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864B1 -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 Google Patents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864B1
KR100485864B1 KR10-2001-0087209A KR20010087209A KR100485864B1 KR 100485864 B1 KR100485864 B1 KR 100485864B1 KR 20010087209 A KR20010087209 A KR 20010087209A KR 100485864 B1 KR100485864 B1 KR 100485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ode
sound
user
mobile communication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6877A (ko
Inventor
최중인
Original Assignee
최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중인 filed Critical 최중인
Priority to KR10-2001-0087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864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864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음향바코드를 포함하는 벨소리로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내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업체(130)와 단말기업체(190) 및 외부시스템(110)이 연동되는 유/무선 인터넷(20)과 이동통신망 플랫폼을 갖고, 외부시스템(110)과 연동하여서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음향바코드(140)로 만들기 위해서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 142)로 음향바코드배열(143)을 생성하는 음향바코드 솔루션(120)과, 음향바코드(140)를 음향바코드 DB(150)에 기록 관리하는 음향바코드 관리기(160)와, 음향바코드(140)를 인식하여 사용자(화자)의 인증 허여를 판단하는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170)과, 음향바코드(140)를 단음 또는 복합음 형태의 벨소리로 변환하는 벨소리 변환기(180)로 이루어진 시스템 서버(100)를 포함하되, 벨소리로 변환된 음향바코드(140)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로 다운로드시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VERIFICATION SYSTEM USING SOUND BAR-CODE COMBINED WITH BELL SOUND}
본 발명은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벨소리에 포함된 음향바코드로 유/무선 통신의 회원 인증시스템, 전자상거래시의 과금시스템, 인터넷 뱅킹, ATM(Automatic Teller Machine), 자동판매기, 키오스크 가판대, 건물의 키 보안 체계의 사용자(화자) 인증에 사용되는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일반 전화망, 사설 네트워크망 등과 같이 불특정 다수가 접근 가능한 네트웍에서는 시스템 보안과 실제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해서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런 로그인 과정에서는 사용자임을 증명하는 키 인증 혹은 사용자 확인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통상적으로 인터넷에서는 쿠키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거나, 공인된 단체의 인증키를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여 자신이 바로 네트웍의 사용자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물론, 건물을 출입함에 있어서, 열쇠, 사원 카드 등을 사용하거나, 도어 잠금 및 보안 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의 키 입력 방식을 애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네트웍 사용자 수가 날로 증가함과 동시에, 보이스 웹,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넷 음성 정보 ARS 시스템,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지능형 보안 시스템 등과 같이 거대 네트웍의 진화 과정을 행보중인 정보 기술 분야에서는 더욱 안전하고 사용상 용이한 인증 시스템과 보안 솔루션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현실이다.
예컨대, 사용상 용이한 인증 시스템의 한 종류로 생체인증 기술을 꼽을 수 있다. 생체인증 기술은 사람의 홍채, 지문, 정맥, 음성들을 시스템의 인증서버가 판단하여 사용자임을 구별하는 최첨단 인증 기술을 뜻한다.
특히, 사용자 음성을 이용하는 생체인증 기술인 화자인증(speaker verification) 기술은 개개인이 갖고 있는 독특한 음성의 특징을 이용하여 정보시스템이 본인여부를 인증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자인증 기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자인증을 원하는 이용자가 신규사용자 등록부(30)에 자신의 음성을 반복적으로(최소 3회 이상) 녹음한다. 이때, 신규사용자 등록부(30)의 상이성 검사수단(32)은 반복적인 음성들을 서로 비교하여, 한정된 오차 범위내에서 음성들간의 상이성을 검사하며, 이를 통과한 이용자(30)의 음성암호(화자모델)(33)를 음성암호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한다.
이후, 인증절차를 수행하려는 이용자는 음성암호 인증부(31)를 통해서 자신의 음성암호를 발성하고, 이때, 음성암호 인증부(31)는 음성암호 데이터베이스(34)상에 미리 구축한 음성암호(33)와 이용자가 인증 절차시에 발성한 음성암호를 비교한다. 이때, 음성암호 인증부(31)는 52개 음소로 이루어진 음소모델(36)을 이용하여 다원적으로 비교 절차를 수행하고, 소정 알고리즘에 의한 인증처리과정(35)을 진행함으로써, 이용자의 인증 허여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화자적응 수단(37)은 7∼10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사용자의 목소리의 변화를 매 인증 시마다 화자적응 단계를 통해서 음성암호 데이터베이스(34)에 자동적으로 반영한다.
그러나, 종래의 화자인증 기법은 사람의 목소리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인증 성공률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인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 화자적응 단계와 같은 보완책을 수행하고 있으나, 이 또한 이용자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7∼10일 내에 로그인하지 않게 되면, 인식률이 급격하게 떨어짐과 동시에, 이용자 음성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가 없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어서, 상용화에 따른 많은 연구와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의 화자인증 기법은 화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음성인식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므로, 상용 바코드나 카드인식과 같은 일관성 있는 식별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화자인증 기법 이외에도, 지문, 홍채, 정맥 인식과 같은 최첨단 기술과 기존의 스마트 카드를 통한 인증 시스템은 별도로 특수하게 고안된 리더기(reader)가 필요하고, 따라서, 기존의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는 일반적인 입력 수단(전화, 마이크 등)과의 호환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과 함께 시스템 구축에 따른 경제적 부담감이 매우 커서, 상용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2000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77517호의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을 개시한 바 있다.
음향바코드는 일반 바코드 로직을 사용자 음성 또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고유번호를 음향의 패턴, 즉 음의 크기 및 지속 시간, 맵시로 고유화시켜서 타인의 것과 완전 구별되는 소리로 만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향바코드를 전화기나 마이크로 입력시켜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본 출원인은 상기 특허에서 음향바코드(소리 파일)를 생성 후 저장하고 재생하는 방법으로, 신용카드 혹은 키걸이 등에 하드웨어 칩을 저장시키고, 이를 내장된 전원(압전소자에 의한 전력 발생도 가능)으로 재생시키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앞서 언급한 음향바코드가 하드웨어 칩에 녹음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보안을 위해서 음향바코드를 바꾸거나 폐기하는 것이 불편하며, 대한민국의 대다수 국민들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음향바코드를 벨소리에 담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연구와 노력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유음향패턴을 부여한 음향바코드를 벨소리에 포함시킨 후, 대부분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로 다운로드시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음향발생소자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음향바코드의 생성, 저장, 재생이 용이하며, 필요한 경우 음향바코드를 수시로 바꿀 수 있는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업체와 단말기업체 및 외부시스템이 연동되는 유/무선 인터넷과 이동통신망 플랫폼을 갖는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음향바코드로 생성하도록 음향바코드 부여체계에 따라 음향바코드배열을 생성하는 음향바코드 솔루션과, 상기 음향바코드를 음향바코드 DB에 기록 관리하는 음향바코드 관리기와, 상기 음향바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인증 허여를 판단하는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과, 상기 음향바코드를 단음 또는 복합음 형태의 벨소리로 변환하는 벨소리 변환기로 이루어진 시스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벨소리 변환기에 의해 벨소리로 변환된 음향바코드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재생되는 음향바코드를 상기 음향 바코드 인식 모듈에 의해 미리 저장된 음향바코드 DB상의 원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또한, 상기 음향바코드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과금서비스에서 생성한 핀(PIN)번호인 금융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와, 주식 거래용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와, 이동통신서비스의 과금을 위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2진수로 코드화한 음향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향바코드 생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음향바코드 인증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식별을 위한 인증방법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직접 녹음하여서 식별력과 보안성을 갖는 음향바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현재의 상용 벨소리 생성 기술(단음, 복합음 등)로 가공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 PDA, 핸드PC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로 제공한다.
여기에서, 음향바코드는 통상의 바코드와 같이, 확실하게 식별이 가능한 무한히 많은 고유음향패턴을 부여하는 기법으로서, 전화 또는 마이크가 있는 컴퓨터 단말기를 통하여 원격 인증이 가능하다. 즉, 음향바코드는 통상의 바코드 생성에서 규격화된 바의 간격과 굵기를 달리하여 바코드를 부여하듯이, 화자 음성의 진폭과 주기를 달리하여 규격화된 체계적으로 부여된 음향패턴을 의미한다.
이런 음향바코드를 사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업체(130)와 단말기업체(190) 및 외부시스템(110)이 연동되는 유/무선 인터넷 및 이동통신망 플랫폼을 갖는다.
특히, 벨소리는 이동통신업체(130) 및 관련 업체의 단음과 복합음을 이용한 상용 벨소리 생성 기술로 제작된 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음향바코드와 믹싱(mixing) 또는 변조되어서 제작된다. 또한,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액세스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10)는 인증 메뉴와 음향바코드를 기록/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 상의 인증 메뉴는 단말기업체(190)에 의해 장착된 단말기 운영소프트웨어로 운영된다. 예컨대, 단말기 운영소프트웨어로 운영될 인증 메뉴는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 다운 메뉴와, 선택 메뉴와, 음향바코드용 비밀번호 입력메뉴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화 통화와 비 통화시에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시스템(110)은 예컨대, 네트워크가 가능한 자동판매기(90)와 키오스크 가판대(91)와 현금자동인출기(92 : 이하 'ATM'이라 함)와, 인터넷 뱅킹(93)과, 주식 매매 시스템(94) 등과 같은 컴퓨팅 단말기들을 포함하여서 본 발명의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생성 및 인식할 수 있고 호환성 있는 운영시스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와, 유/무선 인터넷(20)을 통해 접속된 외부시스템(110)과, 이 외부시스템(110)의 컴퓨팅 단말기들, 즉 자동판매기(90), 키오스크 가판대(91), ATM(92),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11) 등에 설치된 음향바코드 사용자모듈(101)과, 기지국(131)을 갖는 이동통신업체(130)의 이동통신 운영체계와, 시스템 서버(100)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컴퓨팅 단말기(11, 90, 91, 92)의 음향바코드 사용자모듈(101)은 유/무선 인터넷(20)을 통해 외부시스템(110)과 연동하면서 사용자 음성을 파일 형태로 변환시킨 후 외부시스템(110)의 데이터베이스(이하 'DB'라 한다)에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것으로서,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음향 레코딩 프로그램(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98인 경우, 녹음기의 아날로그ㆍ디지털 변환기 모듈)을 사용한다. 또한, 음향바코드 사용자모듈(101)은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11) 또는 컴퓨팅 단말기(90, 91, 92)의 마이크(12)를 통해 입력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음향바코드를 외부시스템(11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음향바코드 사용자모듈(101)은 회원 인증과 과금 인증시에 필요한 제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9)의 음성을 음성파일로 변환시킨 후, 시스템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또한, 외부시스템(110)은 본 발명의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하여 자사의 사용자들을 인증하려는 자동판매기 회사, 키오스크 회사, 은행 등의 기본 시스템과 함께, 음향바코드 전송 및 DB 관리수단과 이에 따른 DB를 구비한다. 특히, 외부시스템(110)의 DB는 음성데이터(111)와 전화번호데이터(112)와 핀번호데이터(113)와 과금데이터(114)와 임시 음향바코드데이터(115)와 회원데이터(116) 등을 구비한다. 예컨대, 이들 DB 데이터들이 신용카드회사에 적용된 경우, 외부시스템(110)은 사용자 인증을 사용자의 음성과 핀번호에 대응하는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로 수행하며, 이때 사용자의 카드 사용액에 해당하는 과금데이터 등이 DB에 기록/저장된다.
또한, 시스템 서버(100)는 외부시스템(110)과 연동하여서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음향바코드(140)로 만들기 위한 음향바코드 솔루션(120)과, 이런 음향바코드(140)를 음향바코드 DB(150)에 기록 관리하는 음향바코드 관리기(160)와, 음향바코드(140)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인증 허여를 판단하는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170)과, 음향바코드(140)를 단음 또는 복합음 형태의 벨소리 또는 멜로디로 변환하는 벨소리 변환기(18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음향바코드(140)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 142)로 생성되어서 음향바코드배열(143)을 갖게 되어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역할과 벨소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170)은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 142)로 음향바코드(140)를 복호화시킨 후, 소정의 인증 알고리즘(172)을 통해서 사용자임을 인식하며, 이후 외부시스템(110)의 액세스를 허락 또는 거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런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170)은 외부시스템(110)과 연동하는 음향바코드 사용자모듈(101)로부터 음향바코드(140)를 전달받을 경우, 미리 저장한 음향바코드 DB(150)의 음향바코드 원본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음향바코드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바코드 체계를 응용하여 생성된다. 즉, 일반적인 바코드를 부여하는 기본 로직은 검은바와 흰바(스페이스)의 굵기와 배열을 통하여 코드화하는 것으로서, 2진법의 숫자 '0'과 '1'에서 얇은 바를 '0' 그리고 굵은 바를 숫자 '1'로 표시하거나, 또는 검은바를 '1'로 흰바를 '0'으로 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이를 조합하여 숫자 및 문자 그리고 특수문자 등을 부호화하고 있다.
이런 방식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음향바코드에서는 음향바코드배열(143)의 검은바에 대응하는 '큰소리 혹은 크기가 큰 음향'과, 음향바코드배열(143)의 흰바(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작은소리 혹은 침묵 혹은 크기가 작은 음향'과, 음향바코드배열(143)의 굵기에 대응하는 '음향의 지속시간의 차이'로 이루어진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 142)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큰소리 혹은 크기가 큰 음향'은 소정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기준음향의 문턱치를 넘는 소리로 정의되어 코드화된다. 또한, '작은소리 혹은 침묵 혹은 크기가 작은 음향'은 기준음향의 문턱치를 넘지 않는 소리로 정의되어 코드화된다. 그리고, '음향의 지속시간의 차이'는 기준음향의 문턱치를 넘는 소리에 대한 지속시간의 차이값으로 정의되어 코드화된다.
즉, 음향바코드 조합시 사용자 음성의 진폭과 주기 정보와 지속시간을 앞서 설명한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로 코드화(혹은 2진수화)시켜서 음향바코드(140)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른 음성 변조/복제를 방지하도록, 특수 기계음을 합친(동기화시킨) 보안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2)가 제공된다.
보안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2)에서는 제 3자가 일반적인 녹음기, 회로 복제 수단 등으로 음향바코드(140)를 복제하지 못하게 하도록, 디지털 기계음 발생장치(도시 안됨)로 합성한 특수 기계음을 사용자의 음성과 동기화시킨 후, 이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음향바코드(140)로 만들어 낸다.
특히, 음향바코드(140)에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과금서비스에서 생성한 핀번호, 즉 인터넷 뱅킹 및 신용카드의 계좌번호와 비밀번호, 또는 주식 거래용 계좌번호와 비밀번호, 또는 이동통신서비스의 과금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등을 2진수로 코드화한 음향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만들어진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140)들은 2진수 숫자 형태로 음향바코드 DB(150)에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된 음향바코드(140)의 원본은 음향바코드 DB(150)에 그대로 보존되고, 그 복사본이 벨소리 변환기(180)에 의해 벨소리로 변환된 후, 이동통신업체(130)의 기지국(131)을 통해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로 다운로드되어 사용된다.
여기에서, 벨소리 변환기(18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음과 복합음 등으로 작곡/편집되는 상용 벨소리 생성 기술을 응용한 프로그램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증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 단말기 또는 외부시스템의 컴퓨팅 단말기들을 통해서 외부시스템에 접속할 때 개시된다.
즉, 외부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접속 메뉴를 제공하면서 회원 여부를 질의하고(S100),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 의사를 질의한다(S101).
신규 회원인 경우에는 외부시스템에 의해서 회원 자신이 입력한 비밀번호와, 과금시에 필요한 비밀번호 내지 계좌번호를 기준으로 핀번호가 생성되고, 사용자별 핀번호는 외부시스템 DB에 핀번호데이터로 저장된다(S200).
또한, 외부시스템은 음향바코드 사용자모듈을 통해서 실사용자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번호와 기타 회원 인적사항 및 이동통신단말기 번호를 입력받고,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한다. 입력받은 사용자별 회원 인적사항은 외부시스템 DB에 회원데이터로, 이동통신단말기 번호는 전화번호데이터로, 녹음된 음성파일은 음성데이터로 저장된다(S201).
이후, 회원데이터와 전화번호데이터와 음성데이터는 시스템 서버로 전달되어서 음향바코드 생성단계(S300)에 필요한 기본 데이터로 사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음향바코드 생성단계(S300)에서는 음향바코드 솔루션이 음성데이터와 핀번호를 2진수로 코드화한 음향데이터를 사용하여 단어 및 음소 모델을 구축한다(S301). 이후, 음향바코드 솔루션은 앞서 설명한 음향바코드 부여체계를 이용하여 음향바코드를 정의한다(S302). 또한, 음향바코드 솔루션은 문턱치를 넘는 음향의 지속적인 차이로 음향바코드의 두께를 구분한다(S303). 이렇게 생성된 음향바코드는 음향파일형태로 음향바코드 DB에 저장된다(S304).
여기에서, 음향바코드의 재생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음향바코드는 코드값이 '0'인 경우 전류를 흐르지 않게 하고(0㎃), 코드값이 '1'인 경우 예컨대 +0.5㎃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류신호를 만들도록 되어 있어서, 이러한 전류신호에 따라 일정 크기와 시간동안의 음향패턴으로 음향을 재생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음향패턴을 갖고 음향바코드 DB에 저장된 음향바코드 원본 파일은 복사된 후, 이 복사본이 벨소리 변환기에 의해서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용 벨소리로 변환된다(S400). 이런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는 일반 사용자의 귀에 일반 벨소리와 같은 소리로 들리게 된다.
그리고, 음향바코드에서 변환된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는 이동통신업체의 기지국을 통해서 앞서 시스템 서버에 전달된 전화번호데이터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운로드된다(S500).
이후,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다운로드된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사용하여 본인과 관련된 외부시스템의 각종 과금 서비스(인터넷 뱅킹, 주식 거래, 키오스크 거래, 자동판매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과금거래 등)를 이용할 때 사용자 본인임을 인증하는 음향바코드 인증단계(S600)를 수행함으로써, 외부시스템을 사용한다(S700).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향바코드 인증단계(S600)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조작하여 음향바코드 인증용 메뉴를 검색하고(S601), 인증용 메뉴에서 음향바코드 출력 메뉴를 선택한다(S602). 이후,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요구하는 자신만이 아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경우(S603),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가 일반 이동통신단말기용 벨소리 또는 멜로디와 같이 출력된다(S604). 이렇게 출력된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는 인증을 요구하는 외부시스템의 컴퓨팅 단말기에 입력되고, 컴퓨팅 단말기가 입력된 음향바코드 신호를 부호화시킨 후(S605), 기지국과 이통통신업체 시스템을 통해서 외부시스템으로 전송한다(S606). 이렇게 전송된 음향바코드는 본 발명의 시스템 서버로 전송된 후,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에 의해서 음향바코드 DB상의 음향바코드 원본과 대조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인증용 카드 등을 소지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자신의 목소리와 특수 기계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보안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주목하여야 할 것은 사용자들이 음향바코드를 이용하여 더욱 확실하고 간편한 인증절차를 100% 안심하고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복제가 거의 불가능한 음성을 부호화하여 만든 음향바코드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운로드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더욱더 용이하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전화 도중에도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기존의 하드웨어 칩에 기록/저장하던 것을 파일 형태로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운로드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유사시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음향바코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금융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하여 폭넓게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정보 산업 분야에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체계화된 음향바코드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하고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자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향바코드 생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음향바코드 인증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통신단말기 20 : 유/무선 인터넷
100 : 시스템 서버 110 : 외부시스템
120 : 음향바코드 솔루션 130 : 이동통신업체
140 : 음향바코드 141, 142 : 음향바코드 부여체계
143 : 음향바코드배열 150 : 음향바코드 DB
160 : 음향바코드 관리기 170 :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
180 : 벨소리 변환기 190 : 단말기업체

Claims (4)

  1. 이동통신업체(130)와 단말기업체(190) 및 외부시스템(110)이 연동되는 유/무선 인터넷(20)과 이동통신망 플랫폼을 갖는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시스템(110)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음향바코드(140)로 생성하도록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 142)에 따라 음향바코드배열(143)을 생성하는 음향바코드 솔루션(120)과,
    상기 음향바코드(140)를 음향바코드 DB(150)에 기록 관리하는 음향바코드 관리기(160)와,
    상기 음향바코드(140)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인증 허여를 판단하는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170)과,
    상기 음향바코드(140)를 단음 또는 복합음 형태의 벨소리로 변환하는 벨소리 변환기(180)
    로 이루어진 시스템 서버(100)를 포함하되,
    상기 벨소리 변환기(180)에 의해 벨소리로 변환된 음향바코드(140)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의해 재생되는 음향바코드(140)를 상기 음향 바코드 인식 모듈(170)에 의해 미리 저장된 음향바코드 DB상의 원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바코드(14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과금서비스에서 생성한 핀(PIN)번호인 금융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와, 주식 거래용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와, 이동통신서비스의 과금을 위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전화번호를 2진수로 코드화한 음향데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01-0087209A 2001-12-28 2001-12-28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KR100485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209A KR100485864B1 (ko) 2001-12-28 2001-12-28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209A KR100485864B1 (ko) 2001-12-28 2001-12-28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877A KR20030056877A (ko) 2003-07-04
KR100485864B1 true KR100485864B1 (ko) 2005-04-28

Family

ID=32215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209A KR100485864B1 (ko) 2001-12-28 2001-12-28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8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390A (ja) * 1995-06-22 1997-01-10 Seiko Epson Corp 音声認識対話処理方法および音声認識対話装置
JPH10301755A (ja) * 1997-04-28 1998-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操作誘導装置
KR19990061558A (ko)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화자 종속/독립 음성 인식 장치
KR20020048190A (ko) * 2000-12-16 2002-06-22 최중인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390A (ja) * 1995-06-22 1997-01-10 Seiko Epson Corp 音声認識対話処理方法および音声認識対話装置
JPH10301755A (ja) * 1997-04-28 1998-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操作誘導装置
KR19990061558A (ko)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화자 종속/독립 음성 인식 장치
KR20020048190A (ko) * 2000-12-16 2002-06-22 최중인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877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171B1 (en) Portable acoustic interface for remote access to automatic speech/speaker recognition server
US7142091B2 (en) Self-authenticating identification substrate with encoded packet output
CN1977522B (zh) 基于ip语音的生物测量认证
US84476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or authenticating a source of received electronic data by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or voice authentication
JP4272429B2 (ja) 拡張型メディアゲートウェイにおいて認証と識別のサービスを与え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US8755501B2 (en) Acoustic encoding of dynamic identification codes
US4827518A (en) Speaker verification system using integrated circuit cards
US20020169608A1 (en) Sonic/ultrasonic authentication device
CN101874246A (zh) 用于安全电子名片交换的方法和装置
KR20010023964A (ko) 음성 거래를 보안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7087081A (ja) 金融取引システム
US20060147000A1 (en) Method for in-band entity authentication via telephone
US8996387B2 (en) Release of transaction data
TW2005259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ccess to telephone communications
KR100485864B1 (ko)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JPH09120293A (ja) 話者認識システムおよび話者認識方法
JP2003087860A (ja) 移動体通信における個人認証方法、移動体通信における個人認証システム及び個人認証装置
JP2002230203A (ja) 音声記録システム及び音声記録サービス方法
KR100358963B1 (ko)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JP3592415B2 (ja) 話者認識システム
KR20090080415A (ko) 매체 인증을 통해 일회용 인증코드를 구현하는 무선단말과매체인증 서버 및 일회용 인증 코드 구현 방법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050014052A (ko) 무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생체정보 인증방법
KR100639828B1 (ko) 전자금융거래방법
KR100531215B1 (ko)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요금부과 및 결재 방법
KR20220037263A (ko) Ipin-ci기반 본인명의 단말기 여부를 확인하는 본인 확인 검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