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128B1 - 클럭 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모듈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클럭 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모듈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128B1
KR100487128B1 KR10-2003-0003459A KR20030003459A KR100487128B1 KR 100487128 B1 KR100487128 B1 KR 100487128B1 KR 20030003459 A KR20030003459 A KR 20030003459A KR 100487128 B1 KR100487128 B1 KR 100487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interface module
transmission system
clock signal
transmiss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404A (ko
Inventor
최병구
권택정
김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3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128B1/ko
Publication of KR2004006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 시스템간의 전송 방식을 동기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전송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직접 상대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파악하여, 그에 따라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설정함으로써, 그 절차가 복잡하고, 그에 따른 시간 소모가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대 전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상대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설정하여, 전송 방식 설정의 절차를 간소화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럭 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모듈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e module setting up using clock signal }
본 발명은 클럭 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모듈 설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하나의 하드웨어에서 다수의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이에 따른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송 방식을 설정하는 클럭 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모듈 설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선 라인을 통해 시스템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대 시스템과 동일한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여야 한다.
따라서, 시스템간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스템들 각각은 상호간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은, 일례로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인 모뎀 카드(Modem Card), 랜 카드(LAN Card), 라인 인터페이스 카드(Line Interface Card),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DSU : Digital Service Unit), 채널 서비스 유니트(CSU : Channel Service Unit) 등이 해당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 방식을 지원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 설명에 사용되는 전송 방식인 디지털 신호 등급(Digital Signal X : 이하 'DS X'라 칭한다)에 대하여 잠시 살펴보면, 이는 표준 디지털 전송 속도나 레벨에 관한 것으로, 한 개의 전화 음성 채널에 사용되는 대역폭인 64 Kbps의 전송 속도를 'DS 0'로 하면, 북미의 'T급' 회선 시스템과 유럽의 'E급' 회선 시스템 모두가 'DS X' 시리즈의 기본 배수로 운영된다.
'DS 0'는 디지털 신호 등급 시리즈의 기반이 되며, 'DS 1'은 'T-1' 회선 내의 신호로서 사용되며, 24개의 'DS 0' 신호들이 펄스 부호 변조(Pulse Code Modulation : PCM)와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 TDM) 변조 방법을 사용하여 전송되고, 'DS 2'는 네 개의 'DS 1' 신호들이 함께 다중화되어 6.312 Mbps의 속도를 가진다.
'DS 3'은 'T-3' 회선 내의 신호로서, 'DS 1'의 28배 전송 속도, 즉 44.736 Mbps를 낸다.
'E-1' 신호형식은 64 Kbps 속도의 채널 32개를 수용함으로써, 2.048 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며, 'E-1'은 'T-1'에 비해 다소 높은 전송 속도를 가지는데, 그 이유는 'T-1'과는 달리 각 채널의 모든 8 비트가 신호를 부호화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E-1'과 'T-1'은 국제적인 데이터 교환을 위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T-1'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음성 신호는 초당 8,000번 샘플링 되며, 각 표본은 8 비트 워드(ward)로 디지털화되며, 이 신호들이 동시에 24 채널로 디지털화되므로, 결국 192 비트 프레임이 초당 8,000번 전송되는 것이다.
또한, 각 프레임은 하나의 비트에 의해 구분되고, 각 블록은 총 193 비트로 구성됨으로, 'T-1'의 전송 속도는 <수학식 1>과 같이 계산 할 수 있다
192 bits/frame × 8,000 frames + 8,000 framing bits
수학식 1을 참조하면, 'T-1'의 전송 속도는 1.544 Mbps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2개의 'DS 1' 프레임이 슈퍼 프레임(Super Frame : SF)을 만들고, 24개의 'DS 1' 프레임이 확장 슈퍼 프레임(Extended Super Frame : ESF)을 만든다.
'T-1'은 교호 부호 반전(Alternate Mark Inversion : AMI), 또는 바이폴라 에이트 제로 대입 (Bipolar with Eight Zero Substitution : 이하 'B8ZS'라 칭한다) 라인 코딩 (line coding)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고, 'E-1'은 하이 밀도 바이폴라 쓰리(High Density Bipolar Three : 이하 'HDB3'라 칭한다)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정보가 전송된다.
'T-3'은 'M23 multiplex application' 또는 'C-bit parity application'의 프레임 형식을 가지며, B3ZS 라인 코딩 방식을 따른다.
그리고, 'E-3'은 HDB3 라인 코딩 방식을 따른다.
이와 같이, 각 전송 방식마다 라인 코딩 방식이 동일하지 않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전송 방식을 적절히 설정해야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송 방식의 설정은, 전송 시스템 또는 그에 대응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운영자가 직접 관리 시스템(Managing System)을 이용하여 수행해야 하여야 하였다.
즉, 운용자가 직접 관리 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송 방식을 설정해야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송 방식을 설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송 시스템(10, 20)과, 관리 시스템(30, 31)으로 이루어지고, 전송 시스템(10, 20)은 인터페이스 모듈(11, 21)을 구비하고 있다.
전송 시스템(10, 20)은 일례로 전송 장비가 될 수 있으며, 이는 물리적 라인(1)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해당될 수 있다.
관리 시스템(30, 31)은 전송 시스템(10, 20)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일반적으로 전송 시스템(10, 20)의 성능이나 오류 등을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전송 시스템(10, 20)의 인터페이스 모듈(11, 21)은 전송 시스템(10, 20)간의 전송 방식을 동기화하여, 전송 시스템(10,20)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인터페이스 설정 장치에서 전송 방식을 동기화하는 방법을 잠시 살펴보면, 전송 시스템(10, 20)을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30, 31)에서 직접 전송 시스템(10, 20)에서 사용하는 전송 방식을 확인하여, 인터페이스 모듈(11, 21)을 설정한다.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 모듈(11, 21)은 'E1/T1' 또는 'E3/T3' 통신 방식을 지원함으로, 전송 시스템(10, 20)간의 전송 방식을 관리자가 직접 확인하여 인터페이스 모듈(11, 21)을 설정하여야 함으로써, 관리자가 그 전송 방식을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고, 그 전송 방식에 따라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올바르게 않은 경우, 직접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종래의 루프백을 통한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송 방식을 설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송 시스템 A(10)에서 전송한 테스트 패턴(test pattern)이 올바르게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터페이스 모듈(11)의 전송 방식을 설정함을 알 수 있다.
즉, 일련의 전송 방식과 그에 따른 테스트 패턴을 테이블 형식으로 정의하고, 테이블에 정의되어 있는 테스트 패턴을 순서대로 전송하고, 올바르게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면,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인터페이스 모듈(21)의 전송 방식을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자신의 인터페이스 모듈(11)의 전송 방식을 설정한다.
다시 말해서, 미리 등록된 전송 시스템 A(10)의 인터페이스 모듈(11)에 루프백 방식의 테이블에 따라서 설정하고, 테스트 패턴을 전송하여, 그 테스트 패턴이 제대로 수신이 되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테스트 패턴이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는 경우는 차례로 설정을 바꾸면서, 테스트 패턴(test pattern)이 제대로 수신될 때까지 설정한다.
이는, 전송 시스템간(10, 20)의 전송 방식이 맞지 않는다면, 올바른 테스트 패턴을 수신 할 수 없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인터페이스 모듈(11, 21)을 설정한다는 것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칩의 레지스터를 설정한다는 것인데 새로운 설정을 할 때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리셋(reset)이 필요하고, 각 레지스터 설정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또한, 루프백 방식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모듈(11, 21)을 설정하게 되면, 테스트 패턴이 올바르게 수신될 때까지 리셋을 여러 번 거치게 되는데, 이는 하드웨어에 부하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인터페이스 모듈을 설정하는데 시간 소요가 크며, 미리 등록된 테이블에 따라서 설정이 되지 않으면 무한 반복하여 리셋만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전송 시스템간의 통신 방식을 동기화함에 있어서, 그 통신 방식의 동기화 절차를 간소화하는 클럭 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모듈 설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클럭 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모듈 설정 장치는, 임의의 타 전송 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간의 전송 방식 동기화를 위한 클럭 신호를 수신하고, 전송 방식을 통해 타 전송 시스템과 데이터 정보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인터페이스 모듈이 수신한 클럭 신호를 추출하여, 타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파악하는 클럭 추출부와, 클럭 추출부가 파악한 타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기록하고, 기록된 전송 방식과 자신이 속한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비교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 전송 방식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기록된 전송 방식을 지원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재 설정하는 제어부와, 클럭 추출부가 파악한 타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임의의 관리자로부터 설정받은 일정 저장 영역에 저장하여 기록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클럭 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모듈 설정 방법은, 임의의 타 전송 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간의 전송 방식 동기화를 위해 수신되는 클럭 신호를 추출하여, 타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파악하는 단계와, 파악된 전송 방식을 저장하여 기록하고, 전송 방식이 자신의 전송 방식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전송 방식이 동일한 경우, 타 전송 시스템과 데이터 정보 교환을 위해, 자신의 인터페이스 모듈이 전송 방식을 지원하도록 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전송 방식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해당 인터페이스 모듈의 재 설정 또는 교체를 요청하는 단계와, 인터페이스 모듈이 교체되는 경우, 타 전송 시스템과 데이터 정보 교환을 위해, 교체된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저장된 전송 방식을 지원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송 방식을 설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송 시스템(10)은 인터페이스 모듈(11)과, 제어부(12)와, 클럭 추출부(13)와, 저장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일례를 들어, 전송 시스템 A(10)에서 전송 시스템 B(20)로부터 수신되는 클럭 신호를 분석하여, 인터페이스 모듈(11)을 설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타 경우도 이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클럭 추출부(13)는 물리적인 라인(1)을 통해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그 클럭 신호를 분석하여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을 파악하는 기능을 한다.
클럭 신호(clock)란, 일반적으로 시스템간의 동기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주기적인 신호이며, 이러한 주기적인 신호를 분석하여 전송 속도를 파악하면, 전송 방식을 알아낼 수 있다.
제어부(12)는 전송 시스템을 제어하고, 클럭 추출부(13)에서 파악된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 시스템 A(10)의 전송 방식을 재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11)은 제어부(12)로부터 설정받은 전송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상대 전송 시스템 B(20)와 데이터 정보를 교환한다.
저장부(14)는 전송 시스템 A(10)의 운용 정보 및 클럭 추출부(13)에서 파악된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 정보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전송 방식 정보라 함은, 클럭 신호의 전송 속도에 따른 전송 방식 종류에 관한 정보, 일례를 들면, 전송 속도가 6.312 Mbps이면, 'DS 2' 급 전송 방식이라는 정보이다.
이때, 저장부(14)는 일례를 들면, 롬(ROM)이나 램(RAM)이나 레지스터(register) 등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들이 해당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대 전송 시스템 B(20)로부터 수신되는 클럭 신호를 클럭 추출부(13)가 파악하고,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11)의 전송 방식을 설정하기 위하여, 저장부(14)에 상태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을 저장하는 것에 대하여 잠시 살펴보자.
먼저 표 1은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이 'DS 1' 급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Bit Name reset value R/W 설명
7-2 - all 0s R/W Reserved
1 SET_E1 0 R/W external clock is E1 clock
0 SET_T1 1 R/W external clock is T1 clock
표 1은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이 'DS 1' 급 중 'T-1' 통신 방식인 경우, 저장부(14)의 저장 영역 중 관리자로부터 설정 받은 일정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도 4-a는 하나의 'DS X'급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에 대하여 저장 영역에 전송 방식을 저장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저장 영역에 '8' 비트에 순번을 부여하여, 각 순번에 저장되는 값으로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을 저장하는 것이다.
즉, 표 1에서와 같이,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이 'DS 1'급의 'T-1' 전송 방식이면, '0' 번 비트에 '1'을 저장하고, '1' 번 비트에 '0'을 저장하고, 그 이외의 비트는 남겨(reserved) 둔다.
그리고, 표 2는 인터페이스 모듈(11)이 'DS 1' 급과 'DS 2' 급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Bit Name reset value R/W 설명
7-4 - all 0s R/W reserved
3 SET-E3 0 R/W external clock is E3 clock
2 SET-T3 0 R/W external clock is T3 clock
1 SET-E1 0 R/W external clock is E1 clock
0 SET-T1 1 R/W external clock is T1 clock
표 2는 상대 전송 시스템 B(20)가 'DS 1' 급과 'DS 3' 급의 전송 방식 중 'DS 1' 급의 'T-1' 전송 방식인 경우, 저장부(14)의 저장 영역 중 관리자로부터 설정 받은 일정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도 4-b는 다수개의 'DS X'급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에 대하여 저장 영역에 전송 방식을 저장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저장 영역에 '8' 비트에 순번을 부여하여, 각 순번에 저장되는 값으로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을 표현하는 것이다.
즉, 표 2에서와 같이,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이 'DS 1' 급의 'T-1' 전송 방식이면, '0' 번 비트에 '1'을 저장하고, '1' 번과 '2 번과 '3'번 비트에 '0'을 저장하고, 그 이외의 비트는 남겨(reserved) 둔다.
이와 같이 저장부(14)의 일정 저장 영역에 파악된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을 기록하는 것은, 자신의 인터페이스 모듈(11)이 그 전송 방식을 동일하지 않는 경우, 리셋하면서 그 기록된 전송 방식과 동기화를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송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전송 시스템 A(10)는 전송 속도에 따른 전송 방식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가지고 있고, 자신이 인터페이스 모듈(11)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지원할 수 있는 전송 방식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상대 전송 시스템 B(20)로부터 수신되는 클럭 신호를 클럭 추출부(13)가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고, 상대 전송 시스템 B(20)가 사용하고 있는 전송 방식을 파악한다(S 1).
즉, 수신되는 클럭의 주기를 분석하여 전송 속도를 도출하고, 저장되어 있는 전송 방식 정보를 검색하여, 그 전송 속도에 해당하는 전송 방식을 파악한다.
일례를 들면, 주기를 통해 도출된 전송 속도가 6.312 Mbps이면, 'DS 2' 급 전송 방식임을 알 수 있다.
제어부(12)는 클럭 추출부(13)가 파악한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을 저장부(14)의 일정 저장 영역에 그 전송 방식을 저장하여 기록한다(S 2).
즉, 도 4-a와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방식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비트에 '1'을 저장하여,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을 기록한다.
그리고, 파악된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과 자신의 전송 방식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 3).
이때, 전송 방식의 판단은, 동일한 'DS X'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인 인터페이스 모듈(1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 방식, 즉 'T 급'이나 'E 급'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판단 결과, 상대 전송 시스템 B(20)와 자신의 전송 방식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는 관리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하여(S 4), 관리자로 하여금, 그에 맞는 인터페이스 모듈(11)이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카드로 교체하도록 한다(S 5).
다시 말해서, 파악된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과 자신의 전송 방식이 동일한 'DS X' 급 전송 방식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 이에 맞게 하드웨어를 교체되도록 한다.
한편 판단 결과, 상대 전송 시스템 B(20)와 자신의 전송 방식이 동일한 경우, 즉 동일한 'DS X' 급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 즉 'T 급'인지 'E 급' 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자신의 전송 방식과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 5).
판단 결과,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이 자신의 전송 방식이 동일한 경우, 그 전송 방식으로 인터페이스 모듈(11)을 설정하여 종료한다.
한편, 판단 결과, 상대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과 자신의 전송 방식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전송 방식 정보, 즉 클럭 추출부(13)에서 파악한 상태 전송 시스템 B(20)의 전송 방식 정보에 따라 자신의 인터페이스 모듈(11)을 리셋하고(S 6), 그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11)의 전송 방식을 재 설정한다(S 7).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 시스템간의 전송 방식을 동기화함에 있어서, 데이터 정보를 실어 전송하는 클럭 신호를 추출하여 상대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전송 방식을 설정하여, 그 전송 방식의 동기화 절차를 간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신되는 클럭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전송 방식을 동기화함으로써, 관리자 전송 방식을 설정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오류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송 방식을 설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루프백을 통한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송 방식을 설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송 방식을 설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4-a는 하나의 'DS X'급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에 저장 영역에 전송 방식을 저장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구조도.
도 4-b는 다수개의 'DS X'급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에 저장 영역에 전송 방식을 저장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송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 관리 시스템 10, 20 : 전송 시스템
11, 21 : 인터페이스 모듈 12 : 제어부
13 : 클럭 추출부 14 : 저장부

Claims (6)

  1. 임의의 타 전송 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간의 전송 방식 동기화를 위한 클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방식을 통해 상기 타 전송 시스템과 데이터 정보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수신한 클럭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타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파악하는 클럭 추출부와,
    상기 클럭 추출부가 파악한 상기 타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전송 방식과 자신이 속한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비교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 전송 방식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기록된 전송 방식을 지원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재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클럭 추출부가 파악한 상기 타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임의의 관리자로부터 설정받은 일정 저장 영역에 저장하여 기록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모듈을 설정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추출부는,
    상기 타 전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클럭 신호의 주기를 분석하여, 상기 클럭 신호의 전송 속도를 도출하고, 그 전송 속도를 통해 상기 타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모듈을 설정하는 장치.
  3. 임의의 타 전송 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간의 전송 방식 동기화를 위해 수신되는 클럭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타 전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파악된 전송 방식을 저장하여 기록하고, 상기 전송 방식이 자신의 전송 방식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전송 방식이 동일한 경우, 상기 타 전송 시스템과 데이터 정보 교환을 위해, 자신의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전송 방식을 지원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전송 방식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해당 인터페이스 모듈의 재 설정 또는 교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교체되는 경우, 상기 타 전송 시스템과 데이터 정보 교환을 위해, 상기 교체된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저장된 전송 방식을 지원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모듈을 설정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식은,
    디지털 신호 등급 방식, 북미 방식, 유럽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모듈을 설정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재 설정은,
    상기 전송 방식이 동일한 디지털 신호 등급이고, 북미 방식인지 유럽 방식인지 여부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인테페이스 모듈을 리셋하여 상기 기록된 전송 방식을 지원하도록 하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모듈을 설정하는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식의 기록은,
    상기 저장부의 일정 저장 영역에 순번과 그 순번에 전송 방식을 대응하여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파악된 전송 방식에 따른 순번을 상기 테이블을 검색하여 파악하고, 그 파악된 순번에 해당하는 저장 영역에 일정 값을 저장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모듈을 설정하는 방법.
KR10-2003-0003459A 2003-01-18 2003-01-18 클럭 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모듈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0487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459A KR100487128B1 (ko) 2003-01-18 2003-01-18 클럭 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모듈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459A KR100487128B1 (ko) 2003-01-18 2003-01-18 클럭 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모듈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404A KR20040066404A (ko) 2004-07-27
KR100487128B1 true KR100487128B1 (ko) 2005-05-03

Family

ID=37356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459A KR100487128B1 (ko) 2003-01-18 2003-01-18 클럭 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모듈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973B1 (ko) * 2006-12-08 2008-05-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향 변조 방식의 검출 방법, 이에 따른 하향 복조기의제어방법 및 하향 복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404A (ko) 200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2828A (en) Protect path switching in a performance monitoring and test system
US4627046A (en) Programmable feature card
US5581228A (en) Digital signal comparison circuit in a performance monitoring and test system
US5495470A (en) Alarm correlation system for a telephone network
KR940008048B1 (ko) 분산 제어 스위칭 시스템 및 시스템내 통신 선로 확립 방법
US5500853A (en) Relative synchronization system for a telephone network
JPS61500403A (ja) 多重モ−ドデ−タ通信システム
US62262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th trace check
JP3512948B2 (ja) 通信用測定器
US4197523A (en) Digital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s
US3879582A (en) Data loop communication system
US5301207A (en) Test apparatus and process for digital data service system
CA2026266C (en) Time division communication system frame changeover arrangement
US4653043A (en) Pre-cutover verification of switching system subscriber lines served via digital carrier facilities
KR100487128B1 (ko) 클럭 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모듈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US7346004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transfer mode in line interface device
EP0912005B1 (en) Performance monitoring and test system for a telephone network
US7308004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communication signals
WO1994015419A9 (en) Performance monitoring and test system for a telephone network
US8228788B2 (en) Network connection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in the network connection device
US76641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odem sample rates on a digital audio interface within a direct access arrangement circuit
JPS60105357A (ja) 特定チヤネル折返制御方式
JPH11145926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多重化標準不整合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289577B1 (ko)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중계선 정합보드
JP2953977B2 (ja) 回線障害監視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