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808B1 -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808B1
KR100760808B1 KR1020060053120A KR20060053120A KR100760808B1 KR 100760808 B1 KR100760808 B1 KR 100760808B1 KR 1020060053120 A KR1020060053120 A KR 1020060053120A KR 20060053120 A KR20060053120 A KR 20060053120A KR 100760808 B1 KR100760808 B1 KR 100760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operation section
keypad
key oper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6005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키패드의 키 작동 구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으로 설정하도록 한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키 설정 모드 선택시에, 해당 단말기에서 키 작동 구간 설정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좌표값을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좌표값을 잇는 선을 경계로 키패드를 분할시켜 해당 분할된 영역을 키 작동 구간으로 설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 수행시,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 작동 구간에 각각 지정된 특정 키를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특정 키의 기능을 각각 지정된 키 작동 구간에 매칭시켜 해당 매칭된 정보를 상기 키 작동 구간과 함께 저장하는 제2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키패드의 키 입력 작동 구간 및 위치를 임의로 변환 설정하여 특정 키 근처의 다른 키가 눌릴 확률 및 다른 키들을 함께 누를 확률을 감소시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하는 키를 바르게 입력하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Method of Setting Key in Key Inpu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키패드를 좌표의 형태로 출력시킨 메뉴 창을 예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좌표에 설정된 좌표값의 위치를 예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좌표값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한 형태를 예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선을 경계로 하여 분할된 각 키 작동 구간에 번호를 부여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에 있어서 좌표에 설정된 좌표값의 위치를 예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좌표값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한 형태를 예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2에 있어서 특정 기본 키와 키 작동 구간을 매칭시킨 결과를 예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키 입력부 20: 제어부
30: 메모리부 40: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키패드의 키 작동 구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으로 설정하도록 한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경우에, 게임 작동에 필요한 특정 키를 필요한 위치로 지정하여 설정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는 단순히 사용자의 손을 편하고 빠르게 움직이기 위해서 게임 기능 작동에 필요한 특정 키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있는 키를 일대일로 매핑(Mapping)시켜 설정하는 키 설정 방식이다. 여기서, 특정 키와 매핑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있는 키는 해당 특정 키가 수행하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최근에, 키 입력 장치는 감압센서/FSR(Force Sensitive Resistor)센서를 적용한 PC(Polycarbonate) 시트(Sheet)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키 입력 장치에서 키 입력 동작은, 사용자가 키패드의 인쇄부를 확인한 후에, 해당 확인된 키패드의 인쇄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누름 동작을 통한 외력을 가하면, 상기 감압센서/FSR센서에서 사용자의 누름 동작시 발생되는 미세한 외력을 감지하며, 해당 감지된 누름 동작에 대응하는 누름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키 입력 장치에 연결된 제어부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압센서/FSR센서로부터 누름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았음을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눌린 위치의 인쇄 사양에 부합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에 구성된 키를 눌러 해당 키패드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돔(Dome)을 누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누르는 감각을 느끼지 못하여 올바른 키를 입력하였는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직접 사용중인 상기 키 입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의 화면을 보고 자신의 키 입력이 올바른지 확인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에, 상기 PC 시트 키패드는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크기로 인한 좁은 공간 안에 최소한 12개의 키를 이루기 위하여 전체 면적이 최소 1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키 각각의 면적이 매우 좁게 할당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에, 사용자는 상기 PC 시트 키패드를 분할시켜 이루어진 최소 12개의 키 중에서, 해당 특정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는 특정 키와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있는 키를 매핑시켜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해당 매핑된 편리한 위치에 있는 키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지정된 키를 반복하여 빠르게 누르는 경우에 상기 지정된 키에 이웃하는 다른 키를 누를 수도 있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PC 시트 키패드를 이루는 키들은 최소한 12개 이상이므로, 각각 좁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PC 시트 키패드를 분할시켜 이루어진 키들은 각각 할당된 면적이 매우 좁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정 기능 동작 수행을 위해 특정 키를 입력하는 경우에, 해당 원하는 특정 키 근처의 다른 키를 누르게 될 확률 및 다른 키들을 함께 누를 확률이 높아지게 되어 올바른 키를 입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키패드의 키 작동 구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으로 설정하도록 한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압센서/FSR센서를 적용한 PC 시트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특정 키의 입력으로만 작동되는 기능을 수행하 는 경우에, 해당 키패드의 키 작동 구간 및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변환 설정하여 해당 특정 키 근처의 다른 키가 눌릴 확률을 감소시켜 주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은,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키 설정 모드 선택시에, 해당 단말기에서 키 작동 구간 설정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좌표값을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좌표값을 잇는 선을 경계로 키패드를 분할시켜 해당 분할된 영역을 키 작동 구간으로 설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 수행시,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 작동 구간에 각각 지정된 특정 키를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특정 키의 기능을 각각 지정된 키 작동 구간에 매칭시켜 해당 매칭된 정보를 상기 키 작동 구간과 함께 저장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과정은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메뉴 상의 키 설정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에서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키 작동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화면에 좌표 형태로 상기 키패드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두 개의 좌표값을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좌표값들의 위치를 상기 좌표 형태로 출력된 키패드에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설정된 좌표값들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하여 해당 연결된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키패드를 분할 시켜 해당 분할된 영역을 키 작동 구간으로 할당한 후에, 해당 키 작동 구간을 더 할당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키 작동 구간을 더 할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할당된 키 작동 구간별로 각각 구간 번호를 랜덤으로 부여하여 키 작동 구간을 설정한 후에, 해당 설정된 키 작동 구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과정은 상기 키 작동 구간을 더 할당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두 개의 좌표값을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좌표값들의 위치를 상기 좌표에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설정된 좌표값들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하여 해당 연결된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키패드를 분할시켜 해당 분할된 영역을 키 작동 구간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 작동 구간의 구간 번호에 일대일로 지정된 특정 키의 번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키패드의 키 배치 및 크기와 상관없이 몇몇 키들의 영역을 합쳐서 더 넓은 영역을 가지는 하나의 키로 설정함으로써,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키 작동 구간을 제공하며, 사용자 임의대로 키 배치 사양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종래에 설정되어 있는 기본 키 버튼보다 더 넓은 크기의 키 버튼을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키패드의 키 작동 구간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 라 키 설정 모드 메뉴에서 좌표값을 이용하여 키 버튼 구간의 형상을 설정하고, 이를 단말기에 저장시킨 후, 필요에 따라 해당 저장되어 있는 키 버튼 구간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을 위한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내부에 키 입력부(10)와, 제어부(20)와, 메모리부(30)와,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해당 제어부(20)는 메모리부(30), 키 입력부(10) 및 디스플레이부(40)와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키 입력부(10)는 키패드와 다수의 압전 센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해당 키 입력부(10)는 감압센서/FSR센서를 적용한 PC 시트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키패드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외력을 인가받아 해당 인가받은 외력을 키패드 하단에 분포되어 있는 압전 센서로 인가해 준다.
상기 압전 센서는 상기 키패드로부터 인가받은 외력을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외력에 대한 전기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전기 신호를 상기 제어부(20)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압전 센서는 감압 센서/FSR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압전 센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인가받은 전기 신호를 생성시킨 압전 센서의 위치를 파악한 후에, 해당 파악된 위치에 대응하는 키패드의 인쇄 사양에 매칭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 터 판독하여 해당 판독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화면에 출력시킬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정보를 인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메모리부(30)에 정보를 저장시킨다.
상기 메모리부(30)는 상기 압전 센서들 각각에 대응하는 키패드의 인쇄 사양에 매칭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30)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받아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30)는 상기 키패드를 분할시키기 위해 좌표값을 입력받기 위한 좌표값 입력 창에 대한 정보, 좌표값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키패드를 좌표 형태로 표시한 정보, 상기 키 작동 구간을 더 할당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메시지 및 사용자가 키 작동 구간에 설정하고자하는 특정 기본 키를 입력하기 위핸 입력 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30)는 좌표값의 위치를 좌표 상에 점으로 표시하기 위한 정보와 좌표값들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정보를 인가받아 화면에 출력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은 도 2에 나타낸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단말기의 특정 기능(예를 들어, 게임 기능) 수행시, 사용자가 키 작동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된 메뉴 창을 보고,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메뉴 창에 표시된 여러 모드 중에서 키 설정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키 입력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 설정 모드를 인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로 인가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키 입력부(10)에 구비된 키패드 상의 인쇄 사양을 보고 원하는 기능에 해당하는 인쇄 사양을 가진 키에 외력을 인가하여 누름으로써 원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이에, 상기 키패드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외력을 인가받아 해당 인가받은 외력을 키패드 하단에 분포되어 있는 압전 센서로 인가해 준다.
이에, 상기 압전 센서는 상기 키패드로부터 인가받은 외력을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외력에 대한 전기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전기 신호를 상기 제어부(20)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압전 센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압전 센서의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압전 센서의 위치에 존재하는 키패드의 인쇄 사양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판독한 후에, 해당 판독된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의 키 설정 모드 선택을 확인한 후에(단계 S21), 좌표를 이용하여 키 작동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키패드를 좌표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판독한 후에(단계 S22), 해당 판독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인가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20)는 사용자로부터 좌표값을 입력받기 위한 좌표값 입력 창을 출력시키기 위해 좌표값 입력 창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키패드를 좌표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키패드를 화면에 좌표로 출력시키며, 동시에,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상기 좌표값 입력 창에 대한 정보를 인가받아 해당 출력된 좌표의 아래쪽에 상기 좌표값 입력 창을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키패드를 좌표로 출력시키며, 동시에 해당 출력된 좌표 아래쪽에 좌표값 입력 창을 출력시킨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 좌표와 상기 좌표값 입력창을 보고, 원하는 두 개의 좌표값을 선택하여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입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1,G'와 '7,A' 좌표값을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상기 제어부(20)로 입력한다. 여기서, 왼쪽의 숫자는 가로축의 좌표, 오른쪽의 영문은 세로축의 좌표를 의미한다.
이에, 상기 키 입력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두 개의 좌표값을 인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키 입력부(10)로부터 두 개의 좌표값에 대한 정보를 인가받아 이에 대응하는 상기 좌표 상의 위치에 상기 두 개의 좌표값의 위치를 설정하며(단계 S23), 해당 설정된 좌표값의 위치를 상기 좌표 상에 점으로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설정된 좌표값의 위치를 좌표 상에 점으로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화면에 출력된 좌표에 상기 좌표값에 해당하는 위치를 점으로 표시하여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1,G'와 '7,A' 좌표값의 위치를 상기 좌표에 표시하여 화면에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좌표에 설정된 좌표값들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좌표값들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점으로 표시된 좌표값들을 선으로 연결시켜 화면에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설정된 '1,G'와 '7,A' 좌표값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좌표값들을 연결한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좌표로 표시되어있는 키패드를 분할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연결된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키패드를 분할시켜 키 작동 구간을 할당해 준다(단계 S24).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키 작동 구간이 할당되어 있는 좌표 형태의 키패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에 임시 저장시킨다.
이에,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키 작동 구간을 더 할당할 것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25).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키 작동 구간을 더 할당할 것인 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메시지를 인가받아 화면에 출력시킨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출력된 키 작동 구간을 더 할당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보고, 상기 키 작동 구간을 더 할당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키 입력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키 작동 구간을 더 할당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 결과를 인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로 인가한다.
이때, 상기 키 작동 구간을 더 할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메모리부에 임시 저장된 좌표 형태의 키패드에 할당되어 있는 각 키 작동 구간별로 각각 구간 번호를 부여하여 키 작동 구간을 설정한다(단계 S26).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는 해당 각 영역별로 '1', '2' 등의 순서로 구간 번호를 랜덤하게 부여한다.
그 다음에,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설정된 키 작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시킨다(단계 S27).
만일에,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 수행시,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키 작동 구간을 키 버튼으로 사용하기를 원하여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된 메뉴 창에서 상기 설정된 키 작동 구간의 실행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키 입력부(10)는 사용자의 키 작동 구간 실행 모드 선택을 인식하여 이에 대한 정 보를 상기 제어부(20)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상기 설정된 키 작동 구간 실행 모드 선택을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키 작동 구간 정보들 중에, 상기 선택된 키 작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상기 선택된 키 작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인가받아 해당 인가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선택된 키 작동 구간을 화면에 출력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각 키 작동 구간별로 각각 사용자가 원하는 키를 지정해 줄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한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각 키 작동 구간별로 사용자가 설정하고자하는 특정 기본 키를 일대일로 지정하여 입력하라는 입력 창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입력 창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인가받아 해당 인가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입력 창을 화면에 출력시킨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 입력 창을 보고, 상기 각 키 작동 구간을 각각 키 버튼으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특정 기본 키의 번호와 원하는 키 작동 구간에 부여된 구간 번호를 일대일로 지정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특정 기본 키 '2'번 에 구간 번호 '1'번, 특정 기본 키 '6'번에 구간 번호 '2'번, 특정 기본키 '8'에 구간 번호 '3'번, 특정 기본 키 '4'번에 구간 번호 '4'번으로 지정한다.
이에, 상기 키 입력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번호들을 인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상기 특정 기본키와 이에 각각 지정된 키 작동 구간의 구간 번호에 대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특정 기본 키에 설정되어 있는 기능을 각각 지정되어 있는 각 키 작동 구간에 각각 매칭시킨다(단계 S28).
여기서, 상기 특정 기본 키의 기능은 상기 단말기에서 특정 기능 수행시, 해당 특정 기능을 작동시키는 기능값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매칭된 키 작동 구간을 각각 지정받은 특정 기본 키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새로운 키 버튼으로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는 원래 기본 키 버튼에 할당된 키 작동 구간보다 더 넓은 키 작동 구간을 가지는 새로운 키 버튼을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특정 기본 키의 기능이 매칭된 정보를 상기 키 작동 구간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시킨다(단계 S29).
여기서, 상기 제어부(20)는 기본 키의 구간별로 설정되어 있는 상기 압전 센서의 외력 감지 구간을 상기 매칭된 키 작동 구간에 대응하도록 새로 설정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매칭된 키 작동 구간을 새로운 키 버튼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키패드 하단에 분포되어 있는 압전 센서의 외력 감지 구간을 상 기 매칭된 키 작동 구간에 대응하도록 매칭시킨다.
이처럼,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예를 들어, 게임 기능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특정 기본 키의 기능이 매칭된 키 작동 구간 실행 모드를 선택하는 것으로 새로운 키 버튼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특정 기능 수행 시에, 상기 특정 기능의 작동에 필요한 작은 면적을 가진 몇 개의 기본 키 사용을 제공하는 대신에, 해당 몇 개의 기본 키의 기능을 각각 매칭시킨 큰 면적을 가지는 키 버튼 사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상기 키 작동 구간을 더 할당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메모리부(30)에 임시 저장된 키 작동 구간이 할당되어 있는 좌표 형태의 키패드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인가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좌표값을 입력받기 위한 좌표값 입력 창을 출력시키기 위해 좌표값 입력 창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에서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키 작동 구간이 할당되어 있는 좌표 형태의 키패드에 대한 정보를 인가받아 해당 인가받은 정보에 의해 키 작동 구간이 할당되어 있는 키패드를 좌표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좌표값 입력 창에 대한 정보를 인가받아 해당 좌표 형태로 출력된 키패드의 아래쪽에 상기 좌표값 입력 창을 출력시킨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 좌표와 상기 좌표값 입력창을 보고, 원하는 두 개의 좌표값을 선택하여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입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1,A'와 '7,G' 좌표값을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상기 제어부(20)로 입력한다. 여기서, 왼쪽의 숫자는 가로축의 좌표, 오른쪽의 영문은 세로축의 좌표를 의미한다.
이에, 상기 키 입력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두 개의 좌표값을 인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키 입력부(10)로부터 두 개의 좌표값에 대한 정보를 인가받아 이에 대응하는 상기 좌표 상의 위치에 상기 두 개의 좌표값의 위치를 설정하며, 해당 설정된 좌표값의 위치를 점으로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상기 설정된 좌표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점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화면에 출력된 좌표에 상기 좌표값에 해당하는 위치를 점으로 표시하여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1,A'와 '7,G' 좌표값의 위치를 상기 좌표에 표시하여 화면에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좌표에 설정된 좌표값들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좌표값들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점으로 표시된 좌표값들을 선으로 연결시켜 화면에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설정된 '1,A'와 '7,G' 좌표값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좌표값들을 연결한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좌표로 표시되어있는 키패드를 분할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연결된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키패드를 분할시켜 키 작동 구간을 할당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키 작동 구간이 할당되어 있는 좌표 형태의 키패드를 상기 메모리부(30)로 임시 저장시킨다.
다르게는, 상기 제어부(2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좌표값들을 입력받는 대신에 기본 키만을 입력받아 키패드를 분할시켜 키 버튼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본 키 '1', '4', '7'번에 기본 키 '4'번, 기본 키 '2', '5', '8'번에 기본 키 '8'번, 기본 키 '3', '6', '9'번에 기본 키 '6'번으로 지정하여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4', '8', '6'번 키에서 수행하던 특정 기능을 상기 기본 키에 대응하여 설정된 키 작동 구간에 매칭시켜 새로운 키 작동 구간을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해당 설정된 새로운 키 작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시킨다.
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감압센서/FSR센서를 적용한 PC 시트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특정 키의 입력으로만 작동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 키패드의 키 입력 작동 구간 및 위치를 임의로 변환 설정하여 줌으로써, 해당 특정 키 근처의 다른 키가 눌릴 확률 및 다른 키들을 함께 누를 확률을 감소시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하는 키를 바르게 입력하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키 설정 모드 선택시에, 해당 단말기에서 키 작동 구간 설정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좌표값을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좌표값을 잇는 선을 경계로 키패드를 분할시켜 해당 분할된 영역을 키 작동 구간으로 설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 수행시,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 작동 구간에 각각 지정된 특정 키를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특정 키의 기능을 각각 지정된 키 작동 구간에 매칭시켜 해당 매칭된 정보를 상기 키 작동 구간과 함께 저장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메뉴 상의 키 설정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에서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키 작동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화면에 좌표 형태로 상기 키패드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두 개의 좌표값을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좌표값들의 위치를 상기 좌표 형태로 출력된 키패드에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설정된 좌표값들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하여 해당 연결 된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키패드를 분할시켜 해당 분할된 영역을 키 작동 구간으로 할당한 후에, 해당 키 작동 구간을 더 할당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키 작동 구간을 더 할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할당된 키 작동 구간별로 각각 구간 번호를 랜덤으로 부여하여 키 작동 구간을 설정한 후에, 해당 설정된 키 작동 구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상기 키 작동 구간을 더 할당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두 개의 좌표값을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좌표값들의 위치를 상기 좌표에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설정된 좌표값들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하여 해당 연결된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키패드를 분할시켜 해당 분할된 영역을 키 작동 구간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 작동 구간의 구간 번호에 일대일로 지정된 특정 키의 번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
KR1020060053120A 2006-06-13 2006-06-13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 KR100760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120A KR100760808B1 (ko) 2006-06-13 2006-06-13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120A KR100760808B1 (ko) 2006-06-13 2006-06-13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808B1 true KR100760808B1 (ko) 2007-09-20

Family

ID=3873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120A KR100760808B1 (ko) 2006-06-13 2006-06-13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8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049B1 (ko) 2006-08-15 2008-03-1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키 할당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160B1 (ko) * 2002-09-28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패드 편집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485066B1 (ko) * 2002-05-02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키 배열 설정방법
KR20050071992A (ko) 2004-01-05 200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 가변 방법
KR100517984B1 (ko) * 2002-12-28 2005-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키위치 변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066B1 (ko) * 2002-05-02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키 배열 설정방법
KR100455160B1 (ko) * 2002-09-28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패드 편집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517984B1 (ko) * 2002-12-28 2005-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키위치 변경방법
KR20050071992A (ko) 2004-01-05 200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 가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049B1 (ko) 2006-08-15 2008-03-1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키 할당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752B1 (ko) 터치스크린에서 화면 분할과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663437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원격 입력 방법
US20120204258A1 (en) Password input method based on touch screen
US201203156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braille in device having touch screen
KR20060028115A (ko)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JP2013131087A (ja) 表示装置
US20170047065A1 (en) Voice-controllable image display device and voice control method for image display device
WO2015064229A1 (ja) パスワード認証装置、パスワード認証方法、およびパスワード認証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90034210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문자 입력 방법
US20070109278A1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ptical sensing,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760808B1 (ko)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
US93778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KR20090049153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20080010734A (ko)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전환 제어방법
KR20140048780A (ko) 화면 모드 전환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KR20090065340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475519B1 (ko)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
KR1006624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문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21362B1 (ko) 셋톱박스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4102983A (ja) 電子機器の入力パネル装置
KR101141728B1 (ko) 소형전자장치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13168762A (ja) 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入力方法
WO20080758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text corresponding to relative coordinates values generated by movement of a touch position
KR20080083868A (ko) 문자 입력장치 및 그 키패드의 재설정방법
KR100625950B1 (ko) 점자입력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