열을 가해서 조여주는 가열삽입이나 냉간조리게 방법의 끝은 없다.
또, 조리개의 좁히는 장소는 고정강도를 고려해서 다수라도 된다.
실시의 형태 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이다. 도 3의 진공스위치관과 다른것은 외부중간실드의 고정방법이다.
외부중간실드(19)는 금속통(4),(5)와 절연통(7),(8)과의 접속부(6a),(6b)의 외측을 덮고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 내경이 작게 좁혀져 있다. 아크실드(2),(3)의 외연부(2b),(3b)와 외부중간실드(19)의 내면(19a)의 사이를 접착제로 접속층(20a) ,(20b)를 설치해서 서로를 접착하고 있다.
이러한 진공스위치관은 외부중간실드(19)의 외측면에 돌기물이 보이지 않으므로 주위의 구조물과의 사이에 큰 전계강도가 보이지 않는다.
또, 반복되는 개폐조작을 해도 외부중간실드의 체결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고 큰 전계강도가 도중에서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 외부중간실드(19)의 내면(19a)에 접착층(20a),(20b)를 형성한 후 가열처리를 실시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중간실드를 고정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외부중간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의 진공스위치관과 다른것은 외부중간실드의 고정방법이다.
외부중간실드(21)는 내면(21a)의 일부가 내측에 돌출한 단주부(21b)와, 단주부(21b)의 내면에 나사부(21c)와, 나사부(21c)를 내측으로 누르고 있는 나사구멍 (21d)이 구비되어 있다.
아크실드(2)의 외연부(2b)에는 외측면에 설치된 나사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나사부는 진공용기의 길이방향으로 나합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외부중간실드(21)는 진공용기의 한쪽에서 삽입해서 나사부(21)를 아크실드 (2)의 나사부(2c)에 나합하고 진공용기에 고정한다.
그 후 나사구멍(21d)에 나사(22)를 나합해서 나사부(21c)를 나사부(2c)에 눌러서 강도를 보강한다.
이와같은 진공스위치관은 외부중간실드(21)의 외측면에 돌기물이 안보이므로 주위의 구조물과의 사이에 큰 전계강도가 보이지 않는다.
또, 외부중간실드(21)는 아크실드(2)의 나사부(2c)와 나합하므로 확실하게 체결되고 외부중간실드(21)가 느슨해져 회전하는 일이 없다.
실시의 형태 6.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이다. 도 1의 진공스위치관과 다른 것은 외부중간실드의 형상과 그 고정방법이다.
외부중간실드(23a),(23b)는 반원의 단면 형상을 가진 링으로 금속통(4),(5)와 절연통(7),(8)과의 접속부(6a),(6b)의 외측을 덮고 있다.
외부중간실드(23a),(23b)는 각각 아크실드(2),(3)의 외연부(2b),(3b)의 외측에 각각 납땜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와같은 진공스위치관은 외부중간실드(19)의 외측면에 돌기물이 안보이므로 주위의 구조물과의 사이에 큰 전계강도가 보이지 않는다.
또, 외부중간실드(23a),(23b)는 아크실드(2),(3)의 외연부(2b),(3b)와 납땜되어 있으므로 확실하게 체결되고, 외부중간실드(23a),(23b)가 느슨하게 회전하는 일은 없다.
실시의 형태 7.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형태 7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외부중간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의 진공스위치관과 다른 것은 외부중간실드의 고정방법이다.
외부중간실드(24)는 일부 내경을 작게하는 조리개부(24a)와 조리개부(24a)에설치된 구멍(24b)를 설치하고 있다.
또, 아크실드(2)는 아크실드(2)의 외연부(2b)에 외부중간실드(24)의 구멍 (24b)에 대응하는 위치에 따라 구멍(2d)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중간실드(24)는 구멍(24b)를 관통하고 아크실드(2)에 설치된 나사구멍(2d)를 나합하는 볼트(25)로 아크실드(2)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은 진공스위치관은 볼트(25)는 외부중간실드(24)의 조리개부(24a)에 삽입되고 볼트(25)의 두부가 외부중간실드(24)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돌기하고 있지 않으므로 주위의 구조물과의 사이에 큰 전계강도가 보이지 않는다.
또, 외부중간실드(24)는 아크실드(2)에 볼트(25)로 확실하게 체결되어 있으므로 외부중간실드(24)가 회전하는 일이 없다.
실시의 형태 8.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의 진공스위치관의 외부중간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의 진공스위치관과 다른 것은 외부중간실드를 반경방향으로 분할 하였으므로 진공스위치관의 외관치수가 절연관과 중간원통에서 다르게 되어 있어도 외형형상에 외부중간실드를 맞출 수가 없고, 외부중간실드의 비대화를 방지할 수있다.
실시의 형태 9.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이다. 도9의 진공스위치관의 다른것은 외부중간실드의 고정방법이다.
아크실드(2),(3)의 외연부(2a),(3a)의 외측면에 다수의 실드누름용구(26a), (26b)가 고정되어 있다. 외부중간실드(24)는 누름볼트(27)가 나사구멍(24b)과 나합하고, 누름볼트(27)의 선단부가 실드누름구멍(26a),(26b)의 외측면을 눌러서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은 진공스위치관은 실드누름용구(26a),(26b)의 내측면과 아크실드(2), (3)의 외연부(2b),(3b)와 면접해 있으므로 누름볼트(17)를 통해서 외부중간실드 (24)의 움직임을 누룰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10.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0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이다. 도 1의 진공스위치관과 다른 것은 외부중간실드이다.
외부중간실드(28)은 금속통(4),(5)와 절연통(7),(8)과의 접속부(6a),(6b)의 외측을 덮고 3개의 암나사(29a)가 되어있는 원통(29)과 암나사(29a)와 나합하고 지지부재(30)를 선단에 구비한 고정볼트(31)와, 고정볼트(31)의 볼트머리부(31a)에 부착된 볼트실드(31)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29)은 금속블록에서 절삭가공으로 작성된다. 지지부재(30)의 한쪽면에는 고정볼트(31)의 선단이 감합하는 나사구멍이 설치되고, 다른면은 중간원통(1)의 외주면(1a)에 밀착하도록 중간원통(1)의 외주면(1a)과 같은 경을 소유한 곡면으로 가공되어 있다.
원통(29)은 지지부재(30)가 중간원통(1)의 외주면(1a)에 닿고 3방향에서 3개의 고정볼트(31)로 체결함으로서 중간원통(1)에 지지되어 있다.
볼트실드(32)는 반구상의 외표면을 소유하고 내측에 볼트머리(31a)에 기밀하게 감합하는 凹부가 설치되어 있다. 반구상의 볼트실드(32)를 고정볼트(31)의 볼트머리(31a)로 덮음으로서 뾰족한 볼트머리(31a)와 주위의 부재와의 사이의 전계강도가 크게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진공스위치관은 주위의 전계강도를 측정하면 외부중간실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가장 큰 전계강도를 표시한 절연통과 금속통의 접속부 주위에서도 큰 전계강도는 볼 수 없었다.
외부중간실드의 전위를 중간원통의 전위와 같게함으로서 외부중간실드로 덮인 공간의 전계강도가 거의 0이 되었다.
또, 진공스위치관을 6불화 유황가스중에서 개폐조작을 반복해서 외부중간실드에도 진동이 가해지는 시험을 하였으나 고정부재의 느슨해지는 것도 볼 수 없었고 나사머리가 기인된다고 생각되는 섬락현상도 볼수 없었다.
이와같은 진공스위치관은 진공스위치관의 설치상태에서 주위의 구조물 사이에 큰 전계강도는 볼 수가 없다.
또, 반복되는 개폐조작을 해도 외부중간실드의 체결상태가 풀리는 일도 없고 큰 전계강도가 도중에서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 원통상의 통과 같이 간단한 구조의 부재만을 사용하면 되므로 코스트가 낮게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11.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1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외부중간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의 진공스위치관과 다른 것은 지지부재이다.
지지부재(33)은 중간원통(1)의 외측면(1a)에 용접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해 반경방향을 향해 비관통상의 암나사(34a)를 형성한 비드(34)를 구비하고 있다.
비드(34)는 통상 3상분 병치된 진공스위치관의 병치방향에 대해 90°어긋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외부중간실드(29)는 외부중간실드(29)의 암나사부(29a)에 나합하고 선단부가 비드(34)의 암나사부(29a)에 나합해서 중간원통(1)과 고정된다.
이와같은 진공스위치관은 납땜으로 비드를 형성하고 거기에 암나사를 설치함으로서 간단히 지지부재를 형성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12.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2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외부중간실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의 진공스위치관과 다른 것은 지지부재이다.
지지부재(35)는 중간원통(1)의 외측면(1a)에 납땜된 링(36)과, 링(36)의 중앙부에 설치된 암나사(36a)를 구비하고 있다. 링(36)은 통상 3상분 병치된 진공스위치관의 병치방향에 대해 90°어긋난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중간실드(29)는 외부중간실드(29)의 암나사부(29a)에 나합하고 선단부가 링(36)의 암나사부(36a)에 나합해서 중간원통(1)과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은 진공스위치관은 납땜으로 링을 중간원통에 고정하고 거기에 암나사를 설치함으로서 간단하게 지지부위를 형성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진공스위치관에 의한 효과는 진공스위치관에서는 절연통과 금속통을 소유하고 기밀봉함된 진공용기를 구비한 진공스위치관에서 절연통과 금속통의 진공용기의 길이방향의 중간에 위치하는 접속부의 외표면을 덮고 매끄러운 곡면을 갖는 외표면을 구비하고, 접속부의 주위의 전계강도를 완화하는 외부중간실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진공스위치관의 설치상태에서 주위의 구조물과의 사이의 큰 전계강도가 보이지 않는다.
또, 외주면이 원통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뾰족한 부분이 없고 매끄러운 전계강도를 갖는 진공스위치관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반복하는 개폐조작을 해도 외부중간실드의 체결이 이완되는 일이 없고 큰 전계강도가 도중에서 발생하는 일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외부중간실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외부중간실드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외부중간실드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의 진공스위치관의 외부중간실드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0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1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외부중간실드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2의 진공스위치관의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외부중간실드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간원통, 1a,1b :(중간원통의)양단면,
2,3 : 아크실드, 2a,3a :(아크실드의)고정부,
2b : 나사부, 4,5 : 금속통,
6a,6b : 접속부, 7,8 : 절연통,
9,10 : 단판, 11 : 고정접촉자,
12 : 밸로즈, 13 : 가동접촉자,
14,16,18,19,21,23a,23b,24,28 : 외부중간실드,
14a,14b :(외부중간실드의)반원통, 14c :(외부중간실드의)환상부,
14d :(환상부의)최내주부, 14e :(반원통의)분할면,
14f : (분할면에잘린)암나사, 14g :(분할면을 관통하는)나사구멍,
14h : (환상부의)양측단면, 14i : 구멍,
15 : 고정부재, 15a : 나사머리,
17 : 고정튜브, 18a : 조리개부,
20a,20b : 접착층, 21a :(외부중간실드의) 내면,
21b : 단주부, 21c : 나사부,
22,25 : 나사, 24 : 조리개부,
24b : 구멍, 26a,26b : 실드누름용구,
27 : 누름볼트, 29 : 원통,
29a :(원통으로잘린)암나사, 30,33,35 : 지지부재,
31 : 고정부재, 31a : (고정볼트의)볼트머리,
32 : 볼트실드, 34 : 비드,
34a : (비드의)암나사, 36: 링,
36a :(링의)암나사.

Claims (6)

  1. 절연통과 금속통을 구비하고, 기밀 봉합된 진공용기를 구비한 진공스위치관에 있어서,
    상기 절연통과 상기 금속통의 상기 진공용기의 길이방향의 중간에 위치하는 접속부의 외표면을 덮고, 매끄러운 곡면을 갖는 외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 주위의 전계강도를 완화하는 외부중간실드, 및
    상기 외부중간실드의 외주면보다 안쪽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용기에 상기 외부중간실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위치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통의 측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는, 상기 외부중간실드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외부중간실드를 상기 금속통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위치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중간실드의 측면의 원주상에 배열되고, 직경 방향으로 상기 측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가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금속통에 대응하는 상기 나사의 선단부가 상기 금속통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위치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중간실드는 상기 금속통의 외주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위치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중간실드는 축방향으로 평행한 분할면으로 분할되는 한 쌍의 반원통이 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위치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중간실드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선단을 가지고, 상기 진공용기에 상기 외부중간실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상기 선단이 매끄러운 외면을 가지는 고정부재 실드로 덮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위치관.
KR10-2003-0000765A 2002-01-11 2003-01-07 진공스위치관 KR100499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04720 2002-01-11
JPJP-P-2002-00004723 2002-01-11
JP2002004724 2002-01-11
JP2002004723 2002-01-11
JPJP-P-2002-00004721 2002-01-11
JP2002004722 2002-01-11
JPJP-P-2002-00004722 2002-01-11
JP2002004721 2002-01-11
JPJP-P-2002-00004724 2002-01-11
JP2002004720 2002-01-11
JP2002348241A JP2003272492A (ja) 2002-01-11 2002-11-29 真空スイッチ管
JPJP-P-2002-00348241 2002-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308A KR20030061308A (ko) 2003-07-18
KR100499659B1 true KR100499659B1 (ko) 2005-07-07

Family

ID=2767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765A KR100499659B1 (ko) 2002-01-11 2003-01-07 진공스위치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272492A (ko)
KR (1) KR100499659B1 (ko)
CN (1) CN1433036A (ko)
TW (1) TW5848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23Y1 (ko) 2007-09-20 2009-08-27 주식회사보림전자 푸쉬 버튼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0630B2 (en) 2007-06-05 2013-05-2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Contact backing for a vacuum interrupter
JP5277182B2 (ja) * 2010-01-18 2013-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開閉器及び開閉器を収納するスイッチギヤ
JP5381951B2 (ja) * 2010-10-04 2014-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バルブ
JP5641944B2 (ja) * 2011-01-13 2014-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バルブ
CN106531542B (zh) * 2016-12-16 2018-12-07 中国西电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复合屏蔽结构的真空灭弧室
EP3780056A1 (en) * 2019-08-16 2021-02-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ntilating insulating member for interrupter units
JP7361654B2 (ja) 2020-04-24 2023-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バルブ
DE112022002879T5 (de) 2021-05-31 2024-03-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akuumunterbrec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23Y1 (ko) 2007-09-20 2009-08-27 주식회사보림전자 푸쉬 버튼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72492A (ja) 2003-09-26
CN1433036A (zh) 2003-07-30
TW584874B (en) 2004-04-21
KR20030061308A (ko) 2003-07-18
TW200301910A (en)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659B1 (ko) 진공스위치관
US3809795A (en) Means for adjusting a conductor in high voltage electrical equipment
US2860311A (en) Wave guides
US9484729B2 (en) Electrical equipment including a conductor mounting between two casing portions
US4179037A (en) Xenon arc lamp with compressive ceramic to metal seals
US6472628B2 (en) Circuit-breaker including a moving assembly contained inside a casing filled with a dielectric gas under pressure
US4933518A (en) Vacuum interrupter
CA2349253C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a gas-tight housing joint
US5416266A (en) Encased gas-insulated high-tension installation and an assembly of such an installation
RU2611430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коммут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5200578A (en) High voltage feedthrough bushing
KR101976329B1 (ko) 점화 플러그
JP2012146554A (ja) 真空バルブ
US6156979A (en) Bushing device and bushing assembly including it
KR101502265B1 (ko) 진공 밸브
JP2614657B2 (ja) ガス絶縁機器
KR100303002B1 (ko) 진공인터럽터의센터실드고정장치
US20230253768A1 (en) Flange design for high-voltage gas-insulated switchgear (gis), busbars and lines (gil)
JP4076626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
JP2806910B2 (ja) Ofケーブル接続部
JPH10108326A (ja) ガス絶縁開閉装置用シールド装置
JPH10126911A (ja) 導体固定装置
JPH0451402Y2 (ko)
JPH0211703Y2 (ko)
JPH11266522A (ja) Cvケーブルのy分岐接続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