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989B1 - 절단칼날 - Google Patents

절단칼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989B1
KR100482989B1 KR10-1999-0042109A KR19990042109A KR100482989B1 KR 100482989 B1 KR100482989 B1 KR 100482989B1 KR 19990042109 A KR19990042109 A KR 19990042109A KR 100482989 B1 KR100482989 B1 KR 100482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curved
curved surface
cutting
blade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9344A (ko
Inventor
야소다히사시
와카바야시노리유키
Original Assignee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9-0042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989B1/ko
Publication of KR20010029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9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4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53Cutting members therefor having a special cutting edge section or blade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원하는 인선각에 있어서도 좌굴강도가 높은 평날 형상 절단칼날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건 발명의 해결수단은, 공작물(W)의 절단을 실시하는 원하는 인선각도로 된 인선부(11a)가, 소정의 길이(최소로 필요한)를 가지고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대칭인 오목한 만곡면(11a')으로 형성되고, 그 인선부 (11a)와 생크부(21)를 연락하는 연설부(11b)를, 인선부(11a) 후단(상단)에서 생크부(21)로 향해서 점차 두께를 두껍게 하도록 좌우대칭인 오목한 만곡면(11b', 11b')으로 연설시켜, 그것에 의하여, 연설부(11b)가 절단시에 공작물(W)에 부여하는 접촉저항을 작게 억제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절단칼날{CUTTING BLADE}
본 발명은, 절단가공장치 등에 사용되는 평날 형상 절단칼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라믹 그린시트 등의 박판형상 기판을 절단하는 절단칼날에 관한 것이다.
소결 전의 세라믹 그린시트 등의 박판형상 기판(소재판)을 바둑판 눈형상 등으로 절단하여 절단팁을 복수개 취하는데 적합한 절단가공장치가 있다.
이것은, 소정 간격(피치이송)을 두고 평날 형상 절단칼날을 소위 길로틴(g uillotine)식으로 공작물에 닿게 하여 절단하는 것이고, 사용되는 절단칼날은 그 절단기능부 전체를 정면으로 보면 예리한 V자 형상 칼날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예컨대 절단팁의 종횡치수가 0.6(㎜)×0.3(㎜) 정도의 아주 작은 것이 요구되고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양날 날면으로 형성된 절단칼날에 공작물을 길로틴식으로 닿게 하여 가공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절단을 실시할 경우에는 인선각을 보다 작게 하여 공작물 절단면의 변형을 최소한으로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절단칼날은 그 인선각을 10도 내지 30도 정도로 하고, 생크부의 두께를 1㎜ 정도로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절단칼날은, 절단가공장치(미도시)의 승강이동이 가능한 툴호울더(tool holder)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그 툴호울더의 지지체에 심출용(芯出用)의 카메라를 장착하고, 소정량의 피치이송시에 공작물의 가장자리(직사각형 공작물이면 그 네 가장자리)에 등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는 상대하는 한 쌍의 선상마아크를 심출하여 카메라로 촬상하고, 또한 화상 처리하여 심출하고, 그 수정량으로서 공작물을 흡착 유지하는 인덱스 테이블(index table)을 보정하여 움직인 후, 절단칼날을 하강시켜서 공작물을 절단한다.
이것을 공작물의 길이방향 소정의 피치이송의 횟수로 반복하고, 그것이 종료되면 인덱스테이블로 공작물(W)을 90도 회전시켜서 마찬가지로 절단하여 간다. 이것에 의하여 절단팁을 취득하도록 되어 있다.
그때, 선상마아크를 덧붙인 네 가장자리부분은 선상마아크가 잔존하는 점에서 절단팁으로서는 부적합하다. 그 때문에, 절단대상으로 되는 공작물에 가장자리를 취하는 것을 틀형상으로 남겨서 바둑판 눈상태로 절단하는 절단수법이 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날두께(생크부의 두께)를 바꾸지 않고 인선각을 보다 작게 성형하면 당연히 좌우 양면의 날면(절단기능부)의 면적이 커져서, 절단 시에 그 좌우양면에큰 저항이 작용하여 절단할 때에 큰 절단력을 필요로 하게 되며, 그 결과 인선부(刃先部)가 좌굴변형(座屈變形)을 일으켜 버린다.
본 발명은, 종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원하는 인선각에 있어서도 인선부의 좌굴강도가 높고, 칼이 드는 정도도 양호하여고, 미세한 절단팁을 얻기 위해 바람직한 절단칼날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으로 하는 점은, 공작물에 가장자리를 취하는 것을 틀형상으로 남기고 바둑판 눈형상으로 절단하여 절단팁을 얻을 때에 팁의 드러눕기나 비산이 없는 절단칼날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구된 기술적 수단으로서, 청구항 1은, 박판형상 공작물을 절단하는 평날 형상 절단칼날로서, 선단으로부터 생크부를 향해서 형성된 절단기능부가,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대칭인 오목한 만곡면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인선부와, 생크부를 향해서 점차 두껍게 되도록 상기한 인선부와 생크부에 걸쳐서 연속 형성되는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대칭인 1단 또는 복수단의 오목한 만곡면으로 형성된 연설부로 구성되고, 또 상기 연설부에 있어서 인선부에 대해 연설하는 오목 만곡면 및 하단의 오목 만곡면에 대해 연설하는 상단의 오목 만곡면 각각을 하단의 번각보다 약간 얇은 부분을 중도부에 형성하면서 점차 두껍게 되는 좌우대칭의 오목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상기한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공작물의 절단을 실행하는 원하는 인선각도로 된 인선부를, 소정의 길이(최소로 필요한)로서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대칭인 오목한 만곡면으로 형성하고, 그 선단부와 생크부를 연락하는 연설부를, 인선부 후단(상단)으로부터 생크부를 향해서 점차 두께를 두껍게 하도록 좌우대칭의 일단 또는 복수단의 오목한 만곡면으로 연설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연설부가 절단시에 공작물에 부여하는 접촉저항을 억제하여 인선부의 좌굴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번각은 인선각이 1번각, 상단의 오목 만곡면이 순차 2번각, 3번각....이 되고, 1번각인 인선부에 대해 2번각이 바로 상단의 좌우대칭인 오목 만곡면의 공작물에 대한 날의 부딪침(공작물과의 접촉)이 적어지고, 따라서 2번각(인선부 바로 상단의 좌우대칭의 오목 만곡면)의 절단저항을 억제하여, 더 작은 절단력으로 공작물의 절단이 가능하여 칼이 드는 정도를 양호하게 한다.
청구항 2는, 인선부의 좌우양면과 연설부의 오목 만곡면에 곡면방향과 동일 방향의 세로눈금의 미소 요철 선조를 칼날의 이동방향 전장에 걸쳐서 연삭형성하고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인선부의 세로눈금의 미소 요철선조로 베어째도록 절단되어 칼이 드는 정도가 양호하다.그리고, 청구항 3은, 인선부의 좌우양면을 평면으로 하고, 그 평면에 미소 요철선조 대신 거울면 마무리하고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상술한 특징점의 작용에 더하여 절단면이 미려하고, 보다 촘촘하고 미소한 절단팁을 얻을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4는, 칼날의 이동방향의 양단부를 전체 높이에 걸쳐서 평면으로 보면 V자 형상으로 한 것을, 또, 청구항 5는, 칼날의 이동방향의 양단부의 연설부 전체높이를 적어도 평면으로 보면 V자 형상으로 한 것을 각각 요지로 한다.
이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공작물에 가장자리를 취하는 것을 틀형상으로 남겨서 바둑판 눈형상으로 절단하여 팁을 얻는 경우, 절단칼날을 공작물에 잘라 넣으면, 인선부의 횡단면 형상이 가늘고 긴 직사각형모양이 될 것이라고 예상되지만, 도 4(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이 갈라져서 확대되는 경향으로 되어 있다. 이 확대에 의한 탄성복원력으로 절단된 절단팁 자체가 전도되거나 비산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 확대에 의해서 인접하는 절단후의 절단팁에 눌러서 이동시키는 힘을 부여하여, 그 절단팁을 전도시키거나, 비산시키기도 한다.
칼날의 이동방향 양단부를 전체높이에 걸쳐서 평면으로 보면 V자형상으로 함으로써 양단부의 확대를 극력 방지하고, 상기한 문제를 해소한다.
이 상기한 절단칼날의 소재로서는, 초경합금재가 적합하고, 좌굴강도가 높은 형상으로 형성된 절단칼날의 내마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을 한다. 도 1 및 도 2는 제1실시형태를, 도 3은 제2의 실시형태를, 도 4a, b는 참고도, 도 5는 제3의 실시형태, 도 6은 제4의 실시형태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도면 중 부호 1은 절단칼날이다.
우선, 제1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칼날(1)은, 평판형상의 생크(21)부와, 절단을 실행하고, 또한 좌굴강도를 높이는 절단기능부(11) 로 되어 있다.
절단기능부(11)는, 선단부로부터 생크부(21)를 향해서 점차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중심선(X)에 대하여 좌우대칭의 오목한 만곡면(11a')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원하는 인선각도의 인선부(1번각)(11a)와, 생크부(21)를 향해서 점차 두껍게 되도록 인선부(11a)와 생크부(21)에 걸쳐서 연속형성되며 중심선(X)에 대하여 좌우대칭의 오목한 만곡면(2번각)(11b',11b')으로 형성된 1단의 연설부(11 b)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절단칼날(1)은, 취성(脆性)이 높은 초경합금재로 이루어져 있고, 인선부(1번각)(11a)와 연설부(11b)를 형성하는 오목한 만곡면(2번각)(11b',11b')이 곡면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원주면에 연삭면을 보유하는 숫돌차로 연삭가공되어서 숫돌차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이것에 의하여 인선부(1번각)(11a)와 연설부(11b)는 함께 그 연삭가공에서 세로눈금의 아주 작은 요철선조(31)가 칼날의 이동방향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선부(1번각)(11a)에 대하여 연설하는 오목한 만곡면(2번각)(11b',11b')을 그 인선부(1번각)(11a)보다도 약간 얇은 부분을 거쳐서 점차 두껍게 되는 좌우대칭의 오목한 만곡면(11b',11b')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오목한 만곡면(2번각)(11b',11b')의 공작물 절단 시에 공작물에 접촉하는 저항을 보다 적게 억제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절단칼날(1)을, 절단가공장치(비도시)의 승강이동이 가능한 툴호울더에 장착하여 절단칼날을 승강이동시켜서 세라믹 그린시트(공작물)(W)를 절단한다. 인선부(1번각)(11a)와 연설부(11b)를 오목한 만곡면(11a',11b')으로 형성함으로써 오목한 만곡면(2번각)(11b',11b')이 세라믹 그린시트(W)의 위쪽 둘레부분에서 도피하여 불필요한 압력을 약하게 하는 역할까지도 보유하고 있다. 즉, 연설부(11b)의 오목한 만곡면(11b',11b')이 바이트 등의 절삭공구의 도피면과 마찬가지의 역할까지도 한다.
그리고, 상기한 칼날의 이동방향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세로눈금의 아주 작은 요철선조(31)가 칼이 드는 정도를 훌륭하게 하고, 또한 절단칼날(1)로서의 강도(인선부(11a)와 연설부(11b)의 강도)를 높이는데 약간의 도움이 된다.
다음에 제2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3에 표시하듯이 절단칼날(1)은, 상기한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한 만곡면으로 형성된 인선부(11a) 대신에 중심선(X)에 대하여 좌우대칭의 경사평면 (11a")이고, 또한,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원하는 인선각도로 형성된 인선부(1번각)(11a)로 한 것을 예시하고 있고, 다른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은 생략하지만, 그 인선부(1번각)(11a) 양면인 경사평면(11a",11a")이 거울면으로 가공되어 있다.
이 거울면 마무리에 의해서, 인선부(11a)의 양 칼날면은 정리되고, 보다 미세한 절단팁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인선부(1번각)(1 1a)에 대하여 연설하는 오목한 만곡면(2번각)(11b',11b')을 그 인선부(1번각)( 11a)보다도 약간 얇은 부분을 거쳐서 점차 두껍게 되는 좌우대칭의 오목한 만곡면으로 하고 있다.
도 4a, b는, 종래품에서 나타나는 절단시의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현상은, 절단팁(C)(절단후의 팁)의 종횡치수가 0.6(㎜)×0.3(㎜) 정도의 아주 작은 것인 경우에, 특히 악영향을 미치게 한다.
그것은, 공작물(W)을 시험하는 절단을 할 때의 양단부의 확대(S)인 것이다(도 4a).
원인은 불명하지만, 인선부의 횡단면형상이 가로가 긴 직사각형모양이므로, 칼날면과 단면과의 직각인 코너부 2점에서 공작물(W)를 갈라내고, 그것에 칼날면(좌우양면)에 의한 절단시의 압축의 탄성력이 칼날의 이동방향으로 작용하여, 확대(S)로 되어서 나타내는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한 확대(S)때문에, 도 4b에 표시하듯이 공작물(W)에 가장자리를 취하는 것은 틀형상으로 남겨서 바둑판 눈모양으로 절단하여 팁(C)을 얻는 경우에, 상기한 확대(S) 양단부에 상대하는 절단팁(C)은, 경사형상으로 방향이 바꿔지며, 그것에 의하여 이미 절단이 끝난 절단팁(C)을 눌러서 이동시켜, 그 반력으로 절단된 팁(C)이나 절단이 끝난 팁(C)의 뛰어오름이나 전도의 원인으로 된다.
도 5, 도 6은, 각각 그 현상의 방지책을 보유하는 절단칼날(제3의 실시형태, 제4의 실시형태)(1)를 표시하고 있다.
도 5의 절단칼날(1)은, 상기한 제1의 실시형태 또는 제2의 실시형태의 절단칼날(1)의 칼날이동방향 양단부를 전체높이에 걸쳐서 평면으로 보면 V자모양으로 하고 있다. 또, 도 6의 절단칼날(1)은, 칼날의 이동방향의 양단부의 연설부(11b) 전체높이를 적어도 평면으로 보면 V자모양으로 하고 있다. 도 6의 절단칼날(1)에 있는 V자면(41)은, 상세하게는 곡률이 큰 오목한 만곡면상으로 되어 있고, 만곡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원주면에 연삭면을 보유하는 숫돌차로 연삭가공되어서, 세로눈금의 아주 작은 요철선조(31)를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인지, 절단된 팁(C)이나 절단이 끝난 팁(C)의 뛰어오름이나 전도는 함께 발생하지 않았다.
이것은, 인선부(1번각)(11a)의 오목한 만곡면(11a') 또는 경사평면(11a")과 V자면(41), 연설부(11b)의 오목한 만곡면(2번각)(11b',11b')과 V자면(41)이 각각 둔각을 가지고 연설되는 점에서, 양 단부에서의 세라믹 그린시트(공작물)(W)를 갈라놓는 현상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절단시의 압축의 탄성력이 칼날의 이동방향으로 작용하여도, 확대(S)로 되어서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도 5의 절단칼날(1)과 도 6의 절단칼날(1)과의 효과상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상기한 제1, 제2, 제3, 제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절단칼날(1)의 생크부(2 1)의 두께(T2)는, 0.4㎜ 내지 1㎜, 인선각(θ)은 약 15도∼20도, 인선부(1번각)( 11a)의 최대두께(연설부(11b)와의 교점)(T1)는 25㎛∼50㎛, 또 그 높이(H1)는 50㎛∼100㎛이고, 그리고 인선부(11a) 선단에서 연설부(11b)의 생크부(21)와의 교점까지의 높이(H2)를 1㎜보다도 약간 높게하고 있으며, 또 2번각인 좌우대칭의 오목한 만곡면(11b',11b')은 그 인선부(1번각)(11a) 가까이의 중도부(T3)를 상기한 T1보다도 5㎛ 정도 얇은 부분을 중도부에 형성한 다음 점차 두껍게 되도록 되어 있고, 0.1㎜∼1㎜ 정도의 두께의 공작물(세라믹 그린시트 등의 얇은 형상인 기판) (W)를 절단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연설부(11b)가 1단인 것을 예시했지만, 연설부(11b)와 생크부(21)와의 교점에서 칼날선 선단부까지의 중심선(X)에 따른 거리를 제1, 제2, 제3, 제4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거리로 하여 2단으로 하거나, 또한 3단, 4단과 복수단으로 하는 것은 임의이다. 그 경우에도 각 오목한 만곡면(1 1b',11b')을 점차 두껍게 하는 것으 상기한 제1, 제2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에, 2번각에 대하여 3번각, 3번각에 대하여 4번각을,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약간 얇은 부분을 형성한 다음 점차 두껍게 되는 좌우대칭의 오목한 만곡면(11b',11b')으로 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청구항 1, 청구항 2인, 인선부(11a)에서 생크부(21)로 향해서 점차 두껍게 되도록 연속형성된 좌우대칭인 1단 또는 복수단의 오목한 만곡면(11b')으로 형성된 연설부(11b)를 설명하고 있지 않지만, 1 번각에 대하여 2 번각, 2 번각에 대하여 3 번각, 3 번각에 대하여 4 번각…에 있어서 약간 얇은 부분을 거쳐서 점차 두껍게 되는 오목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지 않고, 각 하단의 번각에서 그대로 점차 두껍게 되는 좌우대칭의 오목한 만곡면으로 연설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인선부(1번각)에 대하여 약간 얇은 부분을 거쳐서 점차 두껍게 되는 좌우대칭의 오목한 만곡면 정도의 공작물과의 접촉저항의 억제는 기대할 수 없지만, 전체를 정면으로 보면 예리한 V형상인 칼날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절단칼날에 비하여 공작물에 대한 절단시의 접촉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의하면, 인선 선단부에서 생크부를 향해서 형성된 절단기능부를, 좌우대칭의 오목한 만곡면에서 필요로 하는 최소한(필요로 하는 최소각)으로 형성된 인선부와, 생크부를 향해서 점차 칼날두께가 두껍게 되도록 상기한 인선부와 생크부에 걸쳐서 연속형성된 좌우대칭인 1단 또는 복수단의 오목한 만곡면을 연속형성하고, 인선부에 대하여 연설하는 오목 만곡면 및 하단의 오목 만곡면에 대해 연설하는 상단의 오목 만곡면 각각이 하단의 번각보다 약간 두꺼운 부분을 형성하면서 순차 두꺼워지도록 좌우대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시의 인선부를 제외한 각 번각이 되는 오목 만곡면의 공작물에 접촉하는 저항을 보다 작게 억제하여 더 작은 절단력으로 절단을 가능하게 하고, 인선부의 좌굴변형을 초래하지 않고 미세 팁을 절단하기에 최적인 절단력이 된다.
삭제
게다가, 인선부와 생크부를 연설하는 연설부를, 점차 칼날두께를 두껍게 하는 좌우대칭인 1단 또는 복수단의 오목한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절단가공시에 연설부가 얇은 형상인 공작물에 있어서 절단면 위쪽 둘레부분을 누르는 힘도 약하게 되고, 공작물을 변형시킬 우려도 적다.
게다가 인선부와 연설부가 좌우대칭이기 때문에 절단 시에 받는 중심선과 직교방향의 반력이 동등하게 되어 내부응력의 밸런스가 무너지지 않으므로 절단칼날에 휘어짐이나 꺾임을 발생시키는 일도 없다.
또, 청구항 2에서는, 미세한 세로눈금의 미소 요철 선조에 의해 칼이 드는 정도가 매우 뛰어나게 되고, 또한 인선부 뿐 아니라 연설부의 좌굴강도를 더 신뢰성있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청구항 3에서는, 인선부를 평면으로 하고, 또한 거울면 마무리하고 있어 그 거울면 가공에 의해 절단면이 미려하고 또한 보다 미세한 절단칩을 얻기 위해 최적이 된다. 청구항 4 및 5에 의하면, 칼날면의 칼날이동방향 양단부를 평면에서 보면 V자 형상으로 하고, 칼날면과 V자면이 둔각을 가지고 각각 연설되는 점에서, 양단부에서의 공작물을 갈라놓는다는 현상이 작아지고, 공작물에 가장자리를 취하는 틀형상으로 남겨서 바둑판 눈형상으로 절단하여 팁을 얻는 경우(도 4 참조), 절단시의 압축 탄성력이 칼날의 이동방향으로 작용하여도, 확대로 되어서 나타나지 않고, 종래와 같이 절단된 팁이나 절단후의 인접하는 절단팁을 비산시키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실시형태의 절단칼날의 요부인 절단기능부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동 절단칼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2의 실시형태의 절단기능부의 확대도이다.
도 4a, 도 4b는, 횡단면형상이 가늘고 긴 직사각형인 인선부의 절단상태를 표시하는 횡단 평면도이고, 도 4a는 칼날선 양단부의 넓어짐 상태를, 도 4b는 팁이 절단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도 5는, 제3의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4의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칼날 11b' … 만곡면
11a … 인선부 21 … 생크(shank)부
11a' … 만곡면(灣曲面) 31 … 요철선조
11a" … 경사평면 X … 중심선
11b … 연설부(連設部)

Claims (7)

  1. 박판형상 공작물을 절단하는 평날 형상 절단칼날에 있어서,
    선단에서 생크부를 향해서 형성된 절단기능부가,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대칭인 오목한 만곡면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인선부와, 생크부를 향해서 점차 두껍게 되도록 상기한 인선부와 생크부에 걸쳐서 연속형성되고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대칭인 1단 또는 복수단의 오목한 만곡면으로 형성된 연설부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연설부에 있어서, 인선부에 대해 연설하는 오목 만곡면 및 하단의 오목 만곡면에 대해 연설하는 상단의 오목 만곡면 각각을 하단의 번각보다 약간 얇은 부분을 중도부에 형성하면서 점차 두껍게 되는 좌우대칭의 오목 만곡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인선부의 좌우양면과 연설부의 오목 만곡면에 곡면방향과 동일 방향의 세로 눈금의 미소 요철선조를 칼날 이동방향의 전장에 걸쳐서 연삭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날.
  3. 박판형상 공작물을 절단하는 평날 형상 절단칼날에 있어서,
    선단에서 생크부를 향해서 형성된 절단기능부가, 좌우양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인선부와, 생크부를 향해서 점차 두껍게 되도록 상기한 인선부와 생크부에 걸쳐서 연속형성되고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대칭인 1단 또는 복수단의 오목한 만곡면으로 형성된 연설부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연설부에 있어서, 인선부에 대해 연설하는 오목 만곡면 및 하단의 오목 만곡면에 대해 연설하는 상단의 오목 만곡면 각각을 하단의 번각보다 약간 얇은 부분을 중도부에 형성하면서 점차 두껍게 되는 좌우대칭의 오목 만곡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인선부의 좌우 양면의 평면에는 거울면 마무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날.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칼날의 이동방향의 양단부를 전체높이에 걸쳐서 평면으로 보면 V자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날.
  5.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칼날의 이동방향의 양단부의 연설부 전체높이를 적어도 평면으로 보면 V자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날.
  6. 삭제
  7. 삭제
KR10-1999-0042109A 1999-09-30 1999-09-30 절단칼날 KR100482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109A KR100482989B1 (ko) 1999-09-30 1999-09-30 절단칼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109A KR100482989B1 (ko) 1999-09-30 1999-09-30 절단칼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344A KR20010029344A (ko) 2001-04-06
KR100482989B1 true KR100482989B1 (ko) 2005-04-15

Family

ID=3752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109A KR100482989B1 (ko) 1999-09-30 1999-09-30 절단칼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603B1 (ko) * 2020-12-22 2021-10-05 손영준 해양 폐기물 절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693A (ja) * 1991-09-27 1993-04-06 Shima Seiki Mfg Ltd 裁断刃
KR970049477U (ko) * 1996-01-10 1997-08-12 김인길 식품자동포장기용 절단칼
JPH10217181A (ja) * 1997-02-05 1998-08-18 U H T Kk 切断刃とその成形方法
KR20010002297A (ko) * 1999-06-14 2001-01-15 정운조 식품 슬라이서의 절단편 이탈 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693A (ja) * 1991-09-27 1993-04-06 Shima Seiki Mfg Ltd 裁断刃
KR970049477U (ko) * 1996-01-10 1997-08-12 김인길 식품자동포장기용 절단칼
JPH10217181A (ja) * 1997-02-05 1998-08-18 U H T Kk 切断刃とその成形方法
KR20010002297A (ko) * 1999-06-14 2001-01-15 정운조 식품 슬라이서의 절단편 이탈 안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344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05750B (zh) 刻划轮
KR100482989B1 (ko) 절단칼날
JP2993899B2 (ja) 切断刃とその成形方法
JP2001158016A (ja) 切断刃
KR20220124680A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CN102372426B (zh) 借助于激光将由易脆裂的材料制成的圆的平板分割成多个矩形单板的方法
US20110100186A1 (en) Cutting rules for cutting of flat materials
JP2006231458A (ja) 突切り工具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101851453B1 (ko) 취성 재료 기판에 있어서의 경사 크랙의 형성 방법 및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방법
JPS61172629A (ja) 打抜加工用工具
JP2926526B2 (ja) 板状脆性材料の切断方法
US6272962B1 (en) Cutting blade
KR20170101126A (ko) 취성 기판의 분단 방법
JP2004167963A (ja) 分割溝を有するセラミック基板の製造方法
JP3847210B2 (ja) 分割溝を有するセラミックス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2018051945A (ja) ダイヤモンドツール及びそのスクライブ方法
KR102469832B1 (ko) 스크라이빙 휠
KR102352243B1 (ko) 멀티포인트 다이아몬드 툴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6466888B (zh) 脆性材料基板中的垂直裂纹形成方法及其分割方法
JPH0453926Y2 (ko)
JP2914638B2 (ja) セラミック基板の面取り部形成方法
JP2001058316A (ja) 切断刃
CN111196673A (zh) 带玻璃料膜的玻璃基板的刻划方法
JPH0631989U (ja) セラミック基板の分割溝形成用加工刃
JP4442964B2 (ja) 電子部品用セラミックス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