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309B1 - 소리쟁이 추출물 함유 식물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리쟁이 추출물 함유 식물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309B1
KR100497309B1 KR10-2002-0007950A KR20020007950A KR100497309B1 KR 100497309 B1 KR100497309 B1 KR 100497309B1 KR 20020007950 A KR20020007950 A KR 20020007950A KR 100497309 B1 KR100497309 B1 KR 100497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ethanol
powdery mildew
sample
reduce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255A (ko
Inventor
조광연
최경자
김진철
김진석
이선우
장경수
최용호
최정섭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07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309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red-knees or rhubar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흰가루병에 대해 방제활성을 갖는 소리쟁이(Rumex crispus) 또는 참소리쟁이(Rumex japonicus)의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리쟁이 또는 참소리쟁이를 메탄올로 추출하고 감압 농축한 후에 이를 여러 가지의 유기용매로 순차적으로 추출함으로써 얻어진 각 추출물을 식물 흰가루병에 처리하면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리쟁이 추출물 함유 식물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ANTIFUNGAL COMPOSITION FOR CONTROL OF PLANT POWDERY MILDEW COMPRISING EXTRACT OF RUMEX CRISPUS}
식물의 흰가루병은 시설 재배 및 노지 재배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으로 난방 시설이 열악한 비닐하우스에서는 이 병의 발생이 적었으나, 최근 시설재배에서 난방 시스템의 변화로 인하여 재배지 내의 환경이 상당히 건조하게 됨에 따라 낮은 습도(60∼70 %의 상대습도)에서 흰가루병의 발병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작물에서 흰가루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는 오이 흰가루병의 원인균인 스패로테카 풀리지니아(Sphaerotheca fuliginea), 장미 흰가루병의 원인균인 스패로테카 파노사(S. pannosa), 사과나무 흰가루병의 원인균인 포도스패라 류코트리차(Podosphaera leucotricha), 맥류 흰가루병의 원인균인 블루메리아 그라미니스(Blumeria graminis) 등이 있다. 유성 세대를 기준으로 균을 분류하면 작물에 따라 그 속명은 다르지만, 작물의 생육기에 흰가루병의 전염원 및 발병에 주요 역할을 하는 불완전세대를 기준으로 균을 분류하면 모두 오이디움(Oidium) 속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흰가루병목에 속한 흰가루병의 원인균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거의 동일한 살균제를 사용할 수 있다.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한 약제로는 피페라진(piperazine), 피리미딘(pyrimidine), 이미다졸(imidazole), 트리아졸(triazole) 등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와 벤지미다졸(benzimidazole)계의 살균제, 스트로빌루린(strobilurin)계의 화합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는 피페라진 그룹의 트리포린(triforine), 피리미딘 그룹의 누아리몰(nuarimol), 페나리몰(fenarimol), 트리아졸 그룹의 트리아디메폰(triadimefon), 플루실라졸(flusilazole) 등이 있다. 벤지미다졸계의 살균제는 베노밀(benomyl), 티오파네이트-메틸(thiophanate-methyl) 등이 있으며, 이들은 베타-튜블린(ß-tubulin)의 결합을 억제하여 살균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트로빌루린계의 살균제는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크레족심-메틸(krezoxim-methyl), 트리플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등이 있으며, 이 계열 살균제는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 중에서 시토크롬(cytochrome) bc1에서 전자전달을 억제하는 작용 메카니즘으로 살균 활성을 보인다.
그러나, 이 같은 살균제를 계속 사용함에 따라 약제 저항성 균들이 발생하게 되었고,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와 벤지미다졸계의 살균제는 이미 흰가루병에 대해 방제효과가 저하되었거나 이 약제에 저항성을 지닌 흰가루병이 발생했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Schroeder 및 Provvidenti, Plant Dis. Rep., 53, 271, 1969; Wolfe 및 Fletcher, Neth. J. Plant Pathol., 87, 239, 1981; Gilmour, Proc. Br. Crop Prot. Conf., 1, 109, 1984). 그리고, 최근에 개발된 스트로빌루린계의 화합물이 흰가루병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저하되었다는 논문 발표는 없었으나, 국내외에서는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가 저하되었다는 것은 이미 비공식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기존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발생으로 흰가루병을 방제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되었고, 화학 농약의 지속적인 사용 및 남용으로 인해 인축에 대해 직접적인 독성 및 독성의 잔류 등의 문제에 봉착하게 됨에 따라 천연추출물로부터 새롭고도 환경 친화적인 살균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마디풀과에 속하는 소리쟁이(Rumex crispus)는 우리 나라 전역에 자생하고 있으며, 오래 전부터 식용, 관상용 및 약용으로 쓰여왔다. 특히, 한방과 민간에서는 살충, 감충, 설사, 해열, 어혈, 건위, 각기병, 부종, 황달, 변비, 통경, 산후통, 피부병 등에 약재로 사용되었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소리쟁이에 관한 특허로는 소리쟁이 추출물의 천연 항산화 성분(특허공개 제 97-067594 호)에 관한 것과 소리쟁이 추출물의 무좀 예방 및 치료용 화장비누 조성물(특허공개 제 88-006135 호) 등에 관한 것들이 보고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소리쟁이에 관한 특허는 없으나, 참소리쟁이(Rumex japonicus)의 추출물은 멜라닌 형성 억제효과, 항산화 효과, 항암 활성, 피부병 치료효과, 미용 효과, 여드름 치료효과, 비듬 치료효과 등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일본 특허공개 제 96-352826 호; 미국 특허출원 5,166,375; 일본 특허공개 제 88-200100 호; 일본 특허공개 제 87-146785 호; 일본 특허공개 제 87-5254 호; 일본 특허공개 제 86-235235 호; 일본 특허공개 제 86-233973 호; 일본 특허공개 제 85-123920 호). 그러나 소리쟁이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이 식물병, 특히 흰가루병에 대하여 방제효과를 나타낸다는 보고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소리쟁이 및 참소리쟁이를 메탄올로 추출하고 감압 농축한 후에 물 또는 메탄올에 용해하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이 식물의 흰가루병에 대해 방제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흰가루병에 대해 방제활성을 갖는 소리쟁이(Rumex crispus) 또는 참소리쟁이(R. japonicus)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리쟁이 또는 참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소리쟁이(Rumex crispus) 또는 참소리쟁이(R. japonicus)의 추출물 수득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우선, 음건하거나 생체의 시료를 마쇄한 후 마쇄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는다(도 1 참조).
상기에서 얻은 소리쟁이 또는 참소리쟁이의 메탄올 추출물을 물 또는 80 % 메탄올에 용해하고 각종 유기용매를 가하여 순차적으로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함으로써 각종 유기용매 추출분획을 얻을 수 있다(도 2 내지 도 5 참조).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디에틸 에테르 및 헵탄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소리쟁이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은 벼 도열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붉은녹병, 및 식물 흰가루병 등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식물 흰가루병에 대해 우수한 방제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제 조성물중의 상기 소리쟁이 또는 참소리쟁이 추출물의 농도는 소리쟁이 생중량 0.0037 g/㎖ 내지 0.3 g/㎖, 바람직하게는 0.011 g/㎖ 내지 0.3 g/㎖의 범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리쟁이의 메탄올 추출물 제조 및 그의 여러 식물병에 대한 방제효과 시험
야생에서 채취한 소리쟁이(R. crispus) 및 참소리쟁이(Rumex japonicus)를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고 300 g의 생체 시료에 600 ㎖의 메탄올을 각각 넣고 블렌더로 마쇄한 후 실온에 하루 동안 보관하였다. 마쇄액은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얻어진 메탄올 추출액은 감압 농축한 후(도 1) 디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sulfoxide, DMSO)에 용해하여 4 ℃에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얻어진 메탄올 추출물의 온실에서의 살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붉은녹병 및 보리 흰가루병 등 6가지 식물병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소리쟁이 및 참소리쟁이 메탄올 추출물을 생체시료 9 g에 해당하는 양을 취하여 30 ㎖의 250 ㎍/㎖ 트윈 20(Tween 20) 용액에 넣고 잘 용해시킨 후에 DMSO의 최종 농도가 1 %가 되도록 시료를 준비하였고, 대조군으로는 증류수에 1 %의 DMSO와 250 ㎍/㎖의 트윈 20을 가하여 준비하였다.
지름 4.5 ㎝의 플라스틱 포트를 각 식물병 당 2개씩 준비하여 수도용 상토 또는 원예용 상토를 70 % 정도 담고 벼, 토마토, 보리 및 밀을 파종하여 25 ±5 ℃의 온실에서 1주 내지 5주 동안 재배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을 12 폿트 당 30 ㎖ 양으로 유묘의 엽면에 분무 살포하고 24시간 동안 풍건 하였다.
그리고 나서, 벼 도열병은 2∼3엽기의 유묘에 도열병의 원인균인 마그나포르쎄 그리시아(Magnaporthe grisea, 한국화학연구원)의 포자 현탁액(5×105 포자/㎖)을 분무 접종하고, 25 ℃의 습실상에서 하루 동안 처리한 후, 25 ℃의 항온실에서 5일 동안 배양하여 발병을 유도하였다. 벼 잎집무늬마름병은 5엽기 유묘에 잎집무늬마름병의 원인균인 타네이트포러스 큐큐메리스(Thanatephorus cucumeris, 한국화학연구원)를 7일 동안 배양하여 얻은 배지(밀기울 90 g, 왕겨 15 g, 증류수 100 ㎖)를 접종하고 25 ℃의 습실상에서 4일 동안 처리한 후, 25 ℃의 항온실에서 4일 동안 배양하여 발병을 유도하였다. 토마토 역병은 2엽기 토마토 유묘에 역병의 원인균인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 강릉대학교)의 유주자낭(105 유주자낭/㎖)에서 나출된 유주자 현탁액을 분무 접종한 후 20 ℃의 습실상에서 4일 동안 처리하여 발병을 유도하였다. 토마토 잿빛곰팡이병은 토마토 2엽기 유묘에 잿빛곰팡이병의 원인균인 보트라이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한국화학연구원)의 포자 현탁액(106 포자/㎖)을 처리한 후, 20 ℃의 습실상에서 3일 동안 발병을 유도하였다. 밀 붉은녹병은 1엽기 유묘에 활물기생균으로 알려진 녹병의 원인균인 퍽시니아 리콘디타(Puccinia recondita, 인천대학교)의 포자를 250 ㎍/㎖의 트윈 20 용액에 0.67 g 포자/ℓ양으로 현탁하여 분무 처리하고 20 ℃의 습실에서 하루 동안 발병을 유도한 후 20 ℃의 항온실로 옮겨 6일 동안 배양하였다. 보리 흰가루병은 보리의 1엽기 유묘에 숙주 식물에서 계대배양된 흰가루병의 원인균인 블루메리아 그래미니스 폼 스페시스 호르데이(Blumeria graminis f. sp. hordei, 한국화학연구원)의 포자를 털어서 접종하고 20 ℃ 항온실에서 발병을 유도하였다.
벼 도열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은 7일 후, 벼 잎집무늬마름병은 8일 후 그리고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과 토마토 역병은 각각 3일과 4일 후에 병반면적율을 조사하였다. 방제가는 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식물병에 대한 소리쟁이 및 참소리쟁이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메탄올 추출물의 방제효과는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다.
식물명 부위 농도 방제가(%)
벼도열병 벼잎집무늬마름병 토마토잿빛곰팡이병 토마토역병 밀붉은녹병 보리흰가루병
소리쟁이 지상부 0.3 0 0 8 0 60 67
지하부 0.3 13 0 25 6 90 100
참소리쟁이 지상부 0.3 0 0 25 0 0 67
지하부 0.3 0 0 17 0 60 60
농도: 소리쟁이의 생중량 g/㎖
소리쟁이 및 참소리쟁이의 지상부 및 지하부 추출물은 밀 붉은녹병과 보리 흰가루병에 대해 살균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소리쟁이의 지하부는 보리 흰가루병에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소리쟁이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방제효과
소리쟁이 지하부 추출물의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소리쟁이(Rumex crispus)의 메탄올 추출물을 250 ㎍/㎖ 트윈 20 용액을 사용하여 3배씩 희석하여 6개의 군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각 농도별 추출물을 보리 유묘에 3개의 폿트 당 10 ㎖ 씩 처리하고 1일 동안 풍건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유묘에 흰가루병균을 각각 접종하고 1주일 동안 발병을 유도한 후에 병반면적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다.
농도 0.3 0.1 0.033 0.011 0.0037 0.0012
방제가(%) 100 100 100 87 33 0
농도: 소리쟁이의 생중량 g/㎖
소리쟁이의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에 의존적으로 보리 흰가루병에 대해 방제효과가 나타났으며, 생중량 0.011 g/㎖의 농도로도 보리 흰가루병을 80% 이상 방제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소리쟁이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방제효과
소리쟁이 메탄올 추출물의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소리쟁이(Rumex crispus)의 메탄올 추출물을 오이의 성체에 처리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플랏 당 4주의 오이를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흰가루병의 원인균인 스패로테카 풀리지니아(Sphaerotheca fuliginea)의 접종은 자연 감염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소리쟁이의 메탄올 추출물을 1차 처리하여 25 ±5 ℃의 온실에서 1주일 동안 발병을 유도한 후 2차 처리하여 다시 1주일 동안 발병을 유도하면서 오이 성체의 각 엽에 발생한 병반을 조사하였다. 오이 성체의 하위엽 노화로 1엽 및 2엽은 제외하였고 3엽부터 12개의 잎을 각각 다음과 같은 발병지수에 따라 병반을 조사하였다; 0: 발병 없음, 1: 병반면적율 1∼5 %, 2: 병반면적율 5.1∼20 %, 3: 병반면적율 20.1∼40 %, 4: 병반면적율 40.1 % 이상.
하기 식 2에 따라 발병도(%)는 각 1주의 오이로부터 얻어진 병반의 수를 합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N: 1주 당 엽수).
약제 농도 방제가(%)
소리쟁이추출물 생중량 0.3 g/㎖ 67
생중량 0.1 g/㎖ 53
생중량 0.03 g/㎖ 20
대조약제(페리나몰) 30 ㎍/㎖ 68
10 ㎍/㎖ 45
상기 결과에서 보듯이, 소리쟁이의 메탄올 추출물은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소리쟁이의 생중량 0.3 g/㎖으로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인 페나리몰(Fenarimol, 미국 신젠타사)을 포장 상용농도인 30 ㎍/㎖의 양으로 처리한 것과 유사하게 오이 흰가루병에 대해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4 : 여러 가지 추출방법에 따른 소리쟁이 유기용매 추출물의 제조 및 그의 흰가루병 방제효과 시험
추출방법 1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소리쟁이의 생체 시료 1 ㎏에 해당하는 음건한 시료 500 g을 세절하고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농축액을 80 % 메탄올 800 ㎖에 가하여 충분히 용해시키고 800 ㎖의 헥산을 가하여 추출한 후 다시 감압 농축하였다(시료 1: 1.97 g). 나머지 80 % 메탄올층은 감압 농축한 후 800 ㎖의 물에 다시 용해시키고 800 ㎖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이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시료 2: 9.53 g).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남은 물층은 감압 농축하여 시료 3(50.0 g)으로 사용하였다(도 2).
추출방법 2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생체 시료 1 ㎏에 해당하는 음건한 시료 500 g을 세절하고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이 추출액을 800 ㎖의 물에 용해시키고 800 ㎖의 헥산을 가하여 추출한 후 이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시료 4: 1.79 g). 나머지 물층은 800 ㎖의 메틸렌클로라이드를 가하여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시료 5: 2.31 g). 다시 물층을 800 ㎖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추출한 후에 감압 농축하여 시료 6(6.26 g)으로 사용하였다. 남은 물층은 감압 농축하여 시료7(49.7 g)로 사용하였다(도 3).
추출방법 3은 실시예 1과 같이 소리쟁이 지하부의 생체 시료 1 ㎏을 세절하여 메탄올로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이 추출물을 800 ㎖의 80 %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800 ㎖의 헥산을 가하여 3번 추출한 후에 이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시료 8: 2.07 g). 남은 메탄올층을 감압 농축하여 다시 800 ㎖의 물에 용해시키고 800 ㎖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추출한 후 이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시료 9: 10.1g). 남은 물층은 감압 농축하여 시료 10(57.4 g)으로 사용하였다(도 4).
추출방법 4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생체 시료 1 ㎏에 해당하는 음건한 시료 500 g을 세절하고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이 추출액을 800 ㎖의 물에 용해시키고 800 ㎖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추출한 후 이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시료 11: 11.4 g). 남은 물층은 감압 농축하여 시료 12(52.2 g)로 사용하였다(도 5).
1.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소리쟁이 추출물들의 방제효과
추출방법 1, 2, 3 및 4에 따라 추출한 12개의 추출액에 아세톤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에 250 ㎍/㎖ 트윈 20 용액을 가하여 아세톤의 함량이 10 %가 되도록 소리쟁이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무처리군은 10 % 아세톤과 250 ㎍/㎖ 트윈 20 용액을 넣어 사용하였다.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진 시료들의 방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2에서와 같이 보리의 1엽기 유묘에 각 추출물을 1.2 ㎍/㎖부터 33 ㎍/㎖ 농도 혹은 11 ㎍/㎖부터 300 ㎍/㎖ 농도로 분무 처리하였고, 대조군으로는 천연물 농약인 폴리옥신 B(polyoxin B, 구입처: 동부한농화학사)와 유기합성 살균제인 페나리몰(fenarimol)을 폴리옥신 B는 11 ㎍/㎖부터 300 ㎍/㎖ 농도로, 페나리몰은 0.1 ㎍/㎖부터 3 ㎍/㎖ 농도로 분무 처리하여 20 ℃의 항온실에서 7일 동안 흰가루병을 유도한 후에 식 1을 이용하여 보리의 병반면적율을 조사하였으며, 회귀직선을 구하여 각 시료의 50 % 억제 농도(EC50)를 구하였다.
추출방법 시료 수율(g/㎏ 생중량) EC50(㎍/㎖)
추출방법 1 시료 1 1.97 5.8
시료 2 9.53 20
시료 3 50.0 > 300
추출방법 2 시료 4 1.79 6.7
시료 5 2.31 5.0
시료 6 6.26 35
시료 7 49.7 > 300
추출방법 3 시료 8 2.07 8.3
시료 9 10.1 13
시료 10 57.4 > 300
추출방법 4 시료 11 11.4 11.2
시료 12 52.2 > 300
대조군 폴리옥신 B - 7.8
페리나몰 - 0.05
추출방법 1의 경우, 음건한 소리쟁이의 지하부로부터 얻은 헥산 추출물(시료 1)이 보리 흰가루병에 대해 가장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고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시료 2)도 보리 흰가루병에 대해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추출방법 2의 경우, 헥산 추출물(시료 4) 및 메틸렌클로라이드 추출물(시료 5)이 높은 살균활성을 나타냈고,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시료 6)도 흰가루병에 대해 방제 활성을 나타냈다. 생체 시료를 사용하는 추출방법 3의 경우에도 추출방법 1과 유사하게 헥산 추출물(시료 8)에서 가장 우수한 방제활성을 나타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시료 9)도 우수한 방제활성을 나타냈다. 메탄올 추출액을 물로 용해하고 바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추출방법 4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시료 11)은 다른 추출방법의 헥산 추출물보다 흰가루병에 대해 방제효과는 낮으나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소리쟁이 지하부의 헥산 추출물은 유기합성 농약인 페나리몰(fenarimol)보다는 낮았지만 천연물 농약인 폴리옥신 B(polyoxin B)와 유사한 아주 우수한 흰가루병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2.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소리쟁이 추출물들의 방제효과
추출방법 1, 2, 3 및 4의 방법에 따라 추출한 소리쟁이 지하부의 추출물을 실시예 3에서와 같이 56 ㎍/㎖, 167 ㎍/㎖ 및 500 ㎍/㎖의 양으로 오이 성체에 각각 처리하여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낸 것과 같다.
추출방법 시료명 수율(생중량 g/㎏) 농도(㎍/㎖)
56 167 500
추출방법 1 시료 1 1.97 83a 90 98
시료 2 9.53 24 30 77
시료 3 50.0 0 0 0
추출방법 2 시료 4 1.79 78 80 -
시료 5 2.31 64 82 96
시료 6 6.26 15 21 39
시료 7 49.7 0 0 0
추출방법 3 시료 8 2.07 70 89 98
시료 9 10.1 0 33 91
시료 10 57.4 0 0 9
추출방법 4 시료 11 11.4 54 78 93
시료 12 52.2 0 0 5
대조약제 시료명 농도(㎍/㎖)
25 50 100
폴리옥신 B 84 85 91
a: 방제가(%)
상기와 같이, 추출방법 1, 2, 3 및 4로부터 얻은 각 시료들의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와 유사하였다. 각 추출방법의 헥산 추출물은 대조군인 폴리옥신 B(polyoxin B)와 유사한 정도의 살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이 헥산 추출물은 음건한 시료와 생체 시료를 사용한 경우에도 오이 흰가루병 및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발명은 흰가루병에 대해 방제활성을 갖는 소리쟁이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리쟁이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은 식물의 흰가루병의 방제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음건한 소리쟁이 또는 참소리쟁이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 2는 음건한 소리쟁이 또는 참소리쟁이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 3은 음건한 소리쟁이 또는 참소리쟁이의 메탄올 추출물부터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 4는 생체 시료인 소리쟁이 및 참소리쟁이로부터 메탄올 추출물, 헥산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 5는 음건한 소리쟁이 또는 참소리쟁이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직접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Claims (8)

  1. 소리쟁이(Rumex crispus) 또는 참소리쟁이(R. japonicus) 유기용매 추출물을 생중량 0.0037 g/㎖ 내지 0.3 g/㎖의 양으로 포함하는 식물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소리쟁이(Rumex crispus) 또는 참소리쟁이(R. japonicus)를 메탄올로 추출한 후 이를 감압농축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소리쟁이 또는 참소리쟁이를 메탄올로 추출한 후 이를 감압농축한 메탄올 추출물을 80% 메탄올에 용해시켜 헥산으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소리쟁이 또는 참소리쟁이를 메탄올로 추출한 후 이를 감압농축한 메탄올 추출물을 80% 메탄올에 용해시켜 헥산으로 추출한 후, 남은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물에 용해시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다시 감압농축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소리쟁이 또는 참소리쟁이를 메탄올로 추출한 후 이를 감압농축한 메탄올 추출물을 물에 용해시켜 헥산으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소리쟁이 또는 참소리쟁이를 메탄올로 추출한 후 이를 감압농축한 메탄올 추출물을 물에 용해시켜 헥산으로 추출한 후, 남은 여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한 다음 얻어진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소리쟁이 또는 참소리쟁이를 메탄올로 추출한 후 이를 감압농축한 메탄올 추출물을 물에 용해시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감압농축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삭제
KR10-2002-0007950A 2002-02-14 2002-02-14 소리쟁이 추출물 함유 식물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KR100497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950A KR100497309B1 (ko) 2002-02-14 2002-02-14 소리쟁이 추출물 함유 식물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950A KR100497309B1 (ko) 2002-02-14 2002-02-14 소리쟁이 추출물 함유 식물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255A KR20030068255A (ko) 2003-08-21
KR100497309B1 true KR100497309B1 (ko) 2005-06-23

Family

ID=3222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950A KR100497309B1 (ko) 2002-02-14 2002-02-14 소리쟁이 추출물 함유 식물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394B1 (ko) * 2002-02-15 2004-03-25 한국화학연구원 크리소파놀 또는 파리에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KR101537758B1 (ko) * 2012-11-07 2015-07-22 주식회사 남보 초오, 고련피 및 소리쟁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591382B1 (ko) * 2014-01-17 2016-02-03 주식회사 남보 초오, 고련피 및 소리쟁이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충해 방제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2309A (ja) * 1985-06-07 1986-12-12 Shiseido Co Ltd 頭髪化粧料
JPH06340537A (ja) * 1993-06-02 1994-12-13 Nippon Oil & Fats Co Ltd ギシギシ抽出物の製造法
KR19980068394A (ko) * 1997-02-19 1998-10-15 성재갑 화장비누 조성물
KR19990048809A (ko) * 1997-12-10 1999-07-05 차동천 소리쟁이(rumex crispus)로부터 추출 분리된천연 항산화성 성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2309A (ja) * 1985-06-07 1986-12-12 Shiseido Co Ltd 頭髪化粧料
JPH06340537A (ja) * 1993-06-02 1994-12-13 Nippon Oil & Fats Co Ltd ギシギシ抽出物の製造法
KR19980068394A (ko) * 1997-02-19 1998-10-15 성재갑 화장비누 조성물
KR19990048809A (ko) * 1997-12-10 1999-07-05 차동천 소리쟁이(rumex crispus)로부터 추출 분리된천연 항산화성 성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per 1980.8.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255A (ko) 200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79692B (zh) 一种防治植物病原细菌的化合物及其应用
KR102089272B1 (ko) 3종의 리포펩타이드계 화합물을 생산하고,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jck-12 균주 및 항진균성 합성농약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Amadioha Fungitoxic effects of extracts of Azadirachta indica against Cochliobolus miyabeanus causing brown spot disease of rice
Goufo et al. High efficacy of extracts of Cameroon plants against tomato late blight disease
KR100920486B1 (ko) 네오리그난계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마그놀리아 속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Prieto et al. Natural products from plants as potential source agents for controlling Fusarium
KR102159034B1 (ko) 산옥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솜털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497309B1 (ko) 소리쟁이 추출물 함유 식물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KR101143033B1 (ko)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AU2018314962B2 (en) Therapeutic or non-therapeutic use of protozoans of the willaertia genus as a fungistatic and/or fungicide
KR101170810B1 (ko) 베타-시토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El Ayeb-Zakhama et al. Antifungal activity of Citharexylum quadrangulare Jacq. extracts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KR101059792B1 (ko) 천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Rehman et al. Etiology Pathogenicity and Management of Collar Rot in Cockscomb (Celosia argentea)
KR101161607B1 (ko) 식물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832745B1 (ko) 리그난계 화합물, 레조시놀계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육두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101466615B1 (ko) Loeseneriella cambodiana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100706297B1 (ko) 만수국 또는 표고버섯을 포함하는 식물 흰가루병 방제제
KR100424394B1 (ko) 크리소파놀 또는 파리에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KR100832746B1 (ko)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엉겅퀴 뿌리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식물병 방제방법
Goel et al. Individual and combined effect of (±)-α-hydrastine and (±)-β-hydrastine on spore germination of some fungi
KR102336864B1 (ko) 산옥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솜털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harimbu et al. Antifungal activity of various crude plant extracts against Phaeoisariopsis griseola pathogenic on common bean.
KR101230367B1 (ko) 플로레틴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사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101170812B1 (ko) 스티그마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