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835B1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모뎀 리드/라이트회로 - Google Patents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모뎀 리드/라이트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30835B1 KR100230835B1 KR1019970026718A KR19970026718A KR100230835B1 KR 100230835 B1 KR100230835 B1 KR 100230835B1 KR 1019970026718 A KR1019970026718 A KR 1019970026718A KR 19970026718 A KR19970026718 A KR 19970026718A KR 100230835 B1 KR100230835 B1 KR 1002308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m
- data
- bus
- signal
- addr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3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8—Suspend and resume; Hibernate and awak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3—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data buff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의 모뎀 리드/라이트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로는 특정 어드레스에 대한 L-버스 라이트동작시 모뎀에 링검출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모뎀래치(506,507); 특정 어드레스에 대한 L-버스 리드동작시 모뎀의 후크오프신호를 L-버스에 전달하기 위한 모뎀버퍼(508,509); L-버스의 어드레스/데이터 버스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방향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양방향 버퍼(501,502); 래치클럭에 따라 양방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어드레스를 래치하는 어드레스 래치(503,504); 래치된 어드레스를 디코딩하는 어드레스 디코더(505); L-버스로부터 리드신호와 라이트신호, 데이터 인에이블신호, 및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보드의 모뎀에 대한 리드/라이트가 이루어지면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검출부(510); 및 모뎀에 대한 리드동작시 모뎀버퍼를 인에이블시키고, 라이트동작시 모뎀래치를 인에이블시키는 칩인에블신호 발생부(510)를 구비하여 모뎀에 링검출신호를 라이트하고, 후크오프신호를 리드하여 모뎀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모뎀 설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망 정합장치의 가입자 모뎀 접속부에 위치한 다수의 모뎀을 프로세서에서 리드/라이트 하기 위한 전화망 정합장치(Telephone Network Access Subsystem: TNAS)의 모뎀 리드/라이트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전화망은 전화 가입자들의 호 요구에 따라 회선교환을 수행하여 망의 다른 가입자에게 음성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망이고, 패킷 교환망은 컴퓨터간에 디지틀 데이터를 패킷 교환을 통해 전달하기 위한 통신망이다. 그리고 이러한 망은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이 추진되면서 서로 통합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아직은 개별적인 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망간에 서비스를 교환하는 절차가 매우 복잡하였다.
공중전화망에는 거의 모든 가정 및 회사들이 가입되어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그 서비스 내용이 주로 음성위주의 전화서비스이다. 그런데 정보화사회가 진전되면서 컴퓨터간 데이터 전달이 광범위하게 요구되고, 각종 정보제공사업자가 등장하면서 패킷망에 대한 접속 요구가 급속히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일반가정에서 사용되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패킷 교환망과 연결되는 형태의 서비스가 증가하게 되었고, 이를 위하여 공중전화망과 패킷망간의 접속에 통신처리시스템(information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이 도입되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통신처리시스템은, 망의 진화가 전개되면서 ISDN망, 프레임 릴레이망, ATM망, 인터넷 등 매우 다양한 망들이 새로이 구축되고 있어 이들을 통합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처리 용량을 더욱 늘리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으로 개선되었다.
도 1은 일반적인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100)은 공중전화망(101)과 접속을 위한 전화망 정합장치(TNAS:110)와, ISDN망(102)과 접속을 위한 ISDN 정합장치(INAS:130), 패킷 통신망(103)과의 접속을 위한 패킷망 정합장치(PNAS:120), 초고속(ATM) 통신망(104)과 접속을 위한 ATM망 정합장치(ANAS:140), 프레임 릴레이망(105)과 접속을 위한 프레임망 정합장치(FNAS:150), 인터텟(106)과 접속을 위한 인터넷 정합장치(KNAS:160), 각 정합장치들을 서로 연결해 주기 위한 고속 스위치 모듈(HSSF:170), 망관리를 위한 단위시스템 관리장치(LOAMS:180) 등으로 구성되어 공중전화망 혹은 ISDN에 연결된 가입자(PC 혹은 하이텔 단말기)를 다른 망에 연결된 정보 제공자(IP)에 접속시켜 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전화망 정합장치(TNAS:110)는 전전자 교환기의 디지틀 중계선(E1 혹은 T1)을 통해 트렁크신호와 정합시키는 기능, 전화망에서 사용되고 있는 번호체계 및 신호방식을 고속 스위치 모듈(170)에 연결시키는 기능, 통계자료 수집 및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정보를 전달하는 기능, 하드웨어 장애시 이를 전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여 공중전화망(101)에 연결된 가입자를 패킷망(103)과 같은 다른 망에 연결된 정보제공자(IP)의 데이터 베이스에 연결시켜 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전화망 정합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하나의 전화망 정합장치가 96채널을 수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전체 시스템은 모두 10개의 전화망 정합장치를 수용하여 전체적으로 960채널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전화망 정합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인터페이스 모듈(TNIF:210), 가입자 모뎀 접속부(Text Data Line interface Assembyl: TDLA; 220,221), 데이터 처리부(Highly Data Processing Assembly: HDPA; 230,231), 서비스처리부(Text Service Processor Assembly: TSPA;250), 및 고속스위치 인터페이스부(High Speed Network Ad아파트er: HSNA; 241)로 구성되고, 트렁크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디지틀 중계선 정합보드(Extended T1 trunk Interface Assembly/ Extended CEPT trunk Interface Assembly: ETIA/ECIA; 211), 집선보드(T1 clock Generation switch Interface/ CEPT clock Generation switch Interface Assembly: TGIA/CGIA;212), 신호처리보드(Text Signal Transition Assemply: STA; 213), 신호변환보드(Universal Signalling Transciever Assembly: USTA; 214), 전화망 정합 프로세서보드(Telephone Network Processor Assembly: TNPA; 215), 경보억세스 제어보드(Alarm Access Control Assembly: AACA; 216)로 구성되어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에 접속된 이용자와 패킷망 등에 구축된 정보제공자를 연동시켜 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처리부(TSPA:250)는 2개의 보드로 이중화되어 고속스위치모듈(High Speed Switching Fabric: HSSF;170)와 연동하기 위한 고속스위치 인터페이스부(HSNA:240,241)와 복수개의 가입자모뎀 접속부(TDLA:220,221), 데이터처리부(HDPA:230,231)를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서비스처리부(TSPA:250)의 주요 기능은 전화망 가입자 인터페이스 및 관리, 가입자 및 정보 제공자의 데이터처리, 고속스위치 인터페이스부(HSNA) 연동, 그리고 서비스 제어 및 자체 유지보수기능 등을 제공한다.
공중전화망 가입자의 신호는 트렁크 정합모듈(TNIF:210)에서 지정 채널이 정해지고, 가입자 모뎀 접속부(TDLA:220,221)의 해당 모뎀을 거쳐 RS-232C 레벨로 데이터처리부(HDPA:230,231)로 전송된다. 이때 하나의 가입자 모뎀 접속부(TDLA)는 16채널을 수용하므로 하나의 서브하이웨이(32채널)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2개의 보드가 조를 이루어 연결되고, 데이터 처리부(HDPA)는 하나의 보드가 32채널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96채널(3개의 서브하이웨이)를 처리하기 위하여 6개의 가입자 모뎀 접속부(TDLA)와 3개의 데이터 처리부(HDPA)를 필요로 한다.
데이터 처리부(HDPA:230,231)는 32채널/PBA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수신된 데이터에 각각 X.3 파라메터를 부여하여 132바이트 단위로 각기 정해진 송수신큐를 통해 서비스 처리부(TSPA:250)에 전송된다. 서비스처리부(TSPA:250)는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고속스위치 인터페이스부(HSNA:240,241)로 전송하며, 고속 스위치 인터페이스부(HSNA:240,241)는 이 데이터를 고속 스위치 모듈(HSSF: 도1의 170)를 통해 해당 패킷망 정합장치(PNAS: 도1의 120)로 전달한다.
서비스 처리부(TSPA:250)의 메인 프로세서로는 모토롤라사의 MC68030/50MHz를 사용하고, 데이터 처리부(HDPA:230,231)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전용 통신 프로세서인 모토롤라사의 MC68360을 이용한다. 그리고 1M 바이트의 공통 메모리를 통하여 인터럽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부(HDPA:230,231)는 모토롤라사의 MC68360을 메인 프로세서로서 사용하고, 4개의 슬레이브 프로세서를 제어한다. 데이터 처리부(HDPA:230,231)의 메인 프로세서는 슬레이브 및 서비스 처리부(TSPA:250)간에 2Mbps 직렬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2에서 디지틀 중계선 정합보드(ETIA/ECIA:211)는 4T1 혹은 3E1을 정합하는데, 4T1의 정합시에는 "ETIA"보드가 사용되고 3E1을 정합할 경우에는 "ECIA"보드가 사용된다. 집선보드(TGIA/CGIA:212))는 기준클럭을 수신하여 시스템 클럭을 발생하고, 서브하이웨이 스위칭 기능을 처리하며, 신호서비스보드(USTA:214)는 국간 중계방식의 표준으로 알려진 R2 MFC 및 DTMF을 처리하며 톤(tone)과 관련된 서비스를 수행한다. 경보억세스제어부(AACA:216)는 하드웨어 경보를 취합하고, 상태 판별하여 유지보수 프로세서에 보고하고, 유지보수 프로세서와 정합기능을 수행한다. 전화망 정합 프로세서(TNPA:215)는 서비스 처리부(TSPA: 250)와 통신을 수행하며, 각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도 2에서 전화망 정합모듈(TNIF:210)은 1.544Mbps T1 혹은 2.048Mbps E1의 PCM 전송라인을 통해 공중전화망(101)과 접속을 제공하고, R2 MFC 신호방식으로 발신 가입자번호를 수집하고, 가입자 정보를 서비스 처리부(TSPA:250)로 송신한다. 그리고 서비스처리부(TSPA:250)에서의 수신이 확인되면 고속 스위치모듈(HSSF:170)를 경유하여 패킷망 정합장치(120)에 접속된 정보제공자(IP)와 연결되도록 한다. 즉, 전화망 정합장치(200-1∼200-10)는 전화가입자의 다양한 모뎀에 대응하여 모뎀을 접속시켜주는 기능, 디지틀 데이터의 멀티플랙싱 기능, 통신 프로토콜 처리기능, 원시 과금 데이터의 수집기능, 서브시스템 자체의 운용 유지보수 기능을 각각 처리한다.
이러한 전화망 정합장치에서 하나의 가입자모뎀 접속부에는 16개의 모뎀이 수용되고, 2개의 가입자 모뎀 접속부가 하나의 서브하이웨이(32채널)를 처리하므로 다수의 모뎀들을 효율적으로 억세스하기 위한 모뎀 리드/라이트 회로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서 프로세서가 L-버스를 통해 모뎀을 제어하기 위한 모뎀 리드/라이트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로는, 공중전화망의 디지틀 트렁크와 접속되어 소정 수의 E1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트렁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서 클럭을 추출하여 망동기 클럭을 제공하고, R2 MFC 시그널링을 처리하며, E1 데이터와 서브하이웨이(SHW)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와 서브하이웨이 데이터를 교환하고, 넌 블로킹 디지틀 스위칭을 처리하며, L-버스를 통해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와 제어정보를 통신하는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 하나의 보드가 16개의 코덱과 16개의 모뎀칩 및 16개의 RS-232C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16채널의 DS0 레벨을 처리하고, 2개의 보드가 조를 이루어 상기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와 하나의 서브하이웨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처리하며, 상기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와 L-버스를 통해 제어정보를 통신하는 복수개의 가입자 모뎀 접속부; 상기 한 조의 가입자모뎀 접속부와 32개의 RS-232C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다중화 및 역다중화하며, 다중화된 데이터를 직렬버스를 통해 출력하는 복수개의 데이터 처리부;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처리부와 직렬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VME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며, 상기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와 S-버스를 통해 호처리관련 제어정보를 교환하며, 전화망 정합장치의 유지보수기능을 처리하는 서비스처리부; 및 상기 서비스처리부와 VME 버스를 통해 연결되고, 고속스위치모듈과 TAXI 버스를 통해 연결되는 고속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특정 어드레스에 대한 L-버스 라이트동작시 모뎀에 링검출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모뎀래치; 특정 어드레스에 대한 L-버스 리드동작시 모뎀의 후크오프신호를 L-버스에 전달하기 위한 모뎀버퍼; L-버스의 어드레스/데이터 버스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방향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양방향 버퍼; 래치클럭에 따라 양방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어드레스를 래치하는 어드레스 래치; 상기 래치된 어드레스를 디코딩하는 어드레스 디코더; L-버스로부터 리드신호와 라이트신호, 데이터 인에이블신호, 및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보드의 모뎀에 대한 리드/라이트가 이루어지면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검출부; 및 상기 제어신호 검출부의 인에이블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코더의 출력을 그대로 상기 모뎀버퍼에 전달하거나 반전시켜 상기 모뎀래치에 전달하여 모뎀에 대한 리드동작시 모뎀버퍼를 인에이블시키고, 라이트동작시 모뎀래치를 인에이블시키는 칩인에블신호 발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종래의 전화망 정합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망 정합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입자 모뎀 접속부의 세부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모뎀에 제어 데이터를 리드/라이트하는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뎀 데이터의 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공중전화망(PSTN) 301: L-버스
302: S-버스 303: RS-232C
304: 직렬버스 305: VME버스
306a,306b: TAXI버스 310: 트렁크 인터페이스부(TNIA)
312: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TPIA) 314: 가입자모뎀 접속부(TDIA)
316: 데이터 처리부(HDPA) 318: 서비스처리부(TSPA)
319a,319b: 고속스위치 인터페이스부 401: L-버스 정합부
402,403: 타임슬롯 할당 제어기 404: 모뎀 제어부
405: 보드 아이디버퍼 406: 버퍼
410-1∼410-16: 코덱 420-1∼420-16: 모뎀
430-1∼430-16: RS-232C인터페이스부 501,502: 양방향 버퍼
503,504: 래치 505: 디코더
506,507: 모뎀 래치 508,509: 모뎀 버퍼
510: 칩인에이블신호 발생부 520: 제어신호검출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망 정합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전화망(101)과 직접 연결되어 4E1을 수용할 수 있는 트렁크 인터페이스부(Telephony Network Interface Assembly: TNIA; 310),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Telephone Processing Interface Assembly: TPIA; 312), 가입자 모뎀 접속부(Text Data Interface Assembly: TDIA;314), 데이터 처리부(Highly Data Processing Assembly: HDPA:316), 서비스 처리부(Text Service Processor Assembly: TSPA;318), 고속스위치 인터페이스부(High Speed Network Ad아파트er: HSNA; 319a,319b)로 구성된다.
도 3을 도 2와 비교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망 정합장치는 매우 컴팩트한 구조인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16채널을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 모뎀 접속부(314)가 2조를 이루어 하나의 서브하이웨이(SHW: 32채널)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4E1을 처리하기 위하여 2x4 = 8개의 보드를 필요로 하고, 데이터 처리부(316)가 이에 대응하여 4개의 보드(32채널/보드)를 필요로 한다.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서비스 처리부(318)는 이중화되어 있으며, 고속 스위치 인터페이스부(319a,319b)도 이중화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렁크 인터페이스부(TNIA:310)는 공중전화망(101)과 연결되어 4E1을 수용할 수 있으며, 타임 슬롯을 스위칭하여 4개의 서브하이웨이(SHW)를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312)와 연결하여 디지틀 트렁크 인터페이스(TLI)기능 및 링크 신호 정합(LSI)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트렁크 인터페이스부(TNIA:310)는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312)와 L버스(301)를 통해 연결되어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TPIA:312)의 제어를 받아 CEPT 방식을 사용하는 공중전화망(PSTN:101)의 국간 중계회로와 정합하며, 톤(Tone) 및 R2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중계선의 신호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때, CEPT방식(E1)의 전송속도는 "2.048Mbps"이고, 라인코드는 "HDB3"를 사용한다.
또한 트렁크 인터페이스부(TNIA:310)는 R2 신호를 수용하며, 링-백(RING BACK) 톤을 제공하고, 트렁크 라인의 전송 비트를 동기시키기 위한 망동기회로를 내장하며, 입력 클럭으로는 트렁크 라인으로부터 추출한 2.048 MHz 클럭이 사용되고,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10)의 망동기회로에서 생성되는 로컬 클럭은 16.384 MHz이다. 즉,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10)는 망동기회로가 구비되어 트렁크 라인으로부터 추출된 2.048 MHz에 동기된 16.384 MHz를 발생한 후, 이를 분주하여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312)와 가입자모뎀 접속부(314)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클럭(4M, 2M, 8KHz 클럭)을 제공한다.
이러한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송신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살펴보면,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TPIA:312)의 디지틀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32개의 타임 슬롯으로 이루어진 4개의 서브하이웨이(SHW0∼SHW3) 데이터가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10)의 디지틀 스위치(MT8980)에서 채널 정합되어 CEPT 프레이머로 입력된다.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10)의 CEPT 프레이머는 서브하이웨이 데이터(SHW Data), 신호 데이터(Signalling Data)를 CEPT 포맷으로 포맷팅하고, 라인 인터페이스부에서 HDB3 라인 코딩한 후 유니폴라-바이폴라(U/B) 변환하여 CEPT 방식 PCM 중계선으로 출력한다.
반대로, 수신과정은 PCM 중계선으로부터 CEPT 포맷 데이터를 입력받아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10)에서 타임 슬롯 스위칭하여 서브하이웨이 데이터로 접속하고, 각종 경보 및 에러검출, 시그날링을 처리한다. 이때 필요로 하는 프레임 동기(FS:8KHz)클럭과 4MHz 클럭은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10)의 망동기회로에서 생성된다.
한편, 트렁크 인터페이스부(TNIA:310)의 링크 시그날링 정합(LSI)기능은 R2 MFC 신호 송/수신 및 톤 공급 기능이다.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10)에서는 트렁크 라인으로부터 시져(seizer) 요구를 수신하게 되면, 시져(seizer) 요구정보를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TPIA:312)로 송신하고,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TPIA:312)는 트렁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채널을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의 R2신호 수신처리부로 연결한다. 트렁크 인터페이스부(TNIA:310)는 트렁크 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한 후 번역하여 다시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TPIA:312)로 송신하고, R2 신호방식에서는 요구하는 포워드 및 백워드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10)는 톤(tone) 제공기능을 수행하는데, 시스템 특성상 링백 톤(ring back tone)만을 요구하므로 톤 채널을 할당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TPIA:312)는 트렁크 인터페이스부(TNIA:310)와 가입자 모뎀 접속부(TDIA:314)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벤트에 대해서 제어 프로세싱을 L-버스(301)를 통해 처리하며, 자신이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각종 경보를 취합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S 버스(302)를 통해 상위 프로세서인 서비스 처리부(TSPA:318)와 호 관련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TPIA:312)는 회로, 전력, 부품밀도 등을 감소시키고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모토롤라사의 멀티 프로토콜 프로세서(MC68302 IMP)를 채택하고 있다. 모토롤라사의 MC68302는 기존의 68000 CPU에 제어구조를 필요로하는 각종 주변소자들을 내부에 가지고 있는 고기능 처리장치로서, 통상의 프로세서에서 필요한 각종 인터페이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가입자 모뎀 접속부(TDIA:3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406), 코덱(CODEC:410-1∼410-16), 모뎀(420-1∼420-6), RS232C 인터페이스부(430-1∼430-16),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TPIA:312)와 L-버스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L-버스 정합부(401), 타임 슬롯 할당 제어기(402,403), 모뎀에 제어데이터를 리드/라이트 하기 위한 모뎀 제어부(404), 보드 아이디 버퍼(405)로 구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가입자 모뎀 접속부(314)는 16개의 코덱(CODEC:410-1∼410-16), 16개의 모뎀(420-1∼420-16), 16개의 RS-232C 인터페이스부(430-1∼430-16)를 각각 구비하여 16 채널을 수용하며, 2개의 보드가 조를 이루어 하나의 서브하이웨이(32채널)를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입자 모뎀 접속부(314)는 공중전화망(101)에 접속된 정보검색 단말기를 정합하기 위한 텍스트 데이터 라인 인터페이스보드로서, 트렁크 인터페이스부(TNIA:310)를 경유하는 전화망의 정보검색 단말기 가입자와 데이터 처리부(HDPA:316) 사이의 정합을 제공한다. 또한 정보검색 단말기의 모듈레이션 방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 가능한 모드를 제공한다. 한 보드당 16채널을 수용하고 있으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10) 및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312)와는 L-버스(30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가입자 모뎀 접속부(TDIA:314)는 데이터 처리부(HDPA:316)로부터 입력된 디지틀 데이터를 변조하여 그 신호를 여파한 후 PCM방식에 의해 디지틀 부호신호로 변환시켜 다중 통화로에 집선시킨다. 또한 역으로 PCM신호를 복조한 후 데이터 처리부(HDPA:316)로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처리부(TSPA:318)는 고속 상호접속모듈(HSSF:도1의 170)와 연동하기 위한 고속스위치 인터페이스부(HSNA:319a,319b)와 데이터 처리부(HDPA:316)를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서비스처리부(TSPA:318)의 주요 기능은 전화망 가입자의 인터페이스 및 관리, 가입자 및 정보제공자의 데이터처리, 고속스위치 인터페이스부(HSNA)와의 연동, 그리고 서비스 제어 및 자체 유지보수기능 등을 제공한다.
데이터 처리부(HDPA:316)는 32채널/보드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수신된 데이터에 각각 X.3 파라메터를 부여하여 132바이트 단위로 각기 정해진 송수신큐를 통해 서비스 처리부(TSPA:318)에 전송한다. 서비스처리부(TSPA:318)는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VME버스(305)를 통해 고속 스위치 인터페이스부(HSNA:319a,319b)로 전송하며, 고속 스위치 인터페이스부(HSNA:319a,319b)는 이 데이터를 고속 스위치 모듈(HSSF: 도 1의 170)을 통해 해당 패킷망 정합장치(PNAS: 도1의 120)로 전달한다.
서비스 처리부(TSPA:318)의 메인 프로세서로는 모토롤라사의 MC68030/50MHz를 사용하고, 데이터 처리부(HDPA:316)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IPC 전용 통신 프로세서인 모토롤라사의 MC68360을 이용한다. 그리고 1M 바이트의 공통 메모리를 통하여 인터럽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부(HDPA:316)는 모토롤라사의 MC68360/25MHz를 메인 프로세서로 사용하고, 4개의 슬레이브 프로세서를 제어한다. 데이터처리부(HDPA:316)의 메인 프로세서는 슬레이브 및 서비스처리부(TSPA:318)와 2Mbps 직렬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3에서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10)와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312), 및 가입자 모뎀 접속부(314)는 L-버스(301)에 의해 연결되고,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312)와 서비스처리부(318)는 S-버스(302)로 연결되며, 데이터 처리부(316)와 서비스처리부(318)는 직렬버스(304)로 연결된다. 서비스처리부(318)와 고속스위치 인터페이스부(319a,319b)는 VME 버스(305)를 통해 연결되고, 가입자 모뎀 접속부(314)와 데이터 처리부(316)는 다수의 RS-232C(303)로 연결되며, 고속 스위치 인터페이스부(319a,319b)는 고속 스위치 모듈(HSSF)과 TAXI 버스(100Mbps:306a,306b)를 통해 연결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입자 모뎀 접속부의 세부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뎀 리드/라이트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입자 모뎀 접속부(TDIA)는 서브하이웨이(SHW)를 통해 PCM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로와, L-버스를 통해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TPIA)로부터 제어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로로 크게 구분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가입자 모뎀 접속부(400)는 16개의 코덱(410-1∼410-16)과 16개의 모뎀(420-1∼420-16), 16개의 RS232C 인터페이스(430-1∼430-16)가 구비되어 16채널을 수용하고 있고, 하나의 서브하이웨이는 2개의 가입자 모뎀 접속부를 통해 처리된다.
버퍼(406)를 통해 트렁크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서브하이웨이(SHW0)에는 32채널이 실려 있고, 이 타임슬롯은 코덱(410-1∼410-16)에서 하나가 선택되어 디코딩된다. 이때 선택되는 타임 슬롯은 타임슬롯 할당제어기의 프레임 동기신호(FS0∼FS15)에 의해 정해진다. 코덱(410-1∼410-16)에서 디코딩된 아날로그 음성대역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수신증폭기에서 증폭된 후 모뎀(420-1∼420-16)으로 입력되고, 모뎀에서 복조되어 디지틀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디지틀 데이터는 RS-232C 정합부(430-1∼430-16)를 통해 수신 데이터로서 데이터 처리부(HDPA)로 출력된다.
반대로, 데이터 처리부(HDPA)로부터 RS-232C 정합부(430-1∼430-16)로 수신된 송신 디지틀 데이터는 송신 데이터 단자를 통해 모뎀(420-1∼420-16)으로 입력되고, 모뎀(410-1∼410-16)에서 아날로그 음성대역신호로 변조되어 도시되지 않은 송신 증폭기를 통해 코덱(410-1∼410-16)으로 입력되고, 코덱(410-1∼410-16)에서 PCM 데이터로 코딩되어 버퍼(406)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송수신 PCM 데이터는 8bit x 8KHz= 64 Kbit/s의 레이트를 갖고, 음성대역은 통상 300Hz ∼ 3400Hz이다. 모뎀과 데이터 처리부와의 RS-232C 인터페이스에는 TXD, RXD, DTR, CTS, DCD 신호선이 사용되며 각 신호선의 의미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다.
한편,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TPIA)와 가입자 모뎀 접속부(TDIA) 사이의 제어 데이터는 L-버스 정합부(401)와 타임슬롯 할당제어기(402,403), 모뎀 제어부(404), 보드아이디 버퍼(405)를 통해 전달된다.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가 보드아이디 버퍼(405)를 리드신호(/SRD)로 인에이블시킨 후 보드 아이디를 읽어가고, 프로세서가 L-버스상에 소정 어드레스와 데이터를 라이트하면 가입자 모뎀 접속부를 통해 제어 데이터를 래치하여 타임슬롯 할당을 위해 사용한다. 이때, L-버스로부터 래치한 8비트 제어 데이터는 CLK, DATA, CH0, CH1, CH2, CS0, CS1 이다. CLK는 DATA 선을 통해 입력되는 8비트 직렬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클럭이고, CH0∼CH2는 타임슬롯 할당제어기(402,403)가 할당할 수 있는 8개의 채널중에서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이며, CS0은 16개의 채널을 위해 사용되는 2개의 타임슬롯 할당제어기(402,403)에서 제1 타임슬롯 할당제어기(402)를 선택하기 위한 칩선택신호이고, CS1은 제2 타임 슬롯 할당 제어기(403)를 선택하기 위한 칩선택신호이다.
따라서 제1 타임슬롯 할당제어기(402)와 제2 타임슬롯 할당제어기(403)는 제어 데이터를 입력받아 FS0부터 FS15까지 16개의 타임슬롯을 선택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신호를 발생하여 해당 코덱으로 제공한다.
또한 모뎀제어부(404)는 어드레스 버퍼를 구비하여 소정 어드레스가 입력될 경우 모뎀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전달받아 모뎀을 리드/라이트 하는데, 예컨대 소정 어드레스를 출력한 후 소정 데이터를 라이트하면 16개의 모뎀부의 모뎀칩들 중 해당 칩을 기동시키기 위한 링검출신호(RINGD 0∼ RINGD 15)를 제공하게 되고, 소정 어드레스를 출력한 후 데이터를 리드하면 16개의 모뎀부의 후크 오프(Hook OFF)상태를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TPIA)가 읽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이 L-버스를 통해 가입자 모뎀 접속부(TDIA)와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TPIA) 사이에 이루어지는 동작은 다음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별로 정해진 어드레스에 따라 특정한 보드를 억세스하여 타임슬롯 할당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라이트하거나 보드 아이디를 리드, 혹은 링검출신호(RINGD)를 라이트하거나 후크 오프신호(HOOK OFF)를 리드하는 동작이다.
[표]
어드레스(16진수) | 리드/라이트 | 제어대상보드 | 제어동작 |
201000 | 라이트 | TDIA1 | 타임슬롯 할당 제어 |
201002 | 리드 | " | 보드아이디 리드 |
201004 | 라이트 | " | 링검출신호 라이트 |
201006 | 리드 | " | 후크 오프상태 리드 |
202000 | 라이트 | TDIA2 | 타임슬롯 할당 제어 |
202002 | 리드 | " | 보드아이디 리드 |
202004 | 라이트 | " | 링검출신호 라이트 |
202006 | 리드 | " | 후크 오프상태 리드 |
203000 | 라이트 | TDIA3 | 타임슬롯 할당 제어 |
203002 | 리드 | " | 보드아이디 리드 |
203004 | 라이트 | " | 링검출신호 라이트 |
203006 | 리드 | " | 후크 오프상태 리드 |
204000 | 라이트 | TDIA4 | 타임슬롯 할당 제어 |
204002 | 리드 | " | 보드아이디 리드 |
204004 | 라이트 | " | 링검출신호 라이트 |
204006 | 리드 | " | 후크 오프상태 리드 |
205000 | 라이트 | TDIA5 | 타임슬롯 할당 제어 |
205002 | 리드 | " | 보드아이디 리드 |
205004 | 라이트 | " | 링검출신호 라이트 |
205006 | 리드 | " | 후크 오프상태 리드 |
206000 | 라이트 | TDIA6 | 타임슬롯 할당 제어 |
206002 | 리드 | " | 보드아이디 리드 |
206004 | 라이트 | " | 링검출신호 라이트 |
206006 | 리드 | " | 후크 오프상태 리드 |
상기 표에서와 같이 각 보드에 대한 제어동작은 다수의 모뎀들에 타임 슬롯을 할당하기 위한 타임슬롯 할당제어(라이트), 보드식별을 위해 보드 아이디를 읽어가기 위한 보드 아이디 리드, 모뎀을 기동시키기 위하여 모뎀에 링검출신호(RINGD)를 라이트하는 모뎀 라이트, 모뎀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후크오프신호(HOOK OFF)를 읽어가는 모뎀 리드동작이 있다. 이러한 제어동작은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정 어드레스에 대한 L-버스 리드/라이트 동작으로 수행되는데, 예컨대, TDIA 5 보드의 특정 모뎀을 기동시키기 위해서는 "205004H"번지에 특정 데이터를 라이트한다.
여기서, L-버스를 간단히 살펴보면, L-버스는 신호선을 줄이기 위해 어드레스와 데이터선이 멀티플랙스되어 있고, 자체에서 외부 디바이스를 23개까지 어드레싱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AD15-0는 어드레스와 데이터가 시간을 달리하여 실리는 멀티플랙스 버스이다. 어드레스 15-0가 어드레스 인에이블(/AE)신호가 액티브된 동안에 먼저 실리고, 이어 데이터 15-0가 데이터 인에이블(/DE)신호가 액티브된 동안에 실린다. 디바이스 선택(/SEL17-0)신호는 프로세서가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어드레스이고, SCLK는 버스의 시스템 클럭이다. 어드레스 인에이블(/AE)신호는 AD15-0 버스에 어드레스가 실려 있음을 나타내며, 이 신호가 로우이고 첫 번째 SCLK의 폴링 에지에서 어드레스가 유효함을 나타낸다. 데이터 인에이블(/DE)신호는 AD 15-0 버스에 데이터가 실려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이신호가 로우가 되고 첫 번째 SCLK 라이징 에지에서 데이터가 유효함을 나타낸다. 리드(/SRD)신호는 프로세서가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읽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이고, 라이트(/SWR)신호는 프로세서가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쓰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대기(/WAIT)신호는 디바이스에 딜레이(예컨대, 처리속도가 느린 디바이스)가 있어 어드레스 래치 후 바로 데이터를 싣지 못할 경우 디바이스가 프로세서에게 기다리도록 요청하는 신호로서, 디바이스에서 로우로 출력한다. 데이터 종류(/CD)신호는 일반 데이터일 경우에는 하이이고, CODEC 데이터 일 경우에는 로우이며, 버스폭(/BW)신호는 운용되는 데이터가 바이트이면 하이이고 워드이면 로우이다. 여기서, 신호 앞에 "/"는 액티브 로우 신호임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뎀 리드/라이트 회로는 양방향 버퍼(501,502), 어드레스 래치(503,504), 디코더(505), 칩인에이블신호 발생부(510), 제어신호 검출부(520), 모뎀래치(506,507), 모뎀버퍼(508,509)로 이루어진다.
L버스의 AD15-AD0버스는 양방향 버퍼(501,502)에 연결되어 있고, 양방향 버퍼의 어드레스 출력은 제1 래치(503)와 제2 래치(504)에 의해 래치되며, 양방향 버퍼(501,502)의 데이터는 제1 모뎀래치(506)와 제2 모뎀래치(507)에 의해 래치된다. 그리고 모뎀의 후크 오프(HOOK OFF)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제1 모뎀버퍼(508)와 제2 모뎀버퍼(509)는 양방향 버퍼(501,502)에 연결된다.
예컨대, TDIA 1의 특정 모뎀을 기동시키기 위하여 모뎀에 링검출신호(RINGD)를 라이트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프로세서가 L버스를 통해 해당 보드의 선택신호를 액티브 로우로 활성화시킨 후, 상기 표에 따라 특정 어드레스를 출력하고, 어드레스 인에이블(/AE)신호를 액티브 로우로 한다. 양방향 버퍼(501,502)는 보드 선택신호(/SEL)가 로우가 되면 인에이블되고, 리드/라이트신호에 따라 데이터 전달방향이 정해진다. 모뎀 라이트 동작이므로 양방향 버퍼(501,502)는 L버스로부터 모뎀측으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AD15-0버스상의 어드레스는 양방향 버퍼(501,502)를 통해 제1 래치(503)와 제2 래치(504)에 의해 래치된다. 따라서 제1 래치(503)와 제2 래치(504)는 16비트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디코더(505)는 A1, A2, A3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디코딩신호를 출력하고, 제어신호 검출부(520)는 L-버스의 리드(/SRD)신호, 라이트(/SWR)신호, 디바이스 선택(/SEL)신호, 데이터 인에이블(/DE)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보드에 대한 리드 혹은 라이트동작이 이루어지면 칩인에이블신호 발생부(510)를 인에이블시킨다. 칩인에이블신호 발생부(510)는 제어신호 검출부(520)로부터 인에이블신호를 받으면 디코더(505)의 디코딩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칩들을 인에이블시킨다.
예컨대, L-버스로부터 "201004H" 어드레스에 대한 라이트동작이면 칩인에이블신호 발생부(510)는 제1 모뎀래치(506)와 제2 모뎀래치(507)를 인에이블시켜 양방향 버퍼(501,50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여 모뎀에 링검출신호(RONGD)를 전달한다. 링검출신호(RINGD) 로우가 되면 해당 모뎀은 기동하게 되고, 하이가되면 해당 모뎀은 아이들 상태가 된다.
L-버스로부터 "201006H" 어드레스에 대한 리드동작이면 칩인에이블신호 발생부(510)는 제1 모뎀버퍼(508)와 제2 모뎀버퍼(509)를 인에이블시켜 각 모뎀이 제공하는 후크오프(HOOK OFF)신호를 양방향 버퍼(501,502)를 통해 L-버스측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모뎀 리드동작에 의해 각 모뎀들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데, 후크 오프(HOOK OFF)신호가 로우이면 해당 모뎀은 동작 중(HOOK OFF)임을 나타내고, 하이이면 해당 모뎀은 아이들 상태(HOOK ON)임을 나타낸다.
제어신호 검출부(520)에서 리드(/SRD)신호와 라이트(/SWR)신호는 엔드게이트(521)에서 논리곱 연산이 수행되고, 데이터 인에이블(/DE)신호와 선택(/SEL)신호는 오아게이트(522)에서 논리합 연산되며, 엔드게이트(521)와 오아게이트(522)의 출력은 오아게이트(523)에서 논리합 연산된다.
칩인에이블신호 발생부(510)는 디코더(505)의 출력과 제어신호 검출부(520)의 출력을 각 오아게이트(511,513,514,516)에서 논리합 연산한 후, 오아게이트(511)와 오아게이트(514)의 출력은 인버터(512,515)를 통해 제1 모뎀래치(506)와 제2 모뎀래치(507)에 전달되고, 오아게이트(513)와 오아게이트(516)의 출력은 제1모뎀버퍼(508)와 제2 모뎀버퍼(509)에 전달된다. 이때 인버터(512)와 인버터(515)는 라이트 동작시에 제1 모뎀 래치(506)와 제2 모뎀 래치(507)를 인에이블시키고, 오아게이트(513)와 오아게이트(516)의 출력은 리드 동작시에 제1 모뎀버퍼(508)와 제2 모뎀버퍼(509)를 인에이블시킨다.
이때 제1 모뎀버퍼(508)와 제2 모뎀버퍼(509)에 의해 전달되는 16비트의 데이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개의 모뎀에 대한 후크오프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2010006H" 어드레스로 데이터를 읽어갈 때 D15만 0이고, D14 내지 D0가 1이면 MOD15로 16번째 모뎀이 후크 오프인 것을 알 수 있다. 유사하게 D0∼D15값에 따라 MOD0부터 MOD14까지 각 모뎀의 후크오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는 다수의 모뎀을 효율적인 절차에 따라 리드/라이트하여 모뎀을 웨이크업시키거나 모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모뎀에 링검출신호를 라이트하고, 후크오프신호를 리드하여 모뎀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모뎀 설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 공중전화망의 디지틀 트렁크와 접속되어 소정 수의 E1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트렁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서 클럭을 추출하여 망동기 클럭을 제공하고, R2 MFC 시그널링을 처리하며, E1 데이터와 서브하이웨이(SHW)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10);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와 서브하이웨이 데이터를 교환하고, 넌 블로킹 디지틀 스위칭을 처리하며, L-버스를 통해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와 제어정보를 통신하는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312); 하나의 보드가 16개의 코덱과 16개의 모뎀칩 및 16개의 RS-232C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16채널의 DS0 레벨을 처리하고, 2개의 보드가 조를 이루어 상기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와 하나의 서브하이웨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처리하며, 상기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와 L-버스를 통해 제어정보를 통신하는 복수개의 가입자 모뎀 접속부(314); 상기 한 조의 가입자모뎀 접속부와 32개의 RS-232C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다중화 및 역다중화하며, 다중화된 데이터를 직렬버스를 통해 출력하는 복수개의 데이터 처리부(316);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처리부와 직렬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VME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며, 상기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와 S-버스를 통해 호처리관련 제어정보를 교환하며, 전화망 정합장치의 유지보수기능을 처리하는 서비스처리부(318); 및 상기 서비스처리부와 VME 버스를 통해 연결되고, 고속스위치모듈과 TAXI 버스를 통해 연결되는 고속 스위치 인터페이스부(319a,319b)를 구비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특정 어드레스에 대한 L-버스 라이트동작시 모뎀에 링검출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모뎀래치(506,507);특정 어드레스에 대한 L-버스 리드동작시 모뎀의 후크오프신호를 L-버스에 전달하기 위한 모뎀버퍼(508,509);L-버스의 어드레스/데이터 버스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방향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양방향 버퍼(501,502);래치클럭에 따라 양방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어드레스를 래치하는 어드레스 래치(503,504);상기 래치된 어드레스를 디코딩하는 어드레스 디코더(505);L-버스로부터 리드신호와 라이트신호, 데이터 인에이블신호, 및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보드의 모뎀에 대한 리드/라이트가 이루어지면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검출부(510); 및상기 제어신호 검출부의 인에이블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코더의 출력을 그대로 상기 모뎀버퍼에 전달하거나 반전시켜 상기 모뎀래치에 전달하여 모뎀에 대한 리드동작시 모뎀버퍼를 인에이블시키고, 라이트동작시 모뎀래치를 인에이블시키는 칩인에블신호 발생부(5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모뎀 리드/라이트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검출부는 하나의 앤드게이트와 복수개의 오아게이트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모뎀 리드/라이트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칩인에이블신호 발생부는 4개의 오아게이트와 2개의 인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모뎀 리드/라이트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26718A KR100230835B1 (ko) | 1997-06-24 | 1997-06-24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모뎀 리드/라이트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26718A KR100230835B1 (ko) | 1997-06-24 | 1997-06-24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모뎀 리드/라이트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2956A KR19990002956A (ko) | 1999-01-15 |
KR100230835B1 true KR100230835B1 (ko) | 1999-11-15 |
Family
ID=1951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26718A KR100230835B1 (ko) | 1997-06-24 | 1997-06-24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모뎀 리드/라이트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30835B1 (ko) |
-
1997
- 1997-06-24 KR KR1019970026718A patent/KR10023083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2956A (ko) | 1999-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95359B1 (en) | Intelligent router for remote internet access | |
JPH0736573B2 (ja) | サービス総合ディジタル網のためのディジタルサブスクライバターミナルを一体化した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 |
JPS61500403A (ja) | 多重モ−ドデ−タ通信システム | |
US6072794A (en) | Digital trunk interface unit for use in remote access system | |
JP2847138B2 (ja) | プログラム可能タイムスロット割当器マルチプレクサおよびその同期方法 | |
US600909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private exchange to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
KR100230835B1 (ko)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모뎀 리드/라이트회로 | |
KR100230833B1 (ko)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모뎀 타임슬롯 할당회로 | |
KR100252496B1 (ko)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 |
KR100237465B1 (ko)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경보처리회로 | |
US5751714A (en) | Time division multiplex frame slot assignment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telephone stations on a token ring network | |
KR100252497B1 (ko)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l-버스를 이용한 데이터 전달방법 | |
KR100476793B1 (ko) | 원격통신네트워크에서사용하기위한메시징프로토콜 | |
KR19990002953A (ko)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모뎀 설정방법 | |
KR100252834B1 (ko) |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교환기의 씨씨에스 넘버.7 국간 신호 장치 | |
KR19990047195A (ko)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망정합 기능을갖는 신호처리보드 | |
KR100353866B1 (ko) |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정합모듈의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 |
KR100289577B1 (ko) |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중계선 정합보드 | |
KR100299660B1 (ko) | 통신처리시스템의중계선채널과다중모뎀채널의통화로설정방법및전화망정합장치 | |
KR100230834B1 (ko)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모뎀 웨이크업 장치 | |
KR19990035430A (ko)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 있어서 56k모뎀의 멀티프레임 동기신호 발생장치 | |
KR100249842B1 (ko) | 교환기 및 단말기용 에이디에스엘 장치 | |
US766416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odem sample rates on a digital audio interface within a direct access arrangement circuit | |
KR100265354B1 (ko) | 종합정보통신망(isdn)용 소용량 스위칭 시스템 | |
KR20000046384A (ko) |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모뎀 할당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