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803B1 - 가방 겸용 포대기 - Google Patents

가방 겸용 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803B1
KR100496803B1 KR10-2003-0025844A KR20030025844A KR100496803B1 KR 100496803 B1 KR100496803 B1 KR 100496803B1 KR 20030025844 A KR20030025844 A KR 20030025844A KR 100496803 B1 KR100496803 B1 KR 100496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ixing
band
base body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2032A (ko
Inventor
김세진
황금별
Original Assignee
김세진
황금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진, 황금별 filed Critical 김세진
Priority to KR10-2003-002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8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38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 A45C13/1046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of string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4/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which may be converted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and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02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 겸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서, 포대기본체의 가장자리 연부에 구비된 착탈부재를 이용하여 가장자리 연부를 맞결합함으로써 상향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되며, 포대기본체의 외측면에 고정띠를 어깨걸이 형상으로 고정가능한 띠고정부를 마련함으로써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포대기를 재활용할 수 있으며, 외출중 포대기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용품이나 기타 물건을 수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방 겸용 포대기{Baby wrapper served as bag}
본 발명은 가방 겸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에 업은 아기를 감쌀 수 있음은 물론 가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가방 겸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기는 대략 생후 2개월부터 3세 정도 되는 아기를 업어줄 때 사용하는 작은 이불을 말하는 것으로서, 등에 업은 아기를 감싸주는 포대기본체와, 포대기본체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포대기본체로 감싼 아기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띠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포대기는 포대기본체로 등에 업은 아기를 둘러 감싼 다음, 포대기본체의 양단에 고정된 고정띠로 2회정도 감아 매듭을 지어 아기를 등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포대기는 아기가 성장하여 일정한 나이에 이르게 되면 더이상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게 되며, 아기와 함께 외출할 경우에는 포대기를 가방속에 넣어서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포대기를 지니지 않고 외출하는 경우, 외출도중 아기가 잠이 들면 아기를 등에 업은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포대기를 재활용할 수 있는 가방 겸용 포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출중 포대기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용품이나 기타 물건을 수용할 수도 있는 가방 겸용 포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방 겸용 포대기는 가장자리 연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띠가 마련되어 등에 업은 아기를 감싸주는 포대기본체; 상기 포대기본체의 가장자리 연부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포대기본체의 가장자리 연부를 맞결합하여 상향개구된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착탈부재; 및 상기 포대기본체의 일측 외면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띠를 고정하는 띠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띠에는 상기 띠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띠고정단추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띠고정부는 상기 포대기본체의 일측 외면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구비되어 상기 고정띠를 상기 포대기본체의 외면에 밀착시키는 복수의 띠고정걸이; 및 상기 고정띠에 형성된 복수의 띠고정단추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띠를 가방의 어깨걸이가 되도록 고정하는 띠고정단추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포대기본체의 상측 내부에는 상기 포대기본체를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며 상기 착탈부재에 의한 수용부의 형성시 개구부를 개폐가능한 조임끈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방 겸용 포대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방 겸용 포대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방 겸용 포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방 겸용 포대기는 크게 등에 업은 아기를 감싸는 포대기본체 (100); 포대기본체(100)의 가장자리 연부에 구비되는 착탈부재(200); 포대기본체 (100)의 일측 외면에 마련되는 띠고정부(300)로 구성된다.
포대기본체(100)는 등에 업은 아기를 감쌀 수 있는 이불이며, 양단에는 포대기본체(100)로 감싼 아기를 감아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띠(110)(12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띠(110)(120)에는 고정띠(110)(120)를 띠고정부(300)에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띠고정단춧구멍(111)(112)(113)(121)(122)이 형성되어 있다. 포대기본체(100)의 내부에는 착탈부재(200)가 체결되면서 형성되는 포대기본체(100)의 개구부를 조임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조임끈(130)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구비된다. 한편, 포대기본체(100)의 가장자리 연부에는 착탈부재(200)가 구비되어 있다.
착탈부재(200)는 포대기본체(100)의 중심접음선(C)을 기준으로 하단부터 양단의 가장자리까지 마련되어 있으며, 중심접음선(C)을 기준으로 포대기본체(100)의 가장자리를 서로 맞결합하여 상향개구된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착탈부재(200)는 상호 한 쌍이 착탈가능하게 맞결합되는 치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벨크로 또는 단추등 서로 착탈가능하게 맞결합될 수 있는 부재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포대기본체(100)의 외측면에는 고정띠(110)(120)를 어깨걸이 형상으로 고정가능한 띠고정부(300)가 구비되어 있다.
띠고정부(300)는 포대기본체(100)의 중심접음선(C)을 기준으로 일측 외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고정띠(110)(120)를 포대기본체(100)의 외면에 밀착고정시키는 복수의 띠고정걸이(330)와, 고정띠(110)(120)를 가방의 어깨걸이 형상으로 고정하는 복수의 띠고정단추(310)(320)를 구비하고 있다.
띠고정걸이(330)(340)는 중심접음선(C)을 기준으로 포대기본체(100)의 일측 외면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등간격을 이루며 복수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띠고정걸이(330)(340)는 띠형상으로 양단이 포대기본체(100)의 외면에 고정되므로 띠고정걸이(330)(340)와 포대기본체(100) 사이에는 고정띠 삽입공이 형성된다. 이에, 포대기본체(100)의 상부에 고정된 띠고정걸이의 삽입공을 통과한 고정띠 (110)는 그에 대응하는 하부에 고정된 띠고정걸의 삽입공을 다시 통과하여 포대기본체(100)의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포대기본체(100)의 띠고정걸이 (330)(340)의 상부에는 한 쌍의 띠고정단추(310)(320)가 고정되어 있다.
띠고정단추는 제 1 띠고정단추(310)와 제 2 띠고정단추(320)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띠고정단추(310)는 포대기본체(100)의 중심접음선(C)을 기준으로 외면 일측의 상부에 고정되며, 포대기본체(100)를 가방으로 변형할 경우 일측 고정띠(110)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된 띠고정단춧구멍(111)(113) 및 타측 고정띠(120)의 일단에 형성된 띠고정단춧구멍(121)에 삽입되어 고정띠(110)(120)를 어깨걸이 형상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제 2 띠고정단추(320)는 제 1 띠고정단추(310)와 상호 이격거리를 가지고 포대기본체(100)의 일측 외면 상부에 고정되며, 고정띠(110)의 중심에 형성된 띠고정단춧구멍(112) 및 고정띠(120)의 타단에 형성된 띠고정단춧구멍(122)에 삽입되어 고정띠(110)(120)를 어깨걸이 형상으로 고정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방 겸용 포대기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포대기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포대기와 같이 등에 아기를 업은 상태에서 포대기본체(100)로 아기를 감싼 다음, 고정끈(110) (120)을 이용하여 아기를 고정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을 가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포대기본체(100)의 중심접음선(C)의 하단부터 포대기본체(100)의 양단 상부까지 착탈부재(200)를 체결한다. 그러면, 포대기본체(100)의 가장자리 연부가 중심접음선(C)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서로 맞결합되며, 상향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가방의 형상으로 변형되게 된다. 계속해서, 포대기본체(100)가 가방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일측 고정띠 (110)의 일단에 형성된 띠고정단춧구멍(111)을 제 1 띠고정단추(310)에 고정하고, 일측 고정띠(110)의 중심부에 형성된 띠고정단춧구멍(112)을 제 2 띠고정단추(320)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일측 고정띠(110)를 제 2 띠고정단추(320)의 하부에 마련된 띠고정걸이(340)의 삽입공에 각각 통과시킨 다음, 일측 고정띠(110)의 타단에 형성된 띠고정단춧구멍(113)을 제 1 띠고정단추(310)에 고정한다.
또한, 타측 고정띠(120)의 일단에 형성된 띠고정단춧구멍(121)을 제 1 띠고정단추(310)에 고정한 다음, 타측 고정띠(120)를 제 1 띠고정단추(310)의 하부에 마련된 띠고정걸이(330)의 삽입공에 각각 통과시킨다. 계속해서, 타측 고정띠(120)의 타단에 형성된 띠고정단춧구멍(122)을 제 2 띠고정단추(320)에 고정한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포대기본체(100)의 띠고정부(300)에 일측 고정띠 (110)를 먼저 고정한 다음, 타측 고정띠(120)를 고정하는 순서로 상술하였으나, 타측 고정띠(120)를 포대기본체(100)의 띠고정부(300)에 먼저 고정하고난 다음, 일측 고정띠(110)를 포대기본체(100)의 띠고정부(300)에 고정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포대기본체(100)를 착탈부재(200)를 이용하여 가방 형상으로 변형시키고, 고정띠(110)(120)를 띠고정부(300)에 고정하여 어깨끈으로 형성함으로써 단시간에 포대기본체(100)를 가방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출시에는 포대기본체(100)를 가방으로 변형시켜 그 수용부에 유아용품이나 기타 다른 물건을 수용할 수 있으며, 이동시에는 가방을 어깨에 걸 수 있다. 그리고, 외출중에 아기가 잠들거나, 급히 포대기를 필요로 할 경우에는 단시간에 가방을 포대기로 변형시켜 등에 업은 아기를 감쌀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아기가 일정한 나이가 되어 포대기를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포대기를 가방으로 사용함으로써 포대기를 버리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가방 겸용 포대기는 포대기본체의 가장자리 연부에 구비된 착탈부재를 이용하여 가장자리 연부를 맞결합함으로써 상향개구된 수용부를 형성하며, 포대기본체의 외측면에 고정띠를 어깨걸이 형상으로 고정가능한 띠고정부를 마련함으로써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포대기를 재활용할 수 있으며, 외출중 포대기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용품이나 기타 물건을 수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방 겸용 포대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방 겸용 포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포대기본체 110,120 ; 고정띠
130 ; 조임끈 200 ; 착탈부재
300 ; 띠고정부 310 ; 제 1 띠고정단추
320 ; 제 2 띠고정단추 330,340 ; 띠고정걸이
C ; 중심접음선

Claims (4)

  1. 가장자리 연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띠(110)(120)가 마련되어 등에 업은 아기를 감싸주는 포대기본체(100);
    상기 포대기본체(100)의 가장자리 연부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포대기본체 (100)의 가장자리 연부를 맞결합하여 상향개구된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착탈부재 (200); 및
    상기 포대기본체(100)의 일측 외면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띠(110)(120)를 고정하는 띠고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띠(110)(120)에는 상기 띠고정부(3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띠고정단추구멍(111) (112)(113)(121)(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띠고정부(300)는
    상기 포대기본체(100)의 일측 외면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구비되어 상기 고정띠(110)(120)를 상기 포대기본체(100)의 외면에 밀착시키는 복수의 띠고정걸이 (330)(340); 및
    상기 고정띠(110)(120)에 형성된 복수의 띠고정단추구멍(111)(112)(113) (121)(122)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띠(110)(120)를 가방의 어깨걸이가 되도록 고정하는 한 쌍의 띠고정단추(310)(3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겸용 포대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기본체(100)의 상측 내부에는
    상기 포대기본체(100)를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며 상기 착탈부재(200)에 의한 수용부의 형성시 개구부를 개폐가능한 조임끈(1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겸용 포대기.
KR10-2003-0025844A 2003-04-23 2003-04-23 가방 겸용 포대기 KR100496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844A KR100496803B1 (ko) 2003-04-23 2003-04-23 가방 겸용 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844A KR100496803B1 (ko) 2003-04-23 2003-04-23 가방 겸용 포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032A KR20040092032A (ko) 2004-11-03
KR100496803B1 true KR100496803B1 (ko) 2005-06-22

Family

ID=37372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844A KR100496803B1 (ko) 2003-04-23 2003-04-23 가방 겸용 포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030U (ko) 2016-02-19 2017-08-30 조은부모로협동조합 베개 및 이불 겸용 포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030U (ko) 2016-02-19 2017-08-30 조은부모로협동조합 베개 및 이불 겸용 포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032A (ko) 200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06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 briefcase to carry a supplemental bag
KR100496803B1 (ko) 가방 겸용 포대기
KR101530480B1 (ko) 유아용품용 백팩
GB2293309A (en) Handle grip
JP2006006575A (ja) 背負いかばん
JP3050433U (ja) ボトル携帯具
CN213262562U (zh) 储物组件及其幼儿载具
KR100646109B1 (ko) 이동식 보조가방이 구비된 배낭
JP3221462U (ja) 和装用小物入れ
JPH0429793Y2 (ko)
JP3050794U (ja) 手紐用把持具
JP3166587U (ja) 肩ベルト付きキャリーバッグ
JP2000116426A (ja) かばん
JP2008154794A (ja) 着物着付けセット用鞄
JPH0137446Y2 (ko)
KR200340402Y1 (ko) 여행 가방용 보조걸이
JP3004091U (ja) 小物入れ
JP3060759U (ja) 肩掛け兼用手提袋
JP3102274U (ja) 携帯バッグセット
JPH10225318A (ja) カバンの締付ベルトの連結装置
JP3190680U (ja) 三部式帯
JP2002199935A (ja) リュックサック
JP3022719U (ja) ハンドバッグ
JP3083741U (ja) バナナ持ち運び用ホルダー
JP3048794U (ja) 携帯電話等の携帯品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