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634B1 -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 및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 및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634B1
KR100481634B1 KR10-2000-0064052A KR20000064052A KR100481634B1 KR 100481634 B1 KR100481634 B1 KR 100481634B1 KR 20000064052 A KR20000064052 A KR 20000064052A KR 100481634 B1 KR100481634 B1 KR 100481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ludge
vacuum
cutlery
exhaus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3468A (ko
Inventor
야나가와유지
야마모토겐지
Original Assignee
가네마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마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마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0-006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634B1/ko
Publication of KR20020033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02F3/885Floating installations self propelled, e.g. 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05Manipulating or supporting suction pipes or ladders; Mechanical supports or floaters therefor; pipe joints for suction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0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adapted for working ground under 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28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cleaning watercourses or other 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wage (AREA)

Abstract

수면 위에 띄워서 배치한 모선(母船)위로부터 오니(汚泥)가 침적되어 있는 수저(水底)까지 흡입호스를 설치하는 한편, 모선위로부터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까지 배출호스를 설치하며, 상기 흡입호스와 배출호스를 모선위에 배치한 하나 이상의 흡·배 탱크장치(흡입 및 배출 탱크장치)에 각각 연이어 통하게 연결하며, 이 흡·배 탱크장치 및 이 흡·배 탱크장치에서 뻗어 나오는 배출호스에 컴프레서로부터 압송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이 압송공기의 일부를 빼내어 가압공기를 진공발생장치에서 벤투리(Venturi)효과에 의해 진공으로 변환하여 진공을 발생시켜서 흡·배 탱크장치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며, 이 흡·배 탱크장치로부터 뻗어 나오는 상기 흡입호스의 흡인구로부터 흡·배 탱크장치내로 수저의 오니를 흡입하며, 이 흡·배 탱크장치로부터 배출호스로 오니를 연속적으로 압송하여, 상기 오니 회수현장에 오니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이기 때문에, 수저에 있어서 주위의 오니를 확산시키지 않으며, 수면에 오니의 물을 흘리지 않기 때문에, 주변의 수역을 오염시키지 않으며, 관광지의 호수 등에서는 환경미화에 공헌할 수 있으며, 음용수에 사용되는 수원지 등에 있어서는 시각적으로 불결감을 주지 않는다.

Description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 및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SLUDGE IN THE BOTTOM OF WATERS}
본 발명은 하구(河口)의 바닥, 항만의 바닥, 호수의 바닥, 수원지바닥 등 오니가 침적되어 있는 수저에 있어서, 이 수저에 침적되어 있는 오니를 주위의 수역을 오염시키지 않고 빨아 올려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으로 배출시켜 회수할 수 있는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 및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모선 및 오니 회수용 부속장치를 제공한다.
근년, 하구의 바닥, 항만의 바닥, 호수의 바닥, 수원지바닥 등에 있어서의 오니의 침적은 단순히 수심이 얕아진다는 문제뿐만 아니라, 공해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이들 오니를 준설, 청소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는 일본국 특개소 60-26733 호 공보에 개시된「오니 준설장치」나, 일본국 특개소60-188544호 공보에 개시된「준설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개시의 특개소 60-26733 호 공보의「오니 준설장치」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삭 조작 암(101)을 가지며, 모선(110)위에 설치된 기중기(100)의 상기 조작 암(101)의 선단에 설치된 버킷(bucket)으로 수저의 오니를 굴삭 준설하는 방법이었다.
또, 상기 특개소 60-188544 호 공보의「준설장치」는 모선 위에 설치한 저류용의 2기의 탱크의 한쪽에 흡인기구를 통한 흡인공기에 의해 교호로 플렉시블 시트를 통해서 오니를 흡인하며, 한편, 압송기구에 의해 저류용의 한쪽의 탱크의 오니를 배출파이프로부터 바지선으로 압송하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개소 60-26733 호 공보의「오니 준설장치」는 대향으로 설치된 버킷으로 수저의 오니를 움켜쥐고 끌어 올리는 방법 등으로, 수저의 오니를 물위로 끌어 올려, 버킷(102)의 둘레테두리에서 물을 흘리고, 물끼를 빼면서 오니를 모선(110)위, 또는 육상으로 회수하기 위해, 버킷(102)으로 수저를 파올릴 때에 그 주변에 오니를 확산시키며, 수중에서 수상으로 버킷(102)을 들어올릴 때에 바킷(102)내의 오니에 의해서 주위의 수역을 오염시키며, 또, 물위로 들어올렸을 때 버킷(102)의 둘레테두리에서 흘러내리는 물에 의해서 수면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관광지의 호수 등에 있어서는 미관을 손상시키고, 또 수원지에 있어서는 이 물이 음용수로 사용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외관상 불결감을 일으키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특개소 60-188544 호 공보의「준설장치」는 모선위에 설치한 저류용의 2기의 탱크와 흡인기구, 압송기구에 의한 수저의 오니를「준설」하는 장치인 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오니는 일반적으로 점도가 높고, 탱크 내에 저류한 오니를 압송하는데는 통상적인 압송장치로는 그 압송공기의 양과 압송압력도 충분하지 않으며, 통상 초기의 이송시에는 다대한 공기량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의 특개소 60-188544 호 공보의「준설장치」등의 압송장치는 압송장치로부터의 공기를 압력탱크에 저류시켜 가압하며, 필요시에 한꺼번에 탱크 내로 송출시킨다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압송기구의 부하의 변동이 크고,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1)(T1)의 공기량의 변동은 실선(A)으로 나타내며, 탱크(1)(T1)중의 오니의 압송은 탱크내에 P1부터 P2사이의 순간에 가압공기를 송출하여 행해지며, 오니가 탱크(1)(T1)로부터 배출된 P2부터 P3의 사이는 압력탱크가 비어서 압송공기를 보낼 수 없다.
그 후, P4로부터 P5의 사이, 탱크(1)(T1)의 공기압은 마이너스로 전환되어, 오니의 흡인이 개시된다.
한편, 파선(B)으로 나타내는 탱크(2)(T2)의 공기압의 변동은 P1로부터 P3의 사이, 오니를 흡인하며, P3으로부터 P5의 사이는 압송공기는 공급되지 않는다.
즉, 사선(C)으로 나타내는 면적부분이 탱크(1)(T1), 탱크(2)(T2)와의 압송공기가 불연속이 되며, 그 결과, 오니의 압송거리가 제한되는 원인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하구바닥, 항만바닥, 호수바닥, 수원지바닥 등의 수저에 있어서의 오니를 회수처리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였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수면 위에 띄워서 배치된 모선위로부터 오니가 침적하는 수저까지 흡입호스를 설치하는 한편, 모선위로부터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까지 배출호스를 설치하며, 상기 흡입호스와 배출호스를 모선위에 배치한 하나 이상의 흡·배 탱크장치에 각각 연이어 통하게 연결하며, 이 흡·배 탱크장치 및 이 흡·배 탱크장치에서 뻗어 나오는 배출호스에 컴프레서로부터 압송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이 압송공기의 일부를 빼내어 가압공기를 진공발생장치로 벤투리(Venturi)효과에 의해 진공으로 변환하여 진공을 발생시켜서, 흡·배 탱크장치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며, 이 흡·배 탱크장치로부터 뻗어 나오는 상기 흡입호스의 흡인구로부터 흡·배 탱크장치내로 수저의 오니를 흡입하며, 이 흡·배 탱크장치로부터 배출호스로 오니를 연속적으로 압송하여 상기 오니 회수현장에 오니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으로 하였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수면 위에 띄워서 배치한 모선위로부터 오니가 침적하는 수저까지 흡입호스를 설치하는 한편, 모선위로부터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까지 배출호스를 설치하며, 상기 흡입호스와 배출호스를 모선위에 배치한 둘 이상의 흡·배 탱크장치에 각각 연이어 통하게 연결하며, 이 흡·배 탱크장치 및 이 흡·배 탱크장치에서 뻗어 나오는 배출호스에 컴프레서로부터 압송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진공발생장치에 의해 진공을 발생시켜서, 흡·배 탱크장치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며, 이들 압송공기의 공급과 흡인을 소정의 시간마다 전환하여, 흡·배 탱크장치로부터 뻗어 나오는 상기 흡입호스의 흡인구로부터 흡·배 탱크장치내로 수저의 오니를 흡입하며, 이 흡·배 탱크장치로부터 배출호스로 오니를 연속적으로 압송하여 상기 오니 회수현장에 오니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으로 하였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상기 진공발생장치를 공기 이젝터(ejector)로 구성하며, 이 공기 이젝터를 모선의 내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으로 하였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상기 압송공기의 공급과 흡인의 전환에 있어서, 흡인시간을 압송공기의 공급시간보다 길게 하며, 항상 어느 일방의 흡·배 탱크장치가 고 진공상태에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으로 하였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수면 위에 띄워서 배치한 모선위에 암(arm)형상의 조작수단이 설치되며, 이 모선위로부터 오니가 침적하는 수저까지 상기 조작수단으로 수저에서의 위치가 이동조작되는 흡입호스가 설치되는 한편, 모선위로부터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까지 배출호스가 설치되며, 상기 흡입호스와 배출호스가 모선위에 배치된 흡·배 탱크장치에 각각 연이어 통하게 연결되며, 이 흡·배 탱크장치에 컴프레서와 진공발생장치가 에어 제어장치를 통해서 공급관에 의해 연이어 통하게 연결되며, 이 진공발생장치가 컴프레서에 의해 공급되는 가압공기를 벤투리(Venturi)효과에 의해 진공으로 변환하여 빼내는 기구로 되며, 상기 흡·배 탱크장치가 대략 중공의 원통형상으로서, 그 상부로부터 내부의 저부근방에 걸쳐서 상기 배출호스에 연이어 통하게 연결된 배출관이 삽입 관통되며, 또한 그 중앙부 근방에 상기 흡입호스가 연이어 통하게 연결되며, 더욱이 가압 또는 진공압의 공급관이 상부에 연이어 통하게 연결되며, 컴프레서로부터의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파이프의 종단이 밸브를 통해서 에어 제어장치와 진공발생장치에 연이어 통하게 연결되며, 이 에어 제어장치와 가압 및 진공압의 공기 공급관의 시단(始端)이 연이어 통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수저 오니 회수장치로 하였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수면 위에 띄워서 배치한 모선위에 암 형상의 조작수단이 설치되며, 이 모선위로부터 오니가 침적하는 수저까지 상기 조작수단으로 수저에서의 위치가 이동 조작되는 흡입호스가 설치되는 한편, 모선위로부터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까지 배출호스가 설치되며, 상기 흡입호스와 배출호스가 모선위에 배치된 흡·배 탱크장치에 각각 연이어 통하게 연결되며, 이 흡·배 탱크장치에 컴프레서와 진공발생장치가, 독립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된 압기 투입밸브와 진공 흡기밸브를 통해서 공급관에 의해 연이어 통하게 연결되며, 상기 흡·배 탱크장치가 대략 중공의 원통형상으로서, 그 상부로부터 내부의 저부근방에 걸쳐서 상기 배출호스에 연이어 통하게 연결된 배출관이 삽입 관통되며, 또한, 그 중앙부 근방에 상기 흡입호스가 연이어 통하게 연결되며, 더욱이 가압 또는 진공압의 공급관이 상부에 연이어 통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수저 오니 회수장치로 하였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상기 진공발생장치가 공기 이젝터(ejector)로 구성됨과 동시에, 이 공기 이젝터가 모선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한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으로 하였다.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상기 진공발생장치와 흡·배 탱크장치를 연계시키는 경로에 진공탱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한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로 하였다.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수면 위에 띄워서 설치한 상기 모선이, 모선에서 육상까지 설치된 복수의 선재(線材)에 의해서 수면 위의 위치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한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로 하였다.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수면 위에 띄워서 설치된 상기 모선이, 분리가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소형모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한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로 하였다.
청구항 11의 발명에서는 수저의 오니를 회수하기 위해 수면 위에 띄워서 설치되는 모선으로서, 선단부에 암 형상의 조작수단이 설치되며, 오니가 침적하는 수저까지 상기 조작수단으로 수저에서의 위치가 이동조작되는 흡입호스와,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까지 설치된 배출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와 배출호스가 연이어 통하게 연결된 흡·배 탱크장치와, 흡·배 탱크장치와 연이어 통하게 연결된 컴프레서 및 진공발생장치와, 진공발생장치와 흡·배 탱크장치를 연계시키는 경로에 설치된 진공탱크를 구비하며, 그 진공탱크가 선체의 측부에 연결되어 수면 상으로 띄워져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오니 회수용 모선으로 하였다.
청구항 12의 발명에서는 수저의 오니를 회수하기 위해 수면 위에 띄워서 설치되는 모선으로서, 선단부에 암 형상의 조작수단이 설치되며, 오니가 침적하는 수저까지 상기 조작수단으로 수저에서의 위치가 이동 조작되는 흡입호스와,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까지 설치된 배출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와 배출호스가 연이어 통하게 연결된 흡·배 탱크장치와, 흡·배 탱크장치와 연이어 통하게 연결된 컴프레서 및 진공발생장치와, 진공발생장치와 흡·배 탱크장치를 연계시키는 경로에 설치된 진공탱크를 구비하며, 그 진공탱크가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오니 회수용 모선으로 하였다.
청구항 13의 발명에서는 수저의 오니를 회수하기 위해 수면 위에 띄워서 설치되는 모선으로서, 선단부에 암 형상의 조작수단이 설치되며, 오니가 침적하는 수저까지 상기 조작수단으로 수저에서의 위치가 이동조작되는 흡입호스와,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까지 설치된 배출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와 배출호스가 연이어 통하게 연결된 흡·배 탱크장치와, 흡·배 탱크장치와 연이어 통하게 연결된 컴프레서 및 진공발생장치를 구비함과 동시에, 분리가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소형모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의 오니 회수용 모선으로 하였다.
청구항 14의 발명에서는 상기 진공발생장치가 공기 이젝터로 구성됨과 동시에, 그 공기 이젝터가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 또는 13에 기재한 수저 오니 회수용 모선으로 하였다.
청구항 15의 발명에서는 진공흡인력을 발생시키는 흡인수단에 연이어 통하게 연결된 흡입호스의 선단에 설치되며, 오니가 침적하는 수저에 직접 배치되어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에 사용되는 오니 회수용 부속장치로서, 대략 원통형의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본체부에 설치된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운동되는 평면으로 보아 원환형상의 오니 흡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에 상기 흡입호스를 통해서 흡입수단과 연이어 통하는 흡입실이 벽으로 격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오니 흡입부에는 외측부에 오니 흡입구를 갖는 복수의 흡입 개구부가 상호 격벽되어 형성되며, 그 한 흡입 개구부가 상기 본체부의 흡입실과 연이어 통하여 이루어지는 오니 회수용 부속장치로 하였다.
청구항 16의 발명에서는 진공흡인력을 발생시키는 흡인수단에 연이어 통하게 연결된 흡입호스의 선단에 설치되며, 오니가 침적하는 수저에 직접 배치되어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에 사용되는 오니 회수용 부속장치로서, 대략 원통형의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된 평면으로 보아 원환형상의 오니 흡입부를 구비하며, 그 오니 흡입부는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운동되는 외 드럼과, 이 외 드럼의 상방 내측에 배치된 회전하지 않는 내 드럼으로 구성되며, 본체부에는 흡입호스를 통해서 흡입수단과 연이어 통하는 흡입실이 형성되며, 상기 내 드럼에는 하면에 복수의 흡입 개구부가 상호 벽으로 격리되어 형성되며, 이 흡입 개구부가 본체부의 흡입실과 연이어 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 드럼에는 협잡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복수의 날이 설치되어 있는 오니 회수용 부속장치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발명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의 해결하여야 할 문제를 모두 해소시키는데 성공하였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 1∼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컴프레서(2)와 흡·배 탱크장치(3)와 진공발생장치(4) 및 에어 제어장치(5)로 이루어지며, 오니가 수저에 침적한 하구, 항만, 호수, 수원지 등의 수면위에 부설(浮設)된 모선(6)위에 배치되는 흡인압송장치를 나타낸다.
모선(6)의 선단부에는 조작 암(7)이 설치되어 있으며, 흡인압송장치(1)의 흡·배 탱크장치(3)로부터 조작 암(7)을 따라서, 이 조작 암(7)의 선단까지 이 흡·배 탱크장치(3)에 연이어 통하게 연결된 흡입호스(8)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흡인압송장치(1)의 흡·배 탱크장치(3)로부터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까지 이 흡·배 탱크장치(3)에 연이어 통하게 연결된 배출호스(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호스(8)의 선단에는 오니가 침적하는 수저에 직접 배치되는 흡입용 부속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암(7)은 모선의 위에 있는 경우는 반드시 선단부에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모선(6)은 모서리부에 체결된 와이어, 로프 등의 선재(10),(10),(10)가 육상까지 설치되며, 이 선재(10),(10),(10)는 팽팽한 상태로 육상의 말뚝 등의 고정부재에 그 일단이 체결되어, 이 선재(10),(10),(10)에 의해서 수면위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흡·배 탱크장치(3)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서는 2세트의 흡·배 탱크(31),(32)로 이루어지는 바, 반드시 2세트일 필요는 없고 단수 혹은 3세트 이상이라도 좋다.
흡입호스(8)는 흡입관(11)에 연결되며, 이 흡입관(11)은 흡·배 탱크(31),(32)의 중앙부 근방에 연결되어 있다.
12는 이 흡입관(11)에 연접되는 흡인용 체크밸브이다.
배출호스(9)는 토출관(13)에 연결되며, 이 토출관(13)은 연결배출관(14)을 통해서 배출관(15)에 연결되어 있다.
이 배출관(15)은 대략 중공(中空)원통형상의 흡·배 탱크(31),(32)의 상부로부터 내부의 저부 근방까지 관통 삽입되어 있다. 또, 16은 토출 체크밸브이다.
17은 흡·배 탱크(31),(32)내의 액체 레벨을 검지하는 레벨계, 이 레벨계(17)는 에어신호를 발생시켜 에어 제어장치(5)로 그 신호를 보낸다. 33은 진공압 혹은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로서, 이 공급관(33)은 흡·배 탱크(31),(32)의 상부에 연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진공발생장치(4)는 공기 이젝터(41)를 사용하여 벤투리 효과에 의해 압축공기를 진공으로 변환시킨다.
42는 컴프레서(2)로부터의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파이프, 43은 밸브로서, 파이프(42)는 에어 제어장치(5)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에어 제어장치는 레벨계(17)의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에어 제어밸브(51)와 흡·배 전환밸브(52) 및 (에어분류)밸브(43)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진공발생장치(4)를 작동시키는데는 파이프(42)와 컴프레서(2)를 접속시키고, 밸브(43)를 적당하게 조절하면 되며, 이에 의해서, 이젝터 입구(45)에 압력이 발생하여, 그 결과, 이젝터(41)의 진공구(44)에는 진공압력이 발생한다.
진공압력과 가압공기는 흡·배 전환밸브(52)를 통하고, 또한 공급파이프(33)를 통해서 흡·배 탱크(31),(32)로 반송된다.
공기 이젝터(41)는 이젝터 진공구(44)의 진공압력이 변동하여도, 이젝터입구(45)의 압력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특성을 가지며, 에어 분류밸브(43)에 의해 1개의 압축공기 라인으로부터 흡인용 진공압 및 압송용 가압공기를 각각 독립하여 평행시키며, 혹은 간헐적으로 끌어낼 수 있게 되며, 컴프레서 1대와, 그 접속파이프(42)를 한 개로 할 수 있었다.
흡인압송장치(1)를 사용하는데는 컴프레서(2)를 시동시키고, 밸브(43)를 조정함과 동시에 흡·배 전환밸브(52)의 조작에 의해, 진공발생장치(4)에 의해, 발생한 진공압을 공급파이프(33)를 통해서 흡·배 탱크(31)에 거는 한편, 흡·배 탱크(32)에 압축공기를 보내면, 흡인체크밸브(12)(탱크(31)측)와 토출체크밸브(16)(탱크(32)측)는 열리고, 다른 체크밸브는 닫힌다.
흡입용 부속장치(20)로부터 흡입호스(8)를 통해서 진공으로 흡인된 오니는 흡·배 탱크(31)에 들어오며, 이윽고 레벨계(17)를 작동시켜, 에어 제어밸브(51)에 신호를 보내고 흡·배 전환밸브(52)를 전환시키며, 이번에는 흡·배 탱크(31)에 압축공기를 보내고, 흡·배 탱크(32)에는 진공을 보내는 것이 되어, 각 체크밸브도 처음과는 반대되는 작용을 한다.
흡·배 탱크(31)의 오니는 압축공기로 밀려서, 연결배출관(14) 및 토출체크밸브(16)(탱크(31)측)를 통해서, 토출관(13)에서 배출호스(9)에 의해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으로 압송된다. 이때, 한쪽의 흡·배 탱크(32)는 흡인상태로 되어 있으며, 오니가 흡인된다. 이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오니를 흡인 압송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1)(T1)의 공기량의 변동은 실선(A)으로 나타내며, 오니의 압송은 P1에서 P2의 사이 연속하여 행하며, 오니가 탱크(1)(T1)로부터 연속하여 배출된다.
그 후, P2로부터 P3의 사이, 탱크(1)(T1)의 공기량은 마이너스로 전환되어, 오니의 흡인이 개시된다.
한편, 파선(B)으로 나타내는 탱크(2)(T2)의 공기량의 변동은 P1에서 P2의 사이 오니를 흡인하며, P2에서 P3의 사이는 압송공기의 공급이 계속된다.
즉, 탱크(1)(T1), 탱크(2)(T2)도 항상 압송공기를 보내며, 이 압송공기의 공급은 불연속적으로 되지 않으며, 그 결과, 오니를 안정적으로 이송하고, 또한 그 압송거리를 원거리로 할 수 있다.
오니 회수용 부속장치(20)는 그 1예로서,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의 본체부(21)와, 이 본체부(21)의 하부에 배치되며, 본체부(21)에 설치된 모터(22)의 구동에 의해 대·소의 기어(23),(24)를 통해서 회전운동하는 평면으로 보아 원환형상의 오니 흡입부(2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오니 흡입부(25)는 본체부(21)의 하부 중앙에 회전이 자유롭게 내려져 설치된 축부(26)의 하부에, 이 축부에 고정된 팔 부재(27)를 통해 설치되며, 이 축부(26)에 고정된 대 기어(23)가 모터(22)의 축부에 고정된 소 기어(24)에 이 물림으로 결합되어, 모터(22)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21)에는 흡입호스(6)를 통해서 흡·배 탱크장치(3)와 연이어 통하는 흡입실(28)이 격벽(隔壁)되어 형성되며, 이 흡입실(28)의 하부에 공기공급관(31)이 연이어 통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오니 흡입부(25)에는 외측부에 오니 흡입구(29a)를 갖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흡입개구부(29),(29)‥가 상호 격벽되어 형성되며, 그 흡입개구부(29)가 본체부(21)의 흡입실(28)과 연이어 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흡입개구부(29)는 그 오니 흡입구(29a)가 오니 흡입부(25)의 외주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그 내벽의 외단부에 세로로 복수의 그러모으는 날(29b),(29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22)의 회전구동에 의해, 오니 흡입부(25)가 수저에서 회전운동을 하며, 그 오니 흡입구(29a)의 그러모으는 날(29b),(29b)…에 의하여 수저에 침적되어 있는 오니가 흡입개구부(29)내로 그러모아지며, 흡·배 탱크장치(3)의 진공흡인작용에 의하여, 이 오니가 본체부(21)의 흡입실(28)과 연이어 통한 한 흡입개구부(29)로부터 본체부(21)의 흡입실(28)을 거쳐서 흡입호스(8)로 빨려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또, 흡입개구부(29),(29)‥는 회전운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한 흡입개구부(29)로부터의 오니의 흡입에 이어서 다음에 위치하는 한 흡입개구부(29)로부터 계속해서 오니가 본체부(21)의 흡입실(28)로 흡입된다.
상기 실시예의 오니 회수용 부속장치(20)는 수저에 배치되면 그 흡입개구부(29)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수저에 침적되어 있는 오니 속으로 묻혀서 오니를 흡인하기 때문에, 흡입부로의 물의 유입이 적게 되어, 오니의 흡인 회수작용이 효과적으로 실행된다.
또, 흡입실(28)의 하부에 연통되어 연결된 공기공급관(31)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오니와 함께 흡인된 물이 이 공기에 의해서 분리되어 흡입실(28)로부터 흡입호스(6)로 흡입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더욱 효과적인 오니의 흡인작용을 실행할 수 있다.
도 9∼도 11에 나타내는 것은 오니 회수용 부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한 쌍의 부속장치(20A),(20B)로 이루어지며, 이 한 쌍의 부속장치(20A),(20B)의 본체부(21),(21)의 흡입실(28),(28)이 연결흡입관(30)에 연이어 통하고 있으며, 이 연결흡입관(30)의 상부중앙부가 흡입호스(6)에 연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부속장치(20A),(20B)의 회전구동모터(22A),(22A)는 본체부(21)의 하부에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며, 이 모터(22A),(22A)의 본체(22a)의 외부주위에 회전부(22b)가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부(22b)에 흡입개구부(29)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어서, 모터(22A)의 회전구동에 의해 흡입개구부(29)가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29c는 흡입개구부(29)에 본체부(21)의 중앙측을 향해서 경사상태로 기립하도록 설치된 오니 안내판이며, 오니 흡입구(29a)로부터 흡인된 오니는 이 안내판(29c)을 따라서 흡입된다. 양쪽의 흡입개구부(29),(29)를 회전운동시키는 회전부(22b),(22b)는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양쪽의 흡입개구부(29),(29)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양쪽 흡입개구부(29),(29)사이에 돌 등이 끼어 드는 일이 없다.
본 실시예의 부속장치(20A),(20B)도, 수저에 배치되면 그 흡입개구부(29),(29)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수저에 침적되어 있는 오니 속으로 묻혀서 오니를 흡인하기 때문에, 흡입부로의 물의 유입이 적게 되어, 오니의 흡인 회수작용이 효과적으로 실행된다.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것은 오니 회수용 부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대략 원통형의 본체부(21)와, 이 본체부(21)의 하부에 배치되며, 본체부(21)에 설치된 모터(22)의 구동에 의해 회전운동되는 평면으로 보아 원환형상의 오니 흡입부(2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오니 흡입부(25)는 본체부(21)의 하부중앙에 회전이 자유롭게 내려서 설치된 축부(26)의 하부에 설치되며, 모터(22)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회전운동되는 외 드럼(251)과, 이 외 드럼(251)의 상방 내부측에 배치된 회전하지 않는 내 드럼(2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21)에는 흡입호스(6)를 통해서 흡·배 탱크장치(3)와 연이어 통하는 흡입실(28)이 형성되며, 이 흡입실(28)의 하부에 공기공급관(31)이 연이어 통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내 드럼(252)은 도 14(저면도)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하면에 복수(본실시예에서는 8개)의 흡입개구부(29),(29)‥가 서로 벽으로 격리되어 형성되며, 그 한 흡입개구부(29)가 본체부(21)의 흡입실(28)과 연이어 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 드럼(251)은 내 드럼(252)의 아래쪽에 있어서 내 드럼(252)에 거미집 형상으로 덮이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방사형상으로 복수의 날(29c),(29c)…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배 탱크장치(3)의 진공흡인작용에 의하여, 이 오니가 본체부(21)의 흡입실(28)과 연이어 통한 흡입개구부(29)로부터 본체부(21)의 흡입실(28)을 거쳐서 흡입호스(8)로 빨려 들어간다.
이때, 모터(22)의 회전구동에 의해 외 드럼(251)이 회전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날(29c),(29c)이 협잡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오니 회수용 부속장치는 흡입개구부(29)가 하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아니고 오니를 확실하게 흡입할 수 있으며, 또한, 협잡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수저 오니 회수방법의 일련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이하여, 수저에 침적하는 오니가 흡입용 부속장치(20)로 흡·배 탱크장치(3)의 진공흡인작용에 의해 흡입호스(8)내에 흡인되며, 다시 이 흡입호스(8)를 경유하여 흡·배 탱크장치(3)의 흡·배 탱크(31)내에 흡입된다. 흡·배 탱크(31)내에 흡입된 오니는 흡·배 전환밸브(52)의 전환에 의하여 흡·배 탱크(31)내로 반송되어온 가압공기에 의해서 배출호스(9)에 압송되며, 이 배출호스(9)를 거쳐서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으로 배출되어 회수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흡입호스(8)의 선단에 흡입용 부속장치(20)를 설치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흡입호스(8)의 선단에 흡입용 부속장치(20)를 설치하지 않고, 흡입호스(8)의 선단 개구부로부터 수저의 오니를 흡인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 15는 본 발명의 흡인압송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면이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이 흡인압송장치는 도 2에 나타낸 것과는 세 가지 점에서 크게 다르다. 제1의 상이점은 4방밸브인 흡·배 전환밸브(52)대신에, 압축공기 투입밸브(53)와 진공흡기밸브(54)가 설치되며, 이들의 밸브가 독립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이며, 제2의 상이점은 흡·배 탱크(31),(32)에 배기밸브(55)가 접속되어 있는 점이며, 제3의 상이점은 컴프레서(2)로부터의 압송공기를 보내는 파이프(42)로부터 분기되어 흡·배 탱크(31),(32)로부터 뻗어 나온 토출관(13)의 중도부에 연결된 후에, 토출관(13)으로 이르도록 구성된, 압축공기 바이패스 밸브(56)를 구비한 바이패스 경로(18)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이하, 도 15의 흡인압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컴프레서(2)의 구동에 의해 파이프(42)에 송출된 압송공기는 압축공기 투입밸브(53)의 개방에 의하여 흡·배 탱크(31),(32)로 송출된다. 이때, 공기 이젝터(41)의 작용에 의하여 파이프(46)내에 흡인력이 발생하고, 이 흡인력은 진공흡기밸브(54)의 개방에 의하여 흡·배 탱크(31),(32)내에 부압(負壓)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흡·배 탱크(31)측의 진공흡기밸브(54)의 개방과 흡·배 탱크(32)측의 진공흡기밸브(54)의 폐쇄, 흡·배 탱크(31)측의 압축공기 투입밸브(53)의 개방과 흡·배 탱크(32)측의 압축공기 투입밸브(53)의 폐쇄를 각각 연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항상 어느 한쪽의 흡·배 탱크가 흡인상태로 되며, 연속적으로 오니를 흡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5의 흡인압송장치는 상기한 상이점에 의하여 도 2에 나타낸 것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우수한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먼저, 4방밸브인 흡·배 전환밸브(52)대신에, 독립하여 폐쇄가 가능한 압축공기 투입밸브(53)와 진공흡기밸브(54)를 설치함으로써, 압축공기 투입밸브(53)와 진공흡기밸브(54)의 개폐의 전환시에 있어서, 진공흡기밸브(54)의 폐쇄 타이밍을 지연시켜, 진공흡기밸브(54)의 개방시간을 압축공기 투입밸브(53)의 개방시간보다 길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항상 어느 한쪽의 흡·배 탱크(T1 또는 T2)가 고진공 상태로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항상 어느 한쪽의 흡·배 탱크를 높은 진공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진공압이 낮아졌을 때 발생하는 물만이 흡인되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흡·배 탱크(31),(32)에 배기밸브(55)가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흡·배 탱크로부터의 압송이 종료되었을 때, 배기밸브(55)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탱크내의 잔존 압력을 영(0)으로 할 수 있다.
또, 압축공기 바이패스밸브(56)를 구비한 바이패스경로(18)를 설치함으로써, 한쪽의 탱크로부터의 압송이 종료하였을 때, 압송용 배관내의 공기가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흡인압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면이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도 15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이 흡인압송장치는 도 15에 나타낸 것과는 두 가지 점에서 크게 다르게 되어 있다.
제1의 상이점은 공기 이젝터(41)와는 별개로 진공발생장치(90)를 설치하며, 이 진공발생장치(90)와 공기 이젝터(41)를 밸브(47),(48)의 전환에 의해서,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점이다.
이 진공발생장치(90)로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구성의 것이 적절히 사용된다.
도 18의 진공발생장치(90)는 흡인관(60)과 습식 집진조(61)와, 루츠 송풍기(Roots blower)(62)와, 미스트케처 겸 소음조(63)와, 배기관(64)과, 냉각수 냉각장치(65)와, 사이클론 집진기(66)로 구성되어 있으며, 루츠 송풍기(62)의 구동에 의하여 흡인관(60)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 18의 진공발생장치(90)에 있어서, 루츠 송풍기(62)대신에 스크류 송풍기, 내쉬펌프를 사용하여도 좋다.
제2의 상이점은 진공발생장치(공기 이젝터(41) 또는 진공발생장치(90))와 흡·배 탱크(31),(32)를 연계시키는 경로에, 진공탱크(어큐뮬레이터)(70)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두 개의 진공탱크(70)가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으나,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이라도 좋다.
도 17의 흡인압송장치는 상기한 상이점에 의해서 도 15에 나타낸 것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우수한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먼저, 진공발생장치(90)와 공기 이젝터(41)와의 구분사용을 가능하게 한 것에 의하여, 공기 이젝터(41)에 의해 발생하는 흡인력이 부족한 경우에, 진공발생장치(90)의 사용으로 전환시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 진공발생장치와 흡·배 탱크(31),(32)를 연계시키는 경로에 진공탱크(70)를 설치한 것에 의하여, 탱크내의 진공압의 형성이 좋아지며, 진공압이 낮아질 때 발생하는 물만이 흡인되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진공발생장치(90)를 설치하지 않고, 공기 이젝터(41)로 이루어지는 진공발생장치(4)만을 진공발생수단으로 하여 사용한 흡입압송장치(1)에 있어서, 진공발생장치(4)와 흡·배 탱크(31),(32)를 연계시키는 경로에 진공탱크(70)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으며, 이 구성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우수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진공탱크(70)를 구비한 모선(6)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모선(6)도 도 1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모선위에는 조작 암(7)이 설치되어 있으며, 흡인압송장치(1)의 흡·배 탱크장치(3)로부터 조작 암(7)을 따라서 이 조작 암(7)의 선단부까지 흡·배 탱크장치(3)에 연이어 통하게 연결된 흡입호스(8)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흡입압송장치(1)의 흡·배 탱크장치(3)로부터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까지 흡·배 탱크장치(3)에 연통하여 연결된 배출호스(9)가 설치되며, 흡입호스(8)의 선단에는 오니가 침적하는 수저에 직접 배치되는 흡입용 부속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또, 흡·배 탱크장치에는 컴프레서(2) 및 진공발생장치가 연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진공발생장치와 흡·배 탱크장치를 연계하는 경로에 설치된 진공탱크(70)는 도 19의 예에서는 모선(6)의 선체 좌우의 측부에 연결되며, 수면위에 떠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21은 모선(6)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또한 도면중의 부호(2),(3)는 각각 컴프레서 및 흡·배 탱크가 접속되는 경로인 것을 나타내며, 67은 모선(6)의 상면에 설치된 배기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이젝터(41)와 진공탱크(70)를 함께 모선(6)의 선체내부에 설치하는 구성이 바람직하게 채용되고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공기 이젝터(41)의 토출구에 소음장치(8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오니의 흡인회수작업 중에 있어서의 진동과 소음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선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요원의 작업환경이 개선됨과 동시에, 작업현장의 주위에 소음공해를 발생시키는 일도 없게 된다.
도 22는 모선(6)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모선위에 배치되는 장치는 생략되어 있으나, 도 1, 도 19, 도 20, 도 21에 나타낸 모선(6)과 동일한 장치가 배치된다.
이 모선(6)은 6a, 6b, 6c, 6d, 6e의 5척의 소형모선이 분리가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선(6)을 구성하는 소형모선의 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2∼4척, 혹은 6척 이상이라도 좋다.
상기 소형모선끼리의 연결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도 22의 예에서는 볼트연결부(71)와 훅 연결부(72)가 설치되어 있다.
볼트연결부(71)는 모선(6)의 상면을 고정하는 것이며, 도 23∼도 25에 평면도, 단면도,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볼트연결부(71)는 평면으로 보아 오목형으로 형성된 피연결부재(73), 볼트(74), 체결너트(75), 로크너트(76) 및 회전방지판(77)으로 구성된다. 인접하는 소형모선의 상면에 각각 고정된 2개의 피연결부재(73)에 볼트(74)가 삽입관통되며, 이 볼트(4)의 나사부에 체결너트(75) 및 로크너트(76)가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2개의 피연결부재(73)는 연결된다. 볼트(74)의 두부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가 절결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가 회전방지판(77)에 맞닿는 것에 의하여, 볼트(74)의 회전에 의한 이완이 방지된다.
훅 연결부(72)는 모선의 하면을 고정하는 것이며, 인접하는 소형모선의 한쪽 측에 설치되는 수용부(78)와, 다른쪽 측에 설치되는 걸림부(79)로 구성된다. 도 26∼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78)는 개구부(78a)와, 이 개구부(78a)의 안쪽에 형성된 세로벽부(78b)와, 이 세로벽부(78b)에 설치된 스토퍼(78c)로 구성되며, 걸림부(79)는 회전운동축(79a)과, 이 회전운동축(79a)의 양단이 삽입 관통되는 지지판(79b)과, 회전운동축(79a)의 중심에 고정된 회전운동이 가능한 훅(79c)으로 구성되며, 훅(79c)을 회전운동시켜서 개구부(78a)의 아래쪽 테두리부 내측과 스토퍼(78c)와의 사이에 차입하는 것에 의하여, 수용부(78)와 걸림부(79)가 연결된다.
도 30∼도 32는 각각, 연결방법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단면도, 측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2척의 소형모선(6a),(6b)을 관통하도록 관통구멍(81)이 형성되며, 이 관통구멍(81)내에 전체길이에 걸쳐서 각(角)파이프(82)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파이프(82)내의 인접하는 2척의 소형모선의 경계부분에 짧은 파이프(83)가 끼워지며, 각파이프(82)와 짧은 파이프(83)를 상하방향으로 핀(84)이 관통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서 인접하는 2척의 소형모선(6a),(6b)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85는 개폐가 가능한 뚜껑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관통구멍(81)을 모선의 흘수선(吃水線)보다 상부에 설치함으로서, 흘수선보다 상부에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과 분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흡입호스에 의해 수저에 침적하고 있는 오니를 수저에서 직접 흡인하며, 이 흡입호스에 의해서 모선위의 흡·배 탱크장치에 오니를 흡송하며, 이 흡·배 탱크장치로부터 배출호스에 의해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으로 오니를 회수하기 때문에, 수저에 있어서 주위의 오니를 확산시키지 않으며, 또 수면에 오니로부터의 물이 흐르지 않게 되며, 주변의 수역을 오염시키지 않으며, 관광지의 호수 등에서는 환경미화에 공헌할 수 있으며, 음용수에 사용되는 수원지 등에 있어서는 시각적으로 불결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항상 배출호스에 압송공기가 송출되고 있으며, 오니를 안정적으로 또, 상당한 원거리에 있는 육상의 오니 회수현장으로 보낼 수 있게 된다.
또, 수면 위로 띄워서 배치된 상기 모선이, 모선에서 육상까지 설치된 복수의 선재에 의해서 수면 위의 위치로 고정되기 때문에, 선재를 육상에서 소망하는 방향으로 끌어서 모선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모선을 수면 위에서 이동시키는데 구동수단을 모선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모선의 소형화,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또, 모선을 수면 위에 부설(浮設)시킨 상태로, 수저에서 오니 회수작업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상, 오니가 전혀 눈에 띄지 않으며, 환경미화에 공헌하는 것이다. 또, 흡입개구부가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오니 회수용 부속장치에 의하면, 물이 아니고 오니를 확실하게 흡입할 수 있으며, 더욱이 협잡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독립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압축공기 투입밸브와 진공흡기밸브를 설치함으로써, 항상 어느 한쪽의 흡·배 탱크가 높은 진공상태에 있게 할 수 있으며, 진공도가 낮아졌을 때 발생하는 물만 흡인되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진공발생장치로서 사용하는 공기 이젝터를 모선의 선체 내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오니의 흡입회수작업 중에 있어서의 진동과 소음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어, 모선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요원의 작업환경의 개선이나, 작업현장의 주위에 대한 소음공해의 발생방지에 기여한다.
또, 진공발생장치와 흡·배 탱크를 연계하는 경로에 진공탱크를 설치함으로써, 탱크내의 진공압력의 형성이 양호해지며, 진공압력이 낮아졌을 때 생기는 물만 흡인되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에 사용하는 흡인압송장치의 개략적인 흐름도.
도 3은 상기 흡인압송장치의 일부인 흡·배 탱크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는 확대설명도.
도 4는 흡인압송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흡·배 탱크장치내의 공기량의 경시변화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사용하는 흡입용 부속장치의 중앙의 세로단면도.
도 7은 상기 도면의 저면도.
도 8은 상기 도면의 평면도.
도 9는 흡입용 부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상기 도면의 한쪽 부속장치의 중앙 세로단면도.
도 11은 상기 도면의 상부부분의 평면도.
도 12는 흡입용 부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상기의 정면도.
도 14는 상기의 저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흡인압송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흡·배 탱크장치내의 공기량의 경시변화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흡인압송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8은 진공발생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9는 진공탱크를 구비한 모선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은 진공탱크를 구비한 모선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1은 진공탱크를 구비한 모선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22는 모선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3은 볼트연결부의 평면도.
도 24는 상기 도면의 단면도.
도 25는 상기 도면의 측면도.
도 26은 훅 연결부의 정면도.
도 27은 수용부의 정면도.
도 28은 걸림부의 측면도.
도 29는 상기 도면의 평면도.
도 30은 연결방법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1은 상기 도면의 단면도.
도 32는 상기 도면의 측면도.
도 33은 종래기술의 설명도.
도 34는 종래기술의 흡·배 탱크장치내의 공기량의 경시변화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컴프레서 3 ; 흡·배 탱크장치
4 ; 진공발생장치 5 ; 에어 제어장치
6 ; 모선(母船) 6a∼6e ; 소형모선
7 ; 조작수단 8 ; 흡입호스
9 ; 배출호스 10 ; 선재(線材)
15 ; 배출관 33 ; 공급관
41 ; 공기 이젝터 43 ; 밸브
53 ; 압축공기 투입밸브 54 ; 진공 흡기밸브
70 ; 진공탱크 90 ; 진공발생장치

Claims (16)

  1. 삭제
  2. 수면 위에 띄워서 배치한 모선위로부터 오니가 침적하는 수저까지 흡입호스를 설치하는 한편, 모선위로부터 육상의 오니 회수 현장까지 배출호스를 설치하며, 상기 흡입호스와 배출호스를 모선 위에 배치한 2개 이상의 흡·배 탱크장치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하고, 이 흡·배 탱크장치 및 이 흡·배 탱크장치로부터 뻗어 나오는 배출호스에 컴프레서로부터 압송공기를 연속하여 공급하면서, 진공발생장치에 의해 진공을 발생시켜서 흡·배 탱크장치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며, 이들 압송공기의 공급과 흡인을 소정 시간마다 전환하고, 이 전환에 있어서, 흡인시간을 압송공기의 공급시간보다 길게 하여 항상 어느 한 쪽의 흡·배 탱크장치가 고 진공상태에 있도록 하고, 흡·배 탱크장치로부터 뻗어 나오는 상기 흡입호스의 흡인구로부터 흡·배 탱크장치 안으로 수저의 오니를 흡입하며, 이 흡·배 탱크장치로부터 배출호스로 오니를 연속적으로 압송하여 상기 오니 회수 현장에 오니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의 오니 회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발생장치를 공기 이젝터로 구성하며, 이 공기 이젝터를 모선 내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의 오니 회수 방법.
  4. 삭제
  5. 삭제
  6. 수면 위에 띄워서 배치한 모선위에 암(arm) 형상의 조작수단이 설치되고, 이 모선위로부터 오니가 침적하는 수저까지 상기 조작수단으로 수저에서의 위치가 이동 조작되는 흡입호스가 설치되는 한편, 모선위로부터 육상의 오니 회수 현장까지 배출호스가 설치되며, 상기 흡입호스와 배출호스가 모선위에 배치된 흡·배 탱크장치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고, 이 흡·배 탱크장치에 컴프레서와 진공발생장치가, 독립하여 개폐 가능하게 된 압축공기 투입밸브와 진공 흡기밸브를 통해서 공급 파이프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진공발생장치는 밸브의 전환에 의하여 분류 사용이 가능한 2종류의 진공발생장치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진공발생장치와 흡·배 탱크를 연결하는 경로에는 진공 탱크가 배열 설치되고, 상기 흡·배 탱크장치는 대략 중공의 원통형으로서 그 상부로부터 내저부(內底部) 근방에 걸쳐서 상기 배출호스에 연통되게 연결된 배출관이 삽입 관통되며 또 그 중앙부 근방에 상기 흡입호스가 연통되게 연결되고, 또한 가압 또는 진공압의 공급 파이프가 상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수저의 오니 회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발생장치 중 하나는, 공기 이젝터로 구성됨과 동시에, 이 공기 이젝터는 모선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의 오니 회수 장치.
  8. 삭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수면 위에 띄워서 설치한 상기 모선은, 모선으로부터 육상까지 설치된 복수의 선재(線材)에 의하여 수면상의 위치를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수저의 오니 회수 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수면 위에 띄워서 설치한 상기 모선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소형 모선으로 이루어지는 수저의 오니 회수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0-0064052A 2000-10-30 2000-10-30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 및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 KR100481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052A KR100481634B1 (ko) 2000-10-30 2000-10-30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 및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052A KR100481634B1 (ko) 2000-10-30 2000-10-30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 및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468A KR20020033468A (ko) 2002-05-07
KR100481634B1 true KR100481634B1 (ko) 2005-04-08

Family

ID=3747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052A KR100481634B1 (ko) 2000-10-30 2000-10-30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 및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393B1 (ko) * 2013-10-24 2014-04-18 박선미 준설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6112A (en) * 1986-05-29 1988-10-11 Industrial Innovations Sludge pond vehicle
JPH02225725A (ja) * 1989-02-27 1990-09-07 Kanematsu Eng Kk 水底汚泥回収方法および水底汚泥回収装置
JPH0447036A (ja) * 1990-06-12 1992-02-17 Kanematsu Eng Kk 水底汚泥回収方法および水底汚泥回収装置
WO1992018707A2 (en) * 1991-04-17 1992-10-29 Ingenieursbureau Oranjewoud B.V. Method and apparatus for dredging sludge
JPH11255016A (ja) * 1998-03-13 1999-09-21 Kanematsu Engineering Kk エンジンを利用した吸引圧送車
KR200163714Y1 (ko) * 1999-07-07 2000-02-15 이동헌 오니토준설장치
KR20010019487A (ko) * 1999-08-27 2001-03-15 이동헌 오니토 준설방법 및 그 장치
KR100442597B1 (ko) * 2001-10-31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이득제어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를 위한 주변 밝기판정방법과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6112A (en) * 1986-05-29 1988-10-11 Industrial Innovations Sludge pond vehicle
JPH02225725A (ja) * 1989-02-27 1990-09-07 Kanematsu Eng Kk 水底汚泥回収方法および水底汚泥回収装置
JPH0447036A (ja) * 1990-06-12 1992-02-17 Kanematsu Eng Kk 水底汚泥回収方法および水底汚泥回収装置
WO1992018707A2 (en) * 1991-04-17 1992-10-29 Ingenieursbureau Oranjewoud B.V. Method and apparatus for dredging sludge
JPH11255016A (ja) * 1998-03-13 1999-09-21 Kanematsu Engineering Kk エンジンを利用した吸引圧送車
KR200163714Y1 (ko) * 1999-07-07 2000-02-15 이동헌 오니토준설장치
KR20010019487A (ko) * 1999-08-27 2001-03-15 이동헌 오니토 준설방법 및 그 장치
KR100442597B1 (ko) * 2001-10-31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이득제어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를 위한 주변 밝기판정방법과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468A (ko) 200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637B1 (ko) 준설장치
KR101339890B1 (ko) 복합 준설선
US8522460B2 (en) Underwater excavation apparatus
US7334358B1 (en) Portable dredging equipment
EP0927286B1 (en) Dredging apparatus
CN106193153B (zh) 一种绞吸挖泥船
EP3333327A1 (en) Autonomous dredging vehicle for dredging a dam reservoir
KR101086846B1 (ko) 침전물 제거용 수중펌프
CN106193155B (zh) 一种挖泥船的泥沙采集装置
JP4675169B2 (ja) 水中物吸引搬送装置とこれを用いた浚渫方法、ケーソンの中詰材除去方法及び基礎杭内の堆積物除去方法
CN108951741A (zh) 一种用于灌溉渠道的多功能清淤船
EP3271517A1 (en) Dredg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edging
US3909960A (en) Loose material recovery system having a mixing box
KR100481634B1 (ko)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 및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
CN206829218U (zh) 挖泥船自动输送装置
CN111576517A (zh) 一体化高压防堵吸入冲挖清淤设备
KR100557840B1 (ko) 부유물에 의한 2차 오염이 없는 준설 시스템
EP0289520B1 (en) Remote underwater excavator and sampler
JPH05270484A (ja) 水面浮遊物吸引方法及び装置
CN107916691A (zh) 一种生态清淤船
KR100560056B1 (ko) 준설용 진공흡입장치
CN106193152A (zh) 一种挖泥船
JP4341772B2 (ja) 浚渫方法及び浚渫システム
JP2005220598A (ja) 河川底の堆積土砂清浄装置
JPH042733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