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764B1 - 선형 진동장치 및 이 선형 진동장치가 적용된 막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선형 진동장치 및 이 선형 진동장치가 적용된 막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764B1
KR100483764B1 KR10-2002-0047070A KR20020047070A KR100483764B1 KR 100483764 B1 KR100483764 B1 KR 100483764B1 KR 20020047070 A KR20020047070 A KR 20020047070A KR 100483764 B1 KR100483764 B1 KR 10048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gear
vibration
lower bas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924A (ko
Inventor
최상규
함상용
박기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환경비젼이십일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환경비젼이십일,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환경비젼이십일
Priority to KR10-2002-0047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7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B06B1/161Adjustable systems, i.e. where amplitude or direction of frequency of vibration can be var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선형 진동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선형 진동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프레임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일한 방향으로 편심적으로 회전하는 첫 번째 회전체 및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 회전체와 반대 방향으로 편심적으로 회전하는 두 번째 회전체를 구비하는 진동 발생수단과, 상기 첫 번째 회전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 진동 대상체가 설치되는 제1 하부 베이스와, 상기 제1 하부 베이스와 독립하여 배치되며 상기 두 번째 회전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 진동 대상체가 설치되는 제2 하부 베이스와, 그리고 상기 제1,2 하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2자유도 진동계를 형성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형 진동장치 및 이 선형 진동장치가 적용된 막분리 장치{LINEAR RESONATOR EXCITING MECHANISM}
본 발명은 선형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 발생수단과 진동 대상체를 서로 일직선 상에 배치함으로써 선형의 진동파에 의하여 진동 대상체를 가진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진동 대상체를 진동시킬 수 있고, 또한 낮은 계수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음으로 스프링의 선택범위를 넓힐 수 있는 선형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들을 정화처리 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화처리 방법이 개발되고 있는데, 원심분리기, 암모니아 탈기를 이용한 방법, 연속 회분식 반응조(SBR)를 이용한 방법, 연속유입 반응조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진동에 의한 막분리 방법 등의 방법은 그 일 예이다.
특히, 진동에 의한 막분리 시스템에 의한 정화처리방법은 효율적인 정화처리 능력으로 최근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에 의한 막분리 시스템은 미합중국 특허 제5,725,767호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팩을 일정 주파수로 진동시킴으로써 여과효율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여과팩을 적정 주파수로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장치가 중요한 요소이다.
도1 에는 이러한 진동장치의 일 예로서, "편심 구동 메카니즘(ECCENTRIC DRIVE MECHANISM)" 이라는 명칭으로 1991년 5월14일 특허 허여된 미 합중국 특허 제5,014,564호에 개시된 진동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진동장치는 모터(m)와, 모터(m)의 구동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편심자(G)와, 상기 편심자(G)가 위치한 베이스(S)와 상기 편심자(G)로부터 발생된 상기 베이스(S)의 진동을 전달하는 토션 스프링(K1)과, 상기 토션 스프링(K1)의 상부에 장착되어 진동 대상체인 여과팩(도시안됨)을 지지하는 원판(P)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진동장치는 모터(m)가 구동하는 경우 편심자(G)가 회전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진동은 베이스(S)를 통하여 토션 스프링(K1)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S)는 상기 토션 스프링(K1)을 중심으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왕복동 진동을 하게 됨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K1)도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왕복동 진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판(P)도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왕복동 진동을 하게 됨으로 상기 원판 상부에 장착된 진동 대상체인 여과팩(도시안됨)도 왕복동 진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션 스프링(K1)은 소정의 비틀림 탄성을 갖고 있음으로 베이스(S)와 진동 대상체인 여과팩 (도시안됨)과 함께 2자유도 비틈 진동계를 형성하면, 고유의 비틈 공진 주파수를 갖게된다. 따라서 모터(M)로 구동되는 편심자(G)의 회전수가 비틈 공진주파수에 근접할 경우 진동이 증폭되어 실제 진동 대상체인 여과팩(도시안됨)에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는 베이스(S)의 진동폭에 비해 매우 크게 나타나게 된다. .
따라서, 진동 대상체인 여과팩(도시안됨)을 적절한 진폭으로 진동시키기 위하여는 적절한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일정한 탄성을 갖는 토션 스프링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진동장치에 있어서 적절한 탄성의 토션 스프링을 선택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예를 들면, 진동 대상체, 즉 여과팩의 중량이 약 400㎏이고, 이러한 중량의 여과팩을 최대 진폭 2㎝, 그리고 운전속도 50Hz의 주파수로 가진시키기 위해서는, 계산 결과 3×106Nm/rad의 높은 강성을 가지는 토션 스프링이 요구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높은 강성의 스프링 요소는 제작하기도 어렵고, 제작할 수 있더라도 장치가 대형화 되고 제작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진장치는 운전속도에 도달하는 동안 횡방향 공진을 가진하여 전체구조에 진동이 발생되어 큰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 발생수단과 진동 대상체를 일직선상에 배치함으로서 선형의 진동파에 의하여 진동 대상체를 효율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고, 횡방향 공진의 발생을 배제함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선형 진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의 스프링에 의하여도 진동 대상체를 충분히 진동시킬 수 있는 선형 진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프레임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일한 방향으로 편심적으로 회전하는 첫 번째 회전체 및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 회전체와 반대 방향으로 편심적으로 회전하는 두 번째 회전체를 구비하는 진동 발생수단과, 상기 첫 번째 회전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 진동 대상체가 설치되는 제1 하부 베이스와, 상기 제1 하부 베이스와 독립하여 배치되며 상기 두 번째 회전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 진동 대상체가 설치되는 제2 하부 베이스와, 그리고 상기 제1,2 하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2자유도 진동계를 형성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선형공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 에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선형 진동장치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진동장치는 베이스(Base;1)와, 상기 베이스(1)상에 설치되는 프레임(Frame;3)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5)과, 상기 구동수단(5)에 의하여 구동함으로써 서로 역위상의 주파수를 갖는 진동이 발생하는 진동발생수단(7)과, 상기 진동발생수단(7)으로부터 발생한 일정 주파수의 진동을 제1 및 제2 진동 대상체(9,11)에 증폭시켜 전달하는 스프링 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선형 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는 그 저면의 각 모서리부에 다리부(17)를 구비하며, 이 다리부(17)는 적절한 유연성을 갖는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에 진동 등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다리부(17)가 적절하게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의 상부에는 일정 높이의 프레임(3)이 위치한다. 상기 프레임(3)은 다층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구동수단(5)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5)은 바람직하게는 모터 조립체(19)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3)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모터 조립체(19)의 회전축(21)은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진동발생수단(7)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조립체(19)의 회전축(21)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진동발생수단(7)이 구동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발생수단(7)은 도4 및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1)에 장착되는 제1 기어(23)와, 상기 제1 기어(23)에 치합되는 제2 기어(25)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기어(23)의 하부에는 제1 기어(23)의 연장부에 장착되는 제3 기어(29)와, 상기 제3 기어(27)와 치차결합되는 제4 기어(29),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 기어(27,29)의 상면에 부착되어 회전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불평형 질량(35,36)으로 이루어지는 첫 번째 회전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기어(25)의 하부에는 제2 기어(25)의 연장부에 장착되는 제5 기어(31)와, 상기 제5 기어(31)와 치차결합되는 제6 기어(33)와, 상기 제5 및 제6 기어(31,33)의 상면에 부착되어 회전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3 및 제4 불평형 질량(37,38)으로 이루어지는 두 번째 회전체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진동발생수단(7)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어(23,25)가 설치된 축은 상부 베이스(Upper Base;39)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제1 기어(23)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3 및 제4 기어(27,29)가 설치된 축도 제1 하부 베이스(first lower base;41)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제1 기어(23)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3 기어(27)가 회전하며, 제3 기어(27)에 치합된 제4 기어(29)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기어(27) 및 제4 기어(29)에는 각각 제1 및 제2 불평형 질량(35)이 각각 편심되어 장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 조립체(19)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불평형 질량(35)의 회전에 의하여 불평형력(Unbalance Force)이 발생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제2 기어(25)의 하부에는 제5 및 제6 기어(31,33)가 위치하게 되고, 제2 기어(25)의 중심축(43)이 제5 기어(31)의 중심축(45)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5 기어(31)는 제6 기어(33)에 치합된 상태이며, 상기 제5 및 제6 기어(31,33)는 제2 하부 베이스(47)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제2 기어(25)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5 기어(31)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치합된 제6 기어(33)도 회전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3,4,5,6 기어(27,29,31,33)들은 동일한 수평면상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5 내지 제6 기어(33)에는 각각 제3 불평형 질량 및 제4 불평형 질량(37,38)이 각각 편심되어 장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 조립체(19)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제3 및 제4 불평형 질량(37,38)의 회전에 의하여 불평형력(Unbalance Force)이 발생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불평형 질량(35,36)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이고, 제3 및 제4 불평형 질량(37)의 회전방향도 서로 반대이다. 따라서, 상기 진동발생수단(7)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은 서로 180도의 역위상을 갖기 때문에 감쇠되면서 양측방향, 즉 제1 및 제2 진동 대상체(9,11) 방향으로 각각 진행하게 된다.
다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에는 제1 내지 제4 스프링 부재(49,51,53,59)가 각각 세워져서 배치되며, 이들 스프링부재(49,51,53,59)의 상단에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베이스(41,47)가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내지 제4 스프링 부재(49,51,53,59)는 제1 및 제2 하부 베이스(41,47)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있음으로, 제1 및 제2 하부 베이스(41,47)를 통과하는 진동이 이 스프링 부재들(49,51,53,59)에 의하여 일정 주파수로 진동하게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들(49,51,53,59)은 바람직하게는 판스프링이며, 일 열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발생수단(7)으로부터 발생한 진동은 선형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스프링 부재(49,51,53,59)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스프링 부재(51,53)는 그 하단부가 연결부재(50), 바람직하게는 리니어 베어링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발생수단(7)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각각 제1 및 제2 하부 베이스(41,47)를 통하여 상기 제2 및 제3 스프링 부재(51,53)에 각각 전달되며, 상기 연결부재(50)를 통하여 서로 교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4 스프링 부재(49,59)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베이스(41,47)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하부 베이스(41,47)는 상기 제1 및 제4 스프링 부재(49,59)의 탄성으로 인하여 2자유도 진동계를 구성하며 따라서 진동계 고유의 일정한 공진 주파수를 갖게 된다.
상기 진동발생수단(7)에 의해 발생된 진동의 주파수가 제1 및 제2 하부 베이스(41,47)와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부재(49,51)로 이루어진 2자유도 진동계의 공진 주파수와 일치할 때 제1 및 제2 하부 베이스(41,47)는 증폭된 진폭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진동 대상체(9,11)에 전달된 진동파는 정현파 형태이며, 이러한 진동파는 진동 발생수단(7)이 역위상의 진동을 가진하게 되므로 동위상의 진동모드를 가진하는 1차 공진 주파수는 상쇄되고 역위상의 진동모드를 가진하는 2차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동파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진동 대상체(9,11)가 구동하는 과정에서 과도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낮은 스프링 상수를 갖는 스프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50)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진동발생수단(7)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서로 감쇄될 수 있다.
상기한 선형 진동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그 일 실시예로 상기 진동 대상체 위치에 여과팩을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막분리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즉, 상기 여과팩을 선형 진동 장치에 의하여 일정 주파수로 진동시킴으로서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2 에는 스프링의 탄성계수, 진동 대상체의 중량, 주파수, 진동파 등의 상관관계를 수치적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선형 진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모델링한 도면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진동장치의 제1 내지 제4 스프링 부재(49,51,53,59)는 K1,K2로 표시되며, 진동 대상체(9,11)는 m1으로 표시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선형 진동장치는 3개의 스프링 요소를 갖는 2자유도 선형 공진가진기로 모델링이 가능하며, 운동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COSωt --------- 식1
(m:질량, k1,k2:탄성계수,C1,C2: 강성계수, X:변위량)
이러한 운동 방정식의 정상상태 응답을 구하기 위해 해를 다음과 같이 가정한다.
=ejwt ------------ 식2 (ejwt;복소함수)
식2 를 식1 에 대입하면,
= -----식3
여기서 복소 임피던스 Zrs =-ω2 mrs+jωCrs+krs r,s=1,2 -----식4
따라서, 다음과 같이 표현되어 진다.
= -----식5
그리고, 이를 풀면 정상 상태 응답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X1(jw)= --- 식6
X2(jw)= -----식7
상기 식 6과, 식 7에서 F01만 작용하고 F02가 없다고 가정하고, m=m1=m 2=45㎏, c=c1=c2=0.54Ns/m, k=k1=k2=1,520,000N/m이고, mer=5.7㎏mm일 때 정상상태 응답을 구하면, 주파수는 2차에 걸쳐 변동된다. 즉, 1차 공진은 약30Hz에서 발생하고, 2차 공진은 약 50.66Hz에서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F01 와 F02가 모두 작용하고, 이 힘들이 각각의 제1 내지 제4 불평등 질량에 180도 역위상으로 각각 작용하는 경우, 식6과 식7 은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X1(jw)= --- 식8
X2(jw)= -----식9
그런데, 상기 모델에서는 각각의 질량이 동일함으로 Z11=Z22=Zd, Z12 =Z21=Zc이 성립하며 식8과 식9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X1(jw)== ---식10
X2(jw)== ----식11
상기한 바와 같이, m=m1=m2=45㎏, c=c1=c2=0.54Ns/m, k=k1=k2=1,520,000N/m이고, mer=5.7㎏mm일 때 주파수 응답함수를 그려보면 한 번의 공진만이 발생한다. 즉, 50.66Hz에서 공진이 발생하게 됨으로 낮은 주파수의 공진점은 사라지고, 마치 1 자유도 선형공진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를 이론적으로 설명하면, m=m1=m2인 비감쇄 시스템에서, F01=2me 2, F02=-2me2 일때의 운동방정식을 다시 기재하면,
+ =me2{ejwt+ejwt} 식12 로 되고, 이에 대한 시스템 응답은
X1(jw)=-X2(jw)= 이다.
따라서, 두 개 질량 각각의 응답 X1, X2는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갖고 움직이며 1차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지 않는 2차 공진주파수의 함수로 표시된다.
또한, 인 경우, k== 인 경우, 및 k==의 다양한 강성을 갖는 스프링(49,51,53,59)을 조합시킴으로써 모두 의 공진 주파수를 만들 수 있다.
일반적인 스프링 부재의 공진 주파수는 로 표시됨으로, 상기 와 비교하여 정리하면, 결국 K=3K의 관계가 성립한다. 즉, 기존의 일자유도 진동계의 스프링 보다 1/3정도의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낮은 강성의 스프링에 의하여 진동 대상체 2개를 동시에 가진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치적인 해석을 통하여 진동 대상체의 질량에 따른 진동수를 산출함으로서 적절한 스프링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불평형 질량을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하여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을 서로 상쇄시킴으로써 필요 이상의 과도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선형 형태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음으로 낮은 강성의 스프링을 사용하여도 충분히 진동 대상체를 진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1 은 종래의 진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
도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
도3 은 도2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선형 진동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 는 도3 에 도시된 선형 진동장치의 정면도.
도5 는 도3 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Claims (5)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프레임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일한 방향으로 편심적으로 회전하는 첫 번째 회전체 및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 회전체와 반대 방향으로 편심적으로 회전하는 두 번째 회전체를 구비하는 진동 발생수단;
    상기 첫 번째 회전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 진동 대상체가 설치되는 제1 하부 베이스;
    상기 제1 하부 베이스와 독립하여 배치되며 상기 두 번째 회전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 진동 대상체가 설치되는 제2 하부 베이스; 그리고
    상기 제1,2 하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2자유도 진동계를 형성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선형 공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회전체는,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는 제 1 기어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3 기어와;
    상기 제3 기어와 치차결합되는 제4 기어와;
    상기 제3 및 제4 기어의 상면에 부착되어 회전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불평형 질량을; 포함하며,
    상기 두 번째 회전체는,
    상기 제 1 기어에 치차결합되는 제2 기어의 연장부에 장착되는 제5 기어와;
    상기 제5 기어와 치차결합되는 제6 기어와;
    상기 제5 및 제6 기어의 상면에 부착되어 회전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3 및 제4 불평형 질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공진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1 하부 베이스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 부재와;
    상기 제2 하부 베이스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3 및 제4 스프링 부재와;
    상기 제2 스프링 부재와 제3 스프링 부재의 하부를 연결함으로서 진동이 서로 전달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공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1 하부 베이스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 부재와;
    상기 제2 하부 베이스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3 및 제4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공진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프링 부재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공진장치.
KR10-2002-0047070A 2002-08-09 2002-08-09 선형 진동장치 및 이 선형 진동장치가 적용된 막분리 장치 KR10048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070A KR100483764B1 (ko) 2002-08-09 2002-08-09 선형 진동장치 및 이 선형 진동장치가 적용된 막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070A KR100483764B1 (ko) 2002-08-09 2002-08-09 선형 진동장치 및 이 선형 진동장치가 적용된 막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924A KR20040013924A (ko) 2004-02-14
KR100483764B1 true KR100483764B1 (ko) 2005-04-19

Family

ID=3732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070A KR100483764B1 (ko) 2002-08-09 2002-08-09 선형 진동장치 및 이 선형 진동장치가 적용된 막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943B1 (ko) * 2011-12-26 2013-08-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진동시험용 바디정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4564A (en) * 1990-03-27 1991-05-14 Calvest Associates Eccentric drive mechanism
US5799535A (en) * 1996-06-28 1998-09-01 Terry; Russell Kitchen appliance with a flexible drive
KR20000020944A (ko) * 1998-09-24 2000-04-15 이한상 회전력 및 진동력의 선택적 발생장치와 그 응용
US6322698B1 (en) * 1995-06-30 2001-11-27 Pall Corporation Vibratory separation systems and membrane separation uni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4564A (en) * 1990-03-27 1991-05-14 Calvest Associates Eccentric drive mechanism
US6322698B1 (en) * 1995-06-30 2001-11-27 Pall Corporation Vibratory separation systems and membrane separation units
US5799535A (en) * 1996-06-28 1998-09-01 Terry; Russell Kitchen appliance with a flexible drive
KR20000020944A (ko) * 1998-09-24 2000-04-15 이한상 회전력 및 진동력의 선택적 발생장치와 그 응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943B1 (ko) * 2011-12-26 2013-08-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진동시험용 바디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924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8887B1 (en) Eccentric drive mechanism
JPH09187729A (ja) モジュール式の2重反転偏心質量振動力発生器
KR100887455B1 (ko) 진동 저감 브래킷
JP2000509812A (ja) 直交する1次振動および2次振動の相互干渉を防止した回転速度ジャイロスコープ
CN107107353A (zh) 线性马达及其支撑件
FR2709213A1 (fr) Moteur électrique à éléments vibrants et coupleur élastique.
EP0360199B1 (en) Vibration wave driven actuator
KR100483764B1 (ko) 선형 진동장치 및 이 선형 진동장치가 적용된 막분리 장치
JP2011085558A (ja) 動釣合い試験機および振動部支持装置
KR100482294B1 (ko) 비틈형 진동장치
JPH1194691A (ja) 起振機
CA2143658C (en) Increasing the relative motion of a screen deck
US6807858B2 (en) Vibrating structure comprising two coupled oscillators, in particular for a gyro
KR20180080223A (ko) 낮은 전달률을 가지는 초음파 앤빌
KR102128942B1 (ko)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
JP3815117B2 (ja) 振動コンベヤ
RU2410167C1 (ru) Способ возбуждения резонансных механических колебан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US5108180A (en) Dither arrangements
KR100536657B1 (ko) 진동 가진장치
JPH0747445Y2 (ja) 三軸起振機構の振動ローラ
CN219851109U (zh) 往复振动机构
JPH0868637A (ja) 捩れ振動型ジャイロ
JPS61262091A (ja) 振動波モ−タ
SU566715A1 (ru) Машина дл вибрационной обработки деталей
RU1815166C (ru) Вибрационный стан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