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572B1 - 카드 제조용 합성수지 시트들의 자동 가접장치 - Google Patents

카드 제조용 합성수지 시트들의 자동 가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572B1
KR100496572B1 KR10-2003-0012561A KR20030012561A KR100496572B1 KR 100496572 B1 KR100496572 B1 KR 100496572B1 KR 20030012561 A KR20030012561 A KR 20030012561A KR 100496572 B1 KR100496572 B1 KR 100496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able
sheets
sheet
synthetic resi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6953A (ko
Inventor
박순범
박웅규
강희준
김일환
이강현
권순창
Original Assignee
에스 제이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식회사 제이디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제이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식회사 제이디씨텍 filed Critical 에스 제이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572B1/ko
Publication of KR20030026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5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specific variables not covered by groups B29C66/91 - B29C66/94
    • B29C66/95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specific variables not covered by groups B29C66/91 - B29C66/94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7/00Carriers for sound or information
    • B29L2017/006Memory cards, chip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장의 합성수지 시트들을 열 접착하여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을 제작할 때 얇은 시트들을 임시로 접합시키기 위한 자동 가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장의 얇은 시트가 이송된 후 자동으로 정렬되어 포개진 상태에서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초음파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그 사방에는 에어를 흡입하는 흡착구(10a)들이 장착되고, 합성수지 시트(1)(2)들이 이송되어 놓여지는 작업대(10)와; 상기 작업대(10)의 후방에 장착된 지지프레임(21a)의 상부에는 카메라센서(21)가 장착되어 작업대(10)에 놓여진 합성수지 시트(1)(2)들의 표시부(1a)(2a)를 촬영하여 감지하는 영상 감지부(20)와; 상기 작업대(10)의 하부에 장착된 제1이동판(31)은 가이드레일(31b)에 지지되어 그 하부에 관통 체결된 축볼트(31a)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이동판(31)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된 제2이동판(32)들은 가이드레일(32b)들에 각각 지지되어 그 하부에 관통 체결된 축볼트(32a)의 회전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이동판(32)들 상부에는 제1흡착구(37a)들이 각각 수직으로 장착되어 작업대(10)에 뚫려진 가이드공(11)을 통해 하부 시트(2)를 흡착하여 이동시키고, 제2이동판(32)들 상부에 각각 고정된 양측 가이드편(33)들 사이에 축설된 회전축(34) 중앙의 피니언(34a)이 실린더(35)에 의하여 이동되는 래크(35a)와 치합되어 회전되며, 회전축(34)에 장착된 아암(36)에는 제2흡착구(37b)가 고정되어 작업대(10)의 가이드공(11)을 통해 그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상부 시트(1)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시트 위치 조절부(30)와; 상기 작업대(10)의 우측에 장착된 지지대(41)에는 초음파 방전을 일으키는 공구혼(43)들이 장착되어 실린더(42)에 의하여 승강되는 초음파 접합부(40)와; 상기 제1,2이동판(31)(32)들의 하부에 각각 관통 체결된 축볼트(31a)(32a)들을 회전시키는 모터(31c)(32c)들이 영상 감지부(20)의 신호에 의하여 각각 구동되어 시트(1)(2)들의 위치를 각각 자동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합성수지 시트들의 자동 가접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카드 제조용 합성수지 시트들의 자동 가접장치{a ultrasonic automatic machining system}
본 발명은 여러장의 합성수지 시트들을 열 접착하여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을 제작할 때 얇은 시트들을 임시로 접합시키기 위한 자동 가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장의 얇은 시트가 이송된 후 자동으로 정렬되어 포개진 상태에서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초음파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용카드나 교통카드와 같은 카드들은 주로 4∼6장의 합성수지 시트들을 초음파 접합기로 임시 접합시키고, 전체적으로 가열 및 가압시켜 약0.8mm의 판지로 성형한 후 카드의 외형선을 따라 연속 펀칭하여 절단하면 카드가 완성된다.
상기 시트들을 임시로 접합시키기 위해서는 4∼6 종류의 얇은 시트를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분류한 후 서로 다른 2장의 시트를 초음파 접합장치로 임시 접합시키고, 접합된 2장의 시트에 또 다른 시트를 접합시키는 방식으로 연속 접합하여 종류가 서로 다른 4∼6장의 시트를 임시로 접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중에서도 표면지는 카드의 종류와 정보가 인쇄된 명판(名板)이고, 내부 시트에는 집적회로 칩(IC chip)과 안테나 코일이 내장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표면지와 함께 열 접착되는 복수의 시트들이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면지의 구획선을 따라 절단 작업을 수행하면 집적회로 칩 내지는 안테나 코일이 절단됨에 따라 상당한 불량률이 발생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종래에는 합성수지 시트들의 외측에 뚫려진 가이드공을 작업대에 돌출된 가이드핀에 끼워지도록 하여 시트들의 포개지는 위치를 일치시킨 후 초음파 공구를 하강시켜 2장의 시트를 열 접착하여 임시로 접합시켰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은 합성수지 시트들에 가이드공을 뚫어야하는 번거로운 작업 공정이 별도로 추가되는 것이므로 작업의 효율을 높여줄 수 없었을 뿐 아니라 가이드공을 뚫는 작업도 단순 수 작업에 의존되어 가이드공을 정확한 위치에 천공하지 못함에 따라 불량률이 높아지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시트들의 가이드공을 가이드핀에 끼워지도록 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 아니라 가이드공과 가이드핀 사이에도 상당한 공차가 발생되어 결국 정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다.
특히, 2장의 시트를 작업대의 가이드핀에 끼워지도록 하는 일련의 작업공정이 모두 수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상당한 인건비가 지출되어 그 생산성을 높여줄 수 없었을 뿐 아니라 공장설비의 자동화를 이룰 수 없었으므로 결국 대량생산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2장의 얇은 시트가 이송된 후 자동으로 정렬되어 포개진 상태에서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초음파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과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고, 자동화설비를 이룰 수 있는 카드 제조용 합성수지 시트들의 자동 가접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그 사방에는 에어를 흡입하는 흡착구(10a)들이 장착되고, 합성수지 시트(1)(2)들이 이송되어 놓여지는 작업대(10)와; 상기 작업대(10)의 후방에 장착된 지지프레임(21a)의 상부에는 카메라센서(21)가 장착되어 작업대(10)에 놓여진 합성수지 시트(1)(2)들의 표시부(1a)(2a)를 촬영하여 감지하는 영상 감지부(20)와; 상기 작업대(10)의 하부에 장착된 제1이동판(31)은 가이드레일(31b)에 지지되어 그 하부에 관통 체결된 축볼트(31a)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이동판(31)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된 제2이동판(32)들은 가이드레일(32b)들에 각각 지지되어 그 하부에 관통 체결된 축볼트(32a)의 회전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이동판(32)들 상부에는 제1흡착구(37a)들이 각각 수직으로 장착되어 작업대(10)에 뚫려진 가이드공(11)을 통해 하부 시트(2)를 흡착하여 이동시키고, 제2이동판(32)들 상부에 각각 고정된 양측 가이드편(33)들 사이에 축설된 회전축(34) 중앙의 피니언(34a)이 실린더(35)에 의하여 이동되는 래크(35a)와 치합되어 회전되며, 회전축(34)에 장착된 아암(36)에는 제2흡착구(37b)가 고정되어 작업대(10)의 가이드공(11)을 통해 그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상부 시트(1)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시트 위치 조절부(30)와; 상기 작업대(10)의 우측에 장착된 지지대(41)에는 초음파 방전을 일으키는 공구혼(43)들이 장착되어 실린더(42)에 의하여 승강되는 초음파 접합부(40)와; 상기 제1,2이동판(31)(32)들의 하부에 각각 관통 체결된 축볼트(31a)(32a)들을 회전시키는 모터(31c)(32c)들이 영상 감지부(20)의 신호에 의하여 각각 구동되어 시트(1)(2)들의 위치를 각각 자동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제조용 합성수지 시트들의 자동 가접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10)의 사방에 뚫려진 구멍에는 에어를 흡입하는 흡착구(10a)들이 장착되어 있고, 이 흡착구(10a)들은 에어펌프(도시하지 않았음)와 호스로 연결되어 강한 흡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전자밸브에 의하여 에어의 흡입과 차단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업대(10)에는 시트 자동 이송장치(60)에 의하여 합성수지 시트(1)(2)들이 자동으로 이송되어 포개진 상태로 놓여진다.
상기 작업대(10)의 후방에는 지지프레임(21a)이 장착되어 있고, 지지프레임(21a)의 상부에는 카메라센서(21)가 장착되어 작업대(10)에 놓여진 합성수지 시트(1)(2)들의 표시부(1a)(2a)를 촬영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1a)의 하부에는 투시창(22a)이 장착되어 카메라센서(21)의 직 하부에 위치되어 있고, 투시창(22a)의 하부 주연부에는 램프(22)가 장착되어 시트(1)(2)들의 표시부(1a)(2a)를 밝혀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작업대(10)에 뚫려진 구멍(12)에는 백 램프(23)가 장착되어 시트(1)(2)들의 후면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투시창(22a)의 램프(22)와 백 램프(23)의 불빛은 반투명한 합성수지 시트(1)(2)들을 투과하여 밝게 빛나게 함에 따라 표시부(1a)(2a)들이 시트(1)(2)들의 후면에 인쇄된 경우에도 표시부(1a)(2a)들이 램프(22)와 백 램프(23)의 불빛에 투과되어 선명하게 나타나는 것이므로 카메라센서(21)가 이를 감지하여 시트(1)(2)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표시부의 인쇄 위치에 구애됨이 없이 효과적으로 시트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은 카메라센서(21)로 시트(1)(2)들의 표시부(1a)(2a)를 각각 촬영하여 그 위치를 감지하는 영상 감지부(20)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작업대(10)의 하부에는 제1이동판(31)이 장착되어 있고, 제1이동판(31)은 그 하부 양측에 장착된 가이드레일(31b)들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이동판(31)의 하부에는 축볼트(31a)가 관통하여 체결되어 있고, 모터(31c)의 동력을 전달받는 축볼트(31a)가 회전되면 나사 결합된 제1이동판(31)이 가이드레일(31b)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이동판(31)의 전,후방에는 제2이동판(32)들이 각각 장착되어 있고, 제2이동판(32)들은 제1이동판(31)에 장착된 가이드레일(32b)들에 각각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이동판(32)들의 하부에는 축볼트(32a)가 각각 관통하여 체결되어 있고, 모터(32c)의 동력을 전달받는 축볼트(32a)가 각각 회전되면 나사 결합된 제2이동판(32)들이 가이드레일(32b)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동된다.
제1이동판(31)의 전,후방에 장착된 제2이동판(32)들 상부에는 제1흡착구(37a)들이 각각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고, 2개의 제1흡착구(37a)들은 작업대(10)에 뚫려진 가이드공(11)들을 통해 하부 시트(2)의 저면을 흡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제1흡착구(37a)들은 제1이동판(31) 및 제2이동판(32)과 함께 이동되면서 하부 시트(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이동판(32)들의 상부에는 한쌍의 가이드편(33)들이 각각 장착되어 있고, 양측 가이드편(33)들 사이에는 회전축(34)이 축설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4)의 중앙에는 피니언(34a)이 장착되어 있고, 피니언(34a)에는 실린더(35)에 의하여 이동되는 래크(35a)가 치합되어 피니언(34a)과 함께 회전축(3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편(33)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34)에는 아암(36)이 장착되어 회전축(34)과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절곡된 아암(36)의 선단에는 제2흡착구(37b)가 직각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흡착구(37b)는 작업대(10) 좌측에 뚫려진 가이드공(11)을 통해 그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상부 시트(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위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부 시트(1)를 흡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2흡착구(37a)(37b)들은 에어펌프(도시하지 않았음)와 호스로 연결되어 강한 흡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전자밸브에 의하여 에어의 흡입과 차단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은 시트 자동 이송장치(60)에 의하여 작업대(10) 위로 이송되어 포개진 합성수지 시트(1)(2)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는 시트 위치 조절부(30)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작업대(10)의 우측에 장착된 지지대(41)에는 초음파 방전을 일으키는 공구혼(43)들이 장착되어 실린더(42)에 의하여 승강되면서 포개진 합성수지 시트(1)(2)들을 접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은 상기 공구혼(43)의 뾰족한 하단이 하강되어 시트(1)(2)들을 가압시키면 그 상측의 메인혼(43a)을 동해 공급된 전기적 에너지가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되어 시트(1)(2)들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시트(1)(2)들의 접합부가 용융되면서 점 접합을 이루어 임시로 접합되는 초음파 접합부(40)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2이동판(31)(32)의 하부를 관통하여 체결된 축볼트(31a)(32a)들을 회전시키는 모터(31c)(32c)들은 영상 감지부(20)의 신호에 의하여 각각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2이동판(32)에 장착된 제1,2흡착구(37a)(37b)들은 제1,2이동판(31)(32)들의 전,후,좌,우 이동에 의하여 사방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면서 시트(1)(2)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시트 자동 이송장치(60)에 의하여 하부 시트(2)가 작업대(10) 위에 이송되어 놓여지면 작업대(10) 하부 전,후방에 장착된 제2이동판(32)들의 제1흡착구(37a)들에 에어펌프의 흡입력이 전달되어 하부 시트(2)의 저면이 흡착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작업대(10)의 후방 지지프레임(21a)에 장착된 카메라센서(21)가 하부 시트(2)에 형성된 "十"형 표시부(2a)를 촬영하여 그 위치를 감지한 후 축볼트(31a)(32a)들을 회전시키는 모터(31c)(32c)들에 신호를 인가하여 제1,2이동판(31)(32)을 전,후,좌,우 이동시킴에 따라 제1흡착구(37a)들에 의하여 흡착 고정된 하부 시트(2)가 이동되고 "十"형 표시부(2a)가 정 위치에 오면 카메라센서(21)가 이를 감지하여 하부 시트(2)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전자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작업대(10) 사방에 장착된 에어 흡착구(10a)들에 에어펌프의 흡입력이 전달되어 하부 시트(2)가 흡착구(10a)들에 흡착 고정됨과 동시에 하부 시트(2)를 고정하고 있던 제1흡착구(37a)에는 공기의 흡입력이 차단되어 제1흡착구(37a)가 하부 시트(2)를 고정하고 있던 상태가 해제된다.
이어서, 또 다른 시트 자동 이송장치(60)에 의하여 상부 시트(1)가 이송되어 하부 시트(2) 위에 놓여지면 도 4a∼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이동판(32)들에 장착된 실린더(35)의 작동에 의하여 래크(35a)가 이동됨과 동시에 래크(35a)에 치합된 피니언(34a)과 함께 회전축(34)이 회전되어 회전축(34)에 장착된 아암(36)이 작업대(10)에 뚫려진 가이드공(11)을 통해 그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아암(36)의 선단에 장착된 제2흡착구(37b)가 수평을 이루고 있던 상태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상부 시트(1)의 상부에 위치됨과 동시에 전재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에어펌프의 흡입력이 제2흡착구(37b)에 전달되어 제2흡착구(37b)가 상부 시트(1)를 흡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제1흡착구(37a)에는 흡입력이 차단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이다.
외와 같이 상부 시트(1)가 제2흡착구(37b)들에 의하여 고정되면 카메라센서(21)가 상부 시트(1)의 표시부(1a)를 감지하여 모터(31c)(32c)들이 신호를 인가하여 축볼트(31a)(32a)들을 각각 회전시킴에 따라 x축, y축을 이루어 사방으로 이동되는 제1,2이동판(31)(32)들에 의하여 제2흡착구(37b)들에 흡착 고정된 상부 시트(1)가 이동되고, 그 표시부(1a)가 정 위치에 오면 카메라센서(21)가 이를 감지하여 상부 시트(1)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작업대(10)의 흡착구(10a)들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하부 시트(2) 위에 포개진 상부 시트(1) 이동되면서 그 위치가 조절되어 2장의 시트(1)(2)들이 정확하게 일치되면 초음파 접합부(40)의 지지대(41)에 장착된 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하여 하강되는 공구혼(43)의 뾰족한 하단이 시트(1)(2)들을 눌러줌과 동시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시트(1)(2)들을 용융하여 점 접합시킨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시트(1)(2)들이 임시접합 되면 전자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작업대(10)에 장착된 에어 흡착구(10a)와 제2흡착구(37b)에 전달되는 에어 흡입력이 차단되고, 제2흡착구(37b)는 다시 작업대(10) 하부로 회동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 임시 접합된 시트(1)(2)들이 또 다른 이송장치(61)에 의하여 다음 접합공정으로 이송되어 시트(1)(2)들이 임시접합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2장의 시트(1)(2)들이 이송된 후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정확한 위치가 조절되고, 초음파 접합이 이루어는 일련의 작업들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져 상당한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하부 시트(1)(2)들이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접합되는 것이므로 불량률이 최소화되어 그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것으로서 공장의 자동화 설비가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카드 제조업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a∼도 7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0)의 후방에 고정된 지지프레임(51a)에는 실린더(51)가 장착되고, 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된 가압판(50)이 하강되면서 시트(1)(2)들을 눌러주면 작업대(10)에 뚫려진 구멍(13)에 장착된 감지센서(52)가 시트(1)(2)들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작업대(10)에 하부 시트(2)가 놓여지면 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와 함께 하강되는 가압판(50)이 하부 시트(2)를 눌러주므로 가압판(50)과 두께 감지센서(52) 사이에 위치된 하부 시트(2)의 두께가 감지되어 컨트롤부에 인가되고 하부 시트(2)의 두께를 인식하고 있는 컨트롤부가 이를 판별하여 하부 시트(2)의 두께가 인식하고 있는 두께와 일치되면 접합작업이 진행되고, 일치되지 않으면 하부 시트(2)가 잘못 놓여져 있거나 2장이 놓여진 것이므로 에러 신호를 발생하여 시트의 접합작업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도 7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번째로 시트들의 두께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하부 시트(2) 위에 상부 시트(1)가 포개진 상태에서 가압판(50)이 하강되어 그 두께를 측정하게 되고, 이때에는 컨트롤부에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하부 시트(1)(2)들이 합쳐진 두께를 컨트롤부가 인식하고 있다가 그 두께가 일치되면 접합작업이 진행되고, 일치되지 않으면 에러 신호를 발생하여 접합작업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작업대(10)로 이송되어 놓여지는 시트(1)(2)들이 잘못 놓여지거나 2장이 겹쳐진 상태로 이송되어 놓여지는 경우에는 두께 감지센서(52)가 이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에러 신호를 발생하여 접합작업을 일시 정지시키므로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2장의 상,하부 시트(1)(2)들이 단계적으로 이송된 후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정확한 위치가 조절되고, 공구혼(43)이 하강되어 초음파 접합이 이루어는 일련의 접합작업들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당한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하부 시트(1)(2)들이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접합되는 것이므로 불량률이 최소화되어 그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것으로서 공장의 자동화 설비가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카드 제조업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위치 조절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위치 조절부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 접합부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감지부를 예시한 단면도,
도 7a∼도 7c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두께 감지부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장치에 의 하여 접합되는 상,하부 시트를 예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 시트 1a, 2a : 표시부
10 : 작업대 10a : 흡착구
11 : 가이드공 12, 13 : 구멍
20 : 영상 감지부 21 : 카메라센서
21a, 51a : 지지프레임 22 : 램프
22a : 투시창 23 : 백 램프
30 : 시트 위치 조절부 31 : 제1이동판
31a, 32a : 축볼트 31b, 32b : 가이드레일
31c, 32c : 모터 32 : 제2이동판
33 : 가이드편 34 : 회전축
34a : 피니언 35, 42, 51 : 실린더
35a : 래크 36 : 아암
37a : 제1흡착구 37b : 제2흡착구
40 : 초음파 접합부 41 : 지지대
43 : 공구혼 43a : 메인혼
50 : 가압판 52 : 감지센서
60, 61 : 이송장치

Claims (3)

  1. 그 사방에는 에어를 흡입하는 흡착구(10a)들이 장착되고, 합성수지 시트(1)(2)들이 이송되어 놓여지는 작업대(10)와;
    상기 작업대(10)의 후방에 장착된 지지프레임(21a)의 상부에는 카메라센서(21)가 장착되어 작업대(10)에 놓여진 합성수지 시트(1)(2)들의 표시부(1a)(2a)를 촬영하여 감지하는 영상 감지부(20)와;
    상기 작업대(10)의 하부에 장착된 제1이동판(31)은 가이드레일(31b)에 지지되어 그 하부에 관통 체결된 축볼트(31a)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이동판(31)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된 제2이동판(32)들은 가이드레일(32b)들에 각각 지지되어 그 하부에 관통 체결된 축볼트(32a)의 회전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이동판(32)들 상부에는 제1흡착구(37a)들이 각각 수직으로 장착되어 작업대(10)에 뚫려진 가이드공(11)을 통해 하부 시트(2)를 흡착하여 이동시키고, 제2이동판(32)들 상부에 각각 고정된 양측 가이드편(33)들 사이에 축설된 회전축(34) 중앙의 피니언(34a)이 실린더(35)에 의하여 이동되는 래크(35a)와 치합되어 회전되며, 회전축(34)에 장착된 아암(36)에는 제2흡착구(37b)가 고정되어 작업대(10)의 가이드공(11)을 통해 그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상부 시트(1)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시트 위치 조절부(30)와;
    상기 작업대(10)의 우측에 장착된 지지대(41)에는 초음파 방전을 일으키는 공구혼(43)들이 장착되어 실린더(42)에 의하여 승강되는 초음파 접합부(40)와;
    상기 제1,2이동판(31)(32)들의 하부에 각각 관통 체결된 축볼트(31a)(32a)들을 회전시키는 모터(31c)(32c)들이 영상 감지부(20)의 신호에 의하여 각각 구동되어 시트(1)(2)들의 위치를 각각 자동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제조용 합성수지 시트들의 자동 가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1a)의 하부에는 투시창(22a)이 장착되어 카메라센서(21)의 직 하부에 위치되고, 투시창(22a)의 하부 주연부에는 램프(22)가 장착되어 시트(1)(2)들의 표시부(1a)(2a)를 밝혀줄 수 있으며, 작업대(10)에 뚫려진 구멍(12)에는 백 램프(23)가 장착되어 시트(1)(2)들의 후면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제조용 합성수지 시트들의 자동 가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의 후방에 고정된 지지프레임(51a)에는 실린더(51)가 장착되고, 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된 가압판(50)이 하강되면서 시트(1)(2)들을 눌러주면 작업대(10)에 뚫려진 구멍(13)에 장착된 감지센서(52)가 시트(1)(2)들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제조용 합성수지 시트들의 자동 가접장치.
KR10-2003-0012561A 2003-02-28 2003-02-28 카드 제조용 합성수지 시트들의 자동 가접장치 KR100496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561A KR100496572B1 (ko) 2003-02-28 2003-02-28 카드 제조용 합성수지 시트들의 자동 가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561A KR100496572B1 (ko) 2003-02-28 2003-02-28 카드 제조용 합성수지 시트들의 자동 가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953A KR20030026953A (ko) 2003-04-03
KR100496572B1 true KR100496572B1 (ko) 2005-06-22

Family

ID=2957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561A KR100496572B1 (ko) 2003-02-28 2003-02-28 카드 제조용 합성수지 시트들의 자동 가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4331B (zh) * 2019-01-29 2023-12-22 宜昌崟锦包装有限责任公司 一种半自动上料瓶盖焊接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953A (ko) 200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02285B (zh) 一种煮锅的自动装配线
JP5344145B2 (ja) ボンディング装置における電子部品と基板の位置合わせ方法
CN109093370B (zh) 一种多螺丝同步锁付机
KR100545817B1 (ko) 판형상 워크의 천공 장치 및 천공 방법
KR100496572B1 (ko) 카드 제조용 합성수지 시트들의 자동 가접장치
CN110967168A (zh) 一种背光源成品外观检测机
CN112366268B (zh) 一种高密度led固晶工艺
JPS60216937A (ja) 薄板材の自動加工装置
KR100591822B1 (ko) 천공 장치
CN211652024U (zh) 一种背光源成品外观检测机
CN210488529U (zh) 一种用于绑定柔性面板的固定对位装置
CN211876990U (zh) 安装座检测机
JPS63223648A (ja) 見当合わせ装置
KR200314691Y1 (ko) 카드시트의 자동 정합기
CN109177179B (zh) 点焊机及点焊系统
KR200286753Y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 장비
CN216500392U (zh) 一种在线式视觉追踪点胶机
CN215640073U (zh) 适用于模具全自动检测装置的双轴旋转式治具
CN214757135U (zh) 一种用于pcb板定位的弹片机平台机构
KR102579518B1 (ko) 시트 라미네이팅 장치
CN220994772U (zh) 一种抓手机构以及钻切一体机
CN210200668U (zh) 一种智能卡安装用辅助装置
JP4860446B2 (ja) プリント基板の受渡し装置
KR100450462B1 (ko) 카드용 표면지의 초음파 접합장치
WO2006077819A1 (ja) 部品実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