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190A -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190A
KR20020048190A KR1020000077517A KR20000077517A KR20020048190A KR 20020048190 A KR20020048190 A KR 20020048190A KR 1020000077517 A KR1020000077517 A KR 1020000077517A KR 20000077517 A KR20000077517 A KR 20000077517A KR 20020048190 A KR20020048190 A KR 20020048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ode
sound
acoustic
vo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8963B1 (ko
Inventor
최중인
Original Assignee
최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중인 filed Critical 최중인
Priority to KR102000007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9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8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G10L17/24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the user being prompted to utter a password or a predefined phr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전화망과 인터넷 망에 접속되어 있고,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며 구별이 확실한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 142)로 고유음향패턴을 정의한 음향바코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는 레코더(110)와,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베이스(130)와, 음향바코드 부호화 수단(120)을 제어하는 음향바코드 솔루션(140)과, 음향바코드들을 기록 관리하는 바코드 데이터베이스(150)와, 음향바코드의 입출력용 인터페이스(160)와, 음향바코드를 인식하여 화자의 인증 허여를 판단하는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170)로 이루어진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100)을 포함하며, 음향바코드를 음향바코드 기록기(200)로 음향발생소자(201)에 기록하고, 음향발생소자(201)를 타깃 하드웨어(202)에 장착하여 음향바코드를 소리로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VERIFICATION SYSTEM USING SOUND BAR-CODE}
본 발명은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체인증시스템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보완 솔루션과, 건물의 키 보안 체계, 유/무선 통신의 회원 인증 시스템 등에 폭넓게 적용 가능한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일반 전화망, 사설 네트웍망 등과 같이 불특정 다수가 접근 가능한 네트웍에서는 시스템 보안과 실제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해서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런 로그인 과정에서는 사용자임을 증명하는 키 인증 혹은 사용자 확인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통상적으로 인터넷에서는 쿠키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거나, 공인된 단체의 인증키를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여 자신이 바로 네트웍의 사용자임을 증명할수 있었다. 물론, 건물을 출입함에 있어서, 열쇠, 사원 카드 등을 사용하거나, 도어 잠금 및 보안 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의 키 입력 방식을 애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네트웍 사용자 수가 날로 증가함과 동시에, 보이스 웹,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넷 음성 정보 ARS 시스템,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지능형 보안 시스템 등과 같이 거대 네트웍의 진화 과정을 행보중인 정보 기술 분야에서는 더욱 안전하고 사용상 용이한 인증시스템과 보완 솔루션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현실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음성 인터넷을 구현한 음성 포탈 사이트(10)의 경우에는 사용자(1)가 컴퓨터 단말기(2)를 사용하여 인터넷(3)을 통해 음성엔진 혹은 음성보드를 탑재한 음성웹 서버(14)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한다. 이때, 사용자(1)는 회원 등록창에서, 인터넷용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부여받는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1)는 전화기(5)의 키 패드를 이용하여 음성 인터넷에서 회원 인증을 받도록, 키 패드상의 숫자(0∼9) 혹은 '*'표와 '#'를 조합(약 10∼12자리)한 전화기용 아이디와 비밀번호(4자리)를 부여받는다.
이런 사용자(1)는 전화기(5)를 이용하여 일반 전화망(6)을 통해 음성 포탈 사이트(10)의 지국 커플러(12)에 연결한다. 여기에서, 음성 포탈 사이트(10)는 인터넷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 저장한 데이터베이스(11)와, 음성인식 시스템(13), 음성합성 시스템(14), 톤 해독 인터페이스(15) 및 신호처리 수단, 데이터베이스 관리 수단(16) 등을 구비하여,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1)에게 제공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화기(5)상의 키 패드(18)를 이용하여, 음성 포탈 사이트(10)의 접속전화번호(21)로 음성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한 경우, 수화기(17)에서 안내 멘트를 들을 수 있다(화살표 h로 표시). 이때, 사용자는 앞서 부여받은 전화망용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일치하게, 손가락(20 ; 점선으로 표시)으로 키 패드(18)의 숫자 버튼들을 각각 누른다. 이런 경우, 각각의 숫자 버튼에 해당하는 키 톤이 발생되며, 이 키 톤은 전화망(6)을 통해 음성 포탈 사이트(10)의 톤 해독 인터페이스(15) 및 신호처리 수단에 전달된다(도 1a 참조). 따라서, 신호처리 수단은 전달된 키 톤을 해석하여, 사용자(1)의 회원 인증을 처리함과 동시에 음성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는 수화기(17)를 통해 음성 명령을 말하고(s), 이를 단어 혹은 문장단위로 음성인식한 시스템은 음성 명령에 해당하는 정보를 음성합성하여 사용자에게 들려준다(h).
그러나, 일반적인 음성 포탈 사이트에서의 회원 인증 방법은 일반적인 텍스트 위주의 키 인증 시스템에서와 같이, 타인에게 노출될 염려가 있다. 즉, 전화기(5)가 키폰전화기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9)에는 접속전화번호(21)가 숫자 '22XX-X000'로 찍힘은 물론이고, 사용자의 전화기용 아이디 '00009999'와 비밀번호 '1234'까지 표시되기 때문에 주위 사람들에게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9)이 없는 전화기라 할지라도, 제3자가 바로 전화기의 리다이얼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이용한 접속전화번호(21)와 전화기용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키 톤으로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제3자에 의해 도용 및 오용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는 암호분실, 망실, 다수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혼동함에 따라 인증에 실패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런 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생체인증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중이다. 여기에서 생체인증 기술은 사람의 홍채, 지문, 정맥, 음성들을 시스템의 인증서버가 판단하여 사용자임을 구별하는 최첨단 인증 기술을 의미한다.
이런 생체인증 기술 중에는 사용자 음성을 이용하는 화자인증(speaker verification) 기술이 있다. 화자인증 기술은 개개인이 갖고 있는 독특한 음성의 특징을 이용하여 정보시스템이 본인여부를 인증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자인증 기법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자인증을 원하는 이용자가 신규사용자 등록부(30)에 자신의 음성을 반복적으로(최소 3회 이상) 녹음한다. 이때, 신규사용자 등록부(30)의 상이성 검사수단(32)은 반복적인 음성들을 서로 비교하여, 한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음성들간의 상이성을 검사하며, 이를 통과한 이용자(30)의 음성암호(화자모델)(33)를 음성암호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한다.
이후, 인증절차를 수행하려는 이용자는 음성암호 인증부(31)를 통해서 자신의 음성암호를 발성하고, 이때, 음성암호 인증부(31)는 미리 구축한 음성암호(33, 34)와 이용자가 인증 절차시에 발성한 음성암호를 비교한다. 이때, 음성암호 인증부(31)는 52개 음소로 이루어진 음소모델(36)을 이용하여 다원적으로 비교 절차를 수행함으로서, 소정 알고리즘에 의한 인증처리과정(35)을 진행함으로써, 이용자의 인증 허여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화자적응 수단(37)은 7∼10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사용자의 목소리의 변화를 매 인증 시마다 화자적응 단계를 통해서 음성암호 데이터베이스(34)에 자동적으로 반영한다.
그러나, 종래의 화자인증 기법은 사람의 목소리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인증 성공률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인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 화자적응 단계와 같은 보완책을 수행하고 있으나, 이 또한 이용자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7∼10일 내에 로그인하지 않게 되면, 인식률이 급격하게 떨어짐과 동시에, 이용자 음성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가 없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어서, 상용화에 따른 많은 연구와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의 화자인증 기법은 화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음성인식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함으로써, 상용 바코드나 카드인식과 같은 일관성 있는 식별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화자인증 기법 이외에도, 지문, 홍채, 정맥 인식과 같은 최첨단 기술과 기존의 스마트 카드를 통한 인증 시스템은 별도로 특수하게 고안된 리더기(reader)가 필요하고, 따라서, 기존의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는 일반적인 입력 수단(전화, 마이크 등)과의 호환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과 함께 시스템 구축에 따른 경제적 부담감이 매우 커서, 상용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유음향패턴을 부여한 음향바코드가 기록 저장된 음향발생소자를 이용하여, 화자의 인증시에 확실한 식별능력을 갖고, 안정된 인증 성공률을 제공할 수 있는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드 리더기 등과 같이 부가적인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화, 마이크와 같은 일반적인 음성 입력 수단을 구비한 일반 음성 서비스(유무선 전화, 데이터 통신, 음성인식/합성 비즈니스)에 널리 응용될 수 있는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a는 일반적인 음성 웹사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웍 구성도,
도 1b는 일반적인 전화기를 사용하여 음성 웹사이트에서 접속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자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주요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을 통해 창출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 110 : 레코더
120 : 음향바코드 부호화 수단 130 : 음성 데이터베이스
140 : 음향바코드 솔루션 141, 142 : 음향바코드 부여체계
150 : 바코드 데이터베이스 160 : 인터페이스
170 :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 180 : 외부 시스템
200 : 음향바코드 기록기 201 : 음향발생소자
202 : 타깃 하드웨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인증을 위해 전화망과 인터넷 망에 접속된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며 구별 가능한 음향바코드 부여체계로 고유음향패턴을 정의한 음향바코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는 레코더와,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베이스와, 음향바코드 부호화 수단을 제어하는 음향바코드 솔루션과, 음향바코드들을 기록 관리하는 바코드 데이터베이스와, 음향바코드의 입출력용 인터페이스와, 음향바코드를 인식하여 화자의 인증 허여를 판단하는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로 이루어진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을 포함하며, 음향바코드를 음향바코드 기록기로 음향발생소자에 기록하고, 음향발생소자를 타깃 하드웨어에 장착하여 음향바코드를 소리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주요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식별을 위한 인증방법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직접 녹음하여 만든 음향바코드를 제공한다. 음향바코드는 통상의 바코드와 같이, 확실하게 식별이 가능한 무한히 많은 고유음향패턴을 부여하는 기법으로서, 전화 또는 마이크가 있는 컴퓨터 단말기를 통하여 원격인증이 가능하다. 즉, 음향바코드는 통상의 바코드 생성에서 규격화된 바의 간격과 굵기를 달리하여 바코드를 부여하듯이, 화자 음성의 진폭과 주기를 달리하여 규격화된 체계적으로 부여된 음향패턴을 의미한다.
이런 본 발명의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전화망 혹은 인터넷 망과 접속된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100)을 제공한다.
먼저,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100)은 기기간 커플링 수단(101, 102)을 구비하여 모듈화되어 있다. 즉,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100)은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부가적인 지원 시스템(도시 안됨)과 호환 가능한 시스템인 것이다.
또한,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100)은 사용자(9)의 음성을 음향바코드로 만들기 위한 장치들과, 이렇게 의해 만들어진 음향바코드를 인식하여 화자의 인증 허여를 판단하는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170)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100)에서 사용자(9)의 음성을 음향바코드로 만들기 위한 장치들은 전화기(181, 181')를 통해 사용자(9)의 음성을 녹음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ㆍ디지털 변환기(111)가 구비된 레코더(110)와, 사용자(9)의 음성을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베이스(130)와, 음향바코드 부호화 수단(120)을 제어하는 음향바코드 솔루션(140)과, 음향바코드들을 기록 관리하는 바코드 데이터베이스(150)와, 음향바코드의 입출력용 인터페이스(16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100)의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170)은 아날로그ㆍ디지털 변환기(111)를 구비하되, 하기에 설명할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 142)로 음향발생소자(201)에서 발생되는 소리인 음향바코드를 복호화시키고, 소정의 인증 알고리즘(172)을 통해서 사용자임을 인식하며, 이후 외부 시스템(180)의 액세스를 연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런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170)은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 전화기지국의 하드웨어 또는 개인 컴퓨터 단말기에 설치되는 별도의 플러그 인, 또는 구동 프로그램의 신호로 작동된다.
특히,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100)은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용 솔루션(도시 안됨)을 구비하여, 음성 데이터와 음향바코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즉, 레코더(110)가 녹음한 사용자(9)의 음성은 음성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되며, 사용자(9)의 음성에 대응한 음향바코드들은 바코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이벤트 발생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음향바코드 부호화 수단(120)은 음향바코드 솔루션(140)과 연동하여, 고유음향패턴으로 음향바코드를 체계적으로 부여한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바코드 체계를 응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바코드를 부여하는 기본 로직은 검은바와 흰바(스페이스)의 굵기와 배열을 통하여 코드화하는 것으로서, 2진법의 숫자 '0'과 '1'에서 얇은 바를 '0' 그리고 굵은 바를 숫자 '1'로 표시하거나, 또는, 검은바를 '1'로 흰바를 '0'으로 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이를 조합하여 숫자 및 문자 그리고 특수문자 등을 부호화하고 있다.
이런 방식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음향바코드에서는 음향바코드배열(143)의 검은바에 대응하는 '큰소리 혹은 크기가 큰 음향'과, 음향바코드배열(143)의 흰바(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작은소리 혹은 침묵 혹은 크기가 작은 음향'과, 음향바코드배열(143)의 굵기에 대응하는 '음향의 지속시간의 차이'로 이루어진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 142)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큰소리 혹은 크기가 큰 음향'은 소정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기준음향의 문턱치를 넘는 소리로 정의되어 코드화된다. 또한, '작은소리 혹은 침묵 혹은 크기가 작은 음향'은 기준음향의 문턱치를 넘지 않는 소리로 정의되어 코드화된다. 그리고, '음향의 지속시간의 차이'는 기준음향의 문턱치를 넘는 소리에 대해 그 지속시간의 차이로 정의되어 코드화된다.
즉, 음향바코드 솔루션(140)은 음향바코드 조합시 사용자의 음성의 진폭과 주기 정보와 지속시간을 앞서 설명한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로 코드화(혹은 2진수화)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른 음성 변조/복제를 방지하도록, 특수 기계음을 합친(동기화시킨) 보완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2)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보완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2)에서는 제 3자가 일반적인 녹음기, 회로 복제 수단 등으로 음향바코드 또는 음향발생소자를 복제하지 못하게, 디지털 기계음 발생장치(도시 안됨)로 합성한 특수 기계음을 사용자(9)의 음성과 동기화시킨 후, 이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음향바코드로 만들어 낸다.
한편, 만들어진 음향바코드들은 2진수 숫자 형태로 바코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해서 별도의 음향바코드 기록기(200)의 기록용 데이터로 사용된다.
음향바코드 기록기(200)는 음향발생소자(201)를 만드는 ROM 라이터(writer)와 같은 것으로서, 저전력을 사용하는 시모스 램(CMOS-RAM)과 같은 반도체칩에 음향바코드에 대응한 음향의 발생에 관한 논리회로를 기록하여 음향발생소자를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음향발생소자(201)는 얇고 매우 소형으로서, 플라스틱 카드, 반지, 시계줄, 목거리의 펜던트(pendant), 열쇠고리 등과 같이 타깃 하드웨어(202)에 안착된다. 여기에서, 타깃 하드웨어(202)는 음향바코드에 대응한 소리를 외부로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도시 안됨)와, 이런 스피커의 작동과 음향발생소자(201)의 작동을 위한 전기회로 및, 전원을 구비한다.
한편, 타깃 하드웨어(202)에는 전원으로 소형 배터리가 제공될 수 있지만, 음향발생소자(201)로 저전력 소비형 LSI 칩(Large Scale Integration chip)을 사용할 경우, 타깃 하드웨어(202)의 외형이 매우 작은 크기를 갖게 되고, 또한 소형 태양열 전지를 이용할 경우 배터리 교체의 부담이 거의 없게 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주요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자는 전화기(181)를 사용하여 자신의 음성을 녹음한다(S10). 이때,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100)의 레코더(110)는 화자의 음성을 음성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도 2 참조). 이후, 음성 데이터베이스(130)에는 단어 혹은 음소들로 이루어진 음성 모델이 구축된다(S20). 이때, 음향바코드 솔루션(140)은 앞서 설명한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 142)를 이용하여 음향바코드를 정의한다(S30). 또한, 음향바코드 솔루션(140)은 문턱치를 넘는 음향의 지속적인 차이로 음향바코드의 두께를 구분한다(S40). 이후, 바코드화된 음향을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50)
이때, 음향바코드 솔루션(140)은 바코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음향바코드의 코드값이 '0'인 경우 전류를 흐르지 않게 하고(0㎃), 코드값이 '1'인 경우 예컨대 +0.5㎃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류신호를 만든다. 이후, 음향바코드 솔루션(140)은 전류신호에 따라 일정 크기와 시간동안 음향을 발생시킨 음향패턴을 만든다.
이후, 음향바코드 기록기(200)는 이전 단계에서 만들어진 음향패턴을 음향발생소자(201)에 기록한다(S60).
이렇게 만들어진 음향발생소자(201)는 소형의 타깃 하드웨어(202)에 장착되며, 사용자는 소형의 타깃 하드웨어(202)를 사용하여 음향바코드를 발생시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종래의 화자인증 기법에 의한 불안전한 직접 음성 입력을 하지 않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음향발생소자(201)를 장착한 타깃 하드웨어(202)를 전화기(181') 혹은 마이크에 가져다 댄다. 사용자가 타깃 하드웨어(202)의 스위치(도시 안됨)를 누를 경우, 타깃 하드웨어(202)는 스피커를 통해 음향바코드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음향바코드는 전화기(181') 혹은 컴퓨터 단말기에 접속된 전화망 또는 네트웍망을 통해서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100)의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170)에 전달된다.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170)은 바코드 데이터베이스(150)에 기록된 사용자의 음향바코드와 전달된 음향바코드를 비교하여, 인증 절차(172)를 수행하고, 그 인증 허여 결과에 따라 외부 시스템(180)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사용자의 건강상태나, 주기적으로 변하는 사용자 음성에 관계하지 않는 체계적인 음향바코드의 사용으로 인하여, 불법 복제가 거의 불가능한 생체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대량으로 서로 다른 음향바코드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인코더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사용자 식별을 위한 인증방법으로 음향바코드를 사용한다. 이때, 본 발명은 인코더(190)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기준으로 하지 않은 음향바코드를 만들어낸다.
즉, 인코더(190)는 임의적인 코드값, 즉 캐릭터, 숫자, 문장을 12자리, 24자리 36자리로 각각 서로 다르게 만들고, 이를 부호화한다.
예를 들면, 인코더(190)는 난수 발생한 12자리의 숫자를 2진수화하고, 2진수 숫자 배열을 인덱스 형태로 저장한다. 여기에서, 2진수 숫자 배열은 별도의 인코더(190)용 데이터베이스(도시 안됨)에 저장되거나, 기존의 바코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2진수 숫자 배열은 음향바코드 부호화 수단(120)을 제어하는 음향바코드 솔루션(140)에 의해서, 소정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기준음향의 문턱치를 넘는 소리와, 상기 문턱치를 넘지 않는 소리 및, 상기 문턱치를 넘는 소리에 대해 그 지속시간의 차이로 정의되는 음향바코드로 변환되고, 바코드 기록기(200)에 의해서 음향발생소자(201)에 기록된다. 이후, 음향발생소자(201)들은 타깃 하드웨어(202)를 양산하는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품화된 후, 본 발명의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9)에게 배포된다. 따라서, 사용자(9)는 타깃 하드웨어(202)를 이용하여 발생한 음향바코드로 본 발명의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을 구축한 전자상거래 사이트, 건물, 기계 장치, 설비 등에서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본 발명은 개별적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각각 녹음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게 됨으로써, 대량으로 식별 가능한 음향바코드들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런 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인증이 필요한 정보 산업 분야와, 특수 기능을 갖는 전자 제품 등에 응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음향바코드의 부여체계(106)와 공식보안 업체로부터 인증(authentication)된 음향바코드(107)를 지속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음향발생소자의 제공에 따른 이윤창출이 가능하고, 지적재산권 확보를 통한 독립된 기술력 확보가 가능하며, 유무선 통신업, 증권업, 단말기 임대업 등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보완 솔루션(105)을 소비자(9)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네트웍 분야의 업체들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소비자 마케팅과 기술 마케팅 및 응용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부가적인 이윤 창출이 가능하다(123). 또한, 하드웨어 업체들은 특수 키 기능을 갖는 시계, 스마트 카드, 귀걸이, 목걸이 등의 상품을 생산, 판매할 수 있을 것이다(203).
더욱 주목하여야 할 것은 소비자(9) 또는 사용자들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음향바코드를 이용하여 더욱 확실하고 간편한 인증절차를 안심하고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복제가 거의 불가능한 음성을부호화하여 만든 음향바코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탁월한 안정성을 제공하고, 음향발생소자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확실한 인증 성공률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음향발생소자를 장착한 소형의 타깃 하드웨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로서 정보 산업 분야에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은 체계화된 음향바코드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하고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9)

  1. 사용자 인증을 위해 전화망과 인터넷 망에 접속된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며 구별 가능한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 142)로 고유음향패턴을 정의한 음향바코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는 레코더(110)와,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베이스(130)와, 음향바코드 부호화 수단(120)을 제어하는 음향바코드 솔루션(140)과, 상기 음향바코드들을 기록 관리하는 바코드 데이터베이스(150)와, 음향바코드의 입출력용 인터페이스(160)와, 상기 음향바코드를 인식하여 화자의 인증 허여를 판단하는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170)로 이루어진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100)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바코드를 음향바코드 기록기(200)로 음향발생소자(201)에 기록하고, 상기 음향발생소자(201)를 타깃 하드웨어(202)에 장착하여 상기 음향바코드를 소리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100)은 다수의 음향바코드들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서로 다른 코드값들을 만들어 부호화하는 인코더(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바코드 인식 시스템(100)은 기기간 커플링 수단(101, 102)을 구비하여 모듈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 142)에서는 소정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기준음향의 문턱치를 넘는 소리와, 상기 문턱치를 넘지 않는 소리 및, 상기 문턱치를 넘는 소리에 대해 그 지속시간의 차이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 142)는 제 3자가 일반적인 녹음기, 회로 복제 수단 등으로 음향바코드 또는 음향발생소자를 복제하지 못하도록, 기계음 발생장치로 합성한 특수 기계음을 사용자의 음성과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바코드 솔루션(140)은 상기 음향바코드 조합시 사용자의 음성의 진폭과 주기 정보와 지속시간을 상기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 142)로 코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170)은 아날로그ㆍ디지털 변환기(111)를 구비하되, 상기 음향바코드 부여체계(141, 142)의 복호화로 상기 음향바코드를 인식하고, 인증 알고리즘(172)을 통해서 외부 시스템(180)의 액세스를 연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바코드 인식 모듈(170)은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 전화기지국의 하드웨어 또는 개인 컴퓨터 단말기에 설치되는 별도의 플러그 인과 구동 프로그램의 신호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하드웨어(202)는 플라스틱 카드, 반지, 시계줄, 목거리의 펜던트(pendant) 또는 열쇠고리로서, 장착된 상기 음향발생소자(201)에서 음향바코드에 대응한 음향을 외부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스피커와, 전기회로와, 전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KR1020000077517A 2000-12-16 2000-12-16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KR10035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517A KR100358963B1 (ko) 2000-12-16 2000-12-16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517A KR100358963B1 (ko) 2000-12-16 2000-12-16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190A true KR20020048190A (ko) 2002-06-22
KR100358963B1 KR100358963B1 (ko) 2002-10-31

Family

ID=2768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517A KR100358963B1 (ko) 2000-12-16 2000-12-16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9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3366A1 (en) * 2002-09-03 2004-03-18 Smartint Co., Ltd. System for electronically settling by using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KR100485864B1 (ko) * 2001-12-28 2005-04-28 최중인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KR100741193B1 (ko) * 2005-07-18 2007-07-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향 인증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00243B1 (ko) * 2015-11-12 2017-01-26 주식회사 더작 사운드 기반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864B1 (ko) * 2001-12-28 2005-04-28 최중인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WO2004023366A1 (en) * 2002-09-03 2004-03-18 Smartint Co., Ltd. System for electronically settling by using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KR100741193B1 (ko) * 2005-07-18 2007-07-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향 인증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00243B1 (ko) * 2015-11-12 2017-01-26 주식회사 더작 사운드 기반 인증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8963B1 (ko)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99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or authenticating a source of received electronic data by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or voice authentication
US4601011A (en) User authorization verification apparatus for computer systems including a central device and a plurality of pocket sized remote units
TW200624B (en) A universal authentication device for use over telephone lines
US55839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cure communication of data
US20040220807A9 (en) Sonic/ultrasonic authentication device
CN101389133A (zh) 身份验证系统及方法
US7231025B2 (en) Acoustic encoding of dynamic identification codes
CN105744097A (zh) 用于电话会议参与者的标识的方法和装置
CN101685635A (zh) 身份验证系统及方法
WO1996004741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data communication
JP2002312318A (ja) 電子装置、本人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874246A (zh) 用于安全电子名片交换的方法和装置
CN108206803A (zh) 业务代办处理方法及装置
CN106100845A (zh) 一种利用声波通信的身份认证方法及其系统
US20060147000A1 (en) Method for in-band entity authentication via telephone
CN108447167A (zh) 一种可呼叫访客通道一体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358963B1 (ko)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CN112734989B (zh) 一种智能门锁的蓝牙钥匙分发方法
JP2003087860A (ja) 移動体通信における個人認証方法、移動体通信における個人認証システム及び個人認証装置
KR100485864B1 (ko) 벨소리 겸용 음향바코드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KR20190101917A (ko) 텍스트표시 디스플레이 액정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20210135164A (ko) 텍스트표시 디스플레이 액정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JP2003283659A (ja) 認証用音声データの登録方法
Annepu et al. Algo locking system
KR20200035374A (ko) 텍스트표시 디스플레이 액정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