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577B1 -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중계선 정합보드 - Google Patents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중계선 정합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577B1
KR100289577B1 KR1019980063014A KR19980063014A KR100289577B1 KR 100289577 B1 KR100289577 B1 KR 100289577B1 KR 1019980063014 A KR1019980063014 A KR 1019980063014A KR 19980063014 A KR19980063014 A KR 19980063014A KR 100289577 B1 KR100289577 B1 KR 100289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ching
data
unit
board
trunk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6334A (ko
Inventor
이승형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80063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577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 중계선 정합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공중전화망(PSTN)과 T1 중계선(Trunk line)을 통해 정합하여 톤(Tone) 및 R2 신호방식의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T1 중계선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서 데이터 클럭을 추출하여 데이터를 재생하고 오류를 검출하는 선로 정합부, 소정 송신용 데이터 스트림을 받아 T1 프레임으로 형성한 후 부호화하여 선로 정합부로 보내며, 또한 선로 정합부에서 재생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시그널링 데이터를 추출하는 T1 정합부, 소정의 상위 기능보드와 접속되어 T1 정합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채널변환을 수행하는 디지털 스위치부, 상위 기능보드와 정합하여 R2 송신 기능, R2 수신 기능, 톤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R2 처리부, 디지털 스위치부의 제어 하에 T1 정합부와 시그널링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상위 기능보드와 정합하여 시그널링 데이터와 소정 경보정보 및 운용정보를 교환하는 교환용 메모리 수단, T1 중계선 정합보드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주 제어부, 및 선로 정합부에서 추출된 데이터 클럭을 이용하여 소정의 클럭신호들을 생성하여 해당 구성요소에 제공하는 망 동기 정합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중계선 정합보드(A Telephony network T1 Interface Board of Telephone Network Access Subsystem in Advanced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s)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 중계선 정합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AICPS:Advanced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의 구성요소인 전화망 정합장치(TNAS:Telephone Network Access Subsystem)에 사용되어 디지털 중계선 정합(Digital Trunk Interface) 기능 및 링크 시그널링 정합(Link Signalling Interface) 기능을 수행하는 T1 중계선 정합장치(TTIB:Telephony network T1 Interface Board)에 관한 것이다.
공중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은 전화 가입자들의 호 요구에 따라 회선 교환을 수행하여 망의 다른 가입자에게 음성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망으로서, 공중전화망에는 거의 모든 가정 및 회사들이 가입되어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그 서비스 내용이 주로 음성위주의 전화서비스이다. 그런데 정보화 사회가 진전되면서 컴퓨터간 데이터 전달이 광범위하게 요구되고, 각종 정보제공 사업자가 등장하면서 패킷망에 대한 접속 요구가 급속히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패킷 교환망과 연결되는 형태의 서비스가 증가하게 되었고, 이를 위하여 공중전화망과 패킷망간의 접속을 위하여 통신 처리 시스템(Information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이 도입되게 되었다.
한편, 통신 처리 시스템은, 망의 진화가 전개되면서 종합정보통신망(ISDN 망), 프레임 릴레이 망, ATM 망, 인터넷 등 매우 다양한 망들이 새로이 구축되고 있어, 이들을 통합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다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AICPS)으로 개량되고 있다.
도 1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을 이용한 망구성도로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100)은 전화망 정합장치(10:Telephone Network Access Subsystem,TNAS), 패킷망 정합장치(20:Packet Network Access Subsystem,PNAS), ISDN 정합장치(30:ISDN Network Access Subsystem,INAS), ATM망 정합장치(40:ATM Network Access Subsystem,ANAS), 프레임망 정합장치(50:Frame Relay Network Access Subsystem,FNAS), LOMS 정합장치(60:Operational Network Interface Board,ONAS) 등 각 정합장치들을 서로 연결해 주기 위한 고속 스위칭 장치(70:HSSF), 망관리를 위한 망 운용관리 장치(80:LOMS) 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100)에서 공중전화망(11:PSTN)과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전화망 정합장치(10:TNAS)는 가입자 전화망에 접속된 이용자와 정보 제공자와의 사이에서 서비스 연동을 담당하는 PC 통신의 시작부분이다.
또한, 전화망 정합장치(10:TNAS)에는 공중전화망(11)과 국간 T1 중계선(Trunk Line)을 통해 정합하여, 디지털 중계선 정합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톤(Tone) 및 R2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중계선의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링크 시그널링 정합 기능(LSI:Link Signaling Interface)을 수행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100)의 전화망 정합장치(10:TNAS)에 사용되어, 국간 T1 중계선과 정합 하는 디지털 중계선 정합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R2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중계선의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링크 시그널링 정합 기능(LSI:Link Signaling Interface)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즉 T1 중계선 정합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 중계선 정합보드는 소정 유니폴라(Unipolar) 형식의 데이터 스트림을 바이폴라(Bipolar) 형식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상기 T1 중계선으로 전송하며, 또한 상기 T1 중계선으로부터 수신된 바이폴라 형식의 데이터 스트림에서 소정 데이터 클럭을 추출하여 데이터를 재생하고, 오류를 검출한 후 소정 오류처리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재생된 바이폴라 형태의 데이터 스트림을 유니폴라 형식으로 변환하는 선로 정합부; 소정 송신용 데이터 스트림을 받아 T1 프레임으로 형성한 후 소정 규정에 따라 부호화하여 상기 선로 정합부로 보내며, 또한 상기 선로 정합부에서 재생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프레임 구분을 행하여 시그널링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하는 T1 정합부; 상기 전화망 정합장치의 주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소정 상위 기능보드와 접속하여, 이 상위 기능보드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터 스트림과 상기 T1 정합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스트림 사이의 채널변환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T1 정합부와 시그널링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상기 T1 정합부를 제어하는 디지털 스위치부; 상기 상위 기능보드와 정합 하여 R2 송신 기능, R2 수신 기능, 및 톤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R2 처리부; 상기 디지털 스위치부의 제어 하에 상기 T1 정합부와 시그널링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상기 상위 기능보드와의 사이에서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와 소정 경보정보 및 운용정보를 교환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이터 교환용 메모리 수단; 상기 선로 정합부, T1 정합부, 디지털 스위치부, R2 처리부, 및 데이터 교환용 메모리 수단의 해당 동작을 제어하는 주 제어부; 및 상기 선로 정합부에서 추출된 데이터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T1 중계선 정합보드의 해당 구성요소 동작에 필요한 소정 클럭들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망 동기 정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을 이용한 망구성도,
도 2는 전화망 정합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T1 중계선 정합보드의 블록도,
도 4는 L-버스의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공중 전화망(PSTN) 100: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
210: T1 중계선 정합보드(TTIB) 220: 프로세서 정합보드(TPIB)
310: 주 제어부 311: 마이크로 프로세서
312: 롬(ROM) 313: 램(RAM)
320: 선로 정합부 330: T1 정합부
340: 디지털 스위치부 350: 데이터 교환용 메모리 수단
360: R2 처리부 370: 망 동기 정합부
380: T1 중계선 390: 서브 하이웨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T1 중계선 정합보드(TTIB)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전화망 정합장치(10)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전화망 정합장치(10:TNAS)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T1 중계선 정합보드(210),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elephony Processor Interface Board, TPIB), 가입자 모뎀 접속보드(230:Text Data Line Board,TDLB), 고속 데이터 처리보드(240:Highly Data Processing Board,HDPB), 시그널 처리보드(250:Telephony Signal Processing Board,TSPB), 및 고속 스위치 정합보드(260:High Speed Network Board,HSN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T1 중계선 정합보드(210)는 공중전화망(11)과의 접속을 위한 정합보드로서, 디지털 중계선 정합 기능 및 링크 시그널링 정합 기능(R2 시그널링 처리 기능과 톤 공급기능)을 수행하여, 공중전화망(11)과 국간 T1 중계선을 통해 정합하며, 톤(Tone) 및 R2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중계선의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 때, 공중전화망(11)과의 접속은 5개의 T1 중계선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위 기능보드인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와는 4개의 서브 하이웨이(SHW: Sub-HighWay)를 통하여 접속한다.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는 전화망 가입자의 채널 정보를 수집하여 자신의 상위 프로세서에 보고하고, 호 처리에 관련된 기능과 모뎀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T1 중계선 정합보드(210:TTIB)와 가입자 모뎀 접속보드(230:TDLB)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벤트(event)에 대한 제어 프로세싱(Control Processing)을 L-버스를 통해 처리하며, 자신이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각종 경보를 취합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S-버스를 통해 상위 프로세서인 시그널 처리보드(250:TSPB)와 호 관련 통신을 수행한다.
가입자 모뎀 접속보드(230:TDLB)는 고속 데이터 처리부(240:HDPB)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변조하여 그 신호를 여파한 후 PCM 방식에 의해 디지털 부호신호로 변환시켜 다중 통화로에 집선 시키거나, 그 역과정으로서 PCM 신호를 복조한 후 고속 데이터 처리부(240:HDPB)로 전송한다.
고속 데이터 처리보드(240:HDPB)는 가입자 모뎀 접속보드(230:TDLB)의 모뎀으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패킷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시그널 처리보드(250:TSPB)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4개의 보드가 한 조를 이루고 보드 당 32 채널의 가입자를 수용하므로 총 120 가입자를 처리할 수 있다.
시그널 처리보드(250:TSPB)는 가입자 망에 접속된 이용자 정보를 패킷망 또는 인터넷 망에 접속된 정보 제공자와 랜(LAN)으로 접속된 망 관리자 등의 망 구성요소에 전송하고, 이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속 스위치 정합보드(260:HSNB)는 고속 스위칭 장치(70:HSSF)를 통하여, 통신을 원하는 각각의 망 정합장치를 구성할 때 사용되는 네트웍 보드로서, 각 망 정합장치에서 처리된 프로토콜 데이터를 고속 스위칭 장치(HSSF)에서 사용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프로세서 정합보드(220), 가입자 모뎀 접속보드(230:TDLB), 및 시그널 처리보드(250)는 프로세서간 통신(IPC:Inter-Processor Communication) 링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IPC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이제 본 발명의 T1 중계선 정합보드(21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T1 중계선 정합보드(210)의 블록도로서, 주 제어부(310), 선로 정합부(320), T1 정합부(330), 디지털 스위치부(340), 데이터 교환용 메모리 수단(350), R2 처리부(360), 및 망 동기 정합부(370)로 이루어진다.
이 때, 국간 교환기와는 DS3/DS4(T1) 신호로 정합 하는데, DS3/DS4(T1) 방식의 전송속도는 1.544Mbps이고, 부호화(예:B8ZS)되어 전송되며, 5개의 T1 링크를 수용한다. 또한, 16개의 송수신 채널에 R2 신호를 수용하며, 링-백 톤(Ring-Back Tone)을 제공한다.
먼저, 선로 정합부(320)는 T1 정합부(330)로부터 유니폴라(Unipolar) 형식의 데이터 스트림을 받아 바이폴라(Bipolar) 형식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T1 중계선(380)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T1 중계선(380)으로부터 수신된 바이폴라 형식의 데이터 스트림에서 소정 데이터 클럭을 추출하여 데이터를 재생하고, 오류를 검출한 후 소정 오류처리과정을 수행하며, 재생된 바이폴라 형태의 데이터 스트림을 유니폴라 형식으로 변환하여 T1 정합부(33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선로 정합부(320)는 클럭 및 데이터 재생 기능, 블루 알람(Blue Alarm:AIS) 신호 발생 기능, 및 유니폴라/바이폴라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데, 클럭 및 데이터 재생 기능은 T1 중계선(38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1.544Mhz 클럭을 추출해서 데이터 재생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하고, 망 동기 기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망동기 정합부(370)로 송출하는 기능이다.
또한, 블루 알람(Blue Alarm:AIS) 신호 발생 기능은 T1 중계선(380)으로부터 2개의 프레임 이상에 연속된 '1'이 수신되는 경우에 블루 알람을 발생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블루 알람이란 경보표시신호(AIS:Alarm Indication Signal)를 의미하는 것이며, 블루 알람이 발생하면 주 제어부(3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1)가 읽어갈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11)는 블루 알람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 소정의 로컬경보 발광 다이오드(Local Alarm LED)를 점등시킨 후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에 보고하며, 대국으로 원격 알람(Remote Alarm:Yellow 알람이라고 함)을 송출한다.
유니폴라/바이폴라 변환 기능은 T1 정합부(330)로부터 수신한 유니폴라 형식의 데이터를 T1 중계선(380)으로 전송할 때, 전송효과가 좋은 바이폴라(Bipolar) 신호로 변환하며, 반대로 T1 중계선(380)으로부터 입력된 바이폴라 형식의 T1 포맷의 데이터를 유니폴라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이다. 이 때, 출력신호의 정상 피크 전압은 대칭 케이블(Symmetrical cable)일 경우 3 볼트로 하며, 전송속도는 1.544Mbps ± 50ppm 이내로 한다.
T1 정합부(330)는 디지털 중계선 정합기능의 대부분을 구현하는 구성요소로서, 디지털 스위치부(340)를 통해 수신한 서브 하이웨이 데이터, 시그널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T1 프레임으로 형성한 후, 소정 규정에 따라 부호화(예:B8ZS 선로코딩) 하여 선로 정합부(320)로 보낸다.
또한 선로 정합부(320)에서 재생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프레임 구분을 행하여 시그널링 데이터를 추출하고, 소정 전송률을 가지는 데이터 스트림으로 디지털 스위치부(340)에 전송한다. 이 때, 마이크로 프로세서(311)와의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스위치부(340)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T1 정합부(330)의 제어 및 상태 확인이 수행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T1 정합부(330)는 T1 프레임의 형성 및 감시 기능, 시그널링 데이터의 삽입 및 추출 기능, 경보(Alarm) 삽입 및 검출 기능, 클럭 및 데이터 재생 기능, 및 탄성 버퍼(Elastic Buffer)와 슬립(Slip)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프레임의 형성 및 감시 기능은 디지털 스위치부(340)로부터 수신한 송신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T1 프레임 및 멀티 프레임을 설정하여 T1 방식으로 형성한 후, B8ZS 선로코딩을 수행하는 송신기능, 및 재생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프레임 패턴을 추출하여 프레임 및 멀티 프레임 구분을 행하고, 에러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신기능이다.
시그널링 데이터의 삽입 및 추출 기능은 T1 중계선(380)의 각 음성 채널(Voice Channel)에 대한 시그널링 데이터를 프레임 5와 프레임 11의 각 채널의 최하위 비트(LSB)에 삽입하여 송출하는 송신기능, 및 선로 정합부(320)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 5와 프레임 11로부터 A, B 시그널링 데이터를 추출하는 수신기능이다.
경보(Alarm) 삽입 및 검출 기능은 T1 중계선(380)으로부터 선로 정합부(32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에서 소정의 프레임 경보, 멀티 프레임 경보, 캐리어 손실(Carrier Loss), 및 경보표시신호(AIS:Alarm Indication Signal)를 검출한 경우에 원격 경보(Remote Alarm)를 송출하는 원격경보 송출 기능, 마이크로 프로세서(311)의 고장 시에 경보표시신호(AIS)를 송출하는 경보표시신호(AIS) 송출 기능, 수신한 데이터에서 원격경보를 검출하면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로 보고하고 소정의 원격경보 LED를 점등하는 원격경보 검출 기능, 수신한 데이터의 전 채널 데이터가 모두 '1'로 검출되면 소정의 로컬경보 발광 다이오드(LED)를 점등한 후,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로 보고하고 대국으로 원격경보를 송출하는 AIS 검출 기능, 및 수신과정에서 프레임 또는 멀티프레임 동기를 맞추지 못하였음을 검출하면, 해당 로컬경보 LED를 점등하고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로 보고한 후 대국으로 원격경보를 송출하는 프레임/멀티프레임 경보 검출 기능이다.
탄성 버퍼와 슬립(Slip)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T1 정합부(330)는 수신단에 2 프레임 탄성 버퍼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수신신호의 지터(Jitter)를 흡수하고 슬립(Slip)을 제어한다. 선로 정합부(3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선로 정합부(320)에서 추출된 1.544Mhz 클럭에 의해 탄성 버퍼에 써지고, 2.048Mhz의 시스템 클럭에 의해 버퍼로부터 읽혀진 후, 디지털 스위치부(340)로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클럭은 추출된 클럭에 페이즈 락(Phase Lock) 시킨다.
이 때, 슬립(Slip)이란 추출된 클럭과 시스템 클럭이 정확하게 페이즈 락(Phase Lock)되지 않고, 어느 한쪽이 빠르거나 늦을 경우, 읽어낸 데이터가 중복되거나 유실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 실시예로는 8 채널 또는 32.5 μs 의 지터를 흡수하는 슬립 제어구조를 사용하도록 한다.
디지털 스위치부(340)는 중계선 정합용 디지털 스위치의 기능을 수행하여, 서브 하이웨이 채널과 T1 채널간에 채널을 정합 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의 디지털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32개의 타임슬롯으로 이루어진 4개의 서브 하이웨이(390)와 정합 한다. 또한, T1 정합부(330)의 상태를 확인하여 T1 정합부(33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지털 스위치부(340)는 32 채널의 8개 데이터 스트림(stream) 입력과 32 채널의 8개 데이터 스트림(stream) 출력 구조를 갖는 256 포트 논-블록(Non-Block) 디지털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한편, 24 채널의 5개 T1 채널(총 120 채널)이 4개의 서브 하이웨이(제 1 서브 하이웨이 내지 제 4 서브 하이웨이)로 대응되므로, 하나의 서브 하이웨이는 30 채널의 용량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디지털 스위치부(340)는 송신동작으로서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의 디지털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4개의 2.048Mbps 서브 하이웨이 데이터를 5개의 2.048Mbps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T1 정합부(330)로 전송한다. 또한, 수신동작으로서 선로 정합부(320)에서 수신되는 5개의 1.544Mbps 전송률의 데이터 스트림은 T1 정합부(330)에서 2.048Mbps 전송률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되어 디지털 스위치부(340)로 입력된 후, 서브 하이웨이(390)를 통해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로 전송된다.
이 때, 5개의 T1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4개의 서브 하이웨이(제 1 서브 하이웨이 내지 제 4 서브 하이웨이)의 데이터 스트림 형식에 관한 한 실시예를 다음의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T1 프레임 번호 1번째 T1 프레임 5번째 T1 프레임 미사용
제1SHW 채널번호 0 1 2 3 4 ..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1 채널번호 0 1 2 3 4 .. .. 21 22 23 0 1 2 3 4 5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서브 하이웨이(SHW)에는 1번째 T1 프레임의 24 채널이 모두 들어가고, 나머지 6 채널에는 5번째 T1 프레임의 0번 채널 내지 5번 채널이 들어가게 된다.
T1 프레임 번호 2번째 T1 프레임 5번째 T1 프레임 미사용
제2SHW 채널번호 0 1 2 3 4 ..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1 채널번호 0 1 2 3 4 .. .. 21 22 23 6 7 8 9 10 11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서브 하이웨이(SHW)에는 2번째 T1 프레임의 24 채널이 모두 들어가고, 나머지 6 채널에는 5번째 T1 프레임의 6번 채널 내지 11번 채널이 들어가게 된다.
T1 프레임 번호 3번째 T1 프레임 5번째 T1 프레임 미사용
제3SHW 채널번호 0 1 2 3 4 ..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1 채널번호 0 1 2 3 4 .. .. 21 22 23 12 13 14 15 16 17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 서브 하이웨이(SHW)에는 3번째 T1 프레임의 24 채널이 모두 들어가고, 나머지 6 채널에는 5번째 T1 프레임의 12번 채널 내지 17번 채널이 들어가게 된다.
T1 프레임 번호 4번째 T1 프레임 5번째 T1 프레임 미사용
제4SHW 채널번호 0 1 2 3 4 ..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1 채널번호 0 1 2 3 4 .. .. 21 22 23 18 19 20 21 22 23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4 서브 하이웨이(SHW)에는 4번째 T1 프레임의 24 채널이 모두 들어가고, 나머지 6 채널에는 5번째 T1 프레임의 18번 채널 내지 23번 채널이 들어가게 된다.
한편, T1 정합부(330)를 제어하는 기능으로서,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에 의해 매 8ms마다 데이터 교환용 메모리 수단(350)의 송신 시그널링 데이터 영역에 수신되는 시그널링 데이터들을 T1 정합부(3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수신동작으로서는 T1 정합부(330)로부터 추출되어 출력되는 수신 시그널링 데이터를 받아 각 채널별로 재배열한 후,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가 읽어갈 수 있도록 데이터 교환용 메모리 수단(350)의 지정된 주소에 저장한다.
R2 처리부(360)는 링크 시그널링 정합(LSI:Link Signalling Interface)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R2 송신부와 R2 수신부 및 톤 송신부로 구성되어, R2 송수신 기능과 톤 공급 기능을 수행한다.
즉, T1 중계선(380)의 시져(Seizure) 요구를 수신하게 되면, 시져 요구 정보를 데이터 교환용 메모리 수단(350)을 통하여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로 송신하고,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는 T1 중계선(380)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채널을 R2 수신부로 연결하며, T1 중계선(380)으로부터 입력되는 시그널(signal)을 수신 번역하여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로 송신한다. 또한, R2 신호 방식에서 요구하는 포워드(Forward) 신호 및 백워드(Backward) 신호를 제공하며, 톤(Tone) 제공 기능으로서 톤 채널을 할당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R2 수신부는 서브 하이웨이(390)를 통하여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의 디지털 스위치로부터 수신되는 PCM 데이터를 수신 검출한 후에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로 통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시그널 데이터의 검출은 실시간 처리를 해야 하므로, 고속의 연산처리가 용이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프로그램의 변경만으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R2 수신부에는 송신과 수신에 각각 1개씩 서브 하이웨이를 할당하며, 16 채널의 R2 시그널링 데이터를 처리한다.
R2 송신부는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로부터 데이터 교환용 메모리 수단(350)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받으며, R2 송신부는 이를 이용하여 소정의 펄스코드변조(PCM) 데이터 롬을 구동해서 펄스코드변조(PCM)된 각 시그널 데이터를 병렬로 디지털 스위치부(340)에 송신한다. 이 때,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펄스코드변조(PCM) 데이터 롬의 상위 어드레스가 지정되며, 내부 카운터를 이용하여 하위 어드레스를 카운터 함으로서 지정된 채널에 해당하는 신호를 병렬로 송신한다.
한편, 톤 송신부는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의 제어 없이 1개의 서브 하이웨이를 할당받아 링-백 톤(Ring-Back Tone)과 비지 톤(Busy Tone)을 제공한다. 이 때, 톤 송신부는 소정의 톤 펄스코드변조 데이터 롬을 구동하여 펄스코드변조된 톤 데이터를 병렬로 디지털 스위치부(340)에 송신한다.
데이터 교환용 메모리 수단(350)은 디지털 스위치부(340)의 제어 하에 T1 정합부(330)와 시그널링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바람직하게는 이중 포트 램(Dual Port RAM)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와 소정의 이중 포트 램(DPRAM)을 통해 정합하여 시그널링 데이터와 소정 경보정보 및 운용정보를 교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2K 바이트의 소정 이중 포트 램(DPRAM)을 통하여, 상위 프로세서인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와 상호 데이터를 교환하며, 중계선 정합기능으로는 A, B 시그널링 데이터와 알람 정보를 교환하고, 링크 시그널링 정합(LSI) 기능으로는 모드 정보와 디지트(Digit) 정보를 교환한다. 이 때,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와의 메시지 교환은 L-버스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L-버스의 데이터 읽기와 쓰기에 대한 타이밍도로서, 어드레스 AD15 내지 AD0은 어드레스 인에이블(AE:Address Enable) 동안 먼저 실리고, 다음에 데이터(Data 15-Data 0)가 데이터 인에이블(DE:Data Enable) 동안 실린다.
이 때, ″SEL″은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에서 해당 기능보드를 선택하기 위해 출력하는 신호이고, ″SCLK″는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에서 해당 기능보드로 보내지는 시스템 클럭이며, ″AE″는 AD15-AD0이 실려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또한, ″DE″는 Data 15-Data 0이 실려있음을 알리는 신호이고, ″SRD″는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가 해당 기능보드의 상태를 읽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이며, ″SWD″는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가 해당 기능보드에 데이터를 쓰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망 동기 정합부(370)는 선로 정합부(320)에서 5개의 T1 중계선 각각에 대하여 추출된 5개의 1.544Mhz 클럭을 수신하여 정상인 클럭을 기준 클럭으로 선택한 후, 이 기준 클럭을 사용하여 안정된 1.544Mhz 클럭을 생성한다.
또한, 16.38Mhz 클럭을 공급받아 이를 분주하여 4Mhz, 2Mhz, 및 8Khz 클럭을 발생하여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하고, 또한 프로세서 정합보드(220:TPIB)와 가입자 모뎀 접속보드(230:TDLB)로 공급한다.
주 제어부(310)는 본 발명에 따른 T1 중계선 정합보드의 초기 동작 프로그램(부팅 프로그램 등)을 영구 저장하는 롬(312:ROM), 동작 시에 프로그램이 로딩되며 동작에 필요한 소정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램(313:RAM), 및 멀티 프로토콜 프로세서(311)로 구성되어, 어드레스 버스(314)와 데이터 버스(315)를 통해 T1 중계선 정합보드(21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이 때, 멀티 프로토콜 프로세서(311)에 대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모토롤라의 68302 프로세서를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T1 중계선과 정합 하는 디지털 중계선 정합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R2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중계선의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링크 시그널링 정합 기능(LSI)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100)을 임의의 공중전화망(11)과 T1 중계선을 통해 정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정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사용되어, 소정 개수의 T1 중계선(Trunk line)과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톤(Tone) 및 R2 신호방식의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T1 중계선 정합보드에 있어서,
    소정 유니폴라(Unipolar) 형식의 데이터 스트림을 바이폴라(Bipolar) 형식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상기 T1 중계선으로 전송하며, 또한 상기 T1 중계선으로부터 수신된 바이폴라 형식의 데이터 스트림에서 소정 데이터 클럭을 추출하여 데이터를 재생하고, 오류를 검출한 후 소정 오류처리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재생된 바이폴라 형태의 데이터 스트림을 유니폴라 형식으로 변환하는 선로 정합부;
    소정 송신용 데이터 스트림을 받아 T1 프레임으로 형성한 후 소정 규정에 따라 부호화하여 상기 선로 정합부로 보내며, 또한 상기 선로 정합부에서 재생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프레임 구분을 행하여 시그널링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하는 T1 정합부;
    상기 T1 중계선 정합보드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벤트(event)에 대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 상위 기능보드와 접속하여, 이 상위 기능보드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터 스트림과 상기 T1 정합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스트림 사이의 채널변환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T1 정합부와 시그널링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상기 T1 정합부를 제어하는 디지털 스위치부;
    상기 상위 기능보드와 정합 하여 R2 송신 기능, R2 수신 기능, 및 톤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R2 처리부;
    상기 디지털 스위치부의 제어 하에 상기 T1 정합부와 시그널링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상기 상위 기능보드와의 사이에서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와 소정 경보정보 및 운용정보를 교환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이터 교환용 메모리 수단;
    상기 선로 정합부, T1 정합부, 디지털 스위치부, R2 처리부, 및 데이터 교환용 메모리 수단의 해당 동작을 제어하는 주 제어부; 및
    상기 선로 정합부에서 추출된 데이터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T1 중계선 정합보드의 해당 구성요소 동작에 필요한 소정 클럭들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망 동기 정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 중계선 정합보드.
KR1019980063014A 1998-12-31 1998-12-31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중계선 정합보드 KR100289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014A KR100289577B1 (ko) 1998-12-31 1998-12-31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중계선 정합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014A KR100289577B1 (ko) 1998-12-31 1998-12-31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중계선 정합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334A KR20000046334A (ko) 2000-07-25
KR100289577B1 true KR100289577B1 (ko) 2001-06-01

Family

ID=1956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014A KR100289577B1 (ko) 1998-12-31 1998-12-31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중계선 정합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5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684B1 (ko) * 2002-11-12 2005-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용량 시스템의 r2 시그널링을 위한 디지털 신호프로세서의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334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0341A (en) Stochastic time division multiplexing
US4768188A (en) Optical demand assigned local loop communication system
US4922484A (en) ISDN remote switching unit for accommodating analog and digital lines
US4413337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for circuit mode and packet mode lines
EP0125605B1 (en) Channel selection in a switching system having clustered remote switching modules
CA1169974A (en) Communication system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asynchronous data processing terminals
JPH0626341B2 (ja) 通信装置
JP2847138B2 (ja) プログラム可能タイムスロット割当器マルチプレクサおよびその同期方法
US6781985B1 (en) Time-division multiplexer
KR100289577B1 (ko)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중계선 정합보드
KR19980040998A (ko)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사설망의 음성전화 서비스장치
JPH06121364A (ja) メッセージ情報終端方式
KR100252496B1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KR100237465B1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경보처리회로
KR100252834B1 (ko)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교환기의 씨씨에스 넘버.7 국간 신호 장치
KR100299660B1 (ko) 통신처리시스템의중계선채널과다중모뎀채널의통화로설정방법및전화망정합장치
KR0163147B1 (ko) 소용량 디지탈 전전자교환기
KR960013265B1 (ko) 국 교환기와 원격 교환장치간 북미 방식 피씨엠 링크 접합 장치
KR100305090B1 (ko) 수요밀집형 광대역 가입자 광다중화장치
KR100230833B1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모뎀 타임슬롯 할당회로
US69656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public network
KR100230835B1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모뎀 리드/라이트회로
KR100237464B1 (ko)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 정합장치
KR100258692B1 (ko) 원격 접근 서버의 r2 시그널링 시험방법
KR100311309B1 (ko) 고정 타임슬롯 할당방식으로 운영되는 데이타 채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