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393B1 - 준설 장치 - Google Patents

준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393B1
KR101386393B1 KR1020130127250A KR20130127250A KR101386393B1 KR 101386393 B1 KR101386393 B1 KR 101386393B1 KR 1020130127250 A KR1020130127250 A KR 1020130127250A KR 20130127250 A KR20130127250 A KR 20130127250A KR 101386393 B1 KR101386393 B1 KR 101386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pipe
flange
pip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국
박선미
Original Assignee
박선미
김홍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6579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8639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선미, 김홍국 filed Critical 박선미
Priority to KR1020130127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02F3/885Floating installations self propelled, e.g. 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05Manipulating or supporting suction pipes or ladders; Mechanical supports or floaters therefor; pipe joints for suction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 엔진을 가져 자력으로 이동 가능하며 내부에 준설된 퇴적물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갖는 선박과, 일측 끝단에 플랜지가 회동되게 설치되어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선박의 갑판 상에 위치되어 있고 사용시에는 상기 선박의 외부 측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고 타측 끝단이 강 또는 바다의 바닥에 닿아 퇴적된 퇴적물을 흡입하는 흡입파이프와, 상기 선박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된 플랜지를 이탈되지 않게 상하로 이동시키고 하부에 하측으로 이동된 상기 흡입파이프의 직경과 대응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가이드와, 상기 흡입파이프를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흡입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된 퇴적물을 상기 저장 공간으로 이송하는 이송파이프와, 상기 저장 공간 내에 저장된 퇴적물을 육상으로 토출하기 위해 이송하는 배출파이프와, 상기 배출파이프를 통해 이송된 퇴적물을 육상으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흡입 파이프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펌프 및 발전기가 수중에 잠기지 않고도 퇴적물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펌프 및 발전기가 수중에 잠기지 않으므로 부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준설 장치{Dred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 또는 바다의 바닥에 침적된 퇴적물을 흡입 펌프에 의해 준설할 수 있는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 또는 바다 등의 수역에서는 오니나 모래, 자갈 등이 유입 및침적된 퇴적물이 바닥에 쌓이게 된다. 이러한 바닥에 싸인 퇴적물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상기한 수역들은 그 기능을 점차 잃어버리고 심각한 수질오염을 야기하게 되므로 적정한 방법을 통해 퇴적물을 준설하여야 한다.
준설 방법으로는 퇴적물을 버킷(Bucket)으로 퍼 올려 준설하거나, 퇴적물을 펌프로 흡입하여 준설하는 방법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준설된 퇴적물은 선박의 선체 상에서 배출파이프를 통해 육지로 배출하거나 또는 별도의 운반 수단에 의해 육지로 옮긴 후 별도의 처리공정을 통해 처리하고 있다. 또한, 준설된 퇴적물을 먼 바다로 운반하여 폐기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버킷으로 퇴적물을 퍼 올리는 방법은 수중의 퇴적물에 버킷을 넣고 퇴적물을 퍼 올리는 과정에서 유실되고 준설작업이 비연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비해, 펌프를 사용하여 퇴적물을 흡입하여 준설하는 방법은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퇴적물을 준설하므로 퇴적물의 유실이 작고 연속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성이 좋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준설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준설 장치는 선박(10)의 선수나 선미에 설치된 회동부(11)에 흡입파이프(1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흡입파이프(13)는 일측 끝단이 회동부(11)에 연결되어 일정한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흡입파이프(13)는 회동되어 수중에 잠기는 타측 끝단이 수중의 퇴적물을 흡입하는 펌프(15)와 발전기(17)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흡입파이프(13)의 길이가 길면 퇴적물을 흡입하는 흡입력이 저하되므로 펌프(15)가 흡입파이프(13)의 수중에 잠기어 퇴적물을 흡입하는 입구인 타측 끝단에 설치된다.
또한, 회동부(11)에 배출파이프(19)의 일측이 연결된다. 상기에서 회동부(11)에 의해 연결되는 흡입파이프(13)와 배출파이프(19)는 공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선박(10)은 구동 엔진이 없어 자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고 예인선(21)에 의해 이동가능한 바지선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의 준설 장치는 선박(10)이 예인선(21)에 의해 준설 장소로 이동되어 흡입파이프(13)를 회동시켜 타측이 강 또는 바다 등의 바닥에 닿도록 한다. 그리고, 발전기(17)에 의해 펌프(15)를 동작시키면 흡입파이프(13)를 통해 강 또는 바다 등의 바닥에 퇴적된 퇴적물이 물과 함께 흡입된다.
흡입파이프(13)를 통해 흡입된 물과 퇴적물은 배출파이프(19)를 거쳐 연결된 투기파이프(23)를 통해 육지로 이송하여 육상에 적재한다. 또한, 흡입파이프(13)를 통해 물과 함께 흡입된 퇴적물은 배출파이프(19)를 거쳐 연결된 투기파이프(23)를 통해 호퍼 부선(도시되지 않음)에 적재되어 먼 바다에 투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준설 장치는 펌프 및 발전기가 수중에 잠기므로 부식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 및 발전기가 수중에 잠기지 않고도 퇴적물을 흡입할 수 있는 준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펌프 및 발전기가 수중에 잠기지 않도록 하여 부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준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랜지가 가이드를 따라 용이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는 준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준설되어 흡입파이프를 통해 흡입되는 퇴적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흡입구를 통해 선박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준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준설되어 흡입파이프를 통해 흡입되는 퇴적물의 외부 누출를 방지하여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준설 장치는 구동 엔진을 가져 자력으로 이동 가능하며 내부에 준설된 퇴적물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갖는 선박과, 일측 끝단에 두께(t1)를 갖는 플랜지가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41)의 후면에 상기 두께(t1) 보다 0.2∼ 0.5배 작은 높이(t2)를 갖고 준설 작업시 상기 선박의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의 주변과 밀착되는 밀착링이 설치되어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선박의 갑판 상에 위치되어 있고 사용시에는 상기 선박의 외부 측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고 타측 끝단이 강 또는 바다의 바닥에 닿아 퇴적된 퇴적물을 흡입하는 흡입파이프와, 상기 선박의 측면에 양측 끝 부분이 'ㄷ'자 형상의 간격(g)을 갖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간격(g)이 상기 플랜지(41)의 두께(t1) 보다 1.5∼ 2배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를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하로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하측으로 이동된 상기 흡입파이프의 직경과 대응하는 흡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파이프를 통해 퇴적물을 준설할 때 흡입되는 퇴적물에 의한 관성으로 인해 상기 플랜지가 상기 흡입구 주변과 밀착되는 가이드와, 상기 흡입파이프를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흡입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된 퇴적물을 상기 저장 공간으로 이송하는 이송파이프와, 상기 저장 공간 내에 저장된 퇴적물을 육상으로 토출하기 위해 이송하는 배출파이프와, 상기 배출파이프를 통해 이송된 퇴적물을 육상으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승하강수단은, 하강수단은 상기 선박의 갑판에 고정되게 설치된 브라켓의 설치플레이트 일측에 각각 결합된 2개의 암을 포함하여 제 1 와이어에 의해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는 제 1 승강기와,
상기 흡입파이프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 제 2 와이어를 포함하는 제 2 승강기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승하강수단은 상기 선박의 갑판에 실려 있는 흡입파이프를 상기 브라켓에 대해 제 1 승강기의 제 1 및 제 2 암을 경사지게 회동시켜 상기 흡입파이프에 체결된 플랜지가 공중에 부양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에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부분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에서 제 1 및 제 2 승강기는 상기 흡입파이프를 상기 직경이 상기 흡입구와 일치될 때까지 동일한 속도로 이동시킨다.
상기에서 흡입파이프의 직경이 상기 흡입구와 일치되면 상기 제 1 승강기의 작동을 멈추고 상기 제 2 승강기는 계속해서 작동하여 상기 흡입파이프는 타측 끝단이 강 또는 바다의 바닥에 닿도록 상기 플랜지에 대해 회동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입 파이프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펌프 및 발전기가 수중에 잠기지 않고도 퇴적물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펌프 및 발전기가 수중에 잠기지 않으므로 부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의 두께 보다 가이드의 간격을 크게하여 플랜지가 용이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으며, 준설되어 흡입파이프를 통해 흡입되는 퇴적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흡입구를 통해 선박 내부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는 종래 기술에 따른 준설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준설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준설 장치의 흡입 파이프가 선박의 측면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준설 장치의 선박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플랜지의 측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준설 장치의 흡입 파이프가 퇴적물의 준설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준설 장치의 흡입 파이프가 퇴적물을 준설하기 위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준설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준설 장치의 흡입 파이프가 선박의 측면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준설 장치의 선박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플랜지의 측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준설 장치의 흡입 파이프가 퇴적물의 준설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준설 장치는 선박(31), 흡입파이프(39), 이송파이프(40), 승하강수단(55), 배출파이프(57) 및 토출부(65)을 포함한다.
선박(31)은 자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 엔진(33)과 발전기(35)를 갖는다. 상기에서 선박(31)은 구동 엔진(33)을 구동하여 프로펠러(37)를 회전시켜 이동 또는 회전할 수 있는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선박(31)이 자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이동시 인력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박(31)은 구동 엔진(33)과 프로펠러(37)가 구비되지 않아 예인선(도시되지 않음)에 예인되는 것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다. 선박(31)은 내부에 준설된 퇴적물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준설된 퇴적물을 적재하기 위한 별도의 호포 부선이 필요하지 않는다.
또한, 선박(31)은 측면에 흡입파이프(39)의 일측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43)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43)의 하부에 흡입구(45)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가이드(43)는 양측 끝 부분이 내측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절곡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판상이 이탈되지 않도록 끼워져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흡입파이프(39)는 일측 끝단에 플랜지(41)가 회동되게 설치되며 타측 끝단이 강 또는 바다의 바닥에 퇴적된 퇴적물을 흡입한다. 상기에서 흡입파이프(39)는 선박(31)이 이동하거나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갑판 상에 위치되어 있고, 사용시에는 일측의 플랜지(41)가 선박(31)의 외부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43)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직경이 흡입구(45)와 일치되도록 한다. 이때, 흡입파이프(39)는 타측도 일측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흡입파이프(39)는 타측이 계속해서 하부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플랜지(41)에 대해 회동되어 준설될 퇴적물이 퇴적된 강 또는 바다의 바닥에 닿도록 한다.
상기에서 플랜지(41)의 두께는 가이드(43)의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일정 간격 보다 작도록 하여 흡입파이프(39)의 상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에서 플랜지(41)가 선박(31)의 가이드(43)가 형성된 부분과 밀착되지 않으므로 가이드(43)의 하부로 이동된 흡입파이프(39)는 직경이 흡입구(45)와 이격될 수도 있다. 그러나, 흡입파이프(39)를 통해 퇴적물을 준설할 때 흡입되는 퇴적물에 의해 관성이 발생되어 플랜지(41)가 선박(31)의 흡입구(45) 주변과 밀착된다. 따라서, 준설되어 흡입되는 퇴적물은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면서 흡입구(45)를 통해 선박(31) 내부로 이동된다. 상기에서 준설하지 않을 때 제 1 밸브(47)에 의해 흡입구(45)를 막는데, 준설시에는 제 1 밸브(47)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발전기(35)에 의해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펌프(87)를 구동시킨다.
승하강수단(55)은 흡입파이프(39)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승강기(49)(53)로 구성된다. 제 1 승강기(49)는 제 1 와이어(80)에 의해 흡입파이프(39)의 플랜지(41)와 연결되고, 제 2 승강기(53)는 제 2 와이어(51)에 의해 흡입파이프(39)의 중간 부분에 연결된다. 상기에서 제 1 및 제 2 승강기(49)(53)는 선박(31)의 갑판에 적재되어 있는 흡입파이프(39)를 선박(31) 측면의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에, 플랜지(41)는 가이드(43)를 통해 이동하여 흡입파이프(39)의 직경이 흡입구(45)와 일치된다.
상기에서 가이드(43)의 'ㄷ'자 형상의 일정 간격(g)이 플랜지(41)의 두께(t1) 보다 크도록 하여, 예를 들면, 가이드(43)의 'ㄷ'자 형상의 간격(g)이 플랜지(41)의 두께(t1) 보다 1.5∼ 2배 정도 크도록 한다. 이에 의해, 플랜지(41)가 하부로 이동할 때 가이드(43)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되게 한다. 또한, 플랜지(41)의 흡입파이프(39)가 연결되지 않은 후면에 준설 작업시 선박(31)의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45)의 주변과 밀착되게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된 밀착링(42)이 설치된다. 상기에서 밀착링(42)의 높이(t2)는 플랜지(41) 두께(t1) 보다 작도록 하여, 예를 들면, 0.2∼ 0.5배 정도가 되도록 하여 플랜지(41)가 가이드(43)를 따라 원활하에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준설 작업시 흡입파이프(39)를 통해 흡입되는 퇴적물에 의해 관성이 발생되어 플랜지(41)가 선박(31)의 흡입구(45) 주변과 밀착되는데, 이 밀착링(42)에 의해 플랜지(41)와 선박(31)의 흡입구(45) 주변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준설되어 흡입파이프(39)를 통해 흡입되는 퇴적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흡입구(45)를 통해 선박(31) 내부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이 퇴적물의 누출로 인한 흡입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 1 및 제 2 승강기(49)(53)는 흡입파이프(39)의 직경이 흡입구(45)와 일치될 때까지 대체로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흡입파이프(39)의 직경이 흡입구(45)와 일치되면 제 1 승강기(49)는 작동을 멈추고 제 2 승강기(53)는 계속해서 작동한다. 이에, 제 1 와이어(80)의 길이가 증가되는 것이 중지되고 제 2 와이어(51)의 길이만 증가되어 흡입파이프(39)는 플랜지(41)에 대해 회동되어 타측 끝단이 강 또는 바다의 바닥에 닿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개시된 제 1 밸브(47)를 개방하고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펌프(87)를 작동시켜 흡입파이프(39)를 통해 퇴적물을 준설한다.
이송파이프(40)는 흡입파이프(39)를 통해 준설된 퇴적물을 선박(31)의 저장 공간(도시되지 않음)으로 이송한다. 상기에서 흡입파이프(39)를 통해 준설된 퇴적물은 흡입구(45)를 통해 선박(31) 내부로 흡입되는데, 이 흡입구(45)를 통해 흡입된 퇴적물은 저장 공간에 적재될 수 있도록 이송파이프(40)를 통해 이송된다.
배출파이프(57)는 저장 공간(도시되지 않음) 내에 저장된 퇴적물을 펌프(87)에 의해 육상으로 토출하여 투기하기 위해 이송한다. 상기에서 배출파이프(57)는 제 1 밸브(47)를 폐쇄하고 제 2 밸브(59)를 개방하여 배출로를 확보한다.
토출부(65)는 배출파이프(57)를 통해 이송된 퇴적물을 육상으로 토출한다. 상기에서 토출부(61)는 배출파이프(63)와 연결되어 이송되는 퇴적물을 토출 압력을 증가시켜 육상으로 쏘아서 근거리에 투기하는 제 1 토출구(61)와, 배출파이프(57)와 연결되어 이송되는 퇴적물을 투기파이프(73)를 통해 육상의 먼 거리로 투기하는 제 2 토출구(6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저장 공간(도시되지 않음)에 적재된 퇴적물을 근거리에 투기할 때에는 제 1 밸브(47)와 제 4 밸브(71)를 폐쇄하고 제 2 밸브(59)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 3 밸브(67)를 개방하고 펌프(87)를 구동한다. 이에, 저장 공간(도시되지 않음)에 적재된 퇴적물은 배출파이프(57)를 거쳐 제 1 토출구(61)를 통해 토출되어 육상으로 투기된다. 상기에서 제 1 토출구(61)는 직경은 배출파이프(57)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에 의해 제 1 토출구(61)를 통하는 퇴적물의 토출 압력이 증가되어 육상으로 쏘아져 근거리에 투기된다. 상기에서 제 1 토출구(61)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퇴적물을 육상에 고르게 쌓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장 공간(도시되지 않음)에 적재된 퇴적물을 먼 거리로 투기할 때에는 제 1 밸브(47)와 제 3 밸브(67)를 폐쇄하고 제 2 밸브(59)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 4 밸브(71)를 개방하고 펌프(41)를 구동한다. 이에, 퇴적물은 제 2 토출구(63)에 연결된 투기파이프(73)를 통해 육상으로 투기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준설 장치의 흡입 파이프가 퇴적물을 준설하기 위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승강기(49)(53)로 이루어진 승하강수단(55)을 사용하여 선박(31)의 갑판에 실려 있는 흡입파이프(39)를 약간의 높이, 대략 1 ∼ 2m 정도의 높이로 상승시킨다. 상기에서 제 2 승강기(53)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와이어(51)가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것에 의해 흡입파이프(39)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승강기(49)는 선박(31)의 갑판에 고정되게 설치된 브라켓(74)에 타측이 힌지 결합된 제 1 및 제 2 암(75)(77)과, 이 제 1 및 제 2 암(75)(77)의 타측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힌지 결합된 설치플레이트(79)와, 권취롤러(81)와, 제 1 및 제 2 가이드롤러(83)(85)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 1 및 제 2 승강기(49)(53)에 의해 제 1 및 제 2 와이어(80)(51)를 감아 선박(31)의 갑판에 실려 있는 흡입파이프(39)를 약간의 높이, 대략 1 ∼ 2m 정도의 높이로 상승시킨다. 즉, 제 1 승강기(49)를 구성하는 권취롤러(81)가 제 1 와이어(80)를 감으면 흡입파이프(39)가 공중에 부상된다. 제 1 및 제 2 가이드롤러(83)(85)는 제 1 와이어(80)가 원활하게 지나가도록 한다. 이때,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승강기(53)의 흡입파이프(39)와 연결된 제 2 와이어(51)도 대체로 제 1 와이어(80) 만큼 감아 흡입파이프(39)가 대체로 수평을 이루면서 공중에 부양되도록 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 1 승강기(49)의 제 1 및 제 2 암(75)(77)을 힌지 결합된 브라켓(74)에 대해 회동시켜 경사지게 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암(75)(77)을 흡입파이프(39)에 체결된 플랜지(41)가 공중에 부양된 상태에서 가이드(43)에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부분으로 이동되게 경사지게 한다. 이때, 설치플레이트(79)는 제 1 및 제 2 암(75)(77)을 동일하게 경사지도록 타측 간격이 일정하게 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 1 승강기(49)의 권취롤러(81)를 제 1 와이어(80)가 풀어져 길이가 증가되도록 작동시킨다. 이에, 흡입파이프(39)가 하강하여 플랜지(41)가 가이드(43)에 끼워지며, 이 흡입파이프(39)는 플랜지(41)가 가이드(43)에 끼워진 상태로 계속해서 하강하여 직경이 흡입구(45)와 일치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 2 승강기(53)의 제 2 와이어(51)도 제 1 와이어(80)와 대체로 동일한 속도로 풀어져 흡입파이프(39)가 대체로 수평을 이루면서 하강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가이드(43)의 'ㄷ'자 형상의 일정 간격(g)이 플랜지(41)의 두께(t1) 보다 크도록 하여, 예를 들면, 간격(g)이 두께(t1) 보다 1.5∼ 2배 정도 크도록 한다. 이에 의해, 플랜지(41) 두께(t1)에 0.2∼ 0.5배 정도인 밀착링(42)의 높이(t2)를 포함하여도 플랜지(41)가 가이드(43)를 따라 원활하에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흡입파이프(39)의 직경이 흡입구(45)와 일치되면 제 1 승강기(49)는 작동을 멈추어 제 1 와이어(80)의 길이가 증가되는 것이 중지되도록 하고 제 2 승강기(53)는 계속해서 작동하여 제 2 와이어(51)의 길이만 증가되도록 한다. 이에, 흡입파이프(39)는 타측의 중량에 의해 플랜지(41)에 대해 회동되어 타측 끝단이 강 또는 바다의 바닥에 닿게 된다.
도 7d를 참조하면, 흡입파이프(39)의 직경이 흡입구(45)와 일치되고 흡입파이프(39)의 타측 끝단이 강 또는 바다의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제 1 밸브(47)를 개방하고 펌프(87)를 작동시켜 흡입파이프(39)를 통해 퇴적물을 준설한다. 상기에서 흡입파이프(39)를 통해 준설된 퇴적물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이송파이프(40)를 통해 이송되어 저장공간(도시되지 않음)에 적재된다.
상기에서 흡입파이프(39)의 승강 및 하강을 용이하기 위해 가이드(43)의 'ㄷ'자 형상의 일정 간격(g)이 플랜지(41)의 두께(t1) 보다 1.5∼ 2배 정도 크므로퇴적물을 준설하지 않을 때에 플랜지(41)가 가이드(43)가 형성된 선박(31)의 측면에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준설 작업시 흡입파이프(39)를 통해 흡입되는 퇴적물에 의해 관성이 발생되어 플랜지(41)가 선박(31)의 흡입구(45) 주변과 밀착되는데, 이 밀착링(42)에 의해 플랜지(41)와 선박(31)의 흡입구(45) 주변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준설되어 흡입파이프(39)를 통해 흡입되는 퇴적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흡입구(45)를 통해 선박(31) 내부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이 퇴적물의 누출로 인한 흡입압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31 : 선박 39 : 흡입파이프
40 : 제 1 이송파이프 55 : 승하강수단
57 : 배출파이프 65 : 토출부

Claims (5)

  1. 구동 엔진을 가져 자력으로 이동 가능하며 내부에 준설된 퇴적물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갖는 선박과,
    일측 끝단에 두께(t1)를 갖는 플랜지가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41)의 후면에 상기 두께(t1) 보다 0.2∼ 0.5배 작은 높이(t2)를 갖고 준설 작업시 상기 선박의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의 주변과 밀착되는 밀착링이 설치되어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선박의 갑판 상에 위치되어 있고 사용시에는 상기 선박의 외부 측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고 타측 끝단이 강 또는 바다의 바닥에 닿아 퇴적된 퇴적물을 흡입하는 흡입파이프와,
    상기 선박의 측면에 양측 끝 부분이 'ㄷ'자 형상의 간격(g)을 갖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간격(g)이 상기 플랜지(41)의 두께(t1) 보다 1.5∼ 2배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를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하로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하측으로 이동된 상기 흡입파이프의 직경과 대응하는 흡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파이프를 통해 퇴적물을 준설할 때 흡입되는 퇴적물에 의한 관성으로 인해 상기 플랜지가 상기 흡입구 주변과 밀착되는 가이드와,
    상기 흡입파이프의 직경이 상기 흡입구와 일치되면 제 1 승강기의 작동은 멈추고 제 2 승강기는 계속해서 작동하여 상기 흡입파이프의 타측 끝단이 강 또는 바다의 바닥에 닿도록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흡입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된 퇴적물을 상기 저장 공간으로 이송하는 이송파이프와,
    상기 저장 공간 내에 저장된 퇴적물을 육상으로 토출하기 위해 이송하는 배출파이프와,
    상기 배출파이프를 통해 이송된 퇴적물을 육상으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준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선박의 갑판에 고정되게 설치된 브라켓에 타측이 설치플레이트에 일측이 각각 결합된 2개의 암을 포함하여 제 1 와이어에 의해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는 제 1 승강기와,
    상기 흡입파이프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 제 2 와이어를 포함하는 제 2 승강기로 구성된 준설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선박의 갑판에 실려 있는 흡입파이프를 상기 브라켓에 대해 제 1 승강기의 제 1 및 제 2 암을 경사지게 회동시켜 상기 흡입파이프에 체결된 플랜지가 공중에 부양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에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부분으로 이동시키는 준설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승강기는 상기 흡입파이프를 상기 직경이 상기 흡입구와 일치될 때까지 동일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준설장치.
  5. 삭제
KR1020130127250A 2013-10-24 2013-10-24 준설 장치 KR101386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250A KR101386393B1 (ko) 2013-10-24 2013-10-24 준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250A KR101386393B1 (ko) 2013-10-24 2013-10-24 준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393B1 true KR101386393B1 (ko) 2014-04-18

Family

ID=5065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250A KR101386393B1 (ko) 2013-10-24 2013-10-24 준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3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681A (ja) * 1999-05-12 2000-11-21 Kurimoto Ltd 砂採取船における泥水還流装置
KR20020033468A (ko) * 2000-10-30 2002-05-07 야마모토 고이치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 및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 및 이장치에 사용되는 모선 및 오니 회수용 부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681A (ja) * 1999-05-12 2000-11-21 Kurimoto Ltd 砂採取船における泥水還流装置
KR20020033468A (ko) * 2000-10-30 2002-05-07 야마모토 고이치 수저의 오니 회수방법 및 수저의 오니 회수장치 및 이장치에 사용되는 모선 및 오니 회수용 부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890B1 (ko) 복합 준설선
CN108502110A (zh) 落管抛石船
JPH0551734B2 (ko)
JP5681830B1 (ja) 揚土船用バックホウのバケット
US4600338A (en) Mud removal process and apparatus
JP2014094731A (ja) 水中掃除機・水中遊仕艇
KR101386393B1 (ko) 준설 장치
JP2007063934A (ja) 土砂輸送システム
JP5171446B2 (ja) グラブバケット式揚土装置
CN213204269U (zh) 一种用于港口航道泥沙清理装置
EP2141288B2 (en) Method for delivering large quantities of under water soil to a reclamation area
CN106013307B (zh) 一种改良结构的挖泥船
JP2023512394A (ja) 浚渫方法及び装置
KR101453740B1 (ko)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CN208233307U (zh) 落管抛石船
JP3715259B2 (ja) 軽量土砂用浚渫装置及びその浚渫方法
CN213572116U (zh) 一种水利工程用清淤装置
KR102495693B1 (ko) 어항 내의 퇴적 갯벌 제거 및 갯벌 퇴적 방지 시스템
CN106193167B (zh) 一种挖泥船的泥沙输运装置
CN111042246B (zh) 一种抽沙船
CN109555180B (zh) 一种内河流域淤泥挖掘船
CN209816956U (zh) 一种耙吸挖泥船的消能装驳管路系统
KR100798751B1 (ko) 고효율 친환경 준설토사운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사배출방법
US240051A (en) Lloyd stevens
RU2747683C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мелководных водоемов от нанос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417

Effective date: 20150922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7