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760B1 -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 펄스폭 변조기 - Google Patents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 펄스폭 변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760B1
KR100495760B1 KR10-1999-7004902A KR19997004902A KR100495760B1 KR 100495760 B1 KR100495760 B1 KR 100495760B1 KR 19997004902 A KR19997004902 A KR 19997004902A KR 100495760 B1 KR100495760 B1 KR 100495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width
capacitor
voltage
puls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9276A (ko
Inventor
프레이즈워터마이클알
Original Assignee
하니웰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니웰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하니웰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69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by time modul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modulation of the duration of a single pulse during which the logic level remains const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폭을 갖는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 펄스들을 출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펄스폭 변조기는 휘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액정표시장치 조광 시스템의 일부로서 널리 사용된다. 램프 조광을 위한 전형적인 펄스폭 변조 구성에 있어서, 일정한 잡음 불규칙성이 램핑 전압의 시작점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불규칙성들로 인하여 펄스폭들이 매우 많이 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램핑 전압의 기울기는 주기의 시작점에서 크게 증가하고, 그 결과 기준 전압 및 램핑 전압사이의 비교가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 펄스폭 변조기{VERY LOW DUTY CYCLE PULSE WIDTH MODULATOR}
미국 정부는 공군부에 의해 부여된 정부계약 번호 F33657-90-C-2233에 의하여 본 발명에 대한 소정의 권리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펄스폭 변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의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폭 변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백라이트(backlight)들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들(LCDs)이 모든 종류의 항공기의 조정실에 사용되고 있다. 항공기 조정실은 형광램프가 동작하여야만 하는 가장 극단적인 환경들중의 하나일 수 있다. 많은 백라이트가 필요한 조정실 환경의 하나의 특징은 큰 조광 범위(dimming range)이다. 일부 군대 환경에 있어서, 조광율(dimming ratio)은 대략 10,000 대 1이다. 이러한 표시장치들은 매우 어두운 밤부터 직사광선에 이르기까지의 표시장치상의 조명 조건하에서 조종사들이 정보들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백라이팅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백라이팅 색은 조광 범위에 대해 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형광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그 색들이 조광에 의해서는 변하지 않고 램프내의 형광 코팅제(coating)의 적절한 조성물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종사들이 모든 주변 조명 조건하에서도 표시장치를 볼 수 있도록, 형광램프의 휘도는 많이 변화할 필요가 있다. 이 시스템은 스월(swirls), 깜박거림(flicker) 및 불연속성들이 없어야 하며, 조종사의 조광 명령에 유연하게 응답하면서 -55℃ 부터 +85℃까지의 온도에서도 견뎌낼 수 있어야 하며, 고효율 회로를 유지하면서 수많은 저온시동 및 동작시간들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형광 램프를 조광하는 하나의 방식으로서,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교류 신호를 가변 폭의 노치(notch)로 절단하여, 램프에 공급하는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원하는 조광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있다. 램프에 공급되는 펄스폭이 작을수록, 램프가 동작되는 전력이 작아진다. 펄스폭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장치로는 상용 펄스폭 변조기가 있다. 이러한 펄스폭 변조기들의 기본 동작은 다음과 같다. 기준 전압이 펄스폭 변조기로 전송된다. 기준 전압의 크기는 원하는 펄스폭에 비례한다. 펄스폭 변조기의 내부에는, 기지의 시간 동안 기지의 비율로 경사진(램핑(ramp)) 또 다른 전압을 생성하는 수단들이 구비되어 있다. 기준전압이 그 램핑전압과 비교되어, 기준 전압이 램핑전압보다 더 큰 시간의 양에 기초하여 펄스폭이 생성된다.
전술한 시스템의 단점은, 백라이트에 매우 낮은 전력이 제공되고 펄스폭이 좁은 시간 동안에 깜박거림(flicker)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커패시터가 충전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 잡음이나 매우 낮은 펄스폭에서의 전압레벨의 작은 변화들 때문에, 어떤 불일치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도 1A 및 도 1B의 그래프를 볼 때 더욱 명백해짐을 알 수 있다. 도 1A는 출력되는 결과 펄스 뿐만 아니라 펄스폭 변조기내에서의 램핑 전압과 기준전압의 비교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 전압은 중간 레벨에 있으며, 램핑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큰 지점은 분명하고 일정하다. 그러나, 좁은 펄스들이 필요하고 기준전압의 크기가 매우 낮은 상황에서는, 일부 불일치들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B에는, 이러한 잠재적인 문제점들이 도시되어 있다. 커패시터가 램핑 전압으로 충전하기 시작하는 지점에 있어서, 초기의 충전은 선형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램프(ramp)의 끝지점에서 작은 곡선 모양이 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펄스폭은 너무 좁거나 너무 넓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가 시간에 걸쳐서 변동될 수 있으므로, 출력 펄스들의 폭도 시간에 걸쳐서 또한 변화할 것이다. 이러한 폭의 변화들은 표시장치 화면상에 나타나는 깜박거림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펄스폭 변조기가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로 동작되는 동안에 펄스폭의 불일치를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펄스폭 변조기들의 출력.
도 2는 액정 표시 장치 형광 백라이트용의 조명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4는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출력의 그래프.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장치는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로 동작할 때 펄스폭 변조기에 일정한 펄스폭들을 제공한다. 이 장치는 주기적으로 펄스들을 출력하는 펄스폭 변조 장치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펄스들의 폭은 입력 전압의 크기에 의해 조절된다. 펄스폭 변조기로부터 충전전류를 수신하고 입력전압과 비교되는 램핑전압을 제공하는 타이밍 커패시터가 펄스폭 변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충전전류의 크기는 커패시터가 충전되는 속도를 조절한다. 또한, 펄스폭 변조기와 접지사이에 연결되는 타이밍 저항이 펄스폭 변조기와 외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타이밍 커패시터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전류 출력은 타이밍 저항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함수이다. 또한, 소정의 시간 동안 펄스폭 변조기로부터 타이밍 저항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증가시키는 회로가 펄스폭 변조기에 외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충전전류를 또한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외부 커패시터에 인가되는 램핑 전압이 가파를수록, 낮은 듀티 사이클의 더 정확하고 일정한 펄스폭이 출력된다.미국 특허 번호 3,440,566은 실질적으로 삼각파형을 발생시키는 트리거 회로 및 음성 트리거 신호의 비교 크기에 따라 음성 신호를 펄스 변조하는 스위칭 수단을 갖는 펄스 기간 변조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펄스 기간 변조기는 삼각파형 트리거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사각형 파형을 생성하는 한 쌍의 다이오드가 병렬 연결되어 실질적인 삼각파형을 변형하는 수단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펄스폭 변조 장치는 LCD 형광 백라이트용의 조광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의 일정한 펄스폭이 제공되면, 저전력으로 동작되는 동안 이러한 종류의 조광 구조와 주로 관련된 깜박거림 문제가 제거된다.
항공기용 조명 시스템을 위한 한 실시예가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조종사는 수동 조명 조절장치(20)를 통해 표시장치의 조명을 조절한다. 수동 조명 조절장치(20)는 원하는 양의 조명에 비례하는 전압을 펄스폭 변조기 시스템(22)에 출력한다. 펄스폭 변조기 시스템(22)은 주기적으로 펄스들을 인버터(24)에 출력하는데, 여기서 펄스들의 폭은 수동 조절 전압의 함수이다. 인버터(24)는 펄스들을 형광 백라이트(26)에 전력을 공급하는 AC 신호로 변환한다.
항공기 조종실에서 사용되는 표시장치는 매우 극단적인 환경들하에서도 동작할 것이 요구된다. 조종실에서의 조명은 밤의 암흑부터 표시장치에 직접 비추어지는 직사광선까지 다양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하에서 동작하는 표시장치는 매우 높은 조광율을 가져야 한다. 표시장치가 매우 낮은 전력 출력하에서 동작될 때, 표시장치의 깜박거림이 없어야 한다. 이하 설명되는 발명은 조광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펄스폭 변조기로서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로 동작할 수 있는 펄스폭 변조기를 개시한다.
펄스폭 변조기 시스템(22)의 세부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도 3에 도시하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펄스폭 변조기 회로(30)는 미국 캘리포니아 92641, 가든 그로브, 11861 웨스턴 애브뉴에 소재하는 린피니티사의 SGI526 모델이다. 대부분의 범용 및 주문형의 펄스폭 변조기들은 SGI526과 유사한 방법으로 동작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향상된 회로는 이러한 대부분의 펄스폭 변조기들에 사용될 수 있다. 펄스폭 변조기 회로(30)는 수동 조명 조절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인 입력전압(32)을 핀 1(pin 1)에서 수신한다. 회로에서 사용되는 전력은 전력원(37)에 의해 핀 17에 제공된다. 펄스폭 변조기에 의해 출력되는 펄스들은 라인(33, 35)을 통하여 XOR 게이트(34)로 교대로 전송된다. 사용자들이 펄스폭 변조기 회로(30)의 동작 특성들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외부 구성요소, 즉 핀 9에 연결된 타이밍 저항(38) 및 핀 10에 연결된 타이밍 커패시터(36)를 제공한다.
펄스폭 변조기 회로(30)에 있어서, 출력 펄스들은 입력 전압에 따라 폭이 변할 수 있다. 규칙적인 간격으로 출력되는 펄스들이 전체 주기를 채우거나 또는 그 일부분이 될 수 있다. 펄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타이밍 커패시터(36)에 축적되는 전하량과 입력 전압(32) 사이에 비교가 행해진다. 전하를 선형으로 축적하기 위하여 타이밍 커패시터(36)에는 정전류가 제공되어진다. 본 구성에 있어서, 펄스폭이 고레벨에 있는 시간의 양은 타이밍 커패시터(36)의 전하량이 입력 전압(32)보다 적은 시간의 함수이다. 이러한 비교는 도 1A 및 도 1B에서 매우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램핑 전압의 기울기는 상수이며, 펄스의 폭은 펄스폭 변조기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에 의존한다. 그 전압이 높으면 높을수록, 펄스폭이 더 넓어진다.
커패시터가 충전되는 속도는 펄스폭 변조기 회로(30)의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것은 타이밍 저항(38)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전압은 펄스폭 변조기의 핀 9로부터 타이밍 저항(38)을 통하여 접지로 출력된다. 타이밍 저항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핀 9를 나가는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타이밍 커패시터(36)를 통하여 핀 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정확한 전류는 핀 9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함수이다. 타이밍 저항(38)을 변화시킴으로써, 타이밍 커패시터(36)가 충전되는 속도가 변화된다.
도 3에서 회로의 나머지 부분은 다음과 같다. 동기화 신호(sync signal)가 라인(46)을 통하여 비교기(52)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비교기로의 입력은 전압원(96)이다. 상기 비교기(52)의 출력은 비교기(54)의 하나의 입력뿐만 아니라 저항(58), 커패시터(44)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비교기(54)로의 입력은 전압원(50)이다. 비교기(54)의 출력은 커패시터(40)의 양극 및 저항(56)과 연결된다.
펄스폭 변조기 회로(30)의 단점은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로 동작될 때 정확한 펄스들이 출력되지 않는 것이다. 이는 도 1B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다른 종류의 전기적 잡음은 커패시터(36)에 축적되는 램핑 전압의 형태, 특히 램프 파형의 시작 및 끝지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불규칙성은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의 펄스의 형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1B에서 펄스들의 폭은 주기마다 크게 변하므로, LCD 백라이트의 휘도에 영향을 미치고 표시장치에 깜박거림을 유발한다. 도 3에서 첨가되는 회로의 목적은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의 일정한 폭의 펄스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통, 타이밍 저항(38) 및 타이밍 커패시터(36)는 펄스폭 변조기의 내부 클럭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부가 구성요소들, 저항(56), 저항(58), 커패시터(40, 44) 및 비교기(52, 54)는 펄스폭 변조기에 의해 핀 10에서 생성되는 램프 파형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라인(46)으로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기 동기화 신호는 펄스폭 변조기 회로(30)의 내부클럭의 동작 주파수로 펄스화(pulse)된다. 동기화 펄스의 시작점에서, 펄스폭 변조기(30) 내부의 스위치는 닫히고 커패시터(36)는 파형의 최소전압까지 방전한다. 동기화 펄스가 높은 상태(high state)로 변화할 때, 타이밍 커패시터는 펄스폭 변조기의 내부에 있는 전류원에 의해 램프 파형의 최대 전압으로 충전된다. 커패시터(36)를 구동하는 전류원의 진폭은 저항(38)의 값에 의해 조절된다. 저항(38)의 값이 크면, 전류원의 진폭이 낮아지고 커패시터(36)의 충전 속도가 느려진다.
펄스폭 변조기가 동기화 신호를 출력할 때, 비교기(52)는 동기화 펄스의 시작을 감지하고 저 임피던스 출력을 통하여 커패시터(44)를 방전한다. 비교기(52)는 커패시터(44)를 동기화 펄스의 지속 기간 동안 접지 전위에 가깝게 유지한다. 비교기(54)의 비반전 입력이 전압원(50)보다 적은 한, 비교기(54)의 출력은 커패시터(40)를 방전하고 저항(56)을 접지로 당긴다. 저항(56)의 왼쪽이 접지될 때, 펄스폭 변조기의 타이밍 저항 입력으로부터 접지까지의 저항값은 저항(56)과 타이밍 저항(38)의 병렬 결합된 값과 같다. 펄스폭 변조 타이밍 저항값이 낮으면, 타이밍 커패시터(36)의 충전 속도가 증가하고 램프 파형의 기울기가 증가하게 된다. 동기화 펄스의 끝지점에서, 비교기(52)의 출력은 고임피던스 상태로 되고, 커패시터(44)는 전압원(48)으로부터 저항(58)을 통하여 최고 5볼트까지 충전한다. 커패시터(44)의 충전 속도는 저항(58) 및 커패시터(44)에 의해 형성되는 RC 시상수에 의해 조절된다. 약 100 마이크로초(microsecond)후에, 커패시터(44)의 전압은 2볼트에 이르고, 비교기(54)의 출력은 고임피던스 상태가 되어, 저항(56)이 접지로부터 분리된다. 저항(56)과 타이밍 저항(38) 사이의 병렬 연결이 끊어짐으로써, 램프 파형의 기울기가 주기의 나머지 기간 동안 단지 타이밍 저항(38)과 타이밍 커패시터(36)에 의해 조절된다. 커패시터(40)는 램프 파형의 급격한 기울기로부터 정규의 기울기로의 전이를 유연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변형된 펄스폭 변조기의 성능이 도 4에 도시된다. 이 그래프에 있어서, 타이밍 커패시터의 전하량은 입력전압과 관련하여 도시된다. 이 그래프에 있어서, 충전 전압의 기울기가 주기의 시작점에서 매우 급격하고 그 나머지 부분에서는 완만해짐을 알 수 있다. 동기화 펄스가 라인(46)을 통하여 비교기(52)로 전송된 후의 소정의 시간 동안 각 주기의 시작점에서 기울기가 급격하게 된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펄스폭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들은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의 일정한 폭을 갖는다. 이 회로가 표시장치에 사용된다면, 이것은 표시장치의 낮은 조광 범위들에서의 깜박거림을 제거하게 될 것이다. 이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출력 펄스는 1마이크로초보다 작은 폭으로 일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매우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므로, 특허법에 잘 부합하고 당업자에게 새로운 원칙들을 적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이러한 특별한 구성요소들을 조립하고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이 특별히 다른 장비 및 소자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세부적인 장비 및 동작 순서들에 관하여 다양한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가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13)

  1.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의 펄스들을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에 대응하여 주기적으로 펄스를 출력하고, 상기 펄스의 폭은 입력 전압(32)의 크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인 펄스폭 변조 수단(22) - 상기 펄스폭 변조 수단(22)은,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동기화 펄스(46)를 생성하는 수단(30)과, 전압원 단자(핀 9)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기준 전류를 끌어 당기는 타이밍 저항(38)과, 상기 전압원 단자(핀 9)를 나가는 전류의 함수인 충전 전류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전압(32)과 비교되고 적어도 2개의 기울기를 갖는 파형(도 4)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전압을 제공하는 타이밍 커패시터(36)를 더 포함함 - 과;
    상기 펄스폭 변조 수단(22)으로부터 상기 동기화 펄스(46)를 수신하고, 상기 전압원 단자(핀 9)를 나가는 전류를 증가시켜, 상기 타이밍 커패시터(36)의 충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조정 가능한 시정수(R2, C2)의 함수인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타이밍 커패시터(36)가 충전하는 속도를 변화시키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저항(38)을 통하여 흐르는 상기 기준 전류를 변화시키는 수단은,
    상기 펄스폭 변조 수단(22)으로부터 상기 동기화 펄스(46)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화 펄스(46)를 제1 기준 전압(96)과 비교하여, 상기 동기화 펄스(46)가 상기 제1 기준 전압(96)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동기화 펄스(46)가 상기 제1 기준 전압(96)보다 큰 경우에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52)와;
    상기 제1 비교기(52)의 출력이 "하이"일 때 저항(58)을 통하여 제1 커패시터(44)를 충전시키고, 상기 동기화 펄스(46)가 "로우"일 때 상기 제1 커패시터(44)를 방전시키는 제1 비교기(52)의 출력과 연결된 전압원(48)과;
    상기 제1 커패시터(44)의 전하량을 제2 기준 전압(50)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커패시터(44)의 전하량이 상기 제2 기준 전압(50)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커패시터(44)의 전하량이 상기 제2 기준 전압(50)보다 큰 경우에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며, 그 출력이 제2 저항(56)을 통하여 상기 전압원 단자(핀 9)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비교기(54)
    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양극이 상기 제2 비교기(54)의 출력과 연결되고 음극이 접지와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40)를 더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의 펄스들을 생성하는 장치는 발광 수단(26)용 조광 회로에 사용되는 것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빛을 방출하는 수단(26)과;
    상기 빛을 방출하는 수단(26)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원(37)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펄스폭 변조 수단(22)은 상기 빛을 방출하는 수단(26)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빛을 방출하는 수단(26)은 형광 백라이트인 것인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빛을 방출하는 수단(26)은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형광 백라이트인 것인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1999-7004902A 1996-12-15 1997-10-09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 펄스폭 변조기 KR100495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60,548 1996-12-15
US8/760,548 1996-12-15
US08/760,548 US5838294A (en) 1996-12-15 1996-12-15 Very low duty cycle pulse width modulator
PCT/US1997/018395 WO1998027648A1 (en) 1996-12-15 1997-10-09 Very low duty cycle pulse width mod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276A KR20000069276A (ko) 2000-11-25
KR100495760B1 true KR100495760B1 (ko) 2005-06-17

Family

ID=2505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902A KR100495760B1 (ko) 1996-12-15 1997-10-09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 펄스폭 변조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38294A (ko)
EP (1) EP0944957B1 (ko)
JP (1) JP2001507884A (ko)
KR (1) KR100495760B1 (ko)
AU (1) AU4900197A (ko)
CA (1) CA2272276C (ko)
DE (1) DE69709400T2 (ko)
IL (1) IL130130A (ko)
WO (1) WO1998027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7093B2 (ja) * 1998-01-29 2007-02-28 株式会社 沖マイクロデザイン 表示装置
JP2001125547A (ja) * 1999-10-28 2001-05-11 Sony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3966683B2 (ja) * 2000-10-26 2007-08-29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0825107B1 (ko) * 2002-07-19 2008-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7205973B2 (en) * 2003-02-12 2007-04-17 Nvidia Corporation Gradual dimming of backlit displays
DE102004016073B4 (de) * 2004-03-30 2010-12-23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Impulsausgangssignals aus einem periodischen Sägezahnsignal und einer Referenzspannung, und getakteter Stromwandler
JP3968587B2 (ja) * 2004-03-30 2007-08-29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テレビジョン、バックライト制御装置およびバックライト制御方法
US7573250B2 (en) * 2004-08-24 2009-08-11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ramp signal
US7225090B2 (en) * 2005-10-28 2007-05-29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easuring capacitance and equivalent parallel resistan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0566A (en) * 1966-02-10 1969-04-22 Gates Radio Co Pulse duration modulator having trigger circuit utilizing a modified triangular waveform
DE1588136B2 (de) * 1967-08-29 1970-11-12 Danfoss A/S, Nordborg (Dänemark) Schaltungsanordnung zum Erzeugen tfiner breite- und abstandsmodulierten Rechtetfkspannung
US4614415A (en) * 1973-06-04 1986-09-30 Hyatt Gilbert P Illumin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CA1177111A (en) * 1982-02-17 1984-10-30 Carl Schweer Lamp dimmer
US4998045A (en) * 1988-12-06 1991-03-05 Honeywell Inc. Fluorescent lamp dimmer
US5184117A (en) * 1989-06-28 1993-02-02 Zenith Data Systems Corporation Fluorescent backlight flicker control in an LCD display
FR2649277B1 (fr) * 1989-06-30 1996-05-31 Thomson Csf Procede et dispositif de gradation de lumiere pour lampe fluorescente d'eclairage arriere d'ecran a cristaux liquides
US5027034A (en) * 1989-10-12 1991-06-25 Honeywell Inc. Alternating cathode florescent lamp dimmer
US5225742A (en) * 1991-12-11 1993-07-06 Delta Coventry Corporation Solid state ballast for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s
US5420481A (en) * 1993-09-27 1995-05-30 Smiths Industries Fluorescent lamp with wide range of luminous intensities
DE69413793T2 (de) * 1994-01-21 1999-04-15 Stmicroelectronics S.R.L., Agrate Brianza, Mailand/Milano Stromquelle
US5428265A (en) * 1994-02-28 1995-06-27 Honeywell, Inc. Processor controlled fluorescent lamp dimmer for aircraft liquid crystal display instruments
KR0154797B1 (ko) * 1995-07-27 1998-12-15 김광호 펄스 폭 변조 제어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09400D1 (de) 2002-01-31
JP2001507884A (ja) 2001-06-12
IL130130A (en) 2003-10-31
US5838294A (en) 1998-11-17
CA2272276C (en) 2005-02-08
EP0944957A1 (en) 1999-09-29
WO1998027648A1 (en) 1998-06-25
KR20000069276A (ko) 2000-11-25
CA2272276A1 (en) 1998-06-25
EP0944957B1 (en) 2001-12-19
DE69709400T2 (de) 2002-08-22
AU4900197A (en) 1998-07-15
IL130130A0 (en) 200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5127A (en) Dimming method and device for fluorescent lamps used for backlighting of liquid crystal screens
US6150772A (en) Gas discharge lamp controller
JP4249900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のバックライトのランプを減光する方法と装置
US4998045A (en) Fluorescent lamp dimmer
US8344633B2 (en) Driving circuit for driv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ranged in a series configuration
CN101836505A (zh) Led调光装置
KR100502772B1 (ko) 비선형 응답을 제공하는 장치
KR100495760B1 (ko)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 펄스폭 변조기
US7342577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with high power and wide dimming range
KR20020017358A (ko) 액정표시기 백 라이트 인버터 구동 장치
US6153981A (en) Strobing light control adapter
JP2002056996A (ja) 液晶バックライト調光方式
CN108738191A (zh) 多功能led调光接口电路
CN101562932A (zh) 一种基于pfm的无色漂led线性调光系统
JP3076184B2 (ja) 液晶表示装置
US6087786A (en) Methods of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a glow discharge
CN115413086A (zh) 一种t-pwm调光方法和t-pwm调光电路、智能灯具
JP2002100496A (ja) 平面ランプの調光装置
US6097162A (en) Power supply system for a fluorescent lamp
JP4123766B2 (ja) 調光制御装置
KR100352841B1 (ko) 선형적 펄스폭변조 제어장치
CN222030097U (zh) 照明控制器以及照明电路
KR200211545Y1 (ko) 액정표시기 백 라이트 인버터 구동 장치
EP4376553A1 (en) A lighting controller for implementing dimming
KR102051733B1 (ko) Led 구동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0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