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873B1 -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873B1
KR100488873B1 KR10-2002-0046939A KR20020046939A KR100488873B1 KR 100488873 B1 KR100488873 B1 KR 100488873B1 KR 20020046939 A KR20020046939 A KR 20020046939A KR 100488873 B1 KR100488873 B1 KR 100488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mount
oil supply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852A (ko
Inventor
박두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87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2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of the values of a single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처리장치가 연료 캡 스위치 및 연료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연료 주입 및 연료 주입 완료 여부를 판단한 후 급유횟수, 급유량 및 급유날짜를 자동으로 계산 및 저장하고, 이러한 급유정보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유시마다 매번 운전자가 직접 급유날짜와 급유량을 확인하여 별도로 기록 또는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차량의 운행조건에 관계없이 급유량을 정확히 측정 및 기록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System for recording and displaying oil supply information automatical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본 발명은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처리장치가 연료 캡 스위치 및 연료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연료 주입 및 연료 주입 완료 여부를 판단한 후 급유횟수, 급유량 및 급유날짜를 자동으로 계산 및 저장하고, 이러한 급유정보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유시마다 매번 운전자가 직접 급유날짜와 급유량을 확인하여 별도로 기록 또는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차량의 운행조건에 관계없이 급유량을 정확히 측정 및 기록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계부라 함은 집안의 살림정보를 기록하는 가계부와 같이 차량의 관리 및 주행유지를 위하여 부품을 교환한 내용과 정비한 내용 등을 기록하고 주유 및 각종 오일 등을 교환한 정보를 기록하여 차량의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고자 하는 기록장부를 말한다.
근래에는 연료의 가격이 비싸지면서 연비에 대한 인식과 연료비용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는 운전자가 늘면서 급유정보를 기록하는 차계부의 이용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유시 급유량 및 가격을 운전자가 직접 입력하면 그 정보를 이용하여 연비를 비롯한 각종 차량운행정보를 계산/표시하여 주는 전자 차계부나, 연료 게이지를 이용하여 연료 변동량을 읽은 후 주유량을 계산/기록하는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계부에서는 주유시마다 매번 운전자가 직접 급유날짜와 급유량을 확인하여 별도로 기록 또는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바, 그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귀찮아서 차계부를 사용하지 않는 운전자가 대다수이고, 결국 차계부의 효율적 이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단순히 연료 게이지를 이용하여 연료 변동량만을 읽은 후 주유량을 계산/기록하는 장치에서는 차량 운행 중 언덕길 또는 급회전 주행시와 같은 연료량의 변동이 심한 조건에서 오작동이 발생하여 정확한 주유량을 계산/기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중앙처리장치가 연료 캡 스위치 및 연료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연료 주입 및 연료 주입 완료 여부를 판단한 후 급유횟수, 급유량 및 급유날짜를 자동으로 계산 및 저장하고, 이러한 급유정보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유시마다 매번 운전자가 직접 급유날짜와 급유량을 확인하여 별도로 기록 또는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차량의 운행조건에 관계없이 급유량을 정확히 측정 및 기록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는 연료 캡의 열림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연료 캡 스위치(10)와,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검출하여 검출값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연료센서(20)와, 급유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연료 캡 스위치(10) 및 연료센서(2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급유횟수, 급유량 및 급유날짜를 계산 및 저장하고 이들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중앙처리장치(40)는 연료 캡 스위치(10)로부터 연료 캡 열림 신호가 입력되면 연료센서(20)로부터 입력된 이때의 연료량(FS)과 소정 시간 이후의 연료량(FT)을 비교하여 연료 변동량(FT - FS)이 제1기준값(A) 이상일 때 연료가 주입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연료 주입으로 판단되면 그 이후에는 주기적으로 연료량을 체크하되 연료 변동량(Fn - Fn-1)이 제2기준값(B) 이하일 때 연료 주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최종 연료량(Fn)과 연료 캡 열림 신호 입력시 최초 연료량(FS)의 차(Fn - FS)를 급유량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은 연료센서(10)로부터 연료량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연료 캡 스위치(20)로부터 연료 캡 열림 신호가 입력되면 이때의 연료량(FS)을 기억하는 단계와, 연료 캡 열림 신호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의 연료량(FT)과 연료 캡 열림 신호 입력시의 연료량(FS)간 변동량(FT - FS)을 계산하여 이것이 제1기준값(A)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연료 변동량(FT - FS)이 제1기준값(A) 이상이면 연료탱크 내에 연료가 주입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연료 변동량(Fn - Fn-1)을 계산한 후 이것이 제2기준값(B)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시간간격동안의 연료 변동량(Fn - Fn-1)이 제2기준값(B) 이하이면 연료 주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최종 연료량(Fn)과 연료 캡 열림 신호 입력시 최초 연료량(FS)의 차(Fn - FS)를 급유량으로 계산하는 단계와, 이 급유량을 급유횟수 및 급유날짜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급유횟수, 급유량 및 급유날짜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30)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는 연료 캡의 열림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연료 캡 스위치(10)와,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검출하여 검출값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연료센서(20)와, 급유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연료 캡 스위치(10) 및 연료센서(2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급유정보를 계산 및 저장하고 이 급유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4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요소 중, 연료 캡 스위치(10)는 급유자가 연료 급유를 위하여 연료주유구를 닫고 있는 연료 캡을 열게 되면 연료 캡의 열림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료 캡 스위치(10)로부터 출력된 연료 캡 열림을 나타내는 신호(이하, 연료 캡 열림 신호라 칭한다)는 이후 설명될 중앙처리장치(40)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연료센서(20)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검출하여 검출값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료센서(20)로부터 출력된 연료량을 나타내는 신호(이하, 연료량 신호라 칭한다)는 중앙처리장치(40)로 입력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각종 급유정보를 운전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중앙처리장치(40)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급유횟수, 급유량 및 급유날짜의 급유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40)는 연료 캡 스위치(10)와 연료센서(20)로부터 각각 출력된 연료 캡 열림 신호와 연료량 신호를 입력받아 급유횟수, 급유량을 계산, 기록함과 동시에 급유날짜를 인식하여 기록하고, 아울러 급유횟수, 급유량 및 급유날짜가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3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40)로는 차량에 기 장착되어 있는 트립 컴퓨터(trip computer)의 CPU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요소 외에, 본 발명의 장치에는 중앙처리장치(40)의 입력부로서 이 중앙처리장치(40)의 작동모드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부(50)가 구비되며, 이 스위치부(50)의 일 실시예를 디스플레이부(30)와 함께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일 실시예와 같이, 중앙처리장치(40)로 트립 컴퓨터의 CPU가 이용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50)는 제1모드 스위치(52), 제2모드 스위치(54) 및 리셋 스위치(56)가 구비된 것으로 실시 가능하다.
상기 스위치부(50)의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제1모드 스위치(52)는 주행가능거리, 평균연비, 주행시간, 급유정보 등의 트립 컴퓨터 작동모드 중 하나를 선택, 전환하는데 이용하는 스위치이고, 제2모드 스위치(54)는 급유정보의 작동모드 중 이전의 급유정보를 보여줄 수 있도록 표시상태를 전환시키는 스위치이며, 리셋 스위치(56)는 트립 컴퓨터에 의한 표시상태를 리셋시켜주는 스위치이다.
여기서, 상기 제2모드 스위치(54)를 한 번 누룰 때마다 가장 최근의 급유정보부터 역순으로 이전의 급유정보가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고, 이 디스플레이부(30)에는 급유정보와 함께 해당 급유정보의 급유순번이 표시된다.
상기 스위치부(50)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모드 스위치(52), 제2모드 스위치(54) 및 리셋 스위치(56)로 구성됨은 스위치부의 구성예를 든 것일 뿐, 본 발명에서 스위치부가 도 1에 도시한 구성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위치 기능을 추가하여, 중앙처리장치에 저장된 과거의 급유정보를 통해 임의 기간 내에 누적된 총급유량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부의 작동은 스위치 조작신호를 입력받은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구체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의 플로우 차트에서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연료 급유시 급유정보의 자동 기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먼저, 중앙처리장치(또는 트립 컴퓨터) 및 각 구성요소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연료센서(20)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검출하여 검출값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고, 중앙처리장치(40)는 연료센서(20)로부터 출력된 연료량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만일, 중앙처리장치(또는 트립 컴퓨터) 및 각 구성요소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급유자가 연료 급유를 위하여 연료 캡을 열게 되면, 연료 캡 스위치(10)가 연료 캡의 열림을 감지하는 동시에 연료 캡 열림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연료 캡 열림 신호는 중앙처리장치(40)로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연료 캡 스위치(10)로부터 연료 캡 열림 신호를 입력받은 중앙처리장치(40)는 연료 캡 열림 신호 입력시 연료센서(20)로부터 입력받은 연료량(FS)과 이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 연료센서(20)로부터 입력받은 연료량(FT)을 비교하여, 상기 시간동안의 연료 변동량(FT - FS)이 기준값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연료의 주입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중앙처리장치(40)는 연료 캡 열림 신호가 입력된 시간에 연료센서(20)로부터 입력받은 연료량(FS)을 기억하고, 이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연료센서(20)로부터 입력받은 연료량(FT)에서 연료 캡 열림 신호 입력시 기억된 연료량(FS)을 뺀 값을 계산하여, 이 차(FT - FS)가 미리 설정 입력된 제1기준값(A) 이상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계산되어진 소정 시간 이후의 연료 변동량(FT - FS)이 상기 제1기준값(A) 이상을 만족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40)는 연료 캡이 열린 이후 연료탱크 내에 연료가 주입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실시예로서, 상기 중앙처리장치(40)가 연료탱크 내에 연료가 주입되는 것을 판단하기 위해 연료 변동량(FT - FS)을 체크하게 되는 시간은 연료 캡 열림 신호가 입력된 후 20 ∼ 30초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40)는 연료탱크 내에 연료가 주입되는 것으로 판단한 이후에는 연료센서(20)로부터 입력받은 연료량을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체크하되, 현재의 연료량(Fn)을 바로 이전 체크시의 연료량(Fn-1)과 비교하여, 그 시간간격동안의 연료 변동량(Fn-1 - Fn)이 기준값 이하인가를 판단하여 연료 주입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중앙처리장치(40)는 연료탱크 내에 연료가 주입되는 것으로 판단한 이후에는 연료센서(20)로부터 입력받는 연료량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기억함과 동시에 현재 연료량(Fn)에서 바로 이전 주기의 연료량(Fn-1)을 뺀 값을 계산하여, 이 차(Fn - Fn-1)가 미리 설정 입력된 제2기준값(B) 이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주기동안의 연료 변동량(Fn - Fn-1)이 상기 제2기준값(B) 이하를 만족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40)는 급유자가 연료 주입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실시예로서, 상기 중앙처리장치(40)가 연료 주입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연료 변동량(Fn - Fn-1)을 체크하게 되는 시간간격, 즉 연료 변동량 체크 주기는 1 ∼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앙처리장치(40)가 연료 주입의 완료를 판단한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입력받은 연료량(Fn)과 연료 캡 열림 신호 입력시 최초 기억된 연료량(FS)의 차(Fn-FS)를 급유량으로 인식하여 저장하는 동시에, 본 급유가 몇 번째 급유인지를 판단하여 급유횟수를 저장하고, 현재 날짜를 저장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저장한 급유정보, 즉 급유횟수, 급유량 및 급유날짜를 운전자가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40)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급유횟수, 급유량 및 급유날짜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30)를 제어하게 된다.
이후, 상기 중앙처리장치(40)에 기록된 과거의 급유정보를 열람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제1모드 스위치(52)를 눌러 급유정보의 작동모드를 선택한 후, 제2모드 스위치(54)를 눌러 급유순번을 선택하면, 해당 급유순번의 급유정보가 중앙처리장치(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중앙처리장치가 연료 캡 스위치 및 연료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연료 주입 및 연료 주입 완료 여부를 판단한 후 급유횟수, 급유량 및 급유날짜를 자동으로 계산 및 저장하고, 이러한 급유정보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유시마다 매번 운전자가 직접 급유날짜와 급유량을 확인하여 별도로 기록 또는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결국 차계부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해진다.
특히, 연료 캡 스위치 및 연료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연료 주입 및 그 완료 여부를 정확히 감지하여 급유량을 계산함으로써, 연료량 변동이 심한 조건에서 발생하던 오작동 문제점 해소 및 정확한 급유량 측정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 캡 스위치 20 : 연료센서
30 : 디스플레이부 40 : 중앙처리장치
50 : 스위치부

Claims (3)

  1. 삭제
  2. 연료 캡의 열림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연료 캡 스위치(10)와,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검출하여 검출값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연료센서(20)와, 급유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연료 캡 스위치(10) 및 연료센서(2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급유횟수, 급유량 및 급유날짜를 계산 및 저장하고 이들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40)를 포함하는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40)는 연료 캡 스위치(10)로부터 연료 캡 열림 신호가 입력되면 연료센서(20)로부터 입력된 이때의 연료량(FS)과 소정 시간 이후의 연료량(FT)을 비교하여 연료 변동량(FT - FS)이 제1기준값(A) 이상일 때 연료가 주입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연료 주입으로 판단되면 그 이후에는 주기적으로 연료량을 체크하되 연료 변동량(Fn - Fn-1)이 제2기준값(B) 이하일 때 연료 주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최종 연료량(Fn)과 연료 캡 열림 신호 입력시 최초 연료량(FS)의 차(Fn - FS)를 급유량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
  3. 연료센서(10)로부터 연료량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연료 캡 스위치(20)로부터 연료 캡 열림 신호가 입력되면 이때의 연료량(FS)을 기억하는 단계와, 연료 캡 열림 신호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의 연료량(FT)과 연료 캡 열림 신호 입력시의 연료량(FS)간 변동량(FT - FS)을 계산하여 이것이 제1기준값(A)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연료 변동량(FT - FS)이 제1기준값(A) 이상이면 연료탱크 내에 연료가 주입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연료 변동량(Fn - Fn-1)을 계산한 후 이것이 제2기준값(B)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시간간격동안의 연료 변동량(Fn - Fn-1)이 제2기준값(B) 이하이면 연료 주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최종 연료량(Fn)과 연료 캡 열림 신호 입력시 최초 연료량(FS)의 차(Fn - FS)를 급유량으로 계산하는 단계와, 이 급유량을 급유횟수 및 급유날짜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급유횟수, 급유량 및 급유날짜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30)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2-0046939A 2002-08-08 2002-08-08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488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939A KR100488873B1 (ko) 2002-08-08 2002-08-08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939A KR100488873B1 (ko) 2002-08-08 2002-08-08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852A KR20040013852A (ko) 2004-02-14
KR100488873B1 true KR100488873B1 (ko) 2005-05-11

Family

ID=3732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939A KR100488873B1 (ko) 2002-08-08 2002-08-08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072B1 (ko) * 2003-01-15 2006-03-30 (주)포리코리아 브레이크액 주입장비의 모니터링 및 데이터 저장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2316A (ja) * 1988-11-22 1990-05-3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Ofケーブル線路の給油槽油量自動測定記録方法
KR950009560U (ko) * 1993-09-21 1995-04-21 석유 팬히터의 유량감지장치
KR970075854A (ko) * 1996-05-31 1997-12-10 양재신 초음파 변위센서를 이용한 연료량 계측장치
KR19990026610U (ko) * 1997-12-19 1999-07-15 정몽규 주유 및 오일이 교환된 정보를 자동 기록하는 차계부 장치
KR20030050326A (ko) * 2001-12-18 2003-06-25 정보영 디지털 연료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2316A (ja) * 1988-11-22 1990-05-3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Ofケーブル線路の給油槽油量自動測定記録方法
KR950009560U (ko) * 1993-09-21 1995-04-21 석유 팬히터의 유량감지장치
KR970075854A (ko) * 1996-05-31 1997-12-10 양재신 초음파 변위센서를 이용한 연료량 계측장치
KR19990026610U (ko) * 1997-12-19 1999-07-15 정몽규 주유 및 오일이 교환된 정보를 자동 기록하는 차계부 장치
KR20030050326A (ko) * 2001-12-18 2003-06-25 정보영 디지털 연료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852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5561B2 (en) Vehicle evaluation method, vehicle evaluation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5006829A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a vehicle
US20080319605A1 (en) Fuel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EP1546024A1 (en) Fuel thef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3528707B2 (ja) 車両の燃費計測装置
US5463373A (en) Device for verifying disturbances in signal transmission in motor vehicles
JPH0260965B2 (ko)
KR20050027721A (ko)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413552B1 (ko) 차량내제어장치의데이터검출,기억및출력장치
KR100737764B1 (ko) 자동차 관리장치
KR100488873B1 (ko) 자동차 급유정보 자동 기록 및 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
CN103539056A (zh) 一种加油量监控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475684B1 (ko) 연료 탱크 레벨 센서의 고장 진단 방법
JP5608429B2 (ja) 運行状態解析方法
CN111824014B (zh) 一种车载12v蓄电池低电量提示方法及其系统、车辆
US6009361A (en) Method for the recognition of oil top-up quantities
CN106094791A (zh) 车载控制器及其故障时间获取方法、诊断系统和汽车
KR101181123B1 (ko) 차량의 연료탱크 주유 재인식 방법
KR20150091498A (ko) 자동차에 의해 주행되어 자동차에 표시되는 총 거리를 확인하는 방법
US5991905A (en) Process and device for testing a memory element
JP5437787B2 (ja) 車両用出力装置
JP2023057009A (ja) 燃料量算出装置、燃費算出装置、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10055157A (ko) 자동차의 연비 산출 자동표시장치 및 그에 따른 표시방법
KR100579647B1 (ko) 자동차의 연비측정표시장치 및 연비측정표시방법
EP2362192B1 (en) Fuel economy calculation cor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