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554B1 - 개선된위상편이방식의신호복조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위상편이방식의신호복조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554B1
KR100484554B1 KR10-1998-0706288A KR19980706288A KR100484554B1 KR 100484554 B1 KR100484554 B1 KR 100484554B1 KR 19980706288 A KR19980706288 A KR 19980706288A KR 100484554 B1 KR100484554 B1 KR 100484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value
values
error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2550A (ko
Inventor
아라바난 구루자미
미첼 네캄킨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1999008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233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 H04L27/2338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using sam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33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 H04L7/0334Processing of samples having at least three levels, e.g. soft deci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33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 H04L7/0337Selecting between two or more discretely delayed clocks or selecting between two or more discretely delayed received code signals

Abstract

데이터 스트림의 내용에 독립한 오차 통계량의 평가에 기초한 개선된 신호 복조용 방법. 데이터 주기 내의 적절한 샘플링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해, 다중 샘플링 포인트들을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의 교번적인 디코딩들의 셋(set)을 생성한다. 연관된 이 교번적 셋들의 각각은, 전송된 스트림의 공지된 특성에 기초하여 계산된 오차 통계이다. 예를 들어, 차동 QPSK에서, 인코딩된 위상 변화는 90도의 배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차 통계는 각각의 샘플링된 위상과 최근의 다수의 90도 사이의 차이의 함수이다. 이 오차 통계로 각 샘플링 포인트와 연관한 품질 및 잡음 마진의 양을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최고 품질의 오차 통계와 연관된 디코딩된 스트림은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의 적절한 디코딩으로서 선택된다. 본 발명은 특히, ATM 등의 소형 데이터 패킷들을 처리하는데 적합하다.

Description

개선된 위상 편이 방식의 신호 복조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phase shift keyed(PSK) signal demodul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신호 전송 및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상 편이 방식(PSK) 신호들의 복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다중 접속 프로토콜 네트워크들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형 데이터 패킷들의 신뢰성 있는 로버스트(robust) 통신에 응용할 수 있다.
위상 편이 방식(PSK) 변조는 특히 디지털 데이터 전송에 효과적이다. PSK 변조에서, 데이터 유닛의 값은 반송파 신호의 위상으로 인코딩된다. 예를 들어, 2진(binary) 시스템에서, 0의 데이터 유닛 값은 0도의 위상으로 인코딩될 수 있고, 1의 값은 180도의 위상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4진(quadrary) 시스템에서, 00, 01, 11, 10의 데이터 값들은 45도, 135도, 225도, 315도의 위상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수신된 PSK 변조 신호로부터 데이터 유닛을 디코딩하기 위해, 신호의 위상은 전송기에서 기준 반송파 신호의 위상과 비교되어야 한다. 그 기준 신호는 흔히, 예를 들어 위상 동기 루프(PLL; phase locked loop) 회로로, 반송파 주파수에 로크(lock)시켜 수신기에서 유도된다. 로크된(locked) PLL의 출력은, 전송기의 기준 신호에 대한 고정 위상 관계의, 반송파 주파수일 것이다. 반송파 신호에 로크시키는 처리는 시간을 소비할 수 있다. 로크가 달성되는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잡음에 대한 로크 감도를 증가시키는 역효과를 가져온다. 전송기에서 기준 위상에 실제로 대응하여 수신된 위상을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신호로부터 절대 위상(absolute phase)을 유도하는 것 역시, 위상이 모호해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로크시키고, 수신기 기준 위상을 전송기 기준 위상에 대응하도록 설정하기 위해, 공지된 데이터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가 실제 메시지 내용에 앞서 전송된다.
차동 PSK 변조는 기준 위상을 설정하여야 할 필요가 없다. 데이터 유닛 값은 특정 위상보다는 오히려 위상 변화에 따라 인코딩된다. 즉, 예를 들어, 2진 시스템에서, 0의 데이터 값은 위상의 변화 없이 인코딩될 수 있지만, 1의 데이터 값은 180도만큼 위상이 변화되어 인코딩된다. 즉, 111001의 데이터의 열들은, 셋이 위상이 변화되고, 다음 둘이 위상이 변화되지 않으며, 다음 하나가 위상이 변화된 열이다. 앞 설명에서, 실제 위상은 관계없으며, 초기 위상과 상관없이, 3개의 변화들이 111로 디코딩된다. 위상의 "변화 없음(non-change)"의 적절한 수를 검출하기 위해, 공칭 데이터 주기를 가정한다. 따라서, 두 데이터 주기들에 대해 위상 변화가 없을 경우, 00 데이터 패턴에 대응한다. 동일한 위상 인코딩의 변화가 3진(trinary), 4진(quadrary), 및 보다 높은 데이터 유닛 타입들에도 사용될 수 있다.
차동 PSK 변조 및 대응하는 차동 PSK 복조는 절대 PSK 변조 및 복조에 비해 이점을 제공한다. 차동 변조 및 복조를 사용하면, 수신기는 전송기에 로크하지 않거나, 수신기는 기준의 공지 신호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반송파는 제 1 인코딩 데이터 아이템에 앞서 위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위상 변화가 검출될 수 있으나, 특정 데이터 시퀀스가 전송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차동 변조 및 복조는 잠재 오차율(potential error rate)을 현저히 증가시킨다. 하나의 데이터 유닛에 대해 위상 변화를 결정할 때의 오차는, 다음 데이터 유닛을 비롯한 데이터 유닛에 영향을 미친다. 즉, 예를 들어, 2진 인코딩에서, 세 변화들이 전송되고, 어느 하나의 변화도 검출되지 않으면, 다음 변화는 명백하게 변화가 없는 위상에 대해 변화 없음(non-change)으로 나타나거나, 또는, 다음의 변화 없음이 변화로 나타난다. 오차들의 배가(doubling)로, 절대 PSK 변조는 종종, 잡음 및 기타 간섭들 등으로 인해, 오차 가능성이 높은 환경에서 행해진다. 그러나,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절대 위상 복조는 전형적으로, 차동 위상 복조보다 시간 소비가 많고 비용이 많이 든다.
비록 차동 변조가, 이상적으로 절대 위상 기준을 설정한 필요가 없다고 해도, 오차들은 전송기와 수신기 사이의 데이터 주기들 및/또는 샘플링 시간들의 차이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수신기는 각 데이터 주기의 적절한 포인트에서의 샘플링함으로써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결정한다. 적절한 샘플링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주기들 사이의 천이 포인트(transition point)들로부터 떨어지므로, 참 데이터 값(true data value)을 나타내게 된다. 적합한 복조를 위해, 적절한 샘플링 포인트는, 데이터 주기 내의 비교적 안정한 부분을 결정하기 위해 신호 처리를 필요로 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데이터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한 수신기와 전송기를 필요로 한다. 이 초기 샘플링 포인트를 설정하기 위해, 통상적인 차동 PSK 인코딩 프로토콜들은 각 데이터 메시지에 공지된 프리앰블을 부가한다.
전체적으로, 비록 차동 PSK 변조 및 복조가 전송기 및 수신기 사이의 필요한 동기화가 감소되더라도, 통상적인 복조 기술들은 아직 프리앰블의 전송 및 디코딩을 필요로 하고, 비차동(non-differential) 기술들보다 현저히 높은 오차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리앰블이 일련의 메시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 기초를 설정하는데 임의의 오차들은 실제 메시지 디코딩의 오차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해, 네트워크들이 공통의 수신기나 수신기들의 셋에 대해 다중 전송기들을 갖는, 다중 접속 네트워크들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프로토콜들의 필요가 증가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에서, 각 전송기가 짧은 메시지 패킷들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동일 전송기로부터의 전송 사이의 지연 시간(latency time)이 최소이다. 이는 각 전송기의 저장 요구를 최소화하고, 다중 패킷들의 전송 시, 감지된 지연들, 또는 갭들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에서, 오버헤드, 즉, 각 패킷의 비메시지(non-message) 내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고, 전송기 특성들 사이의 차이들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각 전송기가 전송하는 시간이 적게 요구되기 때문에, 전송기를 동기시키는데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복조 기술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마찬가지로, 개별 전송기들나 그 전송 경로들의 특성들 사이의 분산이 존재하기 때문에, 주파수 또는 위상의 전송과 수신 사이의 시간을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복조기들에 의해 결정된, 절대 인코딩 2진 PSK 신호의 변조, 수신된 위상 패턴, 및 두개의 교번적인 복조 결과들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대 인코딩된 2진 PSK 신호의 변조, 수신된 위상 패턴, 및 복조 결과들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의 복조기들에 의해 결정된, 절대 인코딩된 4진 PSK 신호, 수신된 위상 패턴, 및 두개의 교번적인 복조 결과들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절대 인코딩된 펄스 위치 변조(PPM) 신호 및 수신된 위상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대 인코딩된 4진 PSK 신호, 수신된 위상 패턴, 및 복조 결과들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적으로 인코딩된 4진 PSK 신호의 변조, 수신된 위상 패턴, 및 복조 결과들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조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잡음 조건들하에서 개선된 성능을 위한 반송파 및 프리앰블에 무관한 PSK 복조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다. 비록 차동 PSK(DPSK)가 오차율에 관해 절대 위상 PSK보다 통상적으로 열등하지만,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DPSK는 잡음이 미치는 환경에서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은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절대 위상 변조 및 다른 유형들의 변조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조는, 다수의 패킷 심벌들을 축적하고, 최소 오차 기술에 기초하여, 위상이나 위상 변화들을 결정하기 위한 올바른 샘플 포인트를 선택하여 실행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절대 위상 PSK 복조 스킴에서의 반송파 위상 이동으로 인한 오차들과, 수신된 패킷의, 프리앰블과 같은, 수신된 서브셋(subset)에 기초한 위상 결정으로 인한 디코딩 오차들을 피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임의의 다른 전송기의 특성들과는 독립적으로, 전송기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전적이고 실질적으로 기초한 그 전송기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효과적인 복조를 가능하게 하여, 상이한 전송 특성들을 갖는 다중 전송기들로부터의 전송들을 수용하다.
도 1은 절대 위상을 이용한 2진 데이터 패턴의 위상 인코딩을 도시한다. 반송파 신호는 시변환 사인파 신호(100)로서 도시된다. 인코딩될 데이터 스트림은 신호(110)로서 도시된다. 인코딩된 신호, 즉, 변조된 PSK 신호는, 신호(120)로서 도시된다. 이 예에서, 데이터 신호가 로우이면, 인코딩된 신호(120)는 반송파(100)와 동상(in phase)이고, 데이터 신호가 하이이면, 인코딩된 신호는 반송파와 180도 이상(out of phase)이다. 이는 111에서의 로우 데이터 신호와 121에서의 대응하는 동상 신호, 및 112에서의 하이 데이터 신호와 122에서의 대응하는 이상 신호로 도시된다. 이 인코딩에서, 인코딩된 신호의 위상은 0도 또는 180도이고, 위상은 이 두 값들 사이의 어느 값도 아니다.
신호(130)는 전송동안 잡음 및 다른 간섭들에 의해 영향을 받은 후 인코딩된 신호(120)를 나타낸다. 이 신호의 검출된 위상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가정되거나 결정된 반송파에 관해, 신호(140)로서 도시된다. 예상할 수 있겠지만, 데이터 세그먼트들(111, 112, ...116)에 각각 대응하는 위상 세그먼트들(141, 142, ...14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스트림(110)과 검출된 위상 신호(140) 사이에는 강한 유사성이 있다. 그러나, 잡음 및 다른 간섭들에 따라, 검출된 위상 신호(140)는, 0도 및 180도의 두 인코딩된 위상들 사이에서 급격하지도 일관되지도 않게 천이한다. 또한, 잡음이나 다른 요소들로 인해, 비록 인코딩된 위상이 일정하다 하더라도, 검출된 위상은 1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할 수 있다.
비 2진 값 위상 신호의 필요한 디코딩된 2진 신호로의 변환은, 통상적으로 반송파 위상에 대응하는 고정된 간격으로 수신된 위상을 샘플링하여 행해진다. 위상이 샘플 포인트에서 0도와 180도 사이의 중간점 미만이면, 디코딩된 데이터 값이 로우이고, 위상이 샘플 포인트의 0도와 180도 사이의 중간점 보다 높으면, 하이로된다. 샘플링 포인트는 기준 주기 신호의 시작에 관한 시간으로 특정되고, 신호는 각 다음의 기준 신호 주기 내의 동일한 시간에서 샘플링된다. 이 기준 신호는 데이터 신호 주기와 동일한 주기를 갖는다. 샘플링 포인트의 선택은 수신된 위상 인코딩된 신호의 적절한 디코딩에 중요하다. 라인 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한 샘플링 포인트(158)의 선택으로 인해 수신된 위상 인코딩된 신호(140)를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의 정확한 표현으로 디코딩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디코딩된 스트림(150)은 데이터 스트림(110)과 동일하고, 단지 시간적으로 이동했을 뿐이다. 그러나, 신호(16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적절한 샘플링 포인트(168)의 선택으로 인해 같이 수신된 위상 인코딩된 신호(140)의 디코딩이 부정확해지고, 디코딩된 신호(160)는 인코딩된 데이터 스트림(110)과는 매우 상이하다.
전형적으로, 적절한 샘플링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 스트림은 실제 데이터 메시지에 대한 프리앰블로 공지된 패턴을 포함한다. 샘플링 포인트는 디코딩된 스트림이 공지된 패턴과 동일할 때까지 조정된다. 예를 들어, 제 1의 5 데이터 값(111 내지 115)이 프리앰블을 포함한다면, 수신기는, 제 1의 5 디코딩된 값들이 0-1-1-1-0 패턴에 대응하여야 하는 것을 미리 알게 된다. 부적절한 샘플링 포인트(168)를 응용하면 0-1-1-1-1 패턴을 생성하지만, 적절한 샘플링 포인트(158)를 응용하면 필수적인 0-1-1-1-0 패턴을 생성한다. 이 결정된 샘플링 포인트(158)의 반복적 발생들은 다음의 데이터 메시지를 디코딩하는데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였듯이, 적절한 샘플링 포인트의 이러한 결정은 시간을 소비할 수 있고, 상기 결정에 근거한 다음의 디코딩은 이 결정의 품질 및 전송기의 반송파와 수신기의 기준 반송파 사이의 잠재적 후속 위상 이동들이나 주파수 분산에 크게 의존한다. 예를 들어, 165에서의 제 5 샘플로 인한 잡음 스파이크가 중간점 미만이면, 샘플링 포인트(168)는 0-1-1-1-0 패턴을 생성한다. 수신기가 샘플링 포인트를 사용하면, 다음의 데이터는 원래의 데이터(116)에 비교하여 디코딩된 값(16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된 위상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해 적절한 샘플링 포인트를 보다 신뢰성 있고 로버스트하게 결정하는 것이다.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110)과, 검출된 위상 신호(140)와, 디코딩된 스트림들의 셋(set)이 도시된다. 도 2는 또한, 샘플링 포인트들(258)가 사용될 경우 형성되는 디코딩된 스트림(250)을 도시한다. 또한 각 샘플링 포인트(258) 바로 밑에 샘플링 포인트에 관한 오차(259)의 측정치들이 도시된다. 이 측정치는 이상적인 수신된 위상 신호의 디코딩과의 비교에 근거한다. 이상적으로, 검출된 위상은 0도 또는 180도이다. 그러나, 위상이 258a에서 샘플링되면, 위상은 0 미만이다. 위상의 크기는 오차 벡터(259a)로 도시된 0 미만이다. 마찬가지로, 258b에서 샘플링 되면, 위상은 180 이상이다. 이 위상의 크기는 오차 벡터(259b)로 도시된 180 이상이다. 통상적인 방법에서는, 디코딩된 스트링(250)이 각 샘플링된 포인트가 중간점 이상 또는 미만인지의 결정에 대응하지만, 이제 디코딩된 스트링(250)은 오차 벡터(259)에 대응하는 상기 디코딩의 품질의 측정에 관련된다. 오차 벡터들은,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110)의 값에 무관하며, 0도 또는 180도의 상기 경우에서, 위상이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 하게 된 상기 값들과의 비교이다.
디코딩된 스트림(260)은 상기 수신된 위상 신호(140)로의 샘플링 포인트들(268)의 응용에 대응한다. 상기 이상적인 0도 및 180도로부터의 차이 벡터들(269)은 각각의 샘플링 포인트 아래에 도시된다. 비록 상기 디코딩된 스트림(260)이 초기에 디코딩된 스트림(250)과 동일하더라도, 샘플링 포인트들(268)와 연관된 오차들은, 예를 들어, 269c 및 269d에서, 259c 및 259d와 비교하면, 샘플링 포인트들(258)과 연관된 것들에 비해 현저히 크다. 시각적으로, 샘플링 포인트들(268)이 모든 검출된 위상 신호에 비해 "매우 빨리(too soon)" 일어난다는 것은 명백하다. 오차 벡터들(269)은 상기 부적절한 샘플링의 측량 가능한 측정치를 제공한다. 샘플링 포인트들(268)이 다음의 데이터 디코딩에 사용되면, 2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약간의 위상 변화가 샘플링 포인트들(268)이 부적절한 값을 디코딩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오차율은 샘플링 포인트들(258)을 사용하여 생성된 것보다 크다. 프리앰블이 0-1-1-1-0인 통상적인 방법에 대한 예에서, 샘플링 포인트들(268)은 적절한 프리앰블 디코딩을 하지만, 이어서 생성된 오차있는 데이터 심볼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오차 벡터들을 사용하면, 샘플링 포인트(258)는 측량할 수 있는 결정일 수 있어 268보다 더 좋은 선택일 수 있다.
상기 결정을 유도하는 오차 벡터의 할당으로 인해, 디코딩된 값들이 앞서 언급한, 신뢰성이 없는 공지된 패턴과 디코딩된 값들의 비교보다 부정확하게 된다. 이 오차 벡터들을 측량할 수 있게 평가하기 위해, 오차 벡터의 크기들의 합이 사용되거나, 제곱된 오차들의 합, 또는 다른 비교 가능한 통계가 사용된다. Chi-Square 테스트와 같은, 통계 테스트 등은, 측정치들 사이의 현저한 차이를 결정하거나, 상기 최상의 샘플링 포인트를 확실히 검출하기에 필요한 샘플들의 수를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계산상의 편의를 위해, 상기 오차들의 크기의 합은 상기 디코딩된 스트림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디코딩된 스트림들은, 샘플링 포인트들을 상이하게 하는 각각의 응용에 대응하여, 동시에 생성된다. 이 디코딩된 스트림들 각각에 관련해서, 0도 및 180도의 이상적인 위상 값에 비해 각 샘플 포인트에서의 오차 크기의 합이 오차 벡터들의 누적이다. 이 디코딩된 스트림들의 셋 중에서, 오차들의 최소 합을 갖는 하나는 상기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의 가장 정확한 표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교번적으로 디코딩된 스트림들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크기와 그의 오차의 합에 따라, 전체 데이터 메시지는 상기 방식으로 처리된다. 그 때, 전송기의 반송파 및 수신기의 가정된 반송파 사이의 주파수 또는 위상 관계의 임의의 분산이 전체 데이터 메시지와 관련해서 평가된다. 메모리 요구량은, 데이터 메시지의 데이터의 비트들의 수와 교번적으로 디코딩된 스트림들의 셋들의 수에, 교번적으로 디코딩된 스트림 각각에 관련된 오차의 함에 대한 기억량을 더한 것과 같다. 전형적으로, 교번적인 셋들의 수는 샘플링 포인트의 함수로서 예상되는 분산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수신된 위상 신호가 거의 왜곡이 없다면, +/- 60도 내의 샘플링 포인트를 결정하는 것이 충분하고, 따라서 교번적으로 디코딩된 스트림들의 6셋들이 생성되며, 각각은 먼저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샘플링 포인트 60도(360/6)에 대응한다. 상기 수신된 신호가 매우 왜곡된다면, 보다 근접하게 위치한 샘플링 포인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22.5도(360/16)의 샘플링 포인트 정밀도에 대응하는, 교번적으로 디코딩된 스트림들의 16셋이 생성된다.
양호하게는, 전체 데이터 패킷이 처리되어 16개의 교번적인 디코딩된 데이터 패킷들을 생성한다. 53바이트로 구성된 ATM 패킷들의 16셋을 생성하기 위해, 1킬로바이트 미만의 총합에 대해, 53바이트의 16배에 16 합의 기억(storage)을 더한 것을 필요로 한다. 상기 16 디코딩된 패킷들의 셋 중에서, 최소로 계산된 오차를 갖는 것이 원래 인코딩된 53바이트의 가장 정확한 표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억이 전체 패킷을 처리할 수 없다면, 데이터 패킷의 서브셋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브셋의 상기 최소로 계산된 오차를 갖는 셋을 선택한 후에, 상기 셋과 관련된 샘플링 포인트를 상기 패킷의 나머지의 디코딩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패킷이 너무 길면, 각 서브패킷이 16의 교번적인 서브패킷의 셋으로부터 선택되는, 서브패킷의 그룹으로 처리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처리가 다음 서브패킷에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다음의 패킷들이나 서브패킷들의 처리는, 종전의 패킷이나 서브패킷으로부터 적절한 위상을 결정하고, 그 적절한 위상을 반복적으로 보다 깨끗하게 해상(resolution)함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 즉, 적절한 위상의 종전 정보가 없으면, 앞서 기술된 디코딩된 스트림의 셋은 가능한 위상 각의 전체 360도에 걸쳐 동일하게 분할된 위상들에 대응한다. 대략 적절한 위상을 안다면, 이 셋들은 상기 적절한 값에 대해 가깝게 분할될 수 있고, 상기 적절한 위상으로부터 떨어진 위상은 무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라, 교번적으로 디코딩된 셋의 수는 일단 감소되고, 대략적인 적절한 위상이 결정되거나, 순차적인 평가 처리 등의 통계적 분석의 결과에 따른다.
도 3은 직각 위상 인코딩 신호의 형태를 도시한다. 데이터 스트림(310)은, 비록 인코딩된 실제 데이터가 0, 1, 2, 또는 3의 숫자 값들에 대응하지 않더라도, 이하 본원에서 각각 0, 1, 2, 및 3의 데이터 값으로 언급하는 4가지 가능한 레벨들과 같이, 라인(3b)으로 도시된, 4개의 값들 중 하나를 갖는 심벌로 구성된다. 상기 네 값들 각각은 반송파(100)에 관해 4가지 가능한 위상 각들 중 하나에 의해 인코딩된다. 최적의 성능을 위해, 직각 위상 인코딩된 신호들은 90도로 분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저 레벨 데이터 신호(311)는 321에 도시된, -135도의 위상 이동에 대응한다. 다음 최고 레벨 신호(312)는 322에 도시된, -45도의 위상 이동에 대응한다. 다음 최고 신호(316)는 326에 도시된, 45도의 위상 이동에 대응한다. 최고 레벨 신호(313)는 323에 도시된, 135도의 위상 이동에 대응한다.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진, 네 값의 데이터 심벌을 직각 위상 신호들로 인코딩하는 다른 방법이 있다. 위상 각으로의 데이터 심벌의 특정 인코딩은, 본 발명에는 별 의미가 없다. 예를 들어, 교번적 인코딩은 펄스 위치 변조(PPM)를 사용할 수 있는데, 각 클럭 사이클 내의 상기 펄스의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심벌을 나타내고, 신호(400)는 반송파를, 410은 데이터 스트림을, 420은 PPM 인코딩된 신호를, 430은 수신된 PPM 인코딩 신호를, 440은 상기 수신된 신호의 검출된 위상을 나타낸다.
상기 특정 인코딩들 각각에서, 현저한 특징은, 상기 신호의 위상이 네 가지 가능한 값들 중 하나로 가정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 상기 인코딩 신호가 임의의 다른 위상 값으로는 가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3은, 상기 수신된 신호(330)와, 가정된 반송파 신호 위상에 관련해서 상기 신호의 위상(340)을 도시한다. 도 1의 수신된 2진 위상 신호(140)와 마찬가지로, 수신된 직각 위상 신호(340)는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310)과 형태가 동일하다. 위상 세그먼트(341)는 데이터 값(311)에 대응하고, 342는 312에 대응하며, 343은 313에, 346은 316에 대응한다. 그러나, 상기 수신된 신호의 위상은, 세그먼트(349)와 같이,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310)에 존재하지 않는 중간 값들을 나타낸다. 상기 설명한 2진 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원래의 4진 데이터 스트림을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위상 신호가 적절한 샘플링 포인트들에서 샘플링되어, 위상이 중간 값이면서 샘플링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잘못된 디코딩을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샘플 포인트들(358)에 근거한 신호(350)는 적절한 디코딩을 나타내고, 도시되듯이, 디코딩 스트림(350)은, 시간적으로 이동된 인코딩 데이터 스트림(310)과 동일하다. 샘플링 포인트(368)에 근거한 신호(360)는, 샘플링 포인트가 각 주기에서 너무 바로 일어나기 때문에, 부적절한 디코딩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2와 마찬가지로, 상이한 샘플링 포인트에 각각 대응하는, 원래의 4진 데이터 스트림(310)과, 수신된 위상 신호(340)와, 디코딩 스트림들의 셋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 포인트(568 및 578)는 적절한 샘플링 포인트들이지만, 558 및 588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즉, 샘플링 포인트(568 및 578)를 이용하면,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310)의 정확한 표현인 디코딩 스트림들(560 및 570)이지만, 스트림들(550 및 580)은 잘못된 디코딩들이다. 또한, 샘플링 포인트들(558, 568, 578, 588)에 각각 대응하는 오차 벡터들(559, 569, 579, 589)이 도 5에 도시된다.
디코딩 및 오차 측정치는 다음과 같다. 수신된 위상 신호의 영역이 4개의 세그먼트들로 분할되고, 각 세그먼트는 각각의 4가지 가능한 인코딩 위상들을 중심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들 0, 1, 2, 3에 대응하는 -135도, -45도, 45도, 135도의 인코딩 위상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기 세그먼트들은, -180도에서 -90도로, -90도에서 0도로, 0도에서 90도로, 90도에서 180도로 확장된다. 상기 디코딩된 신호는 검출된 위상이 존재하는 세그먼트에 의존한다. 이상적으로 전송된 신호는 4가지 인코딩된 위상들 중 단지 가정한 하나의 위상 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이 인코딩된 위상들 중 하나와 상이한 위상은 오차이고, 상기 오차의 양은 상기 위상 및 가장 가까이 이상적으로 인코딩된 위상 값 사이의 차이에 의해 측정된다. 즉, 49도의 검출된 위상은, 2의 데이터 값으로 디코딩되고, 2의 인코딩 데이터 값에 대응하는 45도의 이상적으로 전송된 위상에 대응하는 4도 오차를 갖는다. 360도 주기에 관한 각의 차이는 위상 오차들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203도의 검출된 위상은 0의 데이터 값으로 디코딩되고, 이상적인 225도(-135도와 동일) 위상에 관한 -22도 오차를 갖는다. 4개의 전송된 위상 값들 중 가장 근사한 하나에 관한 이 차이들은 오차 벡터들(559, 569, 579, 589)로 도시된다. 볼 수 있듯이, 벡터들(559 및 589)는 벡터들(569 및 579)보다 현저히 크고, 상기 보다 큰 오차 벡터에 대응하는 디코딩 스트림(550 및 580)은 잘못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550 및 580이 560 및 570 보다 품질이 낮다는 결정은, 특정 데이터 값이 전송된 것을 고려하지 않고, 검출된 위상 각을 인코딩 위상 값의 셋에 비교함에 근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코딩 스트림들의 셋은 동시에 처리되고, 각각 데이터 주기 내의 상이한 샘플링 포인트에 근거한다. 상기 오차 크기의 합은 각각의 디코딩 스트림에 대해 계산하고, 최저 오차를 갖는 스트림은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의 가장 정확한 표현으로 선택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기준의 바이어스는 누적된 오차에 영향을 미친다. 즉, 예를 들어, 수신기의 기준 위상이 상기 반송파의 위상과 10도 상이하면, 4도 및 -22도에 대해서는, 수신기가 반송파에 뒤지거나 앞서는데 따라, 14도 및 12도 오차이거나, -6도 및 -32도 오차이다. 본 발명에 따라 통계적인 측정에 대한 통상적인 바이어스-정정(bias-correcting) 기술들을 응용할 수 있고, 또는 양호한 실시예에서, 다른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각 셋의 제 1 샘플링된 포인트는 기준, 즉, 0 오차를 갖는 샘플로 설정된다. 이를 기준으로, 4개의 세그먼트들이 결정되고, 세그먼트들 중 하나는 그 중앙으로 이 기준 샘플을 갖고, 각각의 나머지 세그먼트는 이 기준으로부터 90도의 배수로 분리된다. 따라서, 수신기 기준 위상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절대 위상 인코딩에 대해, 수신된 위상과 반송파 위상 사이의 정정은 데이터 값을 적절히 디코딩하기 위해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샘플이 기준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 1 샘플이 0, 1, 2, 또는 3 중 어느 데이터 값에 대응하는지 결정하여야 하고, 상기 검출된 위상이 원래의 반송파에 관해 -135, -45, 45, 또는 135 위상에 대응하는지 결정하여야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절대 위상 인코딩이 사용되면, 전송기로부터의 단지 한 유닛의 공지된 정보가 최소 오차로 적절히 디코딩하기에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서 설명했듯이, 차동 위상 인코딩은 전송 반송파 위상과 수신된 위상 사이의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차동적으로 인코딩된 신호들에 특히 매우 적합하다. 도 6은 차동 직각 위상 인코딩된 신호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하나의 샘플로부터 다음 샘플로의 위상의 변화는 인코딩된 데이터 값을 나타낸다. 데이터 값 1은 종전 값으로부터 90도 위상 이동하여 인코딩되고, 데이터 값2는 180도(마찬가지로, -180도) 위상 이동하고, 데이터 값 3은 270도(마찬가지로, -90도) 위상 이동한다. 따라서, 도 6에서, 수신된 신호(640)는, 312의 인코딩된 데이터 값인 1의 데이터 값에 대응하여 주기(641 및 642) 사이에서 약 90도 위상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다. 642 및 643 사이에서 상기 신호는, 313에서의 인코딩 데이터 값인 3의 데이터 값에 대응하여, 약 -90도 위상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643 및 644 사이에서, 314의 인코딩된 데이터 값인, 다른 3의 데이터 값에 대응하여, 다른 -90도 위상이 일어난다. 644 및 645 사이에서, 315에서의 데이터 값 0에 대응하여 위상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된 위상 시퀀스(640)는 원 데이터 스트림(310)과 같지 않고, 검출된 위상 신호(640)의 변화들은 데이터 스트림(310)을 나타낸다.
종전의 모든 예에서와 같이, 상기 검출된 위상 신호(640)의 적절한 디코딩은, 샘플링 포인트의 적절한 선택을 필요로 한다. 도 6은, 각각이 샘플링 포인트의 상이한 열에 기초한, 디코딩 스트림의 셋을 도시한다. 샘플링 포인트들(668)은 데이터 스트림(310)의 부정확한 표현(660)을 디코딩하는 반면, 샘플링 포인트들(658, 678, 688)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정확한 표현들(650, 670, 680)을 디코딩한다. 차동적으로 인코딩된 신호 처리들에서의 오차는 복잡한 효과를 일으킨다. 668a에서, 상기 검출된 위상 변화는 오류이고, 668b에서 검출된 위상은 정확하다. 그러나, 종전의 위상이 오류이기 때문에, 상기 정확하게 결정된 신호의 검출된 위상 변화는 오차이다. 즉, 664 및 6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위상 검출 오차는 두 위상 변화 검출 오차들로 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0도, 90도, 180도, 270도의 위상 변화에 관한 오차가 659, 669, 679, 689에 도시된다. 또한, 이상 신호의 위상 변화는 90도의 배수으로 알려져 있고, 90의 배수으로부터의 차이는 샘플링 포인트에서의 오차 측정으로 누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오차는, 각 샘플 위상 사이의 각 차이, 또는 기준된 제 1 샘플에 관한 각 위상의 차이에 관해 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의 상기 제 1 샘플에 비교하면, 0-85-280-180-260의 샘플 위상 시퀀스는 -5, +10, 0, -10의 오차 시퀀스를 설명한다. 각 앞서는 위상에 비교하면, 동일 시퀀스는 -5, +15, -10, 0의 오차 시퀀스의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차동 오차 방법도 효과적이다. 후자는 상기 제 1 샘플의 바이어스에 덜 민감하지만, 각 위상 오차는 상기 오차의 크기의 누산에 복잡한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보다 높은 정밀도를 요구한다면, 바이어스에 대한 통계적 측정 및 복잡한 효과를 정정한 종래의 측정을 사용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계산상의 편의를 위해, 각 셋의 제 1 샘플은 기준으로 설정되고, 모든 위상은 상기 기준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신호(660)는 초기에 668a에서 샘플링되고, 기준 0도 라인 미만의 위상 값을 나타낸다. 668b에서, 기준 90도 선 아래의 위상 값을 나타내고, 668c에서, 상기 기준 0도 라인 이상의 위상 값을 나타낸다. 668a에서의 상기 제 1 샘플에 관해, 668c에서의 오차는, 0도 라인 이상인 668c에서의 샘플의 양과, 0도 라인 미만의 668a에서의 샘플의 양의 합이다.
2진 경우에서, 절대적으로 또는 차동으로 인코딩되었던간에, 상기 4진 데이터 위상 인코딩된 신호들에 대한 양호한 실시예는 전체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여, 상기 전체 데이터 패킷에 걸친 최소의 오차를 나타내는 교번적 디코딩된 스트림을 결정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긴 데이터 패킷을 이어서 디코딩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샘플링 포인트를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비록 신호(650)가 데이터 신호(310)의 정확한 표현이지만, 예를 들어 659c에서 도시되듯이, 많은 큰 오차를 나타낸다. 잡음이 약간 커서 이 샘플 포인트에서의 위상을 감소시키면, 디코딩된 값은 오차이게 된다. 따라서, 측정된 오차는 또한, 상기 샘플링 포인트들 각각에 관련된 잡음 마진을 가리킨다. 최소의 누산된 오차들을 갖는 샘플링 포인트를 선택하는 것은, 최고의 잡음 마진을 갖는 샘플링 포인트를 선택하는 것과 같다. 종전의 방법들에서, 그 다음 디코딩을 위해 샘플링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해 디코딩 데이터 값만을 사용하면, 낮은 노이즈 마진 샘플링 포인트(658)가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메모리 필요량은 2진 경우와 동일하며, 즉, 패킷의 크기에 상기 셋의 교번적 디코딩의 수를 곱하고, 각각의 교번적 디코딩에 대한 오차들의 누산된 합을 더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16셋들이 사용되어, 적절한 샘플링 포인트에 관해 22.5도의 해상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실시예들이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주기 내의 샘플링에 할당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위상 검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코딩된 데이터 값과 관련없이, 이산되어 식별될 수 있는 인코딩 신호의 패러미터가 있다면, 적절한 주기적 샘플링 포인트의 결정을 필요로 하는 복조는 본원에 설명한 방법들에 적합하다. 위상 샘플들을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당업자라면,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본 발명의 원칙 및 관점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원리를 실현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원리를 실행하는 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처리는 데이터 값과 별도의 오차 계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앞에서 언급하고, 상기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차 계수의 결정은 위상 값을 측정하고 비교하는데만 한정되지 않는다. 아이템들(710 및 730)은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루프를 형성한다. 이상적으로, 디코딩하기 위한 심벌들의 수는, 앞서 언급한 전체 패킷의 심벌들의 수와 같다. 각 데이터 심벌 주기 내에서, N개의 샘플을 취하고, 각 주기 내의 상이한 시간에, 예를 들어 도 6의 샘플링 주기들(658, 668, 678, 688)에 대응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N은 16이다. N 샘플의 샘플링은 아이템들(720 및 727)로 형성된 루프 내의 아이템(721)에 의해 도시된다. 72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이 상기 N 샘플들의 각각에 대해 제 1 샘플이면, 즉, 이것이 제 1 데이터 주기이면, 샘플 값은 기준 값(Ref(I))(여기서 I는 데이터 주기 내의 N 샘플링 시간 각각에 대한 지수)으로 기억된다. 또한, 누산된 오차 통계(SumErr(I))는, 724에서, 0으로 초기화된다. 데이터 값은 725에서 상기 샘플 값으로부터 디코딩되고, 이 디코딩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인코딩 스킴이 사용되었는 가에 따른다. PSK 복조를 위해, 상기 설명한 절대 인코딩 또는 차동 인코딩에 대한 디코딩이 블럭(725)에서 행해진다. 데이터 주기(J)에서, 이 샘플링 시간(I)에 대해, 상기 디코딩 데이터 값은 데이터(I,J)로 기억된다. 제 1 데이터 주기 후의 다음의 샘플은 블럭(729)에서 이 샘플과 관련한 오차를 결정하기 위해 기준 샘플 값을 이용한다. 결정된 오차는 729에서, SumErr(I)에, 각각의 샘플링 시간(I)에 대해 누산된다.
오차 결정 블럭(728)에 대한 양호한 실시예가 도 7b에 도시된다. 데이터 심벌들의 인코딩이 일정량(Q)으로 분리된 특성 값들의 셋으로 이용되는 예를 가정한다. 즉, 예를 들어, 2진 PSK 인코딩에서, 데이터 값들(0 및 1)에 대응하는 특성 위상들은 180도로 분리되고, 따라서, Q는 180과 같다. 4진 PSK 인코딩에서, Q는 90도이다. 상기 샘플 값과 기준 값 사이의 차이는 750에서 계산된다. 이상적으로 상기 값은 Q의 배수이다. 다수의 대안적인 방법들이 이 차이 값과 Q의 배수에 가장 근접한 값 사이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블럭들(751 내지 7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방법은, 1/2 Q로 상기 값을 상쇄(offset)하고, 다음에 모듈로 Q 작동(modulo Q operaton)을 실행하고, 다음, 상기 상쇄를 제거한다. 예를 들어, 차이 값이 85도로 결정되면, 90의 가장 가까운 배수는 90이고, 차이 값은 -5가 된다. 설명한 상기 과정을 이용하면, 45는 85에 더해져, 총 130이 되고, 130 모듈로 90은 40이 되고, 40 빼기 45는 -5이다. 이 -5는 오차 값이고 90의 가장 가까운 배수와 비교된다. 이 값은 조정되어 상기 오차 누산 수단에 적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오차의 분산이 상기 누산된 오차를 평가하는데 사용되면, 상기 오차의 제곱이 780에서 계산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계산 상의 편의를 위해, 상기 오차의 크기의 합은 비교 통계치로 사용되고, 그를 위해 상기 오차의 절대 값이 780에서 계산되며,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그 값이 블럭(729)에서 누산되기 위해 복귀한다.
모든 심벌들이 각 샘플링 시간에 대해 디코딩된 후, 상기 누산된 오차가 731에서 비교되고, 최소 누산된 오차 중 하나인, 양호한 샘플링 타임에 대한 지수가 지수 S로 저장된다. 각 데이터 주기에서, 상기 샘플링 시간에서 디코딩된 데이터 값, 데이터(S,J)는, 블럭(732 내지 734)에서 적절히 디코딩된 값으로 선택되고, 735에서 다음의 처리로 복귀한다.
당업자에게는 명확하겠지만, 다른 수단을 사용해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계산의 복잡성이 최소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당업자라면 알겠지만, 도 7의 흐름도는 하드에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둘 모두의 조합에서 실행될 수 있다. 728에서의 오차 계산 절차는 다른 알고리즘으로 대체될 수 있고, 729의 누산은 단순한 합산 동작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오차" 측정은 품질의 역이 아닌, 품질을 바로 나타내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블럭(731)은 최소 값보다 최고 값으로 상기 셋을 탐색하도록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할 수 있는 특성이, 천이에서의 시간적 거리라면, 상기 천이로부터의 가장 먼 샘플링 포인트, 즉, 가장 큰 누산 거리를 선택하는 것이 양호하다.

Claims (13)

  1. 주기적 클럭의 각 주기의 시작에 관한, 시간의 샘플링 포인트를 선택하고, 연속적인 파형으로부터 데이터 심볼들의 시퀀스를 디코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퀀스의 각 데이터 심벌의 상기 디코딩은 상기 선택된 샘플링 포인트에서의 파형의 값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주기의 시작에 관한, 시간의 유일한 포인트들의 셋(set)으로 상기 주기적 클럭의 각 주기를 묘사(delineating)하는 단계와,
    시간의 유일한 포인트 각각과 연관된 이산된 샘플을 얻기 위해 각 주기 내의 상기 시간의 유일한 포인트 각각에서 상기 연속적인 파형을 샘플링하는 단계와,
    시간의 유일한 포인트 각각과 연관된 오차 값을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이산된 샘플을 이상적인 샘플 값들의 셋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오차 값들의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의 유일한 포인트들 각각에 대해 오차 통계(error statistic)를 누산하는 단계와,
    상기 오차 통계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의 유일한 포인트들의 셋으로부터 시간의 상기 샘플 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은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나타내고,
    상기 이상적 샘플 값들은 각각 상이한 위상 값이고,
    상기 오차 값들 각각은, 상기 각각의 이산 샘플과, 상기 이상 샘플 값들 중 상기 이산 샘플과 위상이 가장 가까운 한 이상 샘플 값 사이의 위상 차에 직접 비례하는, 방법.
  3. N번의 교번적 디코딩들에서 선택한 것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심벌 들의 패킷들을 디코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심벌들은 전송된 신호의 위상을 Q의 가능한 인코딩 위상 값들 중 하나로 설정(setting)하여 전송된 신호로 인코딩되고, 상기 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생성하며, 각 심벌은 상기 패킷 내의 시간의 심벌 주기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샘플링 주기들(S)(여기서 S는 N으로 나누어진 상기 심벌 주기와 동일)로 묘사하는 단계와,
    측정된 위상 값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샘플링 주기들의 각각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 위상을 샘플링하는 단계와,
    상기 샘플들의 각각을, 설정 지수 I(여기서 I는 샘플 모듈로 N의 서수)와 설정 카운트 J(여기서 J는 상기 설정 지수 I에 대해 얻어진 샘플들의 수)로 식별하는 단계와,
    Q의 인코딩된 위상 값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측정된 위상 값의 각 측정에 가장 가까운 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가장 가까운 인코딩된 위상 값에 기초하여 디코딩된 심벌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I 디코딩된 셋의 J 디코딩된 샘플로서 상기 디코딩된 심벌 값을 기억하는 단계와,
    차이 값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측정된 위상 값을 상기 가장 가까운 인코딩된 위상 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차이 값에 기초하여 I 디코딩된 셋과 연관된 오차 측정치(error measure)를 누산하는 단계와,
    최소의 오차 측정치를 갖는 심벌 값들의 디코딩된 셋이 되도록 상기 디코딩된 패킷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설정 지수 I에 연관된 기준 위상 값을 식별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준 값은 설정 지수 I에 연관된 상기 측정된 위상 값 중 하나인, 상기 기준 위상 값 식별 단계와,
    상기 지수 I와 연관된 상기 기준 위상 값에 따라 설정 지수 I 각각의 상기 측정된 위상 값들 각각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연속된 파형으로부터 데이터 심벌들의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심벌들의 각각은 제한된 수의 이산 값들 중 하나를 갖고, 상기 이산 값들 각각은 상기 연속한 파형의 특성에 의해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샘플 값을 얻기 위해 상기 연속된 파형의 상기 특성을 샘플링하기 위한 수단과,
    디코딩된 심벌 값, 및 상기 샘플 값과 연관된 차이 값을 얻기 위해 상기 샘플 값을 상기 이산 심벌 값들 각각에 대응하는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특성과 비교하기 위한 수단과,
    디코딩된 심벌 값들의 셋과 상기 차이 값에 종속된 오차 통계를 누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누산은 다수의 시간의 주기적 간격들에서 반복된 샘플링들에 의해 행해지고, 상기 셋들 각각은 상기 주기적 간격들 내의 상기 샘플링들의 시간과 연관된, 상기 누산 수단과,
    데이터 심벌들의 디코딩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오차 통계에 따라 상기 디코딩 심벌 값의 셋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의 상기 특성은 상기 파형의 위상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 값은, 상기 샘플 값과, 상기 샘플 값에 각 거리(angular distance)가 가장 가까운 이산 심벌 값 사이의 각 거리에 직접 비례하는,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통계는 상기 차이 값들의 크기들의 합에 직접비례하는,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통계는 상기 차이 값들의 크기들의 합에 직접 비례하는,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통계는 상기 차이 값들의 크기들의 합에 직접비례하는,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통계는 각각의 셋 내의 차이 값들의 분산에 직접 비례하는,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통계는 각각의 셋 내의 차이 값들의 분산에 직접 비례하는,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통계는 각각의 셋 내의 차이 값들의 분산에 직접 비례하는, 장치.
KR10-1998-0706288A 1996-12-09 1997-12-04 개선된위상편이방식의신호복조방법및장치 KR100484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62,642 US5764707A (en) 1996-12-09 1996-12-09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phase shift keyed (PSK) signal demodulation
US08/762,642 1996-12-09
US8/762,642 1996-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550A KR19990082550A (ko) 1999-11-25
KR100484554B1 true KR100484554B1 (ko) 2005-08-31

Family

ID=2506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288A KR100484554B1 (ko) 1996-12-09 1997-12-04 개선된위상편이방식의신호복조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64707A (ko)
EP (1) EP0886943B1 (ko)
JP (1) JP2000505974A (ko)
KR (1) KR100484554B1 (ko)
DE (1) DE69732482T2 (ko)
WO (1) WO199802654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0723A (ja) * 1996-03-29 1997-10-14 Alps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の受信回路用ic
US6748441B1 (en) * 1999-12-02 2004-06-08 Microsoft Corporation Data carousel receiving and caching
US7190741B1 (en) 2002-10-21 2007-03-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Real-time signal-to-noise ratio (SNR) estimation for BPSK and QPSK modulation using the active communications channel
JP4554451B2 (ja) * 2005-06-29 2010-09-29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変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58498B2 (en) 2005-07-29 2017-01-31 Excalibur Ip, Llc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management
US8533040B2 (en) * 2005-12-30 2013-09-10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selection and delivery of advertisements
CN116865874A (zh) * 2023-07-13 2023-10-10 南京师范大学 一种基于轨道角动量采样间隔的声编码通信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6334A (en) * 1988-10-24 1990-01-23 Northern Telecom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recovery
JPH0316488A (ja) * 1989-06-14 1991-01-24 Atein Kaihatsu Kk 映像信号のサンプリング位相検出方式
US5280501A (en) * 1990-10-09 1994-01-18 Seko Corp. Data bit synchronization
US5241545A (en) * 1990-11-14 1993-08-31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a time-varying signal using multiple sampling points
US5465412A (en) * 1993-05-19 1995-11-07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oint in time for detecting a sampled signal in a receiver
JP3120136B2 (ja) * 1994-04-26 2000-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Tdmaデータ受信装置
JP3421879B2 (ja) * 1994-10-05 2003-06-30 ソニー株式会社 復調装置
US5694434A (en) * 1996-01-17 1997-12-02 Motorol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urst signal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550A (ko) 1999-11-25
WO1998026545A3 (en) 1998-08-13
EP0886943B1 (en) 2005-02-09
JP2000505974A (ja) 2000-05-16
US5764707A (en) 1998-06-09
WO1998026545A2 (en) 1998-06-18
DE69732482D1 (de) 2005-03-17
DE69732482T2 (de) 2006-01-05
EP0886943A2 (en) 1998-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55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encoding and communication over noisy media
US5619537A (en) Maximum a posteriori decoder for digital communications
US5602879A (en) Clock recovering circuit for digital demodulator
AU674965B2 (en) Demodulator for manchester-coded FM signals
US58286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bust communication based upon angular modulation
EP1001580A1 (en) Demodulator for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signal using a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or
KR100484554B1 (ko) 개선된위상편이방식의신호복조방법및장치
US73984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signal quality metric in event of a CRC false positive
US20130064269A1 (en) Self-Supporting Simplex Packets
US6396953B1 (en) Data pattern correlator
EP366735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gle of arrival estimation
US69149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time-drift
US70353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 acquisition in a FSK demodulator with integrated time and frequency tracking
AU624454B2 (en) Method of determination of signal reception time by means of correlation technique
US5400348A (en) Packet start detection using check bit coding
US6785353B1 (en) Synchronization loss detection in a V.34 receiver
US11310027B2 (en) Method of date-stamping telemetry signals
JPH06232930A (ja) クロック再生回路
US7088790B2 (en) Circuit for detecting a center level of a FSK demodulated signal to correct same
JPH08139775A (ja) ディジタル復調装置
EP1175735A1 (en) Data communic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ing m-ary code keying
JPH06232931A (ja) ディジタル復調装置
JP2006148333A (ja) Ppm同期回路およびppm復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