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스택 고정판의 안전 및 풀림방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스택(310)들의 전면 중앙에 설치되는 고정장치(1000)내에 안전장치(3000)와 풀림방지장치(4000)가 설치된다.
베이스(410)의 상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420)가 평행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420)에는 플레이트(210)가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1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고정판(2000)을 갖는 고정장치(1000)가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410)의 상부에 장착된 가이드(420)에는 다수개의 스택(310)이 장착되는데, 상기 스택(310)은 일 측면이 우묵하게 패인 벽돌 형상으로 양측단부에 가이드(4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베어링(미도시)이 장착되고, 스택(310)의 우묵하게 패인 부분의 측면에는 이하 설명되는 고정장치(1000)의 고정판(20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311)이 형성된다.
상기 스택(310)은 도 4a 및 도 5a 도시와 같이 무게 중심이 되는 곳에 직사각을 이루게 되는 삽입구멍(31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멍(311)은 양쪽의 측면과, 전면 및 상부면이 스택(310) 그 자체에 의해 막혀진 상태가 되고, 입구를 이루는 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장치(1000)는 상기 스택(310)의 우묵하게 패인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도 2 및 도 3 도시와 같이 전면판(1100), 후면판(1200), 측면판(1500), 상부판(1300) 및 하부판(1400)에 의해 장방형의 통체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1100)과 후면판(1200) 각각의 수직 중심선에는 동일한 높이 및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구멍(1101)(1201)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1100)의 구멍(1101)은 상기 고정판(2000)이 통과되게 할 수 있게 옆으로 길게 직사각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1200)의 구멍(1201)은 고정판(2000)의 누름핀(2001)이 통과되게 할 수 있게 원형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1100)의 상부는 상기 플레이트(210)를 관통하게 되고, 관통되어 플레이트(2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은 홀(1103)을 갖는 와이어고정부(1102)가 되어 홀(1103)에 와이어(220)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판(2000)은 도 3 및 도 4a 도시와 같이 두께를 갖는 직사각의 판체로 형성되고, 앞쪽이 상기 전면판(1100)에 형성된 구멍(1101)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뒤쪽의 양 측면에 각각 푸시핀(2004)과 걸림핀(2005)이 직교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뒤쪽 면의 정중앙에는 긴 길이의 누름핀(2001)의 일단부가 고정되는데, 이 누름핀(2001)은 후면판(1200)의 구멍(1201)을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되고, 노출된 단부에는 누름버튼(2002)이 장착되며, 누름버튼(2002)과, 후면판(1200)의 사이에는 스프링(2003)이 설치된다. 즉, 고정판(2000)은 누름버튼(2002)을 누름에 의해 스택(310)의 삽입구멍(311)에 들어가게 되는데, 삽입구멍(311)에 들어갈 때 푸시핀(2004)은 안전장치(3000)의 밀림판(3101)을 밀게 되고, 걸림핀(2005)은 도 7 도시와 같은 풀림방지장치(4000)의 상, 하부고리(4101)(4201)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안전장치(3000)는 상기와 같이 고정판(2000)이 스택(310)의 삽입구멍(311)에 들어간 상태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스택(310)의 전체 중량의 하중이 걸리게 하는 것으로, 고정장치(1000)의 상, 하부판(1300)(140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봉(3100)과, 고정장치(10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받침막대(3106)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판(1400)에는 도 6 도시와 같이 수직으로 관통구멍(1401)이 형성되는 한편, 그 일 측에 끼움구멍(140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봉(3100)은 하부에 끼움축(3102)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연속 형성되고, 이 끼움축(3102)이 상기 관통구멍(1401)을 관통하여 외부에까지 위치하게 되며,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끼움축(3102)은 상기 받침막대(3106)의 구멍(3107)을 관통하여 너트(310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끼움축(3102)에는 걸림단부(3104)와 끼움단부(3105)가 각각의 방향을 이루게 되는 스프링(3103)이 설치되고, 걸림단부(3104)는 밀림판(3101)의 안쪽면에 위치하게 되며, 끼움단부(3105)는 상기 하부판(1400)의 끼움구멍(1402)에 삽입된다. 즉, 고정판(2000)의 푸시핀(2004)이 밀림판(3101)을 밀게 되면, 회전봉(3100)은 그 거리만큼 회전하게 되는 한편, 받침막대(3106)가 스택(310)들의 저면 하부에서 이탈되게 하고, 고정판(2000)이 스택(310)의 삽입구멍(311)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스프링(3103)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받침막대(3106)가 스택(310)들의 저면 하부에 위치케 함으로써, 전체 중량이 걸리게 하여, 운동자가 고정판(2000)이 빠진 상태에서 무방비 상태로 운동을 수행함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풀림방지장치(4000)는 상기와 같이 고정판(2000)이 스택(310)의 삽입구멍(311)에 들어간 상태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하는 것으로, 도 7 도시와 같이 상부고리(4101)를 갖는 상부고리판(4100)과, 하부고리(4201)를 갖는 하부고리판(420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중첩되어 형성되고, 상부고리(4101)와 하부고리(4201)를 연결해주는 판의 상부에는 시이소부(4300)가 형성되며, 상부고리(4101)의 최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작동판(4103)은 도 8 도시와 같이 하부판(1400)에 세워져 설치되는 스탠드(4105)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작동판(4103)은 구멍(4104)이 형성되어 하부판(1400)에 설치된 고정고리(4107)에 하부가 걸림 되는 스프링(4106)의 상부가 걸림 된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고리판(4100)(4200)에는 도 9 도시와 같이 트랙형상의 작동구멍(4102)(4202)이 각각 형성되는데, 서로에 대해 어긋나게 형성되고, 그 사이에 "+"자 형상을 이루게 되는 스페이서(4400)가 위치하게 되며, 스페이서(4400)를 관통하게 되는 볼트(4401)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부고리판(4100)과 하부고리판(4200)은 스페이서(4400)에 의해 작동거리가 제한되며, 스프링(4106)에 의해 탄력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 상부고리(4101)는 걸림핀(2005)의 전, 후면 및 상부를 감싸준 상태로 걸림 되게 하고, 하부고리(4201)는 걸림핀(2005)의 하부를 받쳐주게 되어 상, 하부고리(4101)(4201)가 협동하는 상태로 걸림핀(2005)이 걸림 되게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 과 같은 상태에서 스택(310)들 중 운동자가 원하는 중량의 스택(310)에 해당되는 누름버튼(2002)을 누른 후 운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
a)누름버튼(2002)을 누르면 누름핀(2001)에 의해 도 4b 도시와 같이 고정판(2000)의 앞쪽이 스택(310)의 삽입구멍(311)에 들어가게 되는데, 고정판(2000)은 도 4b 및 도 5a 도시와 같이 삽입구멍(311)의 전면, 양쪽면 및 상부면에 대해 간섭됨이 없이 들어가게 된다.
b)이어서 운동자가 운동을 하게 되면, 고정판(2000)은 도 5b 도시와 같이 삽입구멍(311)의 상부면에 면접된 상태로 원하는 중량의 스택(310)들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들어올린 후 다시 내려놓을 시에는 고정판(2000)이 원하는 중량의 스택(310) 하부의 스택(310) 상부면에 닿지 않게 됨으로써, 고정판(2000)에는 충격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c)상기 a)항목과 같은 상태에서는 고정판(2000)의 푸시핀(2004)이 도 4b 도시와 같이 안전장치(3000)의 밀림판(3101)을 밀게 되어 회전봉(3100)의 끼움축(3102)에 결합된 받침막대(3106)가 최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스택(310)의 저면에서 이탈된 상태가 되어 운동자가 원하는 중량의 스택(310)을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d)만약 고정판(2000)이 삽입구멍(311)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회전봉(3100)은 스프링(3103)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받침막대(3106)가 최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스택(310)의 저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운동자가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운동을 수행하여도 스택(310) 전체의 중량을 들어올리게 되어 순간적으로 운동을 중지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e)상기 a)항목 및 c)항목과 같은 상태에서 고정판(2000)의 걸림핀(2005)은 풀림방지장치(4000)의 상부고리(4101)를 밀면서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상부고리(4101)는 상부로 밀리게 되어 걸림핀(2005)이 상, 하부고리(4101)(4201)의 사이인 걸림부(4142)에 들어가 위치하게 된다.
f)상기 e)항목에서 상부고리(4101)가 상부로 밀리게 됨에 따라 시이소부(4300)의 일 측(상부고리(4101)의 연결판과 연결된 부분)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부고리(4201)의 연결판과 연결된 부분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상, 하부고리판(4100)(4200)이 서로에 대해 상, 하로 어긋나게 동작하게 되는데, 상기 하부고리(4201)는 상부고리(4101)에 대해 2배 정도에 해당하는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g) 상기 f)항목에 있어, 상기 상부고리(4101)는 1에 해당하는 거리를 이동하였다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되면, 하부고리(4201)는 2에 해당하는 거리를 이동하였다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되는데, 다른 중량의 스택(310)을 원하여 고정판(2000)을 그 스택(310)의 삽입구멍(311)에 삽입되게 함에 따라 먼저 들어 있던 고정판(2000)의 걸림핀(2005)이 이에 해당되는 상, 하부고리(4101)(4201)에서 보다 원활하게 빠져나올 수 있게 함이다.
f)따라서 운동자가 원하는 스택(310)에의 선택시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요소가 없게 되나, 운동시 스택(310)의 삽입구멍(311)에 들어가 있던 고정판(2000)이 빠져나오게 되면, 안전장치(3000)에 의해 스택(310) 전체 중량에 하중이 걸리게 되는데, 그 이전에 고정판(2000)의 걸림핀(2005)이 상, 하부고리(4101)(4201)의 협동에 의해 보다 안정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고정판(2000)이 자연적으로 빠져나오게 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 부호 4402는 와셔를 도시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