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083B1 - 원사 빔 적재대 - Google Patents

원사 빔 적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083B1
KR100498083B1 KR10-2002-0050920A KR20020050920A KR100498083B1 KR 100498083 B1 KR100498083 B1 KR 100498083B1 KR 20020050920 A KR20020050920 A KR 20020050920A KR 100498083 B1 KR100498083 B1 KR 100498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beam
plate
loading
yarn
reinforc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8852A (ko
Inventor
강희수
Original Assignee
강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수 filed Critical 강희수
Priority to KR10-2002-0050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08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13/00Details of machines of the preceding groups
    • D02H13/38Storage racks for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32Stands or frame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원사 빔을 적재하는 적재부를 다층으로 구성하고 입구에 승강대와 이송기를 장치하고 구동장치와 안전센서를 갖추어서 효율적으로 원사빔을 적재하고 관리할 수 있게한 원사 빔 적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원사 빔 적재대{Carrying board of grey yarn beam}
본 발명은 원사 빔을 적재하는 적재부를 다층으로 구성하여 그 입구에 승강대와 이송기를 구축하여 원사빔을 간편하게 원사빔 적재부에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송대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하여 구동장치와 안전센서를 부착시킨 구성의 원사빔 적재대에 관한 것인데 이는 좁은공간에 많은 양의 원사빔을 안전하게 적재 할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섬유회사에서 사용하는 원사빔은 회사내의 일정장소에 적재하므로 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적재대가 설치되어 있다해도 인력으로 원사빔을 적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힘이 많이 들고 원사빔을 적재하는 작업도중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많은 양의 원사빔을 한 곳에 적재 할 수 있도록 적재부를 구성하고, 원사빔을 적재하는 적재부 입구에 승강대를 구비하여 원사빔 이송기를 장치하고 구동장치와 안전센서를 설치하므로서 원사빔의 적재가 용이하고 관리가 안전하게 운영되도록 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세로기둥(71) 사이에 보강대(72)를 설치하고 보강대위에서 보강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원사빔(D)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안내레일(701)이 형성된 적재판(70)을 배치한 적재부(C)와 상기 적재부(C)의 입구측에 " " 형 단면의 형강기둥(1)을 서로 마주보게 수직으로 세운 승강대(A)와 상기 승강대(A)의 " " 형 형강 기둥 사이에 가설되어 " " 형 형강 기둥의 안내홈(10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이송기(B)로 이루어지고
이송기(B)는 형강기둥(1)의 안내홈(101)에 안내되는 이송판(2)과 이송판사이에 가설되는 적재판(3)과 이송판과 적재판을 연결하는 연결대(4)(41)로 이루어지고 이송판(2)은 또 양측면에 수직롤러(21)(22)가 내외측으로 부착되어 " " 형 형강기둥(1)의 안내홈(101)내외측에 접촉하고 이송판의 내측면에는 수평롤러(23)가 부착되어 안내홈(101) 입구에 접촉하며 이송판(2)의 뒷면에 연결부(24)를 형성하여 체인(15)과 연결되어 ""형 형강기둥의 안내홈(101)을 따라 승하강되고, 적재판(3)위에는 원사빔(D)을 안착시키는 고정홈(32)과 안내레일(31)과 이탈방지턱(33)이 형성되며 이탈방지턱(33)은 적재판 저면의 축봉(34)과 부착되어, 축봉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341)과 적재판(3) 저면에 형성된 걸림구(342)사이에 스프링(35)이 가설되어 개폐되고 고정레버(36)에 의거 적재판에 고정되며 승강대(A)상부에는 이송기(B)를 작동시키는 전동장치가 설치된다이를 위해 형강기둥 상단에 보강대(11)를 설치하여 모터(12)가 장치되고 구동축(13)이 장치되어 형강기둥의 내측에 설치된 구동스프로킷(14)과 형강기둥 하단에 장치된 피동스프로킷(16)사이에 체인(15)을 걸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이송기(B)를 승하강시키게되며, 상기 피동스프로킷(16)에는 장력조절부(17)를 구비하여 체인(15)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장치된다.또, 승강대(A)를 따라 승강되는 이송기(B)의 하한점과 각 적재부(C)의 투입구에는 투광기와 수광기로 구성된 안전센서(5)(73)가 부착되며 콘트롤박스(6)에는 작동회로가 구비되어 전동장치를 운용하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작동회로는 도8에 명시한 바와같이 전원스위치를 눌러 PCL제어반에서 전원제어부를 통해 전원을 넣고, 원사빔을 적재부(C)로 이송하기 위해 승강대(A)의 이송기(B)에 원사빔(D)을 적재하고 이탈방지턱(33)을 개폐시켜 원사빔을 고정하며, 상기 원사빔을 적재부(C)로 투입하고자 하는 계층의 투입구로 UP스위치를 눌리면, PCL제어반에서 모터구동부의 모터를 동작시켜 적재하고자 하는 계층의 투입구로 이송기(B)가 이동하고, 상기 적재대의 안내레일을 따라 원사빔을 적재를 시키며, 적재된 원사빔을 출하할 때는 적재부(C)의 원사빔(D)을 이송기에 실고 IN CHING스위치를 눌러 원사빔을 2단 또는 3단,4단에서 바닥까지 하강시켜 출하할 수 있고, 상기 원사빔을 2단에서 3단으로 또는 4단에서 3단으로 옮길 때 DOWN스위치를 눌러 단계적으로 이송기를 내릴 수 있으며, 상기 원사빔을 적재 또는 출하할 때 승강대(A)에 설치된 안전센서(5)에 의해 돌발상황에 따라 센서검출부와 위치검출부에서 위험이 감지되면 PCL제어반에서 모터구동부를 통해 모터를 정지시키고 동시에 위험상황에 따른 작동표시부와 경고출력을 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사용자가 위험을 감지하여 STOP스위치를 직접 눌렀을 경우도 상기와 같이 모든 동작이 정지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부피가 큰 원사빔을 좁은 공간에 많은 양을 적재 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원사빔을 적재하는 적재부에 승강장치를 구비하여 콘트롤박스의 작동회로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원사빔을 이송할 수 있어 사용자가 힘들지 않고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노동력을 절감 할 수 있고, 승강대의 최고 하한선과 승강대 투입구의 각 층 마다 투광기와 수광기로 구성된 안전센서를 다중으로 부착 시키므로서, 이송기가 이동되는중에 원사빔이 이탈할 경우 또는 작업자의 발이나 기타 물건등이 승강대 안에 있을 경우, 기타 돌발적으로 투광기에서 수광기로 전송되는 감지선이 차단되는 경우에 콘트롤박스가 승강대의 구동장치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고, 그와 동시에 경고음이나 부져신호를 울려 작업자는 상황발생에 따른 안전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한 후 다시 시스탬을 가동시키게 되므로서 안전하게 승강대를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승강대 부분사시도
도 3은 승강대의 측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승강대의 이송기 작동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 승강대의 이송기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승강대의 이송기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회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A: 승강대 B: 이송기
C: 적재부 D: 원사 빔
1: 형강기둥 2: 이송판
3: 적재판 4: 연결대
5: 안전센서 6: 콘트롤박스

Claims (4)

  1. 서로 마주보는 세로기둥(71)사이에 보강대(72)를 설치하고 보강대위에 보강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안내레일(701)이 형성된 적재판(70)을 배치한 원사빔(D) 적재부(C)와,
    상기 적재부(C)의 투입구에 세워진 "" 형 단면의 형강기둥(1)으로 이루어진 승강대(A)와,
    상기 승강대(A)에 위에 설치되는 구동장치와 형강기둥(1)을 따라 승강되는 이송기(B)로 이루어져, 안전센서(5)와 작동회로를 갖추어서되는 원사빔 적재대.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이송기(B)는 이송판(2)과 적재판(3)과 연결대(4)(41)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판(2)의 수직롤러(21)(22)가 형강기둥(1)의 안내홈(101) 내외면에 접촉하고 수평롤러(23)는 안내홈(101)내면에 접촉하며 이송판(2)의 뒷면에 연결부(24)를 형성하여 체인(15)과 연결되어 형강기둥(1)의 안내홈(101)을 따라 승하강되고 적재판(3) 상면에는 원사빔(D)을 안착시키는 고정홈(32)과 안내레일(31)이 형성되고, 이탈방지턱(33)을 형성하여 저면의 축봉(34)과 연결되어, 축봉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341)과 적재판(3) 저면의 걸림구(342)에 스프링(35)이 탄설되며 고정레버(36)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일 것을 포함하는 원사 빔 적재대.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구동장치는 형강기둥 상단의 보강대(11)에 장치된 모터(12)가 구동축(13)을 작동시켜, 형강기둥 내측에 형성된 구동스프로킷(14)과 형강기등 하단의 피동스프로킷(16)을 체인(15)으로 연결하여 이동판과 결합되고 피동스프로킷(16)에 장력조절부(17)가 장치되어 체인(15)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 구성일 것을 포함하는 원사빔 적재대.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안전센서(5)는 투광기와 수광기로 구성되고, 안전센서가 부착되는 위치는 승강대(A)에서 이송기(B)가 최대로 하강 되는 지점과, 적재부(C)의 투입구에 다중으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원사 빔 적재대.
KR10-2002-0050920A 2002-08-27 2002-08-27 원사 빔 적재대 KR100498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920A KR100498083B1 (ko) 2002-08-27 2002-08-27 원사 빔 적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920A KR100498083B1 (ko) 2002-08-27 2002-08-27 원사 빔 적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852A KR20040018852A (ko) 2004-03-04
KR100498083B1 true KR100498083B1 (ko) 2005-07-01

Family

ID=3732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920A KR100498083B1 (ko) 2002-08-27 2002-08-27 원사 빔 적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482B1 (ko) * 2016-12-09 2017-02-06 (주)리이스트레이딩 염색조 승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2450A1 (en) * 1990-08-01 1992-02-20 Nalco Fuel Tech Nitrogen oxides reduction using a urea hydrolysate
KR950000590U (ko) * 1993-06-17 1995-01-03 프레스금형의 이중 절곡장치
KR950023303U (ko) * 1994-01-22 1995-08-21 이병화 직물지 제작용 실뭉치 받침대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2450A1 (en) * 1990-08-01 1992-02-20 Nalco Fuel Tech Nitrogen oxides reduction using a urea hydrolysate
KR950000590U (ko) * 1993-06-17 1995-01-03 프레스금형의 이중 절곡장치
KR950023303U (ko) * 1994-01-22 1995-08-21 이병화 직물지 제작용 실뭉치 받침대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482B1 (ko) * 2016-12-09 2017-02-06 (주)리이스트레이딩 염색조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852A (ko) 200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531B1 (ko) 천장 크레인 시스템
KR0145422B1 (ko) 물품승강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입체 주차장
JP2010137956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100498083B1 (ko) 원사 빔 적재대
KR101031656B1 (ko) 승강기 안전장치
JP4663253B2 (ja) 吊り具
KR102361590B1 (ko)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
KR102329887B1 (ko) 비전과 레이더를 활용한 산업용로봇 안전시스템
JP2002003118A5 (ko)
KR20190025088A (ko) 롤러 확인장치
JP4033007B2 (ja) 物品保管設備の安全装置
JP2006044889A (ja) 避難用エレベータ装置
JP6654163B2 (ja) エレベーター
EP3718945A1 (en) A method for elevator shaft construction and guide rail installation
KR102525885B1 (ko) 엘리베이터용 하중분산 지지장치
KR102548434B1 (ko)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KR20050075127A (ko) 리프트와 대차 사이의 단차에 의한 팔레트 이송 불능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차장치 및 팔레트 이송 제어방법
JPH1135282A (ja) 昇降用の吊り下げ材の弛み検出機構
JP3631819B2 (ja) 物品運搬用木製品のがたつき検査装置および方法
KR100776039B1 (ko) 슬래브 이송용 수평 테이블의 캐리지
JP3985704B2 (ja) 物品搬送装置
KR20020082046A (ko) 고가 사다리차의 자동이송제어 시스템
JPH06321311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給電装置
KR100803381B1 (ko) 지능형 리프트
JP2900728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