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221B1 -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221B1
KR100482221B1 KR10-2000-0031526A KR20000031526A KR100482221B1 KR 100482221 B1 KR100482221 B1 KR 100482221B1 KR 20000031526 A KR20000031526 A KR 20000031526A KR 100482221 B1 KR100482221 B1 KR 100482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oling water
seal
pipe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412A (ko
Inventor
김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3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221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5Cooling the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드의 움직임으로 인한 누수를 방지할수 있도록 냉각수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주조중 상하움직임이 빈번한 몰드에 장착된 냉각수관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누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몰드(2)몸체를 냉각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2)내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몰드(2)와 냉각수공급원사이에 배치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관부(10); 상기 관부(10)의 연결부위를 감싸고, 냉각수압력이 커짐에 따라 밀봉효과를 높일수 있는 시일부(20); 상기 시일부(20)의 탈락을 방지하면서 상하유동성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시일부(20)를 고정하는 시일덮개부(30);를 포함하는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the cooling pipe of mold}
본 발명은 몰드의 움직임으로 인한 누수를 방지할수 있도록 냉각수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주조중 상하움직임이 빈번한 몰드에 장착된 냉각수관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누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주조공정에 사용되는 몰드(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강(7)의 융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부재(5)상에 올려져 지속적으로 상하방향(P)으로 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몰드(2)에는 이를 냉각하기 위해서 외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관(9)이 조립구성되며, 냉각후 열교환된 냉각수는 별도의 냉각수배출라인(미도시)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냉각수관(9)은 상하운동이 빈번한 몰드(2)의 움직임을 흡수할수 있도록 플렉시블(flexible)하고, 플랜지 연결되는 주름관(8)을 매개로 하여 상기 몰드(2)와 연결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몰드(2)가 상하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서, 상기 몰드(2)양측에 연결된 상기 주름관(8)에 피로부하가 반복적으로 작용하면, 용접부(8a)가 파손될 우려가 매우 높고, 상기 주름관(8)과 냉각수관(9)사이의 플랜지 연결부위 또는 상기 주름관(8)과 몰드(2)사이의 연결부위의 움직임을 완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파손부위 및 연결부위로부터 누수가 발생되어 상기 몰드의 냉각효율을 저하시키고, 설비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냉각수의 압력에 따라 밀봉의 효과를 높일수 있고, 상하 움직임으로 인한 밀봉효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양측 냉각수관의 서로 다른 움직임을 흡수할수 있는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몰드몸체를 냉각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내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몰드와 냉각수공급원사이에 배치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관부;
상기 관부의 연결부위를 감싸고, 냉각수압력이 커짐에 따라 밀봉효과를 높일수 있는 시일부;
상기 시일부의 탈락을 방지하면서 상하유동성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시일부를 고정하는 시일덮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냉각수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냉각수관 연결장치(1)는 주조공정을 수행하는 몰드(2)측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작업을 상하유동이 빈번에 몰드(2)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원할하게 수행할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1)는 관부(10), 시일(seal)부(20) 및 시일덮개부(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몰드(2)의 좌우양측에 동일한 구조로 배치됨에 따라 일측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상기 몰드(2)와 냉각수공급원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몰드(2)측으로 냉각수를 안내유입하는 관부(10)는 일단에 플랜지연결공(12a)을 천공한 플랜지(11a)와, 타단에 플랜지공(12a)을 전혀 천공하지 않은 플랜지(11b)가 각각 일체로 장착되고, 길이중간에 시일덮개홈(13a)을 함몰형성한 결합부(13)가 각각 일체로 장착된 한쌍의 냉각수관(10a)(10b)으로 구성되어 일측 냉각수관(10a)은 냉각수공급원에 일단 플랜지(11a)가 교체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냉각수관(10a)은 상기 몰드(2)에 일단 플랜지(11a)가 교체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플랜지공(12a)을 형성하지 않은 상기 냉각수관(10a)(10b)의 각 플랜지(11b)는 상기 시일부(20)내에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서로 대향배치되는 냉각수관(10a)(10b)의 플랜지(11b)(11b)사이인 연결부위를 감싸고, 냉각수압력이 커짐에 따라 밀봉효과를 높일수 있는 시일부(20)는 도시한 바와같이, 몸체중앙에 내부공간(S)을 형성하도록 대략 사각단면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외부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드처리된 원통형상이며, 내주면 중앙에는 대향하는 냉각수관(10a)(10b)의 플랜지(11b)가 배치되도록 절개부(21)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부공간(S)에는 상기 시일부(20)의 내주면과 냉각수관(10a)(10b)의 외주면사이의 일부 접촉면을 탄성력으로서 밀봉하도록 환고리형의 복수개 탄성부재(22)가 둥글게 감겨 장착된다.
한편, 상기 시일덮개부(30)는 상기 냉각수관(10a)(10b)의 연결부위를 감싸는 시일부(20)의 탈락을 방지하면서 상기 몰드(2)의 상하운동시 상하유동성을 발생시킬수 있도록 상기 시일부(20)를 감싸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시일덮개부(30)는 상기 냉각수관(10a)(10b)의 결합부(13)에 형성된 시일덮개홈(13a)에 삽입되는 요철부(33)를 전,후단내주면에 각각 돌출형성하고, 상하 이분할이 가능하도록 덮개볼트(34a)와 너트부재(34b)가 결합되는 브라켓(34)을 갖는 상,하부덮개(30a)(30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요철부(33)의 단부는 상기 몰드(2)의 상하움직임에 따른 냉각수관(10a)(10b)의 서로 다른 움직임을 흡수할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13)의 시일덮개홈(13a)와의 사이에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돌출길이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몰드(2)를 냉각하기 위해서 냉각수를 냉각수관(10a)을 통하여 주입하면, 상기 몰드(2)내로 공급되는 냉각수중 일부는 시일부(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냉각수관(10a)(10b)의 플랜지(11b)(11b)사이의 틈새를 상기 시일부(20)의 내부공간(S)으로 유입된다.
연속하여 상기 시일부(20)내로 유입된 냉각수는 내부공간(S)의 곳곳에 작용하여 팽창하고, 상기 시일부(20)내주면과 냉각수관(10a)(10b)외주면사이는 내부공간(S)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22)에 의해서 밀착되기 때문에, 그 접촉부위는 밀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일부(20)의 외부를 감싸 고정하도록 브라켓(34)에 결합되는 덮개볼트(34a)와 너트(34b)로서 상,하부 덮개부재(30a)(30b)가 원통형으로 조립됨으로서, 상기 시일부(20)의 내부공간(S)에 형성되는 냉각수압력으로 인한 시일부(20)의 탈락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부덮개부재(30a)(30b)의 요철부(33)가 결합되는 결합부(13)의 시일덮개홈(13a)의 바닥면과 상기 요철부(33)의 단부사이에 항상 일정거리가 유지되기 때문에, 주조중 상기 몰드(2)의 상하유동에 따른 상기 냉각수관(10a)(10b)의 서로 다른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흡수하면서 좌우유동을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일부(20)내에 배치되는 냉각수관(10a)(10b)의 플랜지(11b)는 내측으로 'ㄱ'자형으로 절곡된 걸림턱(12b)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시일부(20)의 절개부(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몰드와 냉각수공급원사이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유입안내하는 냉각수관의 연결부위를 시일부와 상하 이분할형으로 조립되는 시일덮개부로서 조립구성함으로서, 냉각수관의 연결 및 해체가 용이하고, 몰드의 상하유동을 흡수하여 몰드의 위치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시일부의 내부공간에서의 냉각수압력이 높이질수록 팽창되는 시일부에 의해서 밀봉효과가 높아져 양측 냉각수관의 움직임과 냉각수의 압력강도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수 있기 때문에, 몰드를 냉각하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각수관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 냉각수관 11a,11b .... 플랜지
13 ..... 결합부 13a ..... 시일덮개홈
20 ..... 시일부 21 ..... 절개부
22 ..... 탄성부재 30a,30b .... 상,하부 덮개부재
33 ..... 요철부 34 ..... 브라켓

Claims (5)

  1. 몰드(2)몸체를 냉각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2)내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몰드(2)와 냉각수공급원사이에 배치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관부(10);
    상기 관부(10)의 연결부위를 감싸고, 냉각수압력이 커짐에 따라 밀봉효과를 높일수 있는 시일부(20);
    상기 시일부(20)의 탈락을 방지하면서 상하유동성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시일부(20)를 고정하는 시일덮개부(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10)는 일단에 플랜지연결공(12a)을 천공한 플랜지(11a)와, 타단에 플랜지공(12a)을 전혀 천공하지 않은 플랜지(11b)가 각각 일체로 장착되고, 길이중간에 시일덮개홈(13a)을 함몰형성한 결합부(13)가 각각 일체로 장착된 한쌍의 냉각수관(10a)(10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20)는 몸체중앙에 내부공간(S)을 형성하도록 사각단면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외부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드처리된 원통형상이며, 내주면 중앙에는 대향하는 냉각수관(10a)(10b)의 각 플랜지(11b)가 배치되도록 절개부(21)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부공간(S)에 상기 시일부(20)의 내주면과 냉각수관(10a)(10b)의 외주면사이의 일부 접촉면을 탄성력으로서 밀봉하도록 환고리형의 복수개 탄성부재(22)가 둥글게 감겨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덮개부(30)는 상기 냉각수관(10a)(10b)의 결합부(13)에 형성된 시일덮개홈(13a)에 삽입되는 요철부(33)를 전,후단내주면에 각각 돌출형성하고, 상하 이분할이 가능하도록 덮개볼트(34a)와 너트부재(34b)가 결합되는 브라켓(34)을 갖는 상,하부덮개(30a)(30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33)의 단부는 상기 몰드(2)의 상하움직임에 따른 냉각수관(10a)(10b)의 서로 다른 움직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13)의 시일덮개홈(13a)과의 사이에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돌출길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
KR10-2000-0031526A 2000-06-09 2000-06-09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 KR100482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526A KR100482221B1 (ko) 2000-06-09 2000-06-09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526A KR100482221B1 (ko) 2000-06-09 2000-06-09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412A KR20010111412A (ko) 2001-12-19
KR100482221B1 true KR100482221B1 (ko) 2005-04-13

Family

ID=4366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526A KR100482221B1 (ko) 2000-06-09 2000-06-09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110B1 (ko) * 2002-06-04 2009-02-06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설비의 퀵 체인지 스탠드 플렉시블 냉각수 공급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05Y1 (ko) * 1992-12-31 1996-08-22 배순훈 전자제품용 소우필터의 피시비패턴 구조
KR19980016122A (ko) * 1996-08-27 1998-05-25 정몽규 냉각장치
JP2000055241A (ja) * 1998-08-10 2000-02-22 Mamoru Yoda 配管用クランプ
KR100338710B1 (ko) * 1997-12-26 2002-10-19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형박판주조장치용냉각롤의냉각수누수방지구설치방법및누수방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05Y1 (ko) * 1992-12-31 1996-08-22 배순훈 전자제품용 소우필터의 피시비패턴 구조
KR19980016122A (ko) * 1996-08-27 1998-05-25 정몽규 냉각장치
KR100338710B1 (ko) * 1997-12-26 2002-10-19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형박판주조장치용냉각롤의냉각수누수방지구설치방법및누수방지구
JP2000055241A (ja) * 1998-08-10 2000-02-22 Mamoru Yoda 配管用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412A (ko) 200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221B1 (ko) 몰드의 냉각수관 연결장치
KR101993417B1 (ko) 배수관 보수형 튜브의 원형 유지장치
KR100954190B1 (ko) 가스냉각수단을 구비한 용접장치
JP2019072765A (ja) 冷却管および金型の冷却構造
KR100454077B1 (ko) 신축 이음관
JP3973774B2 (ja) 目地部止水部材の止水性能確認方法及び目地部止水部材
WO2000063540A1 (en) Universal pipe coupling for fluid pipes in automobiles
JP4717409B2 (ja) 挿入体の設置工事における切断口防錆方法
KR101563108B1 (ko) 수도관 누수보수용 부단수 보수관의 구조
US11309771B2 (en) Cooling jacket and cooling unit
KR200429403Y1 (ko) 주유기 멀티 스위벨
KR101894562B1 (ko) 상하수도관의 누수방지를 갖춘 이중장치 구조
JP2006505408A (ja) 油膜軸受の流体静力学的な設備の液圧供給導管のための接続ブロック
KR100453450B1 (ko) 배관에서 누설되는 계통수 밀봉장치
CN217499389U (zh) 一种蒸发源结构及蒸镀设备
CN214556293U (zh) 一种封水器
JP2008185042A (ja) 配管の管台支持部の補修方法
KR20000017140U (ko) 오일 유동 홈을 갖는 볼트 및 너트
KR101779148B1 (ko) 용기 가열장치
CN217356097U (zh) 一种液压系统管道用高密封凹凸型堵头
CN114877718B (zh) 换热器、空调器及换热器的加工方法
JP3864359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
CN210862255U (zh) 一种环冷机液槽专用补偿器
KR100765081B1 (ko) 전기로 전극봉 홀더
KR100338710B1 (ko) 쌍롤형박판주조장치용냉각롤의냉각수누수방지구설치방법및누수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