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893B1 - The manufacturing device of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to use stranded wire and the prestressed preflex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he manufacturing device of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to use stranded wire and the prestressed preflex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893B1
KR102510893B1 KR1020210078913A KR20210078913A KR102510893B1 KR 102510893 B1 KR102510893 B1 KR 102510893B1 KR 1020210078913 A KR1020210078913 A KR 1020210078913A KR 20210078913 A KR20210078913 A KR 20210078913A KR 102510893 B1 KR102510893 B1 KR 102510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steel composite
support
composite beam
prest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68880A (en
Inventor
장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신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신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신건설
Priority to KR102021007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893B1/en
Publication of KR2022016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8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8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 빔 제작대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에 관한 것으로서, 지중에 어스앵카를 설치하기 위한 설비를 설치할 필요없이 제작대를 설치할 수 있고,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을 제작한 후에 용이한 해체와 더불어 분리 후 재사용이 가능한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와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에 관한 것으로서,
I형빔에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션 하중을 주기 위한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에 있어서, 하나 이상 설치되며, I형빔의 상부플랜지 양단에 장착되어 강연선이 긴장연결되는 한 쌍의 클램프부; 상기 I형빔의 길이방향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 상기 클램프부의 양단에 고정되고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의 상단을 통해 지지되어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의 작동에 따른 인발력을 지지하기 위한 강연선으로 이루어지는 강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using a strand wire and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table can be installed without the need to install facilities for installing earth anchors in the ground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using a strand that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reused after separation after manufacturing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and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s a thing,
In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using strands to give a prestressed reflection load to an I-beam, one or more clamp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upper flange of the I-beam and the strands are tension-connected. ; A pre-reflection load application unit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beam; Pre-stress free using a stra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is provided.

Description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THE MANUFACTURING DEVICE OF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TO USE STRANDED WIRE AND THE PRESTRESSED PREFLEX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production table using stranded wire and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 빔 제작대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에 관한 것으로서, 지중에 어스앵카를 설치하기 위한 설비를 설치할 필요없이 제작대를 설치할 수 있고,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을 제작한 후에 용이한 해체와 더불어 분리 후 재사용이 가능한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와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using a strand wire and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table can be installed without the need to install facilities for installing earth anchors in the ground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using a strand that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reused after separation after manufacturing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and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will be.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은, 기존 공용 프리플렉스 합성형 구조물의 균열 발생 등의 원인을 설계시부터 근본적으로 제거하고자 개선된 공법으로서 그 원리는 프리텐션과 포스트텐션을 혼용하여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을 더욱 증가시키고자 개발된 공법으로 기존 프리플렉스 합성형은 고장력 강판을 사용하여 공장용접으로 제작된 I형 Girder에 설계 최대휨모멘트와 같은 크기의 휨모멘트를 유발시키는 하중을 미리 가하여 처짐변형을 일으킨 상태에서 하부플랜지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하중을 제거하여 처짐 변형의 복귀에 따른 변형량에 비례하여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일정 크기의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을 도입하는 프리텐션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빔(Prestressed Composite Beam)이다. 이를 개선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은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적정량의 비접착 PS 강연선을 추가 배치 정착하여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을 프리플렉션 외에 프리스트레스에 의해서도 도입하여 지금까지 공용되고 있는 프리플렉스 빔의 최대장점인 낮은 형고를 유지하면서 경제성 및 안전성을 제고한 방식으로 제작되는 교량용 강합성빔이다.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is an improved method to fundamentally eliminate the causes of cracks in existing common pre-flex composite structures from the beginning of the design, and the principle is introduced to the lower flange concrete by mixing pre-tension and post-tension. As a method developed to further increase the prestress compressive stress, the existing pre-flex composite type applies a load that induces a bending moment equal to the design maximum bending moment to the I-type girder manufactured by factory welding using high-strength steel plate. Prestressed steel by a pre-tension method that introduces a certain amount of prestress compressive stress to the lower flange concrete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return of the deflection deformation by removing the load after placing and curing the lower flange concrete in the state of deflection deformation. It is a prestressed composite beam. 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which has improved this, additionally places and fixes an appropriate amount of non-adhesive PS strands on the lower flange concrete, and introduces compressive stress to the lower flange concrete by pre-stress as well as pre-reflection. It is a steel composite beam for bridges manufactured in a way that improves economic feasibility and safety while maintaining low form height, which is the biggest advantage.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이나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은, 교량의 특징상 장경간의 교량에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분절형태로 제작되어 공장 또는 현장에서 이산화탄소 용접 등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강합성빔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용접하고, 세워서 프리플렉션 하중을 도입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프리플렉션 하중은 프리플렉션 하중 제작대를 이용하여 하중을 인가하게 된다Since pre-flex steel composite beams or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s are mainly used for long-span bridg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bridges, they are manufactured in a segmented form and go through a process of integrating them through carbon dioxide welding at a factory or site. In this process, the steel composite beam is welded in a horizontally laid state, and goes through a procedure of introducing a prereflection load by standing upright. The pre-reflection load is applied using the pre-reflection load production table.

프리플렉션 하중을 인가하기 위한 제작대와 관련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production table for applying the pre-reflection load, the following will be given.

도 1a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3691호의 프리플렉션 하중 재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유압잭(14)의 하강작동에 의하여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된 강형(12)의 상,하 위치 변동없이 프리플렉션 하중을 강형에 도입시키기 위하여, 제작대(20) 내부의 양 측단 지반표면에 고정되어 설치된 지지수단(11); 상기 지지수단(11)의 상부면에 양측단 하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방 솟음 처리되어 제작된 강형(12); 하부반력대(21)에 지지되어 강형(12)의 하부플랜지 주위를 감싸도록 강형(12)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하부플랜지 콘크리트 거푸집(13); 상기 강형(12)에 프리플렉션 하중을 도입시키기 위하여 강형 상부면과 상부반력대(23) 사이에 설치된 유압잭(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리플렉션 하중 재하시스템을 제공한다. 하부반력대(21)와 상부반력대(23) 사이에는 수직지지대(22)를 설치하여 하부반력대(21)와 상부반력대(23)를 지지한다. 제작대(20)는 유압잭(14)의 상승, 하강작동에 의한 반력을 강형(12)에 재하하기 위한 지지대의 역할을 하므로 뒤틀림이나 변형이 발생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반력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단면크기로 제작되어야 하며, 수직지지대(22)의 경우 하부반력대(21)로부터 지지되는 경사보강재를 더 설치하거나, 상부반력대(23)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PC 강봉 또는 어스앵카를 이용하여 상부반력대(23)와 수직지지대(22)를 관통하도록 설치한 뒤, 너트 및 플레이트로 조여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반력대(21)와 수직지지대(22)를 관통하여 지중으로 어스앵카나 PC 강봉으로 연결하여 유압잭(14)의 하강에 따른 인발력을 지지한다. 즉, 유압잭(14)이 강형(12)에 작용하면서 상부반력대(21)로 반력인 인발력이 작용하므로, 인발력을 지지하기 위해 지중으로 어스앵카나 PC 강봉을 연결하게 된다.Figure 1a relates to the pre-reflection load loading system of Publication No. 10-2006-0103691, and the pre-reflection without changing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steel shape 12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by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hydraulic jack 14 In order to introduce a load into the steel shape, the support means 11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surface at both ends inside the production table 20; A steel type 12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ans 11 so that lower portions of both ends are supported and manufactured by rising upward; A lower flange concrete formwork 13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form 12 to be supported by the lower reaction bar 21 and wrapped a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steel form 12; It provides a pre-reflection load loading system comprising a hydraulic jack 14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type and the upper reaction bar 23 in order to introduce a pre-reflection load into the steel type 12. A vertical support 22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reaction arm 21 and the upper reaction arm 23 to support the lower reaction arm 21 and the upper reaction arm 23 . Since the production table 20 serves as a support for loading the reaction force caus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hydraulic jack 14 onto the steel mold 12, distortion or deformation should not occur, so the cross section that can sufficiently resist the reaction force In the case of the vertical support 22, an inclined stiffener supported from the lower reaction bar 21 is further installed, or a PC steel bar or earth anchor is used to effectively support the upper reaction bar 23. After installing to penetrate the base 23 and the vertical support 22, it is installed by tightening with a nut and a plate. Therefore, the pulling force according to the descent of the hydraulic jack 14 is supported by passing through the upper reaction arm 21 and the vertical support 22 and connecting it to the ground with an earth anchor or a PC steel bar. That is, since the hydraulic jack 14 acts on the steel mold 12 and the pulling force, which is the reaction force, acts on the upper reaction arm 21, an earth anchor or PC steel bar is connected to the ground to support the pulling force.

도 1b와 도 1c는 특허 제10-1886657호의 토압을 이용한 RPF빔 제작대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RPF빔에 대한 것으로서, 지반을 터파기하여 형성된 터파기공간(S)의 바닥(G1) 근처에 설치된 토압지지대(32); 상기 토압지지대(32)에 하단이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되어 되메움자중토(34)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반력대(31)에 상단이 고정되는 인발지지대(33); 및 횡방향받침대(31-1)의 하면보다 돌출되지 않은 인발지지대(33)와 토압지지대(32)가 매립되도록 터파기공간(S)에 토압지지대(32) 상면에 토압이 작용하도록 되메움된 되메움자중토(34);를 포함하여 RPF 빔 제작 후, 되메움자중토(34)에 매립된 상기 토압지지대(32)와 인발지지대(33)는 되메움자중토를 제거하여 회수되도록 하는 토압을 이용한 RPF빔 제작대(30)를 제공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형(40)의 양단 저면에는 유압잭(37)이 설치되고, 1/4L 지점과 3/4L 지점에 RPF빔 제작대(30)가 마련된다. RPF빔 제작대(30)는, 지중에 고정되는 인발지지대(33)가 연결고정되는 하부반력대(31)와, 하부반력대(31)에 연결되는 중간연결대(36)와, 중간연결대(36)에 고정장착되어 강형(40)을 고정하기 위한 상부반력대(35)로 구성되어, 양단 유압잭(37)이 상부로 작동하게 되나, 상부반력대(35)에 의해 강형(40)은 위치고정되어 상부로 함께 이동되지 못함에 따라 프리플렉스 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그에 따라 RPF빔이 제작된다.Figures 1b and 1c relate to the RPF beam production table using earth pressure of Patent No. 10-1886657 and the RPF beam manufactured using it, installed near the bottom (G1) of the excavation space (S) formed by excavating the ground earth pressure support (32); A drawing support 33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earth pressure support 32 and extending upward and having an upper end fixed to the lower reaction force 3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fill soil 34; And backfilled so that the earth pressure ac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support 32 in the excavation space S so that the draw support 33 and earth pressure support 32, which do not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verse support 31-1, are buried After manufacturing the RPF beam, including the backfill dead soil 34, the earth pressure support 32 and the draw support 33 embedded in the backfill dead soil 34 remove the backfill dead soil and earth pressure to be recovered. Provides an RPF beam manufacturing table 30 using. As shown in Figure 1c, the hydraulic jack 37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both ends of the steel type 40, and the RPF beam manufacturing table 30 is provided at the 1/4L point and the 3/4L point. The RPF beam production table 30 includes a lower reaction base 31 to which a draw support 33 fixed to the ground is connected and fixed, an intermediate link 36 connected to the lower reaction base 31, and an intermediate link 36 ) and consists of an upper reaction bar 35 for fixing the steel type 40, so that the hydraulic jack 37 at both ends operates upward, but the steel type 40 is fixed in position by the upper reaction bar 35 As it is unable to move upward together, a pre-flex load acts, and an RPF beam is produced accordingly.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지중으로 어스앵카 또는 인발지지대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토사를 굴착하여야 하고, 굴착된 상태에서 어스앵카 또는 인발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한 토압지지대와 같은 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Sinc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earth anchors or draw supports in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soil must be excavated and facilities such as earth pressure supports for fixing earth anchors or draw supports must be installed in the excavated state.

또한, RPF빔 제작이 완료된 후에 제작대를 제거하는 경우에도, 지중에 매립된 토압지지대와 같은 설비는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환경에도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production table is removed after the RPF beam production is comple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good for the environment because equipment such as an earth pressure support buried in the ground cannot be removed.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3691호(2006.10.04. 공개)Publication No. 10-2006-0103691 (published on October 4, 2006) 등록특허공보 제10-1140433호(2012.04.19. 등록)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40433 (registered on April 19, 2012) 등록특허공보 제10-1732453호(2017.04.26. 등록)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32453 (registered on April 26, 2017) 등록특허공보 제10-1886657호(2018.08.02. 등록)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86657 (registered on August 2, 20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서, 강합성빔의 제작에 필요한 제작대 설치를 위한 인발력 지지를 위한 설비의 지중설치가 필요가 없고, 강합성빔의 제작 후 제작대의 분리 및 재사용이 가능한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re is no need for underground installation of facilities for supporting the pulling force for installing the production table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the steel composite beam, and after manufacturing the steel composite beam, separa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using reusable strands and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형빔에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션 하중을 주기 위한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에 있어서, 하나 이상 설치되며, I형빔의 상부플랜지 양단에 장착되어 강연선이 긴장연결되는 한 쌍의 클램프부; 상기 I형빔의 길이방향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 상기 클램프부의 양단에 고정되고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의 상단을 통해 지지되어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의 작동에 따른 인발력을 지지하기 위한 강연선으로 이루어지는 강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using a strand for giving a prestressed reflection load to an I-beam, one or more are installed and mounted on both ends of the upper flange of the I-beam A pair of clamps to which the strands are tension-connected; A pre-reflection load application unit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beam; Pre-stress free using a stra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is provided.

본 발명에서 클램프부는, 상부플랜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플랜지 삽입홈이 형성되는 클램프 본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이 고정장착될 수 있는 장착홀이 형성된 장착홀부; 상기 클램프 본체의 저면에서 상기 상부플랜지 삽입홈까지 관통형성되는 고정볼트홀; 상기 상부플랜지의 두께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상부플랜지 삽입홈에 끼워지는 두께 조정판; 및 상기 고정볼트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플랜지에 상기 클램프 본체와 두께조정판의 위치 고정을 위한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unit includes a clamp body in which an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flange; a mounting hole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lamp body and having a mounting hole through which the strand wire can be fixedly mounted; a fixing bolt hole formed through the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lamp body; a thickness adjusting plate fitted into the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flange; and a fixing bolt fastened to the fixing bolt hole to fix the position of the clamp body and the thickness adjusting plate to the upper flange.

본 발명에서 클램프부는, 상부플랜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플랜지 삽입홈이 형성되는 클램프 본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상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강연선이 일정각도로 고정장착되며, 상기 상부플랜지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회전정착바; 및 상기 상부플랜지의 저면이 접촉하는 상기 상부플랜지 삽입홈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플랜지 저면과의 마찰력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정착바는, 사각바형의 정착바 몸체; 상기 정착바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플랜지와 접촉시 마찰력을 주기 위해 형성되는 톱니형 요철부; 상기 톱니형 요철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상부측에 체결되는 상기 회전정착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볼트가 삽입되는 힌지볼트홀; 및 상기 힌지볼트홀의 상부에 상기 힌지볼트홀과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이 고정장착되는 장착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톱니형 요철부는, 힌지볼트를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에 대응하도록 일정 곡률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촉패드는, 상부플랜지의 저면과의 마찰력을 형성하기 위해 톱니형 요철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unit includes a clamp body in which an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flange; a rotation fixing bar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lamp body to which the strand is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and a contact pad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to form frictional forc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The rotating fixing bar may include a square bar-shaped fixing bar body; a sawtooth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xing bar body to give frictional force when in contact with the upper flange; a hinge bolt hol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awtooth concave-convex portion and into which a hinge bolt is inserted to enable rotation of the rotation fixing bar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clamp body; and a mounting hole formed above the hinge bolt hole in a shape orthogonal to the hinge bolt hole, to which the strand is fixedly mounted. The sawtooth-shaped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correspond to rotation about the hinge bolt as a rotation axis. In addition, the contact pad is formed with sawtooth concavo-convex to form frictional for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lange.

본 발명에서 클램프부는, 상부플랜지의 양단 저면에 장착되고 상부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져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이 고정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사각바형의 클램프 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플랜지에는, 상기 장착홀을 통과한 상기 강연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part is composed of a square bar-shaped clamp body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both ends of the upper flange and inclined at a certain angle toward the upper side to form mounting holes in which the strands are fixedly mounted, and in the upper flange, the mounting hol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of a certain angle is formed so that the passing strand can pass through.

본 발명에서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는, 일정길이의 두 개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상부반력대; 상기 상부반력대의 양단에서 상기 상부반력대를 지지하는 일정높이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측면지지대; 상기 상부반력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I형빔에 프리플렉션 하중을 가하는 다수의 유압실린더부; 상기 유압실린더부의 양측에서 상기 유압실린더부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인발력을 지지하기 위해, 상단은 상기 상부반력대에 고정 연결되고 하단은 하부지지대에 고정 연결되는 인발력 지지부; 상기 측면지지대와 상기 인발력 지지부가 고정 장착되는 일정길이의 두 개의 강재로 이루어진 하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I형빔을 지지하기 위한 I형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reflection load applying unit includes an upper reaction arm made of two steel materials of a certain length; Side supports made of steel of a certain height supporting the upper reaction arm at both ends of the upper reaction arm; A plurality of hydraulic cylinder units fixed to the upper reaction arm and applying a pre-reflection load to the I-beam; a pullout force support unit having an upper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reaction arm and a lower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in order to support the pulling forc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part at both sides of the hydraulic cylinder part; a lower support made of two steel material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which the side support and the pulling force support are fixedly mounted; And an I-beam support installed on the lower support to support the I-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본 발명에서 유압실린더부가 장착되는 상부반력대의 상단에는, 중간롤러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mediate roller unit is further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reaction arm to which the hydraulic cylinder unit is mounted.

본 발명에서 중간롤러부는, 롤러 지지부 및 상기 롤러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중간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롤러의 상부엔 강연선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강관이 더 설치되고, 상기 연결강관을 통해서 상기 강연선이 관통되고, 상기 양단의 클램프부에 상기 강연선이 긴장연결됨으로써, 유압실린더부에 의한 인발력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roller portion is composed of a roller support portion and an intermediate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ller support portion, and a connecting steel pipe is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roller to prevent damage due to friction of the strand, and the connection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steel pipe, and the strand is tension-connected to the clamps at both ends, thereby supporting the pulling force by the hydraulic cylind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로 제작되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ed using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fabrication table using a str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강합성빔의 제작에 필요한 제작대 설치를 위한 인발력 지지를 위한 어스앵카와 같은 설비를 지중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equipment such as an earth anchor for supporting a pulling force for installing a manufacturing table necessary for manufacturing a steel composite beam in the ground.

또한, 본 발명은 지중으로 어스앵카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강합성빔의 제작 후 제작대의 분리 및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parate and reuse the production table after manufacturing the steel composite beam becaus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the earth anchor in the ground.

또한, 본 발명은 강연선을 제작대의 상부측을 통해 긴장연결함으로써 I형빔에 프리플렉션 하중을 프리스트레싱할 수 있고, 또한 유압실린더에 의한 2차 프리플렉션 하중을 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stress the pre-stressing of the pre-reflection load on the I-beam by tensioning the strand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production table, and also applying a secondary pre-reflection load by the hydraulic cylinder.

도 1a ~ 도 1c는 종래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전체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클램프부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클램프부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클램프부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중간롤러부의 사시도.
1a to 1c are cross-sectional and perspective views of a conventional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Figure 2 is an overall side view of 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clamp portion of 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clamp portion of 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c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clamp portion of 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pre-reflection load appl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reflection load application unit of Figure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mediate roller portion of 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 object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s, the same names and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s accordingly will be omitted.

도 1a ~ 도 1c는 종래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전체 측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클램프부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클램프부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클램프부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중간롤러부의 사시도이다.Figures 1a to 1c are cross-sectional and perspective views of a conventional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Figure 2 is an overall side view of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restressed pre-fl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clamp unit of a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lamp unit of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c is a prestressed pre-fl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clamp part of the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of 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pre-reflection load application unit of FIG. 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mediate roller portion of 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1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100)는, 하나 이상 설치되며, I형빔(200)의 상부플랜지(201) 양단에 장착되어 강연선(131)이 긴장연결되는 한 쌍의 클램프부(110)와, I형빔(200)의 길이방향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120)와, 클램프부(110)의 양단에 고정되고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120)의 상단을 통해 지지되어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120)의 작동에 따른 인발력을 지지하기 위한 강연선(131)으로 이루어지는 강선부(130)로 구성된다. 강연선(131)은 철근과 같은 형태의 강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강연선의 표현에는 강봉의 개념도 포함되며, 모든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된다.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100 using a str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one or mor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production tables 100 using strands are installed, and are mounted on both ends of the upper flange 201 of the I-beam 200 so that the strands 131 are tensioned. A pair of connected clamps 110, a reflection load application unit 12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beam 200, and a reflection load application unit fixed to both ends of the clamp unit 110 It is composed of a steel wire part 130 made of a strand wire 131 for supporting the pulling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reflection load applying part 120 by being support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120. Since the strand 131 may be made of a steel rod in the same form as a reinforcing bar, the expression of the strand includes the concept of a steel rod, and the same applies to all embodiments.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100)에 사용되는 클램프부(110)의 제1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부(110)는, 상부플랜지(201)의 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플랜지 삽입홈(111-1)이 형성되는 클램프 본체(111)와, 클램프 본체(111)의 상부에 형성되어 강연선(131)이 일정각도로 고정장착될 수 있는 장착홀(112-2)이 형성된 장착홀부(112)와, 클램프 본체(111)의 저면에서 상부플랜지 삽입홈(111-1)까지 관통형성되는 고정볼트홀(113)과, 상부플랜지(201)의 두께에 대응하기 위해 상부플랜지 삽입홈(111-1)에 끼워지는 두께 조정판(114)과, 고정볼트홀(113)에 체결되어 상부플랜지(201)에 클램프 본체(111)와 두께조정판(114)의 위치 고정을 위한 고정볼트(115)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본체(111)의 형상은 'ㄷ'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플랜지 삽입홈(111-1) 부분이 상부플랜지(201)에 끼워지고, 상부측의 장착홀부(112)의 장착홀(112-2)을 통해서 강연선(131)이 긴장되도록 장착된다. 장착홀부(112)는 상기 클램프 본체(11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클램프 본체(111)에 부착될 수도 있다. 장착홀부(112)는, 강연선(131)이 일정각도로 경사져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부플랜지가 삽입되는 내측부분이 더 높은 마름모꼴로 형성되는 장착홀부 몸체(112-1)와, 장착홀부 몸체(112-1)에 강연선(13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측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형태의 장착홀(112-2)로 이루어진다. 강선부(130)는 강연선(131)과 강연선(131)을 고정하기 위한 헤드(132)와 웨지(13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I형빔(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랜지(201)와, 상부플랜지(201)의 저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부플랜지(202)와, 복부플랜지(202)의 하단에 상부플랜지(201)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부플랜지(203)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I형강을 이루며, I형강의 양단을 보강하기 위한 단부보강재(204)가 복부플랜지(202)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상부플랜지(201)의 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수직보강재(205)가 복부플랜지(202)의 단부보강재(204)의 일측에 더 부착된다. 또한, 상부플랜지(201)의 상부면에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크게 하기 위해 볼트(201-1)를 용접으로 고정부착되며, 하부플랜지(203)의 저면에도 동일하게 볼트(203-1)가 용접으로 고정부착된다. 또한, I형강에는 교량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으로 제작하기 위해 하부플랜지(203)의 양단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판(208)과, 수직지지판(208)의 하부에서 I형빔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판(207)과, 하부지지판(207)의 외측에 강합성빔 설치후 강연선을 설치하기 위한 정착판(206)으로 이루어진다.Figure 3a is a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lamp unit 110 used in 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production table 100 using a str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lamp unit 110 includes a clamp body 111 in which an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111-1 is form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end of the upper flange 201, and the clamp body ( 11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hole 112 in which the strand wire 131 can be fixedly mounted at a certain angle, the mounting hole 112-2 is formed, and the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111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lamp body 111 -1), a fixing bolt hole 113 formed through, a thickness adjustment plate 114 inserted into the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111-1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flange 201, and a fixing bolt hole 113 ) Is fastened to the upper flange 201 and consists of a fixing bolt 115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clamp body 111 and the thickness adjustment plate 114.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hape of the clamp body 111 is made of a 'c' shape, the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111-1 is fitted into the upper flange 201, and the upper side mounting hole 112 The strand 131 is mounted so as to be tensioned through the mounting hole 112-2 of the. The mounting hole 1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amp body 111 or manufactured separately and attached to the clamp body 111 . Since the mounting hole 112 has to be installed with the strand 131 inclined at a certain angle, the mounting hole body 112-1 in which the inner portion into which the upper flange is inserted is formed in a higher lozenge shape, and the mounting hole body 112-1 It consists of a mounting hole 112-2 inclined at a certain angle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strand 131 can be inserted into the ). The steel wire portion 130 includes a strand 131, a head 132 for fixing the strand 131, and a wedge 133. In addition, as shown, the I-shaped beam 200 has an upper flange 201, an upper flange 202 formed vertical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01, and an upper flange at the lower end of the abdominal flange 202 ( 201) and the lower flange 203 formed in parallel to form an I-beam as a whole, and end stiffeners 204 for reinforcing both ends of the I-beam are vertically attached to the abdominal flange 202, and the upper flange 201 A vertical stiffener 205 for reinforcing the load of is furthe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nd stiffener 204 of the abdominal flange 202. In addi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01, a bolt 201-1 is fixed and attached by welding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with concrete, and a bolt 203-1 is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203 in the same way. fixedly attached to In addition, in the I-beam, a vertical support plate 208 formed vertically on the bottom surface of both ends of the lower flange 203 in order to manufacture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that can be used for bridges, etc., and an I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support plate 208 It consists of a lower support plate 207 for supporting the beam, and a fixing plate 206 for installing the strand after installing the steel composite beam on the outside of the lower support plate 207.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100)에 사용되는 클램프부(110')의 제2실시예의 도면이다. 클램프부(110')는, 상부플랜지(20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플랜지 삽입홈(111-1')이 형성되는 클램프 본체(111')와, 클램프 본체(111')의 상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강연선(131)이 일정각도로 고정장착되며, 상부플랜지(201)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회전정착바(112')와, 상부플랜지(201)의 저면이 접촉하는 상부플랜지 삽입홈(111-1')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상부플랜지(201) 저면과의 마찰력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패드(114')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클램프 본체(111')는 'ㄷ'형으로 형성되어 상부플랜지 삽입홈(111-1')이 마련되며, 회전정착바(112')의 장착을 위해 클램프 본체(111')의 상부측에 회전정착바 장착홈(111-2')이 더 형성된다. 회전정착바 장착홈(111-2')에는 회전정착바(112')가 장착되는데, 회전정착바(112')는 사각바형의 정착바 몸체(112-1')와, 정착바 몸체(112-1')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부플랜지(201)와 접촉시 마찰력을 주기 위해 형성되는 톱니형 요철부(112-3')와, 톱니형 요철부(112-3')의 상부에 형성되어 클램프 본체(111')의 상부측에 체결되는 회전정착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볼트(116')가 삽입되는 힌지볼트홀(112-4')와, 힌지볼트홀(112-4')의 상부에 힌지볼트홀(112-4')과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강연선(131)이 고정장착되는 장착홀(112-2')로 이루어진다. 회전정착바(112')는 강연선(131)이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회전정착바(112')의 회전용이성으로 인해 강연선(131)이 이루는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여 강연선부(130)의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톱니형 요철부(112-3')는 힌지볼트(116')를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에 대응하도록 일정 곡률(R)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플랜지 삽입홈(111-1')의 하부면에는 상부플랜지(201)의 저면과의 마찰력을 주기 위한 접촉패드(114')가 장착된다. 접촉패드(114')는 클램프 본체(111')의 저면을 통해 볼트(115')에 의해 고정 체결된다. 접촉패드(114')는 상부플랜지(201)의 저면과의 마찰력을 주기 위해 톱니형 요철(114-1')이 형성된다. 강선부(13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강연선(131)과 강연선을 클램프부(110')에 고정하기 위한 헤드(132)와 웨지(133)으로 이루어진다. I형빔(200)은 클램프부(110)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ure 3b is a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clamp unit 110 'used in 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production table 100 using a str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unit 110' includes a clamp body 111' in which an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111-1'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flange 201, and an upper side of the clamp body 111'. It is rotatably mounted and the strand 131 is fixedly mounted at a certain angle, and the rotation fixing bar 112'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01 and the upper flang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01 It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11-1' and consists of a contact pad 114' for forming frictional forc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01. Specifically, the clamp body 111' is formed in a 'c' shape and has an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111-1', and the upper side of the clamp body 111' for mounting the rotation fixing bar 112'. A rotation fixing bar mounting groove 111-2' is further formed therein. A rotating fixing bar 112' is mounted in the fixing bar mounting groove 111-2', and the fixing bar 112' includes a square fixing bar body 112-1' and a fixing bar body 112. -1 ')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upper flange 201 to give a friction force when in contact with the sawtooth convex portion 112-3 'and formed on the top of the sawtooth convex portion 112-3' The hinge bolt hole 112-4' into which the hinge bolt 116' is inserted so that the rotation fixing bar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clamp body 111' can be rotated, and the hinge bolt hole 112-4' It is formed in a form orthogonal to the hinge bolt hole 112-4' at the top, and consists of a mounting hole 112-2' in which the strand 131 is fixedly mounted. The fixing bar 112' is formed to be rotatable so that the strand 131 can be easily installed. Due to the ease of rotation of the fixing bar 112', it is easy to adjust the angle formed by the strand 131, so that the strand portion Installation of 130 may be facilitat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wtooth concave-convex portion 112-3' has a certain curvature R to correspond to rotation about the hinge bolt 116' as a rotation axis. In addition, a contact pad 114' for applying frictional for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01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111-1'. The contact pad 114' is fixedly fastened by a bolt 115'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clamp body 111'. The contact pad 114' is formed with saw-toothed irregularities 114-1' to give frictional for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01. The steel wire portion 130 is composed of a strand 131, a head 132 for fixing the strand to the clamp portion 110', and a wedge 133, as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I-beam 2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lamp unit 1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100)의 클램프부(110")의 제3실시예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부(110")는, 상부플랜지(201)의 양단 저면에 장착되고 상부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져 형성되어 강연선(131)이 고정장착되는 장착홀(112")이 형성되는 사각바형의 클램프 본체(111")로 이루어진다. 클램프부(110")가 상부플랜지(201)의 저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장착홀(112")을 통과한 강연선(131)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의 관통홀(201-2)이 형성된다.Figure 3c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clamp portion 110 "of 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production table 100 using a str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clamp portion 110", It consists of a square bar-shaped clamp body 111"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upper flange 201 and formed inclined at a certain angle toward the upper side to form mounting holes 112" in which the strand 131 is fixedly mounted. Since the clamp part 110"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flange 201, a through hole 201-2 having a certain angle is formed so that the strand 131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hole 112" can pass. .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의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120)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A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120)는, 일정길이의 두 개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상부반력대(121)와, 상부반력대(121)의 양단에서 상부반력대(121)를 지지하는 일정높이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측면지지대(122)와, 상부반력대(121)에 고정 설치되어 I형빔(200)에 프리플렉션 하중을 주는 다수의 유압실린더부(123)와, 유압실린더부(123)의 양측에서 유압실린더부(123)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인발력을 지지하기 위해, 상단은 상부반력대(121)에 고정 연결되고 하단은 하부지지대(125)에 고정 연결되는 인발력 지지부(124)와, 측면지지대(122)와 인발력 지지부(124)가 고정 장착되는 일정길이의 두 개의 강재로 이루어진 하부지지대(125)와, 하부지지대(125)의 상부에 설치되어 I형빔(200)을 지지하기 위한 I형빔 지지대(126)로 구성된다. 상부반력대(121)는 두 개의 강재가 서로 나란하게 정렬되어 형성된다. 상부반력대(121)는 상부반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유압실린더부(123)의 유압실린더(123-1)가 작동하면서 I형빔(200)에 프리플렉션 하중을 가하면, 프리플렉션 하중에 의한 반력은 상부반력대(121)로 작용하게 되므로, 유압실린더(123-1)에 의한 반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부반력대(121)엔 유압실린더부(123)가 장착되는데, 유압실린더부(123)의 작용에 의한 반력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로 인발력 지지부(124)가 상부반력대(121)에 연결된다. 상부반력대(121)의 상단에는 강연선(131)을 지지하는 중간롤러부(127)가 장착되어 긴장된 강연선(131)을 지지한다. 유압실린더부(123)는 유압실린더(123-1)와 유압실린더(123-1)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123-2)로 이루어진다. 인발력 지지부((124)는, 상부반력대(121)와 하부지지대(125)에 연결되는 강봉(124-1)과, 강봉(124-1)을 상부측에서 고정하는 상부고정대(124-2)와, 강봉(124-1)을 하부에서 고정하는 하부고정대(124-3)과, 하부고정대(124-3)내에 설치되어 강봉(124-1)을 하부고정대(124-3)에 고정하는 하부고정관(124-4)로 이루어진다. 인발력 지지부(124)는 유압실린더(123-1)가 작동하면서 상부반력대(121)에 반발력을 주게되면, 상부반력대(121)와 하부지지대(125) 사이에 설치된 강봉(124-1)이 반발력을 지지하게 된다. I형빔(200)은 프리플렉션 하중이 인가되면 I형빔 지지대(126)에 지지된다. 그에 따라 I형빔(200)은 프리플렉션 하중 인가전에는 I형빔 지지대(126)와 소정간격을 유지한 채 떠있는 상태이고, 프리플렉션 하중이 인가되면 I형빔 지지대(126)에 의해 하부플랜지가 지지된다. I형빔 지지대(126)는 지지대 본체(126-1)와, 지지대 본체(126-1)를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조절나사(126-2)와, 지지대 본체(126-1)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링크(126-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반력대(121)의 상단에는 중간롤러부(127)가 장착된다. 중간롤러부(127)는, 긴장설치되는 강연선(131)을 지지하면서, 상부반력대(121)에 하부방향을 하중을 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중간롤러부(127)와 강연선(131)에 의해서도 유압실린더(123-1)의 작동에 따른 반발력이 지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롤러부(127)는, 롤러 지지부(127-2)와, 롤러 지지부(127-2)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중간롤러(127-1)로 이루어진다. 롤러지지부(127-2)는 상부반력대(121)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으나, 필요한 경우 롤러하부지지부(127-3)를 상부반력대(121)의 상부면에 더 설치하고, 롤러하부지지부(127-3)에 롤러지지부(127-2)를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중간롤러(127-1)에 강연선(131)이 직접 접촉함에 따른 마찰로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중간롤러(127-1)의 상부에 연결강관(127-4)이 더 설치된다. 연결강관(127-4)으로 강연선(1310이 관통되고, 양단 클램프부(110, 110', 110")에 강연선(131)이 긴장연결됨으로써 유압실린더부(123)에 의한 인발력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연결강관(127-4)의 내부에는 그리스(grease) 윤활제가 투입되어 연결강관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열과 손상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4 and 5 are views of th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fabrication table pre-reflection load applica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een from A-A of FIG. 2, and FIG. 5 is a side view of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reflection load application unit 120 supports the upper reaction arm 121 made of two steel members of a certain length and the upper reaction arm 121 at both ends of the upper reaction arm 121. A side support 122 made of steel of a certain height, a plurality of hydraulic cylinder parts 123 fixed to the upper reaction bar 121 and giving a reflection load to the I-beam 200, and a hydraulic cylinder part 123 ) In order to support the pulling forc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part 123 on both sides, the upper e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reaction arm 121 and the lower e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125. Pulling force support 124 And, the lower support 125 made of two steel materials of a certain length to which the side support 122 and the pulling force support 124 are fixedly moun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125 to support the I-beam 200 It consists of an I-beam support 126 for The upper reaction arm 121 is formed by aligning two steel members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The upper reaction arm 121 serves to support the upper reaction force. When the hydraulic cylinder 123-1 of the hydraulic cylinder unit 123 operates and applies a reflection load to the I-beam 200, Since the reaction force acts as the upper reaction arm 121, it serves to support the reaction force by the hydraulic cylinder 123-1. In addition, a hydraulic cylinder unit 123 is mounted on the upper reaction arm 121, and the pulling force support unit 124 is connected to the upper reaction arm 121 a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reaction force caused by the ac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unit 123. do. An intermediate roller part 127 supporting the strand 131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reaction arm 121 to support the tensioned strand 131. The hydraulic cylinder unit 123 is composed of a hydraulic cylinder 123-1 and a guide 123-2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ydraulic cylinder 123-1. The pulling force support (124) includes a steel bar 124-1 connected to the upper reaction bar 121 and the lower support bar 125, and an upper fixing bar 124-2 for fixing the steel bar 124-1 from the upper side. And, a lower fixing table 124-3 for fixing the steel bar 124-1 at the bottom and a lower fixing table 124-3 installed in the lower fixing table 124-3 to fix the steel bar 124-1 to the lower fixing table 124-3 When the hydraulic cylinder 123-1 operates and gives a reaction force to the upper reaction arm 121, the pulling force support 124 is formed between the upper reaction arm 121 and the lower support 125. The steel bar 124-1 installed in supports the repulsive force.When the reflection load is applied, the I-beam 200 is supported by the I-beam support 126. Accordingly, the I-beam 200 does not It is in a floating stat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beam support 126, and when a reflection load is applied, the lower flange is supported by the I-beam support 126. The I-beam support 126 is the support body 126- 1), a vertical adjustment screw 126-2 that moves the support body 126-1 up and down, and a separation link 126-3 for separating the support body 126-1. An intermediate roller unit 127 is mount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ction bar 121. The intermediate roller unit 127 applies a load to the upper reaction bar 121 in a downward direction while supporting the strands 131 to be tensioned. Accordingly, the repulsive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123-1 can be supported even by the intermediate roller portion 127 and the strand 131. As shown in Figure 6, the intermediate roller portion 127, It consists of a roller support 127-2 and an intermediate roller 127-1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ller support 127-2. The roller support 127-2 is directly fixed to the upper reaction arm 121. However, if necessary, the lower roller support 127-3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reaction arm 121, and the roller support 127-2 may be mounted on the lower roller support 127-3. In addition, the stranded wire on the intermediate roller (127-1) Since damage may occur due to friction due to direct contact between 131, a connecting steel pipe 127-4 is further installed above the intermediate roller 127-1. The strand wire 1310 is passed through the connecting steel pipe 127-4, and the strand wire 131 is tension-connected to both end clamp parts 110, 110', 110" so that the pulling force by the hydraulic cylinder part 123 can be supported. Grease lubricant is injected into the connecting steel pipe 127-4 to prevent frictional heat and damage due to contact with the connecting steel pipe.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클램프부(110)를 이용하여 강연선(131)을 연결하고, 강연선(131)이 상부반력대(1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선부(130)가 인발력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중에 어스앵카 등을 이용한 인발력 지지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지중으로 어스앵카 등이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해체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그에 따라 비용의 절감 및 강합성빔 제작대의 설치에 따른 공기단축 등 여러가지 이점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strands 131 using the clamp portion 110 and allows the strands 131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reaction arm 121, so that the strands 130 Since it can support the pulling force,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pulling force support using an earth anchor or the like in the ground.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earth anchors in the grou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dismantled and reused. Accordingly, it can have various advantages such as cost reduction and shortening of the construction perio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 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in the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chniques that can be modified and us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regarded as naturally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제작대
110 : 클램프부 111 : 클램프 본체
112 : 장착홀보 113 : 고정볼트홀
114 : 두께 조정판 115 : 고정볼트
110' : 클램프부 111' : 클램프 본체
112' : 회전정착바 114' : 접착패드
115' : 접착패드 고정볼트 116' : 힌지볼트
110" : 클램프부 111" : 클램프 본체
112" : 장착홀
120 : 프리플렉스 하중인가부 121 : 상부반력대
122 : 측면지지대 123 : 유압실린더부
124 : 인발력 지지부 125 : 하부지지대
126 : I형빔 지지대 127 : 중간롤러부
130 : 강선부 131 : 강연선
132 : 헤드 133 : 웨지
200 : I형빔
100: crafting table
110: clamp part 111: clamp body
112: mounting hole 113: fixing bolt hole
114: thickness adjustment plate 115: fixing bolt
110 ': clamp part 111': clamp body
112': Rotating fixing bar 114': Adhesive pad
115': adhesive pad fixing bolt 116': hinge bolt
110": clamp part 111": clamp body
112": mounting hole
120: pre-flex load application unit 121: upper reaction arm
122: side support 123: hydraulic cylinder part
124: pull-out support 125: lower support
126: I-beam support 127: intermediate roller
130: steel wire portion 131: strand wire
132: head 133: wedge
200: I-beam

Claims (11)

삭제delete 하나 이상 설치되며, I형빔의 상부플랜지 양단에 장착되어 강연선이 긴장연결되는 한 쌍의 클램프부와, 상기 I형빔의 길이방향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와, 상기 클램프부의 양단에 고정되고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의 상단을 통해 지지되어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의 작동에 따른 인발력을 지지하기 위한 강연선으로 이루어지는 강선부로 이루어지는 I형빔에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션 하중을 주기 위한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상부플랜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플랜지 삽입홈이 형성되는 클램프 본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이 일정각도로 고정장착될 수 있는 장착홀이 형성된 장착홀부;
상기 클램프 본체의 저면에서 상기 상부플랜지 삽입홈까지 관통형성되는 고정볼트홀;
상기 상부플랜지의 두께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상부플랜지 삽입홈에 끼워지는 두께 조정판; 및
상기 고정볼트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플랜지에 상기 클램프 본체와 두께조정판의 위치 고정을 위한 고정볼트;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
One or more are installed, a pair of clamp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upper flange of the I-beam to which the strands are tension-connected, a reflection load application unit installed at a certain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beam, and fixed to both ends of the clamp unit and prestressed preflex using a strand for giving a prestress preflection load to an I-shaped beam made of a steel wire portion support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pre-reflection load-applying portion to support a pulling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tressed pre-flexion portion. In the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The clamp part,
A clamp body in which an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flange;
a mounting hole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lamp body and having a mounting hole through which the strand wire can be fixedly moun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fixing bolt hole formed through the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lamp body;
a thickness adjusting plate fitted into the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flange; and
A fixing bolt fastened to the fixing bolt hole to fix the position of the clamp body and the thickness adjusting plate to the upper flang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production table using a stra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하나 이상 설치되며, I형빔의 상부플랜지 양단에 장착되어 강연선이 긴장연결되는 한 쌍의 클램프부와, 상기 I형빔의 길이방향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와, 상기 클램프부의 양단에 고정되고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의 상단을 통해 지지되어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의 작동에 따른 인발력을 지지하기 위한 강연선으로 이루어지는 강선부로 이루어지는 I형빔에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션 하중을 주기 위한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상부플랜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플랜지 삽입홈이 형성되는 클램프 본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상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강연선이 일정각도로 고정장착되며, 상기 상부플랜지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회전정착바; 및
상기 상부플랜지의 저면이 접촉하는 상기 상부플랜지 삽입홈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플랜지 저면과의 마찰력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패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
One or more installed, a pair of clamp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upper flange of the I-beam to which the strands are tension-connected, a reflection load application unit installed at a certain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beam, and fixed to both ends of the clamp unit and prestressed pre-flex using a strand for giving a prestress preflection load to an I-shaped beam made of a steel wire for supporting a pulling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tress load-applying part and support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pre-reflection load-applying part. In the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The clamp part,
A clamp body in which an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flange;
a rotation fixing bar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lamp body to which the strand is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and
a contact pad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insertion groove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to form frictional forc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production table using a stra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정착바는,
사각바형의 정착바 몸체;
상기 정착바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플랜지와 접촉시 마찰력을 주기 위해 형성되는 톱니형 요철부;
상기 톱니형 요철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상부측에 체결되는 상기 회전정착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볼트가 삽입되는 힌지볼트홀; 및
상기 힌지볼트홀의 상부에 상기 힌지볼트홀과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이 고정장착되는 장착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
According to claim 3,
The rotating fixing bar,
A square bar-shaped fixing bar body;
a sawtooth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xing bar body to give frictional force when in contact with the upper flange;
a hinge bolt hol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awtooth concave-convex portion and into which a hinge bolt is inserted to enable rotation of the rotation fixing bar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clamp body; and
a mounting hole formed above the hinge bolt hole to be orthogonal to the hinge bolt hole and to which the strand is fixedly mounted;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production table using a stra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형 요철부는, 상기 힌지볼트를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에 대응하도록 일정 곡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
According to claim 4,
The sawtooth concave-convex portion is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using a stran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ith a certain curvature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about the hinge bolt as a rotation axi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패드는, 상기 상부플랜지의 저면과의 마찰력을 형성하기 위해 톱니형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act pad is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using a strand, characterized in that sawtooth irregularities are formed to form frictional for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lange.
삭제delet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인가부는,
일정길이의 두 개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상부반력대;
상기 상부반력대의 양단에서 상기 상부반력대를 지지하는 일정높이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측면지지대;
상기 상부반력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I형빔에 프리플렉션 하중을 가하는 다수의 유압실린더부;
상기 유압실린더부의 양측에서 상기 유압실린더부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인발력을 지지하기 위해, 상단은 상기 상부반력대에 고정 연결되고 하단은 하부지지대에 고정 연결되는 인발력 지지부;
상기 측면지지대와 상기 인발력 지지부가 고정 장착되는 일정길이의 두 개의 강재로 이루어진 하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I형빔을 지지하기 위한 I형빔 지지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prereflection load application unit,
An upper reaction arm made of two steel members of a certain length;
Side supports made of steel of a certain height supporting the upper reaction arm at both ends of the upper reaction arm;
A plurality of hydraulic cylinder units fixed to the upper reaction arm and applying a pre-reflection load to the I-beam;
a pullout force support unit having an upper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reaction arm and a lower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in order to support the pulling forc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part at both sides of the hydraulic cylinder part;
a lower support made of two steel material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which the side support and the pulling force support are fixedly mounted; and
I-beam support installed on the lower support to support the I-beam;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production table using a strand,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부가 장착되는 상기 상부반력대의 상단에는, 중간롤러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
According to claim 8,
A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using a strand, characterized in that an intermediate roller portion is further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reaction arm to which the hydraulic cylinder portion is moun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롤러부는, 롤러 지지부 및 상기 롤러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중간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롤러의 상부엔 강연선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강관이 더 설치되고,
상기 연결강관을 통해서 상기 강연선이 관통되고, 상기 양단의 클램프부에 상기 강연선이 긴장연결됨으로써, 상기 유압실린더부에 의한 인발력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
According to claim 9,
The intermediate roller portion is composed of a roller support portion and an intermediate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ller support portion,
A connecting steel pipe is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mediate roller to prevent damage caused by friction of the strand,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table using a str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connecting steel pipe, and the strand is tension-connected to the clamps at both ends to support the pulling force by the hydraulic cylinder. .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작대로 제작되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A prestressed pre-flexed steel composite beam manufactured using a prestressed pre-flexed steel composite beam fabrication table using the strand wi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KR1020210078913A 2021-06-17 2021-06-17 The manufacturing device of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to use stranded wire and the prestressed preflex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25108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913A KR102510893B1 (en) 2021-06-17 2021-06-17 The manufacturing device of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to use stranded wire and the prestressed preflex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913A KR102510893B1 (en) 2021-06-17 2021-06-17 The manufacturing device of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to use stranded wire and the prestressed preflex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880A KR20220168880A (en) 2022-12-26
KR102510893B1 true KR102510893B1 (en) 2023-03-16

Family

ID=84547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913A KR102510893B1 (en) 2021-06-17 2021-06-17 The manufacturing device of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to use stranded wire and the prestressed preflex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8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79893B (en) * 2023-01-12 2024-02-23 中铁七局集团有限公司 Box girder prestress pipeline rubber rod pull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586B1 (en) * 2010-06-07 2010-10-25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Girder for rahmen structure, the making method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girder for rahmen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198B1 (en) * 2002-11-13 2005-06-20 주식회사 노빌테크 Preflex beam manufacturing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compressive stress and Loading Apparatus therefor
KR20060103691A (en) 2005-03-28 2006-10-04 배승진 Loading system for preflex girder
KR101140433B1 (en) 2011-08-11 2012-04-30 삼우건설 주식회사 Method for fabricating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KR101732453B1 (en) 2016-10-13 2017-05-08 (주) 대현이엔씨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plex composite beam girder
KR101886657B1 (en) 2017-10-18 2018-08-09 박문신 Stand frame for manufacturing pre-flexed beams using earth pressure and pre-flexed beam manufactured therewit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586B1 (en) * 2010-06-07 2010-10-25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Girder for rahmen structure, the making method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girder for rahme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880A (en)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698B1 (en) Complementing apparatus of tensile strength in a prestress concrete gurder bridge
KR100711711B1 (en) Light single wale by using pre-stressed support method
KR102510893B1 (en) The manufacturing device of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to use stranded wire and the prestressed preflex bea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WO2022258080A1 (en) Steel plate belt suspensio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20070080253A (en) Bracket and support for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KR100823448B1 (en) The improved seismic resistant continuation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beam bridge and method thereof
KR101140433B1 (en) Method for fabricating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KR20100073363A (en) Prestressed segment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03725B1 (en) Steel structure having tensioning apparatus
KR101209063B1 (en) Pre-stressed girder by plate and method thereof
KR100778137B1 (en) Bracket and Support for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JP6521343B1 (en) Construction method of a series of box-like structures and girders and arch ribs
CN216109354U (en) Conversion layer steel column mounting structure
KR102227878B1 (en) Construction Method of Long Span Bridge Using PSC Girder
CN212001082U (en) Stress dispersion mound
KR100426611B1 (en) Connecting device for enhancing steel wire for a bridge
CN111456027A (en) Connecting device and connecting method for assembly type supporting and retaining structure
JP4493245B2 (en) Suspended floor slab bridge and method for reinforcing suspended floor slab
KR200263281Y1 (en) Apparatus for reinforcing a construction by enlarging its' size
KR102444554B1 (en) Prestressed wa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RU2068916C1 (en) Device for reinforcing foundations of buildings and structures and method for erecting the device for reinforcing foundations of buildings and structures
RU2005837C1 (en) Bridge span structure
CN216551965U (en) Prestressed fish-belly sill
CN113638324B (en) Reinforcing apparatus of mountain bridge
KR102577228B1 (en) Pre-stressed composite pile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