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106B1 - 덮개 캡을 갖는 음료수 캔 리드 - Google Patents

덮개 캡을 갖는 음료수 캔 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106B1
KR100496106B1 KR10-1999-7007396A KR19997007396A KR100496106B1 KR 100496106 B1 KR100496106 B1 KR 100496106B1 KR 19997007396 A KR19997007396 A KR 19997007396A KR 100496106 B1 KR100496106 B1 KR 100496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ap
beverage
opening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108A (ko
Inventor
미카엘 엔. 까한
프랭크 클로세
안드레아스 샤프
페터 박커바우어
Original Assignee
페터 박커바우어
안드레아스 샤프
프랭크 클로세
미카엘 엔. 까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706112A external-priority patent/DE19706112C2/de
Application filed by 페터 박커바우어, 안드레아스 샤프, 프랭크 클로세, 미카엘 엔. 까한 filed Critical 페터 박커바우어
Publication of KR2000007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7Separate closure devices for reclosing opened cans or tins, e.g. beer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4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 B65D2517/0041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in the form of a c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06Beverage can, i.e. beer, so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음료수 캔은 몸체 표면에 단단히 고정되고 플랜지 림(3)에 의해 몸체 표면에 고정된 리드(1) 내의 개구를 갖는다. 덮개 캡(8)은 회전 가능하나 제거 불가능한 형태로 이 플랜지 림(3) 상에 배치된다. 덮개 캡(8)은 리드(1) 쪽으로 향해진 2개의 환형 비이드(13, 22)를 가지며, 그의 제2 환형 비이드(22)는 리드(1) 내의 개구(4)와 동일한 편심률을 갖는 개구(12)를 둘러싼다. 제1 환형 비이드(13)는 밀봉 링(16) 및 변형 가능한 팽창부(19)를 포함하는 폐쇄된 영역을 둘러싼다. 따라서, 환형 비이드(13)는 또한 중심 이탈 되게 배치되어서, 덮개 캡(8)이 적절한 회전 위치에 있을 때 환형 비이드(5)를 둘러싼다. 볼록한 팽창부(19)가 영구 오목 위치로 가압된 후, 덮개 캡(8)은 회전될 수 있어서, 덮개 캡(8)은 리드(1) 내의 개구(4)와 정렬된다.

Description

덮개 캡을 갖는 음료수 캔 리드 {DRINKS CAN LID WITH CLOSURE CAP}
본 발명은 플랜지 림에 의해 원통형 음료수 캔 몸체에 고정된 리드와, 중심 이탈 개구와, 전체 리드 위를 덮고 가장자리 비이드에 의해 회전 가능하나 제거 불가능한 형태로 플랜지 림 상에 장착된 덮개 캡을 포함하는 음료수 캔에 관한 것이다.
맥주 및 가장 폭넓은 가능한 범위의 무알콜 음료용으로 제공되는 이러한 형태의 음료수 캔은 리드 내에 미리 스탬핑된 절취 개방 영역과 이 영역에 리벳되고 미리 스탬핑된 영역이 분리되어 떨어질 수 있는 절취 개방형 탭을 갖는다. 일단 개방된 캔이 다시 폐쇄될 수 없는 사실은 이러한 음료수 캔의 경우에 있어서 불리하다.
리드 내에 미리 스탬핑된 절취 개방 영역과 이 영역에 리벳된 절취 개방형 탭을 갖는 처음에 설명된 형태의 음료수 캔은 독일 실용 신안 제82 30 293.6호로부터 알려진다. 이전의 통상의 음료수 캔에 대응하는 이 알려진 음료수 캔의 경우에, 절취 개구가 개방된 후에, 가장자리 비이드를 갖는 덮개 캡은 플랜지 림 상에 클립되고, 이 덮개 캡은 제거 개구(removal opening)와 정렬하는 위치로 될 수 있는 개구를 갖는다. 이러한 형상은 덮개 캡이 클립-온 된 후에 우연히 개방되는 것에 대해서 여전히 미개방된 캔을 보호하거나 또는 이미 개방된 캔을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덮개 캡 내의 개구가 덮개 캡의 회전에 의해 리드 내의 제거 개구에 대하여 오프셋 된 때에도, 음료수 캔의 내용물이 캔의 리드와 클립-온 된 덮개 캡 사이에 놓일 수 있고 덮개 캡 내의 개구로부터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제거 개구 둘레에 어떤 추가의 밀봉 표면도 갖지 않는 클립-온 된 이 덮개 캡은 어떤 것도 흘러나올 수 없도록 이미 개방된 캔을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이 덮개 캡은 벌레의 침투에 대한 또는 잠시 뒤집어진 캔의 경우에는 즉시 흘러나오는 것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것만 가능하나, 캔이 뒤집어진 일정한 상황에 있는 동안 이송하기 위한 누출 방지식 폐쇄는 가능하지 않다. 게다가, 빈 캔의 처분 시에 연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덮개 캡이 별도로 분리 처리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고객에 의해 결과적으로 부과되는 연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덮개 캡의 분리 작업은 캔에 추가하여 덮개 캡을 가져가야만 하기 때문에 취급하기 번거롭다. 만일 이러한 덮개 캡이 제조자에 의해 이미 사용된다면, 덮개 캡은 캔의 개방 전에 먼저 제거되어야만 하고 그리고 다시 클립-온 되어야 하는데, 이는 번거로운 일이다. 게다가, 연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덮개 캡의 제조는 대규모 생산에서 효율적으로 생산되고 알루미늄 판으로 이루어진 음료수 캔에 있어서 비용이 많이 든다.
영국 특허 제607 139호는 용기의 리드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 캡 사이에 연한 탄성 삽입체가 제공되고, 또한 덮개 캡 내의 개구와 정렬된 개구를 가지며 이 위치에서 덮개 캡의 내향으로 당겨진 림에 의해 보유되는 용기용 덮개를 개시한다. 이러한 덮개는 과립형 또는 분말형의 내용물에 매우 적합하고, 액체 내용물의 경우에서도 이들이 흘러나가는 것을 대부분 방지하지만, 맥주 또는 콜라 캔의 경우에서와 같이 가압 하에 있는 음료수 캔에 대하여 원래의 상태에서 캔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데, 이는 이러한 밀봉이 상기 압력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덮개는 그 후 음료수 캔에 또한 적용될 수 있어, 이는 그 앞에서 설명된 단점과 다시 한번 더 관련된다.
프랑스 특허 제23 44 465호는 분말형 또는 과립형의 내용물, 예로써 식용 식물 또는 양념을 위한 용기를 개시한 것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원통형 부착부를 갖는 용기 리드는 원통형 용기 내에 가압될 수 있고 거기에 고정될 수 있으며, 용기 리드는 돌려지고 용기 리드 상에 놓인 덮개 리드가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홈을 갖는 림을 갖는다. 용기 리드는 밀봉 립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이탈 개구를 갖고, 밀봉 립은 용기 리드의 상부 표면을 지나서 조금 돌출하여서 덮개 리드의 내부 표면에 대해 가압된다. 비록 이 덮개가 분말 매개물에는 적절하더라도, 용기 리드와 용기 몸체 사이의 연결이 압력 누출 방지식 연결용으로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는 압력 상태에서 액체 매개물에 대해서는 적합하지 않다. 게다가, 이러한 용기 리드는 통상의 절취 개방형 음료수 캔이 플랜지 연결에 의해 캔의 몸체에 영구 연결되는 리드를 갖기 때문에 그 결과 절취 개방형 음료수 캔의 경우에는 적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설명된 전형적인 실시예를 사용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음료수 캔 리드를 상부에서 본 도면이다.
도2는 상기 리드의 단면도이다.
도3은 음료수 캔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덮개 캡의 평면도이다.
도4는 상기 덮개 캡의 단면도이다.
도5는 도3에서 선 V-V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6은 음료수 캔의 초기 폐쇄 및 밀봉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2 실시예의 덮개 캡을 갖는 본 발명의 음료수 캔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7은 밀봉부는 개방되었으나 음료수 캔 리드의 개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6에 대응하는 음료수 캔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8은 음료수 캔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6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9는 전형적인 제3 실시예의 음료수 캔의 리드 측의 평면도이다.
도10은 도9에서 선 X-X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11은 도9에서 선 XI-XI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캔의 덮개 캡의 평면도이다.
도13은 도12에서 선 XⅢ-XⅢ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14는 도12에서 선 XⅣ-XⅣ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15는 도12에서 선 XⅣ-XⅣ에 대응하는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3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캔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5에 대해 수직으로 놓여진 평면에서 음료수 캔의 상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7은 개방 상태 동안의 음료수 캔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18은 도17에 대해 수직으로 놓여진 평면에서 음료수 캔의 상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생산 비용을 가지고서 개방 및 재폐쇄에 관한 사용상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을 구비하는 음료수 캔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캔은 흘러나가는 내용물에 대한 안전성을 완전히 보장하고, 특히 재폐쇄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어떤 다음의 덮개 캡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캔의 개방을 위한 절취 개방용 탭 없이도 수행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처음에 설명된 형태에 대응하는 음료수 캔에 기초하여, 2개의 가능성이 제공된다.
제1 가능성은 리드 내의 개구가 원추형 플랭크를 갖는 환형 비이드에 의해 둘러싸이며, 덮개 캡이 리드 내의 개구와 정렬될 수 있는 중심 이탈 개구를 가지며, 덮개 캡이 리드 쪽을 향하고 원추형 플랭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심 이탈 환형 비이드를 갖고 밀봉 링을 둘러싸고 리드의 방향으로 밀봉 링에 대해 돌출되며, 덮개 캡의 적절한 회전 위치가 주어지면 밀봉 링이 누출 방지식으로 그리고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의 정점 상에 예비 장력을 가지고 놓이며, 단지 하나의 환형 비이드가 구성된 경우에, 이는 밀봉 링과 밀봉 링 내에 놓여진 폐쇄된 영역을 둘러싸고, 덮개 캡의 폐쇄 위치에서 밀봉 링이 누출 방지식으로 그리고 리드(1) 내의 개구(4)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5)의 정점 상에 예비 장력을 가지고 놓이며, 덮개 캡의 중심 영역에서 리드 내의 래칭 공동 내에 결합하는 래칭 캠이 구성되며, 덮개 캡이 회전될 때 래칭 캠이 래칭 공동과 함께 작동하고, 그리하여, 고정된 가장자리 비이드에 의해 둘러싸인 덮개 캡의 내부 영역을, 상기 영역이 탄력적으로 외향 굴곡되고 밀봉 링이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 없이 나타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결책의 경우, 덮개 캡 회전의 초기에, 래칭 공동 내에 결합하고 래칭 공동 상에서 상향으로 제어되는 래칭 캠의 배열 때문에, 덮개 캡은 외향으로 굴곡되어, 그 결과 리드 내의 개구, 특히 밀봉 링을 폐쇄하는 영역은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에서 떨어져 특히 큰 정도로 들어올려져서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와 폐쇄된 영역 및 덮개 캡 내의 밀봉 링을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가 서로 인접하지 않아, 즉 이들 비이드 플랭크와 서로에 대해 마찰되지 않는다. 이는 리드 및 덮개 캡 모두가 금속으로 이루어질 때 특히 중요하다. 덮개 캡의 들어올림 없는 상호 마찰 운동은 음료시 금속성 맛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와 덮개 캡 내의 밀봉 표면을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는 리드의 환형 비이드가 밀봉 링에 대하여 큰 힘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덮개 캡의 어떤 팽창도 없이 발생될 수 있는 음료수 캔 내의 내부 압력과 환형 비이드와 밀봉 링 사이의 누출 때문에 이들 영역을 강화시키는데 이용된다. 폐쇄된 영역의 특별 구조 없이, 본 발명의 이러한 기본적인 형상은 폐쇄 위치의 어떤 형태의 밀봉도 포함되지 않는 이들 음료수 캔을 위해서만 추천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만일 폐쇄 위치의 보호가 처음 개방이 나중에 감지될 수 있는 범위까지 요구되면, 본 발명의 추가 개량이 추천되는데, 폐쇄 위치에서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를 둘러싸는 덮개 캡의 환형 비이드가 밀봉 링에 의해 형성된 폐쇄된 영역과 밀봉 링 내에 위치된 변형 가능한 팽창부를 둘러싸고, 처음으로 음료수 캔을 개방하기 위하여 팽창부가 그의 볼록면 위치에서 영구 오목면 위치로 가압될 수 있고, 이는 볼록면에서 오목면 위치로 변화하는 동안 상기 밀봉 링이 팽창부의 오목면 위치 내에 환형 비이드의 정점 상에 예비 장력을 가지고 다시 놓이도록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의 정점 없이 간단히 나타나는 경우이다.
팽창부의 영구 오목면 위치는 음료수 캔이 이미 한번 개방되었던 것을 발견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서로로부터 2개의 비이드 정점의 간단한 상호 제거, 즉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로부터 밀봉 링의 관련된 단순한 제거는 폐쇄 위치를 더 잘 보호하기 위하여 캔 내의 우세한 가스 압력의 유출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환형 비이드에 밀봉 링을 접착하기 위한 예비 조건을 형성한다. 팽창부 가압의 결과, 이 접착된 연결은 파손되고, 이는 이러한 팽창부가 없는 음료수 캔의 형상이 덮개 캡을 회전시킴으로써만 음료수 캔을 개방할 때 상당한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접착된 연결은 회전 운동에 상당한 저항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은 리드 및 덮개 캡 둘 모두에서, 음료수 캔의 내부를 향하고 원형 형상에서 벗어난 압흔(impression)에 의해 형성된 래칭 캠 및 래칭 공동을 포함하고, 이들 압흔은 덮개 캡의 폐쇄 위치에서 서로 결합한다.
본 발명의 개선에서, 만일 리드 내의 래칭 공동이 리드 표면을 지나 외향 돌출된 림에 의해 둘러싸이면, 덮개 캡이 회전될 때, 덮개 캡은 특히 리드에서 떨어진 큰 거리까지 들어올려져서, 그 결과 2개 환형 비이드의 상호 마찰이 확실히 회피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처음에 언급된 목적을 이루기 위한 제2 가능성은, 처음에 설명된 형태의 음료수 캔에 기초하여, 리드 내의 개구가 원추형 비이드 플랭크를 갖는 환형 비이드에 의해 둘러싸이며, 덮개 캡이 리드 내의 개구와 정렬될 수 있는 중심 이탈 개구를 가지며, 덮개 캡이 리드 쪽을 향하고 원추형 비이드 플랭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심 이탈 환형 비이드를 갖고, 내부 비이드 플랭크로부터 시작하는 각각의 경우에 환형 비이드 내에 편평한 밀봉 링이 인접하고 덮개 캡의 적절한 회전 위치가 주어지면 누출 방지식으로 그리고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의 정점 상에 예비 장력을 가지고 놓이며, 단지 하나의 환형 비이드가 구성된 경우에, 이는 밀봉 링과 밀봉 링 내에 위치된 변형 가능한 팽창부에 의해 형성된 폐쇄된 영역을 둘러싸며, 폐쇄 위치에서 덮개 캡 내의 환형 비이드는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리드 내의 환형 비이드를 둘러싸고 밀봉 링이 누출 방지식으로 그리고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의 정점 상에 예비 장력을 가지고 놓이며, 처음으로 음료수 캔을 개방하기 위하여 팽창부가 그의 볼록면 위치에서 영구 오목면 위치로 가압될 수 있고, 이는 볼록면에서 오목면 위치로 변화하는 동안 밀봉 링이 오목면 위치 내의 비이드 정점 상에 예비 장력을 가지고 다시 놓이도록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의 정점 없이 간단히 나타나는 경우이며, 덮개 캡 내의 환형 비이드가 밀봉 링을 지나서 리드의 방향으로 돌출하며, 환형 비이드가 구성된 덮개 캡의 영역은 덮개 캡의 고정된 가장자리 비이드에 대해 탄력성 있게 굴곡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변형 가능한 팽창부의 가압에 의해 음료수 캔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고, 스냅-인 운동은 밀봉 링이 리드의 환형 비이드가 없이 간단히 나타나도록 하여 가압에 의해 개시되고, 그 결과 음료수 캔 내의 정압은 유출되고 덮개 캡은 덮개 캡 내의 개구가 리드 내의 개구와 정렬하는 위치로 회전된다. 음료수의 원하는 양을 제거한 후, 음료수 캔은 덮개 캡의 회전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변형 가능한 팽창부를 갖는 환형 비이드가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 위에 눌려지고 이 환형 비이드를 둘러쌀 때까지, 즉 덮개 캡이 다시 원래의 폐쇄 위치 내에 구비된 그의 회전 위치 또는 폐쇄 위치를 취할 때까지 수행된다. 밀봉 링은 리드의 환형 비이드 상의 예비 장력 상태에서 그의 밀봉 표면과 함께 놓이고, 그 결과 리드 내의 개구는 다시 폐쇄된다. 밀봉 표면이 덮개 캡의 밀봉 링 상에 구성되기 때문에, 이는 덮개 캡의 회전 동안 리드의 환형 비이드에서 떨어져 들어올려지고, 환형 비이드들이 서로의 위에서 눌려지는 결과, 가능한 마찰력으로 인한 이 밀봉 표면의 변형이 회피됨으로써, 밀봉 표면은 음료수 캔이 여러 번 개봉된 후에도 그의 내구성을 유지한다. 이는 밀봉 링에 밀봉 요소가 구비될 때 특히 중요하며, 이들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중합체 재료로 구성된다.
비록 원하는 기능이 밀봉 링 및 폐쇄된 영역을 둘러싸는 덮개 캡 내의 환형 비이드 하나만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추가의 개선으로 각 경우 내부에 위치된 밀봉 링을 갖는 2개의 환형 비이드의 경우에, 밀봉 링을 갖는 제2 환형 비이드는 덮개 캡 내의 개구를 둘러싼다면 이는 유리하다. 이 형상은 캔이 개방된 때 리드 내의 개방 림이 밀봉 링에 의해 둘러싸이는 장점을 갖고, 이 밀봉 링은 이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 때문에 비교적 큰 예비 장력으로 리드에 대해 가압될 수 있어서, 액체가 음료수 캔으로부터 흘러나올 때, 상기 액체는 리드와 덮개 캡 사이에 있을 수 없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선으로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제2 환형 비이드가 리드 내에 구성되면 이는 유리하다. 이 방법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 덮개 캡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는 내부에 인접한 그의 밀봉 링 표면과 함께 리드 내의 이러한 제2 환형 비이드 상에 놓을 수 있고, 그 결과 리드와 덮개 캡 사이에 스며든 어떤 액체도 에워싸여지고 덮개 캡 내의 개구로부터 빠져 나올 수 없다. 게다가, 폐쇄 위치에서 덮개 캡이 리드에 대해 균일하게 지지되는 것이 보장되어서,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를 들어올리는 밀봉 링 표면으로 유도하는 덮개 캡의 어떤 변형도 회피된다. 물론, 이 경우에 제2 환형 비이드는 덮개 캡의 적절한 회전 위치가 주어지면, 덮개 캡의 2개의 환형 비이드의 각각과 함께 작동할 수 있고 덮개 캡의 다른 환형 비이드가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와 정렬할 때 덮개 캡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와 정렬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선으로 덮개 캡이 원추형으로 외향 확장된 가장자리 비이드를 갖는 판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가장자리 비이드의 외부 자유 플랭크는 음료수 캔의 플랜지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면, 이 방법에 의해 얇은 벽을 갖는 덮개 캡을 사용할 때 적절한 예비 장력이 얻어지고, 이는 리드의 환형 비이드에 대해 대응 환형 비이드 내에 위치되는 밀봉 링을 가압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이 예비 장력은 본 발명의 추가의 개선으로, 덮개 캡의 바닥이 음료수 캔의 리드의 방향으로 미세하게 굴곡되어 더 지지될 수 있다.
변형 가능한 팽창부 내에 가압될 때 그리고 서로 결합한 환형 비이드의 상호 회전 동안 이들 환형 비이드 운동의 필요한 자유로움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개선에서, 환형 비이드를 수용하는 각각의 탄력성 있게 구성된 영역이 덮개 캡 내의 슬릿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획되고, 이들 슬릿은 각각의 환형 비이드로부터 일정 거리로 연장하고 덮개 캡의 가장자리 비이드의 내부 원추형 플랭크로부터 시작하여 덮개 캡 크기의 일부 위에 연장하도록 준비된다.
만일 환형 비이드에 각 환형 비이드의 대향 측면 상에 경면상 형태로 위치된 2개의 슬릿이 할당되면 이는 충분하다.
슬릿의 구조는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덮개 캡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다른 한편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덮개 캡의 경우에 슬릿 대신에 깊은 홈으로 해나갈 수도 있다.
환형 비이드를 수용하는 영역의 적절한 탄력성 작용은 슬릿 또는 홈이 환형 비이드의 접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가에 따라 발생한다.
본 발명의 개선에서, 덮개 캡의 각 환형 비이드가 리드의 환형 비이드를 둘러싸는 덮개 캡의 적절한 회전 위치에서, 덮개 캡 내에 구성된 환형 비이드의 내부 플랭크는 리드에 할당된 환형 비이드의 외부 플랭크 상에 가깝게 놓이면, 특히 벽이 얇은 덮개 캡의 경우에 리드의 환형 비이드 상의 밀봉 링의 가압 작용은 증가된다. 게다가, 이 방법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서 각 회전 위치는 적절히 고정되고, 이러한 고정된 위치는 덮개 캡의 각 환형 비이드가 이격되어 리드의 환형 비이드를 둘러싸면 정확히 제공되지 않는다.
특히 유리한 개선은 리드 및 덮개 캡 내의 개구 둘과 환형 비이드 모두가 원형 형상에서 벗어난 주연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콩팥 형상인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팽창부가 가압될 때, 예리한 스냅 효과와 그에 따라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에 떨어져 덮개 캡의 밀봉 링을 확실히 들어올리는 것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이는 넓은 개구를 가져오고, 가장자리 비이드와 관련된 개구의 영역은 큰 길이에 걸쳐 이 가장자리 비이드에 평행하게 연장하여, 이러한 캔으로 음료하는 것이 용이하다.
유리한 형상은 모든 환형 비이드가 원형의 주연을 갖는 데 특징지어진다.
비록 환형 비이드가 서로에 관하여 어떤 원하는 각위치를 가정하더라도, 시각적인 근거에서, 덮개 캡의 환형 비이드 및 리드의 환형 비이드가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 위치되는 것은 추천될 것이 확실하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동일하게 큰 탄력성을 갖는 영역은 각 환형 비이드에 할당될 수도 있다.
밀봉 링의 밀봉 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밀봉링에는 밀봉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고무 링 또는 탄력성을 갖는 플라스틱 링이 이에 적합하고, 이들은 덮개 캡에 접착될 수 있다.
음료수 캔을 개방할 때 손쉬운 취급이 덮개 캡의 제1 비이드 링 내의 팽창부가 구형 돔 영역으로 구성된 사실에 의해 보장된다.
개방 상태에서 리드와 덮개 캡 사이의 적절한 밀봉 가능성은, 본 발명의 개선에서, 리드 내의 개구와 덮개 캡 내의 개구 원래 일치한다면 발생한다.
본 발명의 개선에서, 만일 덮개 캡과 리드가 동일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구성되면 제조가 단순해진다.
특히, 도1 내지 도5와 관련하여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 림(3)에 의해 이 음료수 캔의 몸체(2)에 고정된 이 리드(1)는 원추형 플랭크(6, 7)를 갖는 환형 비이드(5)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이탈된 개구(4)를 갖는다.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6 내지 도8과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드를 완전히 폐쇄하는 덮개 캡(8)은 리드(1) 위에 배치된다. 덮개 캡(8)은 판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고, 원추형으로 외향 확장된 가장자리 비이드(9)를 가지며, 가장자리 비이드(9)의 외부 자유 플랭크(10)는 덮개 캡(8)이 리드(1)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나 들어올려질 수 없는 이러한 방식으로 리드의 플랜지 림(3) 둘레에 플랜지 된다. 가장자리 비이드(9)의 내부 원추형 플랭크(11)는 덮개 캡(8)이 경도를 갖는데 상당히 기여한다.
덮개 캡(8)에는 덮개 캡의 적절한 회전 위치가 주어지면 음료수 캔의 리드(1) 내의 개구(4)와 정렬될 수 있는 즉, 동일한 편심량을 갖는 중심 이탈된 개구(12)가 구비된다. 또한, 덮개 캡(8)은 조립된 상태에서 리드 쪽을 향하고 원추형 플랭크(14, 15)를 갖는 (도4의) 환형 비이드(13)를 갖는다. 이 환형 비이드(13)는 편평한 링으로서 환형 비이드(13)의 내부에 구성되고 덮개 캡의 바닥(17)의 평면 내에 위치된 밀봉 링(16)을 둘러싼다. 조립된 상태에서 리드(1)를 향하는 측에서, 밀봉 링(16)에는 예를 들어, 밀봉 링(16)의 밑면에 접착함으로써 고정된 탄성 밀봉 요소(18)가 구비된다. 그의 내부 가장자리 상에, 밀봉 링(16)은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음료수 캔의 폐쇄 위치에서 볼록면의 구형 돔 영역의 형상을 갖는 팽창부(19)에 단일편으로 연결된다.
도6으로부터 알려진 음료수 캔의 폐쇄 및 밀봉된 상태에서, 폐쇄 상태에 대한 실시예들 사이에는 차이가 없는데, 환형 비이드(13)는 환형 비이드(5)를 둘러싸서 환형 비이드(5)의 외부 플랭크(7) 상의 내부 플랭크(15)와 가까이 놓인다. 밀봉 요소(18)는 누출 방지식으로 환형 비이드(5)의 정점 상에 예비 장력 하에 놓인다. 이 예비 장력은 가장자리 비이드(9)의 내부 플랭크(11)의 원추형 형상에 의해 원래부터 이루어진다. 이에 더하여, 덮개 캡의 바닥(17)은 이 예비 장력을 더 강화하기 위하여, 리드(1)의 방향으로 아주 작게 굴곡될 수 있다. 또한, 음료수 캔 내의 내부 압력은 밀봉 요소(18) 및 환형 비이드(5)를 서로에 대해 가압한다.
음료수 캔을 개방하기 위하여, 팽창부(19)는 가압에 의해 그의 볼록면 위치에서 영구 오목면 위치로 바뀌는데, 영구 오목면 위치는 편평한 중간 위치를 통하여 이 팽창부(19)의 변화 동안에 밀봉 링(16)의 중간 들어올림으로 이어지고, 따라서 리드 내의 개구(4)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5)의 정점에서 떨어져 밀봉 요소(18)를 들어올린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음료수 캔 내의 가압된 가스는 유출될 수 있고, 그 결과 음료수 캔의 리드(1)는 이러한 큰 힘에 의해 더 이상 상향으로 가압되지 않아서, 환형 비이드(5)의 정점과 밀봉 링(16)의 밀봉 요소(18) 사이의 접촉 압력은 이제 덮개 캡(8)에 의해 발생되는 예비 장력에 단지 제한된다. 팽창부(19)의 하향 가압 동안, 이 팽창부가 편평한 중간 위치를 통하여 지나가는 순간에, 밀봉 링(16)이 기울어져 상승될 뿐만 아니라, 이 작용은 환형 비이드(13)의 기울어짐 및 비틀어짐으로 유도하며, 이는 만일 환형 비이드(13) 둘레의 영역이 탄력성 있게 유연해지도록 구성되면 단지 가능하다. 팽창부(19)가 그의 낮은 영구 오목면 위치에 있을 때, 도7로부터 나타난 바와 같이, 환형 비이드(13) 및 밀봉 링(16)은 이들을 수용하는 영역의 탄력성 때문에 밀봉 링(16)이 리드의 환형 비이드(5) 상에 예비 장력을 가지고 놓여지는 위치에 다시 나타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밀봉은 제거되나, 캔은 여전히 폐쇄되어 있다.
이러한 필요한 탄력성을 얻기 위하여,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덮개 캡에는, 도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우에 2개의 평행한 슬릿이 하나의 환형 비이드에 할당되는 방법으로 배치된 슬릿(20) 또는 홈(21)이 구비된다. 도3에서, 비록 도6 내지 도8에 의한 제2 실시예와는 달리 개구(12)가 환형 비이드와 함께 구비되지 않더라도, 일정한 탄력성은 개구(12)를 둘러싸는 림이 음료수 캔의 개방 위치에서 환형 비이드(5)의 정점 상에 놓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또한 필요하고, 그렇지 않으면 액체가 리드와 덮개 캡 사이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예비 장력을 가지고 밀봉 방식으로 거기에 놓여있어야 한다. 4개의 슬릿은 가장자리 비이드(9)의 원추형 플랭크(11)의 낮은 영역에서부터 시작하여 개구(12) 또는 환형 비이드(5)로부터 충분히 큰 거리로 이격하여 이어지고, 덮개 캡의 원형 바닥(17)의 현의 대략 1/4 이상으로 연장된다.
도5는 연속선을 사용한 홈(21)과 점선을 사용한 슬릿(20)을 도시한다. 이러한 홈은 환형 비이드 또는 개구를 둘러싸는 영역의 탄력성을 얻기 위하여 만일 덮개 캡이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면 가능하여, 홈(21)에 의해 연약해진 영역은 원래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반해서, 만일 덮개 캡이 금속으로 만들어지면, 슬릿(20)을 구비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러한 형태의 슬릿 배치는 비록 이것이 단면도이기 때문에 도면으로부터 취해질 수 없더라도 도6 내지 도8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경우에도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팽창부(19)에 의해 에워싸인 영역이 환형 비이드(13)에 의해 둘러싸일 뿐만 아니라 개구(12)가 원추형 비이드 플랭크(23, 24)를 갖는 환형 비이드(22)에 의해서도 둘러싸인다는 사실에서 (도1 내지 도5의)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도6은 음료수 캔의 폐쇄 및 밀봉 상태, 즉 음료수 캔이 아직 개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밀봉 링(16)은 환형 비이드(5)의 정점 상에 그의 밀봉 요소(18)와 함께 놓여있다. 변형 가능한 팽창부(19)는 여전히 그의 볼록한 형상을 갖고, 밀봉 링은 덮개 캡(8) 바닥의 예비 장력 때문에 환형 비이드(5)에 대하여 가압될 뿐만 아니라, 이들 상호간의 압력은 음료수 캔 내의 우세한 내부 압력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음료수 캔을 개방하기 위하여,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도7에 따라서, 변형 가능한 팽창부(19)가 영구 오목면 위치로 가압되고, 그 결과 볼록한 형상에서 오목한 형상으로 변화하는 동안에 밀봉 링(16)은 환형 비이드(5)의 정점으로부터 간단히 들어올려진다. 이러한 과정 동안, 가스는 음료수 캔으로부터 유출되고, 그 결과 밀봉 링(16)은 환형 비이드(5)에 대해 그렇게 강하게 더 이상 가압되지 않는다. 도7에 도시된 이러한 경우에, 덮개 캡(8)은 이제 회전되어, 슬릿(20)에 의해 탄력성을 갖도록 구성되고 환형 비이드(13)를 둘러싸는 바닥(17) 영역은 동시에 발생하는 환형 비이드(5, 13)의 상호 이동의 결과로서 들어올려진다. 이 경우, 경사진 비이드 플랭크(15, 7)는 서로에 대해서 활주하여서 덮개 캡(8)의 탄력성을 갖게 구성된 바닥(17)의 들어올림을 이룬다. 만일 2개의 비이드 링(13, 22)이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 위치되어 있으면, 덮개 캡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이탈 개구(12)가 음료수 캔의 리드(1) 내의 개구(4) 위에 놓여지도록 하기 위하여 180도 회전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방 위치에서, 환형 비이드(22)는 환형 비이드(5)를 둘러싸고 환형 비이드(5)의 외부 플랭크(7) 상에 그의 내부 플랭크(23)가 함께 놓여진다. 환형 비이드(22)는 개구(12)만큼 멀리 완전히 도달하지 않아서, 밀봉 링(16)에 대응하는 밀봉 링(25)은 남아있고, 환형 비이드(5)의 정점 상에 누출 방지식으로 놓여 있고, 극히 얇아서 도면에서 도시될 수 없는 밀봉 요소(26)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환형 비이드(22)의 배치의 결과로서, 밀봉 링(25)은 안정화되고, 그 결과 이는 비이드 링(5)의 정점 상에 그의 밀봉 요소(26)에 의해 누출 방지식으로 그리고 예비 장력과 함께 놓여 있고, 그 결과 개구(12)가 환형 비이드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제1 실시예의 경우보다 나은 밀봉을 얻는다. 이 개방된 위치로부터, 덮개 캡(8)은 도7로부터 알 수 있는 폐쇄 위치로 다시 회전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비록 팽창부(19)가 이미 하방으로 영구 가압되어 있더라도, 바닥(17)의 예비 장력은 밀봉 요소(18)에 의해 환형 비이드(5)의 정점에 대하여 단단히 밀봉 링(16)을 가압하기에 충분하고, 따라서, 내용물의 일부가 개구에 이어서 제거되기만 하면 음료수 캔을 폐쇄하게 된다.
각각의 경우에 환형 비이드(13, 22)가 도6에 의한 위치의 밖으로 덮개 캡(8) 회전의 경우에 환형 비이드(5) 위에서 활주하여 도8에 의한 위치로 그리고 도7에 의한 위치로 다시 복귀하기 때문에, 그 결과 덮개 캡(8)의 바닥(17)이 들어올려져, 이는 밀봉 요소(18 또는 26)가 환형 비이드(5)의 정점에서 떨어져 들어올려지는 것을 보장하고, 따라서, 덮개 캡이 회전될 때 어떤 전단 작용도 받지 않아 밀봉 표면 또는 대응 밀봉 요소를 보호한다. 이는 개구(12)가 개구(4)에서의 경우와 같이 음료수 캔의 주축에 대해 동일한 편심량을 갖는 것뿐만 아니라 팽창부(19)에 의해 폐쇄된 영역이 동일한 편심량을 가진다는 이전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어서, 그 결과 음료수 캔의 리드(1) 내의 개구(4)는 환형 비이드(13) 내에 위치된 이 영역에 의해 특히 밀봉 링(16)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도9 내지 도18은 본 발명의 양호한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 내지 도8에 의한 제1 실시예와 일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동일한 참고 부호가 제공된다.
제1 실시예와의 중요한 차이는 래칭 공동(29)이 리드(1)의 중심 영역 내에 구성되고, 래칭 캠(28)이 덮개 캡(8)의 중심 영역 내에 구성된 것이다. 래칭 캠 및 래칭 공동은 둥근 단부를 갖는 홈통 형상의 구조인 압흔(27, 30)에 의해 각각 형성되어, 덮개 캡(8) 내의 래칭 캠(28)은 명확하게 잠기는 방식으로 폐쇄 위치일 때 리드(1)의 래칭 공동(29) 내에 끼워진다. 폐쇄 위치에서 서로에 대한 이러한 끼워 맞춤은 도15 및 도16에서 도시될 수 있다. 리드(1) 내의 래칭 공동(29)은 캔 내부의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측벽(31)과, 캔 내부의 방향으로 역시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둥근 전방벽(32)을 갖는다. 덮개 캡(8) 내의 래칭 캠(28)은 캔 내부의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측벽(33)과, 내향으로 역시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둥근 전방벽(34)을 갖는다. 양 압흔(캠 및 공동)의 경우에서, 측벽 및 전방벽은 각각 편평한 바닥(35, 36)으로 대략 작은 전이 반경을 가지고 병합된다.
이들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벽 때문에, 덮개 캡(8)이 리드(1)에 대해 회전될 때, 상호 접촉하는 벽들이 이 회전 운동 동안에 서로에게 놓여진 2개의 쐐기 영역과 유사하게 변위되므로 덮개 캡이 들어올려지며, 이는 압흔의 둥근 전방 단부에 의해 발생된다. 대체로, 개구(4)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5)로부터 밀봉 링(16)을 들어올리는 것이 함께 작동하는 래칭 캠(27, 28)으로 인해 덮개 캡(8)을 들어올리는 결과로서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팽창부(19) 없이 수행할 수 있으나,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의 경우에, 팽창부(19)는 아래에 설명되는 이유로 유지된다. 이는 처음 2개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만일 팽창부(19)가 존재하지 않아서 이것이 영구 변형되지 않으면, 음료수 캔이 이미 한번 개방되었는지는 덮개 캡으로부터 알 수 없다. 따라서, 원래의 폐쇄된 상태에서, 그의 밀봉 요소(18)를 갖는 밀봉 링(16)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접착제에 의해 환형 비이드(5) 상에 단단히 접착된다. 이러한 접착된 연결이 너무 큰 저항력으로 덮개 캡의 회전을 방해하여서 덮개 캡은 회전될 수 없고 음료수 캔은 개방될 수 없다. 개방하기 위하여, 팽창부(19)는 내향으로 영구 변형, 즉 영구 오목 형상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도1 내지 도8에 의한 전형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영역은 간단히 들어올려지고, 그 결과 밀봉 링(16) 및 단단히 고정된 밀봉 요소(18)는 환형 비이드(5) 없이 나타난다. 이 다음에, 덮개 캡(8)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회전될 수 있다. 리드(1)를 덮는 그 영역 내의 덮개 캡을 들어올리는 것은 도17에 나타난 것처럼 바닥(36)이 래칭 공동(29)을 둘러싸고 돌출된 림(37) 상에 놓여있기 때문에 전체 회전 운동 동안에 유지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밀봉 요소의 마모는 회전 운동 동안에 확실히 방지되고, 그 결과 음료수 캔은 원하는 만큼 자주 다시 폐쇄 및 개방될 수 있다. 개방 운동 동안에 밀봉 링(16)의 밀봉 요소(18)와 환형 비이드(5) 사이의 어떤 마찰 운동 없이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환형 비이드(5)로부터 극소의 미세한 금속 입자의 마멸이 회피되고, 그 결과 음료수 캔 내에 수용된 액체의 어떤 맛의 손상이 회피된다.
제3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 개구(4)는 더 이상 처음 2개의 전형적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원형이 아니고, 콩팥의 형상, 즉 그의 기본적인 형상으로 타원 구조이다. 따라서, 개구(4)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5)는 필연적으로 콩팥의 형상이 되도록 또한 구성되고, 게다가, 팽창부(19)와 팽창부(19)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13) 또한 콩팥 형상의 구조이다. 이러한 형상은 변형되기 쉬운 팽창부(19)로 이어지고 팽창부(19)가 가압되는 동안에 환형 비이드(5)로부터 밀봉 링(16)의 보다 뚜렷한 들어올리기 운동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접착에 의해 제조된 폐쇄 위치의 밀봉은 보다 쉽게 제거된다. 제1 개구에 이어서 팽창부(19)의 영구 가압된 위치는 캔이 이미 한번 개방된 것을 확실히 나타낸다. 이는 팽창부(19)의 외향하는 형상이 주어진 음료수 캔이 그의 원래 폐쇄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신할 수 있는 사용자를 안심시키는데 기여한다. 개구(4)의 콩팥 형상의 결과는 개구의 매우 큰 가장자리 영역이 가장자리 비이드(9)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어서, 유리 잔 또는 컵으로 음료할 때와 같은 조건이 이제 제공되기 때문에 이 음료수 캔으로 음료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환형 비이드(13)를 둘러싸는 영역 내에 덮개 캡의 더 나은 탄력성을 야기하도록 슬릿(20)은 제3 실시예의 경우에도 구비된다.
비록 이는 기본적인 기능을 위해 엄밀히 필요하지는 않더라도, 환형 비이드(5)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 위치되고 환형 비이드(5)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환형 비이드(5)에 대해 경면상 형태로 위치된 제2 환형 비이드(5')가 리드(1) 내에 구성된다. 이는 리드(1)의 향상된 안정성으로 이어진다.
게다가, 덮개 캡(8)의 개방된 위치에서, 밀봉 링(16)은 이러한 제2 환형 비이드(5') 상에 놓이도록 되고, 이는 개방된 상태에서 덮개 캡의 어떠한 변형도 피하고, 덮개 캡의 개방된 위치에서 환형 비이드(5)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는 덮개 캡(8)내의 개구(12)를 둘러싸는 밀봉 요소(38)로 이어질 수 있어, 그 결과 액체는 리드와 덮개 캡 사이에 스며들려고 한다. 음료수 캔의 이어지는 폐쇄 동안에 리드(1)와 덮개 캡(8) 사이에 위치된 이 액체는 덮개 캡 내의 개구(12)의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어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다. 만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액체가 리드(1)와 덮개 캡(8) 사이에 있다면, 이 액체는 환형 비이드(5') 상에 놓인 밀봉 요소(38)에 의해 발생되는 밀봉에 의해 유출이 방지된다.
덮개 캡(8)의 환형 비이드(13, 22)는 서로 동일하며 서로에 대해 경면상 형태로 구성되어, 리드(1)의 환형 비이드(5, 5')와 동일한 방식으로 특정되고, 그 결과 폐쇄 위치에서, 환형 비이드(5, 13) 및 환형 비이드(5', 22)는 함께 작동하고, 개방된 위치에서는 환형 비이드(5, 22) 및 환형 비이드(5', 13)가 함께 작동한다.

Claims (21)

  1. 플랜지 림(3)에 의해 원통형 음료수 캔 몸체(2)에 고정된 리드(1)와, 중심 이탈 개구(4)와, 전체 리드(1) 위를 덮고 가장자리 비이드(9)에 의해 회전 가능하지만 제거 불가능한 형태로 플랜지 림(3) 상에 장착된 덮개 캡(8)을 포함하는 음료수 캔에 있어서,
    상기 리드(1) 내의 개구(4)는 원추형 비이드 플랭크(6, 7)를 갖는 환형 비이드(5)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덮개 캡(8)은 리드(1) 내의 개구(4)와 정렬될 수 있는 중심 이탈 개구(12)를 가지며,
    상기 덮개 캡(8)은 리드(1) 쪽을 향하고 원추형 비이드 플랭크(14, 15)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심 이탈 환형 비이드(13)를 갖고 밀봉 링(16, 26)을 둘러싸고 리드(1)의 방향으로 밀봉 링에 대해 돌출되며,
    덮개 캡(8)의 적절한 회전 위치가 주어지면 밀봉 링(16, 25)은 누출 방지식으로 그리고 리드(1) 내의 개구(4)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5)의 정점 상에 예비 장력을 가지고 놓이며,
    단지 하나의 환형 비이드(13)가 구성된 경우에, 이는 밀봉 링(16)과 밀봉 링 내에 놓여진 폐쇄된 영역을 둘러싸고, 덮개 캡(8)의 폐쇄 위치에서 밀봉 링(16)은 누출 방지식으로 그리고 리드 내의 개구(4)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5)의 정점 상에 예비 장력을 가지고 놓이며,
    덮개 캡(8)의 중심 영역에서 리드(1) 내의 래칭 공동(29) 내에 결합하는 래칭 캠(28)이 구성되며,
    덮개 캡(8)이 회전될 때 래칭 캠(28)은 래칭 공동(29)과 함께 작동하여, 고정된 가장자리 비이드에 의해 둘러싸인 덮개 캡(8)의 내부 영역을, 상기 영역이 탄력적으로 외향 굴곡되고 밀봉 링(16)이 개구(4)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5) 없이 나타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2. 제1항에 있어서, 폐쇄 위치에서 리드(1) 내의 개구(4)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5)를 둘러싸는 덮개 캡(8)의 환형 비이드(13)는 밀봉 링(16) 및 밀봉 링(16) 내에 위치된 변형 가능한 팽창부(19)에 의해 형성된 폐쇄된 영역을 둘러싸고, 처음으로 음료수 캔을 개방하기 위하여 팽창부(19)는 그의 볼록면 위치에서 영구 오목면 위치로 가압될 수 있고, 이는 볼록면에서 오목면 위치로 변화하는 동안 상기 밀봉 링(16)이 팽창부(19)의 오목면 위치 내에 환형 비이드(5)의 정점 상에 예비 장력을 가지고 다시 놓이도록 리드(1) 내의 개구(4)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5)의 정점 없이 간단히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래칭 캠(28) 및 래칭 공동(29)은 리드(1) 및 덮개 캡(8) 둘 모두에서, 음료수 캔의 내부를 향하고 원형 형상에서 벗어난 압흔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압흔은 덮개 캡(8)의 폐쇄 위치에서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드(1) 내의 래칭 공동(29)은 리드 표면을 지나 외향 돌출된 림(37)에 의해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5. 플랜지 림(3)에 의해 원통형 음료수 캔 몸체(2)에 고정된 리드(1)와, 중심 이탈 개구(4)와, 전체 리드(1) 위를 덮고 가장자리 비이드(9)에 의해 회전 가능하지만 제거 불가능한 형태로 플랜지 림(3) 상에 장착된 덮개 캡(8)을 포함하는 음료수 캔에 있어서,
    상기 리드(1) 내의 개구(4)는 원추형 비이드 플랭크(6, 7)를 갖는 환형 비이드(5)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덮개 캡(8)은 리드(1) 내의 개구(4)와 정렬될 수 있는 중심 이탈 개구(12)를 가지며,
    상기 덮개 캡(8)은 리드(1) 쪽을 향하고 원추형 비이드 플랭크(14, 15)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심 이탈 환형 비이드(13)를 가지며,
    내부 비이드 플랭크(15)로부터 시작하는 각각의 경우에 환형 비이드(13) 내에 편평한 밀봉 링(16)이 인접하고 덮개 캡(8)의 적절한 회전 위치가 주어지면 누출 방지식으로 그리고 리드(1) 내의 개구(4)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5)의 정점 상에 예비 장력을 가지고 놓이며,
    단지 하나의 환형 비이드(13)가 구성된 경우에, 이는 밀봉 링(16)과 밀봉 링 내에 위치된 변형 가능한 팽창부(19)에 의해 형성된 폐쇄된 영역을 둘러싸며,
    폐쇄 위치에서 덮개 캡(8) 내의 환형 비이드(13)는 리드 내의 개구를 둘러싸는 리드(1) 내의 환형 비이드(5)를 둘러싸고 밀봉 링(16)은 누출 방지식으로 그리고 리드(1) 내의 개구(4)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5)의 정점 상에 예비 장력을 가지고 놓이며,
    처음으로 음료수 캔을 개방하기 위하여 팽창부(19)는 그의 볼록면 위치에서 영구 오목면 위치로 가압될 수 있고, 이는 볼록면에서 오목면 위치로 변화하는 동안 상기 밀봉 링(16)이 오목면 위치 내의 비이드 정점 상에 예비 장력을 가지고 다시 놓이도록 리드(1) 내의 개구(4)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5)의 정점 없이 간단히 나타나며,
    덮개 캡(8) 내의 환형 비이드(13)는 밀봉 링(16)을 지나서 리드(1)의 방향으로 돌출하며,
    환형 비이드(13, 22)가 구성된 덮개 캡의 영역은 덮개 캡(8)의 고정된 가장자리 비이드(9)에 대해 탄력성 있게 굴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6.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내부에 위치된 밀봉 링(16, 25)을 각각 갖는 2개의 환형 비이드(13, 22)가 구성된 경우에, 밀봉 링(25)을 갖는 제2 환형 비이드(22)는 덮개 캡(8) 내의 개구(12)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7.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리드(1) 내의 개구(4)를 둘러싸는 환형 비이드(5)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제2 환형 비이드(5')가 리드(1) 내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8.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덮개 캡(8)은 원추형으로 외향 확장된 가장자리 비이드(9)를 갖는 판과 유사하게 구성되고, 가장자리 비이드(9)의 외부 자유 플랭크(10)는 음료수 캔의 플랜지 림(3)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9. 제8항에 있어서, 덮개 캡(8)의 바닥(17)은 음료수 캔의 리드(1)의 방향으로 미세하게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10.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환형 비이드(13, 22)를 수용하는 각각의 탄력성 있게 구성된 영역은 덮개 캡(8) 내의 슬릿(20)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획되고, 이들 슬릿(20)은 각각의 환형 비이드(13, 22)로부터 일정 거리로 연장하고, 덮개 캡(8)의 가장자리 비이드(9)의 내부 원추형 플랭크(11)로부터 시작하여 덮개 캡 치수의 일부 이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11. 제10항에 있어서, 환형 비이드(13, 22)의 각각에는 각 환형 비이드(13, 22)의 대향 측 상에 경면상 형태로 위치된 2개의 슬릿(20)이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12. 제10항에 있어서, 슬릿(20) 대신 홈(2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13. 제10항에 있어서, 슬릿(20) 또는 홈(21)은 환형 비이드의 접선에 평행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14.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덮개 캡(8)의 각 환형 비이드(13, 22)가 리드(1)의 환형 비이드(5, 5')를 둘러는 덮개 캡(8)의 적절한 회전 위치에서, 덮개 캡(8) 내에 구성된 환형 비이드(13, 22)의 내부 플랭크(15, 23)는 리드(1)에 할당된 환형 비이드(5, 5')의 외부 플랭크(7, 7') 상에 가깝게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15.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리드(1) 및 덮개 캡(8) 내의 양 개구(4, 12)와 모든 환형 비이드(5, 5', 13, 22)는 원형 형상에서 벗어난, 바람직하게는 콩팥 형상인 주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16.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모든 환형 비이드(5, 13, 22)는 원형의 주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17.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덮개 캡(8)의 환형 비이드(13, 22)와 리드(1)의 환형 비이드(5, 5')는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18.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밀봉 링(16, 25)에는 밀봉 요소(18, 3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19.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덮개 캡(8)의 제1 비이드 링(13) 내의 팽창부(19)는 구형 돔 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20.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리드(1) 내의 개구(4)와 덮개 캡(8) 내의 개구(12)는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21.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덮개 캡(8)과 리드(1)는 동일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KR10-1999-7007396A 1996-10-10 1998-02-13 덮개 캡을 갖는 음료수 캔 리드 KR100496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41871 1996-10-10
DE19706112.5 1997-02-17
DE19706112A DE19706112C2 (de) 1996-10-10 1997-02-17 Getränkedose
PCT/EP1998/000805 WO1998035883A1 (en) 1997-02-17 1998-02-13 Drinks can lid with closure c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108A KR20000071108A (ko) 2000-11-25
KR100496106B1 true KR100496106B1 (ko) 2005-06-17

Family

ID=782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396A KR100496106B1 (ko) 1996-10-10 1998-02-13 덮개 캡을 갖는 음료수 캔 리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216904B1 (ko)
EP (1) EP1009678B1 (ko)
JP (1) JP4046771B2 (ko)
KR (1) KR100496106B1 (ko)
CN (1) CN1089713C (ko)
AR (1) AR011149A1 (ko)
AT (1) ATE228089T1 (ko)
AU (1) AU722976B2 (ko)
BR (1) BR9807695A (ko)
CA (1) CA2281601C (ko)
DK (1) DK1009678T3 (ko)
ES (1) ES2187937T3 (ko)
PT (1) PT1009678E (ko)
RU (1) RU2216494C2 (ko)
TW (1) TW363037B (ko)
WO (1) WO19980358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00Y1 (ko) 2009-11-19 2011-07-25 조용현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1049B2 (en) * 1998-06-08 2004-11-02 Temo Lukacevic Splash-proof lid assembly
PT1181209E (pt) * 1999-02-12 2003-07-31 Emilio Talmon Tampa de pressao para bebidas em latas
US8393487B1 (en) * 2000-01-06 2013-03-12 Pacific Market International, Llc Hygienic twist lid for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DE20004152U1 (de) * 2000-03-08 2001-07-19 Ackermann Bruno Dose mit Drehverschluss
ATE312764T1 (de) * 2001-05-05 2005-12-15 Advanced Technology Ind Inc Behälterdeckel sowie behälter
GB2375531A (en) 2001-05-17 2002-11-20 Insulpak Ltd Container lid
US7131551B2 (en) * 2001-08-06 2006-11-07 Solo Cup Company Container lid with closure member
USD478006S1 (en) 2001-08-06 2003-08-05 Solo Cup Company Reclosable container lid
US6732875B2 (en) * 2001-08-06 2004-05-11 Solo Cup Company Reclosable container lid
US6679397B2 (en) * 2001-08-06 2004-01-20 Solo Cup Company Container lid with closure member
US7731047B2 (en) * 2001-08-06 2010-06-08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Reclosable container lid with sliding element
USD477223S1 (en) 2001-08-06 2003-07-15 Solo Cup Company Reclosable container lid
US7246715B2 (en) * 2001-08-06 2007-07-24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Reclosable container lid
DE20114741U1 (de) * 2001-09-07 2003-01-30 Ackermann Bruno Behälter mit Drehverschluß
WO2003047994A2 (en) * 2001-11-13 2003-06-12 Dart Container Corporation Recloseable lid
CA2466459C (en) 2001-11-13 2011-06-14 Dart Container Corporation Recloseable lid with closure plug
USD476891S1 (en) 2001-12-20 2003-07-08 Solo Cup Company Container lid
GB0130619D0 (en) * 2001-12-20 2002-02-06 Insulpak Ltd A Lid
USD485758S1 (en) 2002-06-07 2004-01-27 Solo Cup Company Container lid
WO2004047596A1 (en) * 2002-11-26 2004-06-10 Michael Milan Beverage container lid having baffle arrangement for liquid cooling
US20040256421A1 (en) * 2003-06-20 2004-12-23 Elmer Werth Container with Alignable Dispensing Openings
US20050029264A1 (en) * 2003-08-04 2005-02-10 Werth Elmer D. Bottom-Fill Container and Opening System
US7823740B2 (en) * 2004-01-13 2010-11-02 Bound2B B.V. Device for sealing foodstuff containers and foodstuff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device
SE525997C2 (sv) * 2004-02-04 2005-06-07 Erik Nilsson Med E Nilsson Tek Parallellepipedisk dryckesbehållare med vridbar förslutning
DE102004047062A1 (de) * 2004-09-28 2006-04-06 Ball Packaging Europe Gmbh Blechdeckel mit einer großen Lochung für eine Getränkedose
ATE349382T1 (de) * 2004-09-28 2007-01-15 Ball Packaging Europe Gmbh Blechdeckel mit einer grossen lochung für eine getränkedose
US7850037B2 (en) * 2004-10-08 2010-12-14 Dixie Consumer Products Llc Reclosable lid having a slidable closure panel
US7845510B2 (en) * 2004-10-08 2010-12-07 Dixie Consumer Products Llc Reclosable cup lid with sliding closure member
US7874447B2 (en) 2004-10-08 2011-01-25 Dixie Consumer Products Llc Reclosable cup lid with sliding member and scalloped track
US20060096987A1 (en) * 2004-11-08 2006-05-11 Wry Floyd D Can cover
US20060096983A1 (en) * 2004-11-09 2006-05-11 Letica Corporation Recloseable drink cup lid
US20060163251A1 (en) * 2005-01-26 2006-07-27 Jeremy Kelstrom Universal lid
SE0602427L (sv) * 2005-03-14 2007-01-12 Joaquin Souza Legorreta Dryckesburk
DE102006051409A1 (de) * 2006-10-27 2008-04-30 C-A-P Technologies Gmbh Verpackung für rieselfähige oder fließfähige Produkte
US7959029B2 (en) * 2007-01-12 2011-06-14 Aslan Guild, Llc Splash and spill resistant insulating lid
WO2008131263A1 (en) * 2007-04-20 2008-10-30 Learning Curve Brands, Inc. Lid having a flip top cover
US7963416B2 (en) * 2007-04-30 2011-06-21 Target Brands, Inc. Food package with lid
USD641208S1 (en) 2007-10-31 2011-07-12 Target Brands, Inc. Portion of a lid
WO2010071790A1 (en) * 2008-12-16 2010-06-24 Waddington North America, Inc. One-piece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US9850043B2 (en) 2009-01-05 2017-12-26 Waddington North America, Inc Lid featuring ease of use and improved release from a tray or container
US8701930B2 (en) 2009-01-05 2014-04-22 Waddington North America, Inc. Lid featuring ease of use and improved release from a tray or container
US20120273490A1 (en) * 2009-02-11 2012-11-01 Michael Keigan Jensen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Cans
AT508082B1 (de) 2009-04-07 2011-01-15 Xolution Gmbh Wiederverschliessbarer verschluss eines flüssigkeitsbehälters
DE102009035598B4 (de) * 2009-07-31 2011-04-14 Mapa Gmbh Verschlusssystem für eine auslaufgeschützte Flasche für Kindernahrung
US20120132610A1 (en) * 2010-11-29 2012-05-31 Robert Elliott Contamination free beverage can
USD671834S1 (en) 2011-01-07 2012-12-04 Ball Corporation Closure
RU2607551C2 (ru) * 2011-07-20 2017-01-10 МАПА ГмбХ Запо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непроливающейся бутылки для кормления ребенка
US8720717B2 (en) 2012-02-02 2014-05-13 Ball Corporation End closure with full panel opening
US8985371B2 (en) 2012-08-10 2015-03-24 Daniel A. Zabaleta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1952164B1 (en) 2012-08-10 2024-04-09 Powercan Holding, Llc Resealable container lid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D828753S1 (en) 2012-08-10 2018-09-18 Daniel A Zabaleta Axially oriented peripheral sidewalled beverage container lid
US8844761B2 (en) 2012-08-10 2014-09-30 Daniel A. Zabaleta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0968010B1 (en) 2012-08-10 2021-04-06 Daniel A Zabaleta Resealable container lid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9637269B1 (en) 2012-08-10 2017-05-02 Daniel A. Zabaleta Resealable container lid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e
USD795693S1 (en) 2012-08-10 2017-08-29 Daniel A Zabeleta Axially oriented peripheral sidewalled beverage container lid
EP2711307B1 (de) 2012-09-20 2016-09-14 Xolution GmbH Deckel eines Behälters
WO2014165729A1 (en) 2013-04-05 2014-10-09 Waddington North America, Inc.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US10632520B2 (en) 2014-03-07 2020-04-28 Ball Corporation End closure with large opening ring pull tab
WO2015134913A1 (en) 2014-03-07 2015-09-11 Ball Corporation End closure with large opening ring pull tab
WO2016115214A1 (en) 2015-01-14 2016-07-21 Waddington North America, Inc. Lid featuring improved splash and spill resistance and ease of flow
US9944435B2 (en) 2015-01-14 2018-04-17 Waddington North America, Inc. Two-piece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ITUB20161130A1 (it) * 2016-02-26 2017-08-26 Mb Mark S R L Recipiente di contenimento di sostanze
US11008141B2 (en) * 2016-05-18 2021-05-18 Pavel Savenok Liquid container lid assembly for controlled liquid delivery
CA3028121A1 (en) 2016-06-16 2017-12-21 Sigma Phase, Corp. System for providing a single serving of a frozen confection
CN106178238A (zh) * 2016-08-08 2016-12-07 中山市美捷时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鼻腔吸入给药装置
CN107512472B (zh) * 2017-09-14 2023-02-10 国网吉林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粉尘采样用无尘滤膜储备盒及其使用方法
ES1201886Y (es) 2017-11-30 2018-03-15 Fernandez Julian Blanco Dispositivo de cierre para una lata de conservas abierta
US11470855B2 (en) 2018-08-17 2022-10-18 Coldsnap, Corp. Providing single servings of cooled foods and drinks
US10543978B1 (en) 2018-08-17 2020-01-28 Sigma Phase, Corp. Rapidly cooling food and drinks
US10612835B2 (en) 2018-08-17 2020-04-07 Sigma Phase, Corp. Rapidly cooling food and drinks
CN109773423B (zh) * 2019-01-17 2021-05-14 广州番禺美特包装有限公司 一种气雾顶盖的加工工艺
US11279531B2 (en) * 2019-02-16 2022-03-22 Pavel Savenok Beverage can cap
CN110844308A (zh) * 2019-12-19 2020-02-28 瑞安市贝斯特机械有限公司 一种防渗漏纸盖
US11337438B2 (en) 2020-01-15 2022-05-24 Coldsnap, Corp. Rapidly cooling food and drinks
TW202202790A (zh) 2020-06-01 2022-01-16 美商寇德斯納普公司 用於快速冷卻食物及飲料的冷凍系統
WO2022170323A1 (en) 2021-02-02 2022-08-11 Coldsnap, Corp. Filling aluminum cans aseptically
US11767152B2 (en) 2021-06-29 2023-09-26 Iv Thought Products And Design Corp. Re-sealing vacuum package receptacle
ES2968273A1 (es) * 2022-10-06 2024-05-08 Galbany Lluis Ballus Tapa para lata de bebida y sistema de abertura a presió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79362A (en) * 1927-07-01 1927-10-27 Ernst Otto Gottschalk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osure caps for bottles and other vessels
GB459019A (en) * 1935-05-10 1936-12-31 Johann Pfeuti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oxes
GB607139A (en) 1946-01-26 1948-08-26 Paton Calvert & Company Ltd Improvements in closures for canisters and the like containers
US2961133A (en) 1957-11-27 1960-11-22 Robert W Ankney Dispenser closures
US3726432A (en) * 1971-02-05 1973-04-10 F Gentile Easy opening container
US3889842A (en) * 1974-05-20 1975-06-17 Robert A Bennett Container closure opening means
FR2344465A1 (fr) 1976-03-16 1977-10-14 Robinson & Sons Ltd Couvercle distributeur
DE8230293U1 (de) 1982-10-28 1982-12-16 Jörgens & Möller Metall- und Kunststoff-Verarbeitungsgesellschaft mbH, 5620 Velbert Getraenkedose
US5205430A (en) * 1992-07-02 1993-04-27 Valyi Emery I Plastic container closure
US5692633A (en) * 1996-01-02 1997-12-02 Hullko Corporation Beverage container lid
DE29617664U1 (de) * 1996-10-10 1997-03-06 Cagan Michael N Getränkedo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00Y1 (ko) 2009-11-19 2011-07-25 조용현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9713C (zh) 2002-08-28
EP1009678A1 (en) 2000-06-21
CA2281601C (en) 2008-04-22
JP2001521470A (ja) 2001-11-06
WO1998035883A1 (en) 1998-08-20
RU2216494C2 (ru) 2003-11-20
ES2187937T3 (es) 2003-06-16
JP4046771B2 (ja) 2008-02-13
AR011149A1 (es) 2000-08-02
PT1009678E (pt) 2003-04-30
AU6398598A (en) 1998-09-08
EP1009678B1 (en) 2002-11-20
ATE228089T1 (de) 2002-12-15
BR9807695A (pt) 2000-05-02
US6216904B1 (en) 2001-04-17
TW363037B (en) 1999-07-01
CN1250419A (zh) 2000-04-12
AU722976B2 (en) 2000-08-17
CA2281601A1 (en) 1998-08-20
DK1009678T3 (da) 2003-03-17
KR20000071108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6106B1 (ko) 덮개 캡을 갖는 음료수 캔 리드
US5449085A (en) Recyclable container and rotatable closure of plastics material
US5148936A (en)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US7845525B2 (en) Carbonated drink closure and dispensing device
KR100393154B1 (ko) 캡 및 스파우트를 구비한 음료수 용기
US20030080130A1 (en) Container with rotary closure
US8360256B2 (en) Storage and drinking container having cap and retaining ring
WO2006078370A1 (en) Flow control element and dispensing structure incorporating same
US6776314B2 (en) Closure device for container
CA2460715A1 (en) Dispensing closure for containers which contain free-flowing substances
MX2010014285A (es) Tapa de extremo de lata re-cerrable con una abertura giratoria y pestaña re-sellable y lata de bebida equipada con la tapa de extremo de lata re-sellable.
US3247992A (en) Resealable bottle closure
US6427881B1 (en) Edge seal closure
US2767888A (en) Shields and caps for containers
US3994410A (en) Plastic bottle cap
PL178296B1 (pl) Zamknięcie nasadzane
US4415095A (en) Lid and seal for jar
US4175668A (en) Reusable stopper for sealing containers provided with a beaded neck such as bottles
JP3676024B2 (ja) 内容物吐出容器のキャップ
US20030094430A1 (en) Traversing twist cap
JP3745088B2 (ja) スリットバルブを取着した吐出容器のキャップ
WO1993003973A1 (en) A container cap
US2831617A (en) Seal for a tiltable valving spout
JPS6090151A (ja) 容器、中栓及び外蓋から成る組合せ
SU1762756A3 (ru) Крышка дл бутылки или тому подобног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