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021B1 - Multey burner cajheire device - Google Patents

Multey burner cajheir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021B1
KR100491021B1 KR10-2002-0007196A KR20020007196A KR100491021B1 KR 100491021 B1 KR100491021 B1 KR 100491021B1 KR 20020007196 A KR20020007196 A KR 20020007196A KR 100491021 B1 KR100491021 B1 KR 100491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oxygen
waste
oxygen suppl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67281A (en
Inventor
문종태
Original Assignee
문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종태 filed Critical 문종태
Priority to KR10-2002-000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021B1/en
Publication of KR20030067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2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021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23G2202/106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with recirculation of unburned solid or gaseous matter into combustion ch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또한 굴뚝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상태로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에서 폐기물을 완전연소하여 유해물질을 배출시키지 않는 소각로로서의 기능과 함께, 온풍기, 난로, 또는 보일러로서도 기능할 수 있는 다기능 소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separate chemical, and does not install the chimney exposed to the outside, with the function as an incinerator that does not discharge the hazardous substances by completely burning the waste inside, a hot air heater, stove, or A multifunctional incinerator that can also function as a boiler.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악취를 산화증발작용에 의해 1차 제거하도록 연소실에 형성된 다수개의 산소분사노즐, 산소 분사홀 및 증기분사홀; 상기 폐기물을 허공상태에서 발화되도록 상기 폐기물의 아래쪽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철제편; 상기 연소실과 연통되어 상기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1차 제거된 유해가스 및 악취를 증발작용에 의해 2차 제거하기 위한 증기분사홀을 구비한 연통관; 상기 연통관의 출구로측에 설치되어, 상기 2차 제거된 유해가스 및 악취를 강제 흡입하여 비틀어 짜는 방식의 원심력에 의해 3차 제거하면서 상기 청소실측으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수단; 상기 연소실과 연소실 아래의 청소실 사이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미연소물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3차 제거된 유해가스 및 악취에 의해 발화되면서 상기 미연소물을 재연소할 수 있도록 상기 유해가스 및 악취가 상기 미연소물 아래쪽에서 연소실 내부로 통과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oxygen injection nozzles, oxygen injection holes and steam injection holes formed in the combustion chamber to first remove the harmful gases and odor generated during the incineration of the waste by the oxidation evaporation action; A plurality of steel pieces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waste to ignite the waste in the air; A communication tube having a steam inj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mbustion chamber to secondly remove the firstly removed harmful gas and odor from the combustion chamber by evaporation; A blowing means installed at an outlet path side of the communication tube and blowing the secondly removed noxious gas and odor by forcibly removing the secondary gas by centrifugal force in a twisted manner; The harmful gas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cleaning chamber under the combustion chamber to support the unburned material and to reburn the unburned material while being ignited by the third removed harmful gas and odor.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for passing the odor into the combustion chamber under the unburned material.

Description

다기능 소각기{MULTEY BURNER CAJHEIRE DEVICE}Multifunctional Incinerator {MULTEY BURNER CAJHEIRE DEVICE}

본 발명은 다기능 소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되는 연소가스속에 포함되는 유해물질, 분진류, 악취 등의 연소물을 처리하기 위한 집진기와 화학약품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또한 상기 연소물을 배출하기 위한 굴뚝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상태로 설치할 필요 없이, 연소물을 내부에서 완전 연소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의 처리비용의 절감과 함께 환경오염의 원인을 개선시킬 수 있고, 부수적으로 폐기물의 소각시에 발생되는 연소열에 의해 실내에 난방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온풍기, 난로, 또는 보일러로서도 기능할 수 있는 다기능 소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inci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does not separately use a dust collector and a chemical for treating the combustion products such as harmful substances, dusts, odors, etc.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of waste, Without having to install the chimney for discharging the combustion products to the outside, the combustion products can be completely burned and removed from the inside, thereby reducing the waste disposal cost and improving the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incinerator which may also function as a hot air heater, a stove, or a boiler, which may provide a heating effect to a room by combustion heat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of waste.

일반적으로, 종래에 의한 소각기는, 폐기물 투입구와 연소실 등으로 이루어진 소각기 본체 옆에 집진기를 별도로 부착하고 그 상부에 굴뚝을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폐기물을 투입구에 투입하여 연소실내에서 소각할 때 발생되는 연소가스, 분진류, 악취 등의 연소물이 상기 집진기로 이송되어 처리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집진기에서는 단순히 분진류만을 제거하고 각종 유해물질을 함유하는 연소가스와 악취 등에 대하여는 별도의 처리없이 굴뚝을 통하여 바로 방출시킴으로써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a conventional incinera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dust collector is separately attached to a main body of an incinerator composed of a waste inlet, a combustion chamber, and the like, and a chimney is installed thereon. As a result, combustion products such as combustion gases, dusts, and odors generated by incineration in a combustion chamber by injecting waste into an inlet are transferred to the dust collector for treatment, but the dust collector simply removes dust and removes various harmful substances. Combustion gas and odor contained therein had a problem of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by direct emission through the chimney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소각기는 그 연소실 바닥이 평면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연소실 바닥에 놓여진 폐기물을 소각할 때, 그 폐기물의 밑바닥에는 발화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폐기물의 발화과정에서 매연 등의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연소가스를 더 많이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Moreover, since such a combustion chamber has a flat structure at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when the waste placed on the combustion chamber floor is incinerated, it is not ignited at the bottom of the waste, thereby eliminat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smoke during the ignition process of the waste. It was the cause of generating more combustion gases.

한편, 일본국 특허공개 평3-4918호 및 일본국 특허공표 평 3-504098호에는, 배기가스의 배출로에 O3, H2O2 등의 산화제, 또는 황화나트륨 등의 흡수성 물질을 투입하여 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에 유해한 다이옥신 또는 중금속 등을 제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3-4918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3-504098 use an oxidizing agent such as O 3 and H 2 O 2 or an absorbent material such as sodium sulfide in an exhaust path of the exhaust gas. A method of removing dioxins, heavy metals, etc., which are harmful to a human body, contained in combustion gases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of wastes is disclosed.

그러나, 이 종래기술에 의한 연소가스 처리방법은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다이옥신 또는 중금속 등을 상기와 같은 산화제나 흡수성 물질로서는 완전히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이옥신 또는 중금속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 제거 대상에 맞는 첨가제를 추가로 필요로 하기 때문에 소각처리비용도 부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mbustion gas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not completely remove dioxins or heavy metals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with the oxidizing agent or absorbent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nd to remove dioxins or heavy metals effectiv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cineration process costs are also burdened because it requires an additive suitable for the targ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되는 연소가스속에 포함되는 유해물질, 분진류, 악취 등의 연소물을 처리하기 위한 집진기와 화학약품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또한 상기 연소물을 배출하기 위한 굴뚝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상태로 설치할 필요 없이, 연소물을 내부에서 완전연소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의 처리비용의 절감과 함께 환경오염의 원인을 개선시킬 수 있고, 부수적으로 폐기물의 소각시에 발생되는 연소열에 의해 실내에 난방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온풍기, 난로, 또는 보일러로서도 기능할 수 있는 다기능 소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separates the dust collector and the chemical for treating the combustion products such as harmful substances, dusts, odors, etc.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of wast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the combusted product from the inside without removing the use of the chimney for discharging the combusted product, and to reduce the waste disposal cost and improve the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incinerator which can also function as a hot air heater, a stove, or a boiler, which can additionally provide a heating effect to a room by combustion heat generated upon incineration of was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내벽과 외벽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내벽내에 폐기물 투입구와 연통되는 연소실을 구비하는 터널형 본체;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 사이에 형성되고, 본체 외부의 물탱크의 급수관을 통하여 일정 수위 만큼 물을 저장하여 폐기물 소각시 발생되는 연소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발생실;상기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 아래의 청소실 사이에 형성되고, 연소실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상기 내벽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산소공급관과, 상기 제1 산소공급관의 좌우측면과 각각 연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개의 제 2 산소공급관 및 제3 산소공급관;상기 다수개의 제2 산소공급관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산소공급관과 각각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1 산소분사노즐 및 각각의 제1 산소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산소에 의해 폐기물의 아래쪽이 발화되도록 상기 폐기물의 아래쪽을 걸치는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1 철제편을 구비하는 판형부재;상기 다수개의 제3 산소공급관의 각각의 좌우측면에 상기 제3 산소공급관과 각각 연통되고 그 상측에 제2 산소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산소분사노즐봉;상기 다수개의 제3 산소공급관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산소분사노즐로 부터 분사되는 산소에 의해 폐기물의 아래쪽이 발화되도록 폐기물의 아래쪽을 걸치는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2 철제편;상기 내벽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산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 일부를 연소실 내부에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산소분사홀;상기 연소실을 형성하는 내벽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연소실 내부로 분사되는 산소와 함께 유해가스 및 악취를 산화증발작용에 의해 1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증기발생실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연소실 내부로 분사되기 위한 다수개의 제1 증기분사홀;상기 1차적으로 제거된 유해가스 및 악취가 배출되도록, 입구로가 상기 내벽의 상단부와 연통되고 출구로가 상기 청소실과 연통되는 연통관;상기 연통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1차적으로 제거된 유해가스 및 악취를 증발작용에 의해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증기발생실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연통관 내부로 분사되기 위한 다수개의 제2 증기분사홀;상기 연통관의 출구로측에 설치되어, 상기 2차적으로 제거된 유해가스 및 악취를 강제 흡입하여 비틀어 짜는 방식의 원심력에 의해 3차적으로 제거하면서 상기 청소실측으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수단;상기 제3 산소공급관과 상기 청소실 사이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폐기물의 소각시 미쳐 연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낙하되는 미연소물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3차적으로 제거된 유해가스 및 악취에 의해 발화되면서 상기 미연소물을 재연소 할 수 있도록 상기 유해가스 및 악취가 상기 미연소물 아래쪽에서 연소실 내부로 통과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내부 상측에는, 연소실내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유입되는 찬공기를 따뜻한 공기로 변환하여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동관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되, 상기 공기유동관의 입구와 출구는 소각기 본체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입구에는 송풍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에는, 상기 연소실로부터 연통관을 통과하는 유해가스 및 악취가 부딪히면서 지그재그식으로 통과되도록 다수개 제3 철제편이 지그재그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정회전을 하는 제1 송풍팬과, 상기 제1 송풍팬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역회전을 하는 제2 송풍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소각기 연소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소각기 연소장치의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의 B-B 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의 C-C 선 단면도이다.본 발명에 의한 소각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폐기물 투입구(11)를 구비하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내벽(10a)과 외벽(10b)의 이중구조로 된 터널형 본체(10)와, 상기 내벽(10a)내에 상기 투입구(11)와 연통되는 연소실(12)과, 상기 내벽(10a)과 상기 외벽(10b) 사이에 형성된 증기발생실(13)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상기 내벽(10a)은,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 하단부가 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도 3 참조)되어, 상기 외벽(10b)의 내측면으로 절곡되어 그 외벽(10b)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증기발생실(13)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증기발생실(13)의 일측은 도 1에 도시된 물탱크(20)의 상부측 급수관(21)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기발생실(13) 내부에는 상기 급수관(21)을 통하여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고, 이 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증기발생실(13)의 수위는, 예컨대, 후술하는 제1 증기분사홀(12b)의 형성위치의 아래 지점까지 유지하면 된다.상기 연소실(12) 하부에는, 폐기물의 소각시 낙하되는 분진류 등이 모아지는 청소실(14)이 형성되어 있다. 청소실(14)은, 폐기물의 소각종료후에, 본체(10)의 후면측에 설치된 청소실 개폐구(14a)를 개방하여 그 안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상기 연소실(12)과 청소실(14)의 사이에는, 연소실(12)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10a)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본체 외부에 설치된 송풍기(도1의 '31')와 연결되는 제1 산소공급관(32)과, 상기 제1 산소공급관(32)의 좌우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공(미도시)과 각각 연통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다수개의 제2 산소공급관(33) 및 제3 산소공급관(34)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일단부가 상기 제1 산소공급관(32)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제2 및 제3 산소공급관(32)(33)의 타단부는 밀폐되어 있다.상기 제2 산소공급관(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으로 U자형의 구조를 갖고 그 상면에는 판형부재(40)가 장착되어 있다. 이 판형부재(40)에는, 상기 송풍기(31)에 의해 제1 산소공급관(32)을 통하여 제2 산소공급관(33)측으로 통과하는 산소를 화살표 방향으로 연소실(12)내로 분사시키기 위한 제1 산소분사노즐(40a)이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판형부재(4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산소분사노즐(40a)이 형성된 사이로 폐기물의 하측을 걸치는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제1 철제편(41)이 직립상태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44'는, 상기 청소실의 일측을 밀폐하는 격벽을 표시한 것이다.상기 제3 산소공급관(3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산소공급관(34)의 외경보다 큰 통수관(通水管, 35)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 통수관(35)의 일단부는 도 1의 물탱크(20)의 하부측 급수관(22)과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제1 산소공급관(32)에 밀폐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3 산소공급관(34)의 좌우측면에는, 외측의 통수관(35)을 관통하여 제3 산소공급관(34)과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산소분사노즐봉(50)이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각 산소분사노즐봉(50)의 상면에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송풍기(31)에 의해 상기 제1 산소공급관(32)으로부터 상기 제3 산소공급관(34)을 거쳐 산소분사노즐봉(50)을 통과하는 산소를,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연소실(12) 내부로 수직 분사시키기 위한 제2 산소분사노즐(5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수관(35)과 상기 제3 산소공급관(34)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물탱크(20)의 하부측 급수관(22)을 통하여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다. 이는 연소실(12) 내부의 고온의 연소열로 인해 가열되는 제3 산소공급관(34)과 후술하는 제2 철제편(60) 등을 냉각하기 위한 것이다.상기 통수관(35)의 상부에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2 철제편(6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직립상태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수관(35)의 하부에는, 소각대상의 폐기물의 하측이 상기 제1 및 제2 철제편(41)(60)에 걸쳐진 상태에서 연소될 때, 공기와 분진류 등이 통과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부재(70)가 촘촘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진류 등은 상기 지지부재(70)를 통하여 그 아래에 있는 청소실(14)내로 떨어지게 된다.이러한 여러 구성부들이 설치된 연소실(12)을 형성하는 내벽(10a)은, 그 하부 양측면에 다수개 천공된 산소분사홀(12a)과, 그 상부 양측면에 다수개 천공된 제1 증기분사홀(12b)을 구비한다. 상기 산소분사홀(12a)이 형성된 내벽(10a)의 외면 하단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 외면과 소정간격을 둔 상태에서 둘러싸는 덕트(Duct)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산소공급관(32)을 통과하는 산소의 일부는 상기 제2 및 제3 산소공급관(32)(33)을 거쳐 제1 및 제2 산소분사노즐(40a)(50a)을 통하여 연소실(12) 내부로 분사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산소공급관(32)의 후단부에서 상기 덕트 내부를 거쳐 상기 내벽(10a)에 형성된 산소분사홀(12a)을 통하여 연소실(12) 내부로 분사된다.또한, 상기 내벽(10a)과 외벽(10b)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되는 연소가스와 악취 등을 배출하기 위한 연통관(15)이 본체 전면에서 후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관(15)은, 상기 내벽(10a)의 천정부에 형성된 통공(10a-1)과 수직하게 연통되는 입구로(15a)와, 상기 입구로(15a)의 측면에 형성된 제1 배출공(15a-1)을 통하여 본체(10)의 후면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연소실(14)의 아래에 형성된 청소실(14)과 연통되는 출구로(15b)로 이루어져 있다.상기 연통관(15)의 입구로(15a)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제2 배출공(15a-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통관(15)의 입구로(15a)에 인접한 출구로(15b) 내부에는, 상기 연소실(12)에서 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된 연소가스와 악취 등이 상기 입구로(15a)로 수직상승하면서 상기 제1 배출공(15a-1)과 제2 배출공(15a-2)을 통하여 출구로(15b)를 경유할 때 부딪히면서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제3 철제편(16)이 직립상태로 지그재그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통관(15)은, 폐기물의 소각종료 후에, 본체(10)의 후면측에 설치된 연통관 개폐구(15c)를 개방하여 그 안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도면부호 '18'은, 볼팅(Bolting)에 의해 체결된 격판을 표시한 것이다.또한, 상기 연통관(15)의 출구로(15b)의 양측면에는, 증기발생실(13)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상기 출구로(15b) 내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2 증기분사홀(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출구로(15b)를 통과하는 연소가스와 악취 등을, 상기 제2 증기분사홀(17)을 통하여 유입된 증기에 의해 응축시켜 증발시킴으로써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그리고, 상기 청소실(14)과 연결되는 연통관(15)의 출구로(15b)측에는 상기와 같이 연통관(15)을 통과하는 연소가스와 악취 등을 강제적으로 흡입하면서 재차 제거한 후 상기 청소실(14)측으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수단이 설치되어 있다.여기서, 상기 송풍수단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것으로서, 정회전을 하는 제1 송풍팬(81)과 상기 제1 송풍팬(81)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역회전을 하는 제2 송풍팬(8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연통관(15)을 통과하는 연소가스와 악취 등이 비틀려 짜는 방식의 원심력, 즉 소용돌이 형태로 강제 흡입되는 과정에서 또다시 일부 제거된다.한편, 상기 연소실(12)내부 상측에는, 연소실(12)내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겨울철 등 추운날씨에 실내에 난방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공기 유동관(90)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유동관(90)의 입구(90a)와 출구(90b)는 소각기 본체(10)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돌출되 어 있다. 이에 따라, 공기유동관(90)의 입구(90a)로 유입된 찬 공기는 그 입구(90a)에 설치된 송풍팬(91)에 의해 내부로 강제 흡입되면서 출구(90b)측으로 유동되는데, 이때, 연소실(12)내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공기유동관(90)이 가열됨에 따라 서서히 뜨거운 공기로 변환되어 최종 출구(90b)측으로 뜨거운 공기, 즉 온풍을 배출하게 되는것이다. 미설명 부호 '92'와 '30'은 상기 송풍팬(91)과 상기 송풍기(31)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93'은 상기 송풍수단(81)(8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표시한 것이고, '100'은 컨트롤 박스(Control Box)를 표시한 것이다.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소각기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작업자가 소각기 본체 전면에 형성된 투입구(11)를 통하여 폐기물을 투입하게 되면, 그 폐기물은 제1 산소공급관(32)의 좌우측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철제편(41)(60)에 걸쳐지지 상태로 놓여지면서, 상기 제1 및 제2 철제편(41)(60)에 의해 허공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버너(미도시) 등의 점화수단에 의해 폐기물을 점화함과 동시에, 송풍기(31)의 스위치를 온(ON) 시켜서 송풍기 모터(30)를 작동시킨다.이 송풍기 모터(30)의 작동에 따라, 제1 산소공급관(32)으로 산소가 유입되고, 이 유입된 산소 중 일부는 제1 산소공급관(32)의 좌우측에 연결형성된 제2 및 제3 산소공급관(33)(34)으로 분리 유동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산소공급관(32)의 후단부를 거쳐 내벽(10a) 하단부 외면에 형성된 덕트 내부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제2 및 제3 산소공급관(33)(34)으로 유동되는 산소는, 상기 제2 산소공급관(33)의 상면에 장착된 판형부재(40)에 형성된 제1 산소분사노즐(40a)과 상기 제3 산소공급관(34)에 연결형성된 제2 산소분사노즐(50a)을 통하여 상기 폐기물의 아래쪽과 옆쪽으로 분사되고, 상기 덕트 내부로 유동된 산소는 내벽(10a) 하단부에 형성된 산소분사홀(12a)을 통하여 연소실(12) 내부로 분사되어 상기 폐기물의 윗쪽을 향하게 됨으로써, 사방향으로 폐기물의 화력을 발화 촉진시키게 된다.이에 따라 연소실(12) 내부는 상기 폐기물을 소각하면서 고온의 연소열을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내벽(10a)이 가열되면서 상기 내벽(10a)과 외벽(10b) 사이의 증기발생실(13)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게 된다. 물이 점점 뜨겁게 가열되게 되면, 증기발생실(13)에서 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 증기는 그 압력에 의해 상기 내벽(10a) 상단부에 형성된 증기 분사홀(12b)을 통하여 연소실(12) 내부로 분사되게 된다.따라서, 연소실(12) 내부에는 산소와 증기가 혼합되는 상태로 지속적으로 분사됨으로써, 폐기물 소각시 발생되는 연소가스속에 포함된 유해가스 및 악취 등을 산화 및 증발작용에 의해 1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폐기물의 소각 시 발생되는 분진류 일부는 상기 지지부재(70) 사이를 통과하여 청소실(14)로 떨어지게 됨과 함께, 미쳐 연소되지 않은 폐기물 일부, 즉, 미연소물은 지지부재(70) 사이에 걸리는 상태로 떨어지게 되고, 이는 후술하는 단계에 의해 재연소되게 된다.상기 1차적으로 유해가스가 제거된 연소가스와 악취는, 상기 내벽(10a) 천정부와 연통된 연통관(15)의 입구로(15a)를 통하여 출구로(15b)로 배출되고, 이 때, 출구로(15b) 내부에 지그재그식으로 설치된 제3 철제편(16)을 거치면서 난류화됨과 동시에 출구로(15b)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 증기분사홀(17)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증기에 의해 증발되면서 2차적으로 제거된다.이어서, 상기 연통관(15)을 통과하는 연소가스와 악취는 출구로(15b) 후단측에 형성된 정ㆍ역회전 송풍팬(81)(82)에 의해 소용돌이 형태로 강제 흡입되면서 3차적으로 제거된다.이렇게 제거된 연소가스중에 남아 있는 유해가스와 악취는 상기 송풍팬(81)(82)에 의해 청소실(14) 바닥으로 송풍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가스중에 포함된 분진류는 청소실(14) 바닥에 떨어지게 되고, 나머지 기체류는 다시 지지부재(70)사이로 상승하면서 지지부재(70)상에 걸쳐있는 상기 미연소물을 1차 재연소시키고, 이러한 과정에서 연소실 내부의 화력이 더욱 발화 촉진되면서 2차 재연소시키는 작용에 의해 투입구(11)를 통하여 투입된 폐기물을 완전연소시키게 된다.상술한 바와 같이, 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악취 등의 유해물질은 연소실(12)→연통관(15)→정ㆍ역회전 송풍팬(81)(82)→청소실(14)→연소실(12)로 순환작용을 거치면서 완전 제거될 수 있고, 이렇게 유해물질 등이 완전 제거된 후에 무해물질만 외부로 배출되므로, 종래와 같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더욱이,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각기 외부로 유해물질을 배출시키는 일이 없으므로, 겨울철 등 추운날씨에 공장 내부 등에 설치하여 폐기물을 소각하면서 난방효과를 제공하는 온풍기, 난로, 또는 보일러로서의 기능도 겸할 수가 있다.지금까지는 겨울철 등의 추운날씨에 공장 내부 등에 주로 전기난로나 가스난로 등을 설치하여 실내를 난방하였으나, 전기난로, 가스난로 등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에너지의 낭비는 물론 공해문제도 야기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연소실(12) 내부를 관통하는 공기유동관(90)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증기발생실(13)내에 물이 일정 수위만큼 공급되므로, 소각기를 공장 내부 등의 실내에 설치하여 폐기물을 소각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함이 없이 상기 공기유동관(90)을 통하여 실내에 온풍을 제공하는 온풍기로서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기발생실(13)내에 저장된 물의 가열에 의해 외벽(10b) 주변으로 훈훈한 공기를 전달하는 난로로서도 작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난방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공해문제의 방지와 함께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절약할 수가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ual structure of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the tunnel-type body having a combustion chamber in communication with the waste inlet in the inner wall;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A steam generation chamber configured to store water by a predetermined level through a water supply pipe of a water tank outside the main body to generate steam by combustion heat generated during waste incineration; and formed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cleaning chamber below the combustion chamber, A first oxygen supply pipe form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wall to supply oxygen 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plurality of second oxygen supply pipes and third oxygen supply pipe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communicate wi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oxygen supply pipe, respectively. A plurality of first oxygen powders mounted on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oxygen supply pipes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oxygen supply pipes, respectively;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first iron pieces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waste so that the bottom of the waste is ignited by a nozzle and oxygen injected from each of the first oxygen spray nozzles; the plurality of third oxygen A plurality of oxygen injection nozzle rods each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oxygen supply pipe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 supply pipe and having a second oxygen injection nozzle thereon;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third oxygen supply pipes, the second A plurality of second iron pieces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waste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waste is ignited by the oxygen injected from the oxygen spray nozzl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and supplied from the first oxygen supply means A plurality of oxygen injection holes for injecting a portion of the oxygen into the combustion chamber;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forming the combustion chamber, A plurality of first steam injection holes for injecting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into the combustion chamber so that harmful gases and odors with oxygen injected into the chamber are primarily removed by an oxidative evaporation action; A communication tube through which an inlet passage communicates with an upper end of the inner wall and an outlet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cleaning chamber so that harmful gases and odors which have been removed are discharged; formed on the side of the communication tube, and the firstly removed harmful gases and odors are discharged. A plurality of second steam injection holes for injecting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into the communication tube so as to remove the secondary by evaporation; For blowing air to the cleaning chamber while terminating by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method of forcibly sucking and twisting the harmful gas and odor I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third oxygen supply pipe and the cleaning chamber, to support the unburned material falling in the unburned state when the waste is incinerated, the harmful gas and odor removed in the third And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for passing the harmful gases and odor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under the unburned material so as to be re-burned by the igni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an air flow pipe for translating and discharging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warm air by using the heat of combustion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air flow pipe are formed in front of the incinerator main body. It protrudes from the back sid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blowing fan is provided at the inlet. In the light, the communication pip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ird iron pieces in a zigzag manner so that harmful gases and odors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 from the combustion chamber are zigzag while being bumped into each other. The blow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blowing fan for forward rotation and a second blowing fan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wing fan for reverse rotation. Hereinafter,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front view of the multifunctional incinerator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eft side view of the multifunctional incinerator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3,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3. The inci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A tunnel-shaped main body 10 having a double structure of an inner wall 10a and an outer wall 10b having an inlet 11 and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1 in the inner wall 10a. It has a structure including a combustion chamber 12 and a steam generating chamber 13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10a and the outer wall 10b. Although the inner wall 10a is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lower end portion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ee FIG. 3), is b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10b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10b to open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3. It is installed to form. One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3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water supply pipe 21 of the water tank 20 shown in FIG. Accordingl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3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1, and the water is heated by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heat generated when the waste is incinerated, as described later, to generate steam. do.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3 may be maintained to a point below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first steam injection hole 12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leaning chamber 14 in which the back is collected is formed. After the incineration of the waste is finished, the cleaning chamber 14 can open the cleaning chamber opening / closing opening 14a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to clean the inside of the cleaning chamber 14. In order to supply oxygen to the combustion chamber 12 therebetween, as illustrated in FIGS. 3 to 5, a blower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wall 10a and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31' in FIG. 1). A plurality of second oxygens installed to be inclined to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first oxygen supply pipes 32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vent holes (not shown)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oxygen supply pipes 32, respectively. A supply pipe 33 and a third oxygen supply pipe 34 are provided. Here, the other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oxygen supply pipes 32 and 33,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oxygen supply pipe 32, are sealed. The second oxygen supply pipe 33 i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cross-sectional shape has a U-shaped structure and the plate member 4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The plate member 40 has a first oxygen for injecting oxygen passing through the first oxygen supply pipe 32 toward the second oxygen supply pipe 33 by the blower 31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2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40a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40, a plurality of first iron pieces 41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waste between the first oxygen injection nozzles 40a are formed in an upright state. . Reference numeral 44 denotes a partition wall which seals one side of the cleaning chamber. The third oxygen supply pipe 34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hird oxygen supply pipe 34 as shown in FIG. 5. It is housed inside a water pipe 35. One end of the water pipe 35 is connected to the lower water supply pipe 22 of the water tank 20 of FIG. 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irst oxygen supply pipe 32 in a sealed stat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oxygen supply pipe 34, a plurality of oxygen injection nozzle rods 50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hird oxygen supply pipe 34 through the outer water supply pipe 35. .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oxygen injection nozzle rod 50, as described above, by the blower 31 from the first oxygen supply pipe 32 to the third oxygen supply pipe 34 through the oxygen injection nozzle rod ( A second oxygen injection nozzle 50a for vertically injecting oxygen passing through 50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2 is formed as indicated by the arrow. In the space between the water pipe 35 and the third oxygen supply pipe 34,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tor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2 at the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20. This is for cooling the third oxygen supply pipe 34 heated by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heat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12, the second iron piece 6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ike. Similarly, a plurality of second iron pieces 60 are provided in an upright st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wer part of the water pipe 35, when the lower side of the waste to be incinerated is burned in a state spanning the first and second iron pieces 41 and 60, a plurality of air and dust flows are allowed to pass. The support members 70 are provided at tight intervals. The dust and the like fall through the support member 70 and into the cleaning chamber 14 below. The inner wall 10a forming the combustion chamber 12 in which these various components are installed is formed on a plurality of inner walls 10a. And a plurality of perforated oxygen injection holes 12a and a plurality of perforated first vapor injection holes 12b.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duct (Duct)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wall (10a) in which the oxygen injection hole (12a) is formed. As a result, a part of the oxygen passing through the first oxygen supply pipe 32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xygen injection nozzles 40a and 50a via the second and third oxygen supply pipes 32 and 33. It is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2, and the remaining part is through the inside of the duct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oxygen supply pipe 32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2 through the oxygen injection hole (12a) formed in the inner wall (10a) In addition, between the inner wall (10a) and the outer wall (10b), as shown in Figure 3, the communication tube 15 for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and odor generated during the incineration of the waste, the front of the body from the rear It is formed by the side. The communicating tube 15 has an inlet passage 15a perpendicularly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10a-1 formed in the ceiling of the inner wall 10a, and a first discharge hole 15a formed at the side surface of the inlet passage 15a. The outlet passage 15b extend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communicates with the cleaning chamber 14 formed under the combustion chamber 14 through -1). A plurality of second discharge holes 15a-2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15a). In addition, inside the outlet passage 15b adjacent to the inlet passage 15a of the communication tube 15, the combustion gas and odor generated when the waste is inci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2 rise vertically to the inlet passage 15a. While a plurality of third iron pieces 16 are zigzag in an upright state so as to be pass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15a-1)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15a-2) while being bumped through the exit passage (15b). It is installed. After the incineration of the waste is completed, the communicating tube 15 can open the communicating tub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15c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to clean the inside thereof cleanly. Reference numeral '18' denotes a diaphragm fastened by bolting.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outlet passage 15b of the communication tube 15 contain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3. A plurality of second vapor injection holes 17 are formed for injecting into the exit passage 15b. This is for removing the combustion gas, odor, and the like passing through the outlet passage 15b by condensation and evaporation by the steam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steam injection hole 17. The cleaning chamber 14 and Ventilation means is installed at the outlet path 15b of the communication pipe 15 to be connected and removed by forcibly inhaling the combustion gas and odor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 15 as described above, and then blowing it to the cleaning chamber 14 side. Here, the blowing mean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cond blowing fan 82 for reverse rot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blowing fan 81 and the first blowing fan 81 for forward rotation. ) As a result, part of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 15 and the odor are removed in the process of being forced into the centrifugal force, that is, swirling, in a twisted manner. An air flow tube 90 is pro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heating effect can be provided indoors in a cold weather such as winter season by using high temperature combustion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2. The inlet 90a and the outlet 90b of the air flow tube 90 protrude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incinerator body 10. There is. Accordingly, the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90a of the air flow tube 90 is forced to be sucked into the inside by the blowing fan 91 installed at the inlet 90a and flows to the outlet 90b side. As the air flow tube 90 is heated by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heat generated within 12), the air flow tube 90 is gradually converted into hot air, thereby discharging hot air, that is, hot air, toward the final outlet 90b. Reference numerals '92' and '30' denote motors for driving the blower fan 91 and the blower 31, and '93' denotes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blower means 81, 82. It is displayed, and '100' is a control box (Control Box) is displayed. 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inci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When the waste is injected through the waste, the waste is placed in a supported state over the first and second iron pieces 41 and 60 form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oxygen supply pipe 32,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iron pieces 41 and 60 remain in the air. In this state, the waste is ignited by an ignition means such as a burner (not shown), and the blower motor 30 is operated by switching on the blower 31. The blower motor 30 is operated. Accordingly, oxygen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oxygen supply pipe 32, and some of the introduced oxygen is separated into second and third oxygen supply pipes 33 and 34 connected to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oxygen supply pipe 32. The remaining portion flows into the duc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10a via the rear end of the first oxygen supply pipe 32. At this time, the oxygen flows to the second and third oxygen supply pipe (33, 34), the first oxygen injection nozzle (40a) formed in the plate member 4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oxygen supply pipe (33) And the second oxygen injection nozzle 50a connected to the third oxygen supply pipe 34 to be injected to the lower side and the side of the waste, and the oxygen flowing into the duct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10a. It is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2 through the 12a to face upward of the waste, thereby igniting the fire power of the waste in four directions. Accordingly, the interior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burns the waste and burns the hot heat of combustion. The inner wall 10a is heated by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heat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3 between the inner wall 10a and the outer wall 10b is heated. When the water is heated up gradually, steam is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3, and the steam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2 through the steam injection hole 12b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10a by the pressure. Therefore, by continuously spraying oxygen and steam in the combustion chamber 12, the harmful gases and odors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the incineration of waste are primarily oxidized and evaporated. It can be removed. At this time, a part of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incineration of the waste passes through the support members 70 and falls to the cleaning chamber 14, and some of the waste that is not burned, that is, the unburned material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70. The combustion gas and the odor of the first harmful gas are removed to the inlet of the communication pipe 15 communicating with the ceiling of the inner wall 10a. It is discharged to the exit path 15b through 15a, and at this time, it is turbulent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steel piece 16 zigzag-installed inside the exit path 15b, and at the same tim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xit path 15b. Secondary vapor is removed by the vapo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steam injection holes 17 formed therein. Subsequently, the combustion gas and the odor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15 are trailing the outlet 15b.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blowing fans 81 and 82 formed on the As the suction force to the spiral form is removed by 3 primary this way harmful gases and odors that remain in the combustion gas removed is blown to the floor cleaning chamber 14 by the air blowing fans 81 and 82. Here, the dust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falls on the floor of the cleaning chamber 14, and the remaining gas flows up again between the support members 70, and regenerates the unburned material on the support members 70. In this process, as the thermal power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is further promoted to ignite, the waste injected through the inlet 11 is completely burned by the second reburn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harmful gas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of the waste And odorous substances such as odors can be completely removed by circulating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12), the communication pipe (15), the forward / reverse blower fan (81), (82), the cleaning chamber (14), and the combustion chamber (12)). In addition, since only harmful substance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the hazardous substances are completely removed, the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s in the prior art. It can be used as a hot air heater, a stove, or a boiler to provide heating effect while burning waste by incineration of waste in cold weather, such as winter, so far. Mainly heating the room by installing an electric stove or gas stove, but the continuous use of the electric stove, gas stove, etc. There was a case where the waste of energy as well as the pollution problem.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flow tube 90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is provided,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3 by a certain level, the incinerator is installed indoors, such as inside a factory. When the waste is incinerated, as described above, it may not only act as a hot air fan for providing warm air to the room through the air flow pipe 90 without discharging harmful substances to the outside, but also stored in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3. By heating the water it can also act as a stove for delivering warm air around the outer wall (10b).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waste of energy and to prevent pollution caused by using a separate heating mechanism as in the related ar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되는 연소가스속에 포함되는 유해물질, 분진류, 악취 등의 연소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별도의 집진기와 화학약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상기 연소물을 배출하기 위한 굴뚝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상태로 설치하지 않아도, 연소물을 내부에서 계속적인 순환작용에 의해 완전연소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폐기물의 처리비용의 절감과 함께 환경오염의 원인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dust collector and chemicals are not required as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treat combustion products such as harmful substances, dusts, and odors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of waste. In addition, even if the chimney for discharging the combustion products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mbustion products can be completely burned and removed by the continuous circulation in the interior, thereby reducing the disposal cost of the waste and caus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겨울철 등의 추운날씨에 공장 등의 실내에 소각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실내에 유해물질 등을 배출함이 없이 폐기물의 소각시에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실내에 난방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온풍기 또는 난로로서도 겸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난방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등의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using an incinerator installed in a room such as a factory in cold weather such as winter, the room is heated indoors by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heat generated at the time of incineration of waste without releasing harmful substances in the room. Since it can also serve as a hot air heater or a stove that can provide a heating effe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heating mechanis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소각기 연소장치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multifunctional incinerator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소각기 연소장치의 좌측면도.2 is a left side view of the multifunctional incinerator combus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에서의 A-A 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4는, 도 3에서의 B-B 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3.

도 5는, 도 3에서의 C-C 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투입구 12 ... 연소실12a ... 산소분사홀 12b ... 제1 증기분사홀13 .... 증기발생실 14 ... 청소실15 ... 연통관 16 ... 제3 철제편17 ... 제2 증기분사홀 32 ... 제1 산소공급관33 ... 제2 산소공급관 34 ... 제3 산소공급관35 ... 통수관(通水管) 40 ... 판형부재40a ... 제1 산소분사노즐 41 ... 제1 철제편50 ... 산소분사노즐봉 50a ... 제2 산소분사노즐60 ... 제2 철제편 70 ... 지지부재81, 82 ... 송풍팬11 ... Inlet 12 ... Combustion chamber 12a ... Oxygen injection hole 12b ... First steam injection hole 13 .... Steam generation chamber 14 ... Cleaning chamber 15 ... Communication tube 16 ... Article 3 Iron piece 17 ... Second vapor injection hole 32 ... First oxygen supply pipe 33 ... Second oxygen supply pipe 34 ... Third oxygen supply pipe 35 ... Water supply pipe 40 ... Plate member 40a ... first oxygen spray nozzle 41 ... first iron piece 50 ... oxygen spray nozzle rod 50a ... second oxygen spray nozzle 60 ... second iron piece 70 ... support member 81, 82 ... blower fan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내벽(10a)과 외벽(10b)의 이중구조로 되어있고, 상기 내벽(10a)내에 폐기물 투입구(11)와 연통되는 연소실(12)을 구비하는 터널형 본체(10);Tunnel-shaped body 10 having a double structure of inner wall 10a and outer wall 10b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combustion chamber 12 communicating with a waste inlet 11 in the inner wall 10a. ; 상기 내벽(10a)과 상기 외벽(10b) 사이에 형성되어, 본체(10) 외부의 물탱크(20)의 급수관(21)을 통하여 일정 수위 만큼 물을 저장하여 폐기물 소각시 발생되는 연소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발생실(13);It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10a) and the outer wall (10b), by storing the water by a certain level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1 of the water tank 20 outside the main body 10 by steam generated by the combustion heat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of waste Steam generating chamber 13 to generate; 상기 연소실(12)과 상기 연소실(13) 아래의 청소실(14) 사이에 형성되어, 연소실(12)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상기 내벽(10a)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산소공급관(32)과, 상기 제1 산소공급관(32)의 좌우측면과 각각 연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개의 제2 산소공급관(33) 및 제3 산소공급관(34);A first oxygen supply pipe 32 formed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12 and the cleaning chamber 14 below the combustion chamber 13 and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wall 10a to supply oxygen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2. A plurality of second oxygen supply pipes 33 and third oxygen supply pipes 34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oxygen supply pipe 32, respectively; 상기 다수개의 제2 산소공급관(33)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산소공급관(33)과 각각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1 산소분사노즐(40a) 및 각각의 제1 산소분사노즐(40a)로부터 분사되는 산소에 의해 폐기물의 아래쪽이 발화되도록 상기 폐기물의 아래쪽을 걸치는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1 철제편(41)을 구비하는 판형부재(40);A plurality of first oxygen injection nozzles 40a and respective first oxygen injection nozzles 40a moun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oxygen supply pipes 33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oxygen supply pipes 33, respectively. A plate member 40 having a plurality of first iron pieces 41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waste so that the bottom of the waste is ignited by the injected oxygen; 상기 다수개의 제3 산소공급관(34)의 각각의 좌우측면에 상기 제3 산소공급관(34)과 각각 연통되고 그 상측에 제2 산소분사노즐(50a)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산소분사노즐봉(50);A plurality of oxygen injection nozzle rods 50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oxygen supply pipe 34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ird oxygen supply pipes 34, respectively, and having a second oxygen injection nozzle 50a thereon. ); 상기 다수개의 제3 산소공급관(34)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산소분사노즐(50a)로부터 분사되는 산소에 의해 폐기물의 아래쪽이 발화되도록 폐기물의 아래쪽을 걸치는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2 철제편(60);A plurality of agent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third oxygen supply pipes 34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waste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waste is ignited by oxygen injected from the second oxygen injection nozzle 50a; 2 iron piece 60; 상기 내벽(10a)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산소공급수단(32)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 일부를 연소실 내부에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산소분사홀(12a);A plurality of oxygen injection holes (12a)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ner wall (10a) to inject a portion of oxygen supplied from the first oxygen supply means (32) into the combustion chamber; 상기 내벽(10a)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연소실(12) 내부로 분사되는 산소와 함께 유해가스 및 악취를 산화증발작용에 의해 1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증기발생실(13)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연소실(12) 내부로 분사되기 위한 다수개의 제1 증기분사홀(12b);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3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10a so that harmful gases and odors, together with oxygen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2, may be primarily removed by an oxidative evaporation action. A plurality of first vapor injection holes 12b to be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2; 상기 1차적으로 제거된 유해가스 및 악취가 배출되도록, 입구로(15a)가 상기 내벽(10a)의 상단부와 연통되고 출구로(15b)가 상기 청소실(14)과 연통되는 연통관(15);A communication tube 15 through which an inlet passage 15a communicates with an upper end portion of the inner wall 10a and an outlet passage 15b communicates with the cleaning chamber 14 so that the harmful gas and odor that are primarily removed are discharged; 상기 연통관(15)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1차적으로 제거된 유해가스 및 악취를 증발작용에 의해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증기발생실(13)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연통관(15) 내부로 분사되기 위한 다수개의 제2 증기분사홀(17);I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mmunication tube 15,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3 to remove the harmful gases and odors that have been primarily removed by the evaporation operation inside the communication tube 15 A plurality of second vapor injection holes 17 for injection into the furnace; 상기 연통관(15)의 출구로측(15b)에 설치되어, 상기 2차적으로 제거된 유해가스 및 악취를 강제 흡입하여 비틀어 짜는 방식의 원심력에 의해 3차적으로 제거하면서 상기 청소실(14)측으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수단(81)(82);It is installed in the outlet path side 15b of the communication tube 15 and blows to the cleaning chamber 14 side while removing the secondary gas and odors removed by force by centrifugal force of the method by forcibly sucking and twisting the secondary gas. Blowing means (81, 82) for 상기 제3 산소공급관(34)과 상기 청소실(14) 사이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폐기물의 소각시 미쳐 연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낙하되는 미연소물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3차적으로 제거된 유해가스 및 악취에 의해 발화되면서 상기 미연소물을 재연소할 수 있도록 상기 유해가스 및 악취가 상기 미연소물 아래쪽에서 연소실(12)내부로 통과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부재(70);I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third oxygen supply pipe 34 and the cleaning chamber 14 to support the unburned material falling in the unburned state when the waste is incinerated, and the third removal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70) for passing the harmful gases and odor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2) under the unburned materials so as to be re-burned by the harmful gases and odor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소각기.Multifunctional incinerator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연소실(12) 내부 상측에는, 연소실(12)내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유입되는 찬공기를 따뜻한 공기로 변환하여 배출하기 위한 공기유동관(90)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되, 상기 공기유동관(90)의 입구(90a)와 출구(90b)는 소각기 본체(10)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입구(90a)에는 송풍팬(9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소각기.I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an air flow pipe 90 for translating and discharging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warm air by using the heat of combustion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2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ut the air flow pipe The inlet (90a) and the outlet (90b) of the 90 is protruded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incinerator main body 10, the inlet (90a) is a multifunctional inci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wing fan 91 is provided.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연통관(15)에는, 상기 연소실(12)로부터 연통관(15)을 통과하는 유해가스 및 악취가 부딪히면서 지그재그식으로 통과되도록 다수개 제3 철제편(16)이 지그재그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소각기.In the communication tube 15, a plurality of third iron pieces 16 are provided in a zigzag manner so that harmful gases and odors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15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2 collide with each other. Multifunctional incinerator.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송풍수단(81)(82)은, 정회전을 하는 제1 송풍팬(81)과, 상기 제1 송풍팬(81)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역회전을 하는 제2 송풍팬(8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소각기.The blowing means (81) (82) is composed of a first blowing fan 81 for forward rotation and a second blowing fan (82)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wing fan (81) for reverse rotation. Multifunctional inci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2-0007196A 2002-02-07 2002-02-07 Multey burner cajheire device KR1004910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196A KR100491021B1 (en) 2002-02-07 2002-02-07 Multey burner cajheir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196A KR100491021B1 (en) 2002-02-07 2002-02-07 Multey burner cajheir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281A KR20030067281A (en) 2003-08-14
KR100491021B1 true KR100491021B1 (en) 2005-05-24

Family

ID=3222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196A KR100491021B1 (en) 2002-02-07 2002-02-07 Multey burner cajheir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0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3223A1 (en) * 2008-11-10 2010-05-14 Young Ho Kim Waste incinerator and cogeneration system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286B1 (en) * 2011-04-08 2013-06-04 백민주 Combustion device of harmful gas block installed
KR102362214B1 (en) 2021-07-14 2022-02-15 김용호 Incinerator for odor remov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049U (en) * 1994-10-11 1996-05-17 양영자 Waste incinerator
KR19990009788A (en) * 1997-07-11 1999-02-05 최효병 incinerator
KR20010091814A (en) * 2000-03-18 2001-10-23 김호찬 Incinerator Combus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049U (en) * 1994-10-11 1996-05-17 양영자 Waste incinerator
KR19990009788A (en) * 1997-07-11 1999-02-05 최효병 incinerator
KR20010091814A (en) * 2000-03-18 2001-10-23 김호찬 Incinerator Combus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3223A1 (en) * 2008-11-10 2010-05-14 Young Ho Kim Waste incinerator and cogeneration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281A (en)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0110B1 (en) Incinerator for removing noxious substances
JP2011005457A (en) Apparatus for decomposing organic matter
KR100810985B1 (en) Incinerator of wastes
JP2009052845A (en)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and boiler system
KR100491021B1 (en) Multey burner cajheire device
US3771471A (en) Mobile incinerator with a rotary furnace, particularly for household refuse
US3355254A (en) Waste products combustion apparatus
JP3700947B1 (en) Incineration method and incinerator for combustible waste
KR960016350B1 (en) Combination sterilized hot water and incineration system
KR1002491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rning out industrial wastes
JP4735985B2 (en) Waste treatment equipment
JP2745213B2 (en) Waste treatment equipment
JP3091181B2 (en) Incinerator
KR100564718B1 (en) Garbage incinerator
KR200258775Y1 (en) Complete combustion incinerator for hot air generation
JP3107544B2 (en) Swirl combustion furnace
JP2000291926A (en) Incinerating device by high heat gasification combustion system
JP2974991B2 (en) Incinerator
JP2002061808A (en) Burner for liquid fuel combustion device
KR960009433Y1 (en) Incinerator
JP2745392B2 (en) Incinerator
JP2735911B2 (en) Auxiliary device in an incinerator and a smokeless incinerator equipped with the auxiliary device
KR810002051B1 (en) Incinerators for town refuse
JP2779145B2 (en) Smokeless and odorless incinerator
JPH09159128A (en) Incinerator and combustion for inci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