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383B1 -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383B1
KR100497383B1 KR10-2003-0003252A KR20030003252A KR100497383B1 KR 100497383 B1 KR100497383 B1 KR 100497383B1 KR 20030003252 A KR20030003252 A KR 20030003252A KR 100497383 B1 KR100497383 B1 KR 100497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fference
length
pixels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251A (ko
Inventor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3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383B1/ko
Priority to US10/745,677 priority patent/US7289240B2/en
Priority to CNB2004100038541A priority patent/CN1282938C/zh
Publication of KR20040066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3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1Testing, i.e. determining the result of a t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45Methods therefor using a reference pattern designed for the purpose, e.g. a test ch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5Methods therefor in service, i.e. during norm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63Methods therefor using 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itself, e.g. self-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68Calculating or estim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82Adjusting or controlling
    • H04N1/00087Setting or calibr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26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using a belt or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모터를 구동시켜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1 화소수를 구하는 단계와,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구하는 단계 및 차이를 이용하여 평판 스캐너에서 스캐닝되는 화상의 길이를 보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원래의 화상과 동일한 길이의 화상이 스캐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평판 스캐너를 개발할 때 화상 길이를 보정하기 위해 미세한 조정을 할 필요성을 제거하여 스캐너의 개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length of image in flatten scanner}
본 발명은 평판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판 스캐너에서 스캐닝되는 화상의 길이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길이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평판 스캐너의 경우, 스캐닝되는 화상의 길이를 별도로 보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평판 스캐너에서 스캐닝되는 화상의 길이를 보정하기 위해서, 평판 스캐너를 개발할 때 화상 길이에 대한 미세한 조정 작업이 선행되었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평판 스캐너의 개발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에는 평판 스캐너별로 달리 나타나는 화상 길이의 오차를 평판 스캐너를 개발할 때 일률적으로 보상하였기 때문에, 화상 길이의 오차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평판 스캐너에서 스캐닝된 화상의 길이를 지정된 소정 패턴을 단위 시간당 독취하는 량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는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평판 스캐너에서 스캐닝된 화상의 길이를 지정된 소정 패턴을 단위 시간당 독취하는 량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는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화상을 갖는 원고를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센싱하는 이미지 센서를 갖는 평판 스캐너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길이 보정 방법은,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소정 패턴을 독취하는 동안 단위 시간당 독취된 화소수인 제1 화소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화소수와 상기 소정 패턴이 정상적으로 독취될 때 상기 단위 시간당 독취된 화소수인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평판 스캐너에서 스캐닝되는 화상의 길이를 보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화상을 갖는 원고를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센싱하는 이미지 센서를 갖는 평판 스캐너에 포함되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길이 보정 장치는,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이동하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지정된 소정 패턴의 시작 부분에 도달하였는가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를 시작 신호로서 출력하는 시작 검사부와, 상기 시작 신호 및 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 패턴을 독취하는 독취부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상기 소정 패턴의 끝 부분에 도달하였는가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를 상기 끝 신호로서 출력하는 끝 검사부와, 상기 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취부로부터 상기 소정 패턴을 독취한 결과를 입력하고, 상기 독취된 결과로부터 단위 시간당 독취된 화소수인 제1 화소수를 계산하는 화소수 계산부와, 상기 제1 화소수와 상기 소정 패턴이 정상적으로 독취될 때 상기 단위 시간당 독취된 화소수인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화소차 계산부 및 상기 차이에 상응하여 상기 평판 스캐너에서 스캐닝되는 화상의 길이를 보정하는 길이 보정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키면서 지정된 소정 패턴의 시작부터 끝까지를 독취하는 단계(제10 ∼ 제16 단계들) 및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화상의 길이를 보정하는 단계(제18 ∼ 제22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도 2는 평판 스캐너의 외관의 일 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모터(40), 이미지 센서(42), 벨트(44) 및 소정 패턴(46)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이미지 센서(42)는 모터(40)와 벨트(44)에 의해 연결되고, 모터(40)가 회전함에 따라 원고를 센싱하는 방향 또는 원고를 센싱하는 반대방향 즉, 좌 또는 우 방향(48)으로 이동한다. 즉, 이미지 센서(42)는 모터(40)에 의해 구동되어 원고를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 센서(42)는 발광부(미도시) 및 수광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발광부는 원고나 지정된 소정 패턴(46)을 향해 향해 빛을 발하고, 수광부는 원고나 소정 패턴(46)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길이 보정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평판 스캐너의 외관의 일 례에 국한되지 않는다.
먼저, 모터(40)를 구동시켜 이미지 센서(42)를 원고를 센싱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제10 단계).
제10 단계후에, 이미지 센서(42)에 의해 독취된 부분이 소정 패턴(46)의 시작 부분인가를 판단한다(제12 단계). 즉, 이미지 센서(42)가 평판 스캐너에서 원고를 스캔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정 패턴(46)의 시작 부분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이미지 센서(42)에 의해 독취된 부분이 지정된 소정 패턴(46)의 시작 부분인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 패턴(46)을 독취한다(제14 단계). 제14 단계후에, 이미지 센서(42)에 의해 독취된 부분이 소정 패턴(46)의 끝 부분인가를 판단한다(제16 단계). 즉, 이미지 센서(42)가 평판 스캐너에서 원고를 스캔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정 패턴(46)의 끝 부분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소정 패턴(46)의 끝 부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14 단계로 진행한다. 즉, 소정 패턴(46)의 끝 부분이 아니면, 소정 패턴(46)을 계속해서 독취한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42)가 소정 패턴(46)의 시작 부분에 도달하였는가 끝 부분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하기 위해, 모터(40)의 회전수를 이용할 수 있다.
만일, 소정 패턴(46)의 끝 부분인 것으로 판단되면, 즉, 이미지 센서(42)가 소정 패턴(46)의 끝 부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 패턴(46)을 단위 시간당 독취하는 량을 구한다(제18 단계). 여기서, 소정 패턴(46)을 단위 시간당 독취하는 량은, 소정 패턴(46)을 독취할 때 단위 시간당 독취될 수 있는 화소수인 제1 화소수에 해당한다.이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길이 보정 방법은 제12 ~ 제16 단계들을 마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0 단계후에 제1 화소수를 구한다(제18 단계).
제18 단계후에,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구한다(제20 단계). 여기서, 제2 화소수란, 소정 패턴(46)이 이미지 센서(42)에 의해 정상적으로 독취될 때 단위 시간당 독취될 수 있는 화소수를 의미한다. 이 때, 제1 화소수를 구할 때 사용한 단위 시간과 제2 화소수를 정의할 때 사용한 단위 시간은 동일하다.
제20 단계후에,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평판 스캐너에서 스캐닝되는 화상의 길이를 보정한다(제22 단계).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에 의해 화상의 길이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제20 단계에서 구해진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모터(4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제22 단계). 즉,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의 차이만큼 모터(4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제1 화소수가 제2 화소수보다 크다면, 이미지 센서(42)의 이동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이미지 센서(42)를 이동시키는 모터(40)의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화소수가 제2 화소수와 같아지도록 모터(40)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와 반대로, 제2 화소수가 제1 화소수보다 크다면, 이미지 센서(42)의 이동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이미지 센서(42)를 이동시키는 모터(40)의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화소수가 제2 화소수와 같아지도록 모터(40)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20 단계에서 구해진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원고를 센싱하는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제22 단계). 즉,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의 차이만큼 이미지 센서(42)가 원고를 센싱하는 시간 간격 즉, 주기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수가 제2 화소수보다 크다면, 이미지 센서(42)의 이동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이미지 센서(42)가 원고를 센싱하는 주기가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화소수가 제2 화소수와 같아지도록, 이미지 센서(42)가 원고를 센싱하는 주기를 증가시킨다. 이와 반대로, 제2 화소수가 제1 화소수보다 크다면, 이미지 센서(42)의 이동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이미지 센서(42)가 원고를 센싱하는 주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화소수가 제2 화소수와 같아지도록, 이미지 센서(42)가 원고를 센싱하는 주기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제20 단계에서 구해진 차이를 이용하여, 모터(40)의 회전 속도나 이미지 센서(42)의 원고 센싱 주기를 제어하는 대신에, 스캐닝된 화상의 길이를 축소 또는 신장시킬 수 있다. 즉,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의 차이만큼 늘어나거나 줄어든 화상의 길이를 원래의 길이대로 축소하거나 신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수가 제2 화소수보다 크다면, 이미지 센서(42)의 이동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스캐닝된 화상의 길이가 원래의 화상의 길이보다 줄어든다. 따라서, 스캐닝된 화상의 길이가 원래의 화상의 길이와 같아지도록, 스캐닝된 화상의 길이를 신장시킨다. 이와 반대로, 제2 화소수가 제1 화소수보다 크다면, 이미지 센서(42)의 이동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스캐닝된 화상의 길이가 원래의 화상의 길이보다 늘어난다. 따라서, 스캐닝된 화상의 길이가 원래의 화상의 길이와 같아지도록, 스캐닝된 화상의 길이를 축소시킨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2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22A)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제1 및 제2 화소수들간의 차이와 소정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화상의 길이를 달리 보정하는 단계(제60 ∼ 제64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22A)에 의하면, 제20 단계에서 구해진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가를 판단한다(제60 단계). 만일,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모터(4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제62 단계). 예컨대,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간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이면,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가 매우 크므로, 화상의 길이를 크게 보정하기 위해서 모터(4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그러나,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가 소정값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원고를 센싱하는 주기를 제어한다(제64 단계). 예컨대,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가 소정값보다 작으면,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가 매우 작으므로, 화상의 길이를 미세하게 보정하기 위해서 원고를 센싱하는 주기를 제어한다.
왜냐하면, 모터(4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원고를 센싱하는 주기를 제겅하는 것보다, 화상의 길이를 크게 보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시작 검사부(80), 독취부(82), 끝 검사부(84), 화소수 계산부(86), 화소차 계산부(88), 길이 보정부(90), 이미지 센서(92), 이미지 처리부(94) 및 모터(100)와 이미지 센서(92)를 연결시키는 벨트(96), 제어부(98) 및 모터(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모터(100), 이미지 센서(92) 및 벨트(96)는 도 2에 도시된 모터(40), 이미지 센서(42) 및 벨트(44)에 각각 해당한다.
도 4에 도시된 화상 길이 보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길이 보정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화상 길이 보정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화상 길이 보정 방법을 수행한다고 가정하면서, 도 4에 도시된 화상 길이 보정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먼저, 제1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98)는 모터(100)를 구동시키는 모터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 모터(100)는 제어부(98)로부터 입력한 모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어, 벨트(96)를 통해 연결된 이미지 센서(92)를 이동시킨다.
제12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시작 검사부(80)는 모터(90)로 구동되어 이동하는 이미지 센서(92)가 소정 패턴(46)의 시작 부분에 도달하였는가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를 시작 신호로서 독취부(82)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시작 검사부(80)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이미지 센서(92)의 위치를 입력하고, 입력한 위치를 분석하여 이미지 센서(92)가 소정 패턴(46)의 시작 부분에 도달하였는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시작 검사부(80)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모터(100)의 회전 수를 입력하고, 입력한 회전 수를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92)가 소정 패턴(46)의 시작 부분에 도달하였는가를 검사할 수도 있다.
제14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독취부(82)는 시작 검사부(80)로부터 입력한 시작 신호 및 끝 검사부(84)로부터 입력한 끝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패턴(46)을 독취하고, 독취된 결과를 화소수 계산부(86)로 출력한다. 예컨대, 시작 신호를 통해 소정 패턴(46)의 시작 부분에 이미지 센서(92)가 도달한 것으로 인식되면, 독취부(82)는 소정 패턴(46)을 독취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끝 신호를 통해 소정 패턴(46)의 끝 부분에 이미지 센서(92)가 도달한 것으로 인식되면, 독취부(82)는 소정 패턴(46)의 독취를 중단한다.
제16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끝 검사부(84)는 이미지 센서(92)가 소정 패턴(46)의 끝 부분에 도달하였는가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를 끝 신호로서 독취부(82) 및 화소수 계산부(86)로 각각 출력한다. 이를 위해, 끝 검사부(84)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이미지 센서(92)의 위치를 입력하고, 입력한 위치를 분석하여 이미지 센서(92)가 소정 패턴(46)의 끝 부분에 도달하였는가를 검사한다. 또는, 끝 검사부(84)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모터(100)의 회전수를 입력하고, 입력한 회전수를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92)가 소정 패턴(46)의 끝 부분에 도달하였는가를 검사할 수도 있다.
제18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화소수 계산부(86)는 끝 검사부(84)로부터 입력한 끝 신호에 응답하여, 독취부(82)로부터 독취된 결과를 입력하고, 입력한 독취된 결과로부터 소정 패턴(46)을 단위 시간당 독취한 량인 제1 화소수를 계산하며, 계산된 제1 화소수를 화소차 계산부(88)로 출력한다. 예컨대, 끝 신호를 통해 소정 패턴(46)의 끝 부분에 이미지 센서(92)가 도달한 것으로 인식되면, 화소수 계산부(86)는 제1 화소수를 계산한다.
제2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화소차 계산부(88)는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를 길이 보정부(9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화소차 계산부(8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화소수를 사전에 저장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외부로부터 입력할 수도 있다.
제22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길이 보정부(90)는 화소차 계산부(88)로부터 입력한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에 상응하여 평판 스캐너에서 스캐닝되는 화상의 길이를 보정한다.
전술한 제22 단계에 대한 제1, 제2, 제3 및 제4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길이 보정부(90)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다.
전술한 제1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길이 보정부(90)는 화소차 계산부(88)로부터 입력한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에 상응하여 속도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속도 제어 신호를 모터(100)로 출력한다. 이 때, 모터(100)는 길이 보정부(90)로부터 입력한 속도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속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에 상응하여 모터(100)의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제2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길이 보정부(90)는 화소차 계산부(88)로부터 입력한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에 상응하여 주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주기 제어 신호를 이미지 센서(92)로 출력한다. 이 때, 이미지 센서(92)는 길이 보정부(90)로부터 입력한 주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주기로 원고를 센싱한다. 따라서,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에 상응하여 원고를 센싱하는 주기가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이미지 센서(92)는 평판 스캐너에 올려진 원고를 센싱하여 독취하고, 독취된 결과를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서 이미지 처리부(94)로 발생한다. 이 때, 이미지 처리부(94)는 이미지 센서(92)로부터 입력한 아날로그 형태의 독취된 결과를 디지탈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디지탈 형태의 신호는 스캐닝된 화상에 해당한다.
전술한 제3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길이 보정부(90)는 화소차 계산부(88)로부터 입력한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에 상응하여 크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크기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부(94)로 출력한다. 이 때, 이미지 처리부(94)는 스캐닝된 화상의 길이를 길이 보정부(90)로부터 입력한 크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축소 또는 신장하고, 축소 또는 신장된 결과를 OUT1을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스캐닝된 화상의 길이가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에 상응하여 축소 또는 신장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길이 보정부(90)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90A)의 블럭도로서, 비교부(110), 신호 생성부(112) 및 신호 선택부(114)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길이 보정부(90A)는 도 3에 도시된 전술한 제4 실시예(22A)를 수행할 수 있다. 제6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길이 보정부(90A)의 비교부(110)는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입력단자 IN3을 통해 입력하고, 입력한 차이와 소정값을 비교하며, 비교된 결과를 선택 신호로서 신호 선택부(114)로 출력한다.
제62 및 제64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길이 보정부(90A)는 신호 생성부(112) 및 신호 선택부(114)를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생성부(112)는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에 상응하는 속도 제어 신호와 주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속도 제어 신호와 주기 제어 신호를 신호 선택부(114)로 출력한다. 이 때, 신호 선택부(114)는 비교부(110)로부터 입력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속도 제어 신호와 주기 제어 신호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출력한다. 예컨대, 제62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선택 신호를 통해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것으로 인식되면, 신호 선택부(114)는 신호 생성부(112)에서 생성된 속도 제어 신호를 선택하여 모터(100)로 출력한다. 그러나, 제64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선택 신호를 통해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가 소정값보다 적은 것으로 인식되면, 신호 선택부(114)는 신호 생성부(112)에서 생성된 주기 제어 신호를 선택하여 이미지 센서(92)로 출력한다. 이 때, 모터(100)는 신호 선택부(114)로부터 출력되는 속도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속도로 회전하고, 이미지 센서(92)는 신호 선택부(114)로부터 출력되는 주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주기로 원고를 센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및 장치는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원래의 화상과 동일한 길이의 화상이 스캐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평판 스캐너를 개발할 때 화상 길이를 보정하기 위해 미세한 조정을 할 필요성을 제거하여 스캐너의 개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평판 스캐너의 외관의 일 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2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길이 보정부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Claims (11)

  1. 화상을 갖는 원고를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센싱하는 이미지 센서를 갖는 평판 스캐너에서 수행되는 화상 길이 보정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b) 제1 화소수를 구하는 단계;
    (c) 상기 제1 화소수와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구하는 단계; 및
    (d) 상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평판 스캐너에서 스캐닝되는 화상의 길이를 보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원고를 센싱하는 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차이를 이용하여, 스캐닝된 화상의 길이를 축소 또는 신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이가 상기 소정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가 상기 소정값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원고를 센싱하는 주기를 제어하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6. 화상을 갖는 원고를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센싱하는 이미지 센서를 갖는 평판 스캐너에 포함되는 화상 길이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이동하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지정된 소정 패턴의 시작 부분에 도달하였는가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를 시작 신호로서 출력하는 시작 검사부;
    상기 시작 신호 및 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 패턴을 독취하는 독취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상기 소정 패턴의 끝 부분에 도달하였는가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를 상기 끝 신호로서 출력하는 끝 검사부;
    상기 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취부로부터 상기 소정 패턴을 독취한 결과를 입력하고, 상기 독취된 결과로부터 단위 시간당 독취된 화소수인 제1 화소수를 계산하는 화소수 계산부;
    상기 제1 화소수와 상기 소정 패턴이 정상적으로 독취될 때 상기 단위 시간당 독취된 화소수인 제2 화소수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화소차 계산부; 및
    상기 차이에 상응하여 상기 평판 스캐너에서 스캐닝되는 화상의 길이를 보정하는 길이 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보정부는 상기 차이에 상응하여 속도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속도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보정부는 상기 차이에 상응하여 주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주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주기로 상기 원고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길이 보정 장치는
    스캐닝된 화상의 길이를 크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축소 또는 신장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길이 보정부는 상기 차이에 상응하여 상기 크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보정부는
    상기 차이와 소정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선택 신호로서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차이에 상응하는 속도 제어 신호와 주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속도 제어 신호와 상기 주기 제어 신호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속도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속도로 회전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주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주기로 상기 원고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길이 보정 방법은
    (e)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독취된 부분이 지정된 소정 패턴의 시작 부분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소정 패턴의 상기 시작 부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정 패턴을 독취하는 단계; 및
    (g) 상기 소정 패턴의 끝 부분인가를 판단하고, 상기 소정 패턴의 끝 부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f)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소정 패턴의 끝 부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편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KR10-2003-0003252A 2003-01-17 2003-01-17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0497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252A KR100497383B1 (ko) 2003-01-17 2003-01-17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및 장치
US10/745,677 US7289240B2 (en) 2003-01-17 2003-12-29 Method and apparatus to correct the length of an image in a flatten scanner
CNB2004100038541A CN1282938C (zh) 2003-01-17 2004-01-17 对平板扫描仪中的图像长度进行校正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252A KR100497383B1 (ko) 2003-01-17 2003-01-17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251A KR20040066251A (ko) 2004-07-27
KR100497383B1 true KR100497383B1 (ko) 2005-06-23

Family

ID=3270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252A KR100497383B1 (ko) 2003-01-17 2003-01-17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89240B2 (ko)
KR (1) KR100497383B1 (ko)
CN (1) CN128293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8823B2 (en) * 2007-03-28 2013-08-13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N103852962B (zh) * 2012-12-04 2016-08-10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扫描投影装置及其扫描控制方法
JP5742857B2 (ja) * 2013-01-10 2015-07-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033B1 (ko) * 1992-04-30 1995-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배율 변환방법 및 그 장치
JPH11355517A (ja) * 1998-06-12 1999-12-24 Ricoh Co Ltd デジタル画像形成装置
EP1451776B1 (en) * 2001-12-04 2006-05-03 Kodak Graphic Communications Canada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caling an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41208A1 (en) 2004-07-22
KR20040066251A (ko) 2004-07-27
CN1517938A (zh) 2004-08-04
US7289240B2 (en) 2007-10-30
CN1282938C (zh) 200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7191B2 (ja) 画像読取装置
US7450777B2 (en) Method for adjusting image data
US6304683B1 (en) Image scanning apparatus, method of scanning images, and recording medium for realizing the method
EP3352444A1 (en) Scanner, scan program, and method of producing scan data
US62330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image being sensed
KR100497383B1 (ko) 평판 스캐너의 화상 길이 보정 방법 및 장치
EP1615421A1 (en) Image scanner
KR20080039159A (ko) 스캐닝장치와 스캐닝장치의 쉐이딩 보정방법
US10659653B2 (en) Scanner that combines images read by first and second sensor arrays, scan program, and method of producing scan data
US6967605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gain value and offset value for image reading apparatus
US20020191229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442212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7279256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H113419A (ja) 色調調整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H0879461A (ja) 画像読取装置
JP3489801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US6721073B1 (en) Image input device and method
US200601145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olor registration in contact-image-sensor scanners
US2004020186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reader
JP3150033B2 (ja) カラースキャナ
JP4265374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3087523A (ja) 画像読取り装置
JPH09237124A (ja) 原稿走査走行体駆動制御方法
JP200216509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3587109B2 (ja) 画像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