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070B1 -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070B1
KR100492070B1 KR10-2003-0052031A KR20030052031A KR100492070B1 KR 100492070 B1 KR100492070 B1 KR 100492070B1 KR 20030052031 A KR20030052031 A KR 20030052031A KR 100492070 B1 KR100492070 B1 KR 100492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chamber
voc
air
circul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3399A (ko
Inventor
정상희
Original Assignee
(주) 바두
정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두, 정상희 filed Critical (주) 바두
Priority to KR10-2003-0052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070B1/ko
Publication of KR2005001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83Regenerating or reactivating by thermal treatment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441 - B01J20/3475, e.g. by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0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19/002Avoiding undesirable reactions or side-effects, e.g. avoiding explosions, or improving the yield by suppressing side-rea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탄 속에 흡착되어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여 활성탄을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활성탄에서 VOC를 추출하여 활성탄을 재생시키는 방식으로 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의 열원을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고, 이렇게 가열한 공기를 활성탄을 경유시키면서 계속 순환시키는 열대류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장치의 규모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재생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자동제어되는 스프링쿨러수단을 채용하여 화재 등의 위험요소를 배제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빠른 시간 내에 활성탄 속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활성탄 재생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Activated carbon repreduction system for volatility organic compound exclusion}
본 발명은 활성탄 속에 흡착되어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여 활성탄을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의 열원으로 공기를 가열한 후 이때의 가열한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활성탄을 통과시키는 열대류방식의 활성탄 재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장치의 규모를 획기적으로 축소할 수 있고, 화재 등의 위험요소를 배제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빠른 시간 내에 활성탄 속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등 활성탄 재생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ity Organic Compound;VOC)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탄산, 금속성 탄산염 및 암모늄을 제외한 탄소화합물로 대기 중에서 태양광선에 의해 질소산화물(NOx)과 광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면서 지표면의 오존농도를 높여 스모그 현상을 일으키는 유기화합물이다.
대표적인 물질로는 벤젠, 톨루엔, 프로판, 부탄, 핵산 등 광화학반응이 에탄보다 큰 318종의 물질과 이들 물질이 포함된 진공기압(True Vapor Pressure)이 1.5pais 이상인 석유화학제품 및 유기용제 등을 말한다.
VOC는 산업체에서 용매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학 및 제약공장, 자동차 도장부스, 플라스틱의 건조공정에서 배출되는 유기가스에 다량 함유되어 있고, 저비점 액체연료, 파라핀, 올레핀, 방향족화합물 등 우리 생활주변에서 사용되어 있는 탄화수소류들이 거의 다 여기에 해당된다.
이러한 VOC는 독성 화학물질일 뿐만 아니라 광화학산화물의 전구조물이고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물질이기도 하며 지구온난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기도 하여 VOC를 함유하고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유기가스 중에서 VOC를 제거하는 것은 환경오염방지의 중요한 사항이다.
VOC 제거를 위한 장치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화학 및 제약관련 공장, 자동차 도장부스, 플라스틱 취급 공장 등에서 필수적으로 채용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장 대표적인 자동차 도장부스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일반적인 VOC 여과장치를 적용한 자동차 도장부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6은 이때 사용되는 VOC 여과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VOC 여과장치(100)는 도장부스(110)의 배풍기(120)측에 설치되며, 망상부재(130)로 커버된 함체(140) 내에 활성탄(150)을 채운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활성탄은 목재, 갈탄, 이탕 등을 활성화제인 염화아연이나 인산과 같은 약품으로 처리하여 건조시키거나 목탄을 수증기로 활성화시켜 가로 또는 입자상태로 제조한 것이다.
이러한 활성탄은 주로 흡착제로서 기체나 습기를 흡수하거나 그 밖에 용제의 회수, 가스의 정제 또는 탈색의 기능을 발휘한다.
기존 VOC 여과장치에 의해 배출가스 중의 VOC가 여과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배출가스가 배풍기(120)의 배기라인을 통해 배출되면서 VOC 여과장치(100)의 활성탄(150)을 통과하면 배출가스 중의 VOC 및 습기는 활성탄(150)에 흡착되어 여과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존의 VOC 여과장치에서는 활성탄에 흡착된 VOC나 습기를 자체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것이므로 일정 여과시간이 경과하면 활성탄의 여과기능이 상실되고, 따라서 계속하여 여과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활성탄으로 교환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의 VOC 여과장치는 VOC 및 습기를 여과할 뿐 근복적으로 VOC를 제거할 수는 없는 것이어서 근본적인 환경오염방지 측면에서 한계를 갖는다.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한국 특허 제343804호에서는 일정기간 사용 후 활성탄을 재생하여 활성탄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위의 특허기술은 활성탄 속에 직접 히터수단을 내장시켜 히터의 가열을 통해 활성탄 속의 VOC를 태워서 제거하는 기술인데, 이러한 기술은 장치가 매우 복잡하고 재생시간이 길어서 도장부스로의 사용시간에 제약이 있으며, 특히 열원인 히터가 활성탄과 직접 접촉하므로 부분적인 온도상승으로 항상 발화의 위험요인을 안고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활성탄 자체가 매우 우수한 단열재로서 열전도가 극히 어렵기 때문에 장시간 가열하여도 온도가 균일하게 활성탄 곳곳에 전도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VOC 재생효율에 영향을 미쳐서 결국 히터를 여러 다발씩 골고루 배치하는 문제로 장치의 규모가 커지고 효율은 기대에 못 미치는 구조적인 난제를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 활성탄에서 VOC를 추출하여 활성탄을 재생시키는 방식으로 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의 열원을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고, 이렇게 가열한 공기를 활성탄을 경유시키면서 계속 순환시키는 열대류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장치의 규모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재생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자동제어되는 스프링쿨러수단을 채용하여 화재 등의 위험요소를 배제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빠른 시간 내에 활성탄 속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활성탄 재생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활성탄이 배치되어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순환라인을 구성하고, 상기 순환라인으로 열풍을 순환시키면서 활성탄를 고온으로 활성화시켜 활성탄 속의 VOC를 추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열대류방식의 재생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대류방식의 재생장치는 VOC가 포함되어 있는 배출가스를 배출하는 설비의 배기라인상에 연결 설치되어 입구측 댐퍼 및 출구측 댐퍼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될 수 있으며 내부에 여러 단의 활성탄을 수용하는 일정한 용적의 챔버와, 상기 챔버의 한쪽 상부 및 반대쪽 하부와 통하면서 챔버 내의 공기를 순환시켜주는 순환라인 및 강제순환을 위한 팬과, 상기 순환라인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순환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 및 열원의 공급을 위한 가열기와,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챔버 내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구 및 순환라인 내의 공기 속의 VOC 배출을 위해 소각로측과 연결되는 VOC 배출구와, 상기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 챔버 내의 활성탄 속과 순환라인상에 설치되는 각각의 센서, 댐퍼, 팬 및 가열기 등을 연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챔버 내에 설치되면서 활성탄의 각 단에 배속되고 센서의 신호에 의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어 활성탄 과열시 물을 분사하는 여러 라인의 스프링쿨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챔버는 입구측 댐퍼가 설치되는 상부를 유입측으로 하고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출구측 댐퍼가 있는 쪽을 배출측으로 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배출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활성탄 속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값 140∼160℃ 또는 순환라인상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값 140∼180℃의 범위 내에서 가열기의 ON/OFF 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기는 버너 또는 전기히터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성탄 재생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탄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A 선 및 B-B 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부스 등과 같은 설비의 배출가스 배출을 위한 배풍기(120)측에 배출가스의 흐름을 위에서 아래로 유도하는 챔버(12)가 설치되고, 챔버(12)의 상부와 하부에서 연장되는 일정한 높이에 각각 입구측 댐퍼(10)와 출구측 댐퍼(11)가 설치되며, 챔버(12)의 내부에는 배출가스 중의 VOC를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150)이 여러 단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설비의 가동 중 배출가스는 챔버(12)의 내부로 유입되어 활성탄(150)을 통과하면서 그 속에 함유되어 있는 VOC가 흡착되고, 이렇게 VOC가 제거된 무해한 배출가스는 배풍기(120)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이 배출가스 속의 VOC 흡착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각각의 댐퍼(10,11)는 열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댐퍼(10,11)의 열린상태는 마이크로 컴퓨터(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활성탄의 재생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열대류방식의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챔버(12)의 한쪽 상부와 반대쪽 하부를 통해 연결되면서 일정한 순환구간을 조성하는 순환라인(13)이 구비된다.
상기 순환라인(13)은 챔버(12)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통로가 되며, 공기의 강제순환을 위한 팬(14)과 열풍의 제공을 위한 열교환기(15) 및 가열기(16)가 갖추어져 있고, 순환라인(13)의 일측에는 활성탄으로부터 추출된 VOC를 소각로측으로 보내기 위한 VOC 배출구(19)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의 상기 VOC 배출구(19)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7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VOC를 소각로측으로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기(16)는 버너나 전열히터가 바람직하지만, 열교환기측으로 열원을 제공할 수 있는 연소식 또는 가열식의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VOC 추출을 위한 활성탄 재생시 챔버(12)의 내부는 진공에 가까운 밀폐상태가 되므로, 이때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챔버(12)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일부 유입할 수 있는 공기 유입구(18)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의 공기 유입구(18)에도 솔레노이드 밸브(17a)가 설치되어 있어서 활성탄 재생시에만 이곳을 열고 공기를 내부로 들여보낼 수 있게 된다.
특히, 활성탄 재생시 활성탄의 과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예방하고, 또 활성탄 측에 물을 공급하여 순환되는 공기와 활성탄 간의 마찰 및 정전기의 발생 등을 억제하기 위한 여러 라인의 스프링쿨러(22)가 제공된다.
상기 스프링쿨러(22)는 챔버(12)의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배치되고, 활성탄(150)이 배치되어 있는 각 단의 윗쪽에서 활성탄측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의 스프링쿨러(22)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면서 챔버(12) 내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활성탄 재생시 활성탄의 과열 및 순환공기의 과다한 온도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감지수단으로 2개 정도의 센서가 제공된다.
즉, 활성탄(150)의 내부에 1개의 센서(20a)가 설치되어 활성탄의 온도가 필요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순환라인(13)의 일측, 예를 들면 팬(14)의 바로 앞쪽에 다른 1개의 센서(20b)가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온도를 감지한 후 가열기(16)의 동작 제어에 이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활성탄 재생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부스 등과 같은 설비의 정상적인 가동상태에서 배출가스 속에 함유되어 있는 VOC는 배출가스가 통과하는 챔버 내에서 활성탄에 의해 흡착 제거된다.
설비의 가동 후 활성탄의 재생을 위하여 장치로 전환된다.
먼저, 입구측 댐퍼(10)를 닫아서 챔버(12)를 설비측과 차단하고, 계속해서 출구측 댐퍼(11)를 닫아서 공기가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도록 챔버(12)의 내부 공간을 격리시킨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17b)를 OFF하여 소각로측과 연결되어 있는 순환라인(13)상의 VOC 배출구(19)를 차단한다.
이렇게 하면 실제로 활성탄을 중심으로 하여 챔버(12)-팬(14)-열교환기(15)로 이어지는 폐쇄된 순환라인(13)이 만들어지게 되며, 이러한 순환라인(13)은 열대류 방향과 역행하는 방향으로 팬(14)이 작동하여 공기의 지속적인 순환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때, 가열기(16)가 작동하여 공기는 열교환기(15)와의 열교환을 통해 열풍으로 바뀌게 되고, 계속해서 팬(14)이 작동하면 열풍은 강제적으로 순환되면서 챔버(12) 내의 활성탄에 대한 고온 활성화를 촉진시킨다.
순환되는 공기는 활성탄을 통과하면서 온도를 높여주게 되고, 활성탄은 70℃ 이상의 고온에서 VOC를 서서히 배출하게 되며, 공기 중의 VOC 농도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는 약 140∼160℃의 온도범위까지 상승하게 되며, 활성탄 내부에 설치된 센서(20a)로부터 이를 감지하여 가열기(16)의 동작을 단속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활성탄의 온도를 최적의 활성화 온도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VOC 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순환라인(13)의 팬(14) 앞쪽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20b)는 순환공기의 온도가 140∼180℃ 정도를 넘지 않도록 이를 감지한 후 이때의 감지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측에 제공하여 가열기(16)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성탄이 순간적인 고열에 의하여 발화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활성탄 재생작용시 활성탄의 온도가 70℃ 정도를 넘는 시점부터 공기의 순환으로 인한 활성탄의 마찰 및 정전기의 발생 등을 억제하기 위하여 챔버(12)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쿨러(22)를 단속적으로 작동시켜 줌으로써, 가열된 공기는 높은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활성탄은 공기의 흐름으로 상호 진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쉽게 정전기가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정전기와 활성탄 내부에 함유된 철 화합물들이 촉매의 역할을 하여 낮은 온도에서도 발화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때의 공기 중의 습도를 높여주면 정전기가 쉽게 상쇄되고 발화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장치를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활성탄 내부의 VOC가 제거되면 다음 단계로 순환되는 공기(높은 VOC 농도를 함유한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켜 VOC를 연소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VOC 배출구(19)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17b)를 열어 소각로측과 통하게 한다.
이때의 소각로는 솔레노이드 밸브(17b)가 열리기 이전에 소각로 버너를 작동시켜 소각로의 연소실이 충분히 가열된 상태가 되게 한다.
기존 소각로의 경우 탄소전극봉을 사용하여 1,000℃ 이상의 고온을 만들어내는데, 열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내화블록과 외부를 철재 케이스로 밀봉하고 중심에 전극봉을 설치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취하고 있으나, 이러한 전극봉은 사용하면서 효율이 점차 떨어져서 수시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여 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채용하고 있는 버너식 열발생장치는 위와 같은 제약없이 가열된 불꽃에 내화벽돌 또는 특수한 금속망을 통하여 고온을 만들어내므로 설치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한 특징을 갖고 있다.
VOC 배출시 완전히 밀폐된 상태로 순환하고 있던 공기는 소각로로 연결되어도 내부공간을 채우는 외부공기가 유입되어야 하므로, 공기 유입구(18)의 솔레노이드 밸브(17a)를 열어 외부공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하는 과정에서 활성탄에 불이 붙으면 2개의 센서(20a,20b)가 이를 감지하여 스프링쿨러(22)를 지속적으로 작동시켜 주게 되므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활성탄은 특성상 물을 매우 잘 흡수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화재의 진압이 용이하고, 발화하더라도 매우 서서히 연소하는 특징으로 센서(20a,20b)가 뒤늦게 감지하여도 화재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활성탄 재생을 위한 일련의 과정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하여 질서 정연하게 제어되고, 장치의 작동이 완료되기 전까지 설비의 도장부스를 작동하지 못하도록 인터록(작동정지)을 거는 기능까지 자동으로 수행된다.
활성탄의 재생을 위한 모든 과정이 완료되면 닫혀져 있던 입구측 댐퍼(10) 및 출구측 댐퍼(11)가 열려지고 도장부스 원래의 기능으로 환원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활성탄 재생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으로 공기를 가열하여 활성탄을 순환시켜주는 열대류방식이므로, 활성탄 전체에 걸쳐 구석구석까지 균형있게 열을 전할 수 있고, 장치가 지극히 간단하며 빠른 시간에 활성탄을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겨울철 건조한 공기 및 활성탄 내부의 촉매물질 등에 의한 저온에서의 발화의 우려와 활성탄 알갱이들의 상호 접촉 또는 충돌로 인한 정전기 등의 발생으로 화재의 우려를 제거하기 위하여 고온으로 가열하는 도중 단속적으로 스프링쿨러를 작동시켜 줌으로써, 공기 중의 습도를 보충하여 발화의 위험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스프링쿨러의 적용은 화재가 실제로 발생하였을 경우 지속적으로 물을 활성탄에 뿌려줌으로써, 진화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탄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성탄 재생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 1의 B-B 선 단면도
도 5는 일반적인 VOC 여과장치를 적용한 자동차 도장부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6은 도 5에 적용되는 VOC 여과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구측 댐퍼 11 : 출구측 댐퍼
12 : 챔버 13 : 순환라인
14 : 팬 15 : 열교환기
16 : 가열기 17a,17b : 솔레노이드 밸브
18 : 공기 유입구 19 : VOC 배출구
20a,20b : 센서 22 : 스프링쿨러

Claims (5)

  1. 삭제
  2. 활성탄이 배치되어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순환라인을 구성하고, 상기 순환라인으로 열풍을 순환시키면서 활성탄를 고온으로 활성화시켜 활성탄 속의 VOC를 추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열대류방식의 재생장치로 이루어진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대류방식의 재생장치는 VOC가 포함되어 있는 배출가스를 배출하는 설비의 배기라인상에 연결 설치되어 입구측 댐퍼(10) 및 출구측 댐퍼(11)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될 수 있으며 내부에 여러 단의 활성탄을 수용하는 일정한 용적의 챔버(12)와, 상기 챔버(12)의 한쪽 상부 및 반대쪽 하부와 통하면서 챔버(12) 내의 공기를 순환시켜주는 순환라인(13) 및 강제순환을 위한 팬(14)과, 상기 순환라인(13)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순환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15) 및 열원의 공급을 위한 가열기(16)와,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17a,17b)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챔버(12) 내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구(18) 및 순환라인(13) 내의 공기 속의 VOC 배출을 위해 소각로측과 연결되는 VOC 배출구(19)와, 상기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17a,17b), 챔버(12) 내의 활성탄 속과 순환라인(13)상에 설치되는 각각의 센서(20a,20b), 댐퍼(10,11), 팬(14) 및 가열기(16) 등을 연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12) 내에 설치되면서 활성탄의 각 단에 배속되고 센서(20a)의 신호에 의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어 활성탄 과열시 물을 분사하는 여러 라인의 스프링쿨러(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2)는 입구측 댐퍼(10)가 설치되는 상부를 유입측으로 하고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출구측 댐퍼(11)가 있는 쪽을 배출측으로 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배출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활성탄 속의 센서(20a)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값 140∼160℃ 또는 순환라인(18)상의 센서(20b)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값 140∼180℃의 범위 내에서 가열기(16)의 ON/OFF 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
KR10-2003-0052031A 2003-07-28 2003-07-28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 KR100492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031A KR100492070B1 (ko) 2003-07-28 2003-07-28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031A KR100492070B1 (ko) 2003-07-28 2003-07-28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310U Division KR200329723Y1 (ko) 2003-07-28 2003-07-28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399A KR20050013399A (ko) 2005-02-04
KR100492070B1 true KR100492070B1 (ko) 2005-06-02

Family

ID=3722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031A KR100492070B1 (ko) 2003-07-28 2003-07-28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0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111A (ko) 2018-01-26 2019-08-05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공동적 활성탄 재생 및 이를 통한 통합 에너지 재활용 시스템
KR102244442B1 (ko) 2021-01-26 2021-04-26 주식회사 창원레이저 직화식 제연장치
KR102572868B1 (ko) 2022-09-20 2023-08-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철성분이 함침된 활성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중의 유기합성 화합물 제거 방법
KR102573745B1 (ko) 2022-09-23 2023-09-01 김규동 유해가스 및 분진 제거장치
KR20230143019A (ko) 2022-04-04 2023-10-11 김영식 활성탄 재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376B1 (ko) * 2006-12-14 2008-05-06 한국기계연구원 활성탄 재생장치
KR100884273B1 (ko) * 2007-06-29 2009-02-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흡착제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100902183B1 (ko) * 2007-07-25 2009-06-10 주식회사 제이텍 허니콤타입 조립성형탄의 재생장치
KR101466361B1 (ko) * 2013-03-28 2014-11-27 현대제철 주식회사 활성탄 재생 장치
CN110831423B (zh) * 2019-11-27 2021-08-17 衡阳开拓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铝箔磁屏蔽材料制作设备及其使用方法
CN114576184A (zh) * 2020-12-02 2022-06-0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爆炸零区防爆离心风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16Y1 (ko) * 1998-03-24 2000-12-01 이동일 유기성 악취물질 제거장치
KR20010099169A (ko) * 2001-09-07 2001-11-09 여호섭 도장부스의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제와 그의 재생방법
KR200259453Y1 (ko) * 2001-06-15 2002-01-05 문준식 순환 및 유량 변화형 촉매연소식 탈착 장치
KR20020032743A (ko) * 2000-10-27 2002-05-04 김승도 간접가열식 폐활성탄 열재생방법과 장치
KR20020083413A (ko) * 2001-12-13 2002-11-02 문준식 버너화염에 의한 고온분해용 voc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16Y1 (ko) * 1998-03-24 2000-12-01 이동일 유기성 악취물질 제거장치
KR20020032743A (ko) * 2000-10-27 2002-05-04 김승도 간접가열식 폐활성탄 열재생방법과 장치
KR200259453Y1 (ko) * 2001-06-15 2002-01-05 문준식 순환 및 유량 변화형 촉매연소식 탈착 장치
KR20010099169A (ko) * 2001-09-07 2001-11-09 여호섭 도장부스의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제와 그의 재생방법
KR20020083413A (ko) * 2001-12-13 2002-11-02 문준식 버너화염에 의한 고온분해용 voc 제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111A (ko) 2018-01-26 2019-08-05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공동적 활성탄 재생 및 이를 통한 통합 에너지 재활용 시스템
KR102244442B1 (ko) 2021-01-26 2021-04-26 주식회사 창원레이저 직화식 제연장치
KR20230143019A (ko) 2022-04-04 2023-10-11 김영식 활성탄 재생장치
KR102572868B1 (ko) 2022-09-20 2023-08-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철성분이 함침된 활성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중의 유기합성 화합물 제거 방법
KR102573745B1 (ko) 2022-09-23 2023-09-01 김규동 유해가스 및 분진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399A (ko) 200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070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
CA2712721C (en) Fuel cleaning for gas fired engines
KR100445013B1 (ko) 휘발성유기성분제거방법및이방법에사용되는도료도장실
KR100603810B1 (ko) 도장설비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Zerbonia et al. Carbon bed fires and the use of carbon canisters for air emissions control on fixed-roof tanks
KR200329723Y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활성탄 재생장치
KR101435587B1 (ko)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 동시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1339919B1 (ko) 오존촉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0511744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활성탄 재생장치
KR101209257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식 축열연소장치
KR101404817B1 (ko) 로터를 이용한 배출가스 처리장치
KR200333766Y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활성탄 재생장치
KR20010099169A (ko) 도장부스의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제와 그의 재생방법
JP2911112B2 (ja) 有機シリコン含有排ガスの燃焼脱臭方法
KR102244442B1 (ko) 직화식 제연장치
GB2440123A (en) Cleaning a gas fe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561253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 촉매산화분해처리 시스템
KR20020083413A (ko) 버너화염에 의한 고온분해용 voc 제거 장치
KR200247358Y1 (ko) 자동차 도장시스템의 정화장치용 활성탄 필터의 재생장치
JP2997134B2 (ja) 排気処理装置
KR20190047892A (ko) 면상발열체를 지닌 케이스 형태 VOCs 저감장치
EP4119215B1 (en) Fume treatment plant equipped with a mercury emissions abating system with a fixed bed of chemi-adsorbents and a method for abating mercury emissions in a fume treatment plant
KR101339920B1 (ko) 광촉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0660540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블록의 재생설비 및 방법
KR200259456Y1 (ko) 저에너지 전기 건조식 자동차 도장 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