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142B1 -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142B1
KR100490142B1 KR10-2002-0047225A KR20020047225A KR100490142B1 KR 100490142 B1 KR100490142 B1 KR 100490142B1 KR 20020047225 A KR20020047225 A KR 20020047225A KR 100490142 B1 KR100490142 B1 KR 10049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stantaneous
measuring
interne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056A (ko
Inventor
유재근
이상익
전정채
Original Assignee
한국 전기안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전기안전공사 filed Critical 한국 전기안전공사
Priority to KR10-2002-0047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142B1/ko
Publication of KR20040014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전력계통 내의 각 전력설비단에 설치된 다수의 측정장치를 제어하여 전력계통의 조류를 계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계통의 전력선에 각 위상별로 순시 전류값을 측정하는 홀전류센서 및 전압 분할된 회로를 통해 순시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순간적으로 샘플홀드하여 저장하고 외부 요청에 의해 저장된 측정값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신호 변환부와;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부로 순간적인 측정이 가능하도록 샘플홀드 제어신호를 동시에 출력하고, 그로부터 출력된 순시 측정값을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여 외부로 직렬 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측정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측정장치와 직렬 포트를 통해 연결되고,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이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장치와;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각 전력설비단에 설치된 측정장치의 식별코드와 역률, 순시전력, 전력량에 관한 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측정데이터를 가공하여 전력설비단의 단락, 지락 등의 고장상태유무와 전력소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각 전력설비단의 전력에너지 운용을 관리,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System for measuring the current of electric power in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전력계통 내의 각 전력설비단에 설치된 다수의 측정장치를 제어하여 전력계통의 조류를 계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조류란 전력발생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전력계통 내의 각 전력설비단의 전압이나 전류분포의 흐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전력운전상태에서 각 전력설비단의 전압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전력시스템의 능력을 전압안정도라 한다. 이때 전력계통의 전압안정도는 각 전력설비단의 선로조류의 증가, 부하의 편중, 무효전력공급원의 부족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특히 전력시스템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전압의 출현 및 전력설비단의 전압저하는 전체 전력시스템의 정전에 이르는 아주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전력에너지를 안정적인 운용은 전력계통의 조류를 정확하게 측정 및 분석하는 것과 직결되어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전력설비단에 설치된 다수의 측정장치와 전력계통을 관리, 감시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전용 유선망으로 연결하여 전력계통의 조류를 계측하고 분석하여 전력에너지를 안정적인 운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다수의 측정장치와 관리자 단말기의 연결거리가 장거리일 경우에는 신호의 감쇄를 보상하기 위해 증폭기가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측정장치와 관리자 단말기를 전용선으로 연결하여 전력설비단의 전압 및 또는 전류를 계측하여 전체 전력계통의 조류를 계측하고 분석함으로써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력 공급 계통에 채택되는 3상 4선 방식의 선로의 경우 각 상별로 전압, 전류를 동시에 측정해야 순시전력과 역률을 산출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고가의 소재와 빠른 입출력이 요구되어 하드웨어 설계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전력계통 내의 각 전력설비단에 설치된 다수의 측정장치와 각 전력설비단의 전력에너지 운용을 관리, 감시하는 관리자 단말기에 연결된 서버를 인터넷으로 연결한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소형 경량화되어 이동하면서 사용 가능한 전력 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정확한 순시전력 및 역률의 측정을 위하여 순간적인 전류와 전압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전력 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력계통의 전력선에 각 위상별로 순시 전류값을 측정하는 홀전류센서 및 전압 분할된 회로를 통해 순시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순간적으로 샘플홀드하여 저장하고 외부 요청에 의해 저장된 측정값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신호 변환부와;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부로 순간적인 측정이 가능하도록 샘플홀드 제어신호를 동시에 출력하고, 그로부터 출력된 순시 측정값을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여 외부로 직렬 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측정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정장치와 직렬 포트를 통해 연결되고,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이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장치와;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각 전력설비단에 설치된 측정장치의 식별코드와 역률, 순시전력, 전력량에 관한 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측정데이터를 가공하여 전력설비단의 단락, 지락 등의 고장상태유무와 전력소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중앙관리서버;
를 포함하여 각 전력설비단의 전력에너지 운용을 관리,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블록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은 측정장치(10)와 통신장치(20)와 중앙관리서버(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각 전력설비단에 설치된 측정장치(10)와 각 전력설비단의 전력에너지 운용을 관리, 감시하는 관리자 단말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중앙관리서버(30)를 통신장치(20)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예:인터넷)로 연결하므로서 신호의 감쇄영향이 없고 저비용으로 변압기와 같은 전력설비단의 전력에너지의 안정운영을 감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정장치(10)는 측정하고자 하는 전력설비단의 전압 및/또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기 전력설비단의 역률, 순시전력, 전력량을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서부(11)와 신호변환부(12)와 분석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1)는 측정하고자 하는 전력설비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센서부(11)는 홀전류센서(Hall Current sensor) 등을 사용하여 입력전류를 적당한 크기의 전압신호로 변환시키며 본 발명에서는 프랑스 LEM사의 HT 200TM 을 측정센서로 사용한다. 전압 센서는 저항으로된 전압분할회로에서 분압된 전압을 직접 측정한다.
우리나라에서 통상 전력공급계통에서 사용되는 3상 4선 방식에서 전류센서는 각 상별로 한개씩과 접지선에 한개, 그리고 변압기에서 결선 방식에 따라 Y 결선일 경우 중성점에서 한개 추가되어 5개의 센서가 필요하고, 전압 센서는 각 상과 접지선 사이에 3개의 센서와 중성점과 접지 사이에 한 개가 필요하여 총 4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에는 각 측정장치마다 적어도 9개의 입력포트가 있다.
상기 신호변환부(12)는 상기 센서부(11)에서 검출된 전력설비단의 아날로그 전압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변환부(12)는 ANALOG DEVICE사의 ADC7865TM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를 사용한다. 상기 ADC7865TM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는 원래 8채널이나 순간적인 측정을 위해 동시에 샘플홀드(sample-hold)할 수 있기 위해서는 4채널만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석부(13)에서 4샘플홀드 대상 채널을 선택하고 샘플홀드 제어신호(conversion start signal, 이하 "convst" 라고 한다.)를 출력하면 4 채널의 아날로그 입력값이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 내부에 기억된다. 이후에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로부터 각 채널별로 변환된 측정값이 분석부(13)로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9 채널의 입력 신호를 샘플홀드(sample-hold)하기 위해 3 개의 ADC7865TM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를 사용하며 분석부(13)에서 샘플홀드 제어신호(convst)는 하나의 포트에서 동시에 출력되므로 상기 3 개의 ADC7865TM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는 모든 9 채널의 입력값이 순간적으로 샘플홀드(sample-hold)된다.
상기 분석부(13)는 3 개의 ADC7865TM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를 포함하는 신호변환부(12)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설비단의 전압 및/또는 전류의 크기에 관한 디지털데이터를 통해 역률, 순시전력, 전력량을 계측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석부(13)는 상기 역률, 순시전력,전력량을 계측하기 위해 Texas Instrument사의 TMS320C32TM 디지털신호처리장치 (DSP)(13b)를 사용한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장치 (13b)는 상기 신호변환부(12)로부터 수신한 순시 전류, 전압값으로부터 역률, 순시전력을 계산하여 이를 외부로 전송한다. 그러나 이 같은 양상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단순 데이터만 전송하고 중앙관리서버(30)에서 역률, 순시전력을 산출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상기 분석부(13)는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로직부(13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로직은 EPLD(Electrically Programmable Logic Device)로 구현된다. EPLD의 프로그래밍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의 기능을 간략히 설명한다. EPLD는 디지털신호처리장치(13b)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3개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에 동시에 샘플홀드 제어신호(convst)를 출력하고 이후에 순차적으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를 칩-인에이블시켜 각 채널별로 측정데이터를 디지털신호처리장치(13b)로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순간적인 전류와 전압의 동시 측정이 가능하여 정확하게 순시전력 및 역률, 전력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석부(13)는 병렬/직렬 변환부(13c)를 통해 디지탈신호처리장치(13b)가 취합한 채널별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바꾸어 통신장치(20)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병렬/직렬 변환부(13c)는 통상 PPI(Perallel Peripheral Interface)와 MAX232와 같은 아날로그 칩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석부(13)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메인 프로그램이 저장된 플래시 롬(FLASH ROM)과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SRAM이 디지탈신호처리장치 (13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통신장치(20)는 전자기기들을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접속장치로서, 본 발명의 측정장치(10)와 일대일로 연결되거나 다대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장치(1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중앙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장치(20)는 측정장치(10)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측정장치(10)와 외부접속을 통해 시리얼 통신(RS232/422/485)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20)의 구성블록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장치(10)와 직렬 통신을 위한 직렬포트 제어기(21)와, 외부와의 인터넷 통신을 위한 이더넷 컨트롤러(24),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된 제어부(22) 및 메인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임시 기억장소를 겸하는 플래시 메모리 (23)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장치(20)는 인터넷 어드레스로 식별되며 직접 라우터와 같은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외부 서버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장치(20)는 하나 혹은 다수의 측정장치(10)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장치(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측정장치별, 센서 별로 식별부호와 함께 중앙관리서버(3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중앙관리서버(30)는 상기 통신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각 전력설비단에 설치된 측정장치(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측정장치별, 센서 별로 식별부호와 역률, 순시전력,전력량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데이터를 가공하여 전력설비단의 단락, 지락 등의 고장상태유무와 전력설비단의 전력소비 등을 분석한다. 또한, 상기 중앙관리서버(30)는 수신한 데이터와 분석한 데이터를 날짜별, 시간별로 저장한다.
따라서, 전력계통을 감시하는 관리자는 각 전력설비단에 설치된 측정장치의 전압/전류측정값을 인터넷을 이용하여 감시, 분석한 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전력계통 운용과 계획을 세울 수 있고, 기존 전력설비단의 효율적 운용 및 전력공급 능력의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전력설비단에 설치된 측정장치와 각 전력설비단의 전력에너지 운용을 관리, 감시하는 관리자 단말기에 연결된 서버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므로서 신호의 감쇄영향이 없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전력설비단에 설치된 측정장치를 인터넷을 이용하여 감시, 분석한 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전력계통 운용과 계획에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품질 전력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데 기여하고, 기존 전력설비단의 효율적 운용 및 전력공급 능력의 제고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순간적인 전류와 전압의 동시 측정이 가능하여 정확한 순시전력 및 역률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측정장치
11:센서부 12:신호변환부
13:분석부
13a:제어로직부 13b:디지털신호처리부
13c:병렬/직렬 변환기
20:통신장치
30:중앙관리서버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전력공급계통 3상 4선로 전력선에 구비되어, 각 선로의 순시 전류값을 측정하는 다수개의 홀전류센서 및 순시 전압값을 측정하는 다수개의 전압센서를 포함하여 순시 전류값 및 순시 전압값을 동시에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순간적으로 샘플홀드하여 일시 저장하고 외부 요청에 의해 저장된 측정값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는 신호변환부와; 상기 신호변환부의 다수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에 동시에 샘플홀드 제어신호(convst)를 출력하고 이후에 순차적으로 상기 다수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를 칩-인에이블시켜 각 채널별로 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어로직부와; 상기 제어로직부로부터 샘플홀드 제어신호(convst)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로직부로부터 출력되는 각 채널별 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역률, 순시전력, 전력량을 계산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와,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각 채널별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병렬/직렬 변환부를 포함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측정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측정장치와 직렬 통신을 위한 직렬포트 제어기와; 외부와의 인터넷 통신을 위한 이더넷 컨트롤러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된 제어부와; 메인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임시 기억장소를 겸하는 플래시 메모리; 를 포함하는 통신장치와;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각 전력설비단에 설치된 측정장치의 식별코드와 역률, 순시전력, 전력량에 관한 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측정데이터를 가공하여 전력설비단의 단락, 지락 등의 고장상태유무와 전력소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중앙관리서버; 를 포함하여 각 전력설비단의 전력에너지 운용을 관리,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
KR10-2002-0047225A 2002-08-09 2002-08-09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 KR100490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225A KR100490142B1 (ko) 2002-08-09 2002-08-09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225A KR100490142B1 (ko) 2002-08-09 2002-08-09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056A KR20040014056A (ko) 2004-02-14
KR100490142B1 true KR100490142B1 (ko) 2005-05-17

Family

ID=3732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225A KR100490142B1 (ko) 2002-08-09 2002-08-09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916B1 (ko) * 2004-10-28 2006-08-1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전기 자동차의 역률 표시 및 보정 시스템
CN114689982A (zh) * 2020-12-25 2022-07-01 武汉华大电力自动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电网关键设备实时监测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687A (ko) * 1997-04-22 1998-11-16 김의근 도시가스용 원방감시 제어시스템
KR20000019203A (ko) * 1998-09-09 2000-04-06 황선정 환경 설비 원격 관리 시스템
KR20010094543A (ko) * 2000-03-31 2001-11-01 박찬일 인터넷을 통해 각종 센서와 장비를 감시/통제할 수 있는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6033A (ko) * 2000-04-17 2001-11-07 이승철 인터넷망을 이용한 산업전력의 감시 및 진단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687A (ko) * 1997-04-22 1998-11-16 김의근 도시가스용 원방감시 제어시스템
KR20000019203A (ko) * 1998-09-09 2000-04-06 황선정 환경 설비 원격 관리 시스템
KR20010094543A (ko) * 2000-03-31 2001-11-01 박찬일 인터넷을 통해 각종 센서와 장비를 감시/통제할 수 있는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6033A (ko) * 2000-04-17 2001-11-07 이승철 인터넷망을 이용한 산업전력의 감시 및 진단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056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3538A (en) Waveform capturing arrangement in a distributed power network
US5247454A (en) Reconfigurable circuit monitoring system
US5224054A (en) Waveform capturing arrangement in distributed power network
US6915220B2 (en) Integrated, self-powered battery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US7996171B2 (e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with broad-range high accuracy
US562982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fault in a distributed line network
KR100963318B1 (ko) 변전소시스템
EP2102671B1 (en) Fault prediction in electric transmission networks
EP2204658A1 (en) Meter phase identification
CN105093047B (zh) 电力线路载流量监测预警系统
US75026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ower in a front end rectifier power system
KR20060083367A (ko) 원격 검침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장치
US20120299576A1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system
WO2010129071A1 (en) Reduced parts count isolated ac current switching and sensing
NZ526091A (en) A battery monitoring system
KR10049014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조류 측정시스템
JP2001112123A (ja) 分電盤、oaタップ、及びこれらを備えた電力監視システム
WO2008003917A1 (en) Apparatus for testing wiring
KR20170066107A (ko) 홀 센서 및 dsp 연산 구조 기반 서브 미터링 분배전반
KR100490143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고조파 측정시스템
KR101687537B1 (ko) 다중선로 전력량 계측장치 및 그 방법
JP6782442B2 (ja) 計測装置、計測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5189012A (ja) 電力計測装置
KR101006069B1 (ko) 휴대용 전력계통 상태 감시 장치
KR20000006898A (ko) 전력부하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식전력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