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535B1 - 프렛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렛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535B1
KR100498535B1 KR10-2002-0049477A KR20020049477A KR100498535B1 KR 100498535 B1 KR100498535 B1 KR 100498535B1 KR 20020049477 A KR20020049477 A KR 20020049477A KR 100498535 B1 KR100498535 B1 KR 100498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t
roller
wire
shape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418A (ko
Inventor
김학렬
Original Assignee
김학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렬 filed Critical 김학렬
Priority to KR10-2002-0049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535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6Necks; Fingerboards, e.g. fret board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1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a controlled atmosphere or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73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cooling
    • C21D9/5732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cooling of wires; of r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렛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렛의 제조방법은 프렛와이어를 제공하는 프렛와이어 제공단계와, 상기 프렛와이어를 프렛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롤러를 통과시켜 프렛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프렛형상완성단계와, 상기 프렛와이어를 그 내부에 수소, 질소, 암모니아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 충진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주위를 통과하여 상기 파이프에 열을 가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처리로의 상기 파이프를 통과시켜 열처리를 행하는 열처리 단계와 그리고 상기 프렛와이어를 냉각시키는 프렛와이어 냉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프렛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ret}
본 발명은 프렛(fret)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연속되는 자동공정으로 그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또한 재질의 광택이 그대로 살아 있으며 변색이 일어나지 않는 프렛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렛은 기타(guitar) 또는 다른 현악기에서 지판(finger board)에 박혀있는 가늘고 긴 금속 조각을 말한다. 프렛과 프렛 사이는 반음씩 변하게 되어 있어 이곳을 누르고 피킹(picking)을 함으로서 그곳에 해당하는 음이 소리나는 것이다.
도 1은 기타(100)의 지판(50)에 프렛(10)이 설치된 것을 보이며, 특별히 프렛(10)을 부분확대도로서 보이고 있다. 도 1의 부분 확대도의 프렛(10)의 단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렛(10)은 지판(50)의 외부로 노출되는 머리부(crown)(12)와 이의 하부로 연장된 날부(tang)(14)와 날부(14)의 측면에서 양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barb)(16)를 가진다. 이러한 프렛(10)은 그 날부(14)와 돌출부(16)가 지판(50)에 박혀 견고하게 고정된다.
통상의 경우, 프렛은 그 중량비를 구리 65%, 니켈 18%, 아연 17%로 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프렛 와이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먼저 상기 프렛와이어를 프렛의 단면형상의 홈을 그 외주면(롤러는 일반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기 원기둥 형상의 롤러에서 상하면이 아닌 원주면을 따라 둥근면을 외주면이라 한다.)를 따라 가지는 롤러를 통과시켜 프렛의 형상을 만든다. 이때, 와이어는 롤러를 통과하면서 가공경화(work-hardening)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침탄열처리를 행한다. 침탄열처리 후 산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것은 침탄열처리의 결과 프렛와이어가 검게 변색되기 때문이다. 즉 산처리를 통하여 검게 변색된 프렛와이어를 백색의 광택이 나도록 만들어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산처리에 의하여 합금 고유의 백색광택이 저하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변색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프렛제조공정을 자동화하여 그 작업효율을 높이고 또한 산처리가 필요하지 않아 합금 특유의 백색광택을 유지하며 시간이 지나도 변색이 일어나지 않는 프렛을 생산할 수 있는 제조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먼저 그 직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렛제조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별히 산처리를 필요하지 않아 합금 특유의 백색광택을 살리고 또한 시간이 지나도 변색이 일어나지 않는 프렛을 생산할 수 있는 제조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프렛의 제조방법은 프렛와이어를 제공하는 프렛와이어 제공단계와, 상기 프렛와이어를 프렛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롤러를 통과시켜 프렛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프렛형상완성단계와, 상기 프렛와이어를 그 내부에 수소, 질소, 암모니아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 충진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주위를 통과하여 상기 파이프에 열을 가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처리로의 파이프 내로 통과시켜 열처리를 행하는 열처리 단계와 그리고 상기 프렛와이어를 냉각시키는 프렛와이어 냉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프렛형상완성단계는 그 외주면를 따라 프렛의 머리부의 단면형상의 홈부가 형성된 상부롤러와 그 외주면를 따라 프렛의 날부의 단면형상의 홈부가 형성된 하부롤러를 가지는 제1롤러를 통과하는 제1형상완성단계와 그 외주면를 따라 프렛의 날부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그 측면에는 프렛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홈부가 형성된 제2롤러를 통과하는 제2형상완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렛와이어 냉각단계는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의 파이프가 연속하여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파이프주위를 냉각수가 통과하여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먼저 프렛와이어(50)가 제공된다. 상기 프렛와이어(50)는 예시적으로 그 중량비를 구리 65%, 니켈 18%, 아연 17%로 하는 합금이고 현재 그 단면(55)은 원형(501)이다.
이러한 프렛와이어(50)가 제1롤러(200) 및 제2롤러(300)를 통과하면서 그 단면이 프렛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롤러(200)는 상부롤러(210)와 하부롤러(230)를 가지는데, 상기 상부롤러(210)는 그 외주면를 따라 프렛의 머리부(12)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홈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롤러(230)는 그 외주면를 따라 프렛의 날부의 단면형상(14)을 가지는 홈부(23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롤러(200)의 상부롤러(210)와 하부롤러(230) 사이를 상기 프렛와이어(50)가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시부호 50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머리부(12)와 날부(14)가 프렛와이어(50)에 형성되게 된다.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롤러(200)는 그 외주면을 따라 프렛의 머리부 단면의 상면 형상을 가지는 홈부가 형성된 상부롤러(210)와 그 외주면을 따라 프렛의 날부 단면의 하면 형상을 가지는 홈부가 형성된 하부롤러(230)가 맞대어 결합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프렛의 단면에 해당하는 구멍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제1롤러에 상기 프렛와이어를 통과시켜 제1형상완성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렛와이어(50)는 다시 상부롤러(310), 하부롤러(330), 좌측부롤러(350), 우측부롤러(370)가 복합적으로 형성된 제2롤러(300)를 통과한다. 상기 제2롤러(300)에 형성된 상부롤러(310), 하부롤러(330)는 그 외주면를 따라 프렛의 날부(14)의 단면형상의 홈(316)을 가지며, 좌측부롤러(350)는 프렛와이어의 머리부(12)의 형상을 가지고, 우측부롤러(370)는 평면형상으로 프렛와이어(50)의 측면 단속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2롤러(300)를 상기 프렛와이어(50)가 통과하며 그 결과 상기 프렛와이어(50)의 단면형상은 도시부호 503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돌출부(16)가 형성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롤러(300)는 그 외주면을 따라 프렛의 날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 형상에 해당하는 홈(316)을 일정간격으로 가지는 원기둥형상의 상부롤러(310), 상기 상부롤러(310)와 제조하고자 하는 프렛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이에 대응되도록 결합되고 그 외주면을 따라 프렛의 날부 타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 형상에 해당하는 홈(316)을 일정간격으로 가지는 원기둥형상의 하부롤러(330), 상기 상부롤러(310) 및 하부롤러(330)의 좌측 상면에 맞대어 결합되고 그 외주면을 따라 프렛의 머리부 단면의 상면 형상을 가지는 홈부가 형성된 좌측부 롤러(350), 및 상기 상부롤러(310) 및 하부롤러(330)의 우측 상면에 맞대어 결합되고 그 외주면을 따라 상기 상부롤러(310) 및 하부롤러(330)의 이격부에 삽입되어 각 롤러들에 의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프렛의 단면에 해당하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는 돌설부를 가지는 우측부 롤러(370)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제2롤러에 상기 제1형상완성단계를 거친 프렛와이어를 통과시켜 제2형상완성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프렛와이어(50)는 상기 제1(200) 및 제2롤러(300)를 계속하여 관통하며 이들은 권취기(400)에 의하여 권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렛와이어가 제1롤러(200) 및 제2롤러(300)를 각각 한번씩 통과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작업의 정밀도에 따라 상기 롤러들(200)(300)은 선택적으로 다수개가 반복되어 설치되고 프렛와이어는 이들을 여러 번 관통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공정을 통하여 프렛와이어(50)는 프렛의 형상을 가지게 되나, 이때 가공경화에 의하여 경도가 증가하여 이를 열처리를 통하여 풀어줄 필요가 있다.
도 3은 이러한 열처리 공정 및 열처리후의 냉각공정을 행하는 것을 보인다.
상술한 프렛형상완성단계를 거쳐 권취된 프렛와이어(50)는 열처리로(500)를 통과한다. 상기 열처리로(500)는 다수개의 파이프(530)가 그 내부에 관통하며 상기 파이프(530) 주위를 히터(580)가 관통하고 있다. 상기 파이프(530)는 유입관(540) 및 유입통(550) 및 분배관(560)을 통하여 그 내부에 수소, 질소, 암모니아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 유입되어 충진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산소보다 높은 압력으로 주입시켜 산소가 파이프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열처리로(500)의 파이프(530)를 상기 프렛와이어(50)가 권취장치(700)에 의하여 관통하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530)내에 충진된 수소, 질소, 암모니아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기 히터(580)가 620℃에서 850℃정도의 온도의 열을 전달하므로 상기 파이프(530)내 즉, 파이프의 입구 쪽에서 연소가 일어나면서 산소가 제거된다. 그러면 상기 파이프(530)내에는 산소가 존재하지 않아 상기 파이프(530)를 관통하는 프렛와이어(50)는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열전달을 받아 열처리가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종래 침탄열처리시에 발생하던 검게 변색하는 문제가 없어진다. 또한 변색이 없으므로 특별히 산처리가 필요하지도 않게 된다.
이러한 열처리 공정을 거친 프렛와이어(50)는 냉각공정을 거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공정은 냉각통(600)을 상기 프렛와이어(50)가 통과하면서 이루어진다. 냉각통(600)은 그 내부에 냉각수(630)가 채워진 통 구조의 것으로서, 여기에 상기 파이프(530)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열처리를 거친 프렛와이어(50)는 연속적으로 상기 냉각수를 통과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냉각과정을 거친 프렛와이어(50)는 권취장치(700)에 의하여 권취된다. 다음, 후속공정으로 상기 프렛와이어(50)는 일정 크기로 절단되고, 프렛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별히 산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자동화된 공정으로 합금 특유의 백색광택을 살리고 또한 시간이 지나도 변색이 일어나지 않으며 또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렛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도 1은 프렛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프렛형상완성단계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열처리 및 냉각공정을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50: 프렛와이어 200: 제1롤러
300: 제2롤러 500: 열처리로
600: 냉각통

Claims (3)

  1. (a) 프렛와이어를 제공하는 프렛와이어 제공단계;
    (b1) 그 외주면을 따라 프렛의 머리부 단면의 상면 형상을 가지는 홈부가 형성된 상부롤러와 그 외주면을 따라 프렛의 날부 단면의 하면 형상을 가지는 홈부가 형성된 하부롤러가 맞대어 결합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프렛의 단면에 해당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제1롤러에 상기 프렛와이어를 통과시키는 제1형상완성단계;
    (b2) 그 외주면을 따라 프렛의 날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 형상에 해당하는 홈을 일정간격으로 가지는 원기둥형상의 상부롤러, 상기 상부롤러와 프렛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이에 대응되도록 결합되고 그 외주면을 따라 프렛의 날부 타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 형상에 해당하는 홈을 일정간격으로 가지는 원기둥형상의 하부롤러, 상기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의 좌측 상면에 맞대어 결합되고 그 외주면을 따라 프렛의 머리부 단면의 상면 형상을 가지는 홈부가 형성된 좌측부 롤러, 및 상기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의 우측 상면에 맞대어 결합되고 그 외주면을 따라 상기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의 이격부에 삽입되어 각 롤러들에 의하여 프렛의 단면에 해당하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는 돌설부를 가지는 우측부 롤러로 이루어지는 제2롤러에 상기 제1형상완성단계를 거친 프렛와이어를 통과시키는 제2형상완성단계;
    (c) 상기 프렛와이어를 그 내부에 수소, 질소, 암모니아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 충진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주위를 통과하여 상기 파이프에 열을 가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처리로의 상기 파이프로 관통시켜 열처리를 행하는 열처리 단계; 그리고
    (d) 상기 프렛와이어를 냉각시키는 프렛와이어 냉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렛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렛와이어 냉각단계는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의 파이프가 연속하여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파이프 주위를 냉각수가 채워진 냉각통으로 상기 프렛와이어가 연속하여 상기 파이프를 통하여 통과하여 냉각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렛의 제조방법.
KR10-2002-0049477A 2002-08-21 2002-08-21 프렛의 제조방법 KR100498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477A KR100498535B1 (ko) 2002-08-21 2002-08-21 프렛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477A KR100498535B1 (ko) 2002-08-21 2002-08-21 프렛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418A KR20040017418A (ko) 2004-02-27
KR100498535B1 true KR100498535B1 (ko) 2005-07-01

Family

ID=3732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477A KR100498535B1 (ko) 2002-08-21 2002-08-21 프렛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5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23224Y1 (ko) * 1964-07-11 1969-10-01
JPH0327423Y2 (ko) * 1984-03-28 1991-06-13
JPH08252601A (ja) * 1995-03-15 1996-10-01 Nippon Kinzoku Co Ltd 構造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63547A (ko) * 2002-07-16 2002-08-03 유병섭 선재용 열처리시스템의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23224Y1 (ko) * 1964-07-11 1969-10-01
JPH0327423Y2 (ko) * 1984-03-28 1991-06-13
JPH08252601A (ja) * 1995-03-15 1996-10-01 Nippon Kinzoku Co Ltd 構造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63547A (ko) * 2002-07-16 2002-08-03 유병섭 선재용 열처리시스템의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418A (ko) 200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1329B (zh) 压带及其制造方法
KR100498535B1 (ko) 프렛의 제조방법
DE69729337D1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Tellerfeder
JP5197209B2 (ja) 配管断熱用スペーサおよび配管構造
JPS61160426A (ja) 紡機用メタリツクワ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23456B2 (ja) スペーサエキスパンダ及びその製造方法
US4063674A (en) Method of making a wound musical instrument string
KR100823960B1 (ko) 전선제조용 동선의 가공방법
JP2014062324A (ja) 高周波焼入タッピンねじ
CN213545878U (zh) 一种钢琴铁排弦列
EP1023956B1 (en) Method of heating and quenching a hollow metal member
KR100902448B1 (ko) 유기 이엘(el)용 마스크
JPS61156779A (ja) 発光表示装置用電極部材の製造方法
JPH0440424B2 (ko)
JPS63195216A (ja) 無端ベルトフ−プの製造方法
KR200279053Y1 (ko) 낚시바늘 소재강의 열처리 장치
CN213286739U (zh) 一种金刚石合成用新型复合加热片
CN220300834U (zh) 一种替代氮化热处理的感应淬火感应器
CN111463066B (zh) 一种双金属片的生产工艺
CN212303022U (zh) 一种钢琴铁排弦列
KR100311873B1 (ko) 피아노 동선의 제조방법
JP2024054698A (ja) 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JP3116940U (ja) 和楽器用絃
JP2008256081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ねじ
SU483185A1 (ru) Бандаж дл матри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