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493B1 - 회전식 쐐기판을 갖는 성형기계 - Google Patents

회전식 쐐기판을 갖는 성형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493B1
KR100489493B1 KR10-2002-7017039A KR20027017039A KR100489493B1 KR 100489493 B1 KR100489493 B1 KR 100489493B1 KR 20027017039 A KR20027017039 A KR 20027017039A KR 100489493 B1 KR100489493 B1 KR 100489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wedge
rotary wedge
fac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6222A (ko
Inventor
뮐레프랑수와
슈타인하우저울리히
Original Assignee
하테부르 움포름마쉬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테부르 움포름마쉬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하테부르 움포름마쉬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3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29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ace between the press slide and the press table, i.e. the shut height
    • B30B15/0035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ace between the press slide and the press table, i.e. the shut height using an adju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press drive means and the press sl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21J13/03Die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2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multi-stage forg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 Friction Gea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계는 공구로서 펀치 및 다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성형부 및 상기 두개의 공구중 하나의 축선위치를 셋팅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셋팅장치는, 조정쐐기로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지지면 (11) 으로 모체 (2) 를 지지하는 회전식 쐐기판 (1) 을 갖는다.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의 타측판에는 경사면 (12) 이 존재한다. 상기 셋팅장치는 또한 압력부 (32), 및 단부면 (31) 을 갖는 회전부 (30) 를 포함한다. 단부면 (31) 은 경사면 (12) 을 지지하며, 상기 단부면은 회전식 쐐기판 (1) 이 회전할 때, 상기 회전축선에 대해 편심적으로,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에 대해 변위되며, 이 과정에서 압력부품 (3) 과 모체 (2) 사이의 축선거리가 변화한다. 조정쐐기가 회전식 쐐기판 (1) 이므로, 상기 지지면 (11) 은 모체 (2) 에서 회전하며 조정중 길이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회전식 쐐기판을 갖는 성형기계{FORMING MACHINE WITH A ROTATING WEDGED DISC}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서문에서 정의한 것처럼 공구로서 펀치 및 다이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성형부 및 상기 두개의 공구중 하나의 축선위치를 셋팅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성형기계에 관한 것이다.
공구, 즉 펀치 및/또는 다이의 초기 조정 또는 교환후, 성형부에서, 성형기계의 작업중 바람직한 방법으로 제품이 정확하게 성형되도록 여전히 공구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필요가 종종있다. 특히, 펀치 및 다이의 축선 상호위치는 성형중 정확해야 하며, 이것은 두 공구중 적어도 하나의 축선위치를 셋팅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공구는 성형중 강한 충격을 받기 쉬우므로, 상기 축선위치의 셋팅장치는 그에 따라 튼튼하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직으로 변위가능한 조정쐐기를 포함하는 셋팅장치가 지금까지 종종 사용되어 왔다. 각각의 성형부에 대해 그러한 셋팅장치를 구비한 성형기계가, 예를 들어, US-A-4 898 017 호에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경우에 셋팅스크루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조정쐐기는, 다른 판에 의해 미끄럼면에 고정된 압력판을 지지면으로 지지한다. 성형부에 있는 펀치는 조정쐐기의 타측판에서 다수의 매개요소에 의해 지지되며, 이 타측판이 경사면을 형성한다. 펀치의 축선위치는 조정쐐기의 경사면으로 인해 조정쐐기의 수직변위에 의해 조정된다.
그러나, 그러한 셋팅장치로 인한 문제점은, 조정쐐기에 의해 압력판에 생긴 압흔공간이 성형중 높은 충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압흡공간은, 한편으로, 조정쐐기의 조정을 손상시키며, 다른 한편, 조정쐐기가 변위후 압흡공간의 모서리를 넘어 눕게 되는 경우 굽힘파괴의 발생을 조장한다는 점에 있다. 또한, 압력판, 궁극적으로 미끄럼면에 대한 힘의 도입이 조정쐐기의 변위중 변경된다.
도 1a, 도 1b 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계의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의 셋팅장치의 완전행정에서의 개략적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a, 도 2b 는 평균행정에서 상기 셋팅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a, 도 3b 는 0-행정에서 상기 셋팅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 는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라 성형기계에 배치된 셋팅장치의 펀치측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는 두 개의 셋팅장치가 서로 나란히 배치된 성형기계의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성형기계의 셋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셋팅장치의 회전식 쐐기판의 드라이버를 구비한 치형 림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셋팅장치의 회전부의 드라이버를 구비한 치형 림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편평한 미끄럼면에 의해 연결된 회전부 및 압력부를 포함하는 압력부품을 구비한,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계에 배치된 셋팅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0 은 구면의 단면형태로 미끄럼면에 의해 연결된 회전부 및 압력부를 포함하는 압력부품을 갖는, 전형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계내에 배치된 셋팅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 은 원통형-엔벌로프의 단면형태로 미끄럼면에 의해 연결된 단면(端面)부 및 이음부를 포함하는 회전부를 갖는, 전형적인 제 3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계내에 배치된 셋팅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 는 구면의 단면형태로 미끄럼면에 의해 연결된 단면(端面)부 및 이음부를 포함하는 회전부를 갖는, 전형적인 제 4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계내에 배치된 셋팅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성형기계에서 지금까지 상술한 공지의 셋팅장치의 단점의 입장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공구로서 펀치 및 다이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성형부 및 상기 두개의 공구중 하나의 축선위치를 셋팅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초기에 언급한 형태의 성형기계에 있어서, 조정쐐기의 조정중 모체에 대한 힘의 도입이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성형기계가 제공된다. 여기서, 표현된 모체는 특히 기계몸체, 압력판을 갖는 기계몸체, 프레스 미끄럼판, 또는 압력판을 갖는 프레스 미끄럼판으로 간주된다. 또한, 조정쐐기의 파괴위험이 바람직하게 회피된다. 피할 수 없는 압흡공간은 조정쐐기의 조정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 에서 정의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이 종속항으로 뒤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계는 공구로서 펀치 및 다이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성형부 및 상기 두개의 공구중 하나의 축선위치를 셋팅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모체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 조정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질은, 상기 조정쐐기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일측판에는 지지면을 구비하고 타측판에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회전식 쐐기판이며, 상기 장치는 경사면을 지지하는 단부면을 갖는 압력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부품의 단부면은, 회전식 쐐기판이 회전할 때, 상기 회전축선에 대해 편심적으로, 상기 회전식 쐐기판에 대해 변위되며, 이 과정에서 압력부품과 모체 사이의 축선거리가 변화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정쐐기는 조정중 회전하는 회전식 쐐기판이므로, 상기 지지면은 또한 모체위에서 회전하며 길이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는다. 그 결과, 조정쐐기의 조정중 모체에 대한 힘의 도입이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아 종래의 성형기계 보다 더욱 편리하다.
상기 지지면은 바람직하게 원형이며 회전식 쐐기판이 회전할 때 모체위에서 즉시 회전한다. 이것은 회전식 쐐기판이 성형중 발생 가능한 압흔공간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압흡공간의 모서리를 넘어 결코 눕지 않게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압흔공간에 의한 조정쐐기 조정의 손상 및 파손의 위험을 피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회전식 쐐기판에는 유리하게 치형 림이 배치되어, 이것을 통해 상기 회전식 쐐기판이 회전할 수 있다. 주변에서 치형 림에 의한 회전식 쐐기판의 구동으로 인해, 상기 지지면과 경사면이 구동요소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식 쐐기판을 각각의 조정위치에 구속시키기 위한 수단이 존재한다. 이것은 성형중 발생하는 높은 충격으로 인해 회전식 쐐기판의 우연한 회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면에 대한 경사면의 경사각도는 유리하게 10°이하이다. 따라서 상기 경사각도는 자체-고정을 위한 한계각도 보다 더 작으며, 그 결과 경사면상에서 단부면의 우연한 변위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압력부품은 바람직하게 단부면을 갖는 회전부, 및 제 1 미끄럼면에 의해 이 회전부에 연결되고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압력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식 쐐기판의 조정중, 단부면을 갖는 상기 회전부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으며, 반면에 상기 압력부는 축선으로만 변위되어, 그 결과 인접한 공구는 회전하지 않는다.
유리한 실시예의 변형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끄럼면은 볼록한 구면의 단면형태, 및 각각 이것에 보완적인 오목한 구면 단면의 형태를 갖는다. 이것은 회전식 쐐기판의 조정중 회전식 쐐기판에 대해 회전부가 절대적으로 회전할 필요가 없다는 잇점을 갖는다.
다른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는 단부면을 갖는 단부면 부분, 및 제 2 미끄럼면에 의해 이 단부면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미끄럼면 중 하나를 구비하는 이음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미끄럼면은 바람직하게 볼록한 원통형-엔벨로프(envelope) 또는 구면의 단면형태 및, 각각 이것에 보완적인 오목한 원통형-엔벨로프 또는 구면의 단면형태를 갖는다. 제 2 미끄럼면이 구면의 단면형태를 갖는경우, 회전식 쐐기판의 조정중 회전식 쐐기판에 대해 회전부가 절대적으로 회전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계는 유리하게 회전부 또는, 만약 존재한다면, 상기 회전식 쐐기판에 결합된 이음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이러한 수단은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 또는, 만약 존재한다면, 상기 이음부에 배치된 치형 림을 포함한다. 이것은 회전부 또는 이음부가 회전식 쐐기판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보장하며, 이 결과 압력부품이 경사지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으며 또는 회전식 쐐기판의 경사면에 대한 압력부품의 단부면의 정확한 지지가 유지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의 변형에서, 압력부품과 회전식 쐐기판은 이젝터용 관통공 및/또는 곡선형 관통슬롯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압력부품에 또는 압력부품의 일부에, 예를 들어, 만약 존재한다면, 압력부와 아마도 이음부에 중앙의 관통공이 존재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 회전식 쐐기판 및 아마도 압력부품의 다른 부분내 이젝터의 직경에 대해 확장된 곡선형 관통슬롯 또는 관통공이 존재하여, 이젝터에도 불구하고 회전식 쐐기판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구중 하나의 축선위치를 셋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계는 4개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사용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3b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에서, 공구로서 펀치 및 다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성형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계는, 공구중 하나의 축선위치를 셋팅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이 장치는 회전축선 (13) 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회전식 쐐기판 (1) 및 이 회전식 쐐기판 (1) 을 지지하는 압력부품 (3) 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의 일측판에는 모체를 지지하는 지지면 (11) 이 제공되고 타측판에는 경사면 (12) 이 제공된다. 상기 압력부품 (3) 은 경사면 (12) 을 회전축선 (13) 에 대해 편심적으로 지지하는 단부면 (31) 을 구비한다.
축선위치는 회전식 쐐기판 (1) 과 압력부품 (3) 을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되며, 그러는 동안 회전식 쐐기판 (1) 과 압력부품 (3) 이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여, 회전식 쐐기판 (1) 의 지지면 (11) 과 압력부품 (3) 의 단부면 (41) 은 그들의 방위 및 평행관계를 변경하지 않는다. 회전축선 (13) 에 관계된 회전식 쐐기판 (1) 및 회전축선 (42) 에 관계된 압력부품 (3) 은 둘다 성형기계에서의 배치에 의해서는 변위되지 않거나 또는 변위될 수 없으므로, 압력부품 (3) 의 단부면 (31) 은, 회전식 쐐기판 (1) 과 압력부품 (3) 이 회전할 때, 회전식 쐐기판의 회전축선 (13) 에 대해 편심적으로,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에 대해 변위된다.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셋팅장치를 관통하는 이젝터 (4), 관통공 (40) 을 갖는 압력부품 (3) 및 곡선형 관통슬롯 (15) 을 갖는 회전식 쐐기판 (1) 이 존재한다.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과 압력부품 (3) 이 회전할때, 상기 이젝터 (4) 와 관통공 (40) 은 그 자리에 머무르나, 상기 곡선형 관통슬롯 (15) 은 상기 이젝터 (4) 에 대해 변위된다. 상기 곡선형 관통슬롯 (15) 은 180°이하까지 회전한다.
도 1a 및 도 1b 는 완전행정 (av) 에서 곡선형 관통슬롯 (15) 의 일단에 이젝터 (4) 를 갖는 셋팅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회전식 쐐기판 (1) 과 압력부품 (3) 을 각각 화살표 A 및 C 에 따라 각각 90°식 회전시킴으로써, 도 2a 및 도 2b 에 따른 평균행정이 달성된다. 과정에서, 압력부품 (3) 의 단부면 (31) 은 회전식 쐐기판의 회전축선 (13) 에 편심적으로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에 대해 변위되며, 이것은 곡선형 관통슬롯 (15) 에 대한 압력부품 (3) 의 위치로부터 명확하게 알수있다. 상기 상대변위는 압력부품 (3) 아래의 회전식 쐐기판 (1) 의 회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과 압력부품 (3) 을 90°만큼 더 회전시킴으로써, 도 3a 및 도 3b 에 따른 0-행정 (a0) 이 달성되며, 이때 이젝터 (4) 는 곡선형 관통슬롯 (15) 의 타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행정은 회전식 쐐기판 (1) 및 압력부품 (3) 을 화살표 B 및 D 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대응하여 증가한다.
다음의 조건이 명세서에 추가로 가해진다. 도면을 명확하게 하기위해 도면에 도면부호가 포함되지만, 명세서에서 직접 관련되어 설명되지 않는다면, 그 도면부호는 선행 도면에서 설명된 부호이다.
도 4 내지 9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부품 (3) 은, 회전부 (30) 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압력부 (32) 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펀치-홀더 뚜겅을 구비한 펀치 홀더처럼 탈착가능한 뚜겅 (51) 을 구비한 장착부 (5) 에 배치된다. 고정요소 (6), 예를 들어 스크루, 압력부 (32) 에 의해 간접적으로 회전부 (30) 와 회전식 쐐기판 (1) 을 모체 (2) 의 방향으로 고정시킴으로써, 회전식 쐐기판 (1) 이 자신의 지지면 (11) 으로 모체에 대해 지지한다. 셋팅장치의 행정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요소 (6) 가 풀어지고 회전식 쐐기판 (1) 과 회전부 (30) 가 회전한 후에 다시 조여진다. 행정을 조정하는 중, 회전식 쐐기판 (1) 과 회전부 (30) 만이 회전하는 반면, 미끄럼면 (33,34) 에 의해 회전부 (30) 에 연결된 압력부 (32) 는 회전하지 않아, 그곳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 상기 공구는 회전하지 않는다.
도 9 에서, 0-행정에 있는 상태에 더하여, 완전행정에 있는 상태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회전식 쐐기판 (1) 의 지지면 (11) 은 원형이며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이 회전할 때 모체 (2) 위에서 즉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식 쐐기판은 성형중에 생산 가능한 압흔공간내에서 항상 회전하며, 압흔공간의 모서리를 넘어 결코 눕지 않게된다.
회전식 쐐기판 (1) 을 회전시키기 위해, 대략 180°의 각도에 걸쳐 신장하는 치형 림 (14) 이 회전식 쐐기판 (1) 위에 배치된다. 상기 치형 림 (14) 은 3개의 구동핀 (141) 에 의해 탈착가능한 방법으로 회전식 쐐기판 (1) 에 고정된 링 (140) 의 일부분이다.
지지면 (11) 에 대한 경사면 (12) 의 경사각도는 자체-고정을 위한 한계각도보다 더 작으며, 유리하게 10°이하 이어서, 경사면 (12) 상에서 단부면 (31) 의 우연한 변위가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 회전식 쐐기판 (1) 이 회전할 때, 회전부 (30) 가 그 회전식 쐐기판과 자동적으로 회전하지 않으나, 개별적으로 구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회전부 (30) 에는 대략 180°의 각도에 걸쳐 신장하는 치형 림 (39) 이 제공된다. 상기 치형 림 (39) 은 링 (390) 의 일부분이며, 이것에 구동못 (391) 이 스크루 (392) 에 의해 죄어진다. 한편, 상기 구동못 (391) 은 상기 치형 림 (39) 을 회전부 (30) 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며, 다른 한편, 구동못의 일부는 장착부 (5) 내의 곡선홈 (52) 에 위치한다. 상기 곡선홈 (52) 은 180°미만의 각도, 예를 들어 175°로 신장하여, 상기 홈의 단부가 구동못 (391) 의 멈추개로 작용하여 그 결과 회전이 한정된다.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및 회전부 (30) 는 두개의 피니언 (71,72) 에 의해 각각 구동되고, 동일한 축 (7) 상에 배치되어 치형 림 (14,39) 에 각각 맞물린다. 축 (7) 이 피니언 (72) 과 맞물려 있는 구동 피니언 (73) 에 의해 교대로 구동되어 모터-구동식 또는 핸드 공구, 예를 들어 직각 렌치로 작동될 수 있다. 회전식 쐐기판 (1) 과 회전부 (30) 를 각각 조정가능한 위치에 구속하기 위해, 피봇가능한 치형레버 (74) 가 장착부 (5) 에 부착되며, 이 피봇가능한 치형레버 (74) 는 구동 피니언 (73) 위의 스프링 (75) 에 의해 가압되어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구동 피니언 (73) 을 저지한다. 따라서 구동 피니언 (73) 을 작동시키기 전에, 예를 들어 핸드 공구로 상기 치형레버 (74) 를 밀거나 또는 구동 피니언 (73) 으로부터 당겨야 한다.
셋팅장치의 행정을 보여주기 위해, 행정스케일로 제공되는 지시다이얼 (76) 이 구동 피니언 (73) 앞에 부착된다. 그 위에서 구동 피니언 (73) 의 회전위치를 직접 읽을 수 있다. 행정스케일의 제로위치는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평균행정 위치에 해당한다.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계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다수의 성형부를 구비하며, 두개의 형성부 (91,92) 가 도 5 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성형부 (91,92) 에는 공구, 즉 펀치 또는 다이중 하나의 축선위치를 셋팅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전형적인 제 2 실시예 - 도 10
전형적인 제 2 실시예에서, 0-행정에서의 상태에 더하여, 완전행정에서의 상태가 다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면 (11), 경사면 (12) 및 치형 림 (14) 을 구비한 회전식 쐐기판 (1) 은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와 일치한다. 압력부품 (103) 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압력부 (132) 및, 치형 림 (139) 과 단부면 (131) 을 가진 회전부 (130) 로 구성된다.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와의 본절적인 차이점은, 압력부 (132) 에는 볼록한 구면의 단면형태로 미끄럼면 (133) 이 제공되며 회전부 (130) 에는 상기 미끄럼면 (133) 을 지지하고 이것에 상보적인 오목한 구면의 단면형태로 미끄럼면 (134) 이 제공된다는 사실로 구성된다. 구면의 단면형태인 이러한 두개의 미끄럼면 (133,134) 은 회전식 쐐기판 (1) 과 일치하여 회전부 (130) 가 회전할 필요가 없게 한다. 반대로, 상기 회전부 (130) 는 회전식 쐐기판 (1) 과 관계없이 구동될 수 있으며, 또는 심지어 회전구동이 완전히 불필요할 수도 있다.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행해진 설명이 전형적인 제 2 실시예의 나머지 부분에 일치하게 적용된다.
전형적인 제 3 실시예 - 도 11
전형적인 제 3 실시예에서는, 0-행정에서의 상태에 더하여, 완전행정에서의 상태가 다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면 (11), 경사면 (12) 및 치형 림 (14) 을 구비한 회전식 쐐기판 (1) 은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와 일치한다. 압력부품 (203) 은 편평한 제 1 미끄럼면 (233,234) 에 의해 각각 연결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압력부 (232) 및 회전부 (230) 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 (230) 는 제 2 미끄럼면 (237,238) 에 의해 각각 그곳에 연결된 단부면 (231) 과 이음부 (236), 및 제 1 미끄럼면 (234) 을 가지는 단부면 부분 (235) 을 포함한다. 단부면 부분의 구동을 위해, 상기 이음부 (236) 에는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의 치형 림 (39) 과 일치하는 치형 림 (239) 이 제공된다. 상기 제 2 미끄럼면 (237,238) 은 볼록한 원통형 엔벨로프의 단면형태, 및 각각 이것에 보완적인 오목한 원통형 엔벨로프의 단면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회전식 쐐기판 (1) 과 이음부 (236) 가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단부면 부분 (235) 은 이음부 (236) 에 의해 회전한다.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행해진 설명은 전형적인 제 3 실시예의 나머지 부분에 일치하게 적용된다.
전형적인 제 4 실시예 - 도 12
전형적인 제 4 실시예에서는, 0-행정에서의 상태에 더하여, 완전행정에서의 상태가 다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면 (11), 경사면 (12) 및 치형 림 (14) 을 구비한 회전식 쐐기판 (1) 은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와 일치한다. 압력부품 (303) 은 편평한 제 1 미끄럼면 (333,334) 에 의해 각각 연결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압력부 (332) 및 회전부 (330) 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 (330) 는 제 2 미끄럼면 (337,338) 에 의해 각각 그곳에 연결된 단부면 (331) 과 이음부 (336), 및 제 1 미끄럼면 (334) 을 가지는 단부면 부분 (335) 을 포함한다. 단부면 부분의 구동을 위해, 상기 이음부 (336) 에는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의 치형 림 (39) 과 일치하는 치형 림 (339) 이 제공된다. 전형적인 제 3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제 2 미끄럼면 (337,338) 은 여기서 볼록한 구면의 단면형태 및, 각각 이것에 보완적인 오목한 구면의 단면형태를 갖는다. 구면의 단면형태인 이러한 두개의 미끄럼면 (337,338) 은 회전식 쐐기판 (1) 과 일치하여 이음부 (336) 가 회전할 필요가 없게 한다. 반대로, 상기 이음부 (336) 는 회전식 쐐기판 (1) 과 관계없이 구동될 수 있으며, 또는 심지어 회전구동이 완전히 불필요할 수도 있다.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행해진 설명이 전형적인 제 4 실시예의 나머지 부분에 일치하게 적용된다.
공구의 축선위치를 셋팅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상술한 성형기계에 대해 더 많은 디자인의 변형이 실현될 수 있다. 다음은 여기서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 원칙적으로, 압력부품 (3,103,203 또는 303) 이 고정위치에서 축선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식 쐐기판 (1) 이 모체 (2) 와 함께 축선으로 변위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 압력부 (32,132,232 또는 332) 는 모든 경우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필요가 없다. 연관된 공구가 회전할 수 있다면, 상기 압력부 (32,132,232 또는 332) 는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이것은, 예를 들어 회전부 (30) 또는 이음부 (236 또는 336) 를 갖는 한 부품내에서 구성될 수 있다.
- 회전부 (30 또는 130) 와 치형 림 (39 또는 139) 은 각각, 회전부 (30;130) 를 장착부 (5) 에 남아있는 치형 림 (39;139) 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다시 상기 치형 림 (39;139) 으로 밀수 있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장치를 수선할 필요가 없다면 회전부 (30;130) 를 제거하자마자 축선위치를 셋팅하는 장치의 구동장치가 장착부 (5) 에 남아있을 수 있다.
- 장착부 (5) 는 조정방향에서 다수의 부품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다시말해, 예를 들어, 장착부는 압력부 (32;132;232;332) 를 장착하는 부분 및 회전식 쐐기판 (1) 과 회전부 (30;130;230;330) 를 장착하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Claims (10)

  1. 공구로서 펀치 및 다이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성형부 (91,92) 및 상기 두개의 공구중 하나의 축선위치를 셋팅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모체 (2) 를 지지하는 지지면 (11) 을 갖는 조정쐐기 (1) 를 포함하는 성형기계에 있어서,
    상기 조정쐐기는, 회전축선 (13) 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일측판에는 상기 지지면 (11) 을 구비하고 타측판에는 경사면 (12) 을 구비하는 회전식 쐐기판 (1) 이며, 상기 장치는 경사면 (12) 을 지지하는 단부면 (31;131;231;331) 을 갖는 압력부품 (3;103;203;303) 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부품의 단부면은, 회전식 쐐기판 (1) 이 회전할 때, 상기 회전축선 (13) 에 대해 편심적으로,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에 대해 변위되며, 이 과정에서 압력부품 (3;103;203;303) 과 모체 (2) 사이의 축선거리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 (11) 은 원형이며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이 회전할 때 상기 모체 (2) 위에서 즉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위에 치형 림 (14) 이 배치되며, 이 치형 림에 의해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이 회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회전식 쐐기판 (1) 을 각각의 조정위치에 구속하기 위한 수단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 (11) 에 대한 상기 경사면 (12) 의 경사각도가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부품 (3;103;203;303) 은 단부면 (31;131;231;331) 을 갖는 회전부 (30;130;230;330), 및 제 1 미끄럼면 (33,34;133,134;233,234;333,334) 에 의해 이 회전부에 연결되고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압력부 (32;132;232;3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끄럼면 (133,134) 은 볼록한 구면의 단면형태, 및 각각 이것에 상보적인 오목한 구면의 단면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 (230;330) 는 단부면 (231;331) 을 갖는 단부면 부분 (235;335), 및 제 2 미끄럼면 (237,238;337,338) 에 의해 이 단부면 부분에 연결되고 제 1 미끄럼면 (234;334) 중 하나를 구비하는 이음부 (236;33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미끄럼면 (237,238;337,338) 은 볼록한 원통형-엔벨로프(envelope) 또는 구면의 단면형태 및, 각각, 이것에 상보적인 오목한 원통형-엔벨로프 또는 구면의 단면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계.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계는 회전부 (30;130) 또는, 만약 존재한다면,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에 결합된 이음부 (236;336) 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이러한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 (30;130) 또는, 만약 존재한다면, 상기 이음부 (236;336) 에 배치된 치형 림 (39;139;239;33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계.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부품 (3;103;203;303) 및 상기 회전식 쐐기판 (1) 은 이젝터 (4) 용 관통공 (40) 및/또는 곡선형 관통슬롯 (15)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계.
KR10-2002-7017039A 2000-08-02 2001-07-17 회전식 쐐기판을 갖는 성형기계 KR100489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5252000 2000-08-02
CH1525/00 2000-08-02
PCT/CH2001/000444 WO2002009898A1 (de) 2000-08-02 2001-07-17 Umformmaschine mit drehkeilschei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222A KR20030036222A (ko) 2003-05-09
KR100489493B1 true KR100489493B1 (ko) 2005-05-16

Family

ID=456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039A KR100489493B1 (ko) 2000-08-02 2001-07-17 회전식 쐐기판을 갖는 성형기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826946B2 (ko)
EP (1) EP1305125B1 (ko)
JP (1) JP3764723B2 (ko)
KR (1) KR100489493B1 (ko)
CN (1) CN1197670C (ko)
AT (1) ATE290444T1 (ko)
AU (1) AU2001268891A1 (ko)
CZ (1) CZ296568B6 (ko)
DE (1) DE50105548D1 (ko)
EA (1) EA003987B1 (ko)
ES (1) ES2237577T3 (ko)
TW (1) TW514571B (ko)
UA (1) UA72616C2 (ko)
WO (1) WO2002009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0722B3 (de) 2003-01-11 2004-04-08 Johann Anderl Werkzeugführungsvorrichtung
JP2006055866A (ja) * 2004-08-18 2006-03-02 Hoden Seimitsu Kako Kenkyusho Ltd 電動プレス装置
US7779665B2 (en) * 2006-10-30 2010-08-24 Wilson Tool International Inc. Press brake die holder technology
US7874194B2 (en) * 2007-03-09 2011-01-25 Wilson Tool International Inc. Die holder technology for metal-fabricating press
US20090320550A1 (en) * 2008-06-27 2009-12-31 Lee Brian J Anti-Vibration Die Holder Technology for Fabricating Press
CN101972833A (zh) * 2010-09-29 2011-02-16 曾奇夫 一种模具装置
JP5987784B2 (ja) * 2013-05-29 2016-09-0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プレス金型
IT201600108912A1 (it) * 2016-10-27 2018-04-27 Desmet Ballestra S P A In Breve Ballestra S P A Stampo di una apparecchiatura di stampaggio per saponi e simili e relativa apparecchiatura di stampaggio
CN106424511B (zh) * 2016-11-28 2018-03-13 南京汽车锻造有限公司 一种平锻机凸模新型夹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91325B1 (ko) * 1974-05-22 1977-02-28
US3889515A (en) * 1974-07-22 1975-06-17 Nat Machinery Co Wedging structure for presses or the like
PL86054B1 (ko) 1974-07-29 1976-05-31
CA1230517A (en) * 1982-08-25 1987-12-22 Ladislao W. Putkowski Press with wedge
DE3241046A1 (de) * 1982-11-06 1984-05-10 Trumpf GmbH & Co, 7257 Ditzingen Stanzmaschine, deren stanzstempel als mehrfachstempel ausgebildet ist
JPH0688079B2 (ja) * 1986-03-25 1994-11-09 株式会社アマダ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クラウニング装置
US4790173A (en) * 1987-05-29 1988-12-13 Amp Incorporated Shut height adjustment means in pressing apparatus
US4918956A (en) * 1987-08-27 1990-04-24 The Minster Machine Company Monitorable and compensatable feedback tool and control system for a press using a solid tool backup element
FR2626802B1 (fr) * 1988-02-05 1993-12-17 Colly Ets A Table a bombe reglable pour presse plieuse, marbre ou autre similaire
US4898015A (en) * 1988-07-18 1990-02-06 Houston David L Press brake deflection compensating device
JPH0755398B2 (ja) * 1992-04-28 1995-06-14 株式会社栗本鐵工所 鍛造プレスのスライド調整装置
JP3257235B2 (ja) * 1994-03-30 2002-0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斜板式プレ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96568B6 (cs) 2006-04-12
TW514571B (en) 2002-12-21
CZ2003304A3 (cs) 2003-08-13
DE50105548D1 (de) 2005-04-14
CN1197670C (zh) 2005-04-20
UA72616C2 (uk) 2005-03-15
JP3764723B2 (ja) 2006-04-12
CN1438924A (zh) 2003-08-27
EA003987B1 (ru) 2003-12-25
ATE290444T1 (de) 2005-03-15
EA200201285A1 (ru) 2003-06-26
EP1305125B1 (de) 2005-03-09
US6826946B2 (en) 2004-12-07
WO2002009898A1 (de) 2002-02-07
EP1305125A1 (de) 2003-05-02
KR20030036222A (ko) 2003-05-09
AU2001268891A1 (en) 2002-02-13
ES2237577T3 (es) 2005-08-01
US20030167820A1 (en) 2003-09-11
JP2004504946A (ja) 200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493B1 (ko) 회전식 쐐기판을 갖는 성형기계
JPH0825089B2 (ja) カッター・ヘッド
JPH10146705A (ja) 工作機械のためのカッター位置調節機構
EP1123766B1 (en) Tool assembly
US4274332A (en) Die changing apparatus for press
EP1225997B1 (en) Adjustment of cutting inserts in a cutting tool
JPH0683940B2 (ja) 円筒状ワーククランプ装置
PT1316411E (pt) Rotor para uma prensa para comprimidos
JP2009262307A (ja) ボーリング工具
JPS6319282B2 (ko)
US20030217451A1 (en) Device for removably coupling two coupling elements and equipment for pre-adjusting machine tools comprising this device
RU2092266C1 (ru) Инструментальное кольц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заготовок в станке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головок на удлиненных заготовках, например гвоздей, способ его выполнения и держатель инструментального кольца
US20070166117A1 (en) Gyration balancing calibration free high-speed boring tool
KR101527216B1 (ko) 심압대의 편심 조정 장치
JP2003170324A (ja) 自動工具交換機の工具位置決め構造及び工具位置決め方法
KR0149786B1 (ko) 터릿에 장착되는 내경공구홀더의 위치조정장치
KR200362763Y1 (ko) 단조 성형기용 홀더
WO2023188120A1 (ja) 切削用工具
DK163111B (da) Vaerktoejsringpar og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heraf samt holdevaerktoej til brug ved udoevelse af fremgangsmaaden
EP1034904B1 (en) Veneer cutting machine with nose bar device
TW202412988A (zh) 自行車前叉座之加工治具及使用該治具的加工方法
JPH1177469A (ja) カムシャフト加工機の位相位置決め装置
KR100393729B1 (ko) 공작기계의 수평스핀들 테이퍼부 보정장치
JPH08332522A (ja) 曲げ金型装置及び曲げ加工機
JPH11262940A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シリンダ位置決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