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647B1 -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647B1
KR100497647B1 KR10-2003-0016786A KR20030016786A KR100497647B1 KR 100497647 B1 KR100497647 B1 KR 100497647B1 KR 20030016786 A KR20030016786 A KR 20030016786A KR 100497647 B1 KR100497647 B1 KR 100497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drill
locking pin
groove
a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135A (ko
Inventor
최창희
황석기
모셰샤론
Original Assignee
대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6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8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1Rub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교환시 잠금용 부품을 드릴 바디로부터 제거하지 않고도 블레이드의 착탈 및 클램핑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의 취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부측에 V자형 돌기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돌기부의 일측변으로부터 드릴축선에 경사진 방향으로 클램핑홈이 형성되는 블레이드와; 선단부 양측으로 블레이드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 사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V자형 돌기부가 형합되는 요입홈이 구비되는 드릴 바디와; 상기 드릴 바디 선단부의 지지편에 형성된 핀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클램핑홈에 위치하며, 회전각도에 따른 캠 작용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드릴 바디에 체결되도록 클램핑 작용을 수행하거나 상기 블레이드가 드릴 바디로부터 탈거되도록 언클램핑 작용을 수행하는 잠금핀과; 상기 잠금핀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드릴 바디의 잠금핀 주위에 설치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blade throw-away type drill}
본 발명은 구멍가공에 널리 사용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blade throw-away type drill)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 타입의 드릴 바디에 블레이드를 신속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쉽게 탈거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은 강(steel)으로 된 드릴 바디와 초경합금(超硬合金)으로 된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초경합금인 블레이드는 스크류에 의해 드릴 바디에 확고하게 결합된다.
이하, 기존의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을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기존의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드릴의 바디에 블레이드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기존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은 드릴 바디(1)로부터 블레이드(2)를 교환하려면, 스크류(3)를 풀어 드릴 바디(1)로부터 상기 스크류(3)를 완전히 뽑아내어야만 상기 블레이드(2)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2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의 다른 구조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이러한 구조의 종래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의 경우에도 블레이드(5)가 드릴 바디(4)에 조립된 상태에서 블레이드(5)를 교환하려면, 스크류(6)를 풀어 드릴 바디(4)로부터 상기 스크류(6)를 완전히 뽑아내어야만 상기 블레이드(5)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구조의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첫째, 종래 구조의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은 그 직경이 소형화될수록 사용되는 스크류의 크기도 아주 작게 되어 다루기가 곤란하다.
둘째, 블레이드의 교환을 위해서 스크류를 여러 바퀴 회전시켜 풀어내어야 함으로 인해 취급상의 번거러움이 있다.
셋째, 블레이드 탈착을 위한 취급 과정에서 소형의 스크류를 분실함으로 인하여 드릴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넷째, 상기한 스크류의 분실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항상 여분으로 다수의 스크류를 준비해두어야 한다.
한편,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은 결국 구멍 뚫기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성을 저하시키고, 인적·물적 관리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레이드의 교환시 잠금용 부품을 드릴 바디로부터 제거하지 않고도 일종의 급속 체인지 방식에 의해 블레이드의 착탈 및 클램핑을 손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의 취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멍뚫기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부측에 V자형 돌기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돌기부의 일측변으로부터 드릴축선에 경사진 방향으로 클램핑홈이 형성되는 블레이드와; 선단부 양측으로 블레이드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 사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V자형 돌기부가 형합되는 요입홈이 구비되는 드릴 바디와; 상기 드릴 바디 선단부의 지지편에 형성된 핀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클램핑홈에 위치하며, 회전각도에 따른 캠 작용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드릴 바디에 체결되도록 클램핑 작용을 수행하거나 상기 블레이드가 드릴 바디로부터 탈거되도록 언클램핑 작용을 수행하는 잠금핀과; 상기 잠금핀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드릴 바디의 잠금핀 주위에 설치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은, 하부측에 V자형 돌기부(8c)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돌기부(8c)의 일측변으로부터 드릴축선에 경사진 방향으로 클램핑홈이 형성되는 블레이드(8)와; 선단부 양측으로 블레이드(8) 지지편(7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7a) 사이에는 상기 블레이드(8)의 V자형 돌기부(8c)가 형합되는 요입홈(7e)이 구비되는 드릴 바디(7)와; 상기 드릴 바디(7) 선단부의 지지편(7a)에 형성된 핀삽입공(7b)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클램핑홈에 위치하며, 회전각도에 따른 캠 작용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8)가 드릴 바디(7)에 체결되도록 클램핑 작용을 수행하거나 상기 블레이드(8)가 드릴 바디(7)로부터 탈거되도록 언클램핑 작용을 수행하는 잠금핀(9)과; 상기 잠금핀(9)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드릴 바디(7)의 잠금핀(9) 주위에 설치되는 스톱퍼(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블레이드(8)에 형성되는 클램핑홈은, 드릴축선에 경사진 방향을 따라 일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안내홈부(8a)와, 상기 드릴축선에 대해 편심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홈부(8a) 끝단에 연장형성되는 원형(round), 타원형(oval), 다각형(polygon),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의 작용홈부(8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잠금핀만을 별도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잠금핀의 정면도 및 좌우 측면도로서, 상기 잠금핀(9)은, 드릴바디(7)의 핀삽입공(7b)을 통해 삽입되는 원통형의 몸통부(9b)와, 상기 몸통부(9b)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몸통부(9b)의 중심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조립시 상기 블레이드(8)에 형성된 클램핑홈의 작용홈부(8b)에 위치하게 되며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8)를 드릴 바디(7)쪽으로 밀어붙이도록 상기 클램핑홈의 작용홈부(8b) 내측면에 대해 압력을 가하게 되는 편심캠부(9a)와, 상기 몸통부(9b)의 타단에 구비되며 원주방향을 따른 일부영역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요입형성되어 상기 스톱퍼(10)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잠금핀(9)의 회전범위가 제어되도록 하는 캠홈(9c-1)을 갖는 헤드부(9c)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잠금핀의 헤드부(9c)는 전체적으로는 상기 몸통부(9b)의 직경(D1)보다 큰 직경(D2)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드릴 바디(7)의 핀삽입공(7b)으로 잠금핀(9)을 삽입시, 원통형의 몸통부(9b)가 삽입됨에 따라 핀삽입공(7b) 내측의 걸림턱(7c)에 헤드부(9c)가 걸려 더 이상의 잠금핀(9)의 삽입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잠금핀(9)의 편심캠부(9a)의 장경(長徑)은 클램핑홈의 안내홈부(8a)의 폭(W)보다 큰 치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편심캠부(9a)의 단경(短徑)은 클램핑홈의 안내홈부(8a)의 폭(W) 보다 작은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헤드부(9c) 상단면에는 상기 잠금핀(9)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 렌치(11)를 삽입하기 위한 렌치홈(9c-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핀 헤드부(9c)의 캠홈(9c-1)의 형성각(α)은 60° 이상 320° 이하의 범위를 이루게 되며, 특히 상기 캠홈(9c-1)의 형성각(α)은 90도 이상 270도 이하의 범위를 이루게 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홈(9c-1)에는 상기 스톱퍼(10)와의 간섭에 의해 잠금핀(9)을 회전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캠홈면(9c-1-1)이 형성되는데, 상기 캠홈면(9c-1-1)은 몸통부(9b)와 동심원을 이루며 스톱퍼(10) 외주면에 접하게 되는 접속캠홈면(9c-1-1a)과, 상기 몸통부(9b)와 동심원을 이루는 접속캠홈면(9c-1-1a) 양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접속캠홈면(9c-1-1a)과는 반대방향으로 곡률이지게 형성된 정지캠홈면(9c-1-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편심캠부(9a)의 일정 영역은 축방향을 따라 끝단으로 갈수록 잠금핀(9)의 중심축선에 대해 가까워지는 경사면(9a-1)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잠금핀(9)에 대해 블레이드(8)의 진출 및 퇴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스톱퍼의 헤드(10a)는 일부분이 잠금핀 삽입공(7b)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잠금핀(9)이 드릴 바디(7)의 잠금핀 삽입공(7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10)를 스톱퍼 체결공(7d)에 체결하면 상기 스톱퍼의 헤드(10a)는 상기 잠금핀(9)의 캠홈(9c-1)에 위치함으로써 잠금핀(9)이 잠금핀 삽입공(7b)으로부터 빠져나오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10) 및 잠금핀(9)은 드릴 바디(7) 외주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8)의 V자형 돌기부(8c) 일측면은 드릴 바디(7)와의 조립시, 상기 드릴 바디(7) 선단부 양측에 형성된 지지편(7a) 내측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면(8d)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착탈 과정은 다음과 같다.
드릴 바디(7)에 블레이드(8)를 장착하는 과정에 앞서, 드릴 바디(7)의 핀삽입공(7b)에 잠금핀(9)을 삽입하고, 이어 상기 드릴 바디(7)에 스톱퍼(10)를 조립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이하에서는 잠금핀(9)과 스톱퍼(10)가 조립된 상태를 전제로 설명을 전개한다.
도 8은 블레이드 삽입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블레이드 삽입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먼저 잠금핀의 헤드부(9c)에 형성된 렌치홈(9c-2)에 렌치(11)를 삽입한 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멈출 때까지 렌치(11)를 돌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A°만큼 회전한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잠금핀(9)의 편심캠부(9a)의 장경 방향이 클램핑홈의 안내홈부(8a)의 길이방향과 일치하게 되어 블레이드(8)를 드릴 바디(7)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8)의 클램핑홈 부위를 드릴 바디(7)에 결합된 잠금핀(9)에 대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8)를 도면의 화살표 방향(즉, 안내홈부(8a) 형성방향)으로 이동시켜 드릴 바디(7)에 삽입한다.
즉, 상기 블레이드(8)를 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드릴 바디(7)에 삽입하고 나면 도 9와 같은 상태로 된다.
한편,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8)가 드릴 바디(7)에 단순 삽입된 상태에서, 블레이드(8)에 형성된 클램핑홈과 잠금핀(9)에 형성된 편심캠부(9a)와의 위치 관계를 도 10과 같은 작용 상태도를 통해 살펴보면 잠금핀(9)의 편심캠부(9a)는 대략 클램핑홈의 작용홈부(8b) 중심부에 위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8)를 드릴 바디(7)에 견고히 장착시키기 위해 잠금핀의 헤드부(9c)에 형성된 렌치홈(9c-2)에 삽입된 렌치(1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핀(9)이 회전하게 되는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B°만큼 회전한 위치에서는 잠금핀(9)에 작용하는 회전 토오크가 최대가 된다.
즉, 도 12는 도 11의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작용 상태도로서, 최대 조임 위치에 렌치(11)가 위치한 상태에서의 블레이드(8)에 형성된 클램핑홈과 잠금핀(9)에 형성된 편심캠부(9a)와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고 있는 바, 잠금핀(9)의 편심캠부(9a)와 클램핑홈의 작용홈부(8b) 내주면과의 접촉면적이 가장 큰 상태여서 잠금핀(9)에 인가되는 회전 토오크 또한 가장 큰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때에는 도 1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잠금핀(9)의 편심캠부(9a)가 드릴 축선에 대해 일정 거리만큼 편심되어 위치하고 있고, 상기 잠금핀(9)의 편심캠부(9a)와 작용홈부(8b)의 접촉면 중심이 높은 위치에 위치하므로 블레이드(8)에 작용하는 클램핑력은 주로 블레이드(8)를 측면으로 밀어 붙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이 때에는 블레이드(8)의 V자형 돌기부(8c)와 드릴 바디(7)의 요입홈(7e) 내면 사이에 작용하는 면압(面壓)이 블레이드(8)를 수직 하방으로 밀어 붙이는 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의 잠금 유지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작용 설명을 위한 도 13의 요부 절개 정면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도 11 및 도 12의 상태에서 계속해서 상기 렌치(11)에 시계방향으로 더욱 강한 토오크를 가하게 되면, 잠금핀(9)의 편심캠부(9a)와 클램핑홈의 작용홈부(8b) 내주면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다소 잠금력이 낮아지게 되며, 도 13에서와 같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C°만큼 회전한 위치에서는 잠금핀의 헤드부(9c)에 형성된 캠홈(9c-1)의 정지캠홈면(9c-1-1b)이 잠금핀(9)에 이웃하게 설치된 스톱퍼의 헤드(10a)에 걸려 더 이상 잠금핀(9)이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8)는 드릴 바디(7)에 견고히 장착되며, 이와 같이 블레이드(8)에 대한 잠금 유지 상태에서는 상기 블레이드(8)의 V자형 돌기부(8c)와 이를 제외한 하부 지지면이 드릴 바디(7)의 요입홈(7e) 및 이를 제외한 선단면에 대해 각각 형합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이 때에는 도 1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잠금핀(9)의 편심캠부(9a)와 작용홈부(8b)의 접촉면 중심이 높은 위치에 위치하므로 블레이드(8)에 작용하는 클램핑력은 주로 블레이드(8)를 수직 하방으로 밀어 붙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이 때에는 블레이드(8)의 V자형 돌기부(8c)와 드릴 바디(7)의 요입홈(7e) 내면 사이에 작용하는 면압보다는 블레이드(8)의 수평한 하부면과 드릴 바디(7)의 수평한 선단면 사이의 면압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8)가 드릴 바디(7)에 결합된 상태에서 다시 블레이드(8)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 과정과 반대의 과정으로 잠금핀(9)을 회전시켜 수직선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A°회전한 위치로 오게 한 상태에서 블레이드(8)를 드릴 바디(7)로부터 빼낸 후, 교체할 블레이드를 상기한 장착 과정을 통해 손쉽게 다시 드릴 바디(7)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의 블레이드 장착시, 잠금핀의 각 위치별 잠금 토오크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이를 참조하면 수직선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렌치(11)를 A°만큼 회전시켜 블레이드(8)를 드릴 바디(7)에 단순 조립한 상태에서는 토오크가 작용하지 않으며, 렌치(11)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수직선 위치를 지나 잠금핀(9)의 편심캠부(9a)가 작용홈부(8b) 내주면에 접촉을 시작하면서부터 잠금핀(9)에 작용하는 토오크가 점점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선을 기준으로 렌치(11)를 시계방향으로 B°만큼 회전한 위치에서는 잠금핀(9)에 가장 큰 토오크가 작용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그 이후부터는 토오크가 점점 줄어들게 되며 렌치(11)가 수직선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C°만큼 회전한 상태에서는 스톱퍼(10)에 의해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이 위치에서는 잠금핀(9)은 최고 정점의 토오크를 벗어난 상태가 되므로, 어떤 악조건의 절삭 작업중에도 잠금핀(9)의 풀림이 일어날 수 없게 된다.
즉, 드릴 작업 수행시, 드릴의 회전방향에 따른 가공물의 저항에 의해 잠금핀(9)에 작용하는 회전 토오크는 잠금핀(9)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게 되는데, 이 때에는 스톱퍼(10)로 인해 잠금핀(9) 시계방향 회전이 불가능하다.
또한, 드릴 작업 수행시 드릴에 작용하는 진동은 잠금핀(9)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토오크로도 작용하게 되는데, 이 때 잠금핀(9)이 반시계 방향으로 풀리기 위해서는 최대 조임 위치에서 잠금핀(9)에 작용하는 토오크 보다도 더 큰 토오크가 요구되는데, 절삭시 잠금핀(9)에 대해서는 이 보다 더 큰 토오크가 작용하지 않으므로 반시계 방향으로는 잠금핀(9)의 풀림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른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은, 소형 쓰로-어웨이 드릴에서 매우 작은 부품을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착탈할 때 잠금 스크류 등의 부품을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잠금핀(9)등의 부품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블레이드(8)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른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은 잠금 스크류를 다수회 회전시켜 제거한 상태에서 블레이드를 교환한 후 다시 다수회 회전시켜 장착하던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잠금핀(9)을 360°이내 범위에서 회전시켜 블레이드(8)의 교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인해 블레이드(8) 교체 작업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8)의 교체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교환시 잠금용 부품을 드릴 바디로부터 제거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잠금핀을 360°이내의 범위로 회전시키면서 블레이드의 착탈 및 클램핑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잠금용 부품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블레이드의 교환을 수행할 수 있어 부품의 분실을 방지 할 수 있으며, 기존과 같이 잠금 스크류등을 풀어내기 위해 여러번 돌려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이 해소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 교환시의 취급이 용이해짐에 따라 블레이드 교체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구멍 뚫기를 위한 드릴 작업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의 다른 구조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잠금핀만을 별도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잠금핀의 정면도 및 좌우 측면도
도 8은 블레이드 삽입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블레이드 삽입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도 9와 같이 블레이드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블레이드에 형성된 클램핑홈과 잠금핀에 형성된 편심캠부와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도
도 11은 최대 죄임 위치에서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과 같은 최대 죄임 위치에서의 블레이드에 형성된 클램핑홈과 잠금핀에 형성된 편심캠부와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도
도 13은 잠금 유지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14는 도 13과 같은 잠금 유지 상태에서의 블레이드에 형성된 클램핑홈과 잠금핀에 형성된 편심캠부와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의 블레이드 장착시 잠금핀의 각 위치별 잠금 토오크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드릴 바디 7a:지지편
7b:잠금핀 삽입공 7c:걸림턱
7d:스톱퍼 체결공 7e:요입홈
8:블레이드 8a:안내홈부
8b:작용홈부 8c:V자형 돌기부
8d:V자형 돌기부의 경사면 9:잠금핀
9a:편심캠부 9a-1:경사면
9b:몸통부 9c:잠금핀의 헤드부
9c-1:캠홈 9c-1-1:캠홈면
9c-1-1a:접속캠홈면 9c-1-1b:정지캠홈면
9c-2:렌치홈 10:스톱퍼
10a:스톱퍼의 헤드 11:렌치

Claims (12)

  1. 하부측에 V자형 돌기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돌기부의 일측변으로부터 드릴축선에 경사진 방향으로 클램핑홈이 형성되는 블레이드와;
    선단부 양측으로 블레이드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 사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V자형 돌기부가 형합되는 요입홈이 구비되는 드릴 바디와;
    상기 드릴 바디 선단부의 지지편에 형성된 핀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클램핑홈에 위치하며, 회전각도에 따른 캠 작용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드릴 바디에 체결되도록 클램핑 작용을 수행하거나 상기 블레이드가 드릴 바디로부터 탈거되도록 언클램핑 작용을 수행하는 잠금핀과;
    상기 잠금핀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드릴 바디의 잠금핀 주위에 설치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되는 클램핑홈은,
    드릴축선에 경사진 방향을 따라 일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안내홈부와,
    상기 드릴축선에 대해 편심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홈부 끝단에 연장형성되는 원형(round), 타원형(oval), 다각형(polygon),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의 작용홈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은,
    드릴바디의 핀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원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몸통부의 중심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조립시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된 클램핑홈의 작용홈부에 위치하게 되며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를 드릴 바디쪽으로 밀어붙이도록 상기 클램핑홈의 작용홈부 내측면에 대해 압력을 가하게 되는 편심캠부와,
    상기 몸통부의 타단에 구비되며 원주방향을 따른 일부영역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요입형성되어 상기 스톱퍼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잠금핀의 회전범위가 제어되도록 하는 캠홈을 갖는 헤드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의 헤드부는 상기 몸통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의 편심캠부의 장경(長徑)은 클램핑홈의 안내홈부의 폭(W)보다 큰 치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편심캠부의 단경(短徑)은 클램핑홈의 안내홈부의 폭(W) 보다 작은 치수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상단면에는 상기 잠금핀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 렌치를 삽입하기 위한 렌치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의 캠홈에는 상기 스톱퍼와의 간섭에 의해 잠금핀을 회전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캠홈면이 형성되고, 상기 캠홈면은,
    잠금핀의 몸통부와 동심원을 이루며 스톱퍼 외주면에 접하게 되는 접속캠홈면과, 상기 몸통부와 동심원을 이루는 접속캠홈면 양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접속캠홈면과는 반대방향으로 곡률이지게 형성된 정지캠홈면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그 형성각(α)이 60° 이상 320° 이하의 범위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부의 일정 영역은 축방향을 따라 끝단으로 갈수록 잠금핀의 중심축선에 대해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의 헤드는 일부분이 잠금핀 삽입공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11.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및 잠금핀은 드릴 바디 외주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V자형 돌기부 일측면은,
    상기 드릴 바디와의 조립시 그 선단부 양측에 형성된 지지편 내측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KR10-2003-0016786A 2003-03-18 2003-03-18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KR100497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786A KR100497647B1 (ko) 2003-03-18 2003-03-18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786A KR100497647B1 (ko) 2003-03-18 2003-03-18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135A KR20040082135A (ko) 2004-09-24
KR100497647B1 true KR100497647B1 (ko) 2005-07-01

Family

ID=3736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786A KR100497647B1 (ko) 2003-03-18 2003-03-18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6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0117A (en) * 1981-05-04 1983-08-23 Milling Specialties, Inc. Insert type milling cutter
US5004378A (en) * 1988-05-19 1991-04-02 Mitsubishi Metal Corporation Clamped cutting tool
EP0455196A2 (en) * 1990-05-03 1991-11-06 ZUANI S.r.l. Multiple-cutter insert fixing structure, particularly for wood-working tools and the like
JPH04223809A (ja) * 1990-03-30 1992-08-13 Gte Valenite Corp ピンロック装置
JPH10328910A (ja) * 1997-05-26 1998-12-15 Sumitomo Electric Ind Ltd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0117A (en) * 1981-05-04 1983-08-23 Milling Specialties, Inc. Insert type milling cutter
US5004378A (en) * 1988-05-19 1991-04-02 Mitsubishi Metal Corporation Clamped cutting tool
JPH04223809A (ja) * 1990-03-30 1992-08-13 Gte Valenite Corp ピンロック装置
EP0455196A2 (en) * 1990-05-03 1991-11-06 ZUANI S.r.l. Multiple-cutter insert fixing structure, particularly for wood-working tools and the like
JPH10328910A (ja) * 1997-05-26 1998-12-15 Sumitomo Electric Ind Ltd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135A (ko) 200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9694B2 (ja) 解放可能に装着されている自動締め付け切削ヘッドを有する切削工具
KR101642525B1 (ko) 칩 제거 가공용 회전 공구 및 이 회전 공구를 위한 루즈 탑 및 기본 몸체
RU2225786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даления однонаправленных крепежных деталей (варианты)
EP1015157B1 (en) A cutting tool assembly
US6142719A (en) Self-drilling screw
JP2011101945A (ja) 切り屑除去機械加工用回転工具及びそのためのルーズトップと基体
MXPA04008179A (es) Herramienta de corte giratoria con inserto de corte intercambiable.
KR20030048071A (ko) 칩제거자유끝단부에 교체가능한 커팅부를 구비한회전가능한 툴
JP2004501785A (ja) 切屑除去自由端に交換可能なチップを有した回転可能な工具
JP2011136413A (ja) コレットホルダを有する工具ホルダおよび工具ホルダで用いる工具挿入体
RU2502582C2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зажимным механизмом
JPH09323209A (ja) 多段ビット用ストッパー
WO2008014367A1 (en) Cutting tool with replaceable tip
KR100695384B1 (ko) 절삭 공구 조립체
JPH10328917A (ja) ドリル工具
JP2012506778A (ja) 切削工具およびそのための切削インサート
JP4129192B2 (ja) スローアウェイドリル
US5341710A (en) Coupling structure and method
WO2006001551A1 (en) Drill with disposable blade
KR100497647B1 (ko) 블레이드 쓰로-어웨이형 드릴
US4265460A (en) Tool holder
JP4272455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切削工具
JP4477397B2 (ja) ドリル工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下孔の内周面の切削方法
JP3812480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JP2005161434A (ja) ド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