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239B1 -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239B1
KR100492239B1 KR10-2002-0066168A KR20020066168A KR100492239B1 KR 100492239 B1 KR100492239 B1 KR 100492239B1 KR 20020066168 A KR20020066168 A KR 20020066168A KR 100492239 B1 KR100492239 B1 KR 100492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hole
damper
holes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6000A (ko
Inventor
니노미야시로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6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38Mitigating undesirable mechanical effects
    • H01J2229/0744Vibration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제진자(40)를 헐겁게 관통시키기 위해 새도우 마스크(20)에 형성한 한 쌍의 관통 구멍(25)의 수평 방향 위치 및 상하 방향 위치가 각각 상호 다르다. 한 쌍의 관통 구멍(25)의 위치가 상하 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상호 다르므로, 새도우 마스크(20)의 진동시에 제진자(40)는 항상 한 쌍의 관통 구멍(25)의 양쪽에 대해 확실하게 접촉, 슬라이딩, 이간(離間)의 각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진자(40)에 의한 진동 감쇠 작용이 안정적으로 발휘되는 동시에, 진동 감쇠 시간의 단축화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COL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일방향으로 장력이 부여되어 걸려진 새도우 마스크를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칼라 음극선관에서는, 전자총으로부터 사출(射出)된 전자 빔이 페이스 패널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 스크린을 조사하여 원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형광체 스크린의 전자총측에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색 선별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새도우 마스크가 설치된다. 새도우 마스크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전자 빔이 소정 위치의 형광체를 조사 충돌하도록, 다수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슬롯 형상)의 전자 빔 통과 구멍이 배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새도우 마스크는 프레임에 걸려져 유지된다.
새도우 마스크의 전자 빔 통과 구멍과 형광체 스크린 상의 각 형광체의 상대적 위치가 어긋나면, 전자 빔이 원하는 형광체와는 다른 형광체를 조사하여(이러한 현상을 "미스랜딩"이라 한다), 색어긋남이라 불리는 화질 열화가 발생한다.
미스랜딩의 발생 원인의 하나로서, 새도우 마스크가 전자 빔에 의해 가열되어 열팽창을 일으키는, 소위 도밍을 들 수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새도우 마스크는 일방향의 장력을 부여받아 프레임에 걸려진다.
그러나, 새도우 마스크를 장력을 부여하여 걸면, 스피커로부터의 진동 등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새도우 마스크에 전달되었을 때 새도우 마스크가 진동하기 쉽고, 또 그 진동이 감쇠되기 힘들어져 표시 화면이 흔들리거나 흐려지거나 한다.
새도우 마스크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한 방법이 일본국 특개 2000-7700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 방법을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새도우 마스크(120)와 이것을 거는 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구조체의 개략 사시도이다.
프레임(130)은 두 쌍의 봉형상 부재를 직사각형 틀형상으로 접합하여 구성된다. 새도우 마스크(12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재로 이루어지며, 전자 빔 통과용 전자 빔 통과 구멍(122)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다수 규칙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새도우 마스크(120)는 단변 방향의 장력(T)이 부여된 상태로, 프레임(130)의 장변을 이루는 지지 부재(131a, 131b)의 한쪽 끝변에 용접되어 유지되어 있다.
새도우 마스크(120)의 장력(T)의 부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양단 영역에, 복수 개의 관통 구멍(125)이 장력(T)의 부여 방향에 쌍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25)의 각 쌍에는, 가는 줄형상체를 직사각형 틀형상으로 굽혀 이루어지는 제진자(制振子)(140)가 헐겁게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마스크 프레임은 장력(T)의 부여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칼라 음극선관 내에 수납된다.
새도우 마스크(120)가 진동하면, 제진자(140)는 새도우 마스크(120)의 관통 구멍(125)에 대해 접촉, 슬라이딩, 이간하면서 새도우 마스크(120)와는 별개로 운동한다. 새도우 마스크(120)의 진동 에너지는 제진자(140)의 새도우 마스크(120)의 관통 구멍(125)에 대한 이러한 상대적인 운동에 의한 마찰에 의해 소비된다. 이렇게 제진자(140)는 새도우 마스크(120)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진동 감쇠체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진동 감쇠 방법에서는, 같은 진동(또는 충격)을 새도우 마스크에 부여한 경우에, 진동 감쇠 시간이 안정되지 않아, 그 때문에 평균 감쇠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원인을 상세히 검토한 결과, 이하의 현상이 확인되었다.
도 8a는 진동 감쇠체로서의 제진자(140)의 부착부의 확대 정면도이며, 도 8a는 도 8a 중의 8B-8B선에서의 화살표시 방향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틀형상으로 굽혀진 제진자(140)는, 새도우 마스크(120)의 상하 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된 한 쌍의 관통 구멍(125a, 125b)을 헐겁게 관통하고 있다. 제진자(140)의 부착은 コ자형상으로 굽혀진 가는 줄형상체의 양단을 한 쌍의 관통 구멍(125a, 125b)에 삽입하고, 그 후 그 양단을 꺾음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제진자(140)의 굽힘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예를 들면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진자(140)의 하중의 대부분이 하측의 관통 구멍(125b)의 주위에서 지지된 상태로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진자(140)의 상단은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120)의 면에 대해 평행인 면 내에서 화살표(142) 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동시에,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120)의 면에 대해 수직인 면 내에서 화살표(143) 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안정된다. 이 상태에서 새도우 마스크(120)가 진동하면, 제진자(140)는 화살표(142) 방향 및 화살표(143) 방향으로도 유동(遊動)하므로, 제진자(140)의 상측 굽힘부(140a)는 상측의 관통 구멍(125a)의 주위에 대해 접촉, 슬라이딩하거나 하지 않거나 한다. 제진자(140)의 상측 굽힘부(140a)가 상측의 관통 구멍(125a)의 주위와 접촉, 슬라이딩할 때는 새도우 마스크(120)의 진동 감쇠 작용이 증대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감소한다. 그 결과, 진동 감쇠 시간에 불균일이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평균 감쇠 시간이 길어진다.
상기와는 달리,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진자(140)가 상측의 관통 구멍(125a)에 매달린 상태로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로 새도우 마스크(120)가 진동하면,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진자(140)의 하단이 새도우 마스크(120)의 면에 대해 평행인 면 내에서 화살표(144) 방향으로 유동하는 동시에,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진자(140)의 하단이 새도우 마스크(120)의 면에 대해 수직인 면 내에서 화살표(145) 방향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이 경우도 제진자(140)의 하측 굽힘부(140b)는 하측의 관통 구멍(125b)의 주위에 대해 접촉, 슬라이딩하거나 하지 않거나 한다. 그 결과, 진동 감쇠 시간에 불균일이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평균 감쇠 시간이 길어진다.
이상과 같이, 제진자(140)를 사용한 종래의 진동 감쇠 방법에서는, 제진자의 굽힘 위치(상측 굽힘부(140a)와 하측 굽힘부(140b)의 간격)와 이것을 부착하는 한 쌍의 관통 구멍의 형성 위치의 상대적인 치수 오차에 의해, 원하는 진동 감쇠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제진자를 사용한 진동 감쇠 방법을 채용하면서, 상기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진동 감쇠 효과가 안정적이고, 진동 감쇠 시간이 단축화된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은, 일방향으로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걸려 유지된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새도우 마스크에 대해 유동 가능하게 부착된 제진자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제진자는, 상기 새도우 마스크에 형성한 한 쌍의 관통 구멍에 헐겁게 관통시킴으로써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관통 구멍의 수평 방향 위치 및 상하 방향 위치는 모두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에서는, 제진자를 부착하는 한 쌍의 관통 구멍의 위치가, 상하 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상호 다르기 때문에, 새도우 마스크의 진동시에 제진자는 항상 한 쌍의 관통 구멍의 양쪽에 대해 확실하게 접촉, 슬라이딩, 이간의 각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진자에 의한 진동 감쇠 작용이 안정적으로 발휘되는 동시에, 진동 감쇠 시단의 단축화가 가능해진다.
상기에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새도우 마스크에 형성된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보다도, 수평 방향에서의 외측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진자에 전자 빔이 충돌하는 것에 의한 화상 흐트러짐의 발생을 방지할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한 쌍의 관통 구멍 중, 상측의 관통 구멍은 하측의 관통 구멍보다도 상기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으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새도우 마스크가 진동하고 있지 않은 안정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제진자가 상기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으로부터 먼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한 쌍의 관통 구멍의 각 수평 방향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에 의해, 제진자에 전자 빔이 충돌하는 것에 의한 화상 흐트러짐의 발생 가능성을 한층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10)의 관축을 통과하는 상하 방향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관축이 수평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칼라 음극선관(10)을 설치한 상태에서, 관축에 수직인 수평 방향축을 X축, 관축에 수직인 상하 방향축을 Y축, 관축을 Z축으로 하는 XYZ-3차원 직교 좌표계를 설정한다. 여기서, X축과 Y축은 관축(Z축) 상에서 교차한다.
페이스 패널(11)과 펀넬(12)이 일체화되어 외위기(外圍器)(13)를 형성한다. 페이스 패널(11)의 내면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광체 스크린(14)이 형성되어 있다. 형광체 스크린(14)으로부터 이간하고, 또한 이것에 대향하여, 색 선별 전극으로서의 새도우 마스크(20)가 대략 직사각형 틀형상의 프레임(30)에 걸려져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30)의 새도우 마스크(20)와는 반대측의 면에는, 두 쌍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금속판재를 대략 사각뿔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상호 대향시켜 접합한 내부 자기 실드(36)가 일체화되어 있다. 새도우 마스크(20)가 걸려지고, 내부 자기 실드(36)가 일체화된 프레임(30)은 그 4모퉁이에 설치된 판스프링 형상의 탄성 지지체(38)를, 페이스 패널(11)의 내면에 설치된 패널 핀(39)에 걸어, 페이스 패널(11)에 유지되어 있다. 펀넬(12)의 네크부(12a)에는 전자총(15)이 내장된다.
이렇게 구성된 칼라 음극선관(10)의 펀넬(12)의 외주면 상에는 편향 요크(1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전자총(15)으로부터의 전자 빔(16)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되어, 형광체 스크린(14) 상을 주사한다.
도 2는 새도우 마스크(20)와, 이것을 걸어 유지하는 프레임(30)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구조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0)은 단면이 대략 3각형상인 한 쌍의 지지 부재(31a, 31b)와, 이것보다 짧고, 단면이 대략 "コ"자형상인 한 쌍의 연결 부재(32a, 32b)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지지 부재(31a, 31b)와 한 쌍의 연결 부재(32a, 32b)를, 각각 평행으로 이간하여 배치하고, 각 부재의 단부끼리를 용접함으로써 대략 직사각형 틀형상의 프레임(30)이 구성된다.
새도우 마스크(2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재로 이루어지며, 전자 빔 통과용 슬롯형상의 관통 구멍(전자 빔 통과 구멍)(22)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다수 규칙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도 2에서는 일부의 전자 빔 통과 구멍만을 도시하고 있다). 1점쇄선(21)은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전자 빔 통과 구멍(22)의 형성은 주지의 방법, 예를 들면 에칭 등으로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새도우 마스크(20)는 장변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 부재(31a, 31b)의 끝변에, Y축 방향(연결 부재(32a, 32b)의 길이 방향과 평행인 방향)의 장력(T)이 부여된 상태로 걸려져 있다.
새도우 마스크(20)의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보다도 X축 방향에서 외측 영역에 복수개의 관통 구멍(25)이 쌍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 구멍(25)의 각 쌍에, 금속제의 가는 줄형상체를 직사각형 틀형상으로 굽혀 형성한 진동 감쇠체로서의 제진자(40)가 부착되어 있다.
제진자(40)의 부착부의 상세한 것을 도 3a ∼ 도 3c에 나타낸다. 도 3a는 제진자(40)의 부착부의 확대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1점쇄선 3B-3B를 따른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조합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화살표 3C 방향에서 제진자를 본 상면도이다. 도 3a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형태에서 제진자(40)를 부착하는 한 쌍의 관통 구멍(25a, 25b)의 X축 방향(수평 방향) 위치는, 도 7에 나타낸 종래의 부착용 관통 구멍(125a, 125b)과 달리, 서로 상이하다. 즉, 상측의 관통 구멍(25a)은 하측의 관통 구멍(25b)보다도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으로부터 X축 방향에서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진자(40)의 구성은 도 7에 나타낸 종래의 제진자(140)와 동일하다.
관통 구멍(25a, 25b)의 개구직경을 제진자(40)의 와이어직경보다도 약간 크게 하고 있으므로, 새도우 마스크(20)와 제진자(40)는 고정 부착되지 않고, 제진자(40)는 새도우 마스크(20)에 부착된 상태로 새도우 마스크(20)와는 별도로 독립하여 운동(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진자(40)의 진동 감쇠 작용을 설명한다.
상측의 관통 구멍(25a)을 하측의 관통 구멍(25b)의 바로 위가 아니라, 비스듬한 위의 위치에(즉, X축 방향(수평 방향)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형성함으로써,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구멍(25a, 25b)에 헐겁게 관통된 제진자(40)는, Y축 방향(상하 방향)에 대해 항상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안정된다. 이 상태일 때, 제진자(40)의 상측 굽힘부(40a) 및 하측 굽힘부(40b)는 각각 상측의 관통 구멍(25a)의 주위 및 하측의 관통 구멍(25b)의 주위와 항상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로 새도우 마스크(20)가 진동하면, 제진자(40)의 상측 굽힘부(40a)는 상측의 관통 구멍(25a)의 주위와, 또 제진자(40)의 하측 굽힘부(40b)는 하측의 관통 구멍(25b)의 주위와, 각각 접촉, 슬라이딩, 이간을 반복하여, 양 부분에서의 마찰에 의해 새도우 마스크(20)의 진동 에너지가 신속하게 소비되어, 새도우 마스크(20)의 진동은 급속하게 감쇠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진동 감쇠체로서 기능하는 제진자(40)를 부착하는 한 쌍의 관통 구멍(25a, 25b)의 형성 위치를 상하 방향에 더해 수평 방향으로도 서로 다르게 한다. 이에 의해, 새도우 마스크(20)의 진동시에 제진자(40)가 항상 한 쌍의 관통 구멍의 양쪽에 대해 확실하게 접촉, 슬라이딩, 이간의 각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진자(40)에 의한 진동 감쇠 작용이 안정적으로 발휘되는 동시에, 진동 감쇠 시간의 단축화가 가능해진다. 또, 한 쌍의 관통 구멍(25a, 25b)의 수평 방향 위치 및 상하 방향 위치를 상호 다르게 함으로써, 제진자(40)의 굽힘 위치(상측 굽힘부(40a)와 하측 굽힘부(40b)의 간격)와 이것이 헐겁게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 구멍(25a, 25b)의 형성 위치의 상대적인 치수 공차가 완화된다.
또, 한 쌍의 관통 구멍(25a, 25b)의 수평 방향(X축 방향)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도 3a ∼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된 제진자(40)의 상하의 굽힘부(40a, 40b)는 안정 상태에서 새도우 마스크(20)의 면에 대해 직교하지 않고, 중력의 작용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진다(회전한다). 도 3a ∼ 3c에 나타낸 제진자(40)에서는, 도 3a에서 새도우 마스크(20)의 배후에 숨겨진 부분은, 새도우 마스크(20)의 앞부분에 비해, 불연속 부분(40c)이 존재하므로 중량이 가볍다. 따라서, 제진자(40)의 상하의 굽힘부(40a, 40b)와 관통 구멍(25a, 25b)의 접점을 지점으로 했을 때, 불연속 부분(40c)을 갖지않는 측의 중력에 의한 모멘트가 커지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불연속 부분(40c)을 갖지않는, 새도우 마스크(20)의 앞부분이 아래 방향이 되도록 기울어져 안정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진자(40)가 중력에 의해 기울어져 안정화하는 경우, 그 경사 방향이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이 되도록, 한 쌍의 관통 구멍(25a, 25b)의 수평 방향(X축 방향)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진자(40)가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 내로 들어가 제진자(40)에 전자 빔이 충돌하여 화상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의 관통 구멍(25a)을, 하측의 관통 구멍(25b)보다도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보다도 먼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의 X축 방향에서 양 외측의 관통 구멍(25)을 Y축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본 발명을 34형 칼라 음극선관용 마스크 구조체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0.13mm의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새도우 마스크(20)를, Y축 방향으로 총 하중 100N의 장력을 부여하여 건 마스크 구조체를 제조했다. 이 새도우 마스크(20)의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보다도 X축 방향에서 외측 영역에, 각각 2개의 제진자(40)를 부착했다. 그 상세한 것을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서, 제진자(40)를 부착하기 위한 관통 구멍(25a, 25b, 25c, 25d)은 내경 1.4mm의 대략 원형상으로 했다. 쌍을 이루는 관통 구멍 중 X축에 가까운 쪽의 관통 구멍(25b, 25c)의 각 중심과 X축과의 거리(Y1)는 모두 40mm, 관통 구멍(25b)과 관통 구멍(25a)의 Y축 방향의 중심간 거리(Y2) 및 관통 구멍(25c)과 관통 구멍(25d)의 Y축 방향의 중심간 거리(Y2)는 모두 120mm, 관통 구멍(25b)과 관통 구멍(25a)의 X축 방향의 중심간 거리(X1) 및 관통 구멍(25c)과 관통 구멍(25d)의 X축 방향의 중심간 거리(X1)는 모두 2.1mm로 했다. 도 4에서는 새도우 마스크(20)의 우측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좌측 부분에도 Y축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두 쌍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여, 각 쌍에 제진자(40)를 부착했다.
제진자(40)로서, 전체길이 145mm, 와이어 직경 0.9mm, 질량 0.74g의 금속선재를 사용하여, 이것을 コ자형상으로 굽힌 후, 새도우 마스크(20)의 쌍을 이루는 관통 구멍에 삽입하고, 그 양단을 도 5와 같이 꺾어, 새도우 마스크(20)에 부착했다. 도 5에서 중앙의 직선형상 부분의 길이(L1)를 80mm, 그 양단의 굽힘부(40a, 40b)의 길이(L2)를 2.0mm로 했다. 또한, 도 5에서 40c는 꺾인 선재의 양단 사이의 불연속 부분을 나타낸다.
이러한 마스크 구조체를 도 4의 지면 상측을 위로 하여 유지하고, 새도우 마스크(20)에 임펄스 형상의 충격을 부여하여, 새도우 마스크(20)의 진동 진폭이 반감될 때까지 필요한 시간(감쇠 시간)을 복수 회 측정했다.
비교예로서, 도 4에서 Y2=120mm, X1=0mm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제진자(40)를 부착하여, 마찬가지로 감쇠 시간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서 세로축은 감쇠 시간(초)을 나타내고, 검은 원("●")은 각 감쇠 시간의 도수를 나타낸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감쇠 시간의 평균값은 실시예에서는 약 3초였던 것에 비해, 비교예에서는 약 10초여서, 본 발명에 의해 평균 감쇠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감쇠 시간의 불균일(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은 실시예에서는 5초였던 것에 비해, 비교예에서는 15초여서, 실시예는 비교예의 약 3분의 1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진자가 이것을 헐겁게 관통하고 있는 2개의 관통 구멍과 접촉, 슬라이딩, 이간의 각 동작을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제진자의 진동 감쇠 작용이 항상 확실하게 발휘되어, 새도우 마스크의 진동 감쇠 시간이 짧아지고, 또 그 불균일도 작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진자로서 가는 줄형상체를 직사각형 틀형상으로 굽힌 형상을 나타냈으나, 새도우 마스크(20)의 진동과 별개로 자유롭게 운동 가능하며, 낙하하지 않고 새도우 마스크(20)에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상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각종 다각형 등이어도 된다. 또, 전체적으로 이들 형상을 가지면서 일부에 불연속 부분(예를 들면 도 3a ∼ 도 3c, 도 5의 불연속 부분(40c))을 갖고 있어도 되고, 또는 새도우 마스크에 부착 후에 해당 불연속 부분을 용접 등으로 연속시켜도 된다.
또, 제진자의 크기나 무게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새도우 마스크에 부여하는 장력의 크기나 판두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다.
또, 제진자의 개수는 상기 예와 같이 4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칼라 음극선관의 크기, 새도우 마스크에 부여하는 장력의 크기나 판두께, 제진자의 중량 등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또, 제진자는 상기와 같은 선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폭이 좁은 판형상체 등을 사용하여 구성해도 된다.
또, 도 3a ∼ 도 3c에서는, 제진자(40)의 새도우 마스크(20)보다도 형광체 스크린측 부분이,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에 의해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회전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관통 구멍(25a, 25b)의 주위가 제진자(40)의 상측 굽힘부(40a) 및 하측 굽힘부(40b)에 대해 접촉하는 위치에 따라서는, 제진자(40)의 새도우 마스크(20)보다도 전자총측(불연속 부분(40c)을 갖는 측) 쪽이 중력에 의한 모멘트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또는, 제진자(40)의 새도우 마스크(20)보다도 전자총측 부분의 꺾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즉, 상기 꺾임 부분이 상측 굽힘부(40a) 및/또는 하측 굽힘부(40b)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직각이 아니고 둔각인 경우)는, 제진자(40)의 새도우 마스크(20)보다도 전자총측(불연속 부분(40c)을 갖는 측) 쪽이 중력에 의한 모멘트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들 경우는, 보다 큰 모멘트가 발생하는, 새도우 마스크(20)보다도 전자총측 부분이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으로부터 상측의 관통 구멍(25a)까지의 수평 방향 거리를, 하측의 관통 구멍(25b)까지의 수평 방향 거리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새도우 마스크(20)에 대해서 제진자(40)의 형광체 스크린측 부분 및 전자총측 부분 중, 중력에 의해 보다 큰 모멘트가 발생하는 쪽을,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이 "보다 큰 모멘트가 발생하는 쪽"은, 일반적으로 새도우 마스크(20)의 표면으로부터 보다 크게 돌출되어 있는 측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제진자(40)의 새도우 마스크(20)의 표리(表裏) 면으로부터 보다 크게 돌출된 측의 부분이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제진자(40)가 기울어지므로(회전하므로), 전자 빔이 제진자(40)에 충돌하여 화상 흐트러짐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제진자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직사각형 틀형상 이외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라 해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또, 제진자를 부착하는 관통 구멍의 개구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원형일 필요는 없고, 타원형, 긴구멍형, 각종 다각형 등이어도 된다. 특히, 타원형이나 긴구멍으로 하고, 그 장축 방향을 상하 방향 또는 제진자를 부착하는 한 쌍의 관통 구멍의 중심간을 통과하는 직선 방향으로 하면, 제진자와 관통 구멍의 치수 허용 오차 범위가 확대된다. 그 결과, 보다 안정적인 제진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또, 도 4의 예에서는 X축보다도 상측 및 하측의 각 제진자(40)를 부착하기 위한 쌍을 이루는 관통 구멍(25a, 25b) 및 관통 구멍(25c, 25d)에서, 상측의 관통 구멍(25a, 25c)을 하측의 관통 구멍(25b, 25d)보다도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으로부터도 먼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측의 관통 구멍을 하측의 관통 구멍보다도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으로부터도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라도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진동 감쇠 효과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20)의 X축 방향의 폭이 Y축 방향의 중앙부에서 가늘어지도록, 새도우 마스크(20)의 X축 방향의 끝변이 만곡되어 있는 경우에는, X축보다도 하측의 제진자(40)를 부착하기 위한 관통 구멍(25c, 25d)에 관해서는, 상측의 관통 구멍(25c)을 하측의 관통 구멍(25d)보다도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으로부터도 가까운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제진자(40)를 부착하기 위한 영역(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21)보다도 X축 방향에서 외측의 영역)의 X축 방향의 폭을 축소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진자를 새도우 마스크(20)의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 밖에 부착한 예를 나타냈으나,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 내에 제진자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칼라 음극선관의 표시 화상에 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자 빔 통과 구멍 이외의 부분에 제진자를 부착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에 의하면, 제진자를 부착하는 한 쌍의 관통 구멍의 위치가, 상하 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상호 다르므로, 새도우 마스크의 진동시에 제진자는 항상 한 쌍의 관통 구멍의 양쪽에 대해 확실하게 접촉, 슬라이딩, 이간의 각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진자에 의한 진동 감쇠 작용이 안정적으로 발휘되는 동시에, 진동 감쇠 시간의 단축화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칼라 음극선관의 관축을 통과하는 상하 방향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칼라 음극선관의 새도우 마스크와 이것을 걸어 유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구조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칼라 음극선관에서 제진자의 부착부를 나타낸 확대 정면도, 도 3b는 도 3a에서의 일점쇄선 3B-3B를 따른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조합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화살표 3C의 방향에서 제진자를 본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제진자의 부착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한 제진자의 개략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새도우 마스크의 진동 감쇠 시간의 실측값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의 새도우 마스크와 이것을 걸어 유지하는 프레림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구조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a는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에서 제진자의 부착부를 나타낸 확대 정면도, 도 8b는 도 8a에서의 8B-8B선에서의 화살표시 단면도,
도 9a는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에서 제진자의 다른 부착부를 나타낸 확대 정면도, 도 9b는 도 9a에서의 9B-9B선에서의 화살표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칼라 음극선관 11 … 페이스 패널
12 … 펀넬 13 … 외위기
14 … 형광체 스크린 15 … 전자총
16 … 전자 빔 18 … 편향 요크
20 … 새도우 마스크 22 … 전자 빔 통과 구멍
21 …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
25, 25a, 25b, 25c, 25d … 관통 구멍
30 … 프레임 31a, 31b … 지지 부재
32a, 32b … 연결 부재 36 … 내부 자기 실드
38 … 탄성 지지체 39 … 패널 핀
40 … 제진자 40a … 상측 굽힘부
40b … 하측 굽힘부 40c … 불연속 부분

Claims (4)

  1. 일방향으로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걸려 유지된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새도우 마스크에 대해 유동(遊動) 가능하게 부착된 제진자(制振子)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제진자는, 상기 새도우 마스크에 형성한 한 쌍의 관통 구멍에 헐겁게 관통시킴으로써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관통 구멍의 수평 방향 위치 및 상하 방향 위치는 모두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새도우 마스크에 형성된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보다도, 수평 방향에서의 외측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관통 구멍 중, 상측의 관통 구멍은, 하측의 관통 구멍보다도 상기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으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4. 제2항에 있어서,
    안정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제진자가 상기 전자 빔 통과 구멍의 형성 영역으로부터 먼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한 쌍의 관통 구멍의 각 수평 방향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2002-0066168A 2001-10-30 2002-10-29 칼라 음극선관 KR100492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32562A JP3752175B2 (ja) 2001-10-30 2001-10-30 カラー陰極線管
JPJP-P-2001-00332562 2001-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000A KR20030036000A (ko) 2003-05-09
KR100492239B1 true KR100492239B1 (ko) 2005-05-27

Family

ID=1914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168A KR100492239B1 (ko) 2001-10-30 2002-10-29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53120B2 (ko)
EP (1) EP1308983B1 (ko)
JP (1) JP3752175B2 (ko)
KR (1) KR100492239B1 (ko)
CN (1) CN1245733C (ko)
DE (1) DE6020172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4217B2 (en) * 2004-02-24 2008-1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sign structure for content addressable memory
ITMI20040765A1 (it) * 2004-04-19 2004-07-19 Videocolor Spa Mezzi di sospensione di un insieme quadro-maschera per tubo a raggi catodici
WO2006044269A1 (en) * 2004-10-15 2006-04-27 Thomson Licensing Damper for a cathode-ray tube (crt) tension mas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990A (ko) * 1999-06-01 2001-01-05 구자홍 칼라음극선관의 진동 감쇠장치
JP2001155654A (ja) * 1999-11-30 2001-06-08 Nec Kansai Ltd シャドウマスク構体およびカラーブラウン管
KR20020040938A (ko) * 2000-11-25 2002-05-31 김순택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20066979A (ko) * 2001-02-14 2002-08-21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인장 마스크를 위한 마이크로포닉스 댐퍼 클립을 구비한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0669B2 (ja) * 1998-09-01 2002-07-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
JP3752918B2 (ja) * 1999-10-01 2006-03-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
US6520475B2 (en) * 2001-02-01 2003-02-18 Thomson Licensing S. A. Split foot damp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990A (ko) * 1999-06-01 2001-01-05 구자홍 칼라음극선관의 진동 감쇠장치
JP2001155654A (ja) * 1999-11-30 2001-06-08 Nec Kansai Ltd シャドウマスク構体およびカラーブラウン管
KR20020040938A (ko) * 2000-11-25 2002-05-31 김순택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20066979A (ko) * 2001-02-14 2002-08-21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인장 마스크를 위한 마이크로포닉스 댐퍼 클립을 구비한음극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1723D1 (de) 2004-12-02
DE60201723T2 (de) 2005-03-17
CN1417836A (zh) 2003-05-14
US20030080665A1 (en) 2003-05-01
CN1245733C (zh) 2006-03-15
US6853120B2 (en) 2005-02-08
EP1308983A1 (en) 2003-05-07
JP3752175B2 (ja) 2006-03-08
EP1308983B1 (en) 2004-10-27
KR20030036000A (ko) 2003-05-09
JP2003132814A (ja)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4482B1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492239B1 (ko) 칼라 음극선관
JP3752918B2 (ja) カラー陰極線管
US6900582B2 (en) CRT having a tension mask with vibration damping mean
KR100505075B1 (ko) 컬러 음극선관
JP4159330B2 (ja) Crtにおける張力マスク減衰スクラバー
JP3979965B2 (ja) カラー陰極線管
JP3455207B2 (ja) カラー陰極線管
JP3457302B2 (ja) カラー陰極線管
KR100385548B1 (ko) 개선된 댐퍼선 장착 구조를 갖는 컬러 음극선관
WO2006044269A1 (en) Damper for a cathode-ray tube (crt) tension mask
KR100389543B1 (ko) 개선된 댐퍼스프링 장착 구조를 갖는 컬러 음극선관
JP2004014510A (ja) カラー陰極線管用の振動吸収装置
KR20030054708A (ko)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평면형음극선관
WO2006044326A1 (en) Damper for a cathode-ray tube (crt) tension mask
KR20050017927A (ko) 프레임 댐퍼를 갖는 새도마스크/프레임 어셈블리
JP2005019127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70031861A (ko) 음극선관용 프레임/마스크 조립체의 지지 수단
KR20040039353A (ko) 개선된 컬러 선택 전극을 갖는 컬러 디스플레이 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