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595B1 -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및하천수처리공법 - Google Patents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및하천수처리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595B1
KR100487595B1 KR10-2002-0047821A KR20020047821A KR100487595B1 KR 100487595 B1 KR100487595 B1 KR 100487595B1 KR 20020047821 A KR20020047821 A KR 20020047821A KR 100487595 B1 KR100487595 B1 KR 100487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water
water
aerobic oxidation
stream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538A (ko
Inventor
여인봉
Original Assignee
여인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인봉 filed Critical 여인봉
Priority to KR10-2002-0047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595B1/ko
Publication of KR20040015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및 하천수처리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는,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입도를 가지는 여재가 층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여재의 하측 및 상측에 처리대상 하천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천수가 하천수계내에 조성된 댐이나 보에 의해 확보된 수두차를 이용하여 자연유하식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처리대상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전단여과조와; 내부에 미생물 담체가 구비되고 상기 미생물 담체의 하측 및 상측에 처리대상 하천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단여과조의 하류측에 상기 하천수가 수두차에 의해 유동되게 배치되어 상기 전단여과조를 통과한 하천수의 미생물에 의한 산화분해반응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호기성산화조와;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층상으로 여재가 구비되고 상기 여재의 하측 및 상측에 유입부 및 유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하류측에 상기 하천수가 수두차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호기성산화조를 통과한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후단여과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부유물질의 여과를 통해 미생물의 산화분해작용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수두차에 의한 하천수의 유동으로 소모동력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및 하천수처리공법{EQUIPMENT AND METHOD OF RIVER WATER TREATMENT USING CARRIER-LESS CONTINUE PURIFICATION PROCESS}
본 발명은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및 하천수처리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물질의 여과를 통해 미생물의 산화분해작용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수두차에 의한 하천수의 유동으로 소모동력을 줄일 수 있고 슬러지의 반송없이 연속적인 수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및 하천수처리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하천의 수질 정화 공법으로는 직접적으로 하천의 자정능력을 향상시키기는 직접 정화방식과, 하천수를 별도의 분리된 처리구조를 가지는 처리시설을 이용하여 정화하는 분리방식이 있다.
직접 정화방식으로는 하천의 자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생식물을 이용하거나 부착 생물막을 제공하는 생물학적 방법과, 지하의 복류수를 끌어올려 하천수를 희석 정화하는 복류 정화법과, 하천폭을 확장하고 수심을 얕게 함으로써 물과 접촉하는 하상 면적을 크게 하여 하천의 정화능력을 증대시키는 박층류법 등이 있다.
분리방식으로는, 표면에 미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미생물접촉재를 이용하는 접촉재충진수로정화법과 , 여재로서 자갈을 이용하여 자갈 표면에 형성된 생물막에 오염된 물을 접촉시켜 유기물을 흡착시키고 미생물의 산화분해작용에 의해 정화하는 자갈접촉산화법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하천의 수질정화공법에 있어서는, 직접 정화방식의 경우 상대적으로 시공 및 운영이 용이하나 높은 정화효과를 기대하기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 있으며, 분리방식의 경우 넓은 장소가 소요되고 시설 및 유지 관리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 및 노력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물질의 여과를 통해 미생물의 산화분해작용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수두차에 의한 하천수의 유동으로 소모동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및 하천수처리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입도를 가지는 여재가 층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여재의 하측 및 상측에 처리대상 하천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천수가 하천수계내에 조성된 댐이나 보에 의해 확보된 수두차를 이용하여 자연유하식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처리대상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전단여과조와; 내부에 미생물 담체가 구비되고 상기 미생물 담체의 하측 및 상측에 처리대상 하천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단여과조의 하류측에 상기 하천수가 수두차에 의해 유동되게 배치되어 상기 전단여과조를 통과한 하천수의 미생물에 의한 산화분해반응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호기성산화조와;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층상으로 여재가 구비되고 상기 여재의 하측 및 상측에 유입부 및 유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하류측에 상기 하천수가 수두차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호기성산화조를 통과한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후단여과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자연유하에 의한 유동에 필요한 에너지는 유입구측 바닥에서 수면까지의 높이(hr)와 방류구측에서 바닥에서 수면까지의 높이(hr')의 수두차(hr-hr')에 의해 이루어지며 유입구측의 높은 수두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천내에 별도의 댐이나 보를 설치할 수 있다.
삭제
상기 호기성산화조는,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각 연부로부터 기립되게 배치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벽과, 상기 외벽의 내측에 상기 외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외벽과의 사이에 하천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미생물 담체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벽과, 상기 내벽을 관통하여 상기 하천수의 수용공간의 하천수가 상기 미생물 담체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웨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어는 유동하는 수류에서 탈리된 오니와 부유물질은 침강되고 분리된 물만 내벽의 수용공간으로 들어가도록 목적하여 설치한 장치로 단면의 각 혹은 면적 그리고 모양 등을 고려한 수리수문학적 상수(weir coefficient)로 표현된다.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저판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미생물 담체를 지지하는 담체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담체지지판과 상기 저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천수중에 공기를 공급하는 폭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하천수 수용공간의 저부에 침전되는 오니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입도를 가지고 층상으로 배열되는 여재가 구비되고 하부의 유입부 및 상부의 유출부가 구비된 전단여과조 및 후단여과조와, 내부에 미생물 담체가 수용되고 하부의 유입부와 상부의 유출부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호기성산화조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와; 처리대상 하천수가 수두차에 의해 자연유하식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류측에 전단여과조를 배치하고, 상기 전단여과조의 하류측에 복수의 호기성산화조를 배치하고,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하류측에 상기 후단여과조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전단여과조에서 처리대상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호기성산화조에서 상기 여과된 하천수를 미생물을 통해 산화반응 시키는 단계와; 상기 미생물을 통해 산화 반응된 하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하류측에서 상기 산화반응된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공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처리대상 하천수가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상기 미생물 담체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하천수를 폭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내부에서 상기 미생물을 통해 산화반응된 하천수중의 탈리된 오니를 침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침전된 오니를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1호기성산화조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의 모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는, 처리 대상 하천수(11)의 흐름방향을 따라 상류측에 배치되어 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전단여과조(20)와, 전단여과조(20)의 하류측에 각각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여과된 처리대상 하천수(11)를 미생물 반응하도록 하는 제1 내지 제3호기성산화조(30a~30c)와, 제3호기성산화조(30c)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처리 대상 하천수(11)중의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후단여과조(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호기성산화조(30a~30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여과조(20) 및 후단여과조(60) 사이에 하천수(11)의 유량, 오염부하량 및 처리속도 등을 고려하여 상호 직렬적으로 구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병렬적으로 연결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처리될 하천수(11)가 급수구 즉, 보(10)의 바닥에서 수면까지의 높이(hr)와 방류구측에서 바닥에서 수면까지의 높이(hr')의 수두차(hr-hr')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자연유하방식에 의해 유동됨과 아울러 각 조의 내부에서는 상향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단여과조(20)와, 제1 내지 제3호기성산화조(30a~30c)와, 후단여과조(60)의 각 하부영역에는 유입부(21a,31a,61a)가 형성되어 있고, 각 상부영역에는 유출부(21b,31b,6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유입부(21a,31a,61a) 및 유출부(21b,31b,61b)에는 하천수(11)가 유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관(15a~15f)의 각 일단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전단여과조(20)의 상류측에는 자연유하방식에 의해 처리대상 하천수(11)가 유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게 보(10)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10)의 일측에는 처리대상 하천수(11)를 전단여과조(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전단여과조(20)와 유입부(21a)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 연결관(15a)의 타단이 연결배치되어 있다.
전단여과조(20)의 하부 일측에는 처리대상 하천수(11)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부(2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일측에는 유출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전단여과조(20)의 내부에는 하천수(11)중의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여재(23)가 상하방향을 따라 하부영역으로 향할수록 입도가 크도록 층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호기성산화조(30a~30c)는 상호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1호기성산화조(30a)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호기성산화조(30a)는, 소정형상을 가지는 예를 들면 사각판상의 저판부(32)와, 저판부(32)의 연부에 기립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외벽(33)과,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외벽(33)의 각 내측에 각 외벽(33)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고 외벽(33)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호기성 조건하에서 표면에 유기물을 산화분해작용(또는 산화분해반응)하는 미생물이 막을 형성하여 서식하게 되는 미생물 담체(37)가 충전/수용되는 미생물 담체 수용공간(39a)을 형성함과 아울러 외측에 미생물 담체(37)를 통과한 하천수(11)가 수용되는 하천수 수용공간(39b)을 형성하는 내벽(35)과, 저판부(32)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미생물 담체(37)를 지지하는 담체지지판(41)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미생물 담체(37)는 미생물 활착력이 큰 것으로 산과 알칼리 등에 내성이 강하고 기계적 강도가 강한 세라믹 또는 합성수지부재 또는 쇄석, 자갈, 나무껍질, 대나무 등의 천연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1호기성산화조(30a)의 일측 하부영역에는 처리대상 하천수(11)의 흐름방향을 따라 상류측으로부터 처리대상 하천수(11)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부(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3)의 일측 상부영역에는 저부영역으로부터 상향 유동된 하천수(11)가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제1호기성산화조(30a)의 일측에는 처리대상 하천수(11)를 폭기시킬 수 있도록 폭기장치(45)가 설치되어 있다. 폭기장치(45)는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의 노즐공(47)을 구비하여 담체지지판(41)의 하측에 배치되는 노즐(46)과, 노즐(46)과 상호 연통되어 노즐(46)에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어(48)를 구비하고 있다.
담체지지판(41)에는 미생물 담체(37)를 하측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공기 및 물이 통과하여 상향 유동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관통공(4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벽(35)은 상향 유동되어 미생물 담체(37)를 경유한 처리대상 하천수(11)가 내벽(35)과 외벽(33)사이에 형성된 하천수 수용공간(39b)으로 월류할 수 있도록 외벽(33)에 비해 축소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벽(35)에는 미생물 담체(37)로부터 탈리되어 상향 유동되는 하천수(11)와 함께 하천수 수용공간(39b)으로 유동된 탈리오니가 침전/제거된 하천수(11)가 미생물 담체 수용공간(39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복수의 웨어(36)가 형성되어 있다.
하천수 수용공간(39b)의 하부영역에는 침전된 오니(49)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오니배출펌프(5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후단여과조(60)는 내부에 여재(63)가 수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여재(63)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저판부(62)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고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관통공(66)이 형성된 여재지지판(65)이 구비되어 있다. 후단여과조(60)에는 처리대상 하천수(11)의 산소용존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폭기장치(67)가 구비되어 있으며, 폭기장치(67)는 여재지지판(65)의 하측에 배치되는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68)과 후단여과조(60)의 외부에 배치되어 노즐(68)에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어(69)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처리될 하천수(11)는 보(10)의 하류측으로 연장된 연결관(15a)을 통해 전단여과조(20)의 유입부(21a)로 유입되고, 전단여과조(20)의 내부에서 상향 유동된다. 상향 유동되는 하천수(11)는 여재(23)를 통과하면서 수중의 부유물질이 여과된다. 여재(23)를 통과한 하천수(11)는 연결관(15b)을 통해 제1호기성산화조(30a)로 유입되고 노즐(46)을 통해 공급된 공기와 접촉되어 용존산소량이 증가된 상태로 담체지지판(41)을 통과하여 미생물 담체 수용공간(39a)으로 유입된다.
미생물 담체 수용공간(39a)을 통과하면서 미생물의 산화분해작용에 의해 오염원의 분해가 이루어지고, 상부영역으로 유동된 하천수(11)는 내벽(35)을 넘어 내벽(35)과 외벽(33)사이에 형성된 하천수 수용공간(39b)으로 유입된다. 이 때, 미생물 담체(37)로부터 탈리된 오니(49)는 하천수(11)와 함께 하천수 수용공간(39b)으로 유동된다. 하천수 수용공간(39b)으로 유동된 오니(49)는 유동에너지를 소실하게 되어 저부로 침전되고, 하천수(11)중 일부는 내벽(35)에 형성된 웨어(36)를 통해 미생물 담체 수용공간(39a)으로 유입되어 순환되고 일부는 연결관(15c)을 통해 제2호기성산화조(30b)로 유입된다. 제2호기성산화조(30b) 및 제3호기성산화조(30c)에서 하천수(11)는 제1호기성산화조(30a)의 유동경로와 동일하게 유동되면서 미생물에 의한 산화분해작용이 진행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호기성산화조(30a~30c)의 각 하천수 수용공간(39b)의 저부에 침전된 오니(49)는 에어리프트펌프(Air Lift Pump) 등의 오니배출펌프(51)에 의해 각 호기성산화조(30a~30c)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별도의 슬러지 농축조(미도시) 또는 슬러지 저장조(미도시)에 축적되도록 한다.
한편, 제3호기성산화조(30c)로부터 유출된 하천수(11)는 후단여과조(60)의 내부로 유입되고, 후단여과조(60)의 내부로 유입된 하천수(11)는 폭기장치(67)의 노즐(68)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와 접촉되어 용존산소량이 증가된 상태로 여재(63)를 통과하게 된다. 여재(63)를 통과하면서 수중의 부유물질이 여과된 하천수(11)는 연결관(15f)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미생물의 산화분해반응이 이루어지는 제1 내지 제3호기성산화조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호기성산화조의 크기, 개수는 처리될 하천수의 유량, 오염도, 미생물의 반응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처리될 하천수의 흐름방향에 대해 복수의 호기성산화조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여과장치로서 전단여과조 및 후단여과조가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여과장치를 필터 및/또는 망상체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입도를 가지는 여재가 층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여재의 하측 및 상측에 처리대상 하천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천수가 하천수계내에 조성된 댐이나 보에 의해 확보된 수두차를 이용하여 자연유하식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처리대상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전단여과조와; 내부에 미생물 담체가 구비되고 상기 미생물 담체의 하측 및 상측에 처리대상 하천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단여과조의 하류측에 상기 하천수가 수두차에 의해 유동되게 배치되어 상기 전단여과조를 통과한 하천수의 미생물에 의한 산화분해반응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호기성산화조와;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층상으로 여재가 구비되고 상기 여재의 하측 및 상측에 유입부 및 유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하류측에 상기 하천수가 수두차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호기성산화조를 통과한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후단여과조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부유물질의 여과를 통해 미생물의 산화분해작용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수두차에 의한 하천수의 유동으로 소모동력을 줄일 수 있는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수처리설비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입도를 가지고 층상으로 배열되는 여재가 구비되고 하부의 유입부 및 상부의 유출부가 구비된 전단여과조 및 후단여과조와, 내부에 미생물 담체가 수용되고 하부의 유입부와 상부의 유출부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호기성산화조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와; 처리대상 하천수가 수두차에 의해 자연유하식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류측에 전단여과조를 배치하고, 상기 전단여과조의 하류측에 복수의 호기성산화조를 배치하고,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하류측에 상기 후단여과조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전단여과조에서 처리대상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호기성산화조에서 상기 여과된 하천수를 미생물을 통해 산화반응 시키는 단계와; 상기 미생물을 통해 산화 반응된 하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하류측에서 상기 산화반응된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수중 부유물질의 여과를 통해 미생물의 산화분해작용 부하를 경감시키고 슬러지의 반송없이 연속적인 수처리가 가능한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수처리공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1호기성산화조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의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 11 : 하천수
15a~15f : 연결관 20 : 전단여과조
21a,31a,61a : 유입부 21b,31b,61b : 유출부
23,63 : 여재
30a~30c : 제1 내지 제3호기성산화조
33 : 외벽 35 : 내벽
36 : 웨어 37 : 미생물 담체
41 : 담체지지판 46,68 : 노즐
48,69 : 블로어 51 : 오니배출펌프
60 : 후단여과조

Claims (9)

  1.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입도를 가지는 여재가 층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여재의 하측 및 상측에 처리대상 하천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천수가 하천수계내에 조성된 댐이나 보에 의해 확보된 수두차를 이용하여 자연유하식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처리대상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전단여과조와; 내부에 미생물 담체가 구비되고 상기 미생물 담체의 하측 및 상측에 처리대상 하천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단여과조의 하류측에 상기 하천수가 수두차에 의해 유동되게 배치되어 상기 전단여과조를 통과한 하천수의 미생물에 의한 산화분해반응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호기성산화조와;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층상으로 여재가 구비되고 상기 여재의 하측 및 상측에 유입부 및 유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하류측에 상기 하천수가 수두차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호기성산화조를 통과한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후단여과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성산화조는,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각 연부로부터 기립되게 배치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벽과, 상기 외벽의 내측에 상기 외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외벽과의 사이에 하천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미생물 담체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벽과, 상기 내벽을 관통하여 상기 하천수의 수용공간의 하천수가 상기 미생물 담체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하천수에 함유되어 있는 탈리된 오니와 부유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유로중에 설치되는 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저판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미생물 담체를 지지하는 담체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담체지지판과 상기 저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천수중에 공기를 공급하는 폭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천수 수용공간의 저부에 침전되는 오니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7.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입도를 가지고 층상으로 배열되는 여재가 구비되고 하부의 유입부 및 상부의 유출부가 구비된 전단여과조 및 후단여과조와, 내부에 미생물 담체가 수용되고 하부의 유입부와 상부의 유출부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호기성산화조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와; 처리대상 하천수가 수두차에 의해 자연유하식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류측에 전단여과조를 배치하고, 상기 전단여과조의 하류측에 복수의 호기성산화조를 배치하고,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하류측에 상기 후단여과조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전단여과조에서 처리대상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호기성산화조에서 상기 여과된 하천수를 미생물을 통해 산화반응 시키는 단계와; 상기 미생물을 통해 산화 반응된 하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하류측에서 상기 산화반응된 하천수중의 부유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공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대상 하천수가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상기 미생물 담체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하천수를 폭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공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내부에서 상기 미생물을 통해 산화반응된 하천수중의 탈리된 오니를 침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침전된 오니를 상기 호기성산화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공법.
KR10-2002-0047821A 2002-08-13 2002-08-13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및하천수처리공법 KR100487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821A KR100487595B1 (ko) 2002-08-13 2002-08-13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및하천수처리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821A KR100487595B1 (ko) 2002-08-13 2002-08-13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및하천수처리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538A KR20040015538A (ko) 2004-02-19
KR100487595B1 true KR100487595B1 (ko) 2005-05-06

Family

ID=3732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821A KR100487595B1 (ko) 2002-08-13 2002-08-13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및하천수처리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486B1 (ko) * 2017-06-27 2018-01-30 주식회사 대양환경기술 오폐수 정화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082B1 (ko) * 2010-04-12 2012-07-30 (주)북부환경 대나무 생물여과막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 처리장치
CN114835263A (zh) * 2022-03-18 2022-08-02 无锡千为科技有限公司 微生物促生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315A (ko) * 1995-12-14 1997-07-24 이시가끼 이이찌 하천등의 오수의 정화장치
JPH1170306A (ja) * 1997-08-28 1999-03-16 Tanaka Sansho Kk 水域浄化設備、水域浄化用マット、水域浄化用マットの押え杭用案内装置、ヘドロ回収設備および濾過式水域浄化装置の濾過材支持体
KR20020003749A (ko) * 2000-07-03 2002-01-15 한상근 하천 수질 정화 장치
KR20020024369A (ko) * 2000-09-25 2002-03-30 배장영 하천변 자연제방과 둔치를 이용한 생물 접촉 산화식 하천수질 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315A (ko) * 1995-12-14 1997-07-24 이시가끼 이이찌 하천등의 오수의 정화장치
JPH1170306A (ja) * 1997-08-28 1999-03-16 Tanaka Sansho Kk 水域浄化設備、水域浄化用マット、水域浄化用マットの押え杭用案内装置、ヘドロ回収設備および濾過式水域浄化装置の濾過材支持体
KR20020003749A (ko) * 2000-07-03 2002-01-15 한상근 하천 수질 정화 장치
KR20020024369A (ko) * 2000-09-25 2002-03-30 배장영 하천변 자연제방과 둔치를 이용한 생물 접촉 산화식 하천수질 정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486B1 (ko) * 2017-06-27 2018-01-30 주식회사 대양환경기술 오폐수 정화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538A (ko) 200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019B1 (ko) 습지와 접촉산화여과설비를 병합한 습지병합형 수처리장치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20120069587A (ko) 멤브레인 바이오 리액터 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동상 바이오 리액터 원수 처리 시스템
KR100980464B1 (ko) 하수고도처리장치
KR101815246B1 (ko) 고효율 복합 인공습지 시스템
KR100989414B1 (ko) 정화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691641B1 (ko) 조류 및 이취미물질을 동시에 제거하는 용존공기부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방법
KR101541070B1 (ko) 고도처리장치
KR100419959B1 (ko) 미생물접촉과 식물을 이용한 하수, 하천수와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처리 시스템
MX2008004820A (es) Sistema de filtro aireado sumergido y metodo que implica tratamientos especificos en etapas respectivas.
KR100487595B1 (ko)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및하천수처리공법
CA2128729C (en) Dissolved air flotation
JP3111846B2 (ja) 浄化装置
KR100880535B1 (ko)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KR101151908B1 (ko)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JP2004276011A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CA2565052A1 (en) System for improved dissolved air floatation with a biofilter
JP2611148B2 (ja) 2系統並列式酸化処理施設
JPH10249367A (ja) 汚水浄化装置
KR100399294B1 (ko) 둔치에 설치되는 하천수 정화장치
KR100453705B1 (ko) 침전 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방법
KR20000072403A (ko)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KR102594274B1 (ko)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
KR200367936Y1 (ko) 하수 및 오폐수 3차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KR200283201Y1 (ko) 호수의 수질정화시스템
KR100613206B1 (ko) 하수 및 오폐수 3차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