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198B1 - Preflex beam manufacturing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and Loading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Preflex beam manufacturing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and Loading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198B1
KR100496198B1 KR10-2002-0070448A KR20020070448A KR100496198B1 KR 100496198 B1 KR100496198 B1 KR 100496198B1 KR 20020070448 A KR20020070448 A KR 20020070448A KR 100496198 B1 KR100496198 B1 KR 100496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tendon
rotating roller
concrete
pref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4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11729A (en
Inventor
김우학
유승민
배두병
김선주
류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빌테크
배두병
류근한
김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빌테크, 배두병, 류근한, 김선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빌테크
Priority to KR10-2002-0070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198B1/en
Publication of KR2003001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7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198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주형 등의 구조물을 이루는 프리플렉스 빔(Preflex Beam)의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하중재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리플렉스 빔을 제조함에 있어서, 일단 I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그 즉시 모든 수직 하중, 즉 I형강에 가해졌던 모든 프리플렉션 하중을 일시에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프리플렉션 하중을 릴리즈한 후에도 실제 프리플렉스 빔을 사용하기 전까지 소정의 임시 하중을 지속적으로 가하여, 크리프, 건조 수축 등 압축응력 손실의 원인이 되는 요소들이 어느 정도 발생한 후에, 가하고 있던 임시 하중을 제거하여 프리플렉스에 의한 압축응력을 하부 플랜지의 콘크리트에 가하므로써, 실제 공용 중의 사용 하중에 의한 인장응력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lex beam constituting a structure such as a bridge mold, and a load-loading apparatus used therein. Rather than immediately removing all vertical loads, i.e. all preflection loads applied to I-beams, immediately after placing concrete, they continue to hold some temporary loads after releasing the preflection loads until the actual preflex beam is used. After a certain amount of factors causing compressive stress loss, such as creep and dry shrinkage, are removed, the temporary load applied is removed and the compressive stress caused by the preflex is applied to the concrete of the lower flange to It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to be able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tensile stress by.

Description

미리 도입된 하중에 의한 압축응력의 손실을 방지하는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하중재하장치{Preflex beam manufacturing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and Loading Apparatus therefor}Preflex beam manufacturing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due to pre-introduced load, and a load-bearing apparatus us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교량의 주형 등의 구조물을 이루는 프리플렉스 빔(Preflex Beam)의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하중재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그 제조과정에서 수직한 임시 하중을 일정 시간동안 재하함으로써, 릴리즈후 거치할 때까지 발생하는 급격한 압축응력의 손실을 방지하여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을 예방하는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하중재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lex beam constituting a structure such as a bridge mold, and a load-bearing apparatus used therein. Specifically, by loading a temporary temporary load in a manufacturing proces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lex beam that prevents the occurrence of rapid compressive stress until release after release and a load-bearing device used in the method.

프리플렉스 빔(Preflex Beam)은 제조공장 또는 교량 인접 현장 제작장에서 제작되어 시공 현장으로 이송된 후에 거치되어 교량의 주형 등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프리플렉스 빔은 강성이 우수한 I형강의 특성과 압축에 대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콘크리트의 특성을 복합한 빔으로서, 형강과 콘크리트가 상호 보완적인 특성을 나타내면서 상부에 위치하는 슬래브 등의 구조물을 지지한다.The preflex beam is manufactured at a manufacturing plant or an adjacent site fabrication site of a bridge, and then transported to a construction site to be mounted to form a mold of a bridge. Such a preflex beam is a composite beam that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I-shaped steel with excellent stiff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crete with excellent compressive properties, and supports structures such as slabs located at the top while exhibiting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of the steel and concrete. .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프리플렉스 빔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preflex beam by a conventional metho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도 1의 (a)에 보이듯이, 중간부가 볼록하게 휘어진 I형강(10)을 두 개의 지지대(1)에 거치한다. 이런 상태에서 I형강(10)의 상부에 하중을 가한다. 그러면 도 1의 (b)와 같이, I형강(10)은 하중에 의해 평평하게 펴지거나 또는 아래로 볼록하도록 휘어지게 되는데, 도 1의 (c)와 같이, 탄성변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I형강(10)의 하부 플랜지(10L)에 콘크리트(20)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20)가 소정의 강도를 가질 때까지 양생한다. 그런 다음에 도 1의 (d)에 보이듯이 가해지던 하중을 제거하면, I형강(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I형강(10)의 중간부는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다. 따라서, 하부 플랜지(10L)에 타설된 콘크리트(20)에는 압축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여기에서, 도 1의 (a) 단계를 '형강거치'라 하고, 도 1의 (b)의 단계를 '프리플렉션 하중재하(상재 하중 재하)'라 하고, 도 1의 (c)의 단계를 '콘크리트 타설'이라 하며, 도 1의 (d)의 단계를 '릴리즈(release)'라 칭한다.As shown in Figure 1 (a), the intermediate section is convexly curved I-shaped steel 10 is mounted on the two support (1). In this state, a load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beam 10. Then, as shown in (b) of FIG. 1, the I-shaped steel 10 is bent to be flattened or convex downward by a load. As shown in (c) of FIG. 1, the I-shaped steel is maintained in an elastic deformation state. The concrete 20 is poured into the lower flange 10L of 10 and cured until the poured concrete 20 has a predetermined strength. Then, as shown in FIG. 1 (d), when the load applied is removed, the middle portion of the I-shaped steel 10 is convexly curved up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I-shaped steel 10. Therefore, the compressive stress is applied to the concrete 20 placed on the lower flange (10L). Here, step (a) of FIG. 1 is referred to as 'shape steel stack', and step (b) of FIG. 1 is referred to as 'preflexion load (loading load)', and the step of FIG. It is called 'concrete casting', and the step of FIG. 1 (d) is called 'release'.

이후, I형강(10)의 복부와 상부 플랜지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여 프리플렉스 합성교량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프리플렉스 빔은 공장 또는 현장 부근의 야적장에 소정 기간동안 야적되어 있다가 필요할 때마다 시공 현장으로 이송되어 교각, 교대 등에 거치되어 교량의 주형 등의 구조를 이루게 된다.Thereafter, concrete is also poured into the abdomen and the upper flange of the I-beam 10 to complete the preflex composite bridge. The preflex beam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stocked at a yard near a factory or a si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is transferred to a construction site whenever necessary, and mounted on a pier, a shift, and the like to form a mold of a bridge.

그런데, 도 1의 (d)와 같이 하부 플랜지(10L)에 콘크리트(20)가 양생되어 압축응력이 가해진 상태로 장시간 지나게 되면, 콘크리트(20)에 존재하는 압축응력이 과도하게 손실되는데, 이러한 콘크리트(20)의 압축응력 손실은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크리프(creep) 등의 원인에 기인한다. However, when the concrete 20 is cured and the compressive stress is applied to the lower flange 10L as shown in FIG. 1 (d) for a long time, the compressive stress existing in the concrete 20 is excessively lost. The compressive stress loss of (20) is due to dry shrinkage of concrete, creep, etc.

따라서, 이와 같이 압축응력이 손실된 프리플렉스 빔의 경우 최초에 설계하였던 압축응력보다 작은 압축응력이 프리플렉스 빔에 잔류하게 되는데, 이러한 프리플렉스 빔을 교각 및 교대에 거치하여 그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 시공하고 사용하게 되면, 슬래브의 하중과 공용 하중에 의하여 프리플렉스 빔의 하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과 잔류한 압축응력이 상쇄됨에 있어서, 압축응력이 충분치 못해 하부의 콘크리트(20)에 균열이 발생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flex beam having the loss of the compressive stress, the compressive stress smaller than the originally designed compressive stress remains in the preflex beam, and the slab concrete is placed by mounting the preflex beam on the piers and alternating parts. When constructed and used, the tensile stress and residual compressive stress gener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preflex beam are canceled by the load of the slab and the common load, so that the compressive stress is insufficient and cracks occur in the lower concrete 20. .

이와 같이 콘크리트(20)에 균열이 발생하면, 콘크리트 내부에 존재하는 I형강은 공기 및 빗물 등에 접하게 되어 쉽게 산화 부식되며, 그로 인해 교량의 수명은 단축된다.As such, when a crack occurs in the concrete 20, the I-shaped steel existing inside the concrete is in contact with air and rainwater, and is easily oxidized and corroded, thereby shortening the life of the bridge.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응력 손실은 프리플렉스 빔이 완성되어 실제 사용되기 전까지, 즉 프리플렉스 빔 시공시 릴리즈 단계에서부터 실제의 사용위치에 거치되어 그 상부에 슬래브 콘크리트가 시공될 때까지 가장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기가 압축응력 손실량에 대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ive stress loss is most frequently generated until the preflex beam is completed and actually used, that is, from the release stage in the preflex beam construction to the actual use position and the slab concrete is built on top of it. . Therefore, the slab concrete pouring time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the compressive stress loss.

이에 관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완성된 프리플렉스 빔을 제작하고 약 1개월 경과한 후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에 압축응력 손실량은 73kgf/cm2이고, 6개월 경과한 후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에 압축응력 손실량은 115kgf/cm2 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치에 따르면 5개월 사이에 압축응력 손실량이 42kgf/cm2 만큼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When making the finished pre-flex beam and hayeoteul casting a slab of concrete after a lapse of about 1 month compressive stress loss is 73kgf / cm 2, the compressive stress losses when hayeoteul casting a slab of concrete after a lapse of six months, was 115kgf / cm 2 .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increased by 42 kgf / cm 2 between 5 months.

종래에는 이와 같은 압축응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릴리즈 단계 이후에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기를 단축하거나 기존의 프리플렉스 빔의 단면에 대해 강재사용량을 크게 증가시켜 콘크리트의 파손을 보완하였으며, 또는 프리플렉스 빔의 높이를 높여 단면강성을 증가시켰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the slab concrete casting time is shortened after the release step, or the steel consumption is greatly increased for the cross section of the existing preflex beam to compensate for the breakage of the concrete, or the height of the preflex beam To increase the cross stiffness.

하지만, 슬래브 콘크리트의 타설시기 조정은 현장의 여건에 따라 변할 수 있어 시기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고, 강재사용량이 증가하게 되면 경제성이 떨어지며, 빔의 높이가 높아지면 프리플렉스 빔을 사용하는 목적 즉 형고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을 상실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timing of placing the slab concret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it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djust the timing.Increasing the amount of steel used decreases the economic efficiency, and when the height of the beam increases, the purpose of using the preflex beam The disadvantage is that you lose the advantage of lowering the high.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릴리즈 단계에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점까지 빔에 잔류하는 압축응력의 손실을 억제하여 공용시 콘크리트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prepreg beam which can prevent the breakage of the concrete during use by suppressing the loss of the compressive stress remaining in the beam from the release stage to the slab concrete pouring tim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단 I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그 즉시 모든 수직 하중, 즉 I형강에 가해졌던 모든 프리플렉션 하중을 일시에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프리플렉스 빔을 사용하기 전까지 소정의 임시 하중을 지속적으로 가하여, 크리프, 건조 수축 등 압축응력 손실의 원인이 되는 요소의 일정 부분은 미리 발생시키고, 이후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가하고 있던 상기 임시 하중을 제거하여 프리플렉스에 의한 압축응력을 하부 플랜지의 콘크리트에 가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임시 하중에 의하여 압축응력 손실의 원인이 되는 크리프, 건조 수축 등이 이미 발생된 상태에서 임시 하중을 제거하여 프리플렉스에 의한 압축응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러한 압축응력은 손실량이 극히 작으므로, 실제 공용 중의 사용 하중에 의하여 인장응력이 작용하더라도, 잔류한 압축응력에 의하여 인장응력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once the concrete is laid on the lower flange of the I-beam, all the vertical loads, that is, all the pre-flection loads applied to the I-beam, are not immediately removed, but actually free. Until the flex beam is used, a predetermined temporary load is continuously applied to generate a part of the element causing the compressive stress loss such as creep and shrinkage in advance, and then removes the temporary load appli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ethod of applying compressive stress by the preflex to the concrete of the lower flange is adop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ve stress by the preflex is applied by removing the temporary load in a state where creep, dry shrinkage, or the like, which causes the compressive stress loss, is caused by the temporary load. Since it is extremely small, even if tensile stress acts by the use load in actual use, it can respond suitably to tensile stress by the residual compressive stress.

본 발명에서는, 프리플렉스 빔에 가해지던 프리플렉션 하중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소정의 임시 하중을 계속 가하기 위하여, 새로이 개발된 텐던의 긴장구조를 이용하여 텐던을 긴장시키므로써, 이러한 텐던의 긴장력을 프리플렉션 하중으로 사용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tinue to apply a predetermined temporary load even in the state in which the preflex load applied to the preflex beam is removed, the tension force of the tendon is preflected by tensioning the tendon using a newly developed tendon tension structure. Use as a loa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길이방향의 중간부가 볼록하게 만곡된 I형강의 중간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프리플렉션 하중을 가해 상기 I형강의 중간부가 평평하게 하거나 오목하게 탄성변형시키는 단계와, 상기 I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로 양생되면,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을 제거한 후에 상기 I형강의 상부에 잭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잭 수단의 상부에 텐던이 위치한 상태로 텐던을 긴장하여 I형강의 상부에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보다 작은 임시 하중을 가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잭 수단을 제거하고 텐던의 긴장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임시 하중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I형강의 복부와 상부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applying a deflection loa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convex curved I-shaped steel to elastically deform the middle portion of the I-shaped steel flat or concave, and the I-shaped steel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flex beam comprising the step of curing after pouring concrete to the lower flange of the, If the concrete is cured to a predetermined strength, after removing the preflection load jacks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beam Tensioning the tendon with the tendon located at the top of the jack means to apply a temporary load less than the pre-flection load to the top of the I-beam, removing the jack means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tensioning the tendon Removing the temporary load and placing concrete on the abdomen and upper flange of the I-beam And that is configured to also as a technical featur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잭 수단은 수축이 가능한 일방향 신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잭 수단의 상부에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의 하부를 감싸는 요홈이 형성된 지지판이 위치하고 있고, 상기 I형강의 양측 단부 상부에는 정착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텐던의 일단부가 일측 정착부재에 정착되고 텐던의 상기 회전롤러의 상부에 접한 상태에서 긴장되어 타측 정착부재에 정착되므로써 텐던의 긴장력에 의하여 임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jack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one-way stretching means capable of contrac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jack means there is a rotating roller and a support plate formed with grooves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roller is located, the I-shaped steel A fixing member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portion, and one end of the tendon is fixed to one fixing member and is tension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roller of the tendon to be fixed to the other fixing member so that a temporary load is applied by the tension force of the tendon. It is desirable to los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잭 수단은 신장과 수축이 가능한 이방향 신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잭 수단의 상부에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의 하부를 감싸는 요홈이 형성된 지지판이 위치하고 있고, 상기 I형강의 양측 단부 상부에는 정착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텐던의 양단부가 양측 정착부재에 정착되고 텐던의 상기 회전롤러의 상부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이방향 신축수단이 신장되어 텐던을 긴장시키므로써 텐던의 긴장력에 의하여 임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jack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way stretching means capable of stretching and contrac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jack means is rotatable rotating roller, the support plate is formed with a groove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roller is located, Fixing members are provided on both upper ends of the I-shaped steel, and the two-way stretching means are stretched to tension the tendons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tendons are fixed to both fixing members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rotary roller of the tendons. It is desirable to apply a temporary load by the tension force of.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에서의 하중재하장치에 있어서, 상기 I형강의 상부 플랜지 양단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텐던을 체결 고정하는 체결구로 이루어진 정착부재 및 상부에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의 하부를 감싸는 요홈이 형성된 지지판이 위치하고 있고, 상기 I형강의 상부 플랜지에 위치하여 높이가 조절되므로써 상기 회전롤러와 접하는 텐던의 긴장력을 조절하는 잭 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과정에서 프리플렉스 빔에 임시 하중을 재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ad-bearing devic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flex beam, the fixing member consisting of a fastener fastened and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upper flange of the I-shaped steel, and a fastener fastened to fasten the tendon to the fastener and the upper The rotating roller is rotatable, and a support plate formed with a recess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roller is located, and the jack means for adjusting the tension force of the tendon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roller by adjusting the height located on the upper flange of the I-beam. It is configured to load the temporary load on the preflex beam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flex bea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chnical features.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리 도입된 하중에 의한 압축응력의 손실을 방지하는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하중재하장치에 따른 제조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flex beam for preventing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due to a pre-introduced 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oad-bearing apparatus used in the metho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1점식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서 (a)는 형강거치 단계를, (b)는 하중재하 단계를, (c)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d)는 릴리즈(release) 단계를, (e)는 임시 하중 재하 단계를, (f)는 하중고정 단계를, (g)는 임시 하중 제거 단계를, (h)는 거치 단계를 나타낸다.In the drawings,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ep of manufacturing a one-point preflex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a) refers to the forming stage, (b) refers to the loading step, (c) refers to the concrete placing step, (d) to the release step, and (e) refers to the temporary loading step. (f) denotes a load fixing step, (g) denotes a temporary load removing step, and (h) denotes a mounting step.

여기에서 도 2의 (a) 내지 (d)는 앞에서 설명한 도 1의 (a) 내지 (d)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도 2의 (e)의 임시 하중 재하 단계에서부터 상세히 설명하겠다.Here, since (a) to (d) of FIG. 2 are the same as those of (a) to (d) of FIG. 1,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and the detailed load loading step of FIG. I will explain.

도 2의 (e)는 임시 하중 재하 단계로서, 최초 프리플렉션 하중의 릴리즈 상태(도 2의 (d) 상태)의 프리플렉스 빔(90)에 임시 하중을 가한다. 최초 프리플렉션 하중의 릴리즈 단계에서부터 콘크리트(20)에 압축응력이 가해지는데, 콘크리트의 재령이 낮아 강도의 발현이 충분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당한 압축응력이 가해지므로, 콘크리트에 크리프, 건조 수축 등과 같은 압축응력의 손실 원인에 의한 압축응력이 급격히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최초 프리플렉션 하중을 제거하고, 그보다는 작지만 소정 크기를 가진 임시 하중을 다시 가하므로써, 콘크리트의 재령이 낮아 강도의 발현이 충분하지 아니하는 시기에 해당하는 최초 릴리즈 단계에서 콘크리트(20)에 가해지는 압축응력을 줄이는 것이다. 콘크리트 타설 초기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이 감소하게 되면, 크리프 등과 같은 압축응력 손실 원인의 발생량도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 시간이 경과되어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이 충분하게 되었을 때 상기 임시 하중을 제거하여 콘크리트에 추가적인 압축응력을 도입하게 되면, 비록 압축응력이 도입되더라도 크리프 등의 발생은 최소화되고 그에 따라 압축응력의 상실이 최소화된다. FIG. 2E is a temporary load loading step, in which a temporary load is applied to the preflex beam 90 in the release state of the initial preflex load (the state (d) of FIG. 2). The compressive stress is applied to the concrete 20 from the release stage of the initial preflection load, and the compressive stress such as creep, dry shrinkage, etc. is applied to the concrete because the compressive stress is applied to the concrete in a state in which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is low due to the low concrete age. The compressive stress caused by the loss of is rapidly gene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removing the initial preflection load and reapplying a temporary load having a smaller but smaller size, the concrete (20) at the initial release stage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concrete age is low and the strength is not sufficient is developed. To reduce the compressive stress applied to the When the compressive stress acting at the beginning of the concrete reduction is reduced, the amount of the cause of the compressive stress loss such as creep is reduced according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is sufficient, if the temporary load is removed to introduce additional compressive stress to the concrete, the occurrence of creep is minimized even if the compressive stress is introduced. Loss of compressive stress is minimized.

본 발명에서는 최초 프리플렉션 하중의 릴리즈 후 임시 하중을 가하기 위해, 도 2의 (e)와 같이 프리플렉스 빔(90)의 양단에 정착부재(30)를 고정, 설치하고, 텐던(50)을 연결한다. 그리고 프리플렉스 빔(90)의 중앙 상부에 잭(Jack) 수단(40)을 설치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pply a temporary load after the release of the initial preflection load, as shown in (e) of FIG. 2, the fixing member 30 is fixed and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reflex beam 90, and the tendons 50 are connected. do. And jack means (40) is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preflex beam (90).

그리고, 텐던(50)의 일단부를 일측의 정착부재(30)에 정착한 후, 타단을 당겨 긴장시킨다. 이때 텐던(50)의 중간부는 잭 수단(40)의 상면에 위치한 회전롤러(70)에 접하게 되면서 텐던(50)의 긴장력은 회전롤러(70)와 잭 수단(40)을 통해 프리플렉스 빔(90)의 볼록부에 전달된다. 즉, 텐던(50)의 긴장력은 하중으로 작용한다.Then, after fixing one end of the tendon 50 to the fixing member 30 on one side, the other end is pulled and tensioned. At this time, the middle portion of the tendon 50 is in contact with the rotary roller 70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jack means 40, the tension force of the tendon 50 is through the rotating roller 70 and the jack means 40 through the preflex beam 90 In the convex part of That is, the tension force of tendon 50 acts as a load.

도 2의 (f)는 하중고정 단계로서, 도 2의 (e)에서와 같이 텐던(50)이 긴장된 상태에서 텐던(50)의 타단부를 타측 정착부재(30)에 정착하게 되면 텐던(50)은 소정의 긴장력을 유지하며, 그 긴장력은 프리플렉스 빔(90)을 지속적으로 가압하는 임시 하중으로 작용한다.2 (f) is a load fixing step, when the other end of the tendon 50 is fixed to the other fixing member 30 in the state where the tendon 50 is tensioned as shown in (e) of FIG. ) Maintains a predetermined tension, which acts as a temporary load that continuously presses the preflex beam 90.

도 2의 (g)는 하중조절 단계로서, 잭 수단(4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텐던의 긴장력을 조절하여 프리플렉스 빔(90)에 가해지는 임시 하중의 크기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잭 수단(40)으로서, 한번 신장되면 수축만이 가능한 일방향 신축수단 또는 신장과 수축이 자유로운 이방향 신축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일방향 신축수단의 일예로서는 샌드잭(도 5의 부재번호 41)이 있는데, 이러한, 샌드잭(41)의 경우에는 그 신축길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만 작동하기 때문에 하중을 감소하기 위해서만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이방향 신축수단으로서는 스트러트 잭(도 6의 48), 유압잭 등이 있는데, 이러한 스트러트 잭(48) 및 유압잭 등은 신축 가능하므로, 텐던의 긴장력의 조절이 용이하다. 요컨대, 스트러트 잭(48)과 같이 신축이 가능한 이방향 신축수단의 경우, 잭 수단(40)을 신장시켜 텐던(50)의 긴장력을 증가시키므로써 프리플렉스 빔(90)에 가해지는 임시 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Figure 2 (g) is a load adjustment step,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jack means 40, by controlling the tension force of the tendon to control the magnitude of the temporary load applied to the preflex beam 90. As the jack means 4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use one-way stretching means which can only contract once it is stretched or two-way stretching means which can be extended and contracted freely. An example of the one-way stretching means is a sand jack (Part No. 41 in FIG. 5). In the case of the sand jack 41, the sand jack 41 can be used only to reduce the load because it operates on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tretching length decreases. Do. On the other hand, as the two-way stretching means there are a strut jack (48 in Fig. 6), a hydraulic jack, etc. Since the strut jack 48 and the hydraulic jack, etc. can be stretched, it is easy to adjust the tension force of the tendon. In short, in the case of two-way stretching means, such as the strut jack 48, the temporary load applied to the preflex beam 90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tendon 50 by extending the jack means 40. You can do it.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잭 수단(40)의 상부에는 회전롤러(70)가 지지판(80)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 상태로 구비되는데, 회전롤러(70)가 안착되어 있는 지지판(80)은 잭 수단(40)의 상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회전롤러(70)는 지지판(80)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텐던(50)과 접해 위치하며, 텐던(50)을 긴장시킴에 따라 회전롤러(70)가 회전하면서 원활하게 텐던(50)을 지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upper portion of the jack means 40 is provided with a rotary roller 70 rotatably seated on the support plate 80, the support plate on which the rotary roller 70 is seated 8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jack means 40. Therefore, the rotary roller 70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tendon 50 in a rotatable state on the support plate 80, and the tender 50 smoothly rotates as the rotary roller 70 rotates as the tendon 50 is tensioned. Will be supported.

이와 같이 하중을 조절하는 도 2의 (g) 상태에서는 텐던(50)의 긴장력이 잭 수단을 통하여 프리플렉스 빔(90)에 수직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작용하는데, 이와 같이, 프리플렉스 빔(90)에 소정의 임시 하중을 가한 상태로 소정 시간 존치시켜 콘크리트의 크리프, 건조수축 등이 발생하도록 한다. In the state of FIG. 2 (g) in which the load is adjusted in this way, the tension force of the tendon 50 continuously act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eflex beam 90 through the jack means. In this way, the preflex beam 90 It is left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a predetermined temporary load is applied to the concrete to cause creep, dry shrinkage, etc. of concrete.

이와 같이 텐던(50)의 긴장력을 이용한 임시 하중을 프리플렉스 빔(90)에 가하다가 소정 기간이 경과된 후, 적절한 시기, 즉 프리플렉스 빔의 가설 시기 직전에 도 2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플렉스 빔(90)에 설치된 텐던(50)을 철거하여 임시 하중을 제거한다. Thus, after applying a temporary load using the tension force of the tendon 50 to the preflex beam 90, a predetermined period has elapsed, a suitable time, that is, just before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preflex beam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tendon 50 installed in the preflex beam 90 is removed to remove the temporary load.

본 발명에서는, I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콘크리트(20)가 타설된 상태에서 프리플렉션 하중을 릴리즈하여 모두 제거한 후 다시 텐던(50)의 긴장에 의하여 임시 하중을 상당 시간동안 가하여 이미 콘크리트(20)의 크리프, 건조수축 등 압축응력을 감소시키는 요소가 어느 정도 발생된 이후에 임시 하중을 모두 제거하게 되므로, 처음부터 모든 프리플렉션 하중을 릴리즈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릴리즈 후 콘크리트(20)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의 손실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릴리즈 후 콘크리트(20)의 압축응력 손실량 감소는 앞서 살펴보았듯이, 공용 중 콘크리트(20)에 발생하는 인장응력과 상쇄시에 더욱 유리하게 작용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crete 20 is poured into the lower flange of the I-shaped steel by releasing and removing all of the preflection load, and again by applying the temporary load for a considerable time by the tension of the tendon (50) of the concrete 20 Since all temporary loads are removed after a certain amount of compressive stress reducing factors such as creep and dry shrinkage are generated, they are applied to the concrete 20 after releas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releasing all preflection loads from the beginning.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is reduced. As described above, the reduction of the compressive stress loss amount of the concrete 20 after such release is more advantageous when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in the concrete 20 during use and offsetting.

요컨대,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프리플렉스 빔에서는 처음부터 상당한 압축응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크리프 등도 상당히 크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프리플렉스에 의한 압축응력이 상당히 손실된 상태에서 사용상태에 놓이게 되는데, 이 경우 사용 중의 인장응력이 압축응력을 초과하여 인장균열을 유발할 정도에 이르게 되고 그에 따라 콘크리트에 인장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In short, in a preflex beam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since a significant compressive stress is applied from the beginning, creep or the like is also generated considerably. Therefore, the compressive stress caused by the preflex is in a state of use where the loss is considerably lost, in which case the tensile stress in use exceeds the compressive stress, leading to tensile cracking, which may cause tensile cracking in the concrete. .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프리플렉션 하중보다는 작지만 소정의 크기를 가진 임시 하중을 가한 상태로 상당기간 존치시키므로, 종래의 경우보다 작은 압축응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크리프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미 크리프 등 압축응력의 손실 요소들이 이미 발생된 상태에서 임시 하중의 제거로 압축응력이 도입되므로, 압축응력의 손실량이 상대적으로 작아 사용 중의 인장응력을 모두 상쇄시키더라도 콘크리트의 인장균열을 유발할 정도의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with a temporary load having a predetermined size but smaller than the preflection load, creep or the like is generated in a state in which a compressive stress such as a creep is applied, which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 compressive stress is introduced by removing the temporary load while the loss factors are already generated, the loss of the compressive stress is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tensile stress does not occur even if it cancels all the tensile stresses in use. do.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임시 하중을 제거하여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최종적으로 도입되는 시점이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로부터 소정 기간 후가 되므로, 압축응력의 도입시까지 충분한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을 확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최종적인 콘크리트 압축응력 도입시점에는 콘크리트에 충분한 강도가 발현되므로, 압축응력이 도입되더라도 그로 인한 크리프 등의 발생량은 최소화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ime when the compressive stress is finally introduced to the concrete by removing the temporary load is a predetermined perio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curing period until the introduction of the compressive stress, Accordingly, when the final concrete compressive stress is introduced, sufficient strength is expressed in the concrete, so even if the compressive stress is introduced, the amount of creep or the like is minimized.

요컨대, 프리플렉션 하중을 제거하게 되는 릴리즈 단계에서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분한 강도로 양생되지 않은 상태이고, 임시 하중을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프리플레션 하중을 제거하는 단계의 콘크리트의 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발현하도록 양생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높은 강도로 양생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임시 하중을 제거하는 것이 낮은 강도로 양생된 상태에서 프리플렉션 하중을 제거한 것보다 압축응력의 손실을 훨씬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임시 하중에 의한 압축응력 도입시점까지, 콘크리트가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양생시간을 확보함으로써,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의해 기인하는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release stage where the preflection load is removed, the poured concrete is not cured with sufficient strength, and in the removal of the temporary load, the strength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ncrete during the preflation load removal step. To be cured. Thus, removing the temporary load applied in the high strength cured state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than removing the preflection load in the low strength cured stat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ing time is ensured so that the concrete has sufficient strength until the introduction of the compressive stress by the temporary load, thereby preventing the cracking of the concrete caused by creep and dry shrinkage.

또한, 임시 하중의 제거 직후 교량의 교각 등에 거치되면 자중 등의 하중이 작용하여 하부 플랜지 콘크리트에 인장응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압축응력으로 인한 크리프 등의 발생량은 매우 작아지게 된다. In addition, if it is mounted on the bridge pier immediately after the removal of the temporary load, the load such as its own weight is applied to the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lower flange concrete, so the amount of creep due to the compressive stress is very small.

아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압축응력 손실을 방지하는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하중재하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ad carrying apparatus used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eflex beam, which prevents the compression stress los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임시 하중의 재하 단계에서 빔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정착부재로서 하나의 텐던이 정착되는 정착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임시 하중 재하 단계에서 빔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정착부재로서 두 개의 텐던이 정착되는 정착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B-B'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임시 하중 재하 단계에서 빔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잭 수단으로 사용되는 샌드잭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임시 하중 재하 단계에서 빔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잭 수단으로 사용되는 스트러트 잭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임시 하중 재하 단계에서 텐던과 잭 수단의 사이에 설치된 회전롤러와 지지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a은 도 7에 도시된 지지판에 위치한 회전롤러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회전롤러 및 지지판의 다른 예로서, 그루브가 형성된 회전롤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회전롤러 및 지지판의 또 다른 예로서, 그루브와 걸림턱이 모두 형성된 회전롤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3A is a front view of a fixing member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eam in the loading step of the temporary load shown in FIG. 2 and fixed with one tendon as a fixing member, and FIG. 3B is A-A 'shown in FIG. 3A. It is a cross section of. 4A is a front view of a fixing member in which two tendons are fixed as fixing member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eam in the temporary load-loading step shown in FIG. 2,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A.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ndjack used as a jack means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beam in the temporary load step shown in Figure 2, Figure 6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beam in the temporary load step shown in FIG.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strut jack used as the jack means,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roller and a support plate installed between the tendon and jack means in the temporary load loading step shown in Figure 2, Figure 8a is shown in Figure 7 8B is a plan view of the rotary roller and the support plate as shown in FIG. 7, which is a top view of the rotary roller having grooves formed therein, and FIG. 8C is a plan view of the rotary roller and the support plate shown in FIG. 7. As another example, it is a plan view showing a rotating roller having both a groove and a locking step.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텐던용 정착부재(30S)는 프리플렉스 빔의 I형강(10)의 상부 플랜지(10H)에 고정된다. 이러한 정착부재(30S)는 I형강(10)의 상부 플랜지(10H)와 접하는 평판(31)과, 평판(31)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텐던(50)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판(33) 및, 평판(31)과 고정판(33)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고정판(33)과 평판(31)에 고정되는 2개의 리브(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single tendon fixing member 30S is fixed to the upper flange 10H of the I-shaped steel 10 of the preflex beam. The fixing member 30S has a flat plate 3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flange 10H of the I-shaped steel 10, a fixed plate 33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endon 50 penetrates perpendicularly to the flat plate 31, and ,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wo ribs 35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flat plate 31 and the fixed plate 33 to be fixed to the fixed plate 33 and the flat plate 31.

그리고, 평판(31)과 I형강(10)의 상부 플랜지(10H)에는 상호 대응하는 지점에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각각의 관통공에는 볼트(60)가 삽입되고 볼트(60)에 너트(61)가 체결되어 I형강(10)의 상부 플랜지(10H)와 평판(31)을 고정한다. 한편, 고정판(33)을 관통한 텐던(50)은 긴장된 상태에서 정착구(39)가 체결되고, 정착구(39)는 고정판(33)의 바깥면에 접하여 텐던(50)의 긴장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t poin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upper flange 10H of the flat plate 31 and the I-shaped steel 10. A bolt 60 is inserted into each through hole, and a nut 61 is fastened to the bolt 60 to fix the upper flange 10H and the flat plate 31 of the I-shaped steel 10. Meanwhile, the tendon 50 penetrates through the fixing plate 33, and the fixing unit 39 is fastened in a tense state, and the fixing unit 39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3 to maintain the tension state of the tendon 50.

한편,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더블텐던용 정착부재(30D)는 싱글텐던용 정착부재(30S)와 유사하나, 다만 고정판(33)에 2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각 관통공에 텐던(50)이 관통해 위치한다. 그리고, 3개의 리브(35)는 상기 평판(31)과 고정판(33)에 고정되는데, 2개의 리브(35)는 평판(31)과 고정판(33)의 양측에 고정되고, 다른 한 개의 리브(35)는 두 개의 관통공 사이에 고정되어 평판(31)과 고정판(33)을 보강한다.Meanwhile, the double tendon fixing member 30D shown in FIGS. 4A and 4B is similar to the single tendon fixing member 30S, except that two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fixing plate 33 and the tendon 50 is formed in each through hole. ) Is located through. And, the three ribs 35 are fixed to the flat plate 31 and the fixed plate 33, the two ribs 35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flat plate 31 and the fixed plate 33, the other rib ( 35 is fixed between two through holes to reinforce the flat plate 31 and the fixing plate 33.

한편, 도 5에 도시된 샌드잭(41)은 일단에 토출구(47)가 형성된 실린더(42)와, 실린더(42)의 개방된 타단에 삽입되어 실린더(4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43)과, 실린더(42)에 채워진 모래(44) 및, 상기 실린더(42)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래(44)를 토출구(47) 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사판(45)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sand jack 41 illustrated in FIG. 5 has a cylinder 42 having a discharge port 47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pist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other open end of the cylinder 42 and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42 ( 43, sand 44 filled in the cylinder 42, and an inclined plate 45 positioned inside the cylinder 42 to guide the sand 44 toward the discharge port 47.

이러한 실린더(42)의 내부에 모래(44)를 채워, 피스톤(43)이 실린더(42) 밖으로 소정 길이로 인출되는 상태로 만들게 되는데, 샌드잭(41)의 토출구(47)를 폐쇄하는 마개(46)를 제거하여 모래(44)를 배출하므로써 피스톤(43)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텐던(50)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sand 44 is filled in the cylinder 42, and the piston 43 is pulled out of the cylinder 42 to a predetermined length. A stopper for closing the discharge port 47 of the sand jack 41 is formed. By removing the sand (46) to discharge the sand 44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tendon 50 by adjusti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iston (43).

한편, 한번 신장된 후에는 수축만이 가능한 일방향 신축수단인 샌드잭(41)을 대신하여, 상기 잭 수단으로서 신장과 수축이 가능한 이방향 신축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이방향 신축수단의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러트 잭(48)이 있다. 이러한 스트러트 잭(48)은 손잡이(49)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트러트 잭(48)의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됨으로써, 텐던(50)의 긴장 정도를 조절하여 프리플렉스 빔(90)에 전달되는 긴장력을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이방향 신축수단으로서는 스트러트 잭(48) 이외에도 유압잭 등을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ce stretched once, instead of the sand jack 41, which is a one-way stretching means that can only contract, a two-way stretching means capable of stretching and contracting can be used as the jack means. 6, there is a strut jack 48. The strut jack 48 is a length of the strut jack 48 is stretched or contrac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andle 49, there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endon 50 to control the tension force transmitted to the preflex beam 90 May increase or decrease. As the two-way stretching means, a hydraulic jack or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strut jack 48.

샌드잭(41)과 같이 수축만이 가능한 일방향 잭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텐던(50)의 긴장시에 텐던(50)의 일단을 일측 정착수단에 정착하고 텐던(50)을 소정의 필요한 긴장력으로 긴장한 후에 타단을 타측 정착수단에 정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스트러트 잭(48)과 같은 이방향 잭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텐던(50)의 양단을 모두 각각 양측 정착부재(30S)에 미리 정착시킨 후 중앙에 잭 수단을 설치하고 잭 수단을 신장시키므로써 텐던(50)을 용이하게 소정 정도로 긴장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using the one-way jack means capable of shrinking only, such as the sand jack 41, one end of the tendon 50 is fixed to one fixing means at the tension of the tendon 50 and the tendon 5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necessary tension force. After tensioning, the other end shall be settled in the other fixing means.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wo-way jack means such as the strut jack 48, since both ends of the tendon 50 are respectively fixed in advance to both fixing members 30S, the jack means are installed at the center and the jack means are elongated. The sustendon 50 can be easily tensioned to a predetermined degree.

이런 잭 수단(40)의 상면에는 도 7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지판(80)과 회전롤러(70)가 위치한다. 도 7에 도시된 지지판(80)은 그 상면에 요홈(82)이 지지판(80)의 상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런 요홈(82)에 회전롤러(70)가 위치하여 지지판(80)의 요홈(82) 내에서 자유 회전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jack means 40, the support plate 80 and the rotating roller 70 as shown in Figs. 7 and 8a are located. The support plate 80 shown in Figure 7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80, the groove 82 on the upper surface, the rotary roller 70 is located in the groove 82 is the groove of the support plate 80 Free rotation within 82.

이런 회전롤러(70)는 텐던(50)과 접해 위치하며, 텐던(50)의 긴장상태에 따라 회전한다. 이와 같이 회전롤러(70)가 회전하다보면, 요홈(82)을 이탈하거나 또는 텐던(50)이 회전롤러(70)를 이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롤러(70)가 텐던(50) 또는 지지판(80)의 요홈(8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롤러(70)에는 그 원주를 따라 평행하게 위치한 다수 개의 걸림턱(72)들이 회전롤러(7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판(80)의 요홈(82)의 내주면에는 이런 걸림턱(72)들이 삽입되어 미끄러질 수 있는 안내홈(83)들이 형성된다.This rotary roller 70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tendon 50,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tension state of the tendon (50). As the rotary roller 70 rotates as described above, the grooves 82 may be separated or the tendon 50 may be separated from the rotary roller 70. As such, in order to prevent the rotary roller 70 from escaping from the grooves 82 of the tendon 50 or the support plate 80, the rotary rollers 70 have a plurality of locking jaws 72 positioned parallel to the circumference thereof. These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roller 70. In addition, guide grooves 83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ss 82 of the support plate 80 so that the locking jaws 72 may be inserted and slip.

이러한 걸림턱(72)과 걸림턱(72) 사이에 텐던(50)이 위치함으로써, 텐던(50)의 긴장상태에 따라 회전롤러(70)가 회전하더라도 지지판(80) 또는 텐던(50)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The tendon 50 is positioned between the catching jaw 72 and the catching jaw 72, so that even if the rotating roller 70 rotates according to the tension state of the tendon 50, the support plate 80 or the tendon 50 is separated. I never do that.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러(70)의 표면에 텐던(50)이 위치할 수 있도록 그루브(74)가 형성되거나 또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러(70)의 표면에 걸림턱(72)과 그루브(74)가 교대로 회전롤러(7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걸림턱(72), 안내홈(83), 그루브(74)는 회전롤러(70)가 지지판(80)에서 이탈하거나 텐던(50)이 회전롤러(7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b, the groove 74 is formed so that the tendon 50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rotary roller 70, or as shown in Figure 8c the surface of the rotary roller 70 The locking jaw 72 and the groove 74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roller 70. As such, the locking jaw 72, the guide groove 83, the groove 74 shown in Figs. 8a to 8c, the rotary roller 7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plate 80 or the tendon 50 is the rotary roller 70 It is formed to prevent departure from).

한편,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점식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9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two-point preflex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에 도시된 2점식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단계는 앞에서 설명한 1점식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단계와 거의 유사하며, 단지 잭 수단(40), 지지판(80) 및 회전롤러(70)를 각각 2개씩 구비하여 프리플렉스 빔(90)의 양단부 쪽에 각각 설치하므로써 텐던(50)의 긴장력을 프리플렉스 빔(90)의 양단부에서 수직 하중으로 전달한다는 것이 1점식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과의 차이점이다. 이와 같은 2점식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은 프리플렉스 빔(90)에 가해지는 텐던(50)의 긴장력을 1점식보다 균일하게 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two-point preflex beam shown in FIG. 9A is almost similar to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one-point preflex beam described above, except that each of the jack means 40, the support plate 80, and the rotary roller 70 are two each. It is different from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1-point preflex beam by providing the tension force of the tendon 50 by the vertical load at the both ends of the preflex beam 90 by providing them at both ends of the preflex beam 90. Such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wo-point preflex bea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of the tendon 50 applied to the preflex beam 90 can be applied more uniformly than the one-point equation.

그 외의 구성요소는 1점식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장치의 구성요소와 동일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ne-point preflex beam and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정착부재가 I형강의 웨브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9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 shown in Figure 9a is fixed to the web of the I-beam.

앞에서 설명한 프리플렉션 빔에서는 정착부재(30)가 I형강(10)의 상부 플랜지(10H)에 고정된다고 설명하였으나,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부재(30a)가 I형강(10)의 웨브 또는 하부 플랜지에 고정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fixing member 30 is fixed to the upper flange 10H of the I-shaped steel 10 in the above-described preflex beam, as shown in FIG. 9B, the fixing member 30a is a web of the I-shaped steel 10. Or fixed to the lower flange.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응력 손실을 방지하는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은 프리플렉스 빔이 제조된 후에 시공장소에 거치하고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이전까지 발생하는 압축응력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교량의 슬래브 및 공용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프리플렉스 빔의 제작완성부터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까지의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음으로써, 교량 등의 구조물의 시공시 부실시공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flex beam to prevent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occurring after the preflex beam is manufactured before mounting on the factory site and placing slab concret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afely support the slab and common load of the bridg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condary construction can be prevented when constructing a structure such as a bridge by not receiving the time constraints from the completion of fabrication of the preflex beam to the slab concrete pouring.

또한, 본 발명의 압축응력 손실을 방지하는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프리플레션 하중을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분한 강도로 양생되지 않은 상태이고, 임시 하중을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프리플레션 하중을 제거하는 단계의 콘크리트의 강도보다 높은 강도로 양생된 상태이다. 따라서, 높은 강도로 양생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임시 하중을 제거하는 것이 낮은 강도로 양생된 상태에서 프리플렉션 하중을 제거한 것보다 압축응력 손실을 훨씬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응력 손실을 방지하는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은 콘크리트가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양생시간을 확보함으로써,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의해 기인하는 콘크리트의 균열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콘크리트는 경화를 계속하여 28일정도가 지나면 거의 최종압축강도를 발현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flex beam to prevent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removing the preflation load, the poured concrete is not cured with sufficient strength, and in the step of removing the temporary load, it is free. Cured state is higher than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in the step of removing the pleasing load. Thus, eliminating the temporary load applied in the high strength cured state can reduce the compressive stress loss much more than removing the preflection load in the low strength cured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eflex beam for preventing the compressive stress los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cracking of the concrete due to creep and dry shrinkage can be prevented by securing curing time so that the concrete has sufficient strength. Typically, concrete continues to cure and, after 28 days, develops near final compressive strength.

또한, 본 발명의 압축응력 손실을 예방하는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은 제작공장에서 미리 제작하더라도 압축응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상태로 저장해 둠으로써, 원활하게 프리플렉스 빔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flex beam for preventing the compression stress los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smoothly supplied by storing the pre-stress in a state that minimizes the compression stress loss even if manufactured in advance in the manufacturing pla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압축응력 손실을 예방하는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eflex beam for preventing the compressive stress los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step of a preflex bea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1점식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ep of manufacturing a one-point preflex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임시 하중을 재하하는 단계에서 빔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고정구로 사용되는 싱글텐던 정착부재의 정면도이고,3A is a front view of a single tendon fixing member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eam and used as a fixture in the step of loading the temporary load shown in FIG.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고,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A ′ shown in FIG. 3A;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임시 하중을 재하하는 단계에서 빔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고정구로 사용되는 더블텐던 정착부재의 정면도이고,4A is a front view of a double tendon fixing member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eam and used as a fixture in the step of loading the temporary load shown in FIG.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B-B'의 단면도이고,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BB ′ shown in FIG. 4A;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임시 하중을 재하하는 단계에서 빔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일방향 잭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샌드잭의 단면도이고,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ndjack used as one-way jack mean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beam in the step of loading the temporary load shown in FIG.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임시 하중을 재하하는 단계에서 빔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이방향 잭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스트러트 잭의 정면도이고,6 is a front view of the strut jack used as a two-way jack mean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beam in the step of loading the temporary load shown in FIG.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임시 하중을 재하하는 단계에서 텐던과 잭 수단 사이에 설치된 회전롤러와 지지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roller and a support plate installed between the tendon and the jack means in the step of loading the temporary load shown in FIG.

도 8a은 도 7에 도시된 지지판에 위치한 회전롤러의 평면도이고,Figure 8a is a plan view of the rotary roller located on the support plate shown in Figure 7,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회전롤러 및 지지판의 다른 예로서, 그루브가 형성된 회전롤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8B is a plan view of the rotary roller and the support plate shown in FIG. 7 as a rotating roller having grooves formed therein;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회전롤러 및 지지판의 또 다른 예로서, 그루브와 걸림턱이 모두 형성된 회전롤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8C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rotating roller and the supporting plate shown in FIG.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점식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며,Figure 9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two-point preflex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정착부재가 I형강의 웨브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9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 shown in FIG. 9A is fixed to a web of an I-beam.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0 : I형강 20 : 콘크리트10: I-shaped steel 20: concrete

30 : 정착부재 40 : 잭 수단30: fixing member 40: jack means

50 : 텐던 41 : 샌드잭50: Tendon 41: Sandjack

70 : 회전롤러 80 : 지지판70: rotating roller 80: support plate

90 : 프리플렉스 빔90: preflex beam

Claims (4)

길이방향의 중간부가 볼록하게 만곡된 I형강의 중간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프리플렉션 하중을 가해 상기 I형강의 중간부가 평평하게 하거나 오목하게 탄성변형시키는 단계와, 상기 I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Applying a deflection loa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I-shaped steel in which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is convexly curved to elastically deform the middle portion of the I-steel to be flat or concav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flex beam comprising the step of curing after pouring, 상기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로 양생되면,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을 제거한 후에 상기 I형강의 상부에 잭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잭 수단의 상부에 텐던이 위치한 상태로 텐던을 긴장하여 I형강의 상부에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 보다 작은 임시 하중을 가하는 단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잭 수단을 제거하고 텐던의 긴장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임시 하중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I형강의 복부와 상부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며;When the concrete is cured to a predetermined strength, after removing the preflection load, a jack means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beam, and the tendon is tensioned with the tendon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jack-medium, so that Applying a temporary load that is less than a reflection load, removing the jack means and releasing tension from the tend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o remove the temporary load, and placing concrete on the abdominal and upper flanges of the I-beam Including; 상기 잭 수단은 수축이 가능한 이방향 신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잭 수단의 상부에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의 하부를 감싸는 요홈이 형성된 지지판이 위치하고 있고, 상기 I형강의 양측 단부 상부에는 정착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텐던의 일단부가 일측 정착부재에 정착되고 텐던의 상기 회전롤러의 상부에 접한 상태에서 긴장되어 타측 정착부재에 정착되므로써 텐던의 긴장력에 의하여 임시 하중이 가해지며;The jack means is composed of two-way stretching means that can be retracted, the upper portion of the jack means there is a rotating roller and a support plate formed with grooves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roller is located, the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I-shaped steel A fixing member is installed, and one end of the tendon is fixed to one fixing member and is tension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roller of the tendon to be fixed to the other fixing member so that a temporary load is applied by the tension force of the tendon; 상기 회전롤러가 상기 지지판의 요홈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롤러에는 그 원주를 따라 평행하게 다수 개의 걸림턱들이 회전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의 요홈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롤러의 걸림턱들이 삽입되어 미끄러질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방법.In order to prevent the rotating roll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roove of the supporting plate, the rotating roller has a plurality of locking jaw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ller in parallel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and the locking jaws of the rotating roller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lex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is formed that can be inserted and slip. 삭제delete 삭제delete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과정에서 최초 프리플렉션 하중을 제거한 후 다시 소정 크기의 수직한 임시 하중을 빔에 가하기 위한 하중재하장치로서, As a load-bearing device for removing the initial preflection loa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flex beam and then applying a vertical temporary load of a predetermined size to the beam, 상기 I형강의 상부 플랜지 양단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텐던을 체결 고정하는 체결구로 이루어진 정착부재; 및A fixing member comprising fasteners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upper flange of the I-shaped steel, and fasteners fastened and fastened to the fasteners; And 상부에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의 하부를 감싸는 요홈이 형성된 지지판이 위치하고 있고, 상기 I형강의 상부 플랜지에 위치하여 높이가 조절되므로써 상기 회전롤러와 접하는 텐던의 긴장력을 조절하는 잭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The upper part of the rotating roller and a support plate formed with a groove surrounding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roller is located, the jack means for adjusting the tension force of the tendon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roller by adjusting the height is located on the upper flange of the I-beam It consists of; 상기 회전롤러가 상기 지지판의 요홈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롤러에는 그 원주를 따라 평행하게 다수 개의 걸림턱들이 회전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의 요홈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롤러의 걸림턱들이 삽입되어 미끄러질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어;In order to prevent the rotating roll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roove of the supporting plate, the rotating roller has a plurality of locking jaw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ller in parallel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and the locking jaws of the rotating roller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Guide grooves are formed that can be inserted and slip; 상기 프리플렉스 빔의 제조과정에서 프리플렉스 빔에 임시 하중을 재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빔의 하중재하장치.The preload beam 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orary load to the preflex beam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flex beam.
KR10-2002-0070448A 2002-11-13 2002-11-13 Preflex beam manufacturing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and Loading Apparatus therefor KR1004961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448A KR100496198B1 (en) 2002-11-13 2002-11-13 Preflex beam manufacturing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and Loading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448A KR100496198B1 (en) 2002-11-13 2002-11-13 Preflex beam manufacturing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and Loading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729A KR20030011729A (en) 2003-02-11
KR100496198B1 true KR100496198B1 (en) 2005-06-20

Family

ID=2772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448A KR100496198B1 (en) 2002-11-13 2002-11-13 Preflex beam manufacturing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and Loading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19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535B1 (en) 2005-02-25 2007-02-26 안철승 Method of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lthod of preflex composite beem by division mode
KR100983085B1 (en) 2010-01-13 2010-09-20 안창일 Composite member with tensile flange of closed and prestressed pipe type and th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KR101376484B1 (en) 2013-09-06 2014-03-25 정해용 Steel box manufacturing method using elastic recovering force adjustment and steel box gird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875B1 (en) * 2011-08-19 2014-02-06 삼표건설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for pre-flex girder using multi-release
KR102510893B1 (en) * 2021-06-17 2023-03-16 주식회사 승신건설 The manufacturing device of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to use stranded wire and the prestressed preflex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936A (en) * 1992-10-29 1994-05-17 Nkk Corp Scaffold for wall surface fork of tank
JPH1136224A (en) * 1997-07-15 1999-02-09 Ohbayashi Corp Prestress introducing method and introducing device for prestress concrete
KR19990073124A (en) * 1999-05-21 1999-10-05 구민세 2nd Prestressing Method of Simple Prestressing Composite Beam Using PC Steel Bar
KR19990073455A (en) * 1999-07-13 1999-10-05 구민세 2nd Prestressing Method of Simple Composite Beam Using PSC Steel Bar
KR20040010852A (en) * 2001-11-12 2004-02-05 이형훈 Method for protecting the loss of prestress in prestressed beam by temporary loa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936A (en) * 1992-10-29 1994-05-17 Nkk Corp Scaffold for wall surface fork of tank
JPH1136224A (en) * 1997-07-15 1999-02-09 Ohbayashi Corp Prestress introducing method and introducing device for prestress concrete
KR19990073124A (en) * 1999-05-21 1999-10-05 구민세 2nd Prestressing Method of Simple Prestressing Composite Beam Using PC Steel Bar
KR19990073455A (en) * 1999-07-13 1999-10-05 구민세 2nd Prestressing Method of Simple Composite Beam Using PSC Steel Bar
KR20040010852A (en) * 2001-11-12 2004-02-05 이형훈 Method for protecting the loss of prestress in prestressed beam by temporary loa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535B1 (en) 2005-02-25 2007-02-26 안철승 Method of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lthod of preflex composite beem by division mode
KR100983085B1 (en) 2010-01-13 2010-09-20 안창일 Composite member with tensile flange of closed and prestressed pipe type and th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KR101376484B1 (en) 2013-09-06 2014-03-25 정해용 Steel box manufacturing method using elastic recovering force adjustment and steel box gird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729A (en) 200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10958A (en) Composite floor of metal and concrete
KR101826119B1 (en) Cable-Stayed Bridge having Precast Co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923409B1 (en) Construction method of Splic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in consideration of the construction sequence
KR100496198B1 (en) Preflex beam manufacturing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and Loading Apparatus therefor
KR101039457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Precast Concrete Slab
KR102227878B1 (en) Construction Method of Long Span Bridge Using PSC Girder
KR100250937B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simple beam type preflex composite beam by temporary hinge
KR200800042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by wire tensioning
JP2003138523A (en) Construction method for tension string girder bridge
CN209307885U (en) A kind of girder-embedded arch structure and the bridge using the structure
KR100616533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p.s.c. girder bridges and bridges production it
KR200365963Y1 (en) Composite girder form
KR101081502B1 (en) Psc girder manufacturing method using end-mold with anchor plat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sc girder
KR100474640B1 (en) Method for protecting the loss of prestress in prestressed beam by temporary load
CN107558733B (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post-concreted expansion strip lower die frame system dismounting synchronous with periphery support for shuttering
KR200375114Y1 (en) Stabilizer of precast concrete plate for bridge slave construction
KR101331963B1 (en) Prestress concrete girder capable of applying 3 steps tensions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JP7428170B2 (en) bridge
US66013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t-tensioning steel strands in slab construction
JP2954523B2 (en) Pretension type PC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85626B1 (en) Beam using a separable steel memb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ridge using the same
KR100588350B1 (en) Bridge slab construction method for the median strip side end of the slab and upper part bracket applied therein
JPH06322894A (en) Prestress-introduction engineering process
CN114703751B (en) Simple construction process for improving hogging moment crack resistance of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KR200358338Y1 (en) Beam using a separable steel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