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627B1 -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627B1
KR100485627B1 KR10-2001-0004052A KR20010004052A KR100485627B1 KR 100485627 B1 KR100485627 B1 KR 100485627B1 KR 20010004052 A KR20010004052 A KR 20010004052A KR 100485627 B1 KR100485627 B1 KR 100485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hangul
consonants
keys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258A (ko
Inventor
김하미
Original Assignee
김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미 filed Critical 김하미
Priority to KR10-2001-000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627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은 키패드상의 문자 입력키 조작을 최소화하면서 충돌없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문자입력시스템은 한글모음 형성을 위한 3개의 모음키(ㅣ,.,ㅡ)와 한글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9개의 자음키를 구비하는 키패드, 및 키패드의 각 입력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을 조합하여 한글문자를 완성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이때 자음키는 발음이 유사한 한글격자음(ㅋ, ㅌ, ㅍ, ㅊ)과 한글겹자음(ㄲ, ㄸ, ㅃ, ㅆ, ㅉ) 및 상기 한글격자음과 한글겹자음을 제외한 한글자음이 적어도 2개 중복배치되는 제 1자음키 및 하나의 자음만이 배치되는 제 2자음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키패드에 별도의 기능키를 할당하지 않고 9개의 입력키에 한글자음을 배치하고 나머지 3개의 입력키에 모음을 위한 키를 배치하므로써 하나의 입력키에 한개의 자음만이 배치된 키를 다수 가지며, 한글겹자음 및 한글격자음이 모두 중복배치된 경우 해당 입력키의 반복입력시에 한글겹자음이 먼저 표기되도록 함으로써 문자입력상의 충돌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더욱이 이렇게 최소화된 충돌문제를 자동고침기능을 이용하여 올바르게 정정해줌으로써 문자입력시 입력키조작을 최소화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The system for writing letter using telephone keypad}
본 발명은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를 입력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상에 한글자음 배치 및 키패드 입력키의 반복입력에 따른 한글겹자음과 한글격자음의 표기 순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여 최소한의 키조작으로 문자입력하며, 한글문자의 초성찾기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문자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종래 전화를 거는 목적뿐만 아니라 전자수첩과 같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문자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 등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문자를 입력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한 때 컴퓨터를 이용하여 얼마나 빨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가 예컨대, 1분에 몇타를 치느냐 하는 것이 이슈화되었던 적이 있었는데,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상에서 얼마나 빨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가 하는것이 청소년들사이에서 이슈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이동통신단말기상에서 문자의 입력의 용이함은 이동통신단말기 매출과 관련될 정도로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제한된 수의 입력키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제한된 입력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업체들은 사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방식을 개발하여 사용해 오고 있다.
이러한 문자입력방식들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키에 한글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글자음과 한글모음을 제한된 입력키에 중복되게 배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배치하느냐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러한 예로 모토롤라사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한글자음의 배치에 있어서, 영어의 알파벳의 배치와 같이 한글자음의 순서대로 몇개씩 묶고 이에 해당하는 한글겹자음(ㄲ, ㄸ, ㅃ, ㅆ, ㅉ)을 해당 입력키에 중복되게 배치한다. 즉, 'ㄱ, ㄴ, ㄲ', 'ㄷ, ㄹ, ㅁ, ㄸ', 'ㅂ, ㅅ, ㅃ, ㅆ', 'ㅇ, ㅈ, ㅊ, ㅉ', 'ㅋ, ㅌ, ㅍ ㅎ'을 각각 하나의 입력키에 중복시켜 배치한다. 모음의 경우도 순서대로 묶어서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ㅔ, ㅐ, ㅒ, ㅖ'를 각각 하나의 입력키에 중복되게 배치한다. 그리고 하나의 한글문자가 완료되면 '*' 및 '#' 키에 배치된 ◀ 및 ▶을 이용하여 끊음(글자종료 표시)을 나타낸다.
또다른 실시예로 삼성에서 제조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같다. 여기에서, 특징적인 것은 천(·), 지(ㅡ), 인(ㅣ)을 각각 하나의 입력키에 할당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음을 형성한다. 그리고 자음의 경우, 'ㄱ, ㅋ', 'ㄴ, ㄹ', 'ㄷ, ㅌ', 'ㅂ, ㅍ', 'ㅅ, ㅎ', 'ㅈ, ㅊ', 'ㅇ, ㅁ'으로 묶어서 각각 하나의 입력키에 중복되게 배치하고, 표기되지 않은 한글겹자음(ㄲ, ㄸ, ㅃ, ㅆ, ㅉ)은 해당 한글자음에 더 중복시켜 사용한다.
하나의 입력키에 중복된 자음 또는 모음은 동일키를 반복해서 누름으로써 입력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한글격자음 및 한글겹자음이 모두 중복된 입력키를 반복입력하여 한글자음을 표기하고자 하는 경우에, 한글격자음이 한글겹자음보다 먼저 표기된다. 즉, 해당 입력키를 2회반복입력하면 한글격자음이 표기되고, 3회반복입력하면 한글겹자음이 표기된다.
이외에도,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을 각각 입력키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고 사용자가 입력키 중 이동키(◀ 및 ▶)를 이용하여 원하는 한글자음 또는 한글모음을 선택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상술된 종래의 방법들 중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 삼성에서 제작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모음의 형성을 위해 천(.), 지(ㅡ), 인(ㅣ)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자음의 사용에 있어서 자음들의 배치 및 자음들이 중복배치된 입력키의 반복입력시 출력되는 순서상에 불합리한 점이 있어서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즉, 중복배치하지 않아도 되는 자음들을 중복배치함으로써 해당 자음을 표기하고자 할 때 불필요하게 입력키를 더 눌러야 한다. 이렇게 자음들을 중복배치하는 이유는 12개로 제한된 키에 한글자음을 형성하기 위한 키, 모음을 형성하기 위한 키 및 기능(function)키 즉 글자종료표시를 위한 기능을 갖는 기능키를 모두 포함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래의 단말기들은 *, #의 두개의 키를 기능키로 이용하기 위해 나머지 10개의 입력키(0 ~ 9)에 자음 및 모음을 중복해서 배치하게 되므로 모든 자음들의 중복배치가 불가피하게 된다.
또한, 한글격자음과 한글겹자음이 모두 중복배치된 경우 한글격자음이 한글겹자음보다 먼저 표시되므로 한글입력시 충돌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ㄱ, ㅋ, ㄲ'이 중복할당된 입력키를 2회 반복해서 누르면 'ㅋ'이 출력되고, 3회 반복해서 누르면 'ㄲ'이 출력되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닭고기'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달콤'하고 충돌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상에서 자음들의 불필요한 중복배치를 피하고, 키패드 입력키의 반복입력에 따른 한글겹자음과 한글격자음의 표기 순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여 문자입력시 불필요한 키조작을 줄이고 문자충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문자입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은 한글모음 형성을 위한 3개의 한글모음키와 한글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9개의 한글자음키를 포함하는 키패드 및 키패드의 각 입력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한글문자를 완성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이때 자음키는 발음이 유사한 한글격자음(ㅋ, ㅌ, ㅍ, ㅊ)과 한글겹자음(ㄲ, ㄸ, ㅃ, ㅆ, ㅉ) 및 상기 한글격자음과 한글겹자음을 제외한 한글자음이 적어도 2개 중복배치되는 제 1자음키 및 하나의 자음만이 배치되는 제 2자음키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도 3에 보여진 문자입력시스템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로 된 키입력부(10)와 제어부(20)를 구비하며, 폰트 및 문자테이블을 갖는 메모리(30) 및 표시부(40)를 구비한다.
키입력부(10)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로 적어도 '1 ∼ 9' 및 '0'의 숫자와 '*', '#' 가 배치되는 12개의 입력키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기능의 기능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문자입력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입력부(10)의 각 입력키들의 눌림 및 반복입력횟수를 인식하며, 해당 입력키에 할당된 자음 및 모음을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는 폰트 및 문자테이블을 참조하여 문자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으로 제어부(20)는 자음과 자음사이에 모음형성을 위한 입력키(천(.), 지(ㅡ), 인(ㅣ)) 중 천(.)을 나타내는 키만 입력되는 경우 이를 모음키로 인식하지않고 글자종료를 위한 키로 인식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메모리(30)는 문자입력을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및 문자입력 수행 중에 입력된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며, 한글자음이 중복배치된 입력키의 반복입력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어들간의 충돌을 자동으로 고쳐줄 수 있는 자동고침기능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자동고침기능은 후술된다. 특히, 메모리(30)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을 위한 폰트 및 문자테이블을 저장한다. 폰트 및 문자테이블은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문자에 관련된 한글자음과 한글모음의 기본 폰트들 및 그 한글문자들을 내장하며, 사용용도 및 부가기능에 따라 여러가지 테이블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40)는 제어부(20)의 지시에 따라 키입력부(10)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액정표시창(LCD)에 표시한다.
도 4는 도 3의 키입력부(10)인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의 각 숫자키에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이 배치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글자음을 키입력부(10)에 배치하는데 있어서, 한글격자음(ㅋ, ㅌ, ㅍ, ㅊ)과 한글겹자음(ㄲ, ㄸ, ㅃ, ㅆ, ㅉ)을 포함한 19개 한글자음 중 한글격자음과 한글겹자음을 제외한 자음들을 자소의 순서대로 키패드의 숫자키(1 ∼ 9)에 각각 배치한다. 이때, 한글자음 'ㄹ'은 'ㄹ'로 시작하는 초성이 매우 적으므로 비록 한글겹자음이나 한글격자음은 아니지만 이를 별도의 입력키에 배치하지 않고 발음이 유사한 'ㄴ'과 함께 배치한다. 즉, 키패드의 "2"번 숫자키상에 한글자음 "ㄹ"과 "ㄴ"을 중복배치한다.
다음에, 한글격자음(ㅋ, ㅌ, ㅍ, ㅊ)을 발음이 유사한 한글자음(ㄱ, ㄷ, ㅂ, ㅈ)에 각각 중복되게 배치한다. 그리고, 한글겹자음(ㄲ, ㄸ, ㅆ. ㅃ, ㅉ)을 해당 한글자음(ㄱ, ㄷ, ㅅ, ㅂ, ㅈ)에 각각 중복되게 배치한다. 예를들면, 키패드의 "1"번 숫자키상에 발음이 서로 유사한 한글자음 "ㄱ", 한글격자음 "ㅋ" 및 한글겹자음 "ㄲ"이 중복배치된다.
이로써, 키입력부(10)의 각 숫자키(1 ∼ 9)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음들이 배치되게 된다.
한글모음의 경우에는, 키패드의 총 12개의 입력키 중 한글자음을 위해 할당된 9개 입력키를 제외한 나머지 입력키(*, 0, #)에 각각 (ㅣ, ·, ㅡ)을 배치시켜, 이들의 조합으로 한글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모음형성방법은 이미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최종적으로 키입력부(10)의 1부터 9까지의 숫자키에는 아래 표 1과 같이 한글자음들이 배치된다.
입력키의 숫자 입력키에 매칭된 한글자음
1 ㄱ, ㄲ, ㅋ
2 ㄴ, ㄹ
3 ㄷ, ㄸ, ㅌ
4
5 ㅂ, ㅃ, ㅍ
6 ㅅ, ㅆ
7
8 ㅈ, ㅉ, ㅊ
9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글자종료를 위한 별도의 기능키를 키패드에 할당하지 않고 키입력부(10)의 12개 키에 모두 한글자음 및 모음을 위한 키를 할당하였 다. 그러므로 하나의 자음만이 배치된 키(4번, 6번, 7번, 9번키)가 4개 형성되어 자음의 입력이 보다 용이해진다. 이러한 구성이 가능한 이유는 본 발명에서는 모음을 위한 키 중 천(.)에 해당하는 키를 글자종료를 위한 키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모음키(., ㅡ. ㅣ) 중 천(.) 하나만으로는 모음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천(.)만이 자음과 자음사이에 사용되면 글자을 형성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자음과 자음사이 즉 이전글자의 종성과 다음글자의 초성사이에 모음을 위한 키 중 천(.)만 입력이 되면 제어부(20)는 천(.)을 모음을 위한 키로 인식하지 않고 글자종료을 위한 키로 인식한다. 본 발명은 후술될 자동고침기능과 더불어 모음키(., ㅡ. ㅣ) 중 천(.)키를 글자종료키로 이용함으로써 글자의 충돌을 피하여 글자종료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글격자음, 한글겹자음 및 한글격자음과 한글겹자음을 제외한 한글자음이 모두 중복배치된 입력키 즉, 1번, 3번, 5번 및 8번 입력키를 반복해서 누룰 때 표시부(40)에 나타나는 자음들의 순서는 한글겹자음이 한글격자음에 선행하게 한다. 즉, 4개의 한글격자음(ㅋ,ㅌ,ㅍ,ㅊ) 및 5개의 한글겹자음(ㄲ,ㄸ,ㅃ,ㅆ,ㅉ)과 중복배치된 한글자음이 배열된 키를 소정 횟수 반복하여 입력함으로써 전술한 한글격자음 및 한글겹자음이 인식되도록 제어부(20)를 설정하며, 이때 반복입력횟수에 따라 한글자음, 한글격자음 및 한글겹자음의 순으로 인식하도록 설정한다.
한글격자음, 한글겹자음 및 한글격자음과 한글겹자음을 제외한 한글자음이 모두 중복배치된 입력키, 예컨대 'ㄱ, ㅋ, ㄲ'이 중복배치된 1번키의 입력에 있어서 제어부(20)는 1번키가 1회입력시에는 메모리(30)로부터 1번키에 매핑된 데이터 중 'ㄱ'을 읽어들여 표시부(40)에 표시하고, 2회반복입력시에는 한글겹자음인 'ㄲ'을 현시하며, 3회반복시에 한글격자음인 'ㅋ'을 현시한다. 이러한 기능은 3번, 5번 및 8번 입력키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중복배치된 입력키를 이용하여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가 단어간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 단어내에서 앞문자의 종성과 뒷문자의 초성이 동일하게 반복될 때, 사용자가 끊음(글자종료 표시)을 사용하지 않거나 충분한 시간적 간격을 두지 않으면, 제어부(20)는 이를 각기 다른 문자의 종성과 초성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동일 입력키를 2회반복입력한 것으로 인식하여 해당 입력키의 2회반복입력에 해당하는 한글격자음 또는 한글겹자음을 뒷문자의 초성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잘못 인식되어 표기된 부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의 일부분이 되는 경우에는 시스템은 이를 오류로 인정하지 않고 그대로 표기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두 단어가 충돌이 되게 된다.
예컨대, 'ㄱ, ㅋ, ㄲ'이 중복배치된 입력키를 2회반복입력하면 한글격자음 'ㅋ'이 출력되고, 3회반복입력하면 'ㄲ'이 출력되는 경우, '닭고기'를 입력하고자 할 때 '달콤'과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닭고기'를 입력하기 위해 '닭'을 입력하고 바로 '고'의 'ㄱ'을 입력하기 위해 'ㄱ'이 배치된 입력키를 누르면, 문자입력시스템은 앞문자('닭')의 종성으로 쓰인 'ㄱ'과 뒷문자('고')의 초성 'ㄱ'을 서로 다른 것으로 구분하지 못하고 이를 해당 입력키를 2회반복입력한 것으로 인식하여 'ㅋ'을 뒷문자의 초성으로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표기되는 형태는 '달코'가 된다. 이때, '달코'는 '달콤'이라는 단어를 표기하기 위한 과정이므로 문자입력시스템은 이를 오류로 판정하지 않게 되어 결국 끊음(글자종료 표시)을 사용하지 않거나 충분한 시간간격을 두 지 않으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어부(20)는 우선 이러한 충돌의 발생을 최소화 하기위해 한글격자음과 한글겹자음의 표기순서를 바꿔서 표시부(40)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20)는 한글격자음 및 한글겹자음을 포함하여 세개의 자음이 중복배치된 입력키가 2회반복입력되면 해당 입력키에 중복배치된 한글겹자음을 표기하고, 3회반복입력하면 해당 입력키에 중복배치된 한글격자음을 표기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술된 바와같은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경우 제어부(10)에 의해 표기되는 형태는 '달꼬'가 되는데 이러한 글자로 이어지는 단어는 메모리(30)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어부(20)는 먼저 입력된 'ㄱ'을 앞문자의 종성으로 하여 '닭'을 형성하여 표기하고 나중에 입력된 'ㄱ'은 뒷문자의 초성으로 하여 '고'가 되도록 하여 결국 정상적인 '닭고'를 표기한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문자입력시스템에 있어서도 이러한 충돌문제가 많이 해결되는 것이지 완전히 해결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를 보완하고 또한 사용자의 문자입력과정상의 실수를 바로잡아주기 위해 자동고침기능을 더 가지게 된다. 이러한 자동고침기능은 사용자의 입력키 반복입력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상술된 방법으로도 해결될 수 없는 충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자주 사용하지만 입력하기 어려운 단어나 문자열, 복잡해서 틀리기 쉬운 단어들의 오류가능 형태 및 충돌가능 형태를 메모리(30)에 미리 등록을 해 둠으로써, 제어부(20)는 입력되는 단어들을 체크하여 해당 오류단어가 입력되는 경우 이것을 올바르게 수정하여 준다.
예컨대, '각각'이라는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앞문자 '각'의 종성'ㄱ'과 뒷문자 '각'의 초성 'ㄱ'이 중복되어 'ㄱ'을 2회반복입력하게 되므로 '가깍'의 형태로 표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20)는 '가깍'이라는 단어가 입력되면 이를 '각각'의 오류로 판정하여 이에 해당하는 올바른 형태인 '각각'을 메모리(30)에서 읽어들여 표시부(40)에 표시한다.
자동고침을 위한 데이터들은 메모리(30)에 테이블형태로 기 저장되게 된다.
더욱이, 최근 청소년들은 문자를 빨리 쓰기 위해 문자의 받침 즉 종성이 있는 문자의 종성을 빼서 이를 다음 문자의 초성으로 올려 그냥 소리나는 대로 쓰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경우 결국 다음 문자의 초성이 되는 것은 한글겹자음이 되어 문자형성을 위해 입력키의 누르는 횟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표기가 정상적인 표기방법은 아니지만 사용자들의 사용패턴에 보다 부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은, 키패드에 별도의 기능키를 할당하지 않고 9개의 입력키에 한글자음을 배치하고 나머지 3개의 입력키에 모음을 위한 키를 배치하므로써 하나의 입력키에 한개의 자음만이 배치된 키를 다수 가지며, 한글겹자음 및 한글격자음이 모두 중복배치된 경우 해당 입력키의 반복입력시에 한글겹자음이 먼저 표기되도록 함으로써 문자입력상의 충돌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더욱이 이렇게 최소화된 충돌문제를 자동고침기능을 이용하여 올바르게 정정해줌으로써 문자입력시 입력키조작을 최소화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한글자음이 배치된 키패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한글자음이 배치된 키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3 키패드의 한글자음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부 20 : 제어부
30 : 메모리 40 : 표시부

Claims (5)

  1.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에 있어서,
    4개의 한글격자음(ㅋ,ㅌ,ㅍ,ㅊ) 및 5개의 한글겹자음(ㄲ,ㄸ,ㅃ,ㅆ,ㅉ)과 그 발음이 가장 유사한 한글자음이 중복배치되는 입력키들로 된 제 1자음키, 나머지 한글자음이 1개씩 배치되는 입력키들로 된 제 2자음키, 및 한글모음 형성을 위한 천(.), 지(ㅡ), 인(ㅣ)의 3개의 키로 구성되는 모음키를 구비하는 키패드; 및
    상기 키패드의 각 입력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을 조합하여 한글문자를 완성하며, 상기 제 1자음키의 반복 입력 횟수에 따라 해당 입력키에 중복배치된 한글자음, 한글겹자음 및 한글격자음의 순으로 인식하도록 설정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자음키에는 'ㅁ', 'ㅅ', 'ㅇ' 및 'ㅎ'이 각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문자입력을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문자입력시 발생될 수 있는 충돌가능 문자정보 및 문자입력 수행 중에 입력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충돌가능 문자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한글문자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정보를 비교하여 입력되는 한글문자의 충돌을 체크하고 이를 정상문자로 자동으로 고쳐주는 자동고침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모음키를 구성하는 3개의 키중 천(.)을 나타내는 키를 글자종료를 위한 기능키로도 설정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음과 자음사이에 상기 모음키 중 천(.)을 나타내는 키신호만 입력되는 경우 해당 천(.)을 나타내는 키의 입력을 글자종료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KR10-2001-0004052A 2001-01-29 2001-01-29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KR100485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052A KR100485627B1 (ko) 2001-01-29 2001-01-29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052A KR100485627B1 (ko) 2001-01-29 2001-01-29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258A KR20010044258A (ko) 2001-06-05
KR100485627B1 true KR100485627B1 (ko) 2005-04-27

Family

ID=1970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052A KR100485627B1 (ko) 2001-01-29 2001-01-29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452B1 (ko) * 2001-07-18 2010-03-09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중국어 병음을 포함한 로마알파벳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0974971B1 (ko) * 2001-07-25 2010-08-09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451833B1 (ko) * 2001-08-24 2004-10-08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258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5403B2 (en) User interface of a keypad entry system for character input
US8044827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predicting text
EP18353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entry in a portable terminal
JP2005078211A (ja) 中国語入力プログラム
KR100371381B1 (ko) 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내장된 문자입력장치
KR100485627B1 (ko)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KR1005956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상용구 등록방법
KR100731617B1 (ko) 단말기의 텍스트 입력방법
JP3285821B2 (ja) タイ文字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KR1006833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US77241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entry in a portable terminal
KR20010039239A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19990025297A (ko) 휴대용 전화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0422379B1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KR20020011299A (ko) 휴대폰 문자코드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352793B1 (ko) 키폰의한글입력방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372664B1 (ko)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KR100433173B1 (ko)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및 한글 입력 방법
KR20070094411A (ko) 이동 통신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00042959A (ko) 전화기 자판이 부착된 한글 입력장치 및 그방법
KR2001003607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3635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코드 발생 장치
JPH0778049A (ja) キャラクタ入力および表示装置
KR100844934B1 (ko) 문자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926

Effective date: 200406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