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817B1 -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 Google Patents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817B1
KR100498817B1 KR10-2003-0050286A KR20030050286A KR100498817B1 KR 100498817 B1 KR100498817 B1 KR 100498817B1 KR 20030050286 A KR20030050286 A KR 20030050286A KR 100498817 B1 KR100498817 B1 KR 100498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ow path
soft water
pipe coupling
path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276A (ko
Inventor
김경철
이찬규
강영길
이백금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세비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세비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817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수 장치용 유로 전환밸브에 관한 것으로, 연수장치의 작동상태에 따라 단일의 밸브 내부에서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일정높이의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원판 형태로 이루어진 관체결합판, 차단판, 유로형성판, 고정판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 상단에 관체결합판을 고정시키고,
관체결합판 하부에 차단판과 유로형성판의 결합체가 밀착되도록 하며,
차단판과 유로형성판의 결합체 하부에 고정판을 밀착시키고, 이를 케이스에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관체결합판이 케이스에 고정되어진 상태에서 관체결합판 하부에 밀착되어진 차단판과 유로형성판의 결합체가 회전하면서 관체결합판에 형성되어진 연결관 결합구를 선택적으로 개, 폐 시킬 수 있게 되므로 단일의 밸브를 통해서도 다양한 유로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Valve for transferring the flow road of soft water apparatus}
본 발명은 연수 장치용 유로 전환밸브에 관한 것으로, 연수장치의 작동상태에 따라 단일의 밸브 내부에서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되므로 각 경로마다 개, 폐 밸브를 각각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비용 부담을 덜 수 있게 되며,
밸브 개, 폐 조작이 간편하여 누구라도 손쉽게 연수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욕실 내에 설치되어 샤워할 때 샤워헤드를 통해 연수가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되어진 연수장치는 이온교환수지로 이루어진 연수필터를 통해 경수를 연수로 바꾸어주게 되는데,
연수필터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이온교환수지 표면에 칼슘, 마그네슘 성분이 엉겨 붙어 피막이 형성되어 연수효율이 저하되므로 소정기간 사용 후에는 반드시 소금물(이하 염수)로 연수필터를 세척하여 이온교환수지 표면에 형성되어진 피막을 제거해 주어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는 연수필터로 공급되거나 연수필터에서 배출되는 원수, 염수, 세척수를 급, 배수하기 위한 배관과 함께 각 배관에 밸브를 연결하여 급, 배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예를 들어 연수필터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수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 공급 배관의 밸브와 연수필터 외부로 유출되는 연수 공급 배관의 밸브를 잠근 상태에서 연수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염수 공급 배관의 밸브를 개방시켜 연수필터 내부로 염수가 공급되어 연수필터 내부가 세척되도록 하고, 연수필터 내부를 세척하고 연수필터 외부로 유출되는 세척수는 배수관에 연결되어진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연수장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한편, 연수필터를 세척하기 위한 작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과 함께 세척효과를 높여주기 위하여 연수필터에 원수를 역으로 공급하여 이온교환수지를 교반시키는 과정,
세척효율을 높여주기 위하여 연수필터 내부에 염수를 일정시간 머금고 있는 과정 등을 거쳐야 하는데 각 과정에서 밸브를 개, 폐하는 순서나 개, 폐 유, 무가 달라지므로,
각 배관에 밸브를 설치하고 연수장치의 작동상태에 따라 밸브를 개, 폐하는 상기와 같은 기존의 방법은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따른 비용지출이 상당하며, 조작이 번거로워 연수장치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단일의 밸브 내에서 연수장치의 작동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의 유로 전환이 가능하여 각 배관마다 밸브를 설치해야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다수의 밸브를 설치할 때 따르는 비용부담을 덜 수 있게 되고, 각각의 밸브를 개, 폐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연수 장치 작동상태를 선택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밸브 작동상태에 적합한 밸브 개, 폐가 이루어질 수 있어 누구라도 손쉽게 연수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정높이의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50)와,
원판 형태로 이루어진 관체결합판(10), 차단판(20), 유로형성판(30), 고정판(40)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50) 상단에 관체결합판(10)을 고정시키고,
관체결합판(10) 하부에 차단판(20)과 유로형성판(30)의 결합체가 밀착되도록 하며,
차단판(20)과 유로형성판(30)의 결합체 하부에 고정판(40)을 밀착시키고, 이를 케이스(50)에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설명부호 (41a)는 고정볼트이고, (43)은 밀폐고무링이며, (71)은 나사부이고, (80)은 설치패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로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소정길이의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50) 전방에 원형 고정판(4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40) 중앙부를 관통하는 연결축(23) 일단에 조절 손잡이(60)가 결합되어 있으며, 케이스(50) 후방에는 다수의 연결관(70)이 결합되어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후방 분리사시도로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50) 내부에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진 관체결합판(10), 차단판(20), 유로형성판(30), 고정판(40)이 순차적으로 밀착 결합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관체결합판(10)은 도 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몸체(10')상에 연수필터 유입관 결합구(11a, 11b), 원수공급관 결합구(12a, 12b), 연수필터 유출관 결합구(13a, 13b, 13c), 연수공급관 결합구(14), 배수관 결합구(15a 15b), 염수공급관 결합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결합구(11a, 11b, 12a, 12b, 13a, 13b, 13c, 14, 15a, 15b, 16) 후방에는 밀폐 고무링(10a)이 결합되어 있어 밀폐상태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20)은 도 5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몸체(20')상의 특정 위치에 다수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20') 중앙부에 육각 형태의 연결축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축 결합홈(22)에 소정길이의 연결축(23)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형성판(30)은 도 6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몸체(30‘) 평면상의 특정 위치에 일정깊이의 요홈(31a, 31b, 31c)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각 요홈(31a, 31b, 31c) 둘레에는 고무링(33)이 결합되어 있으며, 고무링(33) 외각으로 다수의 나사체결공(32)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30') 중앙부에 연결축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관체결합판(10), 차단판(20), 유로형성판(30)은 고정판(40)과 함께 케이스(50) 내부에 결합되어지는데,
도 3의 설치상태 단면도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관체결합판(10)과 고정판(40)은 케이스(50) 양 끝단에 볼트(51a)에 의해 고정되고, 관체결합판(10)과 고정판(40) 사이에 차단판(20)과 유로형성판(30)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판(20)과 유로형성판(30)은 유로형성판(30) 후방에서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나사(32a)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차단판(20)에 결합되어진 연결축(23)은 유로형성판(30)과, 고정판(40) 중앙에 형성되어진 연결축 관통공(34, 42)을 관통하여 케이스(50) 외부로 노출되어지고,
외부로 노출되어진 상기 연결축(23) 일단에는 조절 손잡이(60)가 결합되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절 손잡이(6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연수장치의 작동상태가 선택되어짐과 동시에 조절 손잡이(60)의 회전에 의해 따라 이와 결합되어진 연결축(23), 차단판(20), 유로형성판(30)이 함께 회전되면서 밸브(100) 내에서 유로가 전환되어지는 것이다.
먼저, 조절 손잡이(60)를 회전시켜 연수상태를 선택하게 되면, 도 7a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원수공급로(110)를 통해 공급되어진 원수가 밸브(100), 연수필터 유입로(120), 연수필터(200), 연수필터 유출로(130)를 차례로 거치면서 연수로 바뀌어 연수공급로(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거쳐야 하므로,
이를 위해 밸브(100) 내부에 결합되어진 관체결합판(10), 차단판(20), 유로형성판(30)은 조절 손잡이(60)의 회전에 따라 도 8a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은 형태로 배열되어,
관체결합판(10)에 형성되어진 연결관 결합구(11a, 11b. 12a, 12b, 13a, 13b, 13c, 14, 15a, 15b, 16)중 차단판(20)에 형성되어진 관통공(21)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원수공급관 결합구(12a), 연수필터 유입관 결합구(11b), 연수필터 유출관 결합구(13c), 연수공급관 결합구(14)가 개방되어지므로,
원수공급관 결합구(12a)을 통해 유입된 원수는 차단판(20)의 관통공(21)과 유로형성판(30)의 특정 요홈(31c)을 거치게 되고 이는 다시 연수필터 유입관 결합구(11b)로 유출되었다가 연수필터(200)를 통과하면서 연수로 바뀌어 연수필터 유출관 결합구(13c)로 유입되었다가 다시 유로형성판(30)의 특정 요홈(31a)을 거쳐 연수공급관 결합구(14)로 유출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조절 손잡이(60)를 소정각도 회전시켜 역수상태를 선택하게 되면 도 7b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원수공급로(11)를 통해 공급되어진 원수가 밸브(100), 연수필터 유출로(130), 연수필터(200), 연수필터 유입로(120)를 거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연수필터(200) 내부로 역으로 공급되어진 원수는 연수필터(200)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교반시키게 되며, 교반을 마친 원수는 배수로(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경로를 거쳐야 하므로,
밸브(100) 내부에 결합되어진 관체결합판(10), 차단판(20), 유로형성판(30)은 조절 손잡이(60)의 회전에 따라 도 8b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은 형태로 배열되어,
관체결합판(10)에 형성되어진 연결관 결합구(11a, 11b. 12a, 12b, 13a, 13b, 13c, 14, 15a, 15b, 16)중 차단판(20)에 형성되어진 관통공(21)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원수공급관 결합구(12a), 연수필터 유출관 결합구(13a), 연수필터 유입관 결합구(11a), 배수관 결합구(15b)가 개방되어지고,
원수공급관 결합구(12a)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차단판(20)의 관통공(21)과 유로형성판(30)의 특정 요홈(31b)을 거쳐 연수필터 유출관 결합구(13a)로 유출되고, 연수필터(200)를 거치면서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교반시킨 이후 연수필터 유입관 결합구(11a)로 유입되어 다시 차단판(20)의 관통공(21)과 유로형성판(30)의 특정 요홈(31a)을 거쳐 배수관 결합구(15b)로 유출되어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그리고, 조절 손잡이(60)를 소정각도 회전시켜 크리닝상태를 선택하게 되면 도 7c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염수공급로(160)를 통해 공급되어진 염수가 밸브(100), 연수필터 유입로(120), 연수필터(200), 연수필터 유출로(130)를 거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연수필터(200) 내부로 공급되어진 염수는 이온교환수지를 세척하게 되고, 세척을 마친 염수는 배수로(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경로를 거쳐야 하므로,
밸브(100) 내부에 결합되어진 관체결합판(10), 차단판(20), 유로형성판(30)은 조절 손잡이(60)의 회전에 따라 도 8c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은 형태로 배열되어,
관체결합판(10)에 형성되어진 염수공급관 결합구(16), 연수필터 유입관 결합구(11b), 연수필터 유출관 결합구(13a), 배수관 결합구(15a)가 개방되고,
염수공급관 결합구(16)로 유입된 염수는 차단판(20)의 관통공(21)과 유로형성판(30)의 특정 요홈(31a)을 거쳐 연수필터 유입관 결합구(11b)로 유출되었다가 연수필터(200)를 거쳐 연수필터 유출관 결합구(13a)로 유입되고 다시 차단판(20)의 관통공(21)과 유로형성판(30)의 특정 요홈(31c)을 거쳐 배수관 결합구(15a)로 유출되어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그리고, 조절 손잡이(60)를 소정각도 회전시켜 잠금상태를 선택하게 되면 도 7d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염수공급로(160)를 통해 공급되어진 염수가 밸브(100), 연수필터 유입로(120), 연수필터(200), 연수필터 유출로(130), 밸브(100)에 채워진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에 머물고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하므로,
밸브(100) 내부에 결합되어진 관체결합판(10), 차단판(20), 유로형성판(30)은 연수장치가 염수를 머금고 있는 크리닝상태에서 도 8d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은 형태로 배열되어,
관체결합판(10)에 형성되어진 원수공급관 결합구(12b), 연수필터 유출관 결합구(13a)가 개방되나,
이는(12b,13a) 모두 밸브(100) 내부로 유입되는 결합구 이므로 유입된 물이 차단판(20)의 관통공(21)을 거쳐 유로형성판(30)의 특정 요홈(31b)에서 마주쳐 서로의 진행을 막게 되므로 원수는 연수장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연수장치 내부에 채워진 염수는 연수장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조절 손잡이(60)를 회전시켜 배수상태를 선택하게 되면, 도 7e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원수공급로(110)를 통해 공급되어진 원수가 밸브(100), 연수필터 유입로(120), 연수필터(200), 연수필터 유출로(130)를 차례로 거치면서 염분을 제거하게 되고 염분이 포함된 원수는 배수로(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경로를 거쳐야 하므로,
밸브(100) 내부에 결합되어진 관체결합판(10), 차단판(20), 유로형성판(30)은 조절 손잡이(60)의 회전에 따라 8e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은 형태로 배열되어,
관체결합판(10)에 형성되어진 원수공급관 결합구(12b), 연수필터 유입관 결합구(11a), 연수필터 유출관 결합구(13b), 배수관 결합구(15a)가 개방되므로,
원수공급관 결합구(12b)로 유입된 원수는 차단판(20)의 관통공(21)과 유로형성판(30)의 특정 요홈(31c)을 거쳐 연수필터 유입관 결합구(11a)로 유출되고, 연수필터(200)를 거쳐 연수필터 유출관 결합구(13b)로 유입되었다가 다시 차단판(20)의 관통공(21)과 유로형성판(30)의 특정 요홈(31a)을 거쳐 배수관 결합구(15a)로 유출되어 외부로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연수필터 유입관 결합구(11a, 11b), 원수공급관 결합구(12a, 12b), 연수필터 유출관 결합구(13a, 13b, 13c), 배수관 결합구(15a 15b)에 결합되는 연결관(70)과 같이 동일한 목적으로 복수의 관이 결합되어질 경우 각각 독립되어진 관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나의 주관에서 갈라져 나온 지관을 결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 밸브만으로도 연수장치의 작동상태에 적합한 다양한 유로로의 전환이 가능하여, 연수장치 각 배관마다 이를 개, 폐할 수 있는 각각의 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다수의 밸브를 설치할 때 따르는 번거로움 및 이에 따르는 비용 부담을 덜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조절 손잡이를 회전시켜 연수장치의 작동상태를 선택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연수공급 및 연수장치 세척에 따르는 모든 과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누구나 손쉽게 연수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발명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발명의 관체결합판 평면도
도 5는 본발명의 차단판 평면도
도 6은 본발명의 유로형성판 평면도
도 7은 본발명에서 연수장치의 작동상태에 따른 물 흐름을 표시한 개략도
도 8은 본발명에서 연수장치의 작동상태에 따른 밸브 작동상태도
도 9는 본발명의 조절손잡이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관체결합관 11a, 11b : 연수필터 유입관
12a, 12b : 원수급수관 결합구 13a, 13b, 13c : 연수필터 유출관
14 : 연수공급관 15a, 15b : 배수관 결합구
16 : 염수공급관 결합구 20 : 차단판
21 : 관통공 22 : 연결축 결합홈
23 : 연결축 30 : 유로형성판
31a, 31b, 31c : 요홈 32 : 나사 체결공
33 : 고무패킹 34 : 연결축 관통공
40 : 고정판 41 : 고정볼트 체결공
42 : 연결축 관통공 50 : 케이스
51 : 볼트 체결공 51a : 볼트
60 : 조절 손잡이 70 : 연결관
71 : 나사부 80 : 설치패널
100 : 밸브 110 : 원수공급로
120 : 연수필터 유입로 130 : 연수필터 유출로
140 : 연수공급로 150 : 배수로
160 : 염수공급로 200 : 연수필터
300 : 염수탱크

Claims (4)

  1. 일정높이의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50) 내부에 원판 형태로 이루어진 관체결합판(10), 차단판(20), 유로형성판(30), 고정판(40)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면서,
    케이스(50)에 고정 결합되어진 관체결합판(10)과 고정판(40) 사이의 차단판(20)과 유로형성판(30)을 회전시켜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체결합판(10)은 몸체(10')상에 연수필터 유입관 결합구(11a, 11b), 원수공급관 결합구(12a, 12b), 연수필터 유출관 결합구(13a, 13b, 13c), 연수공급관 결합구(14), 배수관 결합구(15a 15b), 염수공급관 결합구(16)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관(70)을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20)은 몸체(20')상의 특정 위치에 다수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20') 중앙부에 육각 형태의 연결축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축 결합홈(22)에 소정길이의 연결축(23)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판(30)은 몸체(30‘) 평면상의 특정 위치에 일정깊이의 요홈(31a, 31b, 31c)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몸체(30’) 중앙부에 연결축 관통공(34)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31a, 31b, 31c) 둘레에 고무링(33)이 결합되고, 고무링(33) 외각에 다수의 나사체결공(3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KR10-2003-0050286A 2003-07-22 2003-07-22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KR100498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286A KR100498817B1 (ko) 2003-07-22 2003-07-22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286A KR100498817B1 (ko) 2003-07-22 2003-07-22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639U Division KR200330423Y1 (ko) 2003-07-22 2003-07-22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276A KR20050011276A (ko) 2005-01-29
KR100498817B1 true KR100498817B1 (ko) 2005-07-05

Family

ID=3722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286A KR100498817B1 (ko) 2003-07-22 2003-07-22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366B1 (ko) * 2006-12-22 2008-04-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탱크 편중사용 방지를 위한 연수기
KR100821368B1 (ko) * 2006-12-22 2008-04-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
KR100814968B1 (ko) * 2007-03-14 2008-03-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의 유로전환밸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472A (ja) * 1994-08-23 1996-03-05 Furatsukusu:Kk 浄水ユニット
KR20010094137A (ko) * 2000-04-04 2001-10-31 정승훈 4방향 통로를 갖춘 연수기용 전환밸브
KR200260100Y1 (ko) * 2001-09-27 2002-01-10 이기석 정수기 및 비데기 장착용 연수장치
JP2002235348A (ja) * 2001-12-20 2002-08-23 Mitsubishi Rayon Co Ltd 切換弁及びその結合体
KR20020072647A (ko) * 2001-03-12 2002-09-18 이기석 연수기
KR200330423Y1 (ko) * 2003-07-22 2003-10-17 삼성물산 주식회사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472A (ja) * 1994-08-23 1996-03-05 Furatsukusu:Kk 浄水ユニット
KR20010094137A (ko) * 2000-04-04 2001-10-31 정승훈 4방향 통로를 갖춘 연수기용 전환밸브
KR20020072647A (ko) * 2001-03-12 2002-09-18 이기석 연수기
KR200260100Y1 (ko) * 2001-09-27 2002-01-10 이기석 정수기 및 비데기 장착용 연수장치
JP2002235348A (ja) * 2001-12-20 2002-08-23 Mitsubishi Rayon Co Ltd 切換弁及びその結合体
KR200330423Y1 (ko) * 2003-07-22 2003-10-17 삼성물산 주식회사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276A (ko) 200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1032A (en) Diverter valve assembly for control of multiple discharge in a mixing faucet
JP2009510287A (ja) 排水出口装置
JPH08218458A (ja) 固定装置付流出口器具
JP2004124853A (ja) 両出し吐出口を有する流路切替機能付きエアポンプ
KR100498817B1 (ko)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KR200330423Y1 (ko)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CN104822885B (zh) 具有平行于安装面的阀芯的水龙头手柄
CN210106676U (zh) 一种龙头
JP2584046Y2 (ja) シンクタンクに設けた浄水器付湯水混合水栓
KR102454307B1 (ko) 탈결합이 용이한 수전연결식 방향전환밸브
WO2020006951A1 (zh) 底座组件和具有其的衣物处理装置
KR20180119971A (ko) 물 재활용 세면대 배수 장치
KR100455051B1 (ko) 연수기
KR200419784Y1 (ko) 수온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용 수전금구구조
KR200330041Y1 (ko) 연수배출장치
KR101009486B1 (ko) 냉수 및 온수용 수전금구
KR200327570Y1 (ko) 연수기
CN110594450A (zh) 一种无压水龙头及自动皂液器装置
KR20120003716U (ko) 수도밸브
JP2666055B2 (ja) 湯水混合栓
KR200310725Y1 (ko) 연수기용 전환밸브장치
KR100516211B1 (ko)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
KR100658594B1 (ko) 연수기용 재생시스템
KR100522563B1 (ko) 연수기
KR200325292Y1 (ko) 수전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