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756B1 - 내화물 조립체, 내화물 조립체 세트, 상기 내화물 조립체 세트를 포함하는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및 상기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내에서의 불활성 기체 공급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내화물 조립체, 내화물 조립체 세트, 상기 내화물 조립체 세트를 포함하는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및 상기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내에서의 불활성 기체 공급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756B1
KR100495756B1 KR10-1999-7003315A KR19997003315A KR100495756B1 KR 100495756 B1 KR100495756 B1 KR 100495756B1 KR 19997003315 A KR19997003315 A KR 19997003315A KR 100495756 B1 KR100495756 B1 KR 100495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ory
inert gas
shroud channel
shrou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9216A (ko
Inventor
리처드프랑스와즈-노엘
Original Assignee
비수비우스 크루서블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수비우스 크루서블 컴패니 filed Critical 비수비우스 크루서블 컴패니
Publication of KR20000049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42Features relating to gas in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28Plates therefor
    • B22D41/36Treating the plates, e.g. lubricating,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02Connection arrangemen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8Pouring-nozzles with gas inj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탕 홈통(28)으로서, 액상 금속이 그 출탕 홈통(28)을 통해 상류 용기(2)로부터 하류 용기(10)로 흐르고, 그 출탕 홈통(28)의 각 내화물 조립체(8, 12, 30, 32, 42, 48, 50, 60)에는 인접한 내화물 조립체(8, 12, 30, 32, 42, 48, 50, 60)의 대응하는 면과 함께 정합면(22)을 형성하는 면이 1개 이상 있는 출탕 홈통(28)과; 이 출탕 홈통(28)을 통과하는 액상 금속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흐름 조절 장치(26)와; 내화물 조립체들 사이의 적어도 한 정합면의 수준에서 상기 출탕 홈통(28) 주위에 배치되며 유체의 유입을 허용하는 유입구(38)를 구비한 슈라우드 채널(34)을 포함하는, 액상 금속 특히 액상 철강 이송용 플랜트의 상류 용기(2)와 하류 용기(10)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내화물 조립체를 포함한 내화물 조립체 세트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 채널(34)은 유체가 출탕 홈통(28)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유출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8, 12, 30, 32, 42, 48, 50, 6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화물 조립체, 내화물 조립체 세트, 상기 내화물 조립체 세트를 포함하는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및 상기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내에서의 불활성 기체 공급 조절 방법{REFRACTORY ASSEMBLY, SET OF REFRACTORY ASSEMBLIES, PLANT FOR TRANSFERRING LIQUID METAL COMPRISING A SET OF REFRACTORY ASSEMBLIES, AND METHOD OF REGULATING THE SUPPLY OF INERT GAS IN A PLANT FOR TRANSFERRING LIQUID METAL}
본 발명은 상류 용기와; 하류 용기와; 상기 상류 용기의 출탕구와; 이 출탕구를 통과하는 액상 금속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흐름 조절 장치와; 상기 상류 용기와 하류 용기 사이에서 상기 출탕구로부터의 연장 통로 내에 배치되며 금속이 상류 용기로부터 하류 용기로 흐르도록 하는 출탕 홈통(tapping spout)의 경계를 정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로서, 상기 출탕 홈통의 각 내화물 조립체는 인접한 내화물 조립체의 대응면과 함께 결합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한 개의 정합면을 구비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와; 내화물 조립체들 사이의 적어도 한 개의 정합면의 수준에서 출탕 홈통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슈라우드 채널(shroud channel)을 포함하고, 상류 용기로부터 하류 용기로 액상 금속을 이송시키기 위한 플랜트에서 사용하기 위한 내화물 조립체 또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에 관한 것이다.
내화물 조립체는 단일의, 또는 상당량의 내화재로 형성된 일체형 구조의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금속 쉘과 같은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흐름 조절 장치는 스토퍼 로드(stopper rod),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slide gate valve) 및 단순한 제한부와 같은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든 유형의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형의 플랜트에서, 출탕 홈통에 조절 장치가 있다는 것은 액상 금속이 흐를 때 압력 강하가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탕 홈통이 완벽하게 밀봉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러한 압력 강하로 인하여 공기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이는 특히 출탕 홈통을 형성하는 다양한 내화물 조립체 사이의 정합면에서 일반적인 현상이며, 출탕 홈통의 밀봉은 실현 및 유지가 어렵다. 따라서, 공기가 유입되어 금속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슈라우드 채널에 의해 출탕 홈통 주위에 각각의 임계 정합면의 수준에서 불활성 기체에 의한 과압 상태를 조성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불활성 기체란 출탕된 금속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기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보통 사용되는 기체 중에는 아르곤과 같은 희유 기체가 있으며, 그 밖에도 질소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가 있다.
공지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인접한 내화물 조립체들 사이에 있는 정합면들 중 적어도 한 면에 홈이 형성된다. 이 홈으로는 불활성 압축 기체가 공급되며, 따라서 출탕 홈통 주위에 배치된 환형 슈라우드 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555,050호나 유럽 특허 제0,048,641호에 공지되어 있다.
특수한 경우로서, 연속적으로 배치된 내화물 조립체들이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경우에 슈라우드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프랑스 특허 출원 제74/14636호에는 두 개의 평판을 구비한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가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서 각 평판에는 액상 금속이 지나가는 구멍이 있으며, 한 평판을 다른 평판에 대해 활주시킴으로써 액상 금속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들 두 평판에는 공통 정합면을 따라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 U자 형상의 홈이 있으며, 이로써 이 U자형 홈들 중 한 홈의 아암들은 다른 홈의 아암들과 중첩되고, 따라서 두 평판의 상대 위치에 무관하게 폐쇄 슈라우드 채널을 형성한다.
전술한 공지된 구성들은 모두 불활성 기체를 유입시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그럼으로써 액상 금속이 공기와 접촉하여 발생하는 화학적 문제점들을 없애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공지된 해결 방법들에는 몇몇 단점이 있다.
출탕 홈통 내로의 기체의 유입은 없어지지 않는다. 슈라우드 채널은 과압 상태이므로 기체의 유입은 오히려 증가된다. 이는 특히 턴디시(tundish)와 연속 주조용 주형 사이에서 금속이 이동하는 경우에 단점이 된다. 출탕 홈통 내로 유입된 기체는 주형 내에서 이동을 멈추며, 그 안에서 난류의 발생이나, 피복 분체가 이동하여 액상 금속에 포획되는 등의 교란 상태를 발생시킨다. 주형 내로 연행된 기체는 추가로 액상 금속에 용해되고, 결과적으로 응고된 금속 내에 결함을 형성한다. 그 결과, 이러한 교란은 제조된 금속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또한, 금속의 주형 내로의 유입 속도를 줄이고, 따라서 주형내 난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많은 종류의 제트 슈라우드 관에서는 유출구의 단면이 유입구의 단면보다 크다. 그러면, 액상 금속의 유속이 점차 감소한다. 관 내에 기체가 다량 있는 경우, 그러한 유형의 관은 정확하게 작동하지 못한다. 흐름이 관의 벽면으로부터 분리되고, 그 후 액상 금속이 주형 내로 제트류로서 떨어지기 때문이다.
두 내화물 조립체 사이의 정합면의 품질은 출탕 홈통이 사용됨에 따라 변한다. 이에 따라 결점이 나타날 수도 있으며, 특히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내화물 조립체의 경우 정합면의 마모에 의해 상당한 누설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슈라우드 채널 내로의 불활성 기체의 공급을 보다 정교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한 가지 가능한 방법은 슈라우드 채널 내로 유입되는 불활성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 경우, 만약 밀봉 결함이 심각해진다면, 불활성 기체의 유량이, 불활성 기체만이 출탕 홈통으로 유입될 만큼 충분히 크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슈라우드 채널 내의 압력은 음의 값을 갖게 되고, 대기 중의 공기가 출탕 홈통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만약 밀봉 상태가 양호하다면 불활성 기체의 일정한 흐름이 슈라우드 채널 내로 유입되고 그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며, 불활성 기체는, 실제로 필요하지 않더라도 출탕 홈통으로 유입된다.
다른 가능한 방법은 불활성 기체가 슈라우드 채널 내로 유입될 때 그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 경우, 만약 밀봉 결함이 심각해진다면 출탕 홈통으로 유입되는 불활성 기체의 유량이 커져서 전술한 단점을 초래한다.
실제로, 누설 속도가 큰 경우에는 이들 두 가지 조절 방법을 교대로 사용하여야 하며, 그렇다고 해도 이는 지나치게 과도한 양의 불활성 기체가 유입되는 대신 소정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조절 유지는 복잡하며 두 가지 단점 사이에서의 절충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전체의 수직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의 상세한 수직 단면도.
도 3은 선형 슈라우드 채널이 유입구 및 유출구가 있는 홈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의 상세한 수직 단면도.
도 4는 선형 슈라우드 채널이 유입구 및 유출구가 있는 홈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의 상세한 평면도.
도 5는 도 3과 유사한 도면으로, 슈라우드 채널은 내화물 조립체들 사이의 정합면을 통하여 나선형으로 수 회 감겨 연장되고, 배출구 앞쪽에 단면이 좁은 헤드 손실 교정부을 구비함.
도 6 및 도 7은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의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의 두 평판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8 및 도 9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가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 있는 상기 평판들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의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의 세 평판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2는 불활성 기체 및 밀봉제를 분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 및 그 보조 회로의 개략도.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한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 플랜트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슈라우드 채널 내로의 불활성 기체의 공급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출탕 홈통의 사용 중에 내화물 조립체들 사이의 정합면의 밀봉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화물 조립체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 내화물 조립체 세트는 적어도 두 개의 내화물 조립체를 포함하며, 이는 액상 금속, 특히 액상 철강 이송용 플랜트의 상류 용기와 하류 용기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트는 일반적으로, 상류 용기로부터 하류 용기로 액상 금속이 통과해 흐르는 출탕 홈통으로서, 이 출탕 홈통의 각 내화물 조립체에는 인접한 내화물 조립체의 대응하는 면과 함께 정합면을 형성하는 면이 적어도 하나 있는 출탕 홈통과; 이 출탕 홈통을 통과하는 액상 금속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흐름 조절 장치와; 내화물 조립체들 사이의 적어도 한 정합면의 수준에서 출탕 홈통 주위에 배치되며 유체의 유입을 허용하는 유입구를 구비한 슈라우드 채널을 포함한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내화물 조립체는 상기 슈라우드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슈라우드 채널에 유체가 상기 출탕 홈통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유출구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례에서, 슈라우드 채널은 한 쪽 단부에 유입구를, 그리고 다른 쪽 단부에 유출구를 구비한다. 슈라우드 채널은 선형이고 연속적인 것이 좋다.
슈라우드 채널의 유입구 및 유출구는 한 내화물 조립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슈라우드 채널 전부가 그 내화물 조립체 내에 형성된다. 또한, 슈라우드 채널은 연속하는 수 개의 출탕 홈통의 정합면들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슈라우드 채널의 연속성은 정합면들에서 이 채널이 서로 대응하여 연통되는 것에 의하여 제공된다. 특히, 내화물 조립체 세트는 두 개의 내화물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슈라우드 채널의 유입구는 이들 중 한 조립체 상에 배치되고, 슈라우드 채널의 유출구는 다른 조립체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례에서, 배출구에 의해 종단되는 헤드 손실 교정부(calibrated head loss)는 슈라우드 채널의 유출구에 연결된다. 이 헤드 손실 교정부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 외부에서 슈라우드 채널의 유출구에 연결될 수도 있지만, 실제의 내화물 조립체 내에 형성된 길이가 적절하고 단면이 작은 덕트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 조립체 세트는 가동(可動)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를 구성하는 평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들 평판 중 적어도 하나는 슈라우드 채널의 제1 U자형 부분을 구비하며, 이 U자형 부분의 아암들은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의 이동에 정렬된다. 상기 평판과 인접한 제2 평판은 슈라우드 채널의 제2 U자형 부분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제1 U자형 부분에 대하여 반대 방향이다. 슈라우드 채널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의 적어도 소정 위치에 대하여는, 상기 평판들 중 한 평판의 U자형 부분의 한 아암이 다른 평판의 U자형 부분의 한 아암과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이들 중첩된 아암들과 반대 방향인 슈라우드 채널의 아암들은 어긋나 있어서,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의 위치가 어떠하든지 이들 사이는 중첩되지 않는다. 슈라우드 채널의 일부는 연속적인 선형 슈라우드 채널을 형성하도록 인접한 내화물 조립체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의 평판의 경우, 슈라우드 채널의 U자형 부분은 출탕 홈통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내화물 조립체 세트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내화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류 용기로부터 하류 용기로 액상 금속, 특히 액상 철강을 이송시키기 위한 플랜트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내화물 조립체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변형례에서, 이 플랜트는 슈라우드 채널 내로 밀봉제를 도입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밀봉제는 분말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크기의 입자로 구성되는 분말일 수 있다. 밀봉제로서 유용한 분말로는, 흑연 또는 다른 내화성 물질과, 슈라우드 채널의 온도에서 가용성이 있고 액상에서의 점성이 슈라우드 채널 내의 누설을 부분적으로라도 차단할 수 있는 에나멜제가 포함된다. 밀봉제는 페인트나 수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염이나 금속 중에서도 선택할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내의 불활성 기체의 공급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의 범위 내에서, 불활성 기체의 흐름이 슈라우드 채널 내로 도입되며, 이 흐름은 출탕 홈통으로 유입되는 불활성 기체의 유량에 상관없이 불활성 기체의 초과량이 유출구를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의 큰 값으로 설정된다. 이 방법의 바람직한 변형례에서는, 아래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 불활성 기체의 흐름을 슈라우드 채널 내로 분사하는 단계와;
- 슈라우드 채널로의 유입구에서 불활성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 슈라우드 채널 내로 분사되는 불활성 기체의 유량을 설정치로 조절하는 단계와;
- 배출구에서의 불활성 기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 슈라우드 채널 내로 분사되는 불활성 기체 유량의 설정치를, 배출구에서의 불활성 기체의 유량이 항상 양(+)의 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단계.
이 방법의 개선된 실시예에서, 출탕 홈통 내로 도입되는 불활성 기체의 유량은, 슈라우드 채널 내로 분사되는 불활성 기체의 유량과, 배출구에서의 불활성 기체의 유량 사이의 차이로 결정되며, 출탕 홈통 내로 도입되는 상기 불활성 기체의 유량이 허용 한계를 넘을 경우에는 밀봉제가 슈라우드 채널 내로 분사된다.
슈라우드 채널이 선형이고 연속적으로 구성됨으로써, 불활성 기체가 순환함에 따라 밀봉제가 슈라우드 채널의 전체 길이에 걸쳐 확실히 이송되며, 따라서 사역(死域)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슈라우드 채널에 개구부가 있는 경우, 밀봉제의 초과분은 슈라우드 채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을 설명한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를 보여주고 있다. 이 플랜트는 상류 용기(2)를 포함한다. 도시된 선행 기술의 실시예에서, 상류 용기(2)는 내화재 층부(6)로 덮여 있는 강철제 바닥 벽부(4)를 구비하는 턴디시이다. 이 턴디시의 저부에는 출탕구가 있다. 이 출탕구는 내화재의 두께 부분에 설치되고 강철제 바닥 벽부(4)를 관통하는 내부 노즐(8)에 의하여 경계가 한정된다. 이 플랜트는 또한 하류 용기(10)를 포함한다. 도시된 선행 기술의 실시예에서, 하류 용기(10)는 연속 주조용 주형으로 구성된다.
내부 노즐(8)의 하부는 평판(12)에서 종단된다. 내부 노즐(8) 아래에는 그 내부 노즐(8)의 평판(12)과 정합하는 평판(16)에서 상부가 종단되는 제트 슈라우드 관(14)이 있다. 공지된 방식에 따라, 평판들(12, 16)은 가능한 한 완전하게 밀봉되도록 공지된 수단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압박된다. 폐쇄 슈라우드 채널(18)은 평판들(12, 16) 사이의 정합면에 형성된 환형 홈(20)으로 구성된다.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도관(24)은 이 환형 홈(20)에 연결된다. 금속 흐름 조절 수단은 참조 부호 26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스토퍼 로드이다. 내부 노즐(8) 및 제트 슈라우드 관(14)은 상류 용기(2)로부터 하류 용기(10)로 금속이 통과해 흐르는 출탕 홈통(28)의 경계를 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플랜트가 단지 두 개의 내화물 조립체[내부 노즐(8) 및 제트 슈라우드 관(14)]만을 구비하지만, 예컨대 3개의 평판을 구비한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가 설치된 플랜트인 경우에는 플랜트가 더 많은 내화물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출탕 홈통(28)의 경계를 정하는 각 내화성 요소에는 인접한 내화성 요소의 대응면과 함께 정합면(22)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 개의 면이 있다.
도 2는 선행 기술에 따른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의 일부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이 도면은 출탕 홈통(28)을 형성하는 제트 슈라우드 관(32) 내로 삽입된 수집 노즐(30)을 보여주고 있다. 두 내화물 조립체의 접합부에는 정합면(22)이 있다. 폐쇄 슈라우드 채널(18)은 제트 슈라우드 관(32)의 정합면(22)에 형성된 환형 홈(20)으로 구성된다. 불활성 기체 공급용 도관(24)은 이 환형 홈(20)에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두 실시예 모두에서, 슈라우드 채널(18)은 불활성 기체 공급부가 있는 폐쇄된 환형 채널이며, 불활성 기체 공급의 조절에 대한 복잡한 관리와 관련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슈라우드 채널(34)은 환형이 아니고 선형인 홈(3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쪽 단부에는 불활성 기체 공급용 도관(24)과 연결된 유입구(38)가 있고, 다른 쪽 단부에는 불활성 기체가 슈라우드 채널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유출구(40)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슈라우드 채널은 나선 형상이다. 이 실시예는 특히 원추형 정합면에 적합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홈(36), 유입구(38) 및 유출구(40)는 단일의 내화물 조립체(32)에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들 세 요소의 전체 또는 일부를 다른 내화물 조립체(30)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 조립체(42)의 평면도이다. 선형 홈(36)으로 구성된 슈라우드 채널(34)의 유입구(38) 및 유출구(40)는 내화재에 천공된 구멍들을 통하여 내화물 조립체의 주변부로 노출된다. 내화물 조립체(42)의 이 도면은, 예를 들면 내부 노즐의 하부면, 제트 슈라우드 관의 상부면, 관 교환기의 평판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용탕 분출기(28)의 임의의 단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례에서, 선형 슈라우드 채널(34)은 내화물 조립체의 유출구와 연결된 단순 도관으로 구성될 수 있는 헤드 손실 교정부(44)와 연결된다. 유리하게는, 이 헤드 손실 교정부는 슈라우드 채널(34)이 내부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실제의 최종 내화물 조립체 내에, 단면이 작고 길이가 적절한 덕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접근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슈라우드 채널(34)은 정합면(22)을 통하여 연장되며, 나선형으로 수 회 감길 수도 있는 선형 홈(36)으로 구성된다. 불활성 기체는 헤드 손실부를 형성하는, 단면이 작은 덕트의 일부(44)를 통하여 배출구(46)까지 이동한다. 상기 덕트의 일부(44)의 크기를 선정함으로써 헤드 손실값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플랜트에 외부 유출관이 필요없게 되며, 따라서 매우 단순해진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슈라우드 채널(34)이 단지 한 개의 내화물 조립체만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플랜트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 개의 연속적인 내화물 조립체(42)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슈라우드 채널(34)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수 개의 정합면(22)들이 동일한 슈라우드 채널(34)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보장되고, 이 채널은 출탕 홈통 내의 내화물 조립체의 순서와는 다른 순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화물 조립체(42) 내에 유입구(38)를 만들고, 슈라우드 채널(34)은 최종 내화물 조립체를 이탈하지 않고 플랜트의 수 개의 정합면을 통과하며 연장되어 내화물 조립체들을 통하여 아래로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7,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 조립체 세트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 내화물 조립체 세트는 출탕 홈통(28)을 형성하는 구멍이 천공된 상부 평판(48)과, 역시 구멍이 있는 하부 평판(50)을 포함하며, 이들 평판은 서로에 대하여 수평으로 활주할 수 있고, 따라서 출탕 홈통(28)의 개방 정도를 변화시켜 액상 금속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두 평판(48, 50)에는 각각 U자형 홈(52)이 있다. 예컨대, 프랑스 특허 출원 제74/14636호와 같은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홈들과는 달리, 두 평판(48, 50)의 상대 위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평판 길이의 일부에 걸쳐서, 두 개의 중첩된 U자형 홈은 그 아암 중 단지 한 개만 겹쳐진다. 아암들(56, 58)은 겹쳐지지 않고 각 단부에서 슈라우드 채널(34)의 유출구(40) 및 유입구(38)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 플랜트에서는 출탕 홈통(28)의 주위에 배치되며 한 쪽 단부에 유입구(38)가 있고 다른 쪽 단부에 유출구(40)가 있는 연속 선형 슈라우드 채널(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구성은 하부 평판(50) 내에 배치되거나 그 외부와 연결되는 헤드 손실 교정부를 개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불활성 기체의 분사를 조절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게 한다.
상부 평판(48)의 U자형 홈의 아암들 사이의 거리는 하부 평판(50)의 U자형 홈의 아암들 사이의 거리와 상이하다. 따라서, 이들 U자형 홈 중의 적어도 하나는 출탕 홈통(28)을 형성하는 구멍에 대하여 비대칭이다.
이 실시예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를 구비하는 노즐로서 공지된 장치에 특히 적합하다.
도 10 및 도 11은 3개의 평판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인 본 발명에 따른 기구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기구는 상부 평판(48), 수평 활주할 수 있는 중간 평판(60) 및 하부 평판(50)으로 구성된다. 이들 도면에서, 상부 평판(48)은 파선으로, 중간 평판(60)은 실선으로, 그리고 하부 평판(50)은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즉, 가시선과 은선에 관한 일반적인 도면 작성법에 따르지 않았다. 상부 평판(48)은 불활성 기체 공급 도관(24)으로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슈라우드 채널(34)을 상부 평판(48)과 중간 평판(60) 사이의 정합면(22)에 배치한 것은 도 6, 7, 8 및 9와 관련하여 기재한 실시예와 모든 면에서 유사하다. 중간 평판(60)과 하부 평판(50) 사이의 정합면에 있는 슈라우드 채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중간 평판(60)의 상부면에 있는 U자형 부분과, 동일 평판의 하부면에 있는 U자형 부분은 구멍(62)에 의하여 연결된다. 하부 평판(50)은 슈라우드 채널(34)의 유출구(40)와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간 평판(60)이 어디에 위치하든지 상관없이, 유입구(38)로부터 유출구(40)로 불활성 기체가 연속적으로 흐르게 하는 슈라우드 채널(34)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라 플랜트를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도 12를 참조로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슈라우드 채널(34)의 유입구(38)에는 불활성 기체가 공급되고 그 유출구(40)는 공기 중으로 개방된다. 불활성 기체 공급 장치는 실린더와 같은 공급부, 감압 밸브(64), 유량계(66) 및 흐름 조절 장치(68)로 구성된다. 이 장치는, 가능한 최대의 누설 속도보다 더 큰 속도로 불활성 기체의 일정한 흐름을 슈라우드 채널(34) 내로 공급하여, 항상 과잉의 불활성 기체가 유출구(40)를 통하여 방출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단지 불활성 기체만이 출탕 홈통(28) 내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은 확실하지만, 이 불활성 기체의 유입량조차도 정합면(22)의 상태에 따라 최소값으로 감소하며, 이는 슈라우드 채널의 압력이 가능한 최소값, 즉 대기압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관리 및 최적 효율에 있어 매우 큰 잇점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개선된 실시예는, 슈라우드 채널(34)의 유출구(40)에 제2 유량계를 부가하여 이 유출구(40)를 통하여 빠져나가는 불활성 기체의 초과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슈라우드 채널(34) 내로 유입되는 불활성 기체의 유량(Qin)과의 차이로부터 출탕 홈통(28) 내로 실제로 유입되는 불활성 기체의 유량을 알 수 있다. 이 유량계는 헤드 손실 교정부(44) 및 압력 게이지(70)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좋다. 헤드 손실 교정부(44)를 통과하는 불활성 기체의 유량(Qout)은 슈라우드 채널(34) 내에 약간의 과압(Pin)을 발생시키며, 이 과압은 압력 게이지(70)에 의하여 측정된다. 압력 게이지(70)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Pin)과 유출구(40)를 통하여 빠져나가는 불활성 기체의 유량(Qout) 사이의 관계는 다음의 공지된 경험식에 의하여 제공된다:
Qout = K * f( Pin )
여기서 K는 헤드 손실 교정부의 교정 계수이다.
슈라우드 채널(34)의 헤드 손실은 작기 때문에, 그 유입구에서 압력 게이지(70)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Pin)은 유출구(40)에서 측정되는 압력과 거의 같다. 압력 게이지(70)를 슈라우드 채널(34)의 유입구(38)에 배치함으로써, 그 채널을 유출구와 연결하는 것과 관련된 곤란성이 제거된다. 이 곤란성에는 출탕 홈통(28) 주변에서의 환경과 관련된 어려움이 포함되며, 만약 헤드 손실 교정부(44)가 내화물 조립체 내에 만들어진다면 접근 용이성과 관련된 어려움도 포함된다.
헤드 손실 교정부를 직경이 3 mm 내지 4 mm이고 길이가 1 m 내지 4 m인 관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낮은 수준의 과압(0.1 bar 내지 0.3 bar)이 발생되고, 누설 속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는 슈라우드 채널(34)의 유출구를 통하여 빠져나가는 과잉 흐름을 원격 측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방법의 또 하나의 이점은, 이 형태의 유량계는 극히 간단하고 견고하며, 곤란한 환경에 따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내화재의 유출구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유량계를 안전하게 보호되고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기 위하여 추가의 도관을 부착할 필요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불활성 기체의 유입을 현저하게 증가시키지 않고도 공기가 출탕 홈통으로 유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성능 한계는 단지 정합면의 상태에 좌우된다.
본 발명에서의 중요한 개선은 밀봉제를 슈라우드 채널(34) 내에 도입시키는 점이다. 이 밀봉제는 저장 용기(72) 내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분사 장치(74)에 의해 불활성 기체 도관으로 도입된다.
밀봉제의 도입은 연속적일 수 있는데, 이는 밀봉제의 초과 공급량은 불활성 기체의 초과 공급량과 함께 유출구(40)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밀봉제가 축적되어 슈라우드 채널(34)이나 기체 도관(24)이 막힐 염려가 없다. 본 방법의 또 하나의 이점은, 유압 회로에 사역(死域)이 없기 때문에, 밀봉제가 필요한 모든 위치로 확실히 전달되기에 충분한 속도로 불활성 기체가 슈라우드 채널(34)의 전체 길이를 따라 흐른다는 점이다. 연속 유입 방법은 정합면의 품질이 어느 순간이든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경우에 선호된다. 이것은 출탕 제트의 조절을 위한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의 평판들 사이의 정합면과 관련된 경우에 특히 그러한데, 출탕 제트는 자주 이동하므로 어느 순간이든 새로 누설이 발생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한 래들(ladle)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의 수집 노즐과 제트 슈라우드 관 사이의 정합면(22)의 경우에도 그러하다.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의 이동과, 액상 금속의 흐름에 의하여 야기되는 관의 진동은 어느 순간이든 정합면 품질을 악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출탕 과정 동안 대부분 움직이지 않지만 주기적으로 변할 수 있는 정합면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은 미국 특허 제4,569,52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관 교환기의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이 관 교환기의 경우, 관의 상부에는 상류 용기의 고정 평판에 대하여 확실하게 눌려지는 평판이 있다. 관이 마모되면 새 관으로 교체되며, 이 작업은 일반적으로 새 관을 고정 상부 평판에 대하여 활주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정합면은 일반적으로 관 교체 작업에 의해 크게 손상되지만, 관의 사용 기간 동안에는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거의 손상되지 않는다. 이러한 적용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선호되는 변형례에서는 밀봉제가 정합면의 품질 상태에 따라 필요할 경우에만 도입되기 시작한다. 누설 속도가 미리 설정된 허용치보다 높아지는 경우, 즉 압력 게이지(70)로 측정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경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밀봉제의 도입이 시작된다. 누설 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으로 떨어지는 것과 동시에, 즉 압력 게이지(70)에서 압력이 소정의 경계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밀봉제의 도입이 정지된다.
이 방법은 2중 임계치 압력 검출기(76)를 추가함으로써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밸브(78), 유량계(80) 및 흐름 조절 장치(82)로 구성되는 추가의 불활성 기체 공급 도관이 도입된다. 상기 밸브(78)는 밀봉제의 도입이 시작되는 것과 동시에 개방되어, 도입 과정 동안 불활성 기체가 추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방법은, 조절 장치(68)에 의하여 공급되는 불활성 기체의 주 유량을, 정합면이 정확하게 밀봉된 경우라면 통상의 주형 작업 동안 충분한 수준인, 예컨대 10 N l/min의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하며, 또한 예컨대 관 교체 후와 같이 정합면의 품질이 저하된 경우, 불활성 기체의 초과 공급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충분히 높은 유량을 사용함으로써, 밀봉제의 효율적인 이송을 보장하고 유출구(40)를 통하여 초과량을 배출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면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 조립체, 플랜트 및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들이다. 특히, 내화물 조립체들 사이의 임의 개수의 정합면(22)들을 통하여 연장되는 슈라우드 채널은, 고정적이거나 이동이 가능한 경우 모두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한다.

Claims (16)

  1. 적어도 두 개의 내화물 조립체(8,12,30,32,42,48,50,60)를 포함하고,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의 상류 용기(2) 및 하류 용기(10)의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로서,
    상기 상류 용기(2)로부터 상기 하류 용기(10)로 액상 금속이 통과하여 흐르는 출탕 홈통(28)으로서, 상기 출탕 홈통(28)의 각 내화물 조립체(8, 12, 30, 32, 42, 48, 50, 60)는 인접한 내화물 조립체(8, 12, 30, 32, 42, 48, 50, 60)의 대응하는 면과 함께 정합면(22)을 형성하는 면을 1개 이상 가지는 출탕 홈통(28)과;
    상기 출탕 홈통(28)을 통과하는 액상 금속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흐름 조절 장치(26)와;
    상기 내화물 조립체들(8, 12, 30, 32, 42, 48, 50, 60)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합면(22)의 높이에서 상기 출탕 홈통(28)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유체가 유입될 수 있게 하는 유입구(38)를 구비하는 슈라우드 채널(34)을 포함하는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내화물 조립체들은 상기 슈라우드 채널(34)을 형성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슈라우드 채널(34)은 유체가 상기 출탕 홈통(28)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유출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 채널(34)은 한 쪽 단부에 유입구(38)를, 다른 쪽 단부에 유출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 채널(34)은 선형이고 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개의 내화물 조립체를 포함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8, 12, 30, 32, 42, 48, 50, 60)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 채널(34)의 유입구(38)는 상기 내화물 조립체 중 한 조립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슈라우드 채널(34)의 유출구(40)는 다른 조립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 채널(34)의 유입구(38) 및 유출구(40)는 단일의 내화물 조립체 상에 제공되며, 상기 슈라우드 채널(34) 전체가 상기 내화물 조립체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 채널(34)은 연속하는 출탕 홈통(28)의 수 개의 정합면(22)들을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슈라우드 채널(34)의 연속성은 상기 정합면(22)들에서 상기 슈라우드 채널이 서로 대응하여 연통되는 것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구(46)에 의해 종단되는 헤드 손실 교정부(44)는 상기 내화물 조립체 세트 외부에 있는 슈라우드 채널(34)의 유출구(4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구(46)에 의해 종단되는 헤드 손실 교정부(44)는 상기 슈라우드 채널(34)의 유출구(40)에 연결되며, 내화물 조립체 내에 형성된 덕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평판(48, 50) 형태의 두 개 이상의 연속하는 내화물 조립체가 가동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를 구성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에 있어서,
    상기 평판들 중 적어도 한 평판(48)은 상기 슈라우드 채널(34)의 제1 U자형 부분을 구비하고, 이 U자형 부분의 아암들은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의 이동에 정렬되며,
    상기 평판과 인접한 제2 평판(50)은 상기 제1 U자형 부분에 대하여 반대 방향인 상기 슈라우드 채널(34)의 제2 U자형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슈라우드 채널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평판들 중 한 평판(48)의 U자형 부분의 한 아암은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의 적어도 일 지점에서다른 평판(50)의 U자형 부분의 한 아암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상기 중첩된 아암들과 반대 방향인 상기 슈라우드 채널의 아암들은 어긋나 있어서, 이들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의 위치와 상관없이 중첩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연속적인 선형 슈라우드 채널(34)을 형성하도록 상기 슈라우드 채널의 일부는 인접한 내화물 조립체에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조립체 세트.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내화물 조립체 세트에 사용될 수 있는 내화물 조립체.
  11. 제9항에 따른 내화물 조립체 세트에 사용될 수 있는 내화물 조립체(42)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 채널(34)의 U자형 부분은 상기 출탕 홈통(28)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조립체.
  12. 상류 용기(2)와 하류 용기(10) 사이의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내화물 조립체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 채널(34) 내로 밀봉제를 도입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14. 제12항에 따른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내에서 불활성 기체의 공급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불활성 기체의 흐름이 상기 슈라우드 채널(34) 내로 분사되며, 이 흐름은 상기 출탕 홈통으로 유입되는 불활성 기체의 유량과 상관없이, 불활성 기체의 초과량이 상기 유출구(40)를 통하여 빠져나가기에 충분한 높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기체 공급 조절 방법.
  15. 제12항에 따른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내에서 불활성 기체의 공급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불활성 기체의 흐름을 상기 슈라우드 채널(34) 내로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슈라우드 채널 내의 불활성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슈라우드 채널 내로 분사되는 불활성 기체의 유량을 설정치로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구(46)에서의 불활성 기체의 유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슈라우드 채널 내로 분사되는 불활성 기체 유량의 설정치를, 상기 배출구에서의 불활성 기체 유량이 항상 양의 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기체 공급 조절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탕 홈통(28) 내로 유입되는 불활성 기체의 유량은 상기 슈라우드 채널 내로 분사되는 불활성 기체의 유량과 상기 배출구(46)에서의 불활성 기체의 유량 사이의 차이로 결정되며, 상기 출탕 홈통(28) 내로 유입되는 불활성 기체의 유량이 허용 한계를 넘을 경우 밀봉제가 슈라우드 채널 내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기체 공급 조절 방법.
KR10-1999-7003315A 1996-10-17 1997-10-15 내화물 조립체, 내화물 조립체 세트, 상기 내화물 조립체 세트를 포함하는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및 상기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내에서의 불활성 기체 공급 조절 방법 KR100495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12664A FR2754749B3 (fr) 1996-10-17 1996-10-17 Installation de transfert de metal liquide, procede de mise en oeuvre et refractaires
FR96/15928 1996-12-20
FR96/12664 1996-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216A KR20000049216A (ko) 2000-07-25
KR100495756B1 true KR100495756B1 (ko) 2005-06-17

Family

ID=949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315A KR100495756B1 (ko) 1996-10-17 1997-10-15 내화물 조립체, 내화물 조립체 세트, 상기 내화물 조립체 세트를 포함하는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및 상기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내에서의 불활성 기체 공급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95756B1 (ko)
FR (1) FR2754749B3 (ko)
ZA (2) ZA9792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401B1 (ko) 2003-04-11 2010-03-29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유압공급라인의 과압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5126B1 (fr) * 1997-06-26 1999-07-30 Lorraine Laminage Procede de coulee de metal liquide dans un conduit comprenant au moins deux pieces refractaires
WO2002047853A1 (de) * 2000-12-12 2002-06-20 Stopinc Aktiengesellschaft Feuerfestteil für einen giessrohrwechsler am ausguss eines metallschmelze enthaltenden gefäss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5731A (en) * 1977-01-27 1982-12-28 Didier-Werke, A.G. Refractory structures
JPH01309769A (ja) * 1988-06-06 1989-12-14 Nkk Corp 注入ノズルのシ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5731A (en) * 1977-01-27 1982-12-28 Didier-Werke, A.G. Refractory structures
JPH01309769A (ja) * 1988-06-06 1989-12-14 Nkk Corp 注入ノズルのシー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401B1 (ko) 2003-04-11 2010-03-29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유압공급라인의 과압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54749A1 (fr) 1998-04-24
KR20000049216A (ko) 2000-07-25
ZA979269B (en) 1998-05-11
ZA979272B (en) 1998-05-11
FR2754749B3 (fr) 199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3968B1 (ko) 액상 금속 이송용 설비와 액상 금속의 흐름 보호 방법
WO1985005056A1 (en) Stopper for use in molten metal handling
CN1008426B (zh) 冶金容器用的转动移动开关和这种旋转开关的转子和/或定子
KR100495756B1 (ko) 내화물 조립체, 내화물 조립체 세트, 상기 내화물 조립체 세트를 포함하는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및 상기 액상 금속 이송용 플랜트 내에서의 불활성 기체 공급 조절 방법
MXPA97003651A (en) Door assembly and cold tube for use on a regula door valve
SK283383B6 (sk) Zostavenie žiaruvzdornej hubice
WO2001056725A1 (en) Preventing air aspiration in slide gate plate throttling mechanisms
US5670075A (en) Sealing gas delivery system for sliding joints
MXPA99003602A (en) Refractory assemblies
KR100241018B1 (ko) 층류유동 냉각을 위한 유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2239245B1 (ko) 게이트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MXPA99003603A (en) Plant for transferring liquid metal, method of operation, and refractories
KR960007496B1 (ko) 용탕저류부의 탕구와 유속제어장치 및 주조방법
KR20010031718A (ko) 야금 용기용 주입 장치 및 방출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RU2018409C1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стали
JPS5838645A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型への給湯設備および給湯方法
JPS5930453A (ja) 溶融アルミニウム含有鋼及び合金の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