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804B1 - 기다란 가요성 전기 도체 - Google Patents

기다란 가요성 전기 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804B1
KR100492804B1 KR10-1999-7002192A KR19997002192A KR100492804B1 KR 100492804 B1 KR100492804 B1 KR 100492804B1 KR 19997002192 A KR19997002192 A KR 19997002192A KR 100492804 B1 KR100492804 B1 KR 100492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s
conductor
delete delete
pin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6148A (ko
Inventor
싱클레어존애쉬톤
Original Assignee
시노스타 홀딩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노스타 홀딩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시노스타 홀딩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36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2Their counterpar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도체(29)를 수용하는 기다란 베이스(11)를 포함하는 전기 공급 시스템(10)에 관한 것이다. 그 도체(29)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스트립(38)과 그 스트립들에 연결된 다수의 "U"자형 리브(36)로 형성되어 있다. 그 전기 공급 조립체(10)에 어댑터(40)가 장착되고, 그 어댑터(40)는 도체(29)에 결합하는 핀(22, 23, 24)들을 구비하고 있다. 그 어댑터(40)는 전기 플러그의 핀들이 결합하는 소켓(57)들이 내부에 배치된 베이스(45)를 가지고 있다. 그 소켓(57)들이 핀(22, 23, 24)들에 부착된다. 베이스(45)는 도체(29)와 접촉하도록 핀(22, 23, 24)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가능하다. 소켓(57)에의 접근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45) 내에 셔터 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기다란 가요성 전기 도체{An elongated flexible electric conductor}
본 발명은 전기 공급 조립체에 사용되는 단일체 구조의 기다란 가요성 전기 도체에 관한 것이다.
국제 특허출원 PCT/AU95/00675호에 가요성 덕트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아래 명세서에 설명되는 덕트 시스템은 상기 선행 덕트 시스템를 변형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호주 특허 제655069호의 발명을 개량한 것이다. 이 선행 특허에서 설명된 전기 공급 트랙 시스템은 여러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도체는 플러그와의 접촉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도체에의 접근(액세스)이 금지되어 있지 않아서 활성 도체 및 중성 도체와의 우발적인 접촉이 일어날 수 있다.
뉴질랜드 특허 제207995호는 전기 분배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플러그와 결합되는 도체가 내부에 배치되는 절연재를 수용하는 단단한 트랙을 포함한다. 그 도체는 플러그의 핀이 결합되는 말단부들이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U"형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그 말단부들은 상기한 PCT 출원에 기재된 도체의 유사한 말단부들과 같이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국제 출원 공개공보 WO 93/19506호(국제 출원 PCT/NO93/00044호)는 전기 공급 레일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그 레일은 기다란 도체를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슬롯을 가지고 있다. 결합된 상태의 도체는 결합 위치와 비결합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플러그이다. 그 도체는 연결되지 않은 기다란 금속 스트립이다.
호주 특허출원 제70863/74호의 도체는, 그 도체가 연결되지 않은 금속 스트립이라는 점에서 상기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독일 특허공보 제3030449 A1호는 도체가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금속 와이어인 레일형 전기 공급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399094호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용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는 스트립류의 금속 접촉부재를 이용한다.
영국 특허 제1597415호는 도체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립이고 그 스트립들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레일형 전기 공급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호주 특허출원 제91501/82호는 전체 길이에 걸쳐 횡단면이 "U"자형인 도체를 포함하는 레일형 전기 공급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2240180호는 도체가 "U"자형으로 되어 있고 그 도체의 아암들이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레일형 전기 공급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영국 특허 제1508788호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연결되지 않은 금속 스트립들이 접촉부를 이루는 레일형 전기 공급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전기 공급 시스템은 도체와 이용되는 플러그 또는 접촉부와의 사이에 양호한 접촉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전기 공급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조립체의 부품들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조립체에 사용되는 가요성 도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도체의 단부도이다.
도 9는 도 1의 조립체에 사용되는 어댑터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도 9의 어댑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후방에서 본 때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9의 어댑터의 변형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어댑터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어댑터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어댑터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어댑터의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의 전기 공급 조립체의 변형례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조립체에 사용되는 분할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분할부재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조립체에 사용되는 절연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단점들을 극복 또는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단일체 구조의 기다란 가요성 전기 도체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평행하며 동일 크기의 한 쌍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과, 상기 도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위치들에서 상기 스트립들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그 위치들에서 상기 스트립들 각각에 연결된 한쌍의 아암을 각각 가지고 있으며, 평상 시에는 상기 스트립들을 강제로 접촉시키지만, 상기 스트립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물체가 상기 스트립들 사이에 삽입된 때는 상기 스트립들을 횡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도록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다수의 "U"자형 리브(rib)를 포함하는 기다란 가요성 전기 도체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단한 분할 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접근 통로로부터 연장하는 다수의 평행한 슬롯을 구비한 기다란 베이스와, 각각의 슬롯을 따라 연장하는 가요성 절연재, 및 각각의 절연재 내에 배치되는 기다란 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 통로는 상기 절연재 안에 배치된 도체와의 결합을 위해 각각의 상기 슬롯 내에 전도성 핀을 삽입할 수 있게 하는 전기 공급 조립체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어댑터가 결합되는 다수의 기다란 도체가 내부에 배치된 기다란 베이스를 갖는 전기 공급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기 어댑터로서, 상기 전기 공급 조립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장착판과; 상기 도체들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전기 공급 조립체에 삽입되는 방사상으로 연장한 핀들을 가진 스템과, 전기 플러그의 핀들이 결합하는 소켓들을 구비하고, 상기 도체들이 상기 핀들과 결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전기 공급 조립체 내로부터의 결합부의 제거를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스템의 종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피봇가능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소켓들을 둘러싸며, 상기 소켓들에 상기 전기 플러그의 핀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소켓들과 정렬되는 구멍들을 가진 베이스; 및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구멍들을 폐쇄하지만,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소켓들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셔터 수단을 포함하는 어댑터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는, 예를 들어, 건물의 스커팅 보드(skirting board)(굽도리널)로서 사용될 수도 있는 전기 공급 조립체(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전기 공급 조립체(10)는 나사 체결구(12)에 의해 지지 벽에 고정되는 베이스(11)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분할부재(13)를 포함하며, 이 분할부재(13)에는, 단부 벽(16)과 협동하여 3개의 평행한 슬롯(17, 18, 19)을 형성하고 이들 슬롯을 분리시키는 단단한 벽(14, 15)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슬롯(17, 18, 19)은 수평의 접근(액세스) 통로(20)로 개방되어 있고, 그 접근 통로(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접근 슬롯(21)까지 연장하여 있다. 그 접근 슬롯(21)은 "L"자형 핀(22, 23, 24)이 접근 통로(20)를 통해 연장하여, 가요성 절연재(25, 26, 27)내에 배치된 길이방향 연장 가요성 도체(29)와 결합할 수 있게 한다. 그 핀(22, 23, 24)들은 도체(29)와 결합하는 대체로 평면의 측면들을 가지도록 형상이 대체로 납작하게 되어 있다.
절연재(25, 26, 27)는 접근 통로(20)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체(29)는 전형적으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다. 슬롯(17, 18, 19)들은 접근 통로(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있다. 전기 공급 조립체(10)는 분할부재(13)에 스냅 결합하는 커버 부재(28)를 더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11)의 후면부(39)로부터 연장하는 벽(31)에 스냅 결합하는 다른 커버 부재(30)가 제공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30)와 벽(31)이 협동하여, 케이블이나 다른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방향 연장 공간(32)을 제공한다.
분할부재(13)의 벽(14, 15)은 도체(29)들이 핀(22, 23, 24)들과 부정확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체(29)들을 확실하게 분리시킨다. 그 벽(14, 15)들은 또한, 다른 물체들이 침입하여 도체(29)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슬롯(17, 18, 19)들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요성 플랜지(33)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플랜지(33)는 폐쇄 위치로부터, 절연재(25, 26, 27)내에 수용된 도체(29)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위치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절연재(25, 26, 27)들 각각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홈(34)들이 제공되어 있고, 이들 홈(34)은 베이스(11)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35)와 결합하여 각각의 절연재(25, 26, 27)를 각각의 슬롯(17, 18, 19)내의 위치에 확고하게 보유시키는 것을 돕는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도체(29)는 궁형(弓形) 부분(37)을 통해 1쌍의 평행하고 동일 크기의 스트립(38)에 연결되는 "U"자 형태로 된 다수의 리브(rib)(36)를 포함한다. 그 스트립(38)은 서로 접촉하는 평면의 접촉면(90)을 가지고 있다. 이 도체(29)는 적당한 전도성 재료(구리 또는 청동과 같은)로 제조되고, 스트립(38)의 면내에 위치되고 도체(29)의 길이방향(종축선)에 수직인 횡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가요성이다. 도체(29)는, 핀(22, 23, 24)들중 하나가 스트립(38)의 접촉면(90)들 사이를 통과하고 스트립(38)을 바이어스(bias)시키기에 충분하게 탄력성인 재료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양호한 전기적 접촉이 보장된다. 휴지(休止) 시에 스트립(38)들은 서로 접촉하여 있다. 핀(22, 23, 24)과 접촉하여 있을 때, 접촉면(90)들은 서로 대체로 평행하다.
도 19 내지 도 22에는, 상기한 분할부재(13)의 변형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례에서는, 단단한 벽(72, 73, 74)을 가진 베이스(71)의 조립체인 분할부재(70)가 제공되고, 그들 벽(72, 73, 74)은,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호협동하여 슬롯(18, 19)을 제공한다. 이 베이스(71)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미늘부(barb)(75)가 제공되어 있고, 이 미늘부(75)에 슬롯 형성 절연재(76)가 부착된다. 이 슬롯 형성 절연재(76)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1쌍의 미늘부(77)를 가지고 있고, 이 미늘부(77)들은 베이스(71)의 미늘부(75)와 스냅 결합한다. 슬롯 형성 절연재(76)는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길이방향 연장 슬롯(17)을 제공한다.
도 19의 전기 공급 조립체(10)는 도 1의 전기 공급 조립체(10)의 기본 구조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1)의 벽(16)이 1쌍의 돌출부(91)를 가지고 있고, 이들 돌출부(91)는 분할부재(70)와 스냅 결합하여 분할부재(70)를 벽(16)에 고정시킨다.
분할부재의 베이스(71)의 벽(72, 73)에는, 절연재(76(25), 26, 27)를 제 위치에 보유시키는 것을 돕는 미늘부(92)가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절연재는 상단부가 궁형인 "U"자 형태로 되어 있고, 그 궁형의 상단부로부터 1쌍의 다리부가 연장하여 있으며, 그 다리부의 말단에는 탄성 플랜지가 제공되어 있다. 핀이 그 절연재들중 어느 하나에 들어간 때, 그 탄성 플랜지가 편향되어, 절연재 내의 도체(29)와 핀이 접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단단한 벽(72, 73, 74)은 그 벽(72, 73, 74)들 사이에 위치된 도체(29)와 핀(22, 23, 24)이 부정확하게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하기도 한다.
절연재(76)는 가요성 절연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앞의 실시예의 절연재(25)와 동일할 수 있다. 슬롯(18, 19)은 앞의 실시예의 절연재(26, 27)를 수용한다. 또한, 절연재(76, 26, 27)들은 각각 도체(29)를 수용한다.
도체(29)는 단일체 구조로 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도체(29)를 가로지르는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가진다. 도체(29)는 또한, 그 도체(29)를 가로지르는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휘어질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상세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체(29)는 핀(22, 23, 24)과 결합하는 1쌍의 평행한 동일 크기의 스트립(38)을 가지고 있다. 핀(22, 23, 24)들과 결합하지 않은 때, 스트립(38)들은 서로 접촉하여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핀(22, 23, 24)들중 하나가 1쌍의 스트립(38)들 사이에 삽입된 때는, 그 스트립(38)들은 떨어져 있으나, 도체(29)의 탄성 때문에, 더 구체적으로는, 리브(36)의 탄성 때문에, 그 스트립들 사이에 끼워진 핀과 강제로 접촉하게 된다. 스트립(38)이 핀(22, 23, 24)과 강제로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접속이 증진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상세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체(29)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다수의 리브(36)를 포함하고, 각각의 리브는, 대체로 평행하고 동일 크기의 1쌍의 아암(arm)(89)에 결합된 궁형의 기부(基部)(88)를 가지고 있다. 그 아암(89)은 궁형 부분(37)까지 연장하고, 그 궁형 부분(37)은 스트립(38)까지 연장한다. 그 스트립(38)은 아암(38)들 사이에 위치한다.
핀(22, 23, 24)들중의 하나가 1쌍의 스트립(38)들 사이에 위치된 때, 그 스트립(38)들의 인접한 부분들은 도체(29)의 횡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편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핀(22)은 활성 접속을 이루고, 핀(23)은 중립 접속을 이루며, 핀(24)은 접지된다.
도 9 내지 도 13에는, 전기 공급 조립체(10)와 함께 사용되는 어댑터(4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어댑터(40)는 도체(29)와 결합하고, 예를 들어, 통상의 전기 플러그의 핀들을 수용할 수 있는 소켓을 제공한다.
장착판(41)이 전기 공급 조립체(10)에 결합하도록 되어 잇다. 이 장착판(41)은 접근 슬롯(21)내로 돌출하는 플랜지(42)를 가지고 있다. 어댑터(40)는 스템(43)을 가지고 있고, 그 스템으로부터 핀(22, 23, 24)들이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있다. 스템(43)은 접근 슬롯(21)을 통해 끼워져 접근 통로(20)내로 들어간다. 스템(43)이 완전히 삽입된 때, 스템(43)은 핀(22, 23, 24)들이 도체(29)에 결합할 때까지 축선(44)(도 1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접지용 핀(24)이 맨처음 결합하고, 마지막으로 해제된다.
어댑터(40)는 또한, 후면 판(53)과 구멍(46)들을 가진 베이스(45)를 포함한다. 그 구멍(46)들은 통상의 플러그의 핀들을 수용하도록 통상적인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멍(48)들을 가진 셔터(shutter) 부재(47)가 가이드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셔터 부재(47)는 베이스(45)의 구멍(46)들을 효과적으로 폐쇄하는 위치(도 10)와, 플러그의 핀들이 어댑터(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46)들 각각이 구멍(48)들 각각과 정렬되는 위치(도 9))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셔터 부재(47)는 장착판(41)에 고정된 핀(54)에 결합하는 캠 슬롯(50)을 가진 캠 부재(49)와 결합되어 있다. 축선(44)을 중심으로 한 핀(54)과 캠 부재(49) 사이의 상대적인 각(角)운동에 의해 셔터 부재(47)가 이동한다. 더 상세하게는, 캠 부재(49)는 맞닿음부(58)를 가지고 있고, 그 맞닿음부(58)는, 캠 부재(49)가 화살표(51)의 방향으로 핀(54)에 대하여 이동할 때 셔터 부재(47)에 결합하여, 베이스(45)의 구멍(46)들이 셔터 부재(47)의 구멍(48)들과 정렬되는 위치로 셔터 부재(47)를 이동시킨다. 캠 부재(49)가 반대방향(52)으로 핀(54)에 대하여 이동할 때, 구멍(46)들과의 정렬로부터 벗어나게 구멍(48)들을 이동시킴으로써 구멍(46)들을 효과적으로 폐쇄하는 위치로 셔터 부재(47)가 이동한다. 그러나, 이 이동은 셔터 부재(47)를 "정렬"된 위치에 보유시키는 플러그 핀들을 빼낼 때만 일어난다. 그러나, 셔터 부재(47)를 "정렬되지 않는" 위치(도 10)로 강제로 이동시키는 스프링(55)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가 제거된 때, 셔터 부재(47)가 구멍(46)들을 폐쇄한다. 또한, 핀(54)은 후면 판(53)에 형성된 궁형 슬롯(59)을 통해서도 돌출하여 있다. 그 슬롯(59)의 반경이 축선(44)으로부터 연장한다. 그 슬롯(59)은 축선(44)을 중심으로 한 핀(54)과 캠 부재(49)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한다.
어댑터(40)는 또한, 스템(43)을 포함하는 도체 결합부(56)를 포함한다. 베이스(45)와 도체 결합부(56)는 장착판(41)에 대하여 축선(44)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어댑터(40)의 사용에 있어서는, 도체(29)에 결합하도록 스템(43)이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삽입된다. 따라서, 어댑터(40)의 사용자는 베이스(45)의 회전 전에 전기 플러그를 삽입한다. 베이스(45)를 반대방향(52)으로 이동시키면 핀(22, 23, 24)이 도체(29)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된다. 전기 플러그가 제거되면, 셔터 부재(47)가 구멍(46)들을 덮는다.
핀(22, 23, 24)들은 스템(43)을 통해 연장하고, 그 스템으로부터 어댑터(40) 내부의 소켓(57)들까지 연장한다. 그 소켓(57)들은 구멍(46)들과 정렬되어 있다. 이들 소켓(57)에의 접근은 구멍(48)들이 구멍(46)들과 정렬될 때만 허용된다.
장착판(41)의 플랜지(42)는 장착판 본체(78)와 별개로 형성될 수 있고, 위치(79)(도 12)에서 그 본체에 스냅 결합한다. 그 플랜지(42)는 결합부(56)를 지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스템(43)의 단부에서 돌출부(81)를 수용하는 구멍(80)을 가지고 있다. "캡(cap)" 형태의 베이스(45)는 플랜지(83)들을 가진 외측 벽(82)을 가지고 있다. 그 플랜지(83)들은 "X"자 형태의 슬롯(84)을 제공하도록 교차하여 있다. 그 슬롯(84)은 스템(43)의 대응 형상의 부분(85)을 수용하여, 스템(43)을 베이스(45)에 그 베이스와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돕는다.
장착판 본체(78)는 결합부(56)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슬롯(85)을 가지고 있고, 스템(43)에는 후면 판(53) 및 장착판 본체(78)에 결합하는 평행한 플랜지(86)들이 제공되어 있다. 유사하게, 후면 판(53)은 스템이 통과하는 슬롯(87)을 가지고 있다.
도 14 내지 도 18은 도 9 내지 도 13의 어댑터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61)이 부착되는 디스크(60)를 더 포함한다. 그 스프링(61)은 장착판(41)에 부착되어 있다. 디스크(60)는 스템(43)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 스템의 일부를 형성한다. 스프링(61)은 스템(43)(과 핀(22, 23, 24))이 도체(29)와 완전히 접촉하도록 하는 위치 또는 도체(29)로부터 변위되는 위치에서 디스크(60)에 부착된다. 따라서, 베이스(45)는 완전 온(on) 위치 또는 완전 오프(off) 위치로 이동하도록 강요된다.
또한, 베이스(45)에는, 장착판(41)의 일부를 형성하는 플랜지(63, 64)들과 결합할 수 있는 버튼(62)이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63)는 슬롯(65)을 가지고 있고, 플랜지(64)는 슬롯(66)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슬롯(65, 66)을 따라 버튼(62)이 통과한다. 그러나, 플랜지(64)는, 도 14에서 상세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버튼(62)이 결합하는 구멍(67)을 가지고 있다. 구멍(67)에 버튼(62)이 결합함으로써 베이스(45)가 온(on) 위치에 보유된다.
버튼(62)은 베이스(45)에 형성된 구멍(68)을 통하여 움직일 수 있게 베이스(45)에 장착되어 있다. 그 버튼(62)은 스프링(69)에 의해 방사상 외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그 스프링(69)은 도 13에 도시된 스프링(55)을 대신한다. 사용자가 버튼(62)을 누른 때, 베이스(45)는 플랜지(63)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삭제

Claims (13)

  1. 단일체 구조의 기다란 가요성 전기 도체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평행하며 동일 크기의 한 쌍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과;
    상기 도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위치들에서 상기 스트립들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그 위치들에서 상기 스트립들 각각에 연결된 한쌍의 아암을 각각 가지고 있으며, 평상 시에는 상기 스트립들을 강제로 접촉시키지만, 상기 스트립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물체가 상기 스트립들 사이에 삽입된 때는 상기 스트립들을 횡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도록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다수의 "U"자형 리브(ri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가요성 전기 도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들은 상기 물체가 그 스트립들 사이에 끼워지지 않은 때는 서로 접촉하는 평면의 접촉면들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가요성 전기 도체.
  3.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리브의 상기 아암들이 궁형의 기부(基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리브가 그의 아암들 각각을 상기 스트립들 각각에 연결하는 궁형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가요성 전기 도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1999-7002192A 1996-09-10 1997-09-10 기다란 가요성 전기 도체 KR100492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O2229A AUPO222996A0 (en) 1996-09-10 1996-09-10 An electrical supply assembly
AUPO2229 1996-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148A KR20000036148A (ko) 2000-06-26
KR100492804B1 true KR100492804B1 (ko) 2005-06-07

Family

ID=379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192A KR100492804B1 (ko) 1996-09-10 1997-09-10 기다란 가요성 전기 도체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309229B1 (ko)
EP (1) EP0925620B1 (ko)
JP (1) JP2001500307A (ko)
KR (1) KR100492804B1 (ko)
AT (1) ATE282900T1 (ko)
AU (2) AUPO222996A0 (ko)
CA (1) CA2265611C (ko)
DE (1) DE69731643T2 (ko)
DK (1) DK0925620T3 (ko)
EG (1) EG21578A (ko)
ES (1) ES2229384T3 (ko)
HK (1) HK1021077A1 (ko)
HR (1) HRP970491B1 (ko)
MA (1) MA24316A1 (ko)
MY (1) MY132477A (ko)
PT (1) PT925620E (ko)
SA (1) SA97180646B1 (ko)
TW (1) TW375847B (ko)
WO (1) WO1998011634A1 (ko)
ZA (1) ZA9780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Q055099A0 (en) 1999-05-25 1999-06-17 Pupbest Pty Ltd Insertion tool
AUPQ187599A0 (en) * 1999-07-28 1999-08-19 Universal Power Track Pty Ltd An electric supply assembly
CN1210959C (zh) * 1999-11-12 2005-07-13 通用器材公司 对象安全实现
AU2002953429A0 (en) 2002-12-18 2003-01-09 Power And Communications Logistics Pty Limited An elongate electrical conductor that is adapt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n electrical contact
USRE45456E1 (en) 2002-12-18 2015-04-07 Power & Data Corporation Pty Ltd. Elongated electrical conductor that is adapt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n electrical contact
US6827601B1 (en) 2003-02-18 2004-12-07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Cord guard for a household appliance
DE10312012A1 (de) * 2003-03-18 2004-11-04 Erco Leuchten Gmbh Stromschienen-Adapter
GB2414869A (en) * 2003-08-18 2005-12-07 John Ashton Sinclair Electrical plug and busbar system
GB0328247D0 (en) * 2003-12-06 2004-01-07 Interplast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al power, communication and data cable management systems
CA2549915A1 (en) * 2003-12-06 2005-06-23 Interplast Co.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al power, communication and data cable management systems
WO2008132593A2 (en) * 2007-04-25 2008-11-06 Lesscord Aps Electrical supply distribution system
ES1068230Y (es) * 2008-06-06 2008-12-16 Fayos Angel Perales Enchufes con escobillas y patillas de deslizamiento por guias electricas para instalaciones del hogar, comercio o industria
DE202018106057U1 (de) * 2018-10-23 2020-01-24 Electro Terminal GmbH & Co. KG Stromschiene und Stromschienensystem
DE102019126945A1 (de) * 2019-10-08 2021-04-08 Zumtobel Lighting Gmbh Elektrische Einheit zum Anschließen an eine Tragschiene sowie Kontaktierungselement
US20210262173A1 (en) 2020-02-21 2021-08-26 Lear Corporation Track system with a support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0180A (en) 1940-02-14 1941-04-29 William H Frank Continuous outlet system
US3181102A (en) * 1964-06-08 1965-04-27 Gen Electric Electrical busway apparatus
AU465798B2 (en) 1972-09-20 1975-10-09 Erco Leuchten G.M.B.H. Improvements mand relating to lighting device apparatus
GB1427222A (en) * 1973-05-23 1976-03-10 Erco Leuchten Plug-in adapters for electrical current distributing track members
FR2236297B1 (ko) 1973-07-06 1979-01-26 Rotaflex Ltd
DE2544011C2 (de) * 1974-11-21 1984-04-12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Doppelflachfederkontakt
GB1508788A (en) 1975-05-03 1978-04-26 Pitcraft Ltd Electric power supply track
CA1134981A (en) 1976-08-24 1982-11-02 Robert H. Eikhof Amendment for modifying soil matrices
DE3030449A1 (de) 1980-08-12 1982-03-11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Stromschien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4405193A (en) 1981-06-08 1983-09-20 Amp Incorporated Preloaded electrical connector
GB2113021B (en) 1981-12-17 1985-10-02 Harald Widell Electrical collector rail with connectable adapter
US4553808A (en) * 1983-12-23 1985-11-19 Amp Incorporated Electrical terminal intended for mating with a terminal tab
SE441557B (sv) 1984-04-06 1985-10-14 Harald Widell Anslutningsdon
NZ207995A (en) 1984-04-30 1988-03-30 Electrak Int Ltd Conductive rail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GB8730076D0 (en) * 1987-12-23 1988-02-03 Pressac Ltd Electrical contact assembly
FR2629651B1 (fr) * 1988-03-30 1992-08-28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 derivation pour systemes de distribution electrique
EP0597980B1 (en) * 1991-08-05 2000-04-26 Mass International Pty. Ltd. Flexible conductive track
AU655069B2 (en) 1991-08-05 1994-12-01 Mass International Pty Ltd Flexible conductive track
NO175078B (no) 1992-03-20 1994-05-16 Soerensen Elektronikk As Tore Anordning ved strömskinne
DE4308735C1 (de) 1993-03-19 1993-10-28 Stemmann Technik Gmbh Vorrichtung zur digitalen Datenübertragung
AU705664B2 (en) 1994-10-14 1999-05-27 Sinostar Holdings Limited Flexible electrical conductor
IT1283365B1 (it) * 1996-07-30 1998-04-17 Bticino Spa Dispositivo otturatore di alveoli di una presa di corre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29384T3 (es) 2005-04-16
HRP970491B1 (en) 2001-12-31
MA24316A1 (fr) 1998-04-01
EP0925620B1 (en) 2004-11-17
ZA978082B (en) 1998-03-03
EP0925620A1 (en) 1999-06-30
DK0925620T3 (da) 2005-01-31
TW375847B (en) 1999-12-01
ATE282900T1 (de) 2004-12-15
AU721095B2 (en) 2000-06-22
AUPO222996A0 (en) 1996-10-03
US6309229B1 (en) 2001-10-30
PT925620E (pt) 2005-01-31
HK1021077A1 (en) 2000-05-26
EP0925620A4 (en) 1999-12-01
SA97180646B1 (ar) 2006-09-05
CA2265611C (en) 2006-07-25
HRP970491A2 (en) 1998-06-30
DE69731643D1 (de) 2004-12-23
KR20000036148A (ko) 2000-06-26
AU4104797A (en) 1998-04-02
DE69731643T2 (de) 2005-12-01
JP2001500307A (ja) 2001-01-09
MY132477A (en) 2007-10-31
EG21578A (en) 2001-12-31
WO1998011634A1 (en) 1998-03-19
CA2265611A1 (en) 199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804B1 (ko) 기다란 가요성 전기 도체
US5618192A (en) Flexible conductive track
US5015203A (en) Power distribution unit having improved junction box
US4874322A (en) Surface applied wiring apparatus
EP0112713A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GB2242080A (en) Electrical connectors
JPH0681402B2 (ja) 導電レール系構成用の、導電レールを有するホルダ
AU2007349106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ust cover
WO1997040556A1 (en) Plug in raceway with socketless receptacle
EP0597980B1 (en) Flexible conductive track
JP3796516B2 (ja) フレキシブルな電気コンダクタ
EP1168505B1 (en) Electrical socket
JP4088441B2 (ja) 配線器具、配線装置およびライティングダクト装置
US4547030A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US4121879A (en) Connector arrangement for conductor rails
AU655069B2 (en) Flexible conductive track
US4761525A (en) Electrical switch apparatus having a wire engaging electrical conducting member
US4740175A (en) Electrical receptacle apparatus
JPS62202474A (ja) 端子板
JP3536660B2 (ja) 扉付きコンセント
GB1591358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ttachment to conductor rails
JPH1145752A (ja) ハーネスプラグ
JPH0836943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