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473B1 - 전기선의 배선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선의 배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473B1
KR100497473B1 KR1020040113975A KR20040113975A KR100497473B1 KR 100497473 B1 KR100497473 B1 KR 100497473B1 KR 1020040113975 A KR1020040113975 A KR 1020040113975A KR 20040113975 A KR20040113975 A KR 20040113975A KR 100497473 B1 KR100497473 B1 KR 100497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provisional
section
electric
wir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성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성사
Priority to KR102004011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전기 설비나 자동화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각종 전기 콘트롤박스의 배선(配線) 작업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여러 가닥의 신호 및 전력선들을 가배선한 상태로 배선 작업이 이루어지는 전기선의 배선방법을 개시한다.
그러한, 전기선의 배선방법은, 배선 대상물에 대응하는 가배선 구간을 형성하는 공정과, 가배선된 구간을 이용하여 전기선을 가배선하는 공정과, 가배선된 전기선에 접속단자를 부착하는 공정과, 접속단자가 부착된 전기선을 배선 대상물에 본배선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선의 배선방법{method for laying electric wires}
본 발명은 각종 전기 콘트롤박스의 배선(配線) 작업 등에 사용되며, 특히 배선 작업이 용이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공정 등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전기선의 배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설비나 자동화 시스템은 콘트롤박스에 의해 전기 공급이나 작동 등이 제어되며, 이러한 제어를 위해 상기 콘트롤박스 내부에는 다수개의 터미널과 스위치류와 같은 접속부재들이 배치되고 이 접속부재의 단자들에는 각종 전기선들이 접속된다.
상기 콘트롤박스 내부에 전기선을 배선하는 방법은, 배선도면 상의 레이아웃을 기준으로 각각의 터미널과 스위치의 단자들에 대응하는 길이 범위내로 전기선을 컷팅하고, 컷팅된 부분에 접속단자를 부착하고 쉴드 처리를 하여 단자부를 형성한 다음, 이 단자부를 상기 터미널과 스위치의 접속 단자측에 연결하면서 배선도면 상의 표기된 레이-아웃(lay-out)대로 여러 가닥의 전기선들을 각각 배선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배선 작업은 작업자가 배선 도면을 직접 보면서 여러 가닥의 전기선들을 콘트롤박스 내부에 배치된 접속부재들의 단자들과 접속하여야 하므로 대부분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1개의 콘트롤박스 전체의 배선 작업을 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선 방법은, 한 명의 작업자가 배선을 위한 전체 공정을 행하면서 1개의 콘트롤박스 내부에 배치된 접속부재들에 직접 전기선을 배선하는 방식이므로, 이와 같은 방식은 배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됨은 물론이거니와 작업이 복잡하고 난이하여 만족할 만한 작업 능률을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배선 작업시에 상기와 같이 문제점들이 발생하는 것은 배선을 위한 각각의 공정들이 나뉘진 분업(分業) 방식이 아니라, 작업자 한 명에 의해 배선을 위한 전체 공정을 행하는 작업 방식이 주된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업(分業) 방식으로 용이하게 배선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선의 배선 전에 여러 가닥의 전기선을 가배선(假配線)하여 가배선된 상태로 간단하게 배선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전기선의 배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배선 대상물에 대응하는 가배선 구간을 형성하는 공정과, 가배선된 구간을 이용하여 전기선을 가배선하는 공정과, 가배선된 전기선에 접속단자를 부착하는 공정과, 접속단자가 부착된 전기선을 배선 대상물에 본배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기선의 배선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선의 배선방법은, 배선 대상물에 대응하는 가배선 구간을 형성하는 공정(S1)과, 가배선된 구간을 이용하여 전기선을 가배선하는 공정(S2)과, 가배선된 전기선에 접속단자를 부착하는 공정(S3)과, 접속단자가 부착된 전기선을 배선 대상물에 본배선하는 공정(S4)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2는 상기한 공정들을 거치면서 배선 대상물 즉, 전기 콘트롤박스(B) 내부에 배치된 접속부재(T)들의 단자에 전기선(W)들이 각각 배선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가배선 구간을 형성하는 공정(S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B) 내부에 배치된 다수개의 접속부재(T)에 전기선(W)들을 배선함에 있어서 각 전기선(W)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공간 효율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배선 구간(L1)에 대응하는 구간을 형성한다.
상기 배선 구간(L1)은 상기 콘트롤박스(B)의 접속부재(T) 즉, 터미널과 스위치들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계된 배선도면 상에 표기된 레이-아웃이 기준이된다.
상기 작업은, 상기 콘트롤박스(B) 내부의 판넬(B1)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배선판(P) 위에 상기 배선 구간(L1)에 대응하는 가배선 구간(L2)을 도 3에서와 같이 표기한다. 이러한 가배선 구간(L2)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식이 가능하도록 예를들면, 싸인펜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배선판(P)에 직접 표기될 수 있다.
상기 가배선 구간(L2)에서 전기선(W)의 단부가 위치하는 지점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의 식별기호(M1)가 배선판(P)에 표기된다. 이 임의의 식별기호(M1)는 상기 콘트롤박스(B) 내부에 배치된 접속부재(T)의 단자부들에 각각 대응하는 고유의 식별기호이다.
상기 가배선구간을 형성하는 공정(S2)은, 배선판(P) 위에 가배선 구간(L2)이 표기된 상태에서 전기선(W)들이 상기 구간(L2)에 대응하는 형태로 절곡되고 가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구 설치단계는, 상기 배선판(P) 위에 여러 방향으로 표기된 가배선 구간(L2)에서 접속부재(T)에 대응하는 단부 지점과 방향이 전환되는 절곡 지점 등에 도 3에서와 같이 가이드구(G)를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구(G)는 핀이나 못, 나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배선판(P)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서 일정 부분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전기선을 가배선하는 공정(S3)은, 상기 배선판(P) 위에 표기된 가배선 구간(L2)을 따라 접속부재(T)들과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필요한 개수 만큼의 전기선(W)들을 가지런히 가배선한다.
이러한 가배선 작업은 작업자가 배선도면 상에 표기된 레이-아웃과 상기 배선판(P) 위에 표기된 임의의 식별기호(M1)를 보면서 각각의 전기선(W)들을 해당 접속부재(T)의 단자측에 접속될 수 있는 상태로 가배선한다.
이때, 상기 배선판(P)에는 가이드구(G)들이 설치되므로 이 가이드구(G)를 이용하여 각각의 전기선(W)들을 해당 가배선 구간(L2)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좌측이나 우측으로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배선판(P) 위에 전기선(W)들이 가고정되면 다수개의 전기선(W)들을 대응하는 접속부재(T)의 단자가 있는 위치에 맞도록 절단한다.
상기와 같은 가배선 작업을 통하여 1개의 배선판(P) 위에 다수개의 전기선(W)을 가배선하여 1개의 콘트롤박스(B) 내부에 배치된 접속부재(T)들에 대응하도록 길이와 위치가 결정되면 도 5에서와 같이 가배선된 상태의 전기선 어셈블리(W1)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기선 어셈블리(W1)는 여러 가닥의 전기선(W)들이 가배선된 어셈블리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전기선(W)들의 고정은 도 5에서와 같이 띠상의 바인더(C)로 감아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인더(C)로 고정된 전기선 어셈블리(W1)는 다음 공정으로 옮겨질 때에 가배선된 상태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배선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상기 전기선 어셈블리(W1)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를 부착하는 공정(S3)은, 상기 전기선 어셈블리(W1)에서 가배선된 전기선(W)들의 단부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단자(H)를 부착하고 쉴드 처리를 행한다.
즉, 상기 전기선(W)들의 단부에 도 6에서와 같이 후크 형태의 접속단자(H)를 부착하고 이 접속단자(H)가 부착된 전기선(W)의 단부측에서 접속을 위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쉴드재(H1)로 피복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전기선(W)의 단부에 접속단자(H)를 부착하고 쉴드재(H1)로 피복 처리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접속단자를 부착하는 공정(S3)은, 상기 각각의 전기선(W)들이 상기 콘트롤박스(B) 내에 배치된 접속부재(T)들과 접속할 때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식별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식별구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선(W)들의 단부측에 상기 배선판(P) 위에 표기된 임의의 식별기호(M1)와 동일한 기호가 표기된 식별구(M2)를 도 6에서와 같이 부착한다.
상기 식별구(M2)는 전기선(W)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된 구조이거나 접착면을 가지는 스티커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식별구(M2)가 부착된 전기선(W)들은 이 전기선(W)을 본배선하는 작업에서 접속부재(T)에 연결할 때에 해당 단자측에 대응하는 전기선(W)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배선시 전기선(W)의 오접속(誤接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기선을 본배선하는 공정(S4)은, 가배선된 상태의 전기선어셈블리(W1)를 콘트롤박스(B)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배치된 다수개의 접속부재(T)들의 단자에 전기선(W)을 각각 접속한다.
즉, 상기 공정은, 미리 전기선(W)들이 일정한 길이와 위치 및 자세 등이 결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전기선 어셈블리(W1)에서 여러 가닥의 전기선(W)들에 부착된 접속단자(H)를 대응하는 접속부재(T)의 단자측에 삽입하고 나사를 체결하면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전기선(W)에는 식별구(M2)에 의해 고유의 식별기호가 표기되어 있으므로 접속부재(T)에 접속할 때에 해당 단자와의 접속 관계를 용이하게 식별하면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공정들을 거치면서 콘트롤박스(B) 내부에 배치된 다수개의 접속부재(T)들에 대응하여 전기선(W)들을 용이하게 배선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배선 작업은 상기한 공정들을 통하여 분업(分業) 방식으로 배선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배선 작업이 간단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선의 배선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선의 배선방법은, 각종 전기설비나 자동화 시스템 등의 콘트롤박스를 제조할 때에 전기선을 용이하게 배선할 수 있으며, 특히 배선 작업 전에 상기 콘트롤박스 내부에 배치된 접속부재들에 대응하는 배선 구간을 가지도록 여러 가닥의 전기선들을 가배선하고 이와 같이 가배선된 상태의 배선 처리를 행함으로서 작업 및 공정이 간단하고, 작업 능률과 공정의 효율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선의 배선방법의 바람직한 공정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공정들을 거치면서 배선 대상물 내부에 전기선들이 배선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가배선 구간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전기선을 가배선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공정에 의해 가배선된 상태의 전기선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서 전기선에 접속단자를 부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6)

  1. 배선 대상물에 대응하는 가배선 구간을 형성하는 공정과, 가배선된 구간을 이용하여 전기선을 가배선하는 공정과, 가배선된 전기선에 접속단자를 부착하는 공정과, 접속단자가 부착된 전기선을 배선 대상물에 본배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기선의 배선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배선 구간을 형성하는 공정은, 배선 대상물의 배선 구간에 대응하는 가배선 구간을 판상의 배선판 위에 식별이 가능하게 표기하는 전기선의 배선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배선 구간을 형성하는 공정은, 가배선 구간 상에 핀이나 못 또는 나사 등을 돌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선의 배선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배선 구간을 형성하는 공정은, 배선판 위에 표기된 가배선 구간에서 전기선의 단부에 대응하는 지점에 식별기호를 표기하는 전기선의 배선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선을 가배선하는 공정은, 가배선 구간을 따라 전기선들을 가배선하여 상기 가배선 구간에 대응하는 배선 구간을 가지는 전기선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전기선의 배선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선에 접속단자를 부착하는 공정은, 가배선 구간에 표기된 식별기호와 동일한 기호를 가배선된 전기선에 표기하거나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선의 배선방법.
KR1020040113975A 2004-12-28 2004-12-28 전기선의 배선방법 KR100497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975A KR100497473B1 (ko) 2004-12-28 2004-12-28 전기선의 배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975A KR100497473B1 (ko) 2004-12-28 2004-12-28 전기선의 배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7473B1 true KR100497473B1 (ko) 2005-07-01

Family

ID=3730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975A KR100497473B1 (ko) 2004-12-28 2004-12-28 전기선의 배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47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1328B2 (en) Through panel wiring system
CN103153532B (zh) 用于加工设备的生产和/或装配部件的支承模块以及配备有这样的支承模块的加工设备
KR100497473B1 (ko) 전기선의 배선방법
US6822168B2 (en) Cable harness arrangement
JP4062741B2 (ja) 端子変換ユニット
EP3089563B1 (en) Use of a circuit board
US20020014426A1 (en) Wire coding material
JP2007066576A (ja) 被覆ケーブル及び複合被覆ケーブル
KR100731292B1 (ko) 와이어링 하네스의 커넥터용 지그
US10431966B2 (en) Heavy-current system and heavy-current distributor used in building
JP2005038737A (ja) 天井照明用配線接続構造及び配線接続方法
JP3097555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
EP1098408A1 (en) Method of installing a wiring system in premises and wiring system therefor
KR102264859B1 (ko)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JP3361738B2 (ja) 屋内配線用接続箱
KR102034846B1 (ko) 통전테스트 겸용 마킹장치
JP6998793B2 (ja) 表示具、及び表示具生成具
KR101255789B1 (ko) 와이어 하니스의 회로검사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검사판
JP4898241B2 (ja) 造営材への電線接触防止構造を備えた住宅用分電盤用付属装置
KR200330976Y1 (ko) 릴레이단자대
JP2007059259A (ja) コネクタ
JP2023101936A (ja) ワイヤハーネス製造システム、及び、ワイヤハーネス製造方法
JPH1195807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ベースボード
JP3039169U (ja) 行き先表示入り屋内配線用ユニットケーブル
JP2005057866A (ja) 屋内配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