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747B1 - 키토산을 이용한 구강구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키토산을 이용한 구강구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747B1
KR100494747B1 KR20030029378A KR20030029378A KR100494747B1 KR 100494747 B1 KR100494747 B1 KR 100494747B1 KR 20030029378 A KR20030029378 A KR 20030029378A KR 20030029378 A KR20030029378 A KR 20030029378A KR 100494747 B1 KR100494747 B1 KR 100494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bad breath
oral
weight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29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493A (ko
Inventor
손태일
박세훈
이영기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Priority to KR20030029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7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7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2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의 항균코팅제, 색소 안정제, 약물전달체계 등의 응용분야를 가지는 키토산을 이용한 구강구취제로의 응용제조에 있다. 본 발명은 키토산의 생체적합성, 항균활성, 면역부활작용, 생분해성 등 우수한 기능을 포함하며, 기존의 구취제에 있어서의 구취를 중화하는 개념에서 벗어나, 구취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신 개념을 도입한 "항균성 구취제"로서 구취제로서의 응용에 있어 그 적합성이 두드러지는 키토산을 이용하여 휴대성과 그 효능에 있어서 기존의 제품과 차별화 된 필름형 구강구취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키토산을 이용한 구강구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The oral cavity and bad breath agent comprising chitosans}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수용성 키토산 0.3∼0.5 중량%를 함유하는 필름형 구강구취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수용성 키토산 0.3∼0.5 중량%, 허브용액 25∼30 중량%, 젤라틴 4∼5 중량%, 용해성 전분용액 1∼2 중량% 및 나머지 물을 함유하는 필름형 구강구취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구강관련 제재는 체내에 섭취가 불가능하며 권장되고 있지 않다. 만약 체내로 섭취시 건강에 해로울 가능성이 크다. 또한 그 외에 사용상 많은 제약이 따른다. 국내 모제약에서 생산하고 있는 '가그린 덴트'라는 구강구취제는 입에 넣었다 다시 뱉어 버려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으며 휴대의 불편성, 사용장소의 제약성이 뒤따른다. 기존의 제품 중 스프레이형의 휴대성을 높인 제품은 있지만, 기존의 가글형 제품을 분사방식으로 교체한 것일 뿐 여전히 체내 섭취에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체내 복용면에 있어 제과업체의 캔디류나 검 등의 제품들이 출시 되어있다고는 하나 어디까지나 이러한 제품들은 구취제의 개념이 아닌 일반 제과류이므로 구취제가 아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강구취제 시장의 취약성을 인식하여 섭취가능한 구강구취제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항균활성이 뛰어난 키토산과 체내 생리활성을 유지시켜주는 천연유래물질을 혼합하여 구강구취제를 제조함으로써 단일기능의 구강구취제에서 온 몸의 생리적 작용 및 항균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다기능·고순도의 구강구취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거의 모든 구취는 구강 내(입안) 혐기성 박테리아(Fusobacterium and Actinomyces, etc)의 부산물인 VSCs(Volatile Sulfur Compounds)에 의해서 발생된다. 불행하게도 이런 박테리아는 음식물을 소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필요하다. 구취환자에게서 왜 그런 박테리아가 특별히 고농도로 존재하는지에 대해서 다양한 가설(호르몬의 변화, 약복용 경험, 가족력에 대한 가설)이 존재할 뿐 정확히 밝혀진 바 없다. 물론 치주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이런 혐기성 박테리아의 농도가 높아서 구취의 원인이 되겠지만 구강의 청결상태와 관련없이 이런 박테리아의 농도 증가도 구취를 유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강 내 구취는 이런 박테리아에 의해서 생산되거나 조직의 파괴에 의해서 만들어진 황(VSCs) 가스의 냄새이다. 구취(Halitosis, Malodor, Fetor ex Oris)는 치과적인 정의로써 단순한 이상 냄새(Bad Breath)와는 구분해야 하는데 마늘, 양파, 담배 냄새들은 일시적으로써 지속적인 만성 구취와는 구별되어 진다. 이런 냄새들은 음식물 그 자체의 냄새거나 혹은 음식물의 부패에 의한 것이다.
구취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인자들로서 호흡기 계통질환, 만성신장질환(fish odor), 비강 폴립, 당뇨(사과향), 위장질환, 만성 상악동염, 편도선염 등으로써 상기 질환에 의해서 구취가 있을 수 있으며 약물에 의해서도 구취가 발생할 수 있고 악성종양에 의한 구취(상기 구취는 10% 이내임), 구강청결과 관련된 치주적 문제, 스트레스로 인해 구강을 건조되어서 구취악화, 월경-특히 월경불순과 심한 동통성 월경의 여성에게서 심하다. 상기 구취는 본인이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월경 시작시기와 배란기에 구강내 타액(침)의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게되는데 이는 박테리아로 하여금 황화합물(VSCs)의 생산을 증가시킴으로써 구취를 유발시킨다.
물리적으로 혀 표면을 절제하고 항균성 구강세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일정기간만 도움이 된다는 일화 같은 충분한 증거가 있다. 상기 결과를 증거하기 위해 임상실험을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기계적인 솥, 세척기 등은 FDA와 같은 기관의 정규 심사대상이 아니며 항균 화학제인 아연염이산화염소 등은 개인이 독점 소유할 수 없고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일반 제제이기 때문이다. 연구보고서에 기술된 가장 효과적인 제제는 클로르헥시딘이다. 상기 제제는 의사의 처방을 요하는 약품으로 장기간 사용해서는 안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불편한 점을 감소시키면서 똑같은 효과를 얻는 혼합물로서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화학제가 아닌 키토산은 천연물질이며 인체 내 섭취적합성, 항균활성, 면역부활작용, 생분해성 등 우수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식품의 항균코팅제, 색소 안정제, 약물전달체계(drug delivery system) 등의 응용분야를 가지는 키토산을 이용한 구강구취제로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토산의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성, 키토산 자체의 무독성, 면역부활작용 등 우수한 기능을 포함하며 기존의 구취제에 있어서의 구취를 중화하는 개념에서 벗어나 구취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신 개념을 도입한 항균성 구취제임과 동시에 필름형의 구조로 인해 그 휴대성과 복용하기 용이한 점에서 기존의 구취제에 비해 월등히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 키토산을 용해시켜 젤라틴과 용액성 전분과 블랜드시켜 겔화 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얇은 키토산 필름(Ψ0.3∼0.5mm)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키토산의 생체적합성, 항균활성, 면역부활작용, 생분해성 등 우수한 기능을 포함하며, 기존의 구취제에 있어서의 구취를 중화하는 개념에서 벗어나 구취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신 개념을 도입한 "항균성 구취제"라는데 차별화를 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취제로서의 응용에 있어 그 적합성이 두드러지는 키토산을 이용하여 휴대성과 그 효능에 있어서 기존의 제품과 차별화 된 필름형 구강구취제의 개발에 있다.
본 발명은 수용성 키토산 0.3∼0.5 중량%를 함유하는 필름형 구강구취제이다. 본 발명은 수용성 키토산 0.3∼0.5 중량%, 허브용액 25∼30 중량%, 젤라틴 4∼5 중량%, 용해성 전분용액 1∼2 중량% 및 나머지 물을 함유하는 필름형 구강구취제이다. 본 발명은 젤라틴 5 중량% 및 용해성 전분용액 2 중량%를 혼합한 혼합액에 수용성 키토산 0.1∼0.5 중량% 및 허브용액 30중량%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블랜드한 후 건조하여 겔화시켜 키토산 필름을 제조하는 필름형 구강구취제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젤라틴 5 중량% 및 용해성 전분용액 2 중량%를 혼합한 혼합액에 수성 키토산 0.5 중량% 및 허브용액 30중량%를 첨가한 후 마그네틱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블랜드하고 인큐베이터(37℃)에 건조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은 수용성 키토산을 용해시켜 젤라틴 및 용액성 전분과 블랜드시켜 겔화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얇은 키토산 필름(Ψ0.3∼0.5mm)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키토산의 함량이 0.3 중량%이하이면 항균작용을 하는데 있어 부족한 양이 된다. 이는 주형 및 필름 분리과정에서의 손실양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키토산이 0.5 중량%가 넘으면 키토산 본래의 떫은 맛 때문에 너무 많은 향료가 요구되며 그로 인해 필름형성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젤라틴이 4 중량% 이하이면 점도가 부족하여 필름형성이 안되며 5 중량% 이상이면 점도가 너무 많아 구강 내에서 잘 녹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전분이 1 중량% 이하이면 젤라틴의 상대적 점도가 커져 필름끼리 서로 붙는 단점이 있다. 2 중량%가 넘으면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져 필름 분리시 손실이 많고 보관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본 발명에서 허브 향이 25 중량%이하이면 향이 부족해서 떫은맛이 나고, 30 중량%이상이되면 최종 용액이 너무 묽어져서 필름형성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물은 2차 증류수(DH2O)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형 구강구취제는 먼저 구조상 필름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기 위해 인체에 무해한 5 중량% 젤라틴, 2 중량% 용액성 전분 및 100㎖ DH2O를 블랜드시켜 식용 필름의 기본 용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젤라틴은 동물의 가죽 ·힘줄 ·연골 등을 구성하는 천연 단백질인 콜라겐을 뜨거운 물로 처리하면 얻어지는 유도 단백질의 일종으로 찬물에는 팽창만 하지만, 온수에는 녹아서 졸(sol)이 되고 2∼3% 이상의 농도에서는 실온(室溫)에서 탄성이 있는 겔(gel)이 되며 이 상태가 된 것을 젤리라고 하고 그 응고성(凝固性)을 이용하여 음식물에 섞어서 모양이나 단단함을 갖추기 위해서 널리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분은 D-글루코오스(포도당)가 축합하여 생긴 다당류로서 전분(澱粉)이라고도 하며 엽록소를 가진 식물체에 널리 존재한다. 녹말은 식물의 씨 ·뿌리 ·줄기 ·알뿌리 ·열매 등에 함유된 중요한 저장물질의 하나이며 고등동물에서도 탄수화물의 영양원으로서 중요한 물질이다. 쌀도 대부분 녹말로 이루어져 있다. 5mg 젤라틴과 2mg 용액성 전분을 각각 실험용 저울로 측정하여 100㎖ DH2O에 용해시켜 교반기(magnetic stirrer)를 이용해 블랜드시킨다(30 min.).
상기에서 얻어진 기본 용액에 0.5 중량% 수용성 키토산과 30 중량% 허브용액을 블랜드시켜 구취제의 메인 용액을 제조한다. 키토산은 천연 생체고분자 물질로서 게, 새우 등의 껍질로부터 단백질제거(약 알카리 처리), 칼슘 제거(희염산처리) , 색소제거에 의하여 얻어지는 키틴(chitin)에서 탈아세틸화(deacetylation)시켜 얻어진다.
허브는 꽃과 종자·줄기·잎·뿌리 등을 약이나 향신료 등으로 사용하는 식물로서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고 각종 약리성분으로 소화·수렴·이뇨·살균·항균 등의 작용을 하므로 따뜻한 물에 녹여 차로 마시거나 고기나 생선, 내장류의 냄새를 없애고 단맛·매운맛·쓴맛·신맛 등의 맛에 변화를 줄 수 있어 특히 서양에서 많이 사용한다. 음식 이외에 허브를 이용하는 예로서, 카페인이 전혀 없는 허브 차는 혈액순환이 잘 되고 위가 상쾌해져 기분이 느긋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향을 이용한 아로마서로피는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피곤할 때 또는 피부가 거칠어졌을 때 미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0.5mg 의 수성 키토산을 실험용 저울로 측정하고 앞에서 얻어진 기본 용액과 교반기(magnetic stirrer)를 이용해 블랜드시킨다(30 min.). 상기 용액에 30㎖의 허브 용액을 자동 피펫으로 첨가하여 최종 용액을 얻는다. 최종 용액을 교반기로 블랜딩 시킨 후 자동 피펫으로 20㎖을 취한다. 메탈보드(metal board)와 1mm두께의 셀로판 테이프(간격:4.8cm)를 이용해 제작한 몰드 위에 최종 용액 20㎖을 스프레딩한다. 그 후 인큐베이터(37℃)에 1 일동안 건조시킨다. 건조된 필름을 얇은 면도날을 이용해 분리한다.
샘플(2*2cm) 크기로 절단하여 먹기 좋은 크기로 만든다. 상기의 공정을 통해 키토산이 블랜딩된 필름형 구강구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젤라틴 5 중량% 및 용해성 전분용액 2 중량%를 혼합한 혼합액에 수성 키토산 0.5 중량% 및 허브용액 30중량%를 첨가한 후 마그네틱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블랜드하고 인큐베이터(37℃)에 건조시켜 키토산이 블랜딩된 필름형 구강구취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필름형 구강구취제는 수용성 키토산을 용해시켜 젤라틴 및 용액성 전분과 블랜드시켜 겔화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얇은 키토산 필름(Ψ0.3∼0.5mm)을 제조하였다. 상기 필름형 구강구취제는 구조상 필름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기 위해 인체에 무해한 5 중량% 젤라틴, 2 중량% 용액성 전분 및 100㎖ DH2O를 블랜드시켜 식용 필름의 기본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젤라틴 5 중량% 및 용해성 전분용액 2 중량%를 혼합한 혼합액에 수성 키토산 5 중량% 및 허브용액 30중량%를 첨가한 후 마그네틱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블랜드하고 인큐베이터(37℃)에 건조시켜 키토산이 블랜딩된 필름형 구강구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젤라틴 5 중량% 및 용해성 전분용액 2 중량%를 혼합한 혼합액에 수성 키토산 15 중량% 및 허브용액 30중량%를 첨가한 후 마그네틱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블랜드하고 인큐베이터(37℃)에 건조시켜 키토산이 블랜딩된 필름형 구강구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젤라틴 5 중량% 및 용해성 전분용액 2 중량%를 혼합한 혼합액에 수성 키토산 30 중량% 및 허브용액 30중량%를 첨가한 후 마그네틱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블랜드하고 인큐베이터(37℃)에 건조시켜 키토산이 블랜딩된 필름형 구강구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젤라틴 5 중량% 및 용해성 전분용액 2 중량%를 혼합한 혼합액에 수성 키토산 50 중량% 및 허브용액 30중량%를 첨가한 후 마그네틱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블랜드하고 인큐베이터(37℃)에 건조시켜 키토산이 블랜딩 된 필름형 구강구취제를 제조하였다.
키토산의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성, 키토산 자체의 무독성, 면역부활작용 등에 대한 실험을 통해 구취제로의 응용에 대한 적합성을 실험하였다.
실험 예 1 : 구강세균에 대한 키토산의 항균작용
구강세균에 대한 키토산의 항균작용을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생물학적 결과는 C. albicans이 키토산 자체에도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에서와 같이 키토산겔은 항균활성(antifungal activity)을 증가시켰다. 즉 키토산은 인간의 구강세포에 C. albicans의 부착을 억제하며 항균활성(antifungal activity)을 가진다.
표 1. C. albicans strains에 있어서 키토산겔의 최소저해농도(MIC) 값.
키토산의 항미생물 활성은 표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데이타는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표 2. 키토산의 항미생물 활성
키토산의 항미생물 활성은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키토산은 시험된 대부분의 박테리아 성장을 크게 억제하였다. 또한 키토산의 최소저해농도(MIC)값은 P. aeruginosa(0.25%)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Gram negative bacteria에 대해 0.06%이하였다.
키토산 농도별 E. coli의 증식억제효과는 도 4에 나타내었고 키토산 농도별 Fusarium solani의 증식억제효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키토산(탈아세틸화도: 82%)은 자광(주)의 것을 사용하였고 항미생물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미생물은 KCTC(Collection of Type Culture)와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키토산의 항미생물성은 4가지 Gram-negative bacteria에 대하여 시험하였다.(Es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 Salmonella typhi, Pseudomonas aeruginosa) 아가 플레이트(agar plate)위의 콜로니의 수를 세어 항미생물성을 측정하였다. 배양된 박테리아 0.5ml, 오토클레이브된 샘플 용액 0.5ml 및 0.05M 아세테이트 버퍼(pH 6.0)를 혼합하여 37℃에서 1 시간동안 교반(shaking)하여 배양하였다. 대조군 샘플로는 4.5ml 아세테이트 버퍼가 사용되었다. 1ml의 혼합용액은 10배로 희석되었다. 여기에 배지(Tryptic soy agar)(TSA, Difuco)가 첨가되어 플라스틱 petri-dish에 분배하였다. 그후 37℃에서 24 동안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후 콜로니는 하기 식에 의해 계산되었다.
박테리아 활성 (%) = [ ( C - T ) ] / C] ×100
C는 대조군의 콜로니 수이고 T는 실험군의 콜로니 수이다.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는 육안이나 미세 현미경으로 볼 수 없는 세포증식점에서의 샘플의 최소농도로 정의한다. 또한 1ml의 샘플을 포함하는 Tryptic soy broth(TSB) 5ml에서 박테리아 배양은 37℃, 18 시간동안 배양한다. E. coli의 증식에 대한 키토산의 억제효과는 640nm에서 배양배지의 탁도를 측정함으로써 시간대별로 시험하였다.
실험 예 2 : 구강세균에 대한 키토산의 무독성
키토산의 낮은 구강(oral) 독성은 Arai et al.에 의해 쥐 실험을 통하여 증명되었다[참조: K. Arai, T. Kineemaki, and T. Fujita, "Toxicity of Chitosan", Bull. Tokai Req.Fish.Res.Lab, 56, 89-94(1968)]. 쥐에게 키토산을 먹였을 때, 구강에 심각한 독성을 유발시키지 않을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참조: D.R. Landes and W. A. Bough, "Effects of Chitosan- a coagulation agent for food processing wastes - in the diet of rats on growth and liver and blood composition"]. 쥐에서의 민감한 계(system)의 독성 테스트는 키토산의 심각한 독성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키토산에 있어서 돼지에서의 피부에 대한 자극 테스트와 토끼에서의 눈에 대한 자극 테스트에서는 어떠한 독성영향도 나타내지 않았다. 마우스에 키토산을 19일간 경구투여로, 체중 1kg당 약 18g이하로 독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산란용 성숙된 닭에 키토산 6.5g/kg(체중)으로 9개월간, 또한 토끼에게 키토산을 10.8g/kg(체중) 3개월간 각각 연속경구투여로 이상증상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개에게 D-글루코스 및 설탕을 경구투여로 체중 1kg당 8∼12g이 치사량과 비교하면 키토산의 독성은 적다.
실험예 3 : 키토산의 면역부활작용 및 항암효과
WSCO의 HL-60 cell 성장억제효과는 표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표 3. WSCO의 HL-60 cell 성장억제효과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는데 1 ×105 cells/ml의 HL-60 cells에 100㎍/ml WSCO처리 4일 경과후 세포성장은 6%까지 억제되었다. 1000㎍/ml WSCO에서는 HL-60 cells의 억제율은 56%였다. MTT assay 또한 50∼1000㎍/ml 범위에서 세포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6은 500㎍/ml WSCO처리 후 시간에 따른 세포의 셀 사이클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4일째 경과 후에 세포는 G0/G1 phase에 정지되어 있으며 S phase의 세포수는 감소하였다. 세포의 G0/G1 phase 정체는 WSCO의 성장억제 효과에 기인한다.
셀(Human myeloid leukemia HL-60 cells)은 RPMI-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지에는 penicillin 100U/ml, streptomycin 100㎍/ml이 포함되어 있으며 37℃, CO2 농도 5%로 일정하다. 세포들은 성장기에서 유지되기 위해 2∼3일 마다 계대된다. 세포 수는 표준 루코사이트 계수(luekocyte counting) 과정에 의해 측정된다. 세포 활성(viability)은 trypan blue의 흡수를 차단하는 능력을 체크함으로써 알 수 있다. 또한 세포의 증식은 시약(3-(4,5-dimethylthiazol-2-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sigma))에 의해 측정하였다. 4∼8일 동안의 다른 농도의 WSCO를 처리 후 2 ×105 cells을 포함하는 96 well plate 각각에 MTT 5㎍/ml이 첨가된다. 반응은 4시간 동안의 incubation후에 종결된다. ELISA reader에 의해 OD570nm가 결정된다. 최종 제품과 주형 및 건조과정은 도 7에 나타내었으며 키토산을 블랜딩 시킨 필름형 구강구취제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키토산을 이용한 구강구취제는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성, 키토산 자체의 무독성, 면역부활작용 등에 대한 실험을 통해 구취제로의 응용에 있어 뛰어난 적합성 및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생성물은 기존의 구취제에 있어서의 구취를 중화하는 개념에서 벗어나 구취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신개념을 도입한 "항균성 구취제"임과 동시에 필름형의 구조로 인해 그 휴대성과 복용하기 용이한 점에서 기존의 구취제에 비해 월등히 우수하다. 이러한 여러 가지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기존의 구강구취제 시장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한과 동시에 제약산업 및 구취제에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것이다.
도 1은 구강세균에 대한 키토산의 항균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구강세균에 대한 키토산의 항균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키토산의 최소억제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키토산의 농도별 대장균의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키토산의 농도별 후사륨 솔라니의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키토산의 면역부활작용 및 항암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최종 제품의 주형 및 건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키토산을 블랜딩한 필름형 구강구취제 제품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3)

  1. 키토산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구취제에 있어서, 젤라틴 5 중량%와 용해성 전분용액 2 중량%를 혼합한 혼합액에 수성 키토산 0.3~0.5 중량% 및 허브용액 3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블렌드하고 건조시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태의 구강구취제.
  2. 삭제
  3. 삭제
KR20030029378A 2003-05-09 2003-05-09 키토산을 이용한 구강구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94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9378A KR100494747B1 (ko) 2003-05-09 2003-05-09 키토산을 이용한 구강구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9378A KR100494747B1 (ko) 2003-05-09 2003-05-09 키토산을 이용한 구강구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493A KR20040095493A (ko) 2004-11-15
KR100494747B1 true KR100494747B1 (ko) 2005-06-13

Family

ID=37374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29378A KR100494747B1 (ko) 2003-05-09 2003-05-09 키토산을 이용한 구강구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7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750B1 (ko) * 2005-09-14 2007-02-06 김진만 인체체취저감용 보조식품조성물
KR102588162B1 (ko) 2023-03-17 2023-10-12 배광학 수용성 키토산을 함유한 구강제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750B1 (ko) * 2005-09-14 2007-02-06 김진만 인체체취저감용 보조식품조성물
WO2007032599A1 (en) * 2005-09-14 2007-03-22 Jin-Man Kim Supplementary food composition for reducing body odor
KR102588162B1 (ko) 2023-03-17 2023-10-12 배광학 수용성 키토산을 함유한 구강제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493A (ko) 2004-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7467B2 (ja) マンゴスチン抽出物またはアルファ、ガンママンゴスチ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歯周疾患の予防または改善用組成物
JP2002179586A (ja) リパーゼ阻害剤
RU2525920C2 (ru) Композиц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й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й кормовой добавки для молодняка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CN109843264A (zh) 一种含有草药提取物的牙膏组合物
CN112402397A (zh) 口腔粘膜附着力优异的缓释型口腔崩解用膜及其制备方法
US20110052732A1 (en) Mineral absorption accelerator and iron deficiency anemia improver of food composition
JP2004523246A (ja) 脂肪を凝固させる特性を有するサボテン科をベースにした調合物、およびそのような調合物を得る方法
JP6127545B2 (ja) ガレート型カテキンとタンパク質との複合体およびカフェインを含む抗肥満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494747B1 (ko) 키토산을 이용한 구강구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1762A (ko) 항우식 효능을 갖는 구강용 조성물
JP2006087393A (ja) 健康食品及び薬剤
RU2060033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болезней пародонта (пластина цм)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CN106279304A (zh) 一种肉桂醛衍生物及其应用
AU2001262699B2 (en) Biologically active agents and drugs
KR20020089081A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구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69727A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RU2017430C1 (ru) Соста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жевательной резинки "здоровье-5"
Suproborini et al. Strobilanthes crispus antibacterial against Aggregatibacter actinomycetecomitans
RU2734249C2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ая пленка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альвеолита
RU2734250C2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ая пленка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альвеолита с фитопелоидной композицией
CN109925275A (zh) 一种配合牙膏使用的男性口腔用品
CN108635283A (zh) 抑菌组合物、抑菌牙膏及其制备方法
CN102210812B (zh) 一种复方瑞他莫林药物膜剂及其制备方法
KR20040043396A (ko) 항균활성을 갖는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 및자몽종자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RU2165253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онкозаболева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