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066B1 - 단말기의 키 배열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키 배열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066B1
KR100485066B1 KR10-2002-0024090A KR20020024090A KR100485066B1 KR 100485066 B1 KR100485066 B1 KR 100485066B1 KR 20020024090 A KR20020024090 A KR 20020024090A KR 100485066 B1 KR100485066 B1 KR 10048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key arrangement
key
user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5814A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4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0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8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용 단말기의 키보드를 구성하는 다이얼키 배열을, 사용자 필요에 의하여 원하는 대로 임의 지정 할당하는 동시에 타인이 무단 사용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통신용 단말기의 키 배열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키 배열을 새로이 설정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키 배열을 새로이 설정하는 경우, 키를 지정하여 해당 숫자 및 문자를 할당하고 입력하는 제2 과정과; 상기 과정에 의하여 할당되고 입력된 키 배열을 단말기의 해당 표시부를 통하여 확인하고, 키 배열의 할당 입력을 계속 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제2 과정으로 궤환하는 제3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키 배열을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이미 할당된 키 배열을 해당 메모리에 기록하여 저장하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에 의하여 사용자 취향에 적합하도록 단말기의 다이얼키 배열을 임의 변경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와, 장애인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통신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 복지향상의 효과와, 타인으로부터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차단하는 비밀 유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말기의 키 배열 설정방법{A SETUP METHOD OF KEY ARRANGE FOR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용 단말기의 키보드를 구성하는 다이얼키 배열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지정 할당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인이 무단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보안차단 및 비밀유지 기능을 겸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통신용 단말기는 통신상대방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숫자, 문자 또는 할당된 특수 기능을 하는 버튼(BUTTON) 또는 키(KEY)들로 이루어지는 다이얼패드 또는 키패드(KEY PAD)를 구비한다.
통신관련 기술의 발달로 통신장비와 통신비용이 계속 싸게 공급되고 있으나, 아직 일부의 통신비용은 고가이므로, 일 예로, 장거리통신, 해외통신, 이동통신 등은 고도의 신기술 적용과 해당 통신장비의 유지운용비용 등이 비싼 문제로 인하여 통신비용이 비교적 비싼 편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통신을 할 수 있는 개인통신장비를 타인이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소유자는 상기와 같이 비싼 통신비용을 부담하여야 하는 동시에 단말기 고유번호와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적인 비밀이 유출되어 사생활을 침해당하게 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타인에 의한 단말기의 무단사용 및 개인비밀의 유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이용 및 사용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잊어먹거나 불편을 느끼게 되므로 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단말기의 키 배열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의 일 예에 의한 단말기 키보드 배열 상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단말기의 키 배열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키보드(10)에 있어서,
호출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문자메시지 등을 입력하는 다이얼키(20)와,
상기 다이얼키(20)에 의하여 입력된 고유번호의 호출, 문자메시지의 전송, 피호출에 대한 응답, 메모리 기록 및 검색 등의 기능을 하는 기능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단말기의 키보드(10)를 구성하는 다수의 키 배열은, 상기 다이얼키(20)는 일반적으로 4*3 배열로, 숫자 1 내지 10과 한글 자모, 영문 자모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4*3 배열의 다이얼키(20)는 도1 에 도시되어 있듯이 1 내지 10과, *, #를 포함하는 12개의 숫자 및 기호를 고정 할당된 위치에 표시하는 동시에 한글 자모와 영문 자모 등을 중복하여, 고정 할당된 위치에 표시한다.
즉, 상기 4*3 배열의 다이얼키(20)에 고정 표시되는 숫자, 문자들을 모두 숙지하는 경우, 상기의 해당 표시내용이 지워져도 실제 사용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상기와 같은 다이얼키(20)를 이용하여, 특정 상대방을 호출하는 경우 해당 고유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다이얼링을 하거나 또는, 특정 상대방에게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는 해당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데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입력된 고유번호 또는 문자메시지는 기능키(30)를 구성하는 다양한 버튼(BUTTON) 또는 키(KEY) 중에서, 해당 기능을 하도록 고정 할당된 키를 입력하므로써 상대방을 호출하거나 또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시에 수신에 응답하거나 해당 데이터 검색 등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단말기는 일반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키 배열을 채택하므로, 단말기 소유자가 아닌 타인의 경우에도, 상기 다이얼키(20)를 이용하여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밀번호 등을 이용하여 타인이 단말기를 무단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경우에도, 상기 다이얼키(20)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해독 할 수 있으므로, 완전하게 보안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다이얼키(20)에 범용적으로 고정 할당된 키 배열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단말기 사용자의 습관 또는 선호하는 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하기 편하도록, 단말기의 키를 배열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습관 또는 선호에 의하여 키 배열을 사용자가 임의 할당하여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타인이 무단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단말기 키 배열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통신용 단말기의 키 배열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키 배열을 새로이 설정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키 배열을 새로이 설정하는 경우, 키를 지정하여 해당 숫자 및 문자를 할당하고 입력하는 제2 과정과; 상기 과정에 의하여 할당되고 입력된 키 배열을 단말기의 해당 표시부를 통하여 확인하고, 키 배열의 할당 입력을 계속 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제2 과정으로 궤환하는 제3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키 배열을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이미 할당된 키 배열을 해당 메모리에 기록하여 저장하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키 배열 설정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키보드의 배열 상태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키 배열 설정방법 순서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키 배열 설정 및 호 접속 신호 전송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키보드(15)의 배열은, 단말기에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상기 키보드(15)를 구성하는 다수의 버튼에 각각 할당된 숫자, 기호 및 문자가 인쇄되어 있지 않는 다이얼키(25)와,
상기 단말기에 수신된 호출에 응답하거나, 다이얼키(25)에 의하여 입력된 전화번호의 호출 또는 문자메시지 전송 및 검색 등의 부가기능이 할당된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기능키(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하는 본 발명 단말기의 다이얼키(25)에 키 배열을 설정하는 방법은, 통신용 단말기의 키 배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다이얼키(25)의 버튼(BUTTON) 또는 키(KEY) 배열을 새로이 설정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제1 과정(S100)과,
상기 제1 과정(S100)에서 판단하여 다이얼키(25)의 키 배열을 새로이 설정하는 경우, 해당 기능키(35)를 이용하여 다이얼키(25)의 설정 입력할 키버튼을 지정하여 해당 숫자 및 문자를 할당하고 입력하는 제2 과정(S110)과,
상기 제2 과정(S110)에 의하여 할당되고 입력된 다이얼키(25)의 키 배열을 단말기의 해당 표시부에 표시된 것을 통하여 확인하고(S120), 키 배열의 할당 입력을 계속 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제2 과정(S110)으로 궤환(FEEDBACK)하는(S130)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S130)에서 판단하여 키 배열을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이미 할당된 키 배열을 해당 메모리에 기록하여 저장하고 키 배열 설정을 종료하는 제4 과정(S140)과,
상기 제1 과정(S100)에서 판단하여 키 배열을 새로이 설정하지 않는 경우는, 단말기의 해당 표시부를 통하여 현재 해당 메모리에 입력 기록된 다이얼키(25)의 키 배열을 확인하고(S150), 상기의 확인된 다이얼키(25)의 키 배열을 변경할 것인지 판단하여 변경하는 경우는 상기 제1 과정(S100)으로 궤환(FEEDBACK)하며, 변경하지 않는 경우는 제4 과정(S140)으로 진행하는(S160) 제5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단말기의 키 배열에 의한 설정방법을 첨부된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말기 키보드(15)의 다이얼키(25)는 기본 구성인 12개로 이루어지지만, 각각의 버튼에는 할당된 숫자나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단말기 키보드(15)의 기능키(35)는, 전원의 온/오프, 지움(CLEAR), 통화(SEND), 종료(END), 검색 등과 같이 고정 할당된 고유한 기능을 하는 것이므로, 기존의 표시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처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다이얼키(25)의 키 배열을 새로이 설정할 것인가를 확인하고(S100), 키 배열을 새로이 설정하는 경우는, 상기 다이얼키(25)의 새로이 설정할 버튼을 입력하고 할당될 숫자와 문자를 지정하여 입력한다(S110).
상기와 같이 입력된 숫자와 문자가 해당 버튼에 지정되어 입력되었는지를 단말기의 해당 표시부를 통하여 확인하고(S120), 다이얼키(25)의 키 배열 할당을 계속할 것인지 판단하여(S130),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입력과정(S110)으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현재까지 입력된 키 배열 할당을 단말기의 해당 메모리에 기록하여 저장(S140) 하므로써, 단말기의 키 배열 설정을 종료한다.
상기 제1 과정(S100)에서 판단하여, 키 배열 설정을 하지 않는 경우는, 단말기의 해당 표시부를 통하여 이미 기록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써, 상기 다이얼키(25)의 키 배열 설정을 확인하고(S150), 상기 확인된 키 배열 설정을 수정할 것인지 판단하여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는, 상기 제1 과정(S100)으로 궤환하고, 수정하지 않는 경우는 현재의 키 배열 설정을 그대로 해당 메모리에 기록 저장하도록 제4 과정(S140)으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을 간단히 요약하여 다시 설명하면, 상기 단말기의 12개 다이얼키(25)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숫자, 기호와 한글 및 영문의 문자를 할당하므로써, 상기와 같이 할당한 해당 사용자만이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장애자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다이얼링 또는 문자메시지 전송을 하도록 상기 다이얼키(25)의 배열을 변경하므로써, 장애자가 자신에게 적합하도록 키 배열을 임의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다이얼키(25)의 배열은, 각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서로 상이하므로, 해당 사용자 만 사용할 수 있는 보안 기능을 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 키 배열 설정에 의한 단말기와 사용자 사이의 신호 처리 및 통신에 의한 단말기와 통신시스템 사이의 신호 처리를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사용자가 키 배열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전원 온(ON) 상태에서 후크오프(HOOK OFF) 하면, 상기 단말기는 다이얼 톤신호를 사용자에게 들려주면서, 키 배열을 설정할 것인지 확인한다.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가 키 배열 설정을 할 것이라는 확인신호(ACK)를 단말기에 입력하면, 상기 단말기는 키 배열 설정을 할 수 있는 정보(KEY MAP INDICATION INFO)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는 배열을 설정할 버튼을 입력하고, 할당할 숫자와 문자를 할당하여 입력하면(PUSH KEY BUTTON), 상기 단말기는 해당 처리를 하여 임시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키 배열 할당이 종료된 경우, 사용자는 키 배열 설정이 종료되었음을 단말기에 입력하며(KEY MAP COMPLETE), 상기의 신호를 입력받은 단말기는 해당 확인신호(ACK)와 함께, 저장할 것인가를 사용자에게 묻는다(SAVE KEY MAP?).
사용자가 단말기에 해당 확인신호(ACK)를 입력하면, 상기 단말기는 해당 메모리에 기록 저장하고(SAVE KEY MAP), 링백톤(RINGBACK TONE)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키 배열 설정이 완료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의 해당 버튼 또는 키를 입력하므로써 호 접속 요청을 한다(CALL REQUEST).
상기 단말기는 통신망(NETWORK)에 호접속을 설정하고(SETUP), 통신망은 해당 처리를 통하여 송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의 경로 접속을 시도한다.
상기 피호출된 수신측 단말기는 호출되었음을 나타내는 링(RING)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착신링 신호에 의한 링백톤 신호(ALERT)를 수신한 상기 통신망(NETWORK)은, 발신측 단말기로 상기 링백톤 신호(ALERT)를 전송한다.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착신링 신호를 확인하고, 호출에 응하여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즉, 수신측 단말기의 후크오프(HOOK OFF)에 의한 접속(CONNECT)을 감지한 통신망(NETWORK)은 해당 접속(CONNECT) 신호를 발신측 단말기에 전송한다.
상기 발신측 단말기에 의한 접속 확인(CONNECT ACK) 신호를 수신한 통신망(NETWORK)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수신자 단말기의 통신경로를 연결하므로서 통신(COMMUNICATION)이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통신이, 일 예로, 수신측 단말기로부터 종료되는 경우, 종료 확인(ACK) 신호를 수신한 통신망(NETWORK)은 발신측 단말기에 상기의 종료 확인(ACK)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응답신호(RESPONSE CONFIRM)를 수신한 통신망은 필요한 경우 해당 수신측 단말기에 상기 응답신호(RESPONSE CONFIRM)를 전송하므로써 통신이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단말기의 다이얼키를 사용자의 편의에 의하여 임의로 지정할 수 있으므로 해당 소유자만 이용할 수 있고, 장애자에서 적합하게 단말기의 키 배열을 변경 설정하므로써 장애자용 전용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3 자 또는 타인은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비밀유지 기능으로도 활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에 의하여 단말기의 다이얼키 배열을 임의 변경하므로써, 사용자 위주의 단말기를 제공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장애인이 용이하게 통신 할 수 있도록 키 배열을 변경하므로써, 장애인의 복지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인의 무단으로 단말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차단 및 비밀유지 효과가 있다.
도1 은 종래 기술의 일 예에 의한 단말기 키보드 배열 상태도 이고,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키보드의 배열 상태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키 배열 설정방법 순서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키 배열 설정 및 호 접속 신호 전송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15 : 키보드 20,25 : 다이얼키
30,35 : 기능키

Claims (2)

  1. 통신용 단말기의 키 배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숫자, 기호 및 문자가 인쇄되지 않은 키 배열을 새로이 설정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과정 에서 판단하여 상기 키 배열을 새로이 설정하는 경우, 키를 지정하여 해당 숫자 및 문자를 할당하고 입력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과정 에 의하여 할당되고 입력된 키 배열을 단말기의 해당 표시부를 통하여 확인하고, 키 배열의 할당 입력을 계속 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제2 과정으로 궤환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과정 에서 판단하여 키 배열을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이미 할당된 키 배열을 해당 메모리에 기록하여 저장하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 배열 설정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에서 판단하여 키 배열을 새로이 설정하지 않는 경우는, 단말기의 해당 표시부를 통하여 현재 해당 메모리에 입력 기록된 키 배열을 확인하고, 상기의 키 배열을 변경할 것인지 판단하여 변경하는 경우는 상기 제1 과정으로 궤환하며, 변경하지 않는 경우는 제4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5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 배열 설정방법.
KR10-2002-0024090A 2002-05-02 2002-05-02 단말기의 키 배열 설정방법 KR10048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090A KR100485066B1 (ko) 2002-05-02 2002-05-02 단말기의 키 배열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090A KR100485066B1 (ko) 2002-05-02 2002-05-02 단말기의 키 배열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814A KR20030085814A (ko) 2003-11-07
KR100485066B1 true KR100485066B1 (ko) 2005-04-22

Family

ID=3238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090A KR100485066B1 (ko) 2002-05-02 2002-05-02 단말기의 키 배열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0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808B1 (ko) * 2006-06-13 2007-09-20 주식회사 팬택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
KR100815049B1 (ko) 2006-08-15 2008-03-1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키 할당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984B1 (ko) * 2002-12-28 2005-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키위치 변경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3075A (ja) * 1997-02-25 1998-09-11 Nitsuko Corp 把握型機器用キーボードおよび把握型電話機
KR20000045664A (ko) * 1998-12-30 2000-07-25 강병호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키입력장치 및 그 키입력방법
JP2001306233A (ja) * 2000-04-26 2001-11-02 Nec Corp キーカスタマイズ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KR20020069959A (ko) * 2001-02-28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패드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키 데이터 입력 방법
KR20030025524A (ko) * 2001-09-21 2003-03-29 장재일 다양한 문자열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키패널 각각에액정표시부를 구비한 키입력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3075A (ja) * 1997-02-25 1998-09-11 Nitsuko Corp 把握型機器用キーボードおよび把握型電話機
KR20000045664A (ko) * 1998-12-30 2000-07-25 강병호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키입력장치 및 그 키입력방법
JP2001306233A (ja) * 2000-04-26 2001-11-02 Nec Corp キーカスタマイズ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KR20020069959A (ko) * 2001-02-28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패드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키 데이터 입력 방법
KR20030025524A (ko) * 2001-09-21 2003-03-29 장재일 다양한 문자열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키패널 각각에액정표시부를 구비한 키입력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808B1 (ko) * 2006-06-13 2007-09-20 주식회사 팬택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
KR100815049B1 (ko) 2006-08-15 2008-03-1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키 할당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814A (ko)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524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tecting private conten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5349629A (en) Portable telephone with speed dialing
US5479496A (e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options and notifications
US5703936A (en) Communication apparatus receiving information from portable information medium
KR20020087665A (ko) 개인휴대용 통신단말기의 분실모드에 따른 동작방법
JP2004193655A (ja) Web提供システム、Web提供方法、これらに用いる端末、及び、端末制御プログラム
KR100485066B1 (ko) 단말기의 키 배열 설정방법
US5309511A (e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KR1008630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일정 공유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0669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밀속성을 가진 단문메시지의 전송및 수신방법
JPS59104850A (ja) 電話装置
US5467389A (e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nswerable by proxy
JPH04335750A (ja) 通信装置
EP0744875B1 (en) Subscriber number storing device and mobile station using the same
JP3838927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装置
JP2856707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2001045136A (ja) 電話機
KR100854395B1 (ko) 지문인식 관리기능을 이용하는 공용 전화기시스템의 제어방법
JP3298533B2 (ja) 電話端末における発信者番号表示規制装置および方法
JP4710523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1007174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공유 방법 및 장치
KR960003109B1 (ko) 객실관리 교환시스템의 호서비스방법
JP2762562B2 (ja) 構内交換機
KR1010352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문자메시지 암호화 방법
JPS62278865A (ja) 情報供給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