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694B1 -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와 그 작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와 그 작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694B1
KR100481694B1 KR10-2002-0054588A KR20020054588A KR100481694B1 KR 100481694 B1 KR100481694 B1 KR 100481694B1 KR 20020054588 A KR20020054588 A KR 20020054588A KR 100481694 B1 KR100481694 B1 KR 10048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link
emergency
holder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979A (ko
Inventor
한용수
Original Assignee
해광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광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광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69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3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terally displac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와 그 사다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난간의 일부를 소정의 폭으로 절개하여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절개부를 형성시키고, 이 절개부에 절첩식 사다리가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접어 밀착시킴으로써 난간의 일부를 이루게 하며, 비상시에는 사다리를 펼쳐 이 사다리를 통하여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게 하는 난간용 비상사다리에서, 상기 비상사다리가 180도로 완전하게 펴지도록 접혀진 다수개의 절첩사다리와 상기 절첩사다리가 펼쳐질 때 안전을 위해 아래층 사다리는 자동으로 1차적으로 난간에서부터 45도 각도로 펴지게 지지하는 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와 절첩사다리가 제어장치에 의해 그 개방작동이 순차적으로 제어되어지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어장치가 난간의 절개부 상단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지지프레임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탄력 지지하는 비틀림스프링, 상기 샤프트의 탄성회전방향을 록크하는 작동제어부, 상기 링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링크홀더, 상기 절첩사다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사다리 홀더, 상기 사다리홀더의 록크를 해제시켜 주는 작동스위치, 상기 링크홀더의 록크를 해제시켜 주는 작동레버 및,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작동제어부를 원격 작동시켜 링크홀더와 사다리홀더를 작동시키는 원격제어부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평상시에는 절첩사다리가 난간의 일부를 이루도록 접혀져 난간에 록크된 상태로 되어 있고, 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상기 펼침 버튼을 작동시키면 절첩사다리가 안전을 위해 난간에서 45도 각도로 펼쳐지게 되고, 이어 상기 손잡이레버를 작동시키면 접혀진 사다리가 펼쳐지면서 아래층의 사다리가 자동으로 45°열려 아래층으로 피난 할 수 있는 개구부를 만들어주면서 피난자를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래층에서 원격제어부와 연결된 케이블을 작동시킴으로써 위층의 비상사다리가 펼쳐지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화재 등 비상의 경우에도 난간에 설치된 비상사다리를 펼쳐 고층에서 아래층 또는 지상으로 간단하게 탈출하거나 필요한 경우에는 아래층에서 위층 쪽으로 대피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와 그 작동제어장치{An apparatus for operating an emergency mounted on a handrail of a balcony}
본 발명은 비상사다리와 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코니의 난간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난간의 역할을 하는 비상사다리가 비상시에 안전하게 펼쳐질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정확하게 펼쳐질 수 있게 하는 비상사다리와 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등록실용신안 제 265513 호로 발코니를 갖추고 있는 대소형 건물 등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비상사다리를 제안한 바가 있다.
상기 고안의 사다리는 비상사다리가 펼쳐질 수 있게 접혀져 있으면서, 이 비상사다리가 평상시에는 난간의 일부를 이루고, 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펼쳐져 아래층의 사다리와 연결되어지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기 고안의 비상사다리는 난간에 형성된 개방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시에 펼쳐질 때 상기 개방부에서 곧바로 펼쳐지기 때문에 갑자기 형성되어지는 개방부를 통하여 미처 준비되지 않은 사람 등이 아래로 떨어지는 등의 위험이 있고, 또 갑자기 개방부가 만들어짐으로 인하여 공포감을 조성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고안에서는 난간에 절첩식 비상사다리를 접은 상태에서 핀으로만 록크시켜 두고 있는 바, 따라서 비상시에는 이 핀을 사용하여 록크해제 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화재 등과 같이 위급한 상황에서 핀을 록크해제 시키는 동작은 불편하고, 또 절첩식 비상사다리를 제대로 정확하게 펼쳐줄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아래층에서 화재 또는 인명구조를 위한 상황 등이 발생하거나 위층으로 피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래층에서 위층의 비상사다리를 펼칠 수 있게 하는 비상수단이 없어 그 사용효과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난간설치용 비상사다리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비상시에 위험하게 펼쳐지지 않고 안전하게 단계적으로 펼쳐질 수 있게 하는 비상사다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용 비상사다리의 작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난간용 비상사다리의 작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난간의 일부를 소정의 폭으로 절개하여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절개부를 형성시키고, 이 절개부에 절첩식사다리가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접어 밀착시킴으로써 난간의 일부를 이루게 하며, 비상시에는 사다리를 펼쳐 이 사다리를 통하여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게 하는 난간용 비상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비상사다리가 180도로 완전하게 펴지도록 접혀진 다수개의 절첩사다리에 상기 절첩사다리가 펼쳐질 때 안전을 위해 1차적으로 난간에서부터 45도 각도로 펴지게 지지하는 링크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링크와 절첩사다리가 제어장치에 의해 그 개방작동이 순차적으로 제어되어지게 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윗층의 사다리가 180°로 펼쳐졌을 경우 아래층의 사다리는 자동으로 45°로 열려지게되어 아래층으로의 개구부가 만들어지게 되며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이동하는 피난자로 하여금 안전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비상사다리 제어장치는 난간의 절개부 상단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지지프레임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탄력 지지하는 비틀림스프링, 상기 샤프트의 탄성회전방향을 록크하는 작동제어부, 상기 링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링크홀더, 상기 절첩사다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사다리 홀더, 상기 사다리홀더의 록크를 해제시켜 주는 작동스위치, 상기 링크홀더의 록크를 해제시켜 주는 작동레버 및,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작동제어부를 원격 작동시켜 링크홀더와 사다리홀더를 작동시키는 원격제어부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평상시에는 절첩사다리가 난간의 일부를 이루도록 접혀져 난간에 록크된 상태로 되어 있고, 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상기 펼침버튼을 작동시키면 절첩사다리가 안전을 위해 난간에서 45도 각도로 펼쳐지게 되고, 이어 상기 손잡이레버를 작동시키면 접혀진 사다리가 펼쳐지면서 아래층의 난간과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아래층에서 원격제어부와 연결된 케이블을 작동시킴으로써 위층의 비상사다리가 펼쳐지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화재 등 비상의 경우에도 난간에 설치된 비상사다리를 펼쳐 고층에서 아래층 또는 지상으로 간단하게 탈출하거나 필요한 경우에는 아래층에서 위층 쪽으로 대피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사다리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사다리는 난간의 일부를 소정의 폭으로 절개하여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절개부를 형성시키고, 이 절개부에 절첩식사다리가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접어 밀착시킴으로써 난간의 일부를 이루게 하며, 비상시에는 사다리를 펼치도록 하는 제어장치가 갖추어진 비상사다리에 있어서,상기 난간(1)에 형성된 절개부(3)에 지지프레임(5)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5)에 절첩사다리(7)가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절첩사다리(7)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는 가이드링크(9)를 구비하고 있는 한편, 제어장치(11)에 의하여 상기 절첩사다리(7)와 가이드링크(9)의 동작이 제어되고,
상기 제어장치(11)는 도면 2내지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1)의 절개부(3) 상단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샤프트(13)와, 상기 샤프트(13)를 지지프레임(5)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탄력 지지하는 비틀림스프링(15), 상기 샤프트(13)의 탄성회전방향을 록크하는 작동제어부(17), 상기 가이드링크(9)의 작동을 제어하는 링크홀더(19), 상기 절첩사다리(7)의 작동을 제어하는 사다리 홀더(21), 상기 사다리홀더(21)의 록크를 해제시켜 주는 작동스위치(23), 상기 링크홀더(19)의 록크를 해제시켜 주는 작동레버(25) 및, 케이블(27)을 통하여 상기 작동제어부(17)를 원격 작동시켜 링크홀더(19)와 사다리홀더(21)를 해제시키는 원격제어부(29)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제어부(17)는 작동스위치(23)와 연결링크(3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면서 지지프레임(33)에 설치된 피봇점(35)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스프링(37)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있는 한편 걸림턱(39)을 구비하고 있는 작동링크(41)와, 상기 샤프트(13)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단 한쪽에 구비하고 있는 걸림턱(43)을 통하여 작동링크(41)의 걸림턱(39)과 맞물려져 있는 작동캠(45) 및, 상기 작동캠(45)의 하단에 맞닿아 있으면서 작동캠(45)의 동작을 전달받아 프레임(33)에 관통 설치되어 설치된 회전축(4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받침캠(49)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33)의 작동제어부(17)가 설치된 반대쪽으로 뻗어 나간 회전축(47)의 선단에는 핀 형상의 링크홀더레버(5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링크홀더레버(51)는 선단에 설치된 스프링(53)을 통하여 피봇점(5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설치된 링크홀더(19)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홀더(19)에는 링크(9)의 선단에 구비된 걸림돌기(57)를 걸어주기 위한 오목홈(5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다리홀더(19)는 샤프트(13)에 설치되어 이 샤프트(13)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사다리홀더(19)에는 절첩사다리(7)의 선단에 구비된 걸림돌기(61)를 걸어주기 위한 오목홈(6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샤프트(13)는 육각봉 등과 같은 각봉으로 이루어져 상기 샤프트(13)에 설치된 사다리홀더(19)와 작동캠(45)을 용접이나 별도의 다른 고정 설치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각봉의 각도에 맞추어 조립함으로써 간단히 동작을 전달할 수 있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비상사다리는, 화재 등이 발생하지 않아 평상적인 상태에서는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첩사다리(7)가 접혀져 난간(1)의 일부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평상적인 상태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의 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먼저 작동스위치(23)를 눌러 난간의 일부를 이루도록 접혀진 절첩사다리(7)가 도면 1의 아래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링크(9)를 통하여 난간(1)과 사다리(7)가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펼쳐지는 1차 해제상태를 이루어 심리적으로 급작스럽게 난간(1)에 개방절개부(3)가 형성됨으로 인한 공포감을 줄여 주게 한다.
그 다음, 다시 상기 샤프트(25)의 선단에 설치된 작동레버(25)를 작동시키면 상기 가이드링크(9)를 잡고 있던 링크홀더(19)가 회전하면서 가이드링크(9)의 록크상태를 해제시킨다.
따라서, 도면 1의 하단에서와 같이 45도 각도로 잡혀져 있던 절첩사다리가 도면 1의 상단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져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를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2차 해제상태라 한다.
이렇듯, 위층의 사다리가 180°로 펼쳐지게 되면, 위층사다리에 의해 아래층의 난간에 설치된 사다리의 작동스위치를 누르게 되어 아래층의 사다리는 45° 각도로 개구된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피난자는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에서 개괄적으로 설명한 1차 해제 및 2차 해제작동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프레임(5)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샤프트(13)는 비틀림스프링(15)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힘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그렇지만, 상기 샤프트(13)는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캠(45)의 한쪽에 구비된 걸림턱(43)이 작동스위치(23)와 연결된 작동링크(41)의 걸림턱(39)에 걸려진 상태로 초기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쪽으로도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록크되어 있다.
이러한 평상시의 상태에서는 상기 사다리홀더(21)가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사다리홀더(21)의 오목홈(63)속에 끼워진 절첩사다리(7)의 걸림돌기(61)가 바깥쪽으로 빠져 나오지 않고 록크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먼저 1차로 작동스위치(23)를 누르는데, 이 작동스위치(23)의 누름 동작은 연결링크(31)와 스프링(37)을 통하여 작동링크(41)에 탄력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작동링크(41)를 피봇점(35)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링크(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작동링크(41)의 걸림턱(39)에 걸려져 있던 작동캠(45)의 걸림턱(43)이 록크 해제되게 되므로, 샤프트(13)를 탄력지지하고 있는 비틀림스프링(15)의 힘에 의해 샤프트(13)와 함께 상기 작동캠(4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작동캠(45)의 위치가 도면 6의 상태에서 도면 8의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프레임(33)의 반대쪽 편에 위치하는 샤프트(13)에 설치된 사다리홀더(21) 역시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사다리홀더(21)에 형성된 오목홈(63)속에 끼워져 록크되어 있던 절첩사다리(7)의 걸림돌기(61)가 빠져나와 록크해제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가 상기에서 설명한 1차 해제상태이다.
그 다음, 상기 샤프트(13)의 선단에 설치된 작동레버(25)를 도면 5와 도면 10에서 시계방향이 되도록 회전시켜 주면, 샤프트(13)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기 작동캠(4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캠(45)의 아래쪽에 배치된 받침캠(49)이 회전축(47)을 중심으로 하여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47)의 회전운동은 프레임(33)의 반대쪽에 설치된 링크홀더레버(51)로 전달되어 이 링크레버홀더(5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링크레버홀더(5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 선단에 스프링(53)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링크홀더(19)가 피봇점(55)을 중심으로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링크홀더(19)의 오목홈(59)속에 끼워져 걸려 있으면서, 도면 1에서와 같이 사다리(7)를 45도 각도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이드링크(9)의 걸림돌기(57)가 빠져나가 2차 록크해제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부가하여 설치된 상기 원격제어부(29)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제어부(17)의 측면에 부가 설치된 원격제어캠(65)과, 상기 원격제어캠(65)에 연결되어 아래층의 난간(1)까지 늘어트려지는 케이블(2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원격제어캠(65)은 도면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면의 한쪽에 돌기(67)와 걸림턱(6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67)의 반대쪽에 케이블(27)이 연결되는 케이블홀(7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원격제어부(29)는 아래층에서 화재 등이 발생하여 위층으로 대피하여야 하는 경우에, 아래층으로 늘어트려져 있는 케이블(27)을 잡아당기면, 상기 원격제어캠(65)이 도면 1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67)가 작동링크(41)에 갖추어져 있는 돌기(41a)를 밀어 상기 작동링크(41)가 피봇점(35)을 중심으로 뒤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링크(41)가 뒤쪽으로 밀리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샤프트(13)의 록크가 해제되어 상기 샤프트(13)에 설치된 사다리홀더(2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사다리홀더(21)의 오목홈(63)속에 걸려져 있던 사다리(7)의 걸림돌기(61)가 빠져 나오면서 1차 해제상태를 만들어 주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 계속하여 케이블(27)을 잡아당기면, 상기 원격제어캠(65)이 계속회전하면서 상기 돌기(67)가 받침캠(49)에 구비되어 있는 돌기(49a)를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받침캠(49)이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차 해제 작동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아래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등의 경우에,아래층에서 위층에 설치된 비상사다리의 원격제어캠(65)을 작동시켜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위층의 비상사다리를 펼쳐 피난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다리(7)가 펼쳐질 때 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실내에 있는 사람에게 그 작동상태를 알려주게 할 수가 있는 바, 도면 7과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홀더(21)에 각각 센서(s)를 설치해 두고, 상기한 바와 같이 사다리홀더(21)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센서(s)에 의해 그 작동이 감지되어 그에 부합하는 전기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어 청각적신호 또는 시각적 신호를 발생하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사다리(7)의 작동상태를 알려 주게 하는 것은, 만약 사다리가 필요 없이 오작동되어 펼쳐지거나 어린아이들의 장난으로 인하여 작동되는 등의 경우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함은 물론, 비상의 경우에도 사다리가 펼쳐져 있음을 알려 신속한 대피를 도울 수 있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비상사다리의 절첩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사다리(7)를 구성하며 상측에 위치하여 상단이 난간(1)에 결합되는 상측사다리(7a)와 상측사다리(7a)의 하단에 연결되어 절첩되는 하측사다리(7b)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하측사다리(7b)가 연결된 상측사다리(7a)의 하부의 내면에는 일측(82a)이 상측사다리(7a)에 고정되고, 타측(82b)이 인위적인 힘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스프링(82)이 구비되어 있다.
이 작동스프링(82)의 타측(82b)에는 상측사다리(7a) 내에 고정된 회동축(84)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회동링크(86)의 일단(86a)이 연결되어 있고, 회동링크(86)의 타단(86b)에는 돌기(86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동스프링(82)의 타측(82b)에 연결된 회동링크(86)의 일단(86a)에는 상측사다리(7a)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절첩레버(88)가 구비되어 있으며, 절첩레버(88)가 작동하도록 상측사다리(7a)의 측면에는 작동홈(9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사다리(7a)의 하단에 연결된 하측사다리(7b)의 최상측에 위치한 지지바(90)의 양단에는 회동링크(86)의 타단에 형성된 돌기(86c)가 위치하도록 고정홈(92a)이 형성된 고정판(92)이 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사다리(7)의 절첩에 따른 작동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다리(7)를 사용하지 않아 접혀진 상태로 있는 평상시의 경우, 하측사다리(7b)의 최상측에 위치한 지지바(90)에 결합된 고정판(92)의 고정홈(92a)은 아래쪽으로 향한 상태가 되고, 돌기(86c)는 고정판(92)의 둘레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후, 작동스위치(23) 및 작동레버(25)에 의해 사다리(7)가 1차 및 2차 해제된 상태가 되면, 사다리(7)는 아래쪽으로 펼쳐지게 된다.
사다리(7)가 펼쳐지면 상측 및 하측사다리(7a)(7b)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펼쳐지게 되고, 이때 하측사다리(7b)의 지지바(90)에 연결된 고정판(92)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측 및 하측사다리(7a)(7b)가 완전히 펼쳐져 180°가 되면, 고정판(92)의 고정홈(92a)에는 회동링크(86)의 돌기(86c)가 위치하게 되어 사다리(7)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만약, 사다리(7)를 보관의 상태로 보관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측사다리(7a)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절첩레버(88)를 발로 밟으면 되는 것으로, 절첩레버(88)가 밟혀지면 고정판(92)의 고정홈(92a)에서 회동링크(86)의 돌기(86c)가 빠져나와 해제된 상태가 되고, 이때 사용자는 하측사다리(7b)를 들어올리면 된다.
사다리(7)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람이 매달려 이동을 하게되면 사다리(7)의 절첩부분이 유동을 하게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심적 불안감을 줄 수 있는바, 이처럼 사다리(7)를 사용할 경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절첩부분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비상사다리는 난간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펼쳐질 때 일차적으로 45각도로 펼쳐진 다음, 다음 단계의 작동에 의해 완전하게 펼쳐지게 되어 있으므로, 우선 심리적으로 안전을 찾을 수 있음은 물론, 오작동에 의해 사다리가 한꺼번에 완전하게 펼쳐짐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 제어장치는 사다리를 1차 부분 개방상태와 2차 완전 개방상태를 조절하면서 제어할 수가 있으므로, 난간의 구조 및 비상사다리의 구조를 안전하게 유지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아래층에서 위층의 난간용 비상사다리를 원격으로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대피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간단하게 위층의 비상사다리를 펼쳐 대피할 수가 있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사다리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사다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
도 3 은 도 2의 장치에서 샤프트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 는 도 2의 장치에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 는 도 2의 장치에서 작동손잡이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제어부와 작동스위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평상시 사다리가 접혀져 있을 때 작동제어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 은 도 5에서 작동손잡이와 작동링크 및 작동캠만을 구분하여 도시한 상태의 측면도,
도 7 은 도 6의 상태, 즉 평상시의 상태일 때 사다리홀더의 위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은 도 6의 상태에서 작동손잡이를 눌러 작동캠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의 측면도,
도 9 은 도 8의 상태일 때, 즉 1차 해제상태일 때 사다리홀더의 위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 은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링크홀더가 언록상태로 회전된 2차 해제상태의 측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원격제어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난간 3 - 절개부
5 - 프레임 7 - 절첩사다리
9 - 가이드링크 11 - 제어장치
13 - 샤프트 15 - 비틀림스프링
17 - 작동제어부 19 - 링크홀더
21 - 사다리홀더 23 - 작동스위치
25 - 작동레버 27 - 케이블
29 - 원격제어부 31 - 연결링크
33 - 프레임 35 - 피봇점
37 - 스프링 39 - 걸림턱
41 - 작동링크 43 - 걸림턱
45 - 작동캠 47 - 회전축
49 - 받침캠 51 - 링크홀더레버
53 - 스프링 55 - 피봇점
57 - 걸림돌기 59 - 오목홈
61 - 걸림돌기 63 - 오목홈
65 - 원격제어캠 67 - 돌기
69 - 걸림턱 71 - 케이블구멍

Claims (6)

  1. 삭제
  2. 난간의 일부를 소정의 폭으로 절개하여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절개부를 형성시키고, 이 절개부에 절첩식사다리가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접어 밀착시킴으로써 난간의 일부를 이루게 하며, 비상시에는 사다리를 펼치도록 하는 제어장치가 갖추어진 비상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난간(1)에 형성된 절개부(3)에 지지프레임(5)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5)에 절첩사다리(7)가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절첩사다리(7)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는 가이드링크(9)를 구비하고 있는 한편, 제어장치(11)에 의하여 상기 절첩사다리(7)와 가이드링크(9)의 동작이 제어되고,
    상기 제어장치(11)가 난간(1)의 절개부(3) 상단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샤프트(13)와, 상기 샤프트(13)를 지지프레임(5)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탄력 지지하는 비틀림스프링(15), 상기 샤프트(13)의 탄성회전방향을 록크하는 작동제어부(17), 상기 가이드링크(9)의 작동을 제어하는 링크홀더(19), 상기 절첩사다리(7)의 작동을 제어하는 사다리 홀더(21), 상기 사다리홀더(21)의 록크를 해제시켜 주는 작동스위치(23) 및, 상기 링크홀더(19)의 록크를 해제시켜 주는 작동레버(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비상사다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제어부(17)를 원격 작동시켜 링크홀더(19)와 사다리홀더(21)를 해제시키는 원격제어부(29)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비상사다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29)가 작동제어부(17)의 측면에 부가 설치된 원격제어캠(65)과, 상기 원격제어캠(65)에 연결되어 아래층의 난간(1)에서 작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절첩사다리(7)의 하부로 늘어트려진 케이블(2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비상사다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제어부(17)가 작동스위치(23)와 연결링크(3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면서 지지프레임(33)에 설치된 피봇점(35)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스프링(37)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있는 한편 걸림턱(39)을 구비하고 있는 작동링크(41)와, 상기 샤프트(13)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단 한쪽에 구비하고 있는 걸림턱(43)을 통하여 작동링크(41)의 걸림턱(39)과 맞물려져 있는 작동캠(45) 및, 상기 작동캠(45)의 하단에 맞닿아 있으면서 작동캠(45)의 동작을 전달받아 프레임(33)에 관통 설치되어 설치된 회전축(4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받침캠(4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비상사다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홀더(21)에 비상사다리의 펼침 작동을 알리는 센서(s)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비상사다리
KR10-2002-0054588A 2002-09-10 2002-09-10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와 그 작동제어장치 KR100481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588A KR100481694B1 (ko) 2002-09-10 2002-09-10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와 그 작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588A KR100481694B1 (ko) 2002-09-10 2002-09-10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와 그 작동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979A KR20040022979A (ko) 2004-03-18
KR100481694B1 true KR100481694B1 (ko) 2005-04-13

Family

ID=37326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588A KR100481694B1 (ko) 2002-09-10 2002-09-10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와 그 작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999B1 (ko) 2009-10-26 2012-11-02 육상조 주변상황을 확인해가면서 안전하게 고층으로 짐을 운반해 줄 수 있는 사다리차의 적재부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584B1 (ko) * 2006-09-07 2007-03-12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비상사다리를 겸한 베란다 난간
KR101153790B1 (ko) * 2010-02-03 2012-06-13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탈출을 위한 슬라이드식 구난 사다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9627A (en) * 1975-09-23 1976-12-28 Hiromitsu Naka Emergency escape
JPS55141700U (ko) * 1979-03-31 1980-10-09
KR820000448Y1 (ko) * 1980-12-04 1982-03-29 김균직 난간을 이용한 비상 사다리 장치
KR820001018Y1 (ko) * 1980-12-04 1982-05-14 김균직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장치
US4476957A (en) * 1983-11-30 1984-10-16 Ory Harry J Unitary window safety bars and exterior fire escape ladder
JPH04183479A (ja) * 1990-11-20 1992-06-30 Natl House Ind Co Ltd 避難装置
US5303799A (en) * 1993-05-25 1994-04-19 Tsai Hsin Tan Emergency escape device
JPH07385U (ja) * 1993-06-04 1995-01-06 新壇 蔡 ビル非常避難装置
KR200265513Y1 (ko) * 2001-09-21 2002-02-21 한용수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9627A (en) * 1975-09-23 1976-12-28 Hiromitsu Naka Emergency escape
JPS55141700U (ko) * 1979-03-31 1980-10-09
KR820000448Y1 (ko) * 1980-12-04 1982-03-29 김균직 난간을 이용한 비상 사다리 장치
KR820001018Y1 (ko) * 1980-12-04 1982-05-14 김균직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장치
US4476957A (en) * 1983-11-30 1984-10-16 Ory Harry J Unitary window safety bars and exterior fire escape ladder
JPH04183479A (ja) * 1990-11-20 1992-06-30 Natl House Ind Co Ltd 避難装置
US5303799A (en) * 1993-05-25 1994-04-19 Tsai Hsin Tan Emergency escape device
JPH07385U (ja) * 1993-06-04 1995-01-06 新壇 蔡 ビル非常避難装置
KR200265513Y1 (ko) * 2001-09-21 2002-02-21 한용수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999B1 (ko) 2009-10-26 2012-11-02 육상조 주변상황을 확인해가면서 안전하게 고층으로 짐을 운반해 줄 수 있는 사다리차의 적재부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979A (ko)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4198A (en) Operating device for a venetian blind to control raising and lowering of the slats and to adjust tilting angle of the slats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US5311965A (en) Auto life-saving ladder
KR100481694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와 그 작동제어장치
KR100965536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102193664B1 (ko) 층간 탈출용 하향식 피난사다리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1950117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구 개폐 시스템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20130006134A (ko) 피난자에 대응하여 동작이 가능한 윈치 및 그를 갖는 피난용 사다리
KR200333988Y1 (ko) 비상용 피난사다리
KR20120028526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50025405A (ko) 비상용 피난사다리
JPS5823107B2 (ja) ロ−プの降下制御ブレ−キ装置
KR101166319B1 (ko)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JPH11239625A (ja) 救助用タラップ
KR200265513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100481693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200349394Y1 (ko) 베란다용 피난 사다리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KR20110062251A (ko) 건물 화재 피난장치
US4076102A (en) Trap door and folding ladder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